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442B1 -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442B1
KR102331442B1 KR1020200099454A KR20200099454A KR102331442B1 KR 102331442 B1 KR102331442 B1 KR 102331442B1 KR 1020200099454 A KR1020200099454 A KR 1020200099454A KR 20200099454 A KR20200099454 A KR 20200099454A KR 102331442 B1 KR102331442 B1 KR 102331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ound
reception
reception volum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운기
안준기
Original Assignee
안운기
안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운기, 안준기 filed Critical 안운기
Priority to KR102020009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영상 촬영시 다방향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장치는, 전방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전방 마이크와; 후방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후방 마이크와; 상기 전방 마이크 및 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마이크는, 상기 영상촬영 장치의 본체 외측에 선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후방 마이크는, 상기 영상촬영 장치의 본체 외측에 선단부 지향 방향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에 복수개의 마이크를 설치함으로써, 전 방향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MICROPHONE EQUIPMENT FOR RECEIVING MULTI DIRECTION SOUND}
본 발명은 이동 영상 촬영시 다방향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촬영이 가능한 영상 촬영 카메라에 복수개의 마이크를 설치하여 전 방향에서 수신되는 음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저장함으로써, 1인이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음향을 녹음할 수 있는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뉴스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인터뷰 장면을 녹음하는 경우, 영상 촬영은 촬영 감독이 수행하고 음향 녹음은 아나운서나 PD 등의 진행자가 마이크를 잡고 인터뷰 상대방과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마이크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진행자 자신의 음성과 인터뷰 상대방의 음성이 적절한 음량으로 조절되어 녹음되게 된다.
이와 같이 2인 1조로 영상 및 음향을 녹음하는 경우에는 음향 녹음의 품질 저하가 별로 문제되지 않는다.
한편, 최근에는 1인 방송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이 경우에는 1인의 방송자가 영상 촬영 및 음향 녹음을 동시에 수행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1인이 영상 촬영과 인터뷰 등의 음향 녹음을 동시에 하는 경우, 영상 촬영을 위하여는 인터뷰 상대방과 촬영 카메라는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여야만 하며, 음향 녹음을 위한 마이크는 지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관계상 촬영 카메라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 카메라에 설치된 마이크와 인터뷰를 진행하는 영상 촬영자와의 거리는 근접하여 위치하게 되나, 인터뷰 상대방과 마이크와의 거리는 상당히 떨어지게 되어 인터뷰 진행자와 인터뷰 상대방의 음성을 적절한 음량으로 조절하여 녹음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719호(2010.01.22)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27379호(2007.03.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자 별로 음향 녹음 설비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영상 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인터뷰 진행자와 인터뷰 상대방 등의 대상자 음성을 적절한 음량으로 녹음할 수 있는 이동 영상 촬영시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이동 영상 촬영시 다방향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장치는, 전방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전방 마이크와; 후방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후방 마이크와; 상기 전방 마이크 및 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마이크는, 상기 영상촬영 장치의 본체 외측에 선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후방 마이크는, 상기 영상촬영 장치의 본체 외측에 선단부 지향 방향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마이크 및 후방 마이크는, 소음 제거 필터 적용 유무에 따라 마이크 지향 방향의 음향이 집중되어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마이크는, 음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 모듈과; 상기 마이크 모듈과 상기 제어부의 전기적 연결 통로이며 마이크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마이크 모듈을 커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원통형 케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원통형 케이스들은 인출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케이스들 중 최내측 케이스의 외측에는 상기 최내측 케이스를 둘러 싸는 시트(sheet) 형상의 음향 모음판이 구비되고, 상기 음향 모음판은, 상기 최내측 케이스가 외부로 돌츨시 탄발되어 상기 최내측 케이스의 주위에 파라볼라 형태로 전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마이크는, 음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 모듈과; 상기 마이크 모듈과 상기 제어부의 전기적 연결 통로이며 마이크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마이크 모듈을 커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본체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며, 다단으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중간 케이스와; 상기 중간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어 최내측 케이스를 형성하되, 벤딩(bending) 가능하도록 구성된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는, 힘을 가하면 변형이 가능한 자바라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바라 파이프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의 외주에 권취되는 금속 와이어와; 상기 금속 와이어의 외주를 둘러싸는 벤딩 가능한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향과 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의 수신 음량을 기 설정된 수신 모드로 제어하되, 상기 수신 모드는, 전방 마이크 수신 음량이 후방 마이크 수신 음량에 비하여 크게 설정된 전방 수신 모드와; 후방 마이크 수신 음량이 전방 마이크 수신 음량에 비하여 크게 설정된 후방 수신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방 수신 모드 및 후방 수신 모드로 변환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 모드를 설정함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이 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전방 수신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이 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보다 작은 경우 후방 수신 모드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전방 수신 모드 시 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과 후방 수신 모드 시 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비교하여, 전방 마이크의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후방 마이크의 수신 음량을 증폭 또는 감쇄시키거나, 또는 후방 마이크의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전방 마이크의 수신 음량을 증폭 또는 감쇄시키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전방 마이크의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후방 마이크의 수신 음량을 증폭 또는 감쇄시키하는 경우, 전방 마이크의 수신 음량을 가준 범위 내로 증폭 또는 감쇄시키거나, 후방 마이크의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전방 마이크의 수신 음량을 증폭 또는 감쇄시키하는 경우, 후방 마이크의 수신 음량을 기준 범위 내로 증폭 또는 감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는,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에 복수개의 마이크를 설치함으로써, 다방향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촬영 장치의 전방에는 전방 음향을 수신하는 전방 마이크를 설치하고, 후방에는 후방 음향을 수신하는 후방 마이크를 각각 설치하고, 음향 수신 모드를 선택적으로 변환함으로써, 전방 음향의 주된 음향원인 인터뷰 상대방의 음성과 후방 음향의 주된 음향원인 인터뷰 진행자의 음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전방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음향의 음량과 후방 마이크에서 수신되는 음향의 음량을 상호 비교하여 평준화시킴으로써, 마이크와 음향원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각각의 음향을 적절한 음량으로 제어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에 사용되는 전방 마이크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에 사용되는 후방 마이크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전방 마이크와 후방 마이크의 음향 제어를 도시한 로직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에 대하여 바람직한 구현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는 1인이 영상 촬영과 음향 녹음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마이크 장치(B)는 이동 영상 촬영을 위한 영상 촬영 카메라(A)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마이크 장치(B)는, 전방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전방 마이크(10)와, 후방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후방 마이크(20)와, 상기 전방 마이크(10) 및 후방 마이크(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 마이크(10)는, 상기 영상촬영 장치의 본체(A) 외측에 설치되어 선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마이크(20)는, 상기 영상촬영 장치의 본체(A) 외측에 설치되어 선단부 지향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의 하나의 특징은, 상기 전방 마이크(10)와 후방 마이크(20)가 평상시에는 360°전방위의 음향을 수신하되, 주변 소음 소거 기능을 작동 시키게 되면, 마이크가 지향하는 방향의 음향이 포커싱되어 집중적으로 수신되며 주변 소리는 줄어들어 화자의 소리만 선명하게 수음할 수 있는 점에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전방 마이크(10)와, 후방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후방 마이크(20)는 주변 소음 제거 기능 온(on)시 전방 입사 음향과 후방 입사 음향을 각각 명료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수신 음향을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개인별 음향 녹음 설비를 갖추지 아니하고 촬영을 진행하는 경우, 영상 촬영 카메라(A)의 후방에서 입사되는 음향과, 영상 촬영 카메라(A)의 전방에서 입사되는 인터뷰 대상자 등의 음성을 각각 전방 마이크(10)와 후방 마이크(20)를 통해 고감도로 제어하여 녹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후방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은 후방 마이크(20) 방향에 위치하는 다양한 사용자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1인의 촬영자가 영상 촬영과 동시에 인터뷰를 진행하고, 전방 마이크(10)에는 인터뷰 상대방의 음성이 입력되고, 후방 마이크(20)에는 영상 촬영자이자 인터뷰 진행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상기 전방 마이크(1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마이크(10)는 음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 모듈(미도시)과, 상기 마이크 모듈과 제어부의 전기적 연결 통로이며 마이크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11)와, 상기 마이크 모듈을 커버하는 덮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2)는 상기 마이크 모듈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이크 모듈의 주위 공간을 둘러싸는 구성으로, 메쉬(mesh) 형태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바디부(11)는,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원통형 케이스들(11a, b, 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원통형 케이스들(11a, b, c)은 인출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이에 의하여 바디부(11)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영상 촬영 카메라를 휴대하고 있는 영상 촬영자 즉 인터뷰 진행자와 인터뷰 상대방과의 거리를 어느 정도 유지한 채 상기 원통형 케이스들(11a, b, c)을 전방으로 인출하여 인터뷰를 진행하고 인터뷰 상대방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샷건 마이크는 일반적으로 지향성 마이크로 수음하는데 화자의 소리는 물론 약간의 주변 소리가 들어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마이크의 바디부(11)를 길게 빼면 초지향성으로 변하여 마이크가 지향하는 방향의 수음을 보다 명확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케이스들(11a, b, c) 중 최내측 케이스(11c)의 외측에는 상기 최내측 케이스(11c)를 둘러 싸는 시트(sheet) 형상(13a)의 음향 모음판(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향 모음판(13)은, 상기 최내측 케이스(11c)가 외부로 돌츨시 최내측 케이스(11c)의 외측에 결합된 스프링(13b)의 스프링 힘에 의해 탄발되어 최내측 케이스(11c)의 주위에 파라볼라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모음판(13)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의 얇은 박판(13a)이 좁고 기다란 형태로 복수 개 분할되어 상기 최내측 케이스(11c)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최내측 케이스(11c)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박판(13a) 하단부는 외측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 형태(13b)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박판들(13a)은 최내측 케이스(11c)가 중간 케이스(11b)의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외측을 향하여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박판들(13a)은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파라볼라 형태로 전개된 음향 모음판(13)이 전방에서 입사되는 여러 가지 음향 중 선택적으로 마이크 전방에 위치한 인터뷰 상대방의 음성을 집중적으로 수렴하여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파라볼라 형태로 전개된 복수 개의 박판(13a)은 최내측 케이스(11c)를 중간 케이스(11b) 내부로 삽입시킴에 따라 최내측 케이스(11c)와 함께 중간 케이스(11b)의 내측으로 모아져 삽입되게 된다.
한편 도 3은 상기 후방 마이크(2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후방 마이크(20)는 전방 마이크(10)와 동일하게, 음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 모듈과, 상기 마이크 모듈과 상기 제어부의 전기적 연결 통로이며 마이크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21)와, 상기 마이크 모듈을 커버하는 덮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후방 마이크(20)의 바디부(21)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의 본체(A), 즉 카메라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21a)와, 상기 외부 케이스(21a)의 내측에 삽입되며, 다단으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중간 케이스(21b)와, 상기 중간 케이스(21b)의 내측에 삽입되어 최내측 케이스를 형성하되, 벤딩(bending) 가능하도록 구성된 내부 케이스(2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21c)는, 힘을 가하면 변형이 가능한 자바라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바라 파이프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내주면(21cA)과, 상기 내주면(21cA)의 외주에 권취되는 얇은 금속 와이어(21cB)와, 상기 금속 와이어(21cB)의 외주를 둘러싸는 벤딩 가능한 플라스틱재(21c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케이스(21c)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으며 또한 원래의 형태로 다시 복원시킬 수도 있다.
즉, 후방 마이크(20)의 주된 음향원인 영상 촬영자는 영상 촬영 카메라를 상하 및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촬영을 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후방 마이크(20)의 위치와 영상 촬영자의 말하는 입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마이크(2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특히 내부 케이스(21c)를 자바라 타입으로 구성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굽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방 마이크(20)의 위치를 최대한 영상 촬영자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하여, 영상 촬영자의 음성 녹음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에서 수신되는 음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전방 마이크(1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과, 후방 마이크(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전방 수신 모드 및 후방 수신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 수신 모드란 전방 마이크(10) 수신 음량이 후방 마이크(20) 수신 음량에 비하여 크게 설정된 모드이고, 후방 수신 모드는 후방 마이크(20) 수신 음량이 전방 마이크(10) 수신 음량에 비하여 크게 설정된 모드를 의미한다.
즉, 전방 수신 모드는 주로 전방에서 입사되는 음향을 녹음하기 위한 모드로서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전방 마이크(10)에서 수신되는 음향의 100 내지 90%를 반영한 음량으로 전방 마이크(10)의 수신 음향을 저장하며, 후방 마이크(20)에서 수신되는 음향의 10 내지 20%를 반영한 음량으로 후방 마이크(20)의 수신 음향을 저장하게 된다.
한편 후방 수신 모드는 주로 후방에서 입사되는 음향을 녹음하기 위한 모드로서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후방 마이크(20)에서 수신되는 음향의 100 내지 90%를 반영한 음량으로 후방 마이크(20)의 수신 음향을 저장하며, 전방 마이크(10)에서 수신되는 음향의 10 내지 20%를 반영한 음량으로 전방 마이크(10)의 수신 음향을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방 수신 모드 및 후방 수신 모드로의 변환은 사용자 즉 영상 촬영자의 입력에 의하여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자 즉 인터뷰 진행자가 질문을 하는 경우에는 후방 수신 모드로 설정하고, 인터뷰 상대방이 발언하는 경우에는 전방 수신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방 수신 모드 및 후방 수신 모드로의 변환은 영상 촬영 카메라 외부에 설치된 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 마이크(10)는 전방 수신 모드에서 전방으로부터의 주된 음향원 즉 인터뷰 상대방의 음성을 고감도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방 마이크(20) 역시 후방 수신 모드에서 후방으로부터의 주된 음향원 즉 영상 촬영자이자 인터뷰 진행자의 음성을 고감도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방 수신 모드의 경우에는 후방 마이크(20)에서 수신되는 음향을 일부 반영하고, 후방 수신 모드의 경우에는 전방 마이크(10)에서 수신되는 음향을 일부 반영함으로써 보다 현장감 있고 입체적인 음향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신 모드의 변환은 제어부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전방 마이크(10)와 후방 마이크(20)에서 수신되는 음향의 자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로직 다이어그램이다.
먼저, 촬영을 시작하게 되면 전방 마이크(10)와 후방 마이크(20)는 각각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방 마이크(10)와 후방 마이크(20)로 각각 입사되는 음향을 수신하게 된다(S110, S120). 이어서, 제어부는 전방 마이크(10)에 수신되는 수신 음량과 후방 마이크(20)에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비교하여(S130), 전방 마이크(1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이 후방 마이크(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전방 수신 모드로 변환되고(S310), 전방 수신 모드에 의해 전방 마이크(10)와 후방 마이크(20)로 각각 입사되는 음향을 수신하게 된다(S320).
한편, 전방 마이크(1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이 후방 마이크(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후방 수신 모드로 변환되고(S210), 후방 수신 모드에 의해 후방 마이크(20)와 전방 마이크(10)로 각각 입사되는 음향을 수신하게 된다(S320).
이와 같은 자동 변환의 경우, 사용자가 미리 인터뷰 상황을 예측하여 수신 모드를 변경하는 것에 비하여, 전방 마이크(1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과 후방 마이크(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비교한 후 수신 모드가 변환되기 때문에 시간 지연이 있을 수 있으나, 영상 촬영자가 음향 녹음에 신경을 쓰지 않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전방 수신 모드 시 전방 마이크(1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과 후방 수신 모드 시 후방 마이크(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비교하여, 각각의 수신 음량을 평준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신 음량의 평준화는 전방 마이크(10)의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후방 마이크(20)의 수신 음량을 증폭 또는 감쇄시키거나, 또는 후방 마이크(20)의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전방 마이크(10)의 수신 음량을 증폭 또는 감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즉, 전방 수신 모드와 후방 수신 모드가 교대로 수차에 걸쳐 진행되는 경우(인터뷰 등), 전방 수신 모드 시 주된 입력인 전방 마이크(1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과 후방 수신 모드 시 주된 입력인 후방 마이크(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의 편차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재생했을 경우 일정 모드의 음향, 예를 들어 후방 수신 모드 시에는 음향이 크게 재생되어 청취되고, 전방 수신 모드 시에는 음향이 작게 재생되어 청취되는 부조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전방 수신 모드 시 전방 마이크(1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과 후방 수신 모드 시 후방 마이크(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비교하게 된다(S230). 그 결과, 수신 음량의 편차가 기 설정된 범위 보다 클 경우, 예를 들어 전방 수신 모드 시 전방 마이크(1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후방 수신 모드 시 후방 마이크(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이 기준치의 50% 이상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전방 수신 모드의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후방 수신 모드의 수신 음량을 증폭시킬 수 있다(S240). 또는 후방 수신 모드 시 후방 마이크(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전방 수신 모드 시 전방 마이크(10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이 기준치의 50% 이상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후방 수신 모드의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전방 수신 모드의 수신 음량을 증폭시킬 수 있다(S240).
이 경우, 후방 수신 모드 시 후방 마이크(20)의 수신 음량 즉 영상 촬영자는 비교적 후방 마이크(20)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고 촬영자 또한 동일인으로서 일정한 수신 음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나, 전방 수신 모드 시에는 인터뷰 상대방이 불특정 다수로서 각각의 음량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마이크와의 거리 또한 수시로 변화할 수 있으므로 후방 수신 모드를 기준으로 전방 수신 모드의 수신 음량을 증폭 또는 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방 마이크(10)의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후방 마이크(20)의 수신 음량을 증폭 또는 감쇄시키거나, 후방 마이크(20)의 수신 음량을 기준으로 전방 마이크(10)의 수신 음량을 증폭 또는 감쇄시키는 경우에도, 기준이 되는 전방 마이크(10)의 수신 음량 또는 후방 마이크(20)의 수신 음량의 절대치가 매우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기준이 되는 전방 마이크(10)의 수신 음량 또는 후방 마이크(20)의 수신 음량의 절대치가 매우 크거나 작을 경우 이를 소정의 설정치 범위로 증폭 또는 감쇄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에 복수개의 마이크를 설치하고, 상기 마이크의 음향 수신 모드를 선택적으로 변환함으로써, 전방 음향의 주된 음향원인 인터뷰 상대방의 음성과 후방 음향의 주된 음향원인 인터뷰 진행자의 음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전방 마이크(10)에서 수신되는 음향의 음량과 후방 마이크(20)에서 수신되는 음향의 음량을 상호 비교하여 평준화시킴으로써, 마이크와 음향원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각각의 음향을 적적한 음량으로 제어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촬영이 가능한 영상 촬영 카메라에 복수개의 마이크를 설치하여 전 방향에서 수신되는 음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저장함으로써, 1인이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효과적으로 음향을 녹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전방 마이크 11 : 보디부
11a : 외부 케이스 11b : 중간 케이스
11c : 내부 케이스 12 : ‰u개부
20 : 후방 마이크 21 : 보디부
21a : 외부 케이스 21b : 중간 케이스
21c : 내부 케이스 22 : ‰u개부
21cA : 내주면 21cB : 금속 와이어
21cC : 플라스틱재
A : 영상 촬영 카메라
B : 마이크 장치

Claims (8)

  1. 영상촬영 장치에 설치되어 이동 영상 촬영시 다방향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장치는,
    전방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전방 마이크와;
    후방 음향을 입력받기 위한 후방 마이크; 그리고
    상기 전방 마이크 및 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마이크는, 상기 영상촬영 장치의 본체 외측에 선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후방 마이크는, 상기 영상촬영 장치의 본체 외측에 선단부 지향 방향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방 마이크는,
    음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 모듈과;
    상기 마이크 모듈과 상기 제어부의 전기적 연결 통로이며 마이크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 그리고
    상기 마이크 모듈을 커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는,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원통형 케이스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원통형 케이스들이 인출 가능하게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케이스들 중 최내측 원통형 케이스의 외측에는,
    상기 최내측 원통형 케이스를 둘러 싸는 시트(sheet) 형상의 음향 모음판이 구비되고:
    상기 음향 모음판은,
    상기 최내측 원통형 케이스가 외부로 인출시 탄발되어 상기 최내측 원통형 케이스의 주위에 파라볼라 형태로 전개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향과 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의 수신 음량을 기 설정된 수신 모드로 제어하되,
    상기 수신 모드는,
    전방 마이크 수신 음량이 후방 마이크 수신 음량에 비하여 크게 설정된 전방 수신 모드와;
    후방 마이크 수신 음량이 전방 마이크 수신 음량에 비하여 크게 설정된 후방 수신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전방 수신 모드 시 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과 후방 수신 모드 시 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을 비교하여, 상기 전방 마이크 수신음량과 상기 후방 마이크 수신음량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이르도록, 상기 전방 마이크 또는 상기 후방 마이크 중 어느 하나의 수신음량을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마이크 수신음량을 증폭 또는 감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마이크 및 후방 마이크는,
    소음 제거 필터 적용 유무에 따라 마이크 지향 방향의 음향이 집중되어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마이크는,
    음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 모듈과;
    상기 마이크 모듈과 상기 제어부의 전기적 연결 통로이며 마이크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마이크 모듈을 커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영상촬영 장치의 본체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며, 다단으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중간 케이스와;
    상기 중간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어 최내측 케이스를 형성하되, 벤딩(bending) 가능하도록 구성된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힘을 가하면 변형이 가능한 자바라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바라 파이프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의 외주에 권취되는 금속 와이어와;
    상기 금속 와이어의 외주를 둘러싸는 벤딩 가능한 플라스틱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방 수신 모드 및 후방 수신 모드로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 모드를 설정함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이 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전방 수신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이 후방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량보다 작은 경우 후방 수신 모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수음 마이크 장치.
KR1020200099454A 2020-08-07 2020-08-07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 KR102331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454A KR102331442B1 (ko) 2020-08-07 2020-08-07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454A KR102331442B1 (ko) 2020-08-07 2020-08-07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442B1 true KR102331442B1 (ko) 2021-12-01

Family

ID=7893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454A KR102331442B1 (ko) 2020-08-07 2020-08-07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4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79A (ko) * 2002-02-09 200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음향취득장치가 결합 가능한 캠코더
KR100653868B1 (ko) * 2005-12-26 2006-12-05 (주)모든넷 테이블 내장형 마이크 유닛
KR20070027379A (ko) 2005-09-0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
KR20100000719A (ko) 2008-06-25 2010-01-06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X선 조사 시스템 및 x선 조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79A (ko) * 2002-02-09 200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음향취득장치가 결합 가능한 캠코더
KR20070027379A (ko) 2005-09-0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폰 및 그 제어장치와 방법
KR100653868B1 (ko) * 2005-12-26 2006-12-05 (주)모든넷 테이블 내장형 마이크 유닛
KR20100000719A (ko) 2008-06-25 2010-01-06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X선 조사 시스템 및 x선 조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274B1 (ko) 조정가능한 오디오 채널들을 갖는 음성 제어 오디오 레코딩 또는 전송 장치
CN111724823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10178490B1 (en) Intelligent audio rendering for video recording
US8184180B2 (en) Spatially synchronized audio and video capture
US9392353B2 (en) Headset interview mode
US20080174665A1 (en) Audio source tracking arrangement
US8335321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US20140350935A1 (en) Voice Controlled Audio Recording o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Keyword Filtering
US20150208171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ovi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00195838A1 (en) Apparatus including microphone arrangements
US20100254543A1 (en) Conference microphone system
US839066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all
US20040001137A1 (en) Integrated design for omni-directional camera and microphone array
CN1956601A (zh) 音频再现设备与音频再现方法
US20120099829A1 (en) Recording level adjustment using a distance to a sound source
JP2011507386A (ja) マイクロフォン装置
JP4411959B2 (ja) 音声集音・映像撮像装置
JP5020845B2 (ja) 音声処理装置
KR102331442B1 (ko) 다방향 수음을 위한 마이크 장치
CN113225646A (zh) 音视频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2308597B (zh) 会议传声系统
FI77347B (fi) Anordning foer att goera laettare samtidigt tittande och lyssnande pao ett avlaegset objekt.
JP2006067355A (ja) 録音装置
JPH10155107A (ja) マイクロホン内蔵型ビデオカメラ
CN220043611U (zh) 微型指向性录音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