KR20070031671A -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671A
KR20070031671A KR1020050086365A KR20050086365A KR20070031671A KR 20070031671 A KR20070031671 A KR 20070031671A KR 1020050086365 A KR1020050086365 A KR 1020050086365A KR 20050086365 A KR20050086365 A KR 20050086365A KR 20070031671 A KR20070031671 A KR 20070031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dmb
dmb terminal
capture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9498B1 (ko
Inventor
곽천섭
이원균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한국방송공사
Priority to KR102005008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498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MB 단말이 특정 방송에 대한 녹화 제어정보를 전송받고, DMB 단말이 DMB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방송을 수신할 경우에 상기 녹화 제어정보에 따라 전체 스트림 녹화를 수행한다. 전체 스트림 녹화를 수행한 뒤에 이를 재생하고자 한다면 DMB 단말이 이동통신망의 제어정보 제공서버에 재생제어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전송받고, 상기 재생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녹화된 스트림을 재생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은, DMB 단말이 방송국 또는 이동통신망의 제어정보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녹화제어정보에 따라 스트림을 녹화하고, 항목의 캡쳐 시점에 해당하는 스트림을 선택하여 해당하는 스트림만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또한, 특정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스트림이 수신되는 중에 미리 선택한 캡쳐 시점에 해당하는 스트림을 캡쳐하여 녹화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만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DMB, DMB 단말기, 캡쳐, 녹화, 재생, 제어정보 제공서버

Description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Method for saving and playing video channel contents based on objects in DMB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과정을 나타낸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체 스트림을 녹화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전체 스트림을 녹화한 후 재생 요청이 있을 경우에 제어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재생 제어 정보를 나타낸 화면예이다.
도 4는 특정 방송에 대한 정지 화면을 캡쳐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특정 방송에 대한 방송음향을 캡쳐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정지화면 캡쳐 제어정보와 방송음향 캡쳐 제어정보를 나타낸 화면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방송국 - 100a 이동통신망 - 300a
DMB 방송 서버 - 100b 제어정보 제공서버 -300b
DMB 단말기 - 200a
메모리 - 200b
본 발명은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트림 과정에서 바로 캡쳐함으로써 녹화를 수행하고, 이렇게 캡쳐되어 수신한 스트림을 제어정보에 의하여 편집하여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선택한 객체만을 수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의 디지털화 추세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TV 방송 등 기존 매체를 통해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방송 산업의 환경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매체들 중에서 방송의 디지털화와 통신과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흐름을 대변하여 새롭게 등장하는 매체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이다.
즉,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은 아날로그 라디오 시대를 잇는 새로운 디지털 라디오로서 cd 급의 음질과 우수한 이동수신 품질을 제공하는 차세대 라디오 방송으로 계획되었으며, 여기서 전송방식의 개선 등을 통 하여 비트 레이트를 높일 수 있게 되고 이에 오디오 방송뿐만 아니라 비디오 방송도 추가를 하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를 제안되게 된 것이다.
DMB(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은 단 방향성의 수동적인 라디오에서 고품질의 영상 및 음성의 수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종 정보와 데이터 서비스 등의 디스플레이와 양 방향성의 통신기능을 갖춘 것으로서 AM/FM 및 VHF, UHF 대역을 이용한 지상파 DMB와 2.6GHz 대의 대역을 사용한 위성 DMB 가 있다. 이러한 DMB 수신기는 가정에서나 보행 중은 물론, 자동차나 기차를 타고 이동 중에도 고품질의 영상과 음성을 감상할 수 있게 해주는 미래 이동 방송의 시대를 제시한다고 하겠다.
종래의 모바일 기반의 DMB 단말에서 DMB 비디오 신호가 MPEG4 압축 및 MPEG-4 시스템 계층의 객체 기술(MPEG4-OD: MPEG4-Object Descriptor) 및 화면구성 및 제어기술(MPEG4-BIFS: MPEG4-Binary Format for Scene)를 사용하는 경우에 녹화를 수행하는 화면과 방송음향에 관하여 구간 또는 시점별로 구분된 녹화제어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아 단말기 사용자가 하나의 컨텐츠에 관하여 특정 구간 또는 시점만을 선택하여 이를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자주 사용하거나 자주 보는 화면 및 방송음향을 단말기의 배경화면이나 벨소리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기능이 없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모바일 기반의 DMB 단말에서 DMB 비디오 신호가 MPEG-4 압축 및 MPEG-4 시스템 계층의 객체 기술(MPEG-4OD) 및 화면 구성 및 제어 기술(MPEG-4BIFS)을 사용하는 경우에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상 및 음성에 관한 녹화 제어정보를 방송국으로부터 받는 EPG 데이터에 포함시켜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캡쳐 제어정보에 따라 벨소리와 배경화면을 캡쳐하여 단말기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MB단말기가 방송국으로부터 EPG 또는 별도의 데이터 형태로 녹화 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녹화 제어정보에 따라 스트림을 녹화하고, 항목의 캡쳐 시점에 해당하는 스트림을 선택하여 해당하는 스트림만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녹화 제어정보에 따라 특정 방송을 수신함에 있어서, 선택한 캡쳐 시점에 해당하는 스트림만을 캡쳐하여 녹화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만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MB 단말이 특정 방송에 대한 녹화 제어정보를 수신하면 DMB 단말이 DMB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방송을 수신하 는 경우에, 상기 녹화 제어정보에 따라 전체 스트림 녹화를 수행한다. 전체 스트림이 녹화된 이후에 DMB 단말이 이동통신망의 제어정보 제공서버에 재생제어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전송받고, 상기 재생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녹화된 스트림을 재생한다. 이때, 상기 특정 방송에 대한 녹화 제어 정보는 방송국의 DMB 방송 서버로부터 전송받거나 이동통신망의 제어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받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녹화 제어정보는 TS 스트림 녹화 허용 여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녹화 제어 정보에 따라 전체 스트림의 녹화를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특정 방송를 수신하여, 해당 방송의 TS 스트림 녹화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TS 스트림 녹화가 허용된 경우 전체 스트림을 녹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재생제어정보는 상기 녹화된 스트림에 있어서 재생할 하나 이상의 특정 구간에 관한 정보(하이라이트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생할 하나 이상의 특정 구간에 관한 정보는, 하나 이상의 CTS를 통해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DMB 단말이 특정 방송에 관한 캡쳐 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캡쳐 제어정보에 포함된 캡쳐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하고, 특정 리스트 항목을 선택받는다. DMB 단말이 상기 특정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한 항목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수신되면 그 컨텐츠를 캡쳐하여 저장하고 이때,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이동통신망의 제어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받거나 방송국의 DMB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받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텐츠는 정지화면인 것이 가능하고,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캡쳐 가능한 정지화면의 리스트와 각 정지화면에 대한 캡쳐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녹화 제어 정보이며, 상기 DMB 단말이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리스트의 항목의 캡쳐 시점에 해당하는 장면이 수신되면 그 정지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캡처 시점은 CTS를 통해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방송 음향인 것이 가능하고,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캡쳐 가능한 방송 음향의 리스트와 각 방송음향에 대한 캡쳐 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녹화 제어정보이며, 상기 DMB 단말기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리스트 항목에 해당하는 캡쳐 구간의 방송 음향을 캡쳐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캡쳐 구간은 하나 이상의 CTS를 통해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캡쳐하여 저장한 이후에 상기 캡쳐가 수행됨에 따라 단말기에 충전된 전자화폐가 소정량씩 삭감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과정을 나타낸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메모리(200b)를 가진 DMB 단말기(200a)와 방송국(100a)과 이에 연결된 DMB 방송 서버(100b)와, 이동통신망(300a)과 이에 연결된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 구성된다.
방송국(100a)의 DMB 방송 서버(100b)는 캡쳐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 한 캡쳐 리스트는 방송 전에 미리 캡쳐 가능한 영상 또는 음성구간을 메뉴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는 특정 방송에 대한 각각의 녹화 제어정보를 가진다. 즉, DMB 단말기(200a)에서 캡쳐 가능한 영상 또는 방송 음향의 리스트 등에 관하여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DMB 단말기(200a)의 요청에 따라 각 항목에 대한 녹화 제어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DMB 단말기(200a)에서 특정 방송을 수신하여 녹화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녹화 제어정보는 상기 방송국(100a)으로 부터 EPG 데이터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DMB 단말기(200a)는 수신한 녹화 제어정보에 따라 DMB 방송 서버(100a)로부터 상기 특정 방송을 수신하게 되며, 녹화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동영상을 재생할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재생제어정보에 따라 녹화된 스트림을 재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DMB단말기(200a)는 방송국(100a)의 DMB 방송서버(100b)로부터 수신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EPG 데이터에는 녹화 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DMB 단말기(200a)에는 별도의 메모리(200b)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메모리(200b)에는 DMB 방송서버(100b) 또는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수신한 녹화 제어정보 및 각종 스트림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DMB 단말기(200a)에는 SIM 카드 등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카드에 전자화폐를 충전해두고 캡쳐가 수행될 때마다 상기 카드에 충전되어있는 전자화폐를 소정량씩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DMB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체 스트림을 녹화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3은 전체 스트림을 녹화한 후 재생 요청이 있을 경우에 제어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재생 제어 정보를 나타낸 화면예이다.
DMB 단말기(200a)는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 또는 방송국(100a)의 DMB 방송 서버(100b)로부터 특정 방송에 대한 녹화 제어정보를 수신한다(단계 203).
녹화 제어정보를 수신한 DMB 단말(200a)은 상기 녹화 제어정보에 따라 DMB 방송 서버(100b)로부터 상기 특정 방송을 수신하고 녹화를 실행한다. 이때, 녹화 제어정보는 TS 스트림 녹화 허용 여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방송 또는 동영상과 같은 방송을 수신할 경우에, 상기 포함되어 있는 TS 스트림 녹화 허용 여부 정보에 따라 녹화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206), TS 스트림 녹화가 허용된 경우라면(단계 206의 '예') 전체 스트림을 녹화하게 된다(단계 209).
즉, 녹화 허용이 되어있으면 방송국으로부터 전체 동영상을 받아 녹화하게 되며, 녹화한 이후에 이를 재생할 경우에는 DMB 단말기(200a)가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에 재생 제어정보를 요청한다(단계 212). DMB 단말기(200a)로부터 재생제어 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는 해당하는 재생 제어정보를 DMB 단말기(200a)로 전송하고(단계 215) DMB 단말기(200a)는 수신한 재생 제어정보에 따라 녹화된 스트림을 재생하게 된다(단계 218).
이때, 재생 제어정보는 전체 스트림 재생을 허가하는 암호코드일 수 있으며, 재생할 하나 이상의 특정 구간에 관한 정보, 즉 하이라이트 부분만을 선택하여 재생하기 위한 정보일 수도 있다. 이때 재생 구간의 선택은 MPEG-4 Sync layer 에 있는 CTS 값으로 재생 시점을 파악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전체 스트림을 녹화한 이후에 재생하는 과정을 화면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3의 화면(303)에서와 같이 먼저 방송국(100a)으로부터 방송들에 관한 리스트를 수신하여 해당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어있는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축구 경기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축구 경기 방송의 TS 스트림 녹화가 허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해당 방송이 녹화가 가능한 방송인지 여부를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TS 스트림 녹화가 허용되어 있다면, 상기 축구 경기에 관한 전체 동영상을 받아 단말기 내부에 녹화한다. 이때, DMB 단말(200a)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DMB 단말기(200a)는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 재생제어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재생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재생 제어정보에 따라 녹화된 축구경기를 재생하게 된다. 이때, 만약 단말기에서 축구 경기의 특정부분만을 선택하여 재생하고 싶을 경우에는 화면(303)에서와 같이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 재생 제어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각 축구경기 화면에 관한 녹화 제어정보의 MPEG-4 Sync layer 에 있는 CTS 값으로 재생 시점을 파악하여 재생을 원하는 시점의 구간을 선택한 뒤에 선택한 부분의 재생 제어정보를 이동통신망(300a)을 통하여 제어정보 제공서버 (300b)로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면 선택한 부분만을 재생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Start CTS1"-"End CTS1" 부분의 "전반 11분 한국팀 첫골 장면"을 보고자 한다면, 상기 CTS 값을 이용하여 해당 장면을 선택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 전송하여 재생 제어정보를 요청한다.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는 해당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제어정보를 찾아 DMB 단말기(200a)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선택한 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때 별도로 이동통신망(300a)을 통하여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 재생 제어정보를 요청할 필요 없이, 단말기에 미리 재생 제어정보를 수신하여두고 단말기 내부에 전자화폐가 충전되어있는 SIM 카드 등을 구비하여 캡쳐가 수행됨에 따라 상기 카드에 충전되어있는 전자화폐가 소정량씩 삭감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특정 방송에 대한 정지화면을 캡쳐하는 과정과, 특정 방송에 대한 방송음향을 캡쳐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특정 방송에 대한 정지 화면을 캡쳐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화면 캡쳐 제어정보와 방송음향 캡쳐 제어정보를 나타낸 화면예이다.
DMB 단말기(200a)에서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특정 방송에 대한 캡쳐 제어정보를 수신한다(단계 403). 이때,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상기 도 3에서 언급되었던 녹화 제어정보를 의미하며 방송국의 DMB 방송 서버(100b)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방송국(100a)의 DMB 방송 서버(100b)로부터 녹화 제어정보를 전송할 경우에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데이터 안에 녹화 제어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캡쳐 가능한 정지 화면의 리스트와 각 정지화면에 대한 캡쳐 시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캡쳐 제어정보를 수신하면, 캡쳐 가능한 정지화면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하고(단계 409), 출력된 리스트들 중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한다(단계 412). DMB 단말(200a)은 상기 선택된 특정 항목에 따라 해당 장면을 수신하고(단계 515) 그것이 상기 선택된 리스트 항목의 캡쳐 시점에 해당하는 장면이면(단계 518의 '예') 해당하는 정지화면을 캡쳐하여 DMB 단말기(200a)에 저장하게 된다(단계 521).
예를 들어, 도 6의 화면 603에서와 같이 캡쳐 가능한 정지 화면 리스트와 각 정지화면에 대한 캡쳐 시점정보를 방송국의 DMB 방송 서버(100b)로부터 수신하여 화면(603)과 같이 출력하면 출력된 화면 중에서 특정 화면을 선택한다. 특정 화면이 선택되면 해당 화면(603)에 대한 캡쳐 제어정보를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 서버에 요청하여 전송받는다. 이때 캡쳐 제어정보는 방송국(100a)의 DMB 방송 서버에 요청하여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 즉, 화면 603과 같이 DMB 단말(200a)에서 "용준 웃음"이란 화면을 캡쳐하기를 원한다면,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한 항목의 사용자는 화면 ID "22" 혹은 해당 화면의 Capture CTS인 "978000" 등에 대한 캡쳐 제어정보를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 서버에 요청하여 전송받게 된다.
또한, 상기 정지화면 리스트와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서로 다른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지화면의 리스트와 각 정지화면에 대한 캡쳐 시점을 포함하는 캡쳐 제어정보를 보여주는 도 6의 화면예와는 다르게 상기 정지화면의 리스트를 제외한 캡쳐 시점 정보만을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즉 화면 603에서 Capture CTS 값인 "822000", "978000"과 같은 캡쳐 시점만을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면 리스트는 방송국(100a)의 DMB 방송 서버(100b)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수신하였다고 가정하였을 경우에, 상기 정지화면 리스트와 상기 캡쳐 제어정보에는 암호코드가 포함되어있어 정지화면 리스트의 암호코드와 캡쳐 제어정보의 암호코드가 일치하면, 선택된 항목을 캡쳐하여 단말기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정지화면으로 녹화된 항목은 단말기의 배경화면으로 활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통신망(300a)을 통하여 수신하는 캡쳐 제어정보는 유료 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정지화면을 캡쳐하는 경우에 캡쳐가 수행됨에 따라 방송국(100a)의 DMB 방송 서버(100b)나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의 내부에 SIM 카드 등을 구비하여, 상기 카드에 충전된 전자화폐가 소정량 삭감됨으로서 DMB 단말기에서의 캡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특정 방송의 방송음향을 캡쳐하여 녹화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특정 방송에 대한 방송음향을 캡쳐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정지화면 캡쳐 제어정보와 방송음향 캡쳐 제어정보를 나타낸 화면예이다.
DMB 단말기(200a)가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특정 방송에 대한 캡쳐 제어정보를 수신한다(단계 503). 이때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도 3에서 이미 언급된 녹화 제어정보를 의미하며, 캡쳐 가능한 방송음향의 리스트와 각 방송음향에 대한 캡쳐 구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방송국(100a)의 DMB 방송서버(100b)로부터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며, DMB 방송서버(100b)로부터 수신될 경우에는 DMB 방송서버(100b)에서 상기 캡쳐 제어정보를 EPG 데이터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MB 단말기(200a)가 캡쳐 가능한 방송음향의 리스트를 방송국(100a) 또는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수신하면 이를 화면에 출력하고(단계 506) DMB 단말기(200a)의 사용자는 출력되어있는 리스트 중에 특정항목을 선택한다(단계 509).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방송국(100a)으로부터 상기 선택한 항목에 해당하는 방송 음향을 수신(단계 512)하게 되는데 해당 방송에서 상기 선택된 리스트 항목에 해당하는 캡쳐 구간의 방송음향인지를 판단하여(단계 5l5), 수신하는 방송이 선택된 리스트 항목에 해당하는 캡쳐 구간의 방송음향이라면(단계 515의 '예') 해당 구간의 방송음향을 캡쳐하여 DMB 단말기(200a)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화면 606과 같이 DMB 단말(200a)에서 "지우 배드신"에 관한 방송 음향을 캡쳐하기 원한다면 해당 방송음향에 대한 구간정보와 캡쳐 가능한 방송 음향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캡쳐 제어정보를 화면 606과 같이 수신하여, 이중 원하는 방송 음향 소리인 "지우 배드신"을 선택한다. 이를 캡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에 캡쳐 제어정보를 요청하고,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에서는 상기 DMB 단말기(200a)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해당하는 캡쳐 제어정보를 DMB 단말기(200a)로 전송하여 해당 방송 음향을 캡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방송 음향 리스트와 상기 캡쳐 정보를 별도의 서버에서 수신하여 캡쳐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캡쳐 가능한 방송음향의 리스트는 방송국(100a)으로부터 수신하고, 각 방송음향에 대한 캡쳐 구간정보는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수신하는 것이다. 이때 캡쳐 제어정보에는 도 6의 화면 606과는 다르게 상기 방송음향의 리스트를 제외한 캡쳐 구간 정보만 포함되어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즉 화면 606에서 START CTS 값인 "822000" , STOP CTS "922000"과 같은 캡쳐 구간정보만을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방송 음향 리스트는 방송국(100a)의 DMB 방송서버(100b)에서 수신하고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로부터 수신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에 상기 방송음향 리스트와 상기 캡쳐 제어정보에는 암호코드가 포함되어있어서 상호 양 암호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선 택된 항목을 캡쳐하여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간별로 캡쳐되어 DMB 단말(200a)에 저장된 방송음향은 단말기의 벨소리로 전환하여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통신망(300a)을 통하여 수신하는 캡쳐 제어정보는 유료 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송음향의 캡쳐가 수행될 경우에 따라 방송망(100a) DMB 방송 서버(100b)나 이동통신망(300a)의 제어정보 제공서버(300b)를 거치지 않고 단말기의 SIM 카드 등을 구비하여, 해당 카드에 충전된 전자화폐가 소정량 삭감됨으로서 캡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반의 DMB 단말에서 DMB 비디오 신호가 MPEG-4 압축 및 MPEG-4 시스템 계층의 객체 기술(MPEG-4OD) 및 화면 구성 및 제어 기술(MPEG-4BIFS)을 사용하는 경우에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상 및 음성에 관한 캡쳐 제어정보를 방송국의 DMB 방송서버로부터 수신한 EPG 데이터에 포함시켜서 제공하여 주고, 이러한 캡쳐 제어정보에 따라 벨소리와 배경화면을 캡쳐하여 단말기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방송국의 DMB 방송서버로부터 EPG 또는 별도의 데이터를 통해 수신한 녹화 제어정보에 따라 스트림을 녹화하고, 항목의 캡쳐 시점에 해당하는 스트림을 선택하여 해당하는 스트림만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녹화 제어정보에 따라 특정 방송을 수신함에 있어서, 선택한 캡쳐 시점에 해당하는 스트림만을 캡쳐하여 녹화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만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4)

  1. DMB 단말이 특정 방송에 대한 녹화 제어정보를 전송받는 제 1단계;
    DMB 단말이 DMB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방송을 수신함에 있어, 상기 녹화 제어정보에 따라 전체 스트림 녹화를 수행하는 제 2단계;
    DMB 단말이 이동통신망의 제어정보 제공서버에 재생제어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전송받는 제 3단계;
    상기 재생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녹화된 스트림을 재생하는 제 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방송에 대한 녹화 제어 정보는 방송국의 DMB 방송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방송에 대한 녹화 제어 정보는 이동통신망의 제어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받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제어정보는 TS 스트림 녹화 허용 여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특정 방송를 수신하는 제 2-1단계와, 해당 방송의 TS 스트림 녹화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 2-2단계와, TS 스트림 녹화가 허용된 경우 전체 스트림을 녹화하는 제2-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어정보는 상기 녹화된 스트림에 있어서 재생할 하나 이상의 특정 구간에 관한 정보(하이라이트 재생 정보)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할 하나 이상의 특정 구간에 관한 정보는, 하나 이상의 CTS를 통해 지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7. DMB 단말이 특정 방송에 관한 캡쳐 제어정보를 전송받는 제 1단계;
    상기 캡쳐 제어정보에 포함된 캡쳐 가능한 컨텐츠 리스트를 화면에 출력하 고, 특정 리스트 항목을 선택받는 제 2단계;
    DMB 단말이 상기 특정 방송을 수신함에 있어, 상기 선택한 항목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수신되면 그 컨텐츠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제 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이동통신망의 제어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받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방송국의 DMB 방송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정지화면이고,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캡쳐 가능한 정지화면의 리스트와 각 정지화면에 대한 캡쳐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녹화 제어정보이며,
    상기 제 3단계는 DMB 단말이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리스트의 항목의 캡쳐 시점에 해당하는 장면이 수신되면 그 정지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 장 및 재생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 시점은 CTS를 통해 지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방송 음향이고, 상기 캡쳐 제어정보는 캡쳐 가능한 방송 음향의 리스트와 각 방송음향에 대한 캡쳐 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녹화 제어정보이며,
    상기 제 3단계는 DMB 단말기 상기 특정 방송 컨텐츠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리스트 항목에 해당하는 캡쳐 구간의 방송 음향을 캡쳐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구간은, 하나 이상의 CTS를 통해 지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 이후에 상기 제 3단계의 캡쳐가 수행됨에 따라 단말기에 충전된 전자화폐가 소정량 삭감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 방법.
KR1020050086365A 2005-09-15 2005-09-15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방법 KR100789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365A KR100789498B1 (ko) 2005-09-15 2005-09-15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365A KR100789498B1 (ko) 2005-09-15 2005-09-15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645A Division KR20070031971A (ko) 2007-02-16 2007-02-16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671A true KR20070031671A (ko) 2007-03-20
KR100789498B1 KR100789498B1 (ko) 2007-12-28

Family

ID=4162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365A KR100789498B1 (ko) 2005-09-15 2005-09-15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153B1 (ko) * 2006-12-07 2008-04-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영상 부분캡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371B1 (ko) * 2001-12-22 2006-08-18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재생 제어정보 기록방법과,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변속재생 제어방법
KR100914706B1 (ko) * 2002-10-31 2009-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장면 정보 수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153B1 (ko) * 2006-12-07 2008-04-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영상 부분캡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498B1 (ko) 200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0936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 initial portion of a media content event
CN100546378C (zh) 播放接收系统和便携式终端、服务器
JP5070846B2 (ja) 番組配信システムおよび録画再生装置
US8380052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content data,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laying back content data, and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recording content data
JP488219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媒体
JP4488086B2 (ja)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JP2014137590A (ja) 音楽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101472013B1 (ko)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JP4086477B2 (ja) コンテンツ符号化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受信端末装置
JP3915204B2 (ja) 送信装置及び方法、送信制御装置及び方法、受信装置及び方法、情報蓄積装置及び方法、並びに放送システム
KR100789498B1 (ko)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방법
KR101033558B1 (ko) 개인용 비디오 녹화기 및 개인용 비디오 녹화기의 하이라이트 재생 방법.
US200902549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virtual channel service
JPH09135422A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3807975B2 (ja) 番組記録再生装置
KR20070031971A (ko)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비디오 채널의 객체별 저장 및 재생방법
JP4063212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US7120163B2 (en) Multiplexing apparatus and method, image output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0762146B1 (ko) 방송 녹화/재생 시스템 및 녹화/재생 방법
KR10073709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33139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시스템과 시청 방법
WO2023136241A1 (ja) 番組受信表示装置及び番組受信表示制御方法
KR100627991B1 (ko)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수신 방법
KR20070023464A (ko) 가상 pvr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WO2006006219A1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