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562A - Controlling cracks in cementitious materials - Google Patents

Controlling cracks in cementitious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562A
KR20070028562A KR1020077001395A KR20077001395A KR20070028562A KR 20070028562 A KR20070028562 A KR 20070028562A KR 1020077001395 A KR1020077001395 A KR 1020077001395A KR 20077001395 A KR20077001395 A KR 20077001395A KR 20070028562 A KR20070028562 A KR 20070028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control means
base
crack control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존 포더길 쿡 크리스토퍼
Original Assignee
존 포더길 쿡 크리스토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포더길 쿡 크리스토퍼 filed Critical 존 포더길 쿡 크리스토퍼
Publication of KR20070028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5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08Pack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 E01C11/106Joints with only prefabricated packing; Pack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Referring to figure 1,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volves means 1 for controlling cracking in a body of cementitious material, for example concrete, having an elongate base 2, elongate side wall portions 3 and 4 extending from the base and angling towards one another, and an aperture of apertures in the side wall portions. When the means for controlling cracking is in use it can be positioned base down so that a cementitious substance prone to cracking can be poured around and at least partially through it such that cracks which form in the cementitious substance occur at or in the vicinity of the means for controlling cracking. ® KIPO & WIPO 2007

Description

접합성 물질의 균열 제어{CONTROLLING CRACKS IN CEMENTITIOUS MATERIALS}CONTROLLING CRACKS IN CEMENTITIOUS MATERIAL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 등의 접합성 물질에서의 균열 제어수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ack control means in bonding materials such as concrete, for example.

콘크리트 구조의 환경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 균열이 생긴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균열은 통상적으로 필연적이지만, 다량의 콘크리트에서 작업할 때는 구조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균열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목적은 콘크리트에서의 균열을 적어도 어느 정도 제어하거나 또는 적어도 대중에게 유용한 선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well known that cracks occur when concrete is cured in a concrete structure environment. Such cracks are usually inevitable, but when working on large quantities of concrete,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location of the cracks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control some of the cracks in concrete or at least provide a useful choice for the public.

예를 들어 "상향" 등과 같이 방위에 관한 용어가 본 발명에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특정하게 지칭하지 않는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위에 관한 용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For example, when a term related to an orientation such as “upward”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cognized as meaning a term related to a commonly used orientation unless specifically indicated.

"포함하는"이라는 용어와 이러한 용어로부터 파생되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구성되는 또는 포함하는"을 의미하는, 즉 한정을 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comprising" and "comprising" derived from such terms should be described as meaning "consisting of or including", ie, not limiting.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접합성 기질의 본체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이 제공되며, 이러한 수단은 신장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고 서로를 향해 각도를 이루는 신장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개구 또는 개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은 사용시 하부에 기저부가 배치되어,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이 그 주위에 타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성 기질의 내부에 형성된 균열이 균열 제어수단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이러한 균열 제어수단의 근처에서 발생되도록 형성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means for controlling cracking in the body of the bonded substrate, the means comprising: an elongated base, an elongated sidewall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se and angled towards each other, and an opening of the sidewall portion; Or openings;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crack is formed such that a base is disposed at the bottom when in use so that a bonding substrate susceptible to cracking can be poured around; This results in the formation of cracks at least partially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ond substrate in or in the vicinity of the crack control means.

상기 접합성 기질은 콘크리트를 포함한다. The bonding substrate comprises concrete.

상기 측벽부는 횡단방향으로 투시하였을 때 상기 측벽부들 사이의 기저부 부분과 함께 삼각형 형태를 형성한다.The side wall portion forms a triangular shape with the base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s when view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삼각형 형태의 정점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제공된다. Extensions are provided that extend upwards from the triangular shaped vertices.

접합성 기질의 본체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다수의 균열 제어수단과 조합하기 위해 연결부와 조합된다. The means for controlling cracking in the body of the bonded substrate is combined with the joint to combine with the plurality of crack control mean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접합성 기질의 본체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이 제공되며, 이러한 수단은 신장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와 벽부분이 역전된 T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신장된 벽부분과, 상기 벽부분의 개구 또는 개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은 사용시 하부에 기저부가 배치되어,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이 그 주위에 타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성 기질의 내부에 형성된 균열이 균열 제어수단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이러한 균열 제어수단의 근처에서 발생되도록 형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controlling cracking in the body of a bonded substrate, the means extending such that the elongated base extends upwardly from the base such that the base and the wall form an inverted T shape. A wall portion and an opening or openings in the wall portion;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crack is formed such that a base is disposed at the bottom when in use so that a bonding substrate susceptible to cracking can be poured around; This results in the formation of cracks at least partially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ond substrate in or in the vicinity of the crack control means.

상기 접합성 기질은 콘크리트를 포함한다. The bonding substrate comprises concrete.

상기 개구 또는 개구들은 경우에 따라 벽 또는 벽부분의 약 50% 이상을 점유한다. The opening or openings optionally occupy at least about 50% of the wall or wall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접합성 기질의 본체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이 제공되며, 이러한 수단은 2개의 신장된 V형 부분과, 상기 V형 부분의 하나의 정점으로부터 다른쪽 V형 부분의 정점으로 연장되는 신장된 벽부분과, 상기 벽부분의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은 사용시 하부에 기저부가 배치되어,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이 그 주위에 타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성 기질의 내부에 형성된 균열이 균열 제어수단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이러한 균열 제어수단의 근처에서 발생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controlling cracking in the body of the bonded substrate, wherein the means comprises two elongated V-shaped portions and one V-shaped portion from one vertex of the V-shaped portion. An elongated wall portion extending to a vertex and an opening in the wall portion;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crack is formed such that a base is disposed at the bottom when in use so that a bonding substrate susceptible to cracking can be poured around; This results in the formation of cracks at least partially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ond substrate in or in the vicinity of the crack control means.

상기 두개의 V형 부분은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되는 정점을 갖는다.The two V-shaped portions have vertices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선택적으로, 상기 V형 부분의 정점은 대향 방향으로 지향될 수도 있다.Optionally, the vertices of the V-shaped portion may be directed in opposite directions.

선택적으로, 상기 한쪽 V형 부분은 다른쪽 V형 부분 보다 클 수도 있다. Optionally, the one V-shaped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other V-shaped portion.

상기 개구 또는 개구들은 벽부분 표면적의 약 50% 이상을 점유한다. The opening or openings occupy at least about 50% of the wall surface area.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접합성 기질의 본체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이 제공되며, 이러한 수단은 신장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와 벽부분이 직각을 이루도록 기저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신장된 벽부분과, 상기 벽부분의 적어도 50%를 점유하는 벽부분의 개구 또는 개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은 사용시 하부에 기저부가 배치되어,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이 그 주위에 타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성 기질의 내부에 형성된 균열이 균열 제어수단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이러한 균열 제어수단의 근처에서 발생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controlling cracking in the body of a bonded substrate, said means comprising: an elongated base, an elongated wall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such that the base and the wall portio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 opening or openings in the wall portion occupying at least 50%;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crack is formed such that a base is disposed at the bottom when in use so that a bonding substrate susceptible to cracking can be poured around; This results in the formation of cracks at least partially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ond substrate in or in the vicinity of the crack control mean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러한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에 따라 균열 제어수단을 얻고, 접합성 기질에 균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위치에서 또는 이러한 위치에 인접하여 상기 균열 제어수단을 정렬하는 단계와; 경우에 따라 벽 또는 벽부분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주위로 연장되도록, 상기 다량의 접합성 기질을 정렬하는 단계와; 균열 제어수단에서 또는 균열 제어수단의 근처에서 접합성 기질에 균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cracking in a bonded substrate that is susceptible to cracking, wherein the method obtains crack control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features, and at a position where cracks are formed in the bonded substrate. Or aligning the crack control means adjacent to this position; Aligning said mass of adhesive substrate so as to extend at least partially and around a wall or wall portion as the case may be; Forming a crack in the bonded substrate at or near the crack control means.

상기 접합성 기질은 콘크리트를 포함한다.The bonding substrate comprises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러한 방법은 균열 제어기를 얻고, 접합성 기질에 균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위치에서 상기 균열 제어기를 정렬하는 단계와; 벽 또는 벽부분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주위로 연장되도록, 상기 다량의 접합성 기질을 정렬하는 단계와; 균열 제어기에서 또는 균열 제어기 근처에서 접합성 기질에 균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균열 제어기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는 벽 또는 벽들과, 상기 벽 또는 벽들의 개구 또는 개구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cracks in a bonded substrate that is susceptible to cracking, which method comprises obtaining a crack controller and aligning the crack controller at a position where cracks are desired to form in the bonded substrate. Wow; Aligning said mass of adhesive substrate such that it extends at least partially and around a wall or wall portion; Forming a crack in the bonded substrate at or near the crack controller; The crack controller includes a base, a wall or walls extending from the base, and an opening or openings in the wall or walls.

상기 개구 또는 개구들은 벽 또는 벽들의 표면적의 적어도 50%를 점유한다. The opening or openings occupy at least 50% of the surface area of the wall or walls.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콘크리트 균열 제어기의 횡단방향 사시도.1 is a transverse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crack controller.

도2는 도1의 균열 제어기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crack controller of Figure 1;

도3은 도1 및 도2의 균열 제어기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crack controller of FIGS. 1 and 2;

도4는 또 다른 콘크리트 균열 제어기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crete crack controller.

도5는 도4의 균열 제어기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ack controller of FIG.

도6은 직선형 라인 커넥터의 횡단방향 단면도.Fig. 6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straight line connector.

도7 및 도8은 4방 커넥터의 측면도 및 평면도.7 and 8 are side and top views of the four-way connector.

도9 및 도10은 3방 커넥터의 측면도 및 평면도.9 and 10 are side and top views of the three-way connector.

도11 및 도12는 2방 앵글형 커넥터의 측면도 및 평면도.11 and 12 are side and top views of a two-angle connector.

도13 및 도14는 3방 T형 커넥터의 측면도 및 평면도.13 and 14 are side and top views of a three-way T-shaped connector;

도15 내지 도18은 또 다른 콘크리트 균열 제어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15-18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yet another concrete crack controller.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콘크리트 균열 제어기(1)는 기저부로부터 상향을 향하여 각도를 이루어 서로 만나게 되는 두개의 측벽(3, 4)이 구비된 기저부(2)를 포함하는 신장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1)는 중공이며, 일반적으로 횡단방향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측벽(3, 4)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신장된 개구(5)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저부(2)는 두개의 측벽(3, 4)으로 미세하게 연장되며, 벽의 정점은 수직 연장부(6)를 갖는다. 1 to 3, the concrete crack controller 1 is an elongated part comprising a base 2 with two side walls 3, 4 which meet at an angle upward from the base. The controller 1 is therefore hollow and generally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The side walls 3, 4 have a series of elongated openings 5 as shown in FIGS. 2 and 3. As shown, the base 2 extends finely into the two side walls 3, 4, the apex of the wall having a vertical extension 6.

제어기(1)가 사용중일 때, 기저부(2)가 하부에 배치되며, 제어기 주위로 다량의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상기 콘크리트는 적어도 제어기(1)를 덮으며, 개구(5)를 관통하게 된다. 필요할 경우, 상기 개구(5)를 통해 강 보강부(도시않음)도 관통될 수 있다.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는 제어기(1)의 근방에서 균열되려는 경향을 띈다. 제어기 양측의 콘크리트의 본체가 제어기를 통과하는 콘크리트의 일부 및/또는 제어기 보다 더 큰 질량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제어된 균열이 촉진된다. When the controller 1 is in use, the base 2 is disposed below, and a large amount of concrete is poured around the controller. The concrete covers at least the controller 1 and passes through the opening 5. If necessary, a steel reinforcement (not shown) can also be penetrated through the opening 5. When concrete is cured, it tends to crack in the vicinity of the controller 1. This controlled crack is promoted because the body of concrete on both sides of the controller has a portion of concrete passing through the controller and / or a greater mass than the controller.

도4 및 도5는 기저부(8) 및 상향연장 벽(9)을 갖는 또 다른 콘크리트 균열 제어기(7)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기저부와 벽은 역전된 T 형상을 취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7)는 일련의 이격된 신장된 개구(10)를 갖는다. 상기 또 다른 균열 제어기(7)는 상술한 바와 상당부분 동일한 방식으로 콘크리트 균열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즉, 기저부(8)가 하부에 배치되고, 콘크리트는 이를 통해 주위에 타설된다. 이러한 개구(10)를 통해 보강용 강이 통과된다. 콘크리트에 연약선 또는 연약선들이 생성될 경우, 콘크리트에 형성된 균열은 제어기(7)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어기의 근처에 형성되려는 경향을 띈다. 4 and 5 show another concrete crack controller 7 having a base 8 and an upwardly extending wall 9. The base and the wall have an inverted T shape. As shown, the controller 7 has a series of spaced apart elongated openings 10. The another crack controller 7 is used to control the concrete crack in much the same way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base 8 is arranged at the bottom, and concrete is poured around it. The reinforcing steel passes through this opening 10. When soft lines or soft lines are created in the concrete, cracks formed in the concrete tend to be formed in the controller 7 or near the controller.

상기 제어기(1, 7)는 필요할 경우 그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기저부(2 또는 8)에 작은 구멍을 갖는다. 이러한 기저부(2, 8)는 필요할 경우 제어기(1, 7)가 더욱 용이하게 평형화될 수 있도록,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lers 1 and 7 have small holes in the base 2 or 8 so that they can be fixed to their lower surface if necessary. These bases 2, 8 are preferably flat so that the controllers 1, 7 can be balanced more easily if necessary.

상술한 제어기(1)의 경우에 있어서, 벽(3, 4)과 그 하부의 기저부(2)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 형태는 예를 들어 벽의 불필요한 측방향 이동에 저항하는 강도값 및 안정성값을 제공한다. In the case of the controller 1 described above, the triangular form formed by the walls 3, 4 and the base 2 below it has a strength value and a stability value that resists unnecessary lateral movement of the wall, for example. to provide.

상기 제어기(1, 7)는 예를 들어 강, 플라스틱, 또는 수지 물질로부터 그 어떤 적절한 물질로 형성된다. The controllers 1, 7 are formed of any suitable material, for example from steel, plastic, or resin material.

제어기(1, 7)가 사용될 때는 이러한 제어기(1, 7)를 각각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들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직선형으로, 각을 이루면서, 또는 T형 연결부와 함께 사용된다. 도6은 상술한 바와 같은 두개의 제어기(1)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직선형 커넥터(11)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두개의 균열 제어기(1)는 커넥터(11)의 각각의 대향 단부에서 슬리브로서 상기 커넥터(11)에 끼워진다. 상기 커넥터(11)는 균열 제어기(1)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각각의 단부에 립(12)을 포함한다. When the controllers 1 and 7 are used, it may be desirable to connect these controllers 1 and 7 to each other. To achieve this, the controllers are used in an appropriate straight line, at an angle, or with a T-shaped connection as needed. Figure 6 shows a straight connector 11 used to connect two controllers 1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wo crack controllers 1 are fitted to the connector 11 as sleeves at each opposite end of the connector 11. The connector 11 includes a lip 12 at each end to limit the extent to which it can fit inside the crack controller 1.

도7 및 도8과, 도9 및 도10과, 도11 및 도12와, 도13 및 도14는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서술된 바와 같은 균열 제어기(1)와 함께 사용되는 또 다른 여러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균열 제어기(1)는 커넥터상에 슬리브로서 끼워진다. 이러한 각각의 커넥터는 개구 또는 개구들을 가지므로, 콘크리트 등은 이러한 개구의 내부로 및/또는 개구를 통해 인입될 수 있다. 7 and 8, 9 and 10, 11 and 12, 13 and 14 are further used with the crack controller 1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Several connectors are shown. In each case, the crack controller 1 is fitted as a sleeve on the connector. Since each such connector has an opening or openings, concrete or the like can be drawn into and / or through the opening.

선택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균열 제어기(1, 7) 및 여러 커넥터들은 2.0mm 내지 3.5mm(또는 양호하기로는 2.5mm 내지 3.0mm)의 형강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사용된 물질의 규격은 원하는 연장 연결부 크기에 대응하도록 선택된다. Optionally, the crack controllers 1, 7 and various connectors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from a shape steel or plastic of 2.0 mm to 3.5 mm (or preferably 2.5 mm to 3.0 mm). The specification of the material used is chosen to correspond to the desired extension connection size.

균열 제어기의 개구(5, 10)는 측벽의 약 50% 이상, 양호하기로는 52% 를 점 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nings 5, 10 of the crack controller preferably occupy at least about 50%, preferably 52%, of the side walls.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는 콘크리트 등의 본체에 제어된 연장 연결부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상기 연결부는 콘크리트의 표면 하부에서 균열 제어기의 위치조정에 대응한다.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at least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for the creation of controlled extension connections to a body, such as concrete. The connec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ing of the crack controller below the surface of the concrete.

도15 내지 도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열 제어기(13, 14, 15, 16)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도면은 각각의 균열 제어기(13, 14, 15, 16)에 대한 단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균열 제어기(13 내지 16)는 그 내부의 균열을 제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콘크리트 벽 패널의 모서리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를 도시하고 있다. 콘크리트는 분사법이나 또는 기타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어기(13 내지 16)에 적용된다. 15-18 show a crack controller 13, 14, 15, 16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se figures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each crack controller 13, 14, 15, 16. Each crack controller 13-16 shows a variety of uses to control the cracks therein, such as for example the edges of concrete wall panels. Concrete is applied to the controllers 13 to 16 by spraying or other suitable means.

도15와 도16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3, 14, 16)는 각각 두개의 V형 단부와, 중간연결 벽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벽부분은 콘크리트나 기타 다른 일부 접합성 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를 갖는다. 제어기(13, 14)의 경우, 두개의 V형 단부의 정점은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으며, 그 정점에서 경우에 따라 정점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벽부분에 연결된다. 제어기(16)의 경우, 두개의 V형 부분의 정점은 서로 멀어지도록 지향되며, 이러한 정점의 내부에서 그 벽부분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7)는 직각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직각부의 한쪽 아암은 기저부 부분이며, 다른쪽 아암은 개구가 구비된 벽부분이다. 모든 제어기(13 내지 16)에 있어서, 그 개구는 각각의 경우에 벽부분 표면적의 적어도 50%를 점유한다. As shown in Figs. 15, 16 and 18, the controllers 13, 14 and 16 each include two V-shaped ends and an intermediate connecting wall portion. The wall portion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concrete or some other adhesive material can pass. In the case of the controllers 13 and 14, the vertices of the two V-shaped ends are oriented in the same direction, where they are connected to the wall portion either outside or inside the vertex, as the case may be. In the case of the controller 16, the vertices of the two V-shaped portions are oriented away from each other and are interconnected by their wall portions inside these vertices. As shown in Fig. 17, the controller 17 has a right angled shape, one arm of the right angle part is a base part, and the other arm is a wall part provided with an opening. In all controllers 13 to 16 the openings in each case occupy at least 50% of the wall surface area.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hould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접합성 기질의 본체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에 있어서, Means for controlling cracks in the body of the bonded substrate, 신장된 기저부와, Elongated base,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고 서로를 향해 각도를 이루는 신장된 측벽부와,Elongated sidewall portions extending from said base portion and angled toward each other, 상기 측벽부의 개구 또는 개구들을 포함하며, An opening or openings in the sidewall portion, 상기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은 사용시 하부에 기저부가 배치되어,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이 그 주위에 타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성 기질의 내부에 형성된 균열이 균열 제어수단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이러한 균열 제어수단의 근처에서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crack is formed such that a base is disposed at the bottom when in use so that a bonding substrate susceptible to cracking can be poured around; A crack control means, wherein the crack formed at least in part in the interior of the bonding substrate is formed in or near the crack control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성 기질은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The crack control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joining substrate comprises concr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횡단방향에서 투시하였을 때 측벽부들 사이의 기저부 부분과 함께 삼각형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The crack control mean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ide wall portion forms a triangular shape with the base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s when view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형태의 정점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4. The crack control mean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triangular vertex is provided. 상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균열 제어수단과 조합하기 위해 연결부와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The crack control mean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bined with a connection for combining with the plurality of crack control means. 접합성 기질의 본체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에 있어서, Means for controlling cracks in the body of the bonded substrate, 신장된 기저부와, Elongated base, 상기 기저부와 벽부분이 역전된 T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신장된 벽부분과, An elongated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ase portion such that the base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form an inverted T shape; 상기 벽부분의 개구 또는 개구들을 포함하며, An opening or openings in the wall portion, 상기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은 사용시 하부에 기저부가 배치되어,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이 그 주위에 타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성 기질의 내부에 형성된 균열이 균열 제어수단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이러한 균열 제어수단의 근처에서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crack is formed such that a base is disposed at the bottom when in use so that a bonding substrate susceptible to cracking can be poured around; A crack control means, wherein the crack formed at least in part in the interior of the bonding substrate is formed in or near the crack control mea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성 기질은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7. The crack control mean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joining substrate comprises concrete. 상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또는 개구들은 경우에 따라 벽 또는 벽부분의 약 50% 이상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The crack control means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 or openings optionally occupy at least about 50% of the wall or wall portion.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서술된, 또는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서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A crack control mean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o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접합성 기질의 본체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에 있어서, Means for controlling cracks in the body of the bonded substrate, 2개의 신장된 V형 부분과, Two elongated V-shaped sections, 상기 V형 부분의 하나의 정점으로부터 다른쪽 V형 부분의 정점으로 연장되는 신장된 벽부분과, An elongated wall portion extending from one vertex of the V-shaped portion to the vertex of the other V-shaped portion, 상기 벽부분의 개구를 포함하며, An opening in the wall portion, 상기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은 사용시 하부에 기저부가 배치되어,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이 그 주위에 타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성 기질의 내부에 형성된 균열이 균열 제어수단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이러한 균열 제어수단의 근처에서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crack is formed such that a base is disposed at the bottom when in use so that a bonding substrate susceptible to cracking can be poured around; A crack control means, wherein the crack formed at least in part in the interior of the bonding substrate is formed in or near the crack control mea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V형 부분은 동일한 방향으로 지향되는 정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11. The crack control means of claim 10, wherein the two V-shaped portions comprise vertices directed in the same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V형 부분의 정점은 대향 방향으로 지향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11. The crack control mean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vertices of the V-shaped portion are directed in opposite directions. 제10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V형 부분은 다른쪽 V형 부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The crack control mea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wherein the one V-shaped portion is larger than the other V-shaped portion.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또는 개구들은 벽부분의 적어도 50% 이상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14. The crack control means according to claim 10, 11 or 13, wherein the opening or the openings occupy at least 50% or more of the wall portion. 접합성 기질의 본체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에 있어서, Means for controlling cracks in the body of the bonded substrate, 신장된 기저부와, Elongated base, 상기 기저부와 벽부분이 직각을 이루도록 기저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신장된 벽부분과, An elongated wall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such that the base portion and the wall portio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벽부분의 적어도 50%를 점유하는 벽부분의 개구 또는 개구들을 포함하며, An opening or openings in the wall portion occupying at least 50% of said wall portion, 상기 균열을 제어하는 수단은 사용시 하부에 기저부가 배치되어,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이 그 주위에 타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성 기질의 내부에 형성된 균열이 균열 제어수단에서 발생되거나 또는 이러한 균열 제어수단의 근처에서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crack is formed such that a base is disposed at the bottom when in use so that a bonding substrate susceptible to cracking can be poured around; A crack control means, wherein the crack formed at least in part in the interior of the bonding substrate is formed in or near the crack control means. 도15 내지 도18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서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수단.A crack control mean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y one of Figs. 15-18.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a method of controlling cracks in a bonded substrate that is susceptible to cracking, 상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열 제어수단을 얻고, 접합성 기질에 균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위치에서 또는 이러한 위치에 인접하여 상기 균열 제어수단을 정렬하는 단계와, Obtaining the crack control mean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and aligning the crack control means at or adjacent to the position where it is desired that cracks form in the bonded substrate; 경우에 따라 벽 또는 벽부분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주위로 연장되도록, 상기 다량의 접합성 기질을 정렬하는 단계와, Aligning said mass of adhesive substrate so as to extend at least partially and circumferentially through a wall or wall portion as the case may be; 균열 제어수단에서 또는 균열 제어수단의 근처에서 접합성 기질에 균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방법.Forming cracks in the bonded substrate at or near the crack control mea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성 기질은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onding substrate comprises concrete. 균열되기 쉬운 접합성 기질에서 균열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a method of controlling cracks in a bonded substrate that is susceptible to cracking, 균열 제어기를 얻고, 접합성 기질에 균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위치에 상기 균열 제어기를 정렬하는 단계와, Obtaining a crack controller and aligning the crack controller at a position where cracking is desired to form in the bonded substrate; 벽 또는 벽부분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주위로 연장되도록, 상기 다량의 접합성 기질을 정렬하는 단계와, Aligning said mass of adhesive substrate so as to extend at least partially and around a wall or wall portion; 균열 제어기에서 또는 균열 제어기 근처에서 접합성 기질에 균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Forming a crack in the bonded substrate at or near the crack controller, 상기 균열 제어기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는 벽 또는 벽들과, 상기 벽 또는 벽들의 개구 또는 개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방법.And wherein the crack controller comprises a base, a wall or walls extending from the base, and an opening or openings of the wall or wall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또는 개구들은 벽 또는 벽부분 표면적의 적어도 50%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제어방법.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opening or openings occupy at least 50% of the wall or wall portion surface area.
KR1020077001395A 2004-06-25 2005-06-10 Controlling cracks in cementitious materials KR2007002856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533777A NZ533777A (en) 2004-06-25 2004-06-25 Controlling cracks in cementitious materials
NZ533777 2004-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562A true KR20070028562A (en) 2007-03-12

Family

ID=3298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395A KR20070028562A (en) 2004-06-25 2005-06-10 Controlling cracks in cementitious materials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022622A1 (en)
EP (1) EP1759070A1 (en)
JP (1) JP2008503672A (en)
KR (1) KR20070028562A (en)
CN (1) CN1981099B (en)
AU (1) AU2005257680B2 (en)
CA (1) CA2573502A1 (en)
GB (1) GB2429721B (en)
NZ (1) NZ533777A (en)
WO (1) WO200600171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3981A1 (en) * 2004-08-13 2008-10-30 O'brien Timothy C Concrete Expansion Joint Forming Device
CN102071615B (en) * 2010-12-21 2012-12-26 东南大学 Method for controlling crack spacing of continuously reinforced cement concrete pavement
EE201900010A (en) * 2019-04-05 2020-11-16 Wpmeesti Oü Rupture element which in concrete construction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3508A (en) * 1913-05-07 1917-07-17 August C Rogalske Concrete construction.
US2167904A (en) * 1936-05-18 1939-08-01 Older Clifford Concrete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US2321813A (en) * 1942-07-01 1943-06-15 John H Henzel Refractory panel construction
US2748591A (en) * 1952-07-22 1956-06-05 Arthur H Brown Wall panels
US2961803A (en) * 1957-03-21 1960-11-29 Kenneth E Shapiro Contraction joint and seal for concrete structures
FR1328489A (en) * 1962-04-19 1963-05-31 Clip and ceiling able to withstand expansion due to heating
US3596421A (en) * 1969-01-21 1971-08-03 Elkhart Bridge & Iron Co Structural beam for supporting concrete flooring
US4132043A (en) * 1977-02-22 1979-01-02 H. B. Fuller Company Structural units
US5033248A (en) * 1990-01-05 1991-07-23 Phillips Charles 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SE468097B (en) * 1991-03-13 1992-11-02 Combiform Ab AID ELEMENT FOR USE IN CONCRETE FLOORING
TW299381B (en) * 1991-08-13 1997-03-01 Mitsubishi Heavy Ind Ltd
FI92089C (en) * 1993-01-13 1994-09-26 Deltatek Oy Prefabricated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JP3398188B2 (en) * 1993-08-09 2003-04-21 株式会社フジタ Crack-inducing joint device for reinforced concrete wall-like structures.
JP2513580B2 (en) * 1993-11-05 1996-07-03 株式会社ピー・エス Construction method of crack inducing part in continuous concrete pavement
JPH07224535A (en) * 1994-02-14 1995-08-22 Mitsui Constr Co Ltd Concrete crack prevention method
DE4422648C2 (en) * 1994-06-28 1998-09-03 Rene P Schmid Sollriß joint rail
US5623798A (en) * 1995-10-13 1997-04-29 Dolese Bros. Co. Device for reducing stress at re-entrant corners of a concrete slab
US5918428A (en) * 1997-02-19 1999-07-06 Engineered Devices Corporation Crack inducer plate for concrete
KR200152480Y1 (en) * 1997-02-28 1999-07-15 조세훈 Deck plate for the concrete slab
US5857302A (en) * 1997-04-02 1999-01-12 Lill; Deryl L. Concrete crack control system
JPH1161978A (en) * 1997-08-13 1999-03-05 Hayakawa Rubber Co Ltd Concrete structure and manufacture thereof
JP2000248743A (en) * 1999-03-03 2000-09-12 Shimizu Corp Mass concrete placing method
JP3775185B2 (en) * 1999-09-02 2006-05-17 株式会社大林組 Crack control structure in concrete members.
CA2417823C (en) * 2000-08-04 2009-04-14 Building Innovations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large continuous concrete slabs
US20040025858A1 (en) * 2002-07-30 2004-02-12 Barenberg Ernest J. Crack/joint inducers for portland cement concrete pavement and slabs
CA2404535A1 (en) * 2002-09-20 2004-03-20 Canam Manac Group Inc. Composite floor system
ES1053970Y (en) * 2003-02-12 2003-09-16 Oliveras Valenti Centellas EXPANSION BOARD FOR CONCRETE WORKS.
CN101065542B (en) * 2004-07-05 2010-05-05 混凝土板材工艺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racks in concre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03672A (en) 2008-02-07
AU2005257680A1 (en) 2006-01-05
CA2573502A1 (en) 2006-01-05
EP1759070A1 (en) 2007-03-07
GB0700389D0 (en) 2007-02-14
CN1981099A (en) 2007-06-13
GB2429721A (en) 2007-03-07
CN1981099B (en) 2010-09-29
WO2006001713A1 (en) 2006-01-05
NZ533777A (en) 2004-09-24
US20080022622A1 (en) 2008-01-31
AU2005257680B2 (en) 2008-12-11
GB2429721B (en)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00B1 (en) Anchor for handling building elements, in particular a concrete panel
JP2009534558A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walls using filler materials, especially earth
KR20070028562A (en) Controlling cracks in cementitious materials
US20080066404A1 (en) Corner support
CN203160528U (en) Precast concrete trough plate
CN207934330U (en) Composite beam
CN207959532U (en) A kind of structure that wallboard is connect with coupling beam
TW202022197A (en) Block that includes a body having one end protruded to form an end block and an opposite end recessed to form an end groove
KR200227273Y1 (en) Brick
KR100538832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Precast Deck and Girder Using Railing System
KR20190126549A (en) steel reinforcement fixture
JP3129129U (en) Foundation structure for house building.
CN209637108U (en) Assembly concrete beam
JP4298435B2 (en) Embedding material, embedding material unit, and piping arrangement method
CN209509278U (en) A kind of prefabricated slab combination
CN209353372U (en) Structure is built in the room for being built in the underground space
JP5640436B2 (en) Precast concrete building method and precast concrete column beam structure
KR20160097031A (en) the hollow materia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light slab structure using the same
JP3398433B2 (en) Roof or balcony waterproofing construction method
JP2020172786A (en) Precast concrete plate and hollow slab structure
JP3102557U (en) Joint material for precast PC board
JP4598221B2 (en) Slope ceiling
WO2016120910A1 (en) Roof structure
KR101115371B1 (en) Edge Units for Fiber Reinforced Plastics Deck, and Fiber Reinforced Plastics Deck having Such Edge Units
JP2003003573A (en) Method for connecting reinforced concrete precast b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