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693A - 스위칭 조정기 - Google Patents

스위칭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693A
KR20070029693A KR1020067022079A KR20067022079A KR20070029693A KR 20070029693 A KR20070029693 A KR 20070029693A KR 1020067022079 A KR1020067022079 A KR 1020067022079A KR 20067022079 A KR20067022079 A KR 20067022079A KR 20070029693 A KR20070029693 A KR 20070029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gulator
terminal
circuit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무쓰 오를로기
라인하르트 비버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7002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4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전압 조정기로서 구성된 스위칭 조정기(1)에 관한 것으로, 전압 분배기(40)를 포함한다. 전압 분배기에는 제 1 접속부(V)를 통해서 조정기 출력단(2)에 인가된 전압 신호가 공급되고, 그럼으로써 기준 전압(Vref)으로서 해석되는 조정 변수로서 전압 분배기(40)의 출력 신호가 분배기 회로(35, 41)에 제공된다. 회로 장치(30)는 제 1 접속부(V)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에 따라 새로운 조정 변수로서 기준 전압(Vref)을 초과하는 전압 신호를 구동기 회로(35, 41)에 제공하는 모니터링 수단(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칭 조정기{SWITCHING REGULATOR}
본 발명은 전압 분배기(40)를 구비한 고정 전압 조정기로서 구현되는 스위칭 조정기(1)에 관한 것으로서, 조정기 출력단(2)에서 제공되는 전압 신호가 기준 전압(Vref)과 비교되는 조정 변수로서 전압 분배기(40)의 출력 신호를 구동기 회로(35, 31)에 공급하기 위해서 제 1 단자(V)를 통해 상기 전압 분배기(40)에 제공될 수 있다.
스위칭 조정기들은 예컨대 에어백과 같은 승객 보호 시스템을 조정하고 동작시키기 위해서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된다. 상기 스위칭 조정기들은 종종 소위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이 하우징이 제공되는 집적 회로의 형태로 구현되는데, 일반적으로 적어도 스위칭 조정기의 에너지 어큐뮬레이터 엘리먼트들이 비용 문제로 인해 외부 구성성분들로서 구현된다. 필요한 전기 접속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에너지 어큐뮬레이터 엘리먼트들 및 ASIC는 예컨대 적합하게 구현된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될 것이다. 스위칭 조정기들은 승압 조정기들(step-up regulators)이나 또는 강압 조정기들(step down regulators)일 수 있다.
일반적인 스위칭 조정기(1)에 대한 레이아웃이 도 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스위칭 조정기(1)는 회로 장치(30)를 구비하는데, 상기 회로 장치(30)의 구성성분들은 위에서 설명된 ASIC를 갖는 집적 회로에 배열되며, 스위칭 조정기(1)의 외부 구성성분들(참조부호 10)에 접속된다. 스위칭 조정기(1)는 승압 조정기로서 구현되며, 노드(3)와 기준 전위 사이에 접속되는 다이오드(11)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레이아웃과는 달리, 다이오드(11)는 ASIC에 집적되는 구성성분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전하 어큐뮬레이터(13)가 조정기 출력단(2)과 기준 전위 사이에 접속된다. 코일(12)이 노드(3)와 조정기 출력단(2)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노드 3이 회로 장치(30)의 출력 단자(Sout)에 접속된다. 출력 단자(Sout)와 공급 전위 단자(Vin) 사이에는 회로 장치의 출력 구동기(31)가 접속되는데, 가장 간단한 경우에는 제어가능 반도체 스위치를 수반한다. 출력 구동기(31)는 연산 증폭기 회로(35)에 의해서 제어되는데, 입력 측에서는 입력단(37)이 자신에게 입력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며, 입력단(38)은 조정 신호를 수신한다. 조정 신호가 조정 출력단(2)에서 제공되는 전압으로부터 획득되며, 제 1 단자(V)에 접속된 내부 전압 분배기(40)를 통해서 회로 장치(30)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직렬로 접속된 두 개의 저항들(41, 42)로 이루어진 전압 분배기의 중앙 탭(43)이 입력단(38)에 링크된다.
전압 분배기에서의 고정 및 비가변적인 전압율로 인해, 조정기 출력단(2)에서 평가된 전압의 출력만을 허용하는 회로 장치가 생성된다. 조정기 출력단(2)에 접속될 수 있는 상이한 부하들이 상이한 평가된 전압에 따라 동작하기 때문에, 다 른 자유롭게 선택가능한 평가된 전압이 조정기 출력단에서 획득되도록 하는 옵션이 회로 장치(30)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회로 장치(30)는 추가적인 외부 전압 분배기(20)에 접속될 수 있는 제 2 단자(FB)를 특징으로 한다. 전압 분배기(20)는 조정기 출력단(2)과 기준 전위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이 경우에, 제 2 단자(FB)는 직렬로 접속된 두 개의 저항들(21, 22)로 통상 이루어진 전압 분배기(20)의 중앙 탭(23)에 접속된다.
단자(SEL)에 신호가 인가될 경우에 내부 전압 분배기(40)나 또는 외부 전압 분배기(20) 중 어느 하나가 연산 증폭기 회로(35)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전환 수단(47)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전환 수단(47)은 이를 위해서 두 개의 회로 엘리먼트들(44, 45)을 구비하는데, 그들의 한 단자는 각각 연산 증폭기 회로(35)의 입력단(38)에 접속되고, 그들의 다른 단자는 각각의 경우에 내부 또는 외부 전압 분배기(40 또는 20)의 중앙 탭(43 또는 23)에 접속된다. 스위치들은 신호를 단자(SEL)에 인가함으로써 제어되는데, 단자(SEL)에 존재하는 신호에 대해 반전된 신호(인버터(46))가 스위칭 엘리먼트(45)에 제공된다.
이에 더하여, 회로 장치(30)는 출력 구동기(31)의 제어 입력단(32)과 단자(V) 사이에 접속되는 전압 모니터링 회로(39)를 특징으로 한다. 전압 모니터링 회로(39)는 조정기 출력단(2)에 존재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며 또한 조정기 출력 전압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출력 구동기를 스위칭 오프시킴으로써, 조정기 출력단에 접속되는 부하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 전압 모니터링 회로(39)는 비교기 회로를 특징으로 하는데, 한편으로는 조정기 출력 전압 및 그리고 다른 한편 으로는 기준 전압(Vref)이 그 비교기에 제공된다.
이미 초반에 언급한 바와 같이, ASIC 회로 장치(30)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집적 회로의 형태로 존재한다. 모듈이 회로 모드에 접속될 경우에는, 부정확한 접속들이 또한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스위칭 조정기(1)의 정확한 기능이 보장되지 않는다.
만약, 부정확한 접속으로 인해서, 조정기 출력단(2)에 존재하는 전압이 제 1 단자(V)에 인가되지 않는다면, 내부 전압 분배기와 함께 형성되는 조정 루프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0 볼트의 전압이 연산 증폭기 회로의 입력단(38)에 실제 값으로서 존재할 것이고, 그로 인해서 연산 증폭기 회로(35)는 출력 구동기(31)를 조정하여 조정기 출력단(2)에서 더 높은 전압이 생성되도록 한다. 전압 모니터링 회로(39)는 또한 조정기 출력단(2)에 존재하는 전압을 입력 신호로서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는 또한 부정확한 접속으로 인한 전압 증가를 방지할 수 없고, 그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된 부하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 조정기에 접속된 부하에서 예측가능하지 않은 효과를 갖는 스위칭 조정기의 오동작을 신뢰적으로 방지하는 상술된 타입의 스위칭 조정기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들을 갖는 스위칭 조정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칭 조정기는 구동기 회로가 제 1 단자에 존재하는 전압 신호에 따라 기준 전압을 통해 이용가능한 전압 신호를 인가하는 모니터링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는, 모니터링 수단이 구동기 회로에 변경된 조정 신호를 인가하는 위치에 놓이는 동시에 내부 전압 분배기를 바이패싱시킴으로써 그것의 전압 값으로 인해 조정기를 직접 스위칭 오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스위칭 조정기에 접속되는 부하의 기능을 더 이상 보장하지 않는다. 기능이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은 부하에 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러나, 부하의 제어되지 않은 동작, 예컨대 에어백의 우발적인 트리거링은 신뢰적으로 방지된다.
새로운 조정 변수로서 구동기 회로에 제공되는 조정기 출력단에 직접 제공되는 전압 신호에 의해서 특별히 간단한 방식으로 원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전압 분배기의 출력 신호나 또는 회로 장치의 제 2 단자에 존재하는 신호를 구동기 회로에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제어가능 전환 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단자는 조정기 출력단에 직접 접속되고, 그럼으로써 인터럽션이 발생한 경우에는 조정기 출력단에 존재하는 신호를 구동기 회로의 제 1 단자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링 수단은 제 1 및 제 2 단자들에 존재하는 전압들이 입력 변수들로서 제공될 수 있는 비교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모니터링 수단은 비교기 회로일 수 있다.
비교 수단의 출력 신호가 전환 수단을 위한 제어 신호로서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단자에서 전압 인터럽션이 발생한 경우에 자동적인 전환을 야기한다.
전환 수단이 조정기 출력단에 존재하는 독립 신호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음으로써 회로 장치의 제 2 단자에 존재하는 신호가 구동기 회로에 제공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회로 장치에 인가될 외부 전압 분배기가 더욱 유동적인 반응 요구조건들이 설정될 평가된 전압에 대해서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압 모니터링 회로가 비교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출력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모두 논리적으로 링크시키는 논리 게이트를 특징으로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한 실시예에서는, 구동기 회로는 강압 변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 구동기 및 연산 증폭기 회로를 특징으로 하는데, 전압 모니터링 회로는 그것들의 노드 포인트와 제 1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본 발명 및 그에 대한 장점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면서 또한 도입부에서 이미 설명된 스위칭 조정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는 스위칭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들에서는 동일한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표기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과 비교해서 변형된 본 발명의 스위칭 조정기(1)의 회로 장 치(30)를 도시한다. 스위칭 조정기(1) 및 특히 회로 장치(30)의 기능 및 레이아웃은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종래의 실시예에 상응한다. 따라서, 기능부들에 대한 더욱 상세한 묘사 및 설명은 생략된다.
일반적인 회로 장치에도 존재하는 구성요소들 이외에, 본 발명의 회로 장치(30)는 모니터링 수단(50)을 특징으로 한다. 모니터링 수단(50)은 출력단(54)을 통해서 전환 수단(47)에 접속된다. 모니터링 수단(50)은 두 개의 입력단들(52, 53)을 구비하는데, 그 중 입력단(52)은 제 1 단자(V) 및 제 2 단자(53)를 통해서 제 2 단자(FB)에 접속된다. 제 2 단자(FB)는 스위칭 조정기(1)의 조정기 출력단(2)에 직접 접속된다. 이용가능하면서 또한 도 1의 일반적인 회로 장치에도 존재하는 추가적인 단자(SEL)가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 수단(50)에 접속된다.
모니터링 수단(50)은 입력단들(52, 53)에 존재하는 신호들이 제공될 비교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비교 수단(51)은 비교기 회로이다. 이 경우에는, 직렬로 접속된 MOS 다이오드를 구비한 윈도우 비교기 또는 전류 균형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비교 수단(51)의 임무는 제 1 단자(V)에서보다 제 2 단자(FB)에서 더 높은 전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만약 그러한 상황이 검출된다면, 이는 제 1 단자(V)를 경유하여 통과하는 조정 루프에서의 인터럽션을 나타낸다. 조정기 출력단(2)에 존재하는 전압이 인가될 내부 전압 분배기(40)에 의해서 제 1 조정 루프가 형성된다.
전환 수단(47)의 스위치(45)는 정상 동작에서는 클로즈되고, 그럼으로써 조정 루프는 내부 전압 분배기에 의해서 형성될 것이다. 제 1 입력단(V)에서의 전압 인터럽션 검출은 OR 게이트(55)에 제공되는 비교 수단(51)의 출력 신호를 유도한다. OR 게이트(55)는 모니터링 수단의 출력단(54)에 자신의 출력측(출력단 58)에서 접속된다. 출력단(54)에 존재하는 신호는 전환 수단(47)으로 하여금 제 2 단자(FB)를 통해서 이루어진 추가적인 조정 루프로 상기 인터럽트된 내부 조정 루프를 (제 1 단자(V)를 통해서) 전환시키도록 한다. 즉, 전환 수단(47)의 스위치(44)가 클로즈되는 반면에 전환 수단(47)의 스위치(45)는 오픈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제 2 단자(FB)에 존재하는 조정기 출력단(2)의 전압 신호가 연산 증폭기 회로(35)의 입력단(38)에 새로운 조정 변수로서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연산 증폭기 회로(35)의 제어되지 않은 조정 및 그로 인한 조정기 출력단(2)에서의 연속적인 전압 증가가 이러한 방식으로 방지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정해진 입력 신호, 즉, 조정기 출력단에서의 전압이 연산 증폭기 회로(35)의 입력단(38)에 인가된다. 이러한 전압 신호는 연산 증폭기 회로(35)에 제공되는 기준 전압(Vref)보다 더 크기 때문에, 스위칭 조정기의 즉각적인 전환이 실행된다.
또한, 도 1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회로 장치(30)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 전압 분배기가 도 1에 도시된 방식으로 접속되고, 그럼으로써 그것의 중앙 탭은 제 2 단자에 접속된다. 제어 신호를 단자(SEL)에 인가함으로써, 전환 수단(47)은 스위치(45)를 오픈시켜 내부 전압 분배기(40)를 통해 내부 제어 회로를 불활성화시키고, 또한 스위치(44)를 클로징시켜 외부 전압 분배기를 통해 외부 제어 회로를 활성시키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제 2 단자(FB)는 중복 피드백 신호를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경우에는 제 1 단자(V) 및 제 2 단자(FB)의 전압 비교를 통해, 내부 조정 루프의 인터럽션, 일반적으로 ASIC와 회로 기판의 접속 시의 핀 분열(pin fracture)을 판단하는 기준이 생성된다. 이러한 핀 분역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조정기 출력단의 출력 전압이 연산 증폭기 회로에 제공되고, 이 경우에, 상기 회로에는 비교적 높은 전압이 존재하며, 조정기는 자신을 스위칭 오프시킨다.
이는 예컨대 제어 발광체(control light)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시그널링된다.
외부 분배기 또는 중복 제어 루프가 사용될 경우에 제 1 단자(V)에서의 핀 분열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제 2 단자(FB)에 존재하는 전압을 통해서 연산 증폭기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는 정확한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모니터링 수단에서 사용되는 비교기 회로는 예컨대 다이오드 임계치를 통해 센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9)

  1. 전압 분배기(40)를 구비한 고정 전압 조정기로서 구현되는 스위칭 조정기(1)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 출력단(2)에 존재하는 전압 신호가 제 1 단자(V)를 통해 상기 전압 분배기(40)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전압 분배기(40)의 출력 신호가 조정 변수로서 구동기 회로(35, 41)에 공급되고, 상기 조정 변수는 기준 전압(Vref)을 통해 평가되는,
    스위칭 조정기(1)로서,
    회로 장치(30)는 제 1 단자(V)에 존재하는 전압 신호에 따라서, 기준 전압(Vref)을 초과하는 전압 신호를 새로운 조정 변수로서 구동기 회로(35, 41)에 인가하는 모니터링 수단(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조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 출력단(2)에 존재하는 전압 신호는 새로운 조정 변수로서 구동기 회로(35, 41)에 직접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조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기(40)의 출력 신호나 또는 상기 회로 장치(30)의 제 2 단자(FB)에 존재하는 신호를 구동기 회로(35, 41)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어가능한 전환 수단(47)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조정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 출력단(2)에 존재하는 신호는 제 2 단자(FB)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조정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수단(50)은 제 1 및 제 2 단자(V, FB)에 존재하는 전압들이 입력 변수들로서 제공되는 비교 수단(5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조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수단(51)의 출력 신호는 전환 수단(47)을 위한 제어 신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조정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47)은 조정기 출력단(2)에 존재하는 독립 신호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회로 장치(30)의 제 2 단자(FB)에 존재하는 신호가 구동기 회로(35, 31)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조정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모니터링 회로(50)는 비교 수단에 의해 제공된 출력 신호와 제어 신호를 논리적으로 결합하는 논리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조정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 회로는 강압 변환기(step-down converter)를 제어하기 위해서 연산 증폭기 회로(35) 및 출력 구동기(31)를 구비하고, 상기 연산 증폭기 회로(35)와 출력 구동기 회로(31)의 노드 포인트와 제 1 단자(V) 사이에는 전압 모니터링 회로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조정기.
KR1020067022079A 2004-06-25 2005-06-23 스위칭 조정기 KR200700296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0840A DE102004030840A1 (de) 2004-06-25 2004-06-25 Schaltregler
DE102004030840.3 2004-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693A true KR20070029693A (ko) 2007-03-14

Family

ID=3550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079A KR20070029693A (ko) 2004-06-25 2005-06-23 스위칭 조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89985B2 (ko)
EP (1) EP1759449A2 (ko)
JP (1) JP2008503997A (ko)
KR (1) KR20070029693A (ko)
CN (1) CN100574073C (ko)
DE (1) DE102004030840A1 (ko)
WO (1) WO200600056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5549A3 (en) * 2007-12-21 2009-08-27 Sandisk Corporation Self-configurable multi-regulator asic core power delivery
US7859134B2 (en) 2007-12-21 2010-12-28 Sandisk Corporation Self-configurable multi-regulator ASIC core power deliv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4449B4 (de) * 2007-03-27 2022-10-06 Michael Gude Schalt-Spannungswandler
JP5305519B2 (ja) * 2009-04-21 2013-10-0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圧レギュレータ回路
DE102014224121A1 (de) * 2014-11-26 2016-06-02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elektronischen Schaltelements eines Resonanzgleichstromwandlers
DE102017202295A1 (de) * 2017-02-14 2018-08-16 Robert Bosch Gmbh Schaltungsanordnung zum Durchführen eines Vergleichs
US11101636B2 (en) * 2017-12-20 2021-08-24 Veoneer Us, Inc. Voltage regulator for a squib driver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0636A (en) * 1995-01-13 1996-06-25 Dell Usa, L.P. Automatic feedback system for a dual output power supply
US5508603A (en) * 1995-03-28 1996-04-16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Polarity corrected, intermittent compensated, remote load voltage regulation
US5781000A (en) * 1995-06-16 1998-07-14 Fujitsu Limited Power control unit loading test method
US6424132B1 (en) * 2000-12-08 2002-07-23 Micrel, Incorporated Adding a laplace transform zero to a linear integrated circuit for frequency stability
JP2003219636A (ja) 2001-11-19 2003-07-31 Yokogawa Electric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及び安定化電源
JP3686042B2 (ja) 2002-02-06 2005-08-24 株式会社リコー 直流安定化電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5549A3 (en) * 2007-12-21 2009-08-27 Sandisk Corporation Self-configurable multi-regulator asic core power delivery
US7859134B2 (en) 2007-12-21 2010-12-28 Sandisk Corporation Self-configurable multi-regulator ASIC core power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30180A1 (en) 2008-02-07
WO2006000569A3 (de) 2006-05-04
WO2006000569A2 (de) 2006-01-05
CN100574073C (zh) 2009-12-23
EP1759449A2 (de) 2007-03-07
CN1973422A (zh) 2007-05-30
DE102004030840A1 (de) 2006-01-19
JP2008503997A (ja) 2008-02-07
US7589985B2 (en) 200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5932B2 (en) Switching mode converter having 100% duty cycle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653001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US20080164759A1 (en) Redundant power supply architecture with voltage level range based load switching
US7589985B2 (en) Switching Regulator
US67629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supply voltage during a first and second operating mode
US7480125B2 (en) Constant voltage circuit, system power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ystem power device
US20060261790A1 (en) Direct current voltage boosting/bucking device
US10203708B2 (en) Power regulator to control output voltage using feedback
US10063135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regulator
US785194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C-DC converter having independent outputs
EP2602922A2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Universal Serial Bus
EP1844533A2 (en) Compensated droop method for paralleling of power supplies ( c-droop method)
EP2149957B1 (en) Priority based 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
JP2014172573A (ja) エアバッグ装置
US9069366B2 (en) Switching regulator
US10761549B2 (en) Voltage sensing mechanism to minimize short-to-ground current for low drop-out and bypass mode regulators
WO2002052691A1 (en)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a selectable ouptut voltage
US20180348804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 unit
US8957646B2 (en) Constant voltage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2022011893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electrical voltage for a safety-relevant load
US6801063B1 (en) Charge compensated bootstrap driving circuit
US7663353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voltage regulation
US20230318511A1 (en) Power circuit having safet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4460995A (zh) 电压调节电路和用于运行电压调节电路的方法
JP6844318B2 (ja) 車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