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909A - 부품 상호 연결용 어댑터 및 그 어댑터를 사용하여 제조된부품 - Google Patents

부품 상호 연결용 어댑터 및 그 어댑터를 사용하여 제조된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909A
KR20070030909A KR1020077001472A KR20077001472A KR20070030909A KR 20070030909 A KR20070030909 A KR 20070030909A KR 1020077001472 A KR1020077001472 A KR 1020077001472A KR 20077001472 A KR20077001472 A KR 20077001472A KR 20070030909 A KR20070030909 A KR 20070030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parts
connection
load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오 슈미트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스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스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스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to KR102007700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0909A/ko
Publication of KR2007003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방법으로,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된 두 개의 부품(A1, A2, A3, A4, T1, T2, T3, T4)의 안전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것은, 상기 어댑터가, 제1 부품(A1, A2, A3, A4)의 재료가 포함된 재료 그룹에 속하는 재료로 제조된 기초 요소(5, 6, 7, 8)와, 포지티브 및 넌포지티브 방식의 연결 작업에 의하여 상기 기초 요소(5, 6, 7, 8)에 분리할 수 없도록 연결되고 제2 부품(T1, T2, T3, T4)의 재료가 포함된 재료 그룹에 속하는 재료로 제조된 연결 요소를 구비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를 사용하여 생산된 부품에 관한 것이다.
어댑터, 기초 요소, 연결 요소, 슬롯, 프로파일, 박판

Description

부품 상호 연결용 어댑터 및 그 어댑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부품{ADAPTER FOR THE INTERCONNECTION OF COMPONENTS AND A COMPONENT MANUFACTURED USING SUCH AN ADAPTER}
본 발명은 제1 재료로 구성된 부품을 제2 재료로 구성된 부품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재료로 구성된 제1 부품과 상기 제1 부품의 재료와 다른 재료 그룹에 속한 재료로 제조된 제2 부품으로 제조된 부품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된 부품들을 서로 연결시켜야 하는 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특히 자동차 차체 제조 분야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연결 강도 측면에서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쉽게 제조될 수 있고 동시에 가시부의 연결 영역의 시각적 외형 이미지에서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연결 타입을 선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적합한 방법으로, 관련 재료가 서로 연결될 수 없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만일 개별 자동차의 하중-지지 구조물이 강으로 만들어졌다면, 알루미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경금속 재료로 구성된 차체 판넬(panel)은 대체로 상기 하중-지지 구조물에 용접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다른 재료의 장점, 즉 한편으로는 외판 또는 자동차의 기타 구조물에 사용되는 경금속의 경량과 다른 한편으로는 큰 하중을 받는 차체 부분 제조에 사용되는 강의 고강도의 장점이, 공동으로 이용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만일 플라스틱부가 금속부에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
접착성 접합 연결에 의해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된 부품을 서로 연결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때때로, 이러한 연결은 가해진 하중을 사실상 견딜 수 없다. 상기 연결은, 예를 들면 경금속 재료로 제조된 판금 부품이 강한 재료로 제조된 프로파일(profile)에 연결되어야 할 경우에 적용된다. 접착성 접합부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이, 특히 연장 사용된 후, 연결부의 약화를 가져올 수 있다.
접착성 접합에 대한 대안 또는 보충으로써, 함께 용접될 수 없는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된 부품이 포지티브(positive) 또는 넌포지티브(non-positive) 연결로 또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경금속부 또는 플라스틱부는 강으로 만든 부품에 리벳 또는 나사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차체 또는 다른 하우징(housing) 제조 분야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타입은 때때로 연결 요소가 외부에서 보이고 개별 제품의 시각적 외형 이미지를 해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완전 자동화된 또는 부분 자동화된 제조 공정에 있어서 넌포지티브 연결의 제조는 때때로 장치에 대한 증가된 경비에 의해서만 달성되고 이는 매우 비싸다.
함께 용접될 수 없는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부품의 제조에 대한 추가적 가능성이 유럽 특허 공보 제0 868 237 B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공보의 명세서에는 오직 압착력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로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기지의 금속 프로파일의 제조는, 우선적으로, 연결되어야 할 부분들 중 한 부분에 홈(slot)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홈 형성시, 홈의 인접부에 구조의 변화가 발생한다. 그 다음에, 평평한 재료로 만들어진 다른 부분이 그의 좁은 측부를 이용하여 상기 홈 안으로 삽입되고, 홈이 형성된 부분에서 홈에 인접한 재료를 압착함으로써 홈 안에서 빠르게 압착된다. 이 경우, 추가적인 구조적 변형이 발생하고, 따라서 연결되어야 할 두 부분 사이에 배타적인 포지티브 및 넌포지티브 연결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료의 조합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해 다른 연결 기술이 적합하지 않거나 가장 적합한 것이 아닌, 어떠한 필요한 금속들로 만들어진 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유럽 특허 공보 제0 868 237 B1호에 개시된 방법의 단점은, 적어도 홈이 형성된 요소의 영역에서 특정 재료 두께가 필수 전제 조건이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개시된 방법에 의하면, 홈을 구비한 부품이 홈에 인접한 영역에서 적당한 변형 가능성을 가져야 한다. 결국, 하나의 요소에서의 홈의 형성과, 그 홈 안으로의 다른 요소의 삽입과, 이어지는 그 재료의 가압은, 복잡한 제조 공정에서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작은 두께와 큰 표면적의 차체 부품을, 관련된 외곽 부분의 두께와 비교해서 실질적으로 살 두께가 두꺼운 운송 프로파일(carrying profile)에 연결할 때 특히 적합하지 않다.
상술한 선행 기술을 출발점으로 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두 부품의 신뢰성 있는 연결을 단순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는 수단을 만들어 내는 목적에 기초하고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된 부품으로부터 특히 단순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 부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연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목적은 제1 재료로 구성된 부품을 제2 재료로 구성된 부품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에 의하여 달성되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어댑터는, 제1 부품의 재료가 포함된 재료 그룹에 속한 재료로 제조된 기초 요소와, 포지티브 및 넌포지티브 방식의 연결 작업에 의해 상기 기초 요소에 분리할 수 없도록 연결된 연결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요소는 제2 부품의 재료가 포함된 재료 그룹에 속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에 의하여, 가장 크게 다른 재료로 구성된 부품이 신뢰성 있고 단순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어댑터는 어떠한 문제 없이 미리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서로 다르고 상호 호환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된 부품의 단순하고 경제적인 조립체를 적은 기술적 경비로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유럽 특허 공보 제0 868 237 B1호에 기본적으로 개시된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 공보 제0 868 237 B1호에 개시된 방법 또는 그와 동등한 방법의 사용에 의하여, 연결 요소가 안으로 연결되는 기초 요소를 위한 설비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기초 요소는 서로 연결되어야 할 부품들 중 하나의 부품을 구성하는 재료와 양립하는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서로 연결되어야 할 부품들 중 다른 부품을 구성하는 재료 그룹에 속한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어댑터는 각 경우마다, 조립체의 부품들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하거나 밀접하게 관련된 재료로 구성된 부품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는 금속학적 접합 또는 재료학적 접합에 의해 양쪽 부품에 아무런 문제없이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한편으로는 상기 어댑터가 서로 연결되어야 할 부품들에 안전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품들이 상기 어댑터의 연결부를 통하여 단단하고 신뢰성 있게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실시예는 기초 요소가 홈을 구비하도록 하는 설비를 제공하고, 연결 요소의 한 부분이 상기 홈 안으로 위치되고, 그 다음에 상기 홈의 모서리들이, 상기 기초 요소와 상기 연결 요소 사이에 포지티브 및 넌포지티브 연결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홈에 위치된 연결 요소 부분에 대하여 구조-변경 작업에 의해 적어도 한 부분씩 가압된다.
제1 재료로 구성된 제1 부품과 제1 요소의 재료와 다른 재료 그룹에 속한 재료로 구성된 제2 부품으로 구성된 부품에 있어서, 상기 부품들이 본 발명에 의해 설계된 어댑터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에 의해, 예를 들면 하나의 부품이 강 재료로 제조되고 다른 부품이 경금속 재료로 제조된 경우에 특히 단순한 방법으로 상기 부품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를 사용하여 단순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부품이 강 재료 또는 경금속 재료로 구성된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차체의 외판 또는 기타 구조적 부품의 부분을 개별 자동차의 하중-지지 구조물에 포함된 부품에 연결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가 특히 적절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어댑터에 의하여, 특히 경량 알루미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구성된 자동차 차체의 외부 또는 내부 박판 부품과 같은 구조적 부품이, 고강도 강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구성된 자동차의 하중-지지 구조물의 프로파일에 단순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박판부와 상기 어댑터 사이의 연결은 용접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어댑터와 외부 박판 사이의 연결 영역에 있어서 시각적 인상을 해하는 어떠한 연결 요소도 필요하지 않다. 또한, 어댑터와의 연결을 위한 특수 형상 요소가 상기 외부 박판부 또는 프로파일 상에 형성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 종속항에 설명되었고, 도면에 표현된 실시예와 함께 아래에 더 자세하게 설명되었다.
도 1은 외부 박판(A1)과 하중-지지 프로파일(T1) 사이의 연결(V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외부 박판(A2)과 하중-지지 프로파일(T2) 사이의 연결(V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외부 박판(A3)과 하중-지지 프로파일(T3) 사이의 연결(V3)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외부 박판(A4)과 하중-지지 프로파일(T4) 사이의 연결(V4)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들은, 단지 부분으로만 도시된 얇은 외부 박판(A1, A2, A3, A4)과, 추가 로 도시되지 않은 각 경우마다의 자동차 차체의 하중-지지 프로파일(T1, T2, T3, T4) 사이의 4개의 연결(V1, V2, V3, V4)을, 각 경우마다 개략적 형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외부 박판(A1, A2, A3, A4)은, 각 경우마다 차체 부품의 제1 부품을 형성하고, 제2 부품은 개별 하중-지지 프로파일(T1, T2, T3, T4)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박판(A1, A2, A3, A4)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재료로 구성되고, 하중-지지 프로파일(T1, T2, T3, T4)은, 예를 들면, 각 경우마다, 실 사용에 있어서 개별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신뢰할 수 있도록 견딜 수 있는 고강도 강 합금으로 제조된다.
각 경우마다 개별 외부 박판(A1, A2, A3, A4)과 그들에게 할당된 하중-지지 프로파일(T1, T2, T3, T4) 사이의 연결은 어댑터(1, 2, 3, 4)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1, 2, 3, 4) 각각은, 개별 외부 박판(A1, A2, A3, A4)에 할당되고 관련된 상기 외부 박판(A1, A2, A3, A4)과 동일한 경금속 물질로 구성된 판-형상 기초 요소(5, 6, 7, 8)를 구비한다.
연결(V1)(도 1)에 사용된 어댑터(1)를 제조할 때, 기초 요소(5)를 횡단하며 연장되는 홈(9)이 기초 요소(5) 안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홈(9)의 폭은, 홈(9)과 마찬가지로 판-형상으로, 좁은 측부가 홈(9) 안으로 삽입되는 연결 요소(10)의 두께(D)에 대응된다. 연결 요소(10)는 하중-지지 프로파일(T1)의 강에 만족스럽게 용접될 수 있는 강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홈(9) 안으로 삽입 후, 도시되지 않은 압력 롤러가, 연결 요소(10)에 할당된 기초 요소(5)의 표면(5a)에 형성된 홈(9)을 따라서, 높은 접촉 압력 하에서 짧은 거리 간격으로 홈(9)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압력 롤러에 의해 가해진 접촉 압력이 매우 커서, 상기 압력에 의해 밀려나고 변형 후 작은 홈의 형태를 가지고 홈(9)에 평행하게 연장된, 기초 요소(5)의 재료의 영역(11, 12)이 홈(9)의 방향으로 흐르고, 따라서 홈(9)의 측면이 연결 요소(10)의 각 경우마다 재료의 영역(11, 12)에 할당된 표면에 큰 가압력으로 영향을 미친다. 연결 요소(10)와 기초 요소(5) 사이에 상기 방식으로 형성된 포지티브 및 넌포지티브 연결이 매우 강해서, 연결 요소(10)가 높은 반복 하중 하에서도 기초 요소(5)에 안전하고 영구적으로 유지된다.
하중-지지 프로파일(T1)은 I-형상 단면을 구비한다. 어댑터(1)를 향하는 그의 단부에는 연결부(13)가 형성되고, 서로 떨어진 통상의 위치에서 시작하는 하중-지지 프로파일(T1)의 상부(14)와 하부(15)가 서로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고, 그 다음에 짧은 구간(16)에서 다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구간(16)의 영역에서 상기 방식으로 하중-지지 프로파일(T1)의 상부(14)와 하부(15) 사이에 형성된 틈(17)의 높이는, 이 경우에 어댑터(1)의 연결 요소(10)의 두께(D)에 본질적으로 대응된다.
외부 박판(A1)을 하중-지지 프로파일(T1)에 연결하기 위하여, 우선 어댑터(1)의 기초 요소(5)가 외부 박판(A1)에 용접되어, 외부 박판(A1)과 어댑터가 재료학적 접합 또는 금속학적 접합에 의해 서로 안전하게 연결된다. 그 다음에, 어댑터(1)의 연결 요소(10)가 기초 요소(5)로부터 반대쪽을 향하는 그의 좁은 측부를 이용하여 하중-지지 프로파일(T1)의 틈(17) 사이로 압입된다. 따라서, 하중-지지 프로파일(T1)과 연결 요소(10)는 상기 방식으로 형성된 중첩 영역에서 쉽고 신뢰할 수 있도록 함께 용접될 수 있고, 따라서 하중-지지 프로파일(T1)과 어댑터(1)는 금속학적 접합에 의해 서로 안전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외부 박판(A1)과 하중-지지 프로파일(T1)의 연결은 연결 요소(10)와 기초 요소(5) 사이의 홈(9)의 영역에 제공되는 포지티브 및 넌포지티브 연결에 의해 보장된다.
연결(V2)(도 2)에 사용된 어댑터(2)에 있어서, 연결 요소(18)는 판-형상이 아니라 T-프로파일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연결 요소(18)의 웨브(web)(19)의 좁은 자유 단부는, 어댑터(1)의 홈(9)에서의 연결 요소(10)와 기초 요소(5)의 연결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어댑터(2)의 기초 판(6)에 안전하게 포지티브 또는 넌포지티브 연결된다.
웨브(19)와 반대 방향을 향하는 연결 요소(18)의 자유 연결 표면(20)은,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개별 하중-지지 프로파일(T2)의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요소(18)는 또한 강 재료로 구성되고, 이는 특히 만족스럽게 하중-지지 프로파일(T2)의 강에 용접될 수 있다.
연결(V2)에 있어서, 하중-지지 프로파일(T2)은 또한 I-형상 단면을 구비한다. 어댑터와의 단순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21)와 하부(22)는, 그들이 연결 요소(18)의 연결 표면(20)에서 평평하게 접촉하고 그 곳에서 연결 요소(18)에 쉽게 용접될 수 있는 방식으로, 프로파일의 웨브(23)를 지나서 어댑터(2)에 접하는 하중-지지 프로파일(T2)의 단부에서 길어진다. 동시에, 어댑터(2)의 기 초 요소(6)는 외부 박판(A2)에 용접되고, 따라서, 또한 연결(V2)로 인하여, 외부 박판(A2)과 하중-지지 프로파일(T2)은 어댑터(2)의 기초 요소(6)와 연결 요소(18) 사이의 포지티브 및 넌포지티브 연결에 의하여 서로 안전하게 연결된다.
연결(V3)(도 3)에 있어서, 외부 박판(A3)에 연결될 하중-지지 프로파일(T3)의 단부는, 외부 박판(A2)에 할당된 하중-지지 프로파일(T2)의 단부와 정확하게 동일한 방법으로 설계되었다. 외부 박판(A3)은 연결(V3) 영역에서 만곡 형태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연결(V3)에 사용된 어댑터(3)의 판-형상 기초 요소(7)는, 외부 박판(A3)에 위치한 어댑터(3)의 기초 요소(7)가 외부 박판(A3)과 꼭 맞는 접촉을 하도록 그에 대응하는 만곡 형태로 설계된다.
하중-지지 프로파일(T3)과의 연결을 위하여, 어댑터(3)는 하중-지지 프로파일(T3)과 같은 쉽게 용접이 가능한 강 재료로 구성된 두 개의 판-형상 연결 요소(24, 25)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요소는 하중-지지 프로파일(T3)의 상부(26)와 하부(27) 사이의 거리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 간격(A)을 가지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결 요소(24, 25)는, 어댑터(1)의 기초 요소(5)와 연결 요소(10) 사이의 연결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어댑터(3)의 기초 요소(7)에 각각 연결된다.
외부 박판(A3)을 하중-지지 프로파일(T3)에 연결하기 위하여, 어댑터(3)의 기초 요소(7)가 우선 외부 박판(A3)과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고 외부 박판(A3)에 용접된다. 그 다음에, 외부 박판(A3)과 함께 어댑터(3)가, 기초 요소(7)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는 연결 요소(24, 25)의 자유 단부가 하중-지지 프로파일(T3)의 상 부(26) 및 하부(27)에 대하여 평평하게 접촉하는 방식으로, 하중-지지 프로파일(T3)의 단부와 접촉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방식으로 형성된 연결 영역에서, 아무런 문제없이 어댑터(3)와 하중-지지 프로파일(T3)을 서로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V4)(도 4)에 사용된 어댑터(4)는, 외부 박판(A4)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외부 박판(A4)에 용접된 판-형상 기초 요소(8)와, 어댑터(3)에 제공된 연결 요소(24, 25)에 대응하도록 설계되고 기초 요소(8)에 포지티브 및 넌포지티브 연결된 연결 요소(28, 29)를 구비한다. 그러나, 어댑터(3)와 대비하여 어댑터(4)의 연결 요소(28, 29)는 기초 요소(8)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는 연결 요소(28, 29)의 단부에 연결 판(30)을 구비하고, 연결 판(30)은 하중-지지 프로파일(T4)의 강 재료에 만족스럽게 용접될 수 있는 강 재료로 구성된다. 이 경우 판-형상 연결 요소(28, 29)는 연결 판(30)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연결 판(30)에 용접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연결 요소(28, 29)는 또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연결 요소(28, 29)와 기초 요소(8) 사이의 연결 형태에 따라서 연결 판(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연결 요소(28, 29)는 하중-지지 프로파일(T4)로부터의 진동이, 연결된 외부 박판(A4)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력적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판(30)은 관형 하중-지지 프로파일(T4)을 어댑터(4)에 아무 문제없이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하중-지지 프로파일(T4)은, 그 자유 단부가 어댑터의 연결 판(30)에 대하여 평평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따라서 상기 방식으로 형성된 연결 영역에서 단순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3)

  1. 제1 재료로 구성된 부품(A1, A2, A3, A4)을 제2 재료로 구성된 부품(T1, T2, T3, T4)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에 있어서, 제1 부품(A1, A2, A3, A4)의 재료가 포함된 재료 그룹에 속하는 재료로 제조된 기초 요소(5, 6, 7, 8)와, 포지티브 및 넌포지티브 방식의 연결 작업에 의하여 상기 기초 요소(5, 6, 7, 8)에 분리할 수 없도록 연결되고 제2 부품(T1, T2, T3, T4)의 재료가 포함된 재료 그룹에 속하는 재료로 제조된 연결 요소(10, 19, 24, 25, 28, 2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기초 요소(5, 6, 7, 8)는 홈(9)을 구비하고,
    연결 요소(10, 19, 24, 25, 28, 29)의 한 부분이 상기 홈(9) 안쪽으로 위치되고,
    상기 홈(9)의 모서리가, 기초 요소(5, 6, 7, 8)와 연결 요소(10, 19, 24, 25, 28, 29) 사이에 포지티브 및 넌포지티브 연결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홈(9)에 위치된 상기 연결 요소(10, 19, 24, 25, 28, 29)의 부분에 대하여 구조-변경 작업에 의해 적어도 한 부분씩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초 요소(5, 6, 7, 8)가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10, 19, 24, 25, 28, 29)가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요소(1)가 T-프로파일의 단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품(A1, A2, A3, A4, T1, T2, T3, T4)의 재료가 금속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7. 제6항에 있어서,
    부품(A1, A2, A3, A4, T1, T2, T3, T4) 중 하나의 부품의 재료가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8. 제6항에 있어서,
    양쪽 부품(A1, A2, A3, A4, T1, T2, T3, T4)의 재료가 서로 다른 금속 그룹에 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재료가 강 재료이고 제2 재료가 경금속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재료가 알루미늄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11. 제1 재료로 구성된 제1 부품(A1, A2, A3, A4)과 제1 부품(A1, A2, A3, A4)의 재료와 다른 재료 그룹에 속한 재료로 제조된 제2 부품(T1, T2, T3, T4)으로 제조된 부품에 있어서, 부품(A1, A2, A3, A4, T1, T2, T3, T4)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설계된 어댑터(1, 2, 3, 4)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나의 부품(T1, T2, T3, T4)이 강 재료로 제조되고, 다른 부품(A1, A2, A3, A4)이 경금속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하나의 부품(A1, A2, A3, A4)이 박판이고, 다른 부품(T1, T2, T3, T4)이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KR1020077001472A 2004-07-19 2005-07-16 부품 상호 연결용 어댑터 및 그 어댑터를 사용하여 제조된부품 KR20070030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472A KR20070030909A (ko) 2004-07-19 2005-07-16 부품 상호 연결용 어댑터 및 그 어댑터를 사용하여 제조된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4817.0 2004-07-19
KR1020077001472A KR20070030909A (ko) 2004-07-19 2005-07-16 부품 상호 연결용 어댑터 및 그 어댑터를 사용하여 제조된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909A true KR20070030909A (ko) 2007-03-16

Family

ID=4365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472A KR20070030909A (ko) 2004-07-19 2005-07-16 부품 상호 연결용 어댑터 및 그 어댑터를 사용하여 제조된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09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0290B2 (en) Structure for side section of vehicle body
TW200920515A (en) Method for clinching thick metal workpieces, use of the corresponding clinch connections in steel construction, as well as correspondingly produced steel construction elements
EP2128004A1 (en) Structural member made of different materials
EP2353972A1 (en) Structure for side portion of vehicle
CN102963422B (zh) 具有用于连接不同材料的互锁特征的车辆支撑框架
CN105492155A (zh) 用于连接至少两个板件的方法
JP2007106216A (ja) 中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085886A (zh) 车辆的车体构件,尤其是b柱
US9759247B2 (en) Structural component
CN103781697A (zh) 复合部件和用于生产复合部件的方法
CN102639388A (zh) 结构体
CN101628590B (zh) 榫接式车底板总成
US9975461B2 (en) Arrangement of components, vehicle seat, and production method
US20080170906A1 (en) Adapter For The Interconnection Of Components And A Component Manufactured Using Such An Adapter
KR20080046257A (ko) 적어도 2개의 사전 제작된 조립 부품으로 구성된 자동차차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9963680A (zh) 至少两个构件的复合构件和用于制造形锁合和/或力锁合接合的复合构件的方法
CN103191994B (zh) 一种金属板材变形连接成形方法
KR20070030909A (ko) 부품 상호 연결용 어댑터 및 그 어댑터를 사용하여 제조된부품
AU2009207685B2 (en) Vehicle coupling
CN105324261A (zh) 用于机动车门的加强元件、机动车门和用于制造加强元件的方法
JP2002178170A (ja) 差厚ブランク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0995511A2 (en) Layered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926223B2 (ja) アンカーボンド接合用板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353525A1 (en) Metal plate member manufacturing method and vehicle body manufacturing method
JP4465025B1 (ja) 表示板用パネル、表示板用パネルの組立方法および表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