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7379A -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379A
KR20070027379A KR1020050082892A KR20050082892A KR20070027379A KR 20070027379 A KR20070027379 A KR 20070027379A KR 1020050082892 A KR1020050082892 A KR 1020050082892A KR 20050082892 A KR20050082892 A KR 20050082892A KR 20070027379 A KR20070027379 A KR 20070027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rear panel
mode
ho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782B1 (ko
Inventor
정윤석
주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78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코더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이 음성 통화를 하거나 동영상 녹화 시, 전방향성 또는 단방향성으로 지향성 조절이 가능한 하나의 마이크로폰으로 음성 통화와 동영상 녹화에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진동판의 후면을 소정 거리에서 막기 위한 후방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 패널에 홀을 형성하여, 그 홀의 크기를 가변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지향성 조절이 가능한 마이크로폰 모듈과, 상기와 같이 크기 조절이 가능한 홀을 형성한 후방 패널을 일체로 구비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구동 모드에 따라 후방 패널의 홀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마이크로폰 제어 장치와, 상기 마이크로폰의 구동 모드가 단방향성 모드인지 전방향성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지향 모드에 따라 마이크로폰의 후방 패널에 형성된 홀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이크로폰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MICROPHONE AND THE CONTROL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형 후방 패널을 구비한 마이크로폰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진동판 102 : 전방 패널
103 : 셔터형 후방 패널 104 : 모터
201 : 후방 패널을 구성하는 날개 202 : 중심 홀
301 : 마이크로폰 302 : 제어부
303 : 모터 구동부 304 : 모터
305 : 셔터 구동부 306 : 셔터형 후방 패널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코더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이 음성 통화를 하거나 동영상 녹화 시, 전방향성(Omni Directional) 또는 단방향성(Uni-Directional)으로 지향성 조절이 가능한 하나의 마이크로폰으로 음성 통화와 동영상 녹화에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음성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는데, 이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단순한 부가 서비스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와 같이 기존에 별개의 장치에서 수행하던 기능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 통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각 기능들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캠코더 기능을 결합할 경우, 음성 통화용 마이크로폰과 캠코더용 마이크로폰을 별도로 장착해야 한다. 즉, 동영상 녹화 시에는 단방향성(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사운드를 입력받도록 하고, 음성 통화 시에는 전방향성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어느 위치에서든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입력받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음성 통화 기능과 캠코더 기능은 서로 독립된 기능으로서, 어느 한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른 기능은 사용하지 못한다. 즉, 음성 통화중에 동영상을 녹화하는 경우가 없고, 반대로 동영상 녹화 중에 음성 통화를 하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동시에 두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데도 각 기능을 위해 별도의 마이크로폰을 장착함으로써, 단말기의 제작 단가를 상승시키고 기구적으로 마이크로폰의 실장에 제약이 있으며, 단말기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전방향성(Omni Directional) 또는 단방향성(Uni-Directional)으로 지향성 조절이 가능한 마이크로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폰의 지향성을 전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진동판의 후면을 소정 거리에서 막기 위한 후방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 패널에 홀을 형성하여, 그 홀의 크기를 가변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지향성 조절이 가능한 마이크로폰 모듈의 제공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 조절이 가능한 홀을 형성한 후방 패널을 일체로 구비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구동 모드에 따라 후방 패널의 홀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마이크로폰 제어 장치의 제공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방향/전방향 지향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마이크로폰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구동 모드가 단방향성 모드인지 전방향성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지향 모드에 따라 마이크로폰의 후방 패널에 형성된 홀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이크로폰 제어 방법의 제공을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방향성 또는 단방향성으로 지향성을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의 제공을 요지로 하는 것으로, 캠코더 기능을 결합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또는 동영상 녹화를 수행할 경우, 각각의 목적에 맞도록 마이크로폰의 지향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와 방법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종래 마이크로폰의 구조를 살펴보면 공기의 진동으로 음성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판과, 그 진동판으로부터 적절한 공간을 유지하면서 모듈 전체를 감싸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음성이 입력되는 전면 방향으로 진동판(101)을 지지하기 위한 전방 패널(102)과, 상기 진동판의 후면을 소정 거리에서 막고 있으면서, 지향성 조절을 위해 그 중심 홀의 크기를 가변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셔터형 후방 패널(103)과, 상기 후방 패널의 셔터 날개를 고정하거나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중심 홀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10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모터와 후방 패널은 벨트 또는 기어와 같은 운동 전달 수단을 통해 결합하거나, 모터와 후방 패널을 직접 연결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셔터형 후방 패널은 2∼5장의 얇은 금속판으로 된 부채 모양의 날개로 구성되는 일종의 센트럴 셔터로서, 카메라에 사용되는 셔터의 경우 촬영 순간에만 열렸다 바로 닫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열리는 시간과 닫히는 시간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열려있게 하거나 닫혀있게 한다.
상기 셔터형 후방 패널을 구비한 마이크로폰의 배면도를 도2에 도시하였다.
도2를 참조하면, 셔터형 후방 패널을 구성하는 각 날개(201)의 회전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셔터를 열리거나 닫히게 하여 중심 홀(202)의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중심 홀(202)의 크기를 조절하는 이유는, 진동판의 후방에 있는 홀의 크기와 기구물의 반사가 주파수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성 변화는 마이크로폰의 기구 형태에 따라 불규칙하게 발생하므로 특정 데이터를 산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방 패널의 중심 홀 사이즈를 조절하면서, 후방 노이즈의 감쇠정도를 측정하여 그 정보에 의해 지향성을 판단한다. 즉, 노이즈가 최소화되는 시점이 단방향 지향성이 최대가 되는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럼, 상기와 같은 셔터형 후방 패널을 구비한 마이크로폰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2)는 마이크로폰 구동 모드(단방향성 지향모드, 전방향성 지향모드)에 따라, 모터(304)를 구동하여 셔터형 후방 패널(306)을 열거나 닫는다.
예컨대, 전방향 모드로 구동할 경우 후방 패널을 닫고, 단방향 모드로 구동 할 경우 후방 패널을 여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상기 열림/닫힘 제어는 반드시 고정된 것은 아니며 주파수 특성에 따라 열거나 닫힘 정도를 제어한다.
상기 열림/닫힘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302)는 마이크로폰(301)으로부터 입력되는 노이즈 정보를 분석하여 노이즈가 최소화되는 시점을 판단하고, 그 시점에서의 후방 패널의 셔터 상태를 고정시킨다.
다음, 모터 구동부(303)는 상기 제어부(302)의 제어신호를 받아 모터(304)를 구동하게 된다. 즉, 제어신호와 실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이 다를 수 있으며, 모터의 종류(직류, 스텝핑 등)에 따라서도 구동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음, 모터(304)는 셔터형 후방 패널(306)의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운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마이크로폰 모듈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포함시키지 않을 수도 있으나, 정밀 제어가 가능하고 소형인 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304)의 회전력을 벨트나 기어 등을 통해 셔터 구동부(305)에 전달되는데, 통상적으로 지레, 용수철, 톱니바퀴, 캠 그리고 이것들을 고정하거나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핀·나사·기판(基板) 등으로 구성하고, 상기 모터(304)의 회전에 따라 실제로 셔터를 열거나 닫는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단방향/전방향 마이크로폰을 장착한 장치에서 선택한 구동 모드를 판단한다(S101). 즉, 상기 장치에서 선택한 마이크로폰의 구동 모드가 단방향 모드인지 전 방향 모드인지에 따라 셔터의 열림/닫힘 정도를 제어한다.
예컨대, 단방향 모드에서는 셔터를 열고 전방향 모드에서는 셔터를 닫아야 될 경우, 상기 판단된 마이크로폰 구동 모드가 단방향 모드이면, 도3에서 제어부(302)는 셔터 열림 방향으로 모터(304)를 제어한다(S102, S103).
그리고, 상기 셔터 열림 제어와 동시에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노이즈를 측정하여(S104), 노이즈가 최소가 되는 시점을 검출하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105, S106). 즉, 모터의 구동이 정지될 경우 셔터의 열림도 중지되므로 그때의 셔터 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판단된 마이크로폰 구동 모드가 전방향 모드이면, 제어부(302)는 셔터 닫힘 방향으로 모터(304)를 제어한다(S107, S108). 이때, 셔터가 최대로 닫히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109). 이때, 상기 마이크로폰의 구동 모드에 따른 열림/닫힘 제어는 한가지 예 일뿐, 마이크로폰 모듈의 기구적 특성이나 주파수 특성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제어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은 전방향성 또는 단방향성으로 지향성 조절이 가능한 마이크로폰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마이크로폰으로 다양한 기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이 복수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에서 상기 지향성 조절이 가능한 마이크로폰을 적용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낮추고 기구적으로 실장이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해당 장치의 무게와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지향성 조절을 위한 마이크로폰에 있어서,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진동판의 후면을 소정 거리에서 막기 위한 후방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 패널에 홀을 형성하여, 그 홀의 크기를 가변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은 다수의 판(날개)을 부채 모양으로 겹쳐 구성하고, 그 날개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겹침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의 각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그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각 날개를 구동하기 위한 운동 전달 수단을 결합하여 모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에 형성하는 홀은 그 후방 패널의 중심에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5. 크기 조절이 가능한 홀을 형성한 후방 패널을 일체로 구비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구동 모드에 따라 후방 패널의 홀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는 단방향성 지향모드와 전방향성 지향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제어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홀 크기의 조절과 동시에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노이즈 정보를 분석하여, 노이즈가 최소화되는 시점을 단방향성 지향모드에 적합한 홀 크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제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패널의 홀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제어 장치.
  9. 단방향/전방향 지향 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마이크로폰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의 구동 모드가 단방향성 모드인지 전방향성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지향 모드에 따라 마이크로폰의 후방 패널에 형성된 홀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 모드 판단 후 노이즈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해당 모드에서 노이즈가 최소가 되는 시점에서 홀 크기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 모드 판단 후 해당 모드에서의 홀 크기를 미리 지정된 최대 크기 또는 최소 크기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제어 방법.
KR1020050082892A 2005-09-06 2005-09-06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 KR101143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892A KR101143782B1 (ko) 2005-09-06 2005-09-06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892A KR101143782B1 (ko) 2005-09-06 2005-09-06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379A true KR20070027379A (ko) 2007-03-09
KR101143782B1 KR101143782B1 (ko) 2012-05-11

Family

ID=3810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892A KR101143782B1 (ko) 2005-09-06 2005-09-06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7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4442A1 (zh) * 2018-03-13 2019-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拾音设备、声音输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2331442B1 (ko) 2020-08-07 2021-12-01 안운기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6217B2 (ja) 2001-09-28 2006-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型通信機器及び同機器用マイクロホン装置
US20050105755A1 (en) 2003-11-17 2005-05-19 Wen Hsiang Yueh Modified earphone structure having closable opening
KR20060090126A (ko) * 2005-02-07 2006-08-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피커 시스템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4442A1 (zh) * 2018-03-13 2019-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拾音设备、声音输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0278512A (zh) * 2018-03-13 2019-09-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拾音设备、声音输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2331442B1 (ko) 2020-08-07 2021-12-01 안운기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782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59967A1 (zh) 一种光圈、摄像模组及电子设备
US7233679B2 (en) Microphone system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20160330537A1 (en) Hybrid headset tuned for open-back and closed-back operation
CN207968904U (zh) 微型扬声器组件以及电声换能器组件
US9357299B2 (en) Active protection for acoustic device
US7316514B2 (en) Light controller and image pickup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7595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obile station and hearing aid compatibility
US20110110550A1 (en) Microphone with Variable Low Frequency Cutoff
US7568849B2 (en) Light quantity adjusting device
CN108966090B (zh) 用于定向性和分散控制的扬声器系统和配置
JP2006109467A (ja) 2つの圧力勾配カプセルを有するマイクロフォン
CN110267157B (zh) 移动终端
KR101143782B1 (ko)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
US8433378B2 (en) Audio driver housing with expandable chamb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WO2018110247A1 (ja) 羽根駆動装置
US6160896A (en) Variable frequency response microphone porting system
SE520990C2 (sv) Mobiltelefonapparat
JP2016032234A (ja) 単一指向性接話マイクロホンおよびマイクロホンキャップ
CN112615950B (zh) 电子设备
WO2001069967A2 (en) Acoustical and electrical switch for a directional microphone
US11674306B2 (en) Smart dynamic acoustic ceiling panel
KR100467650B1 (ko)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를 갖는 소형 카메라용 셔터장치
US20220159374A1 (en) Audio Devices Having Multiple States
US20230086021A1 (en) Dynamic valve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230379637A1 (en) Shape memory alloy valve for a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