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954A - 상치형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상치형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954A
KR20070030954A KR1020077002951A KR20077002951A KR20070030954A KR 20070030954 A KR20070030954 A KR 20070030954A KR 1020077002951 A KR1020077002951 A KR 1020077002951A KR 20077002951 A KR20077002951 A KR 20077002951A KR 20070030954 A KR20070030954 A KR 20070030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ap
outlet
air conditioner
wind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162B1 (ko
Inventor
토시유키 이마나카
타카시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1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3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Abstract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시킬 수 있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케이싱(4)과 제1 수직 플랩(flap)(51)과 제2 수직 플랩(71)과 제어부를 구비한다. 케이싱(4)에는, 정면에서 볼 때 횡 방향(D1)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조화(調和)된 공기가 불어나오는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가 설치된다. 제1 수직 플랩(51)은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조정한다. 제2 수직 플랩(71)은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조정한다. 제어부는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상치형 공기 조화기, 케이싱, 수평 플랩, 수직 플랩, 취출구

Description

상치형 공기 조화기{FLOOR-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조화(調和)된 공기를 실내로 불어내어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는 공기 조화기의 하나로, 이른바 상치형 공기 조화기가 있다. 이 상치형 공기형 조화기는, 실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이고, 정면에서 볼 때 횡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2개의 취출구가 설치된 케이싱을 구비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가 알려져 있다. 취출구에는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조정하는 풍향 조정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취출구에는 제1 풍향 조정부가 설치되고, 제2 취출구에는 제2 풍향 조정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풍향 조정부와 제2 풍향 조정부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고, 제1 취출구와 제2 취출구로부터 균등한 공기의 취출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제1 풍향 조정의 플랩(flap)과 제2 풍향 조정부의 플랩이 정면에서 볼 때 좌우 대칭으로 개폐 동작을 행하여 좌우 대칭인 공기의 흐름이 생성된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343871호 공보(제3 도)
상기와 같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공기의 균등한 취출에 의하여 실내를 둘러싸는 공기의 흐름이 실현되어 쾌적한 공조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한편,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조를 행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상치형 공기 조화기가 배치되는 방이 길고 좁은 형상인 경우나, 사용자가 실내의 일부에 치우쳐 존재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기호를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균등한 취출에 의한 과제는, 불어나오는 공기의 방향뿐만 아니라, 불어나오는 공기의 양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종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양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양이 균등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시킬 수 있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케이싱과 제1 풍향 조정부와 제2 풍향 조정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케이싱에는 정면에서 볼 때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조화된 공기가 불어나오는 제1 취출구 및 제2 취출구가 설치된다. 제1 풍향 조정부는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조정한다. 제2 풍향 조정부는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조정한다. 제어부는 제1 풍향 조정부와 제2 풍향 조정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풍향 조정부와 제2 풍향 조정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제1 풍향 조정부와 제2 풍향 조정부를 비대칭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1 풍향 조정부와 제2 풍향 조정부가 대칭으로 제어되는 경우보다도 보다 다양한 공기의 흐름을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1대의 송풍기를 더 구비한다. 송풍기는 제1 취출구 및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한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1대의 송풍기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의 흐름을 제1 취출구와 제2 취출구로 분배하여 불어내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송풍기가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이 간이하게 되는 것과 함께, 송풍기가 1대여도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풍향 조정부와 제2 풍향 조정부를 제어하여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이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공기의 흐름을 실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좌우 방향으로 넓게 하는 방향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실내를 둘러싸는 공기의 흐름이 실현되고,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모두 좌우 어느 일방(一方)의 방향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그 방향에 위치하는 방의 일부를 중점적으로 공조(空調)하거나 반대로 방의 일부에 직풍(直風)이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 풍향 조정부는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플랩과, 제1 플랩의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모터를 가진다. 또한, 제2 풍향 조정부는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 플랩과, 제2 플랩의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모터를 가진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 모터와 제2 모터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플랩과 제2 플랩을 각각 움직이는 제1 모터와 제2 모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플랩의 방향과 제2 플랩의 방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4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 플랩 및 제2 플랩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각각 가지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플랩과 제2 플랩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1 플랩의 방향과 제2 플랩의 방향을 개별적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취출을 정면에서 볼 때의 횡 방향의 여러 방향으로 행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 풍향 조정부 및 제2 풍향 조정부에 의한 공기의 풍향의 조정을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더 구비한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에 의하여 제1 풍향 조정부 및 제2 풍향 조정부에 의한 공기의 풍향의 조정을 지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케이싱과 제1 풍량 조정부와 제2 풍량 조정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케이싱에는, 정면에서 볼 때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조화된 공기가 불어나오는 제1 취출구 및 제2 취출구가 설치된다. 제1 풍량 조정부는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조정한다. 제2 풍량 조정부는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조정한다. 제어부는 제1 풍량 조정부와 제2 풍량 조정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풍량 조정부와 제2 풍량 조정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제1 풍량 조정부와 제2 풍량 조정부가 같이 제어되는 경우보다도 보다 다양한 공기의 흐름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시킬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7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1대의 송풍기를 더 구비한다. 송풍 장치는 제1 취출구 및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한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1대의 송풍기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의 흐름을 제1 취출구와 제2 취출구로 분배하여 불어내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송풍기가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이 간이하게 되는 것과 함께, 송풍기가 1대여도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7 발명 또는 제8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이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공기의 흐름을 실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동일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방을 균등하게 공조하는 공기의 흐름이 실현되고,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 중 어느 일방을 많게 하고 타방(他方)을 적게 하는 것에 의하여 방의 일부를 중점적으로 공조하거나 반대로 방의 일부에 직풍이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7 발명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 풍량 조정부는 제1 취출구의 개구(開口) 면적을 변경하는 제1 셔터 기구를 가진다. 또한, 제2 풍량 조정부는 제2 취출구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는 제2 셔터 기구를 가진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1 셔터 기구와 제2 셔터 기구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셔터 기구와 제2 셔터 기구를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개별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7 발명 내지 제10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1 풍량 조정부 및 제2 풍량 조정부에 의한 공기의 풍량의 조정을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더 구비한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에 의하여 제1 풍량 조정부 및 제2 풍량 조정부에 의한 공기의 풍량의 조정을 지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제1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풍향 조정부와 제2 풍향 조정부가 대칭으로 제어되는 경우보다도 보다 다양한 공기의 흐름을 실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복수의 송풍기가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이 간이하게 되는 것과 함께, 송풍기가 1대여도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이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공기의 흐름을 실현시킬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플랩과 제2 플랩을 각각 움직이는 제1 모터와 제2 모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플랩의 방향과 제2 플랩의 방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플랩과 제2 플랩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제1 플랩의 방향과 제2 플랩의 방향을 개별적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취출을 정면에서 볼 때의 횡 방향의 여러 방향으로 행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에 의하여 제1 풍향 조정부 및 제2 풍향 조정부에 의한 공기의 풍향의 조정을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풍량 조정부와 제2 풍량 조정부가 같이 제어되는 경우보다도 보다 다양한 공기의 흐름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시킬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복수의 송풍기가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이 간이하게 되는 것과 함께, 송풍기가 1대여도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이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공기의 흐름을 실현시킬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셔터 기구와 제2 셔터 기구를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제1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과 제2 취출구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개별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에 의하여 제1 풍량 조정부 및 제2 풍량 조정부에 의한 공기의 풍량의 조정을 지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외관의 정면도.
도 2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 단면도.
도 4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5는 제1 수평 플랩부 및 제2 수평 플랩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제1 수평 플랩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1 수평 플랩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제어 블록도.
도 9는 제1 수직 플랩 및 제2 수직 플랩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1 수직 플랩 및 제2 수직 플랩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1 수평 플랩 및 제2 수평 플랩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1 수평 플랩 및 제2 수평 플랩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취출에 관한 효과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취출에 관한 효과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5는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제어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취출에 관한 효과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치형 공기 조화기
3 : 팬(송풍기)
4 : 케이싱
5 : 제1 수직 플랩부(제1 풍향 조정부)
7 : 제2 수직 플랩부(제2 풍향 조정부)
10 : 제어부
11 : 리모컨(입력 장치)
12 : 제1 취출구
13 : 제2 취출구
50 : 제1 플랩 모터(제1 모터)
51 : 제1 수직 플랩(제1 플랩)
58 : 제1 풍량 조정부
70 : 제2 플랩 모터(제2 모터)
71 : 제2 수직 플랩(제2 플랩)
78 : 제2 풍량 조정부
AX1 : 제1 회전축(회전축)
AX2 : 제2 회전축(회전축)
D1 : 횡 방향
[제1 실시예]
〈구성〉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채용된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외관의 정면도를 도 1에 도시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횡 방향」 혹은 「좌우」라고 할 때는, 수평 방향 중 도 1의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실선 화살표 D1 참조). 또한, 「연직 방향」 혹은 「상하」라고 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정면에서 볼 때의 상하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실선 화살표 D2 참조).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가정의 실내의 바닥(F)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냉난방 등의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한다.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고, 실외기에 수용되는 도시하지 않는 압축기나 실외 열교환기와의 사이에서 냉매 회로를 구성한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주로, 열교환기(2), 팬(3, 송풍기), 케이싱(4), 제어부(10) 및 리모컨(11, 입력 장치)을 구비한다.
<열교환기>
열교환기(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4)의 내부에 수 용되어 있고, 케이싱(4) 내로 받아들여진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열교환기(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상반분(上半分)의 위치를 차지하고, 후술하는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가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후측(後側)으로 경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2는 전면(前面) 패널(43)이 떼어내진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이다.
<팬>
팬(3)은 케이싱(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팬(3)은 실내의 공기를 후술하는 흡입부(6, 도 1 참조)로부터 케이싱(4) 내로 흡입한 후, 열교환기(2)를 통하여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로 보낸다. 팬(3)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정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된 1대의 시로코 팬(sirocco fan)이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의 하방(下方)에 설치된다. 또한, 팬(3)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흡입부(6)의 근방에 배치된다. 팬(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팬 케이싱(30)에 수용되어 있다. 팬 케이싱(30)은 팬(3)의 측면을 따라 팬(3)의 원주의 약 4분의 3을 둘러싸는 원호상(圓弧狀)의 측면(32)을 가지고 있고, 팬(3)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팬 케이싱(30)은 팬(3)의 측면의 좌반분과(左半分)과 우측의 하반분(下半分)을 둘러싸고 있다. 또한, 팬 케이싱(30)에는 팬 케이싱 출구(31)가 설치되어 있다. 팬 케이싱 출구(31)는 팬(3)으로부터 상방(上方)의 열교환기(2)를 향하여 공기가 나가는 부분이고, 팬 케이싱(30)에 둘러싸여 있지 않은 팬(3)의 우측의 상반분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 출구(31)는 팬(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편심(偏心)하여 설치된다. 덧붙여, 팬(3)은 도 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교환기(2)로 공기를 보낸다(도 2의 백색 화살표 A1 및 실선 화살표 A2 참조).
<케이싱>
케이싱(4)은 열교환기(2)나 팬(3) 등을 수용하는, 연직 방향(D2)으로 긴 상자상(狀)의 부재이다. 케이싱(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40)의 모서리(42)가 모따기되어 있다. 케이싱(4)의 전면(4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패널(43), 홈부(44), 경사면(45)을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4)은 제1 취출구(12), 제2 취출구(13), 흡입부(6), 제1 수직 플랩부(5, 제1 풍향 조정부), 제2 수직 플랩부(7, 제2 풍향 조정부), 제1 수평 플랩부(8), 제2 수평 플랩부(9)를 구비하고 있다.
전면 패널(43)은 케이싱(4)의 정면에 케이싱(4)의 연직 방향(D2)의 대략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평탄한 부분이다. 또한, 전면 패널(43)의 상부에는 표시부(46)가 설치되어 있고, 표시부(46)는 실내 온도, 실외 온도나 운전의 설정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홈부(44)는 전면 패널(43)의 측단을 따라 설치된 연직 방향(D2)으로 긴 홈이고, 전면 패널(4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홈부(4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440)과 곡면(44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측면(440)은 전면 패널(43)과 연속하고 있고, 전면 패널(43)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곡면(441)은 측면(440)과 연속하고 있고, 나아가 경사면(45)과 연속하고 있다.
경사면(45)은, 홈부(44)의 측방에 인접하고 전면(前面, 41)의 연직 방향(D2) 전체에 걸쳐 설치된 경사한 면이다. 경사면(45)은 전면(41)의 양 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취출구와 제2 취출구>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는 케이싱(4)의 전면(41)의 상반분에 설치되어 있고, 열교환기(2)에 의하여 온도 조정된 공기가 불어나온다. 덧붙여, 송풍 운전 시 등에는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로부터 온도 조정되어 있지 않은 공기가 불어나와도 무방하다.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는 전면(41)의 양 측단을 따라 설치된 연직 방향(D2)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개구(開口)이다.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는 경사면(45)의 상반분에 설치되어 있고, 전면 패널(43)과 홈부(44)를 사이에 두고 좌측에 제1 취출구(12)가 설치되고 우측에 제2 취출구(1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는 정면에서 볼 때 횡 방향(D1)으로 거리를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칸막이판(49)에 의하여 상부(S1), 중부(S2) 및 하부(S3)의 3개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의 상단부(上端部) 및 칸막이판(49)에는, 연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4a - 14c, 15a - 15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취출구(12)의 상단부에는 연직 방향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4a)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취출구(12)의 칸막이판(49)에는 연직 방향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4b, 14c)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취출구(12)의 하단부(下端部) 근방에는 제1 플랩 모터(50)가 그 구동축의 선단(先端)이 상방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부(14a - 14c) 및 제1 플랩 모터(50)의 구동축은, 연직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일직선 상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1 수직 플랩(51)의 제2 회전축(AX1)에 대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취출구(13)의 상단부에는 연직 방향 하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5a)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취출구(13)의 칸막이판(49)에는 연직 방향 상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5b, 15c)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취출구(13)의 하단부 근방에는 제2 플랩 모터(70)가 그 구동축의 선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돌기부(15a - 15c) 및 제2 플랩 모터(70)의 구동축은 연직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일직선 상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2 수직 플랩(71)의 제2 회전축(AX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제1 취출구(12)에 설치된 돌기부(14a - 14c) 및 제1 플랩 모터(50)의 구동축은, 제1 취출구(12)의 중심보다도 외측, 즉 좌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취출구(12)의 중심과 제1 취출구(12)의 외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덧붙여, 여기서 말하는 「중심」이란, 횡 방향(D1)에 있어서의 중심을 의미하고 있고, 이하 같다. 제2 취출구(13)에 설치된 돌기부(15a - 15c) 및 제2 플랩 모터(70)의 구동축은, 제2 취출구(13)의 중심보다도 외측, 즉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2 취출구(13)의 중심과 제2 취출구(13)의 외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덧붙여, 각 돌기부(14a - 14c, 15a - 15c)에는 후술하는 제1 수직 플랩(51) 및 제2 수직 플랩(71)이 회전 가능하게 감합(嵌合)하고, 각 플랩 모터(50, 70)의 구동축에는 제1 수직 플랩(51)의 하단 및 제2 수직 플랩(71)의 하단이 각각 고정된다.
<흡입부>
흡입부(6)는 실내의 공기를 케이싱(4) 내로 흡입하는 부분이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4)의 전면(41)의 하반분에 설치되어 있다. 흡입부(6)는 제1 흡입구(61), 제2 흡입구(62) 및 측면 흡입구(66, 67)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1 흡입구(61)와 제2 흡입구(62)는 홈부(44)의 측면(440)에 설치된 개구이고, 좌측의 홈부(44)에 제1 흡입구(61)가, 우측의 홈부(44)에 제2 흡입구(6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흡입구(6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개구(63, 64, 6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연직 방향(D2)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가장 위에 배치되는 개구(63)는 팬(3)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2개의 개구(64, 65)는 팬(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흡입구(61)는 팬(3)에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흡입구(6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각 흡입구(61, 62)가 배치되는 위치는, 팬(3)에 엄밀하게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각 흡입구(61, 62)의 일부가 팬(3)에 걸쳐지는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각 흡입구(61, 62)는 팬(3)의 상하로 나누어 배치되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상 방향에만 혹은 하 방향에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측면 흡입구(66, 67)는 각각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측면(47)의 하방에 각각 설치되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연직 방향(D2)으로 긴 개구이다. 측면 흡입구(66, 67)는 폭 방향(D3)으로 표현하면 팬(3)과 전면(4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덧붙여, 도 4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의 측면(47)에 설치되어 있는 측면 흡입구(66)를 도시하고 있지만, 우측의 측면(47)에 설치되는 측면 흡입구(6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제1 흡입구(61), 제2 흡입구(62) 및 측면 흡입구(66, 67)에 대향하여, 케이싱(4)의 하방을 덮는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수평 플랩부와 제2 수평 플랩부>
제1 수평 플랩부(8)는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안내하여 연직 방향(D2)으로 분리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1 수평 플랩부(8)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수평 플랩(80), 제1 플랩 조정 기구(21), 제2 플랩 조정 기구(22) 및 제3 플랩 조정 기구(23)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제1 수평 플랩(80)은 제1 취출구(12)에 연직 방향(D2)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연직 방향(D2)으로 분리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수평 플랩(80)은 제1 수평 플랩군(G1), 제2 수평 플랩군(G2) 및 제3 수평 플랩군(G3)의 3개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있고, 1개의 그룹은 5매의 제1 수평 플랩(80)을 가지고 있다. 제1 수평 플랩군(G1), 제2 수평 플랩군(G2) 및 제3 수평 플랩군(G3)은 각각 제1 취출구(12)의 상부(S1), 중부(S2), 하부(S3)에 배치되어 있고, 연직 방향(D2)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제1 수평 플랩(80)은 탄성재에 의하여 형성된 얇은 판상(板狀)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1 수평 플랩(80)은 전체가 탄성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중앙 부분 등 제1 수평 플랩(80)의 일부분이 탄성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수평 플랩(80)은 탄성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제1 수평 플랩(80)을 두께가 얇은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을 하여 탄성을 가지도록 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제1 플랩 조정 기구(21)는 제1 수평 플랩군(G1)에 속하는 복수의 제1 수평 플랩(80)의 방향을 조정 가능한 기구이고, 제1 링크 부재(81)와 제1 고정 부재(84)를 가진다. 제1 링크 부재(8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평 플랩군(G1)의 외측 단부의 전측(前側) 근방을 연결하는 연직 방향(D2)으로 긴 판상의 부재이다. 제1 링크 부재(81)는 연직 방향(D2)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수평 플랩군(G1)의 선단을 일체적으로 연직 방향(D2)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1 링크 부재(81)에는 횡 방향(D1)으로 관통하는 제1 슬릿(801)과 제2 슬릿(802)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슬릿(801)은 후측으로 볼록하게 만곡(彎曲)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제1 링크 부재(81)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2 슬릿(802)도 제1 슬릿(801)과 같은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제1 링크 부재(81)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1 슬릿(801)과 제2 슬릿(802)에는 제1 취출구(12)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2개의 계지 클립(121, 122)이 각각 삽입되고, 계지 클립(121, 122)은 제1 슬릿(801)과 제2 슬릿(802)에 각각 접동(摺動,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임) 가능하게 계지한다. 또한, 제1 링크 부재(81)의 내측 표면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 제1 슬릿(801)과 제2 슬릿(802)의 사이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조작부(803)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는 조작부(803)를 잡는 것에 의하여 제1 링크 부재(81)를 연직 방향(D2)으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 부재(81)의 외측 표면에는, 도 7에 도시 하는 바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함입(陷入)하는 복수의 오목부(804)가 설치되어 있다(덧붙여, 도 7에서는 하나의 오목부(804)에만 부호를 부여하고 그 외는 생략하고 있다). 복수의 오목부(804)는 연직 방향(D2)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제1 취출구(12)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돌기(123, 도 6 참조)가 삽입된다. 돌기(123)가 오목부(804)에 삽입되면, 돌기(123)가 오목부(804)에 계지하여 제1 링크 부재(81)의 연직 방향(D2)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사용자가 조작부(803)를 잡아 제1 링크 부재(81)에 힘을 가하면, 제1 링크 부재(81)가 이동하여 돌기(123)가 다른 오목부(804)에 계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링크 부재(81)가 희망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덧붙여, 오목부(804)는 연직 방향(D2)으로 복수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링크 부재(81)는 연직 방향(D2)으로 복수 단계로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제1 고정 부재(84)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평 플랩군(G1)의 외측 단부의 후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고정 부재(84)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평 플랩군(G1)의 복수의 제1 수평 플랩(80)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고정 클립(805)과, 고정 클립(805)에 대하여 간극(間隙)을 두고 배치된 벽부(806)를 가지고 있다. 고정 클립(805)에는 걸림구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취출구(12)의 가장자리부가 고정 클립(805)과 벽부(806)의 간극에 삽입되면, 고정 클립(805)의 걸림구가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구멍(124)에 계지하여 제1 고정 부재(84)가 케이싱(4)에 고정된다.
제2 플랩 조정 기구(22)는 제2 수평 플랩군(G2)에 속하는 복수의 제1 수평 플랩(80)의 방향을 조정 가능한 기구이고, 제2 링크 부재(82)와 제2 고정 부재(85) 를 가진다. 또한, 제3 플랩 조정 기구(23)는 제3 수평 플랩군(G3)에 속하는 복수의 제1 수평 플랩(80)의 방향을 조정 가능한 기구이고, 제3 링크 부재(83)와 제3 고정 부재(86)를 가진다. 제2 링크 부재(82)와 제3 링크 부재(83)도 제1 링크 부재(81)와 같은 구성이지만, 각 링크 부재(81 - 83)는 별체이고, 개개로 독립하여 이동 가능하다. 덧붙여, 제2 링크 부재(82)는 제2 수평 플랩군(G2)을 연결하고, 제3 링크 부재(83)는 제3 수평 플랩군(G3)을 연결하고 있다. 제2 고정 부재(85)는 제2 수평 플랩군(G2)에 고정되고, 제3 고정 부재(86)는 제3 수평 플랩군(G3)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수평 플랩부(9)는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연직 방향(D2)으로 안내하는 부분이다. 제2 수평 플랩부(9)는 복수의 제2 수평 플랩(90), 제4 플랩 조정 기구(24), 제5 플랩 조정 기구(25), 제6 플랩 조정 기구(26)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제2 수평 플랩(90)은 제2 취출구(13)에 연직 방향(D2)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연직 방향(D2)으로 안내한다. 제2 수평 플랩(90)은 제1 수평 플랩(80)과 마찬가지로, 제4 수평 플랩군(G4), 제5 수평 플랩군(G5), 제6 수평 플랩군(G6)의 3개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4 플랩 조정 기구(24)는 제4 수평 플랩군(G4)에 속하는 복수의 제2 수평 플랩(90)의 방향을 조정 가능한 기구이고, 제4 링크 부재(91)와 제4 고정 부재(94)를 가진다. 제5 플랩 조정 기구(25)는 제5 수평 플랩군(G5)에 속하는 복수의 제2 수평 플랩(90)의 방향을 조정 가능한 기구이고, 제5 링크 부재(92)와 제4 고정 부재(95)를 가진다. 또한, 제6 플랩 조정 기구(26)는 제6 수평 플랩군(G6)에 속하는 복수의 제2 수평 플랩(90)의 방향을 조정 가능한 기구이고, 제6 링크 부재(93)와 제6 고정 부재(96)를 가진다.
제4 링크 부재(91)는 제4 수평 플랩군(G4)을 연결하고, 제5 링크 부재(92)는 제5 수평 플랩군(G5)을 연결하며, 제6 링크 부재(93)는 제6 수평 플랩군(G6)을 연결하고 있다. 제2 수평 플랩(90)은 제1 수평 플랩(80)과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4 수평 플랩군(G4)이 제1 수평 플랩군(G1)에 대응하고, 제5 수평 플랩군(G5)이 제2 수평 플랩군(G2)에 대응하며, 제6 수평 플랩군(G6)이 제3 수평 플랩군(G3)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제2 수평 플랩부(9)의 각 링크 부재(91 - 93)도 제1 수평 플랩부(8)의 각 링크 부재(81 - 83)와 같은 구성이고,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고정 부재(94 - 9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이, 제1 수평 플랩(80) 및 제2 수평 플랩(90)은 후측이 고정 부재(84 - 86, 94 - 96)에 의하여 고정되고, 전측이 링크 부재(81 - 83, 91 - 93)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링크 부재(81 - 83, 91 - 93)가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유연한 제1 수평 플랩(80) 및 제2 수평 플랩(90)이 변형한다. 예를 들면, 링크 부재(81 - 83, 91 - 93)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제1 수평 플랩(80) 및 제2 수평 플랩(90)의 선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제1 수평 플랩(80) 및 제2 수평 플랩(90)이 만곡한다(도 11(a) 참조). 또한, 링크 부재(81 - 83, 91 - 9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1 수평 플랩(80) 및 제2 수평 플랩(90)의 선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제1 수평 플랩(80) 및 제2 수평 플랩(90)이 만곡한다(도 11(b) 참조). 이 와 같이 하여, 링크 부재(81 - 83, 91 - 93)의 이동에 의하여 제1 수평 플랩(80) 및 제2 수평 플랩(90)에 의한 공기의 안내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수직 플랩부와 제2 수직 플랩부>
제1 수직 플랩부(5)와 제2 수직 플랩부(7)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횡 방향(D1)으로 분리하도록 안내하는 부분이고,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수직 플랩부(5)는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조정하는 부분이고, 제1 수직 플랩(51, 제1 플랩)과 제1 플랩 모터(50, 제1 모터)를 가진다.
제1 수직 플랩(51)은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되고, 제1 취출구(12)를 개폐한다. 제1 수직 플랩(51)은, 제1 취출구(12)의 외연(外緣)과 거의 동일 형상이고 연직 방향(D2)으로 긴 판상을 나타내는 제1 판부(板部, 52)와, 제1 판부(52)의 이측(裏側) 표면에 연직 방향(D2)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제1 리브(53)를 가지고 있다. 제1 판부(52)는 열림 상태에 있어서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안내하는 부재이다. 제1 리브(53)는 제1 판부(52)의 이면(裏面)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고 있고, 연직 방향(D2)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판부(52)의 하단 근방에 위치하는 제1 리브(53)의 구멍에는, 케이싱(4)에 설치된 제1 플랩 모터(50)의 구동축이 삽입되어 고정된다(도 5 참조). 또한, 제1 리브(53)의 다른 구멍에는 제1 취출구(12)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돌기 부(14a - 14c)가 각각 감합한다. 제1 수직 플랩(51)은, 제1 리브(53)에 설치된 구멍을 통하여 연직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축(AX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1 리브(53)에 설치된 구멍은 제1 판부(52)의 중심보다도 외측, 즉 좌측으로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1 취출구(12)의 중심으로부터도 외측으로 편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회전축(AX1)도 제1 취출구(12)의 중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취출구(12)의 중심과 제1 취출구(12)의 외측 단부, 즉 좌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플랩 모터(50)는 연직 방향(D2)으로 평행한 제1 회전축(AX1)을 중심으로 제1 수직 플랩(51)을 회전시킨다. 제1 플랩 모터(50)는 제1 수직 플랩(51)의 배치 각도를 변경하여 제1 수직 플랩(51)의 방향을 변경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이 변경된다. 이때의 제1 수직 플랩(51)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제2 수직 플랩부(7)는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조정하는 부분이고, 제2 수직 플랩(71, 제2 플랩)과 제2 플랩 모터(70, 제2 모터)를 가진다. 제2 수직 플랩(71)은 정면에서 볼 때 우측에 배치되고, 제2 취출구(13)를 개폐한다.
제2 수직 플랩(71)은, 제2 취출구(13)의 외연과 거의 동일 형상이고 연직 방향(D2)으로 긴 판상을 나타내는 제2 판부(72)와, 제2 판부(72)의 이측 표면에 연직 방향(D2)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제2 리브(73)를 가지고 있다. 제2 판부(72)는 열림 상태에 있어서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안내하는 부재이다. 제2 리브(73)는 제2 판부(72)의 이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고 있고, 연직 방향(D2)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제2 판부(72)의 하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제2 리브(73)의 구멍에는, 케이싱(4)에 설치된 제2 플랩 모터(70)의 구동축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2 리브(73)의 다른 구멍에는 제2 취출구(13)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돌기부(15a - 15c)가 각각 감합한다. 제2 수직 플랩(71)은, 제2 리브(73)에 설치된 구멍을 통하여 연직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2 회전축(AX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2 리브(73)에 설치된 구멍은 제2 판부(72)의 중심보다도 외측, 즉 우측으로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2 취출구(13)의 중심으로부터도 외측으로 편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회전축(AX2)도 제2 취출구(13)의 중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취출구(12)의 중심과 제1 취출구(12)의 외측 단부, 즉 우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플랩 모터(70)는 제1 플랩 모터(50)와는 별도로 독립하여 구동 가능하고, 연직 방향(D2)으로 평행한 제2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제2 수직 플랩(71)을 회전시킨다. 제2 플랩 모터(70)는 제2 수직 플랩(71)의 배치 각도를 변경하여 제2 수직 플랩(71)의 방향을 변경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이 변경된다.
덧붙여, 도 1 및 도 3은 제1 수직 플랩(51) 및 제2 수직 플랩(71)이 각 취출구(12, 13)을 닫은 완전 닫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 및 리모컨>
제어부(10)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팬(3), 제1 플랩 모터(50), 제2 플랩 모터(70) 등과 접속되어 있고, 팬(3), 제1 플랩 모터(50), 제2 플랩 모터(70)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10)는 제1 플랩 모터(50)와 제2 플랩 모터(70)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여, 제1 수직 플랩부(5)와 제2 수직 플랩부(7)를 각각의 태양(態樣)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10)는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을 좌우 대칭으로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비대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과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이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리모컨(11)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운전 내용을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입력 장치이고, 전원의 온·오프(on·off), 냉난방 및 난방의 전환, 온도 설정, 풍량 설정, 풍향 설정 등의 제어 내용의 입력을 접수하여, 각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하여 제어부(10)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리모컨(11)은 제1 수직 플랩(51)의 방향의 지정과 제2 수직 플랩(71)의 방향의 지정을 각각 접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에 복수의 운전 모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복수의 운전 모드에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을 비대칭으로 이동시키는 운전 모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이 경우, 리모컨(11)은 어느 하나의 운전 모드의 지정을 접수하면 된다.
〈동작〉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적인 제1 수직 플랩(51), 제2 수직 플랩(71), 제1 수 평 플랩(80) 및 제2 수평 플랩(90)의 동작 및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우선, 팬(3)이 회전하면 실내의 공기가 제1 흡입구(61), 제2 흡입구(62) 및 측면 흡입구(66, 67, 도 1 참조)로부터 케이싱(4) 내로 받아들여진다. 받아들여진 공기는 팬(3)의 회전에 의하여 케이싱 출구(31)로부터 팬(3)의 상방으로 보내져 열교환기(2)를 통과하고,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로부터 실내로 불어나온다. 이때, 제1 수직 플랩부(5)와 제2 수직 플랩부(7)에 의하여 공기의 풍향을 좌우로 변경할 수 있고, 제1 수평 플랩부(8)와 제2 수평 플랩부(9)에 의하여 공기의 풍향을 상하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수직 플랩 및 제2 수직 플랩의 동작>
운전 정지 시에는,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직 플랩부(5) 및 제2 수직 플랩부(7)에 의하여 닫혀 있다(이하, 이 상태를 「완전 닫힘 상태」라고 한다).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운전을 개시하면,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이 이동하여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가 열린다. 이때, 제1 플랩 모터(50)와 제2 플랩 모터(70)가 구동되어, 제1 수직 플랩(51)이 제1 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수직 플랩(71)이 제2 회전축(AX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수직 플랩(51)은 상면(上面)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완전 닫힘 상태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하고 있던 제1 판부(52)의 우측 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수직 플랩(51)은 완전 닫힘 상태의 제1 판부(52)의 내측 단부가 제1 취출구(12)의 외측 단부 측에 근 접하도록 회전한다. 또한, 제2 수직 플랩(71)은 상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완전 닫힘 상태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하고 있던 제2 판부(72)의 좌측 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2 수직 플랩(71)은 완전 닫힘 상태의 제2 판부(72)의 내측 단부가 제2 취출구(13)의 외측 단부 측에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제어부(10)는 제1 플랩 모터(50)와 제2 플랩 모터(70)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을 희망하는 개도(開度)로 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은, 도 9에 도시하는 제1 열림 상태, 제2 열림 상태 및 제3 열림 상태로 열 수 있다. 제1 열림 상태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판부(52)의 전측(前側) 단부와 제2 판부(72)의 전측 단부가 내측을 향한 상태이다. 이때, 제1 판부(52)의 전측 단부는 제1 취출구(12)의 중심보다도 내측, 즉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후측 단부는 제1 취출구(12)의 중심보다도 외측, 즉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1 열림 상태에서는,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중심 방향으로 집약되어 불어나온다. 제2 열림 상태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판부(52)의 전측 단부 및 제2 판부(72)의 전측 단부가 정면을 향한 상태이다. 이때, 제1 판부(52)와 제2 판부(72)는 정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 판부(52)는 제1 회전축(AX1)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취출구(12)의 중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판부(72)는 제2 회전축(AX2)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2 취출구(13)의 중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2 상태에서는,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는 정면 방향으로 똑바로 불어나온다. 제3 열림 상태는,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판부(52)와 제2 판부(72)가 완전 열림으로 열린 상태이고, 제1 판부(52)의 전측 단부와 제2 판부(72)의 전측 단부가 외측을 향하고 있다. 이때, 제1 판부(52)의 전측 단부는 제1 취출구(12)의 외측 단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후측 단부는 제1 취출구(12)의 중심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판부(72)의 전측 단부는 제2 취출구(13)의 외측 단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후측 단부는 제1 취출구(12)의 중심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3 열림 상태에서는,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는 외측으로 넓게 불어나온다.
덧붙여,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의 개도는 상기의 제1 열림 상태로부터 제3 열림 상태의 3단계로 열릴 뿐만 아니라, 그 중간의 개도로 열려도 무방하다. 또한,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은 단계적인 개도로 될 뿐만 아니라, 임의의 개도로 열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대칭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이 따로따로 좌우 비대칭으로 이동하여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를 열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직 플랩(51)은 완전 닫힘 상태인 것과 함께, 제2 수직 플랩(71)은 제3 열림 상태로 열릴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직 플랩(51)이 제1 열림 상태로 열리는 것과 함께, 제2 수직 플랩(71)이 제3 열림 상태 로 열리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이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를 닫는 경우에는, 상기와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수평 플랩 및 제2 수평 플랩의 동작>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수평 플랩군(G1)에서 제3 수평 플랩군(G3) 및 제4 수평 플랩군(G4)에서 제6 수평 플랩군(G6)까지가 각각 개별적으로 수평 플랩(80, 9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희망하는 각도로 각 플랩(80, 90)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평 플랩군(G1)에서 제3 수평 플랩군(G3)까지를 모두 상향으로 설정하거나,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평 플랩군(G1)에서 제3 수평 플랩군(G3)까지를 모두 하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수평 플랩군(G1)에서 제3 수평 플랩군(G3)까지가 모두 상향으로 설정되면,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는 상향으로 불어나온다. 이 때문에, 냉방 시에 차가운 공기를 상방으로 불어내도록 하고 싶을 때에 효과적이다. 또한, 제1 수평 플랩군(G1)에서 제3 수평 플랩군(G3)까지가 모두 하향으로 설정되면,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는 하향으로 불어나온다. 이 때문에, 난방 시에 따뜻한 공기를 하방으로 불어내도록 하고 싶을 때에 효과적이다. 제4 수평 플랩군(G4)에서 제6 수평 플랩군(G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 수평 플랩군(G1)에서 제6 수평 플랩군(G6)은 각각 독립하여 방향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도 12와 같이 각 수평 플랩(80, 90)이 다른 방향을 향하 도록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도 12(a)에서는, 제1 수평 플랩군(G1)은 상향으로 설정되고, 제2 수평 플랩군(G2)은 정면 방향으로 설정되며, 제3 수평 플랩군(G3)은 하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취출구(12)의 상부(S1)로부터는 공기가 상향으로 불어나오고, 중부(S2)로부터는 공기가 똑바로 정면 방향으로 불어나오며, 하부(S3)로부터는 공기가 하향으로 불어나온다. 이것에 의하여, 연직 방향(D2)으로 폭넓게 공기를 불어낼 수 있어 실내를 상하로부터 둘러싸는 공기의 흐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평 플랩군(G1)은 하향으로 설정되고, 제2 수평 플랩군(G2)은 정면 방향으로 설정되며, 제3 수평 플랩군(G3)은 상향으로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1 취출구(12)의 상부(S1)로부터는 공기가 하향으로 불어나오고, 중부(S2)로부터는 공기가 똑바로 정면 방향으로 불어나오며, 하부(S3)로부터는 공기가 상향으로 불어나온다. 이것에 의하여, 정면 방향으로 집약되도록 공기를 불어낼 수 있어 원방(遠方)에까지 공기의 흐름을 도달시킬 수 있다. 제4 수평 플랩군(G4), 제5 수평 플랩군(G5) 및 제6 수평 플랩군(G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제1 수평 플랩(80)은 제1 링크 부재(81), 제2 링크 부재(82), 제3 링크 부재(83)가 각각 연직 방향(D2)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된 제1 수평 플랩(80)이 만곡하여 그 방향을 변경하지만, 제1 링크 부재(81), 제2 링크 부재(82), 제3 링크 부재(83)는 단계적으로 위치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희망하는 위치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수평 플랩(80)의 방향은 수동으로 변경될 뿐만 아니라, 제1 수평 플랩군(G1), 제2 수평 플랩군(G2) 및 제3 수평 플랩 군(G3)의 각각에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자동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수평 플랩(9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특징〉
(1)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수직 플랩(51) 및 제2 수직 플랩(71)이 각각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의 중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도록 열린다. 종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와 같이, 제1 수직 플랩(51) 및 제2 수직 플랩(71)이 내측 가까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수직 플랩(51) 및 제2 수직 플랩(71)이 내측을 향한 제1 열림 상태로 되면,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이 외측으로도 분산하기 때문에, 정면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의 집약이 곤란하다. 이것에 대하여, 제1 수직 플랩(51) 및 제2 수직 플랩(71)이 각각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의 중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도록 열리면,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의 외측으로의 분산이 억제되기 때문에, 정면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의 집약성이 향상한다. 이것에 의하여, 중앙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의 집약에 의하여 직진성이 향상한다. 이 때문에, 원방(遠方)으로의 공기의 흐름의 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가 횡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9(c)에 도시하는 제3 열림 상태와 같이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이 좌우로 크게 열리는 것에 의하여, 좌우로 폭넓게 공기를 불어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좌우 양 방향으로의 분리에 의한 좌우로부터 둘러싸는 공기의 흐름의 실현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풍향의 제어 범위가 확대된다. 이것에 의하여,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다양한 장소에의 설치나 다양한 사용 방법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취출구(12)로부터의 풍향과 제2 취출구(13)로부터의 풍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방에 맞춘 공기의 흐름의 분배나 사용자의 기호에 맞춘 공기의 흐름의 분배 등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의 흐름의 분배의 자유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배치된 방의 형상에 따라 공기의 흐름의 분배를 변경하거나, 냉난방 등의 공조가 특히 필요한 부분에만 기류를 분배하여 공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한 방향으로 긴 형상을 나타내는 긴 방의 구석 부분에 배치되는 경우, 좌우로 균등한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내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대각(對角)에 위치하는 구석 부분까지 공기의 흐름을 도달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취출구(12)로부터의 풍향과 제2 취출구(13)로부터의 풍향을 방의 긴쪽 방향에 치우친 방향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이 도달하기 어려웠던 부분까지 공기의 흐름을 도달시킬 수 있다.
(3)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수평 플랩(80, 90)이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되어 있고, 그룹마다 수평 플랩(80, 90)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방의 형상이나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연직 방향(D2)의 취출의 태양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를 상하로부터 둘러싸는 공기의 흐름이 실현 가능하고, 반대로, 공기의 흐름을 집약시키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의 도달 영역을 확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든 수평 플랩(80, 90)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 수평 플랩군(G1 - G3, G4 - G6)을 각각 따로따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수평 플랩군(G1 - G6)을 움직이는 경우에 가벼운 힘으로의 조작이 가능해져, 조작성이 향상한다.
(4)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수직 플랩(51), 제2 수직 플랩(71), 제1 수평 플랩(80) 및 제2 수평 플랩(90)에 의하여, 여러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팬(3)이 복수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1대밖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라도, 다양한 공기의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예]
〈구성〉
상기의 제1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풍향의 조정이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좌우의 취출구로부터의 공기의 풍량을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제어 블록도를 도 15에 도시한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제1 풍량 조정부(58)와 제2 풍량 조정부(78)를 구비한다. 제1 풍량 조정부(58)는 제1 취출구(12)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는 제1 셔터 기구를 가지고,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풍량 조정부(78)는 제2 취출구(13)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는 제2 셔터 기구를 가지고,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제1 풍량 조정부(58)와 제2 풍량 조정부(78)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고,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과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제1 풍량 조정부(58) 및 제2 풍량 조정부(78)에 의한 공기의 풍량 조정을 리모컨(11)에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취출구(12)로부터의 풍량과 제2 취출구(13)로부터의 풍량을 각각 희망하는 양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풍량 조정부(58)와 제2 풍량 조정부(78)의 각각에 대하여 풍량의 변경을 입력할 수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운전 모드의 지정에 의하여 제1 풍량 조정부(58)와 제2 풍량 조정부(78)를 각각 따로따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와 같다.
〈특징〉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취출구(12)로부터의 풍향과 제2 취출구(13)로부터의 풍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방에 맞춘 공기의 흐름의 분배나 사용자의 기호에 맞춘 공기의 흐름의 분배 등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의 흐름의 분배의 자유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배치된 방 의 형상에 따라 공기의 흐름의 분배를 변경하거나, 냉난방 등의 공조가 특히 필요한 부분에만 기류를 분배하여 공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한 방향으로 긴 형상을 나타내는 긴 방의 구석 부분에 배치되는 경우,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의 긴쪽 방향에 면하는 측의 취출구로부터의 풍량을 증대시키고, 타방의 취출구로부터의 풍량을 감소시키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이 도달하기 어려웠던 부분까지 공기의 흐름을 도달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회전축(AX1) 및 제2 회전축(AX2)이 각각 외측으로 편심하여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이 외측으로 편심하여 열리지만, 제1 회전축(AX1) 및 제2 회전축(AX2)이 각각 제1 취출구(12)의 중심과 제2 취출구(13)의 중심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경우도, 예를 들면, 제1 리브(53)의 형상이나 제1 리브(53)의 구멍의 위치를 제1 판부(52)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수직 플랩(51)이 외측으로 편심하도록 제1 취출구(12)를 여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제1 취출구(12)나 제1 수직 플랩(51)의 치수상의 제한을 고려하면, 제1 회전축(AX1)을 외측으로 편심시킨 배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수직 플랩(7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2)
상기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수직 플랩(51)은 상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취출구(12)를 열지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취출구(12)를 열어도 무방하다. 제2 수직 플랩(7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3)
상기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수직 플랩(51)과 제2 수직 플랩(71)이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를 열지만, 회전 이동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취출구(12)와 제2 취출구(13)가 열려도 무방하다.
(4)
상기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제1 실시예에서 도시한 제1 수직 플랩부(5) 및 제2 수직 플랩부(7)와, 제2 실시예에서 도시한 제1 풍량 조정부(58) 및 제2 풍량 조정부(78) 중 어느 일방만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양방(兩方)을 동시에 구비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5)
상기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수평 플랩(80)은 연직 방향으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2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2개 혹은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제2 수평 플랩(9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실현시킬 수 있어 상치형 공기 조화기로서 유용하다.

Claims (11)

  1. 정면에서 볼 때 횡 방향(D1)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조화(調和)된 공기가 불어나오는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가 설치된 케이싱(4)과,
    상기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조정하는 제1 풍향 조정부(5)와,
    상기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조정하는 제2 풍향 조정부(7)와,
    상기 제1 풍향 조정부(5)와 상기 제2 풍향 조정부(7)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제어부(10)
    를 구비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출구(12) 및 상기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1대의 송풍기(3)를 더 구비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제1 풍향 조정부(5)와 제2 풍향 조정부(7)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향과 상기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 어나오는 공기의 풍향을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한
    상치형 공기 조화기(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풍향 조정부(5)는 상기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플랩(flap)(51)과, 제1 플랩(51)의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모터(50)를 가지고,
    상기 제2 풍향 조정부(7)는 상기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 플랩(71)과, 상기 제2 플랩(71)의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모터(70)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 모터(50)와 상기 제2 모터(70)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상치형 공기 조화기(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랩(51) 및 상기 제2 플랩(71)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AX1, AX2)을 각각 가지고, 상기 회전축(AX1, AX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풍향 조정부(5) 및 상기 제2 풍향 조정부(7)에 의한 공기의 풍향의 조정을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입력 장치(11)를 더 구비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7. 정면에서 볼 때 횡 방향(D1)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조화된 공기가 불어나오는 제1 취출구(12) 및 제2 취출구(13)가 설치된 케이싱(4)과,
    상기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제1 풍량 조정부(58)와,
    상기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제2 풍량 조정부(78)와,
    상기 제1 풍량 조정부(58)와 상기 제2 풍량 조정부(78)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제어부(10)
    를 구비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출구(12) 및 상기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1대의 송풍기(3)를 더 구비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 취출구(12)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과 상기 제2 취출구(13)로부터 불어나오는 공기의 풍량을 각각 개별적으로 변경 가능한
    상치형 공기 조화기(1).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풍량 조정부(58)는 상기 제1 취출구(12)의 개구(開口) 면적을 변경하는 제1 셔터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제2 풍량 조정부(78)는 상기 제2 취출구(13)의 개구 면적을 변경하는 제2 셔터 기구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제1 셔터 기구와 상기 제2 셔터 기구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상치형 공기 조화기(1).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풍량 조정부(58) 및 상기 제2 풍량 조정부(78)에 의한 공기의 풍량의 조정을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입력 장치(11)를 더 구비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KR1020077002951A 2004-08-25 2005-08-15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10085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2951A KR100858162B1 (ko) 2004-08-25 2005-08-15 상치형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5365 2004-08-25
KR1020077002951A KR100858162B1 (ko) 2004-08-25 2005-08-15 상치형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954A true KR20070030954A (ko) 2007-03-16
KR100858162B1 KR100858162B1 (ko) 2008-09-10

Family

ID=4164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951A KR100858162B1 (ko) 2004-08-25 2005-08-15 상치형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9158A1 (zh) * 2021-02-25 2022-09-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223B2 (ja) * 1995-05-09 2005-08-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1空気調和機
JP4354673B2 (ja) * 2002-05-29 2009-10-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床置き形空気調和機
JP3742927B2 (ja) * 2002-05-29 2006-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床置き形空気調和機
JP2003343871A (ja) * 2002-05-29 2003-12-03 Daikin Ind Ltd 床置き形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9158A1 (zh) * 2021-02-25 2022-09-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162B1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5305B2 (ja) 空気調和機
KR100665999B1 (ko)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WO2006022158A1 (ja) 床置き型空気調和機
KR20070060877A (ko) 공기조화기
US11085651B2 (en) Air conditioner
JP200401206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CN110762627A (zh) 空调器
JP2003130381A (ja) 空気調和機
CN109458665B (zh) 空调室内机的壳体组件、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0766197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100825617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100858162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20090067535A (ko) 공조장치 및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CN115218278B (zh) 导风组件及空调器
US11493231B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895074B1 (ko) 공기조화기
KR100517598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KR10079483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334931B1 (ko) 공조기용실내기의취출각제어방법
KR20200106004A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JPH0914692A (ja) 空気調和装置
KR20110019218A (ko) 공기조화기
KR102362389B1 (ko) 공기조화기
KR20050110248A (ko) 공기조화기
CN118049747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