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7008A -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008A
KR20070027008A KR1020050079337A KR20050079337A KR20070027008A KR 20070027008 A KR20070027008 A KR 20070027008A KR 1020050079337 A KR1020050079337 A KR 1020050079337A KR 20050079337 A KR20050079337 A KR 20050079337A KR 20070027008 A KR20070027008 A KR 20070027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processor
audio inpu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9503B1 (ko
Inventor
신동영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5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는 프로세서;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부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디코딩하는 디코딩 데이터를 상기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 상기 디코딩 데이터 및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에 상기 데이터 메모리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프로세서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전송하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제어 신호 및 메모리 입력 데이터-상기 메모리 입력 데이터는 상기 디코딩 데이터 및 외부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임-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권한 부여된 프로세서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로 디코딩 데이터 및 외부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를 전송하는 오디오 응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제어기가 프로세서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의 데이터 메모리 액세스를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메모리가 공유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메모리, 프로세서, 오디오, 인코딩, 디코딩, 메모리 제어기, 액세스

Description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SHARING DATA MEMORY WITH PROCESSOR AND AUDIO INPUT/OUTPUT CONTROLLER AND APPARATUS THEREFO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디오 응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디코딩 시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의 데이터 메모리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인코딩 시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의 데이터 메모리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응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디코딩 시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의 데이터 메모리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인코딩 시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의 데이터 메모리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의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공유하면서 데이터 메모리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의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오디오 신호의 전송 효율 및 저장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압축하는 인코딩 과정과 이를 그 압축을 푸는 디코딩 과정을 일반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오디오 응용 장치는 프로세서(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중앙처리장치 등을 포함함)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는 주변 장치인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연결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디오 응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응용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100)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는 하나의 데이터 메모리(102)를 공유하면서, 프로세서(100)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가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부터 입력 받아 데이터 메모리(102)에 저장한 데이터를 읽어와 인코딩하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는 프로세서(100)가 디코딩하여 데이터 메모리(102)에 저장한 데이터를 읽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오디오 응용 장치의 인코딩 및 디코딩 과정에서의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디코딩 시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의 데이터 메모리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00)가 데이터를 디코딩 한 경우(S200), 프로세서(100)는 데이터 메모리(102)로 제어 신호1을 전송하며(S202), 이와 함께 메모리 입력 데이터1을 전송한다(S204).
여기서, 제어 신호1은 쓰기 지정자(제어 신호1 이후 전송하는 데이터는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할 데이터라는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정자)와 데이터 저장 주소 및 데이터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메모리 입력 데이터1은 프로세서(100)가 디코딩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데이터 메모리(102)는 프로세서(100)에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디코딩 데이터를 저장한다(S206).
이후, 프로세서(100)는 제어 신호3을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로 전송한다. 제어 신호3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가 디코딩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도록 데이터 저장 주소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는 제어 신호3을 수신한 후, 데이터 메모리(102)에 액세스하여 제어 신호2를 전송한다(S210).
제어 신호2는 데이터 읽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데이터 메모리(102)는 메모리 출력 데이터2를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로 전송하며(S212),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는 이를 수신하여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한다(S214).
상기 단계(S212)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가 데이터 메모리(102)에 저장 된 디코딩 데이터를 읽는 과정을 의미한다.
한편,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인코딩 시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의 데이터 메모리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은 경우(S300), 프로세서(100)는 이를 감지하여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로 제어 신호3을 전송한다(S302).
여기서, 제어 신호3은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할 데이터 메모리의 특정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3 수신에 응답하여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는 제어 신호2를 데이터 메모리(102)로 전송하고(S304), 이와 함께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인 메모리 입력 데이터2를 데이터 메모리(102)로 전송한다(S306).
제어 신호2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가 전송하는 데이터의 쓰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102)는 제어 신호2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특정 주소에 저장한다(S308).
이후, 프로세서(100)는 데이터 메모리(102)로 제어 신호1을 전송하여(S310) 데이터 메모리(102)에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며, 데이터 메모리(102)는 메모리 출력 데이터1을 프로세서(100)로 전송한다(S312).
상기한 메모리 출력 데이터1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가 데이터 메모리(102)에 쓰는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의미한다.
프로세서(100)는 이와 같은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102)로부터 수신하여 인코딩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14).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메모리는 인코딩 시 프로세서(100)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104) 모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입출력 과정을 수행하며, 데이터 디코딩 시에도 마찬가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오디오 응용 장치의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세서와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와의 입출력 포트와 같이, 2개의 포트를 구비하는 듀얼 포트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듀얼 포트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메모리의 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디오 응용 장치의 프로세서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율적인 데이터 메모리 공유를 통해 데이터 메모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는 프로세서;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부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디코딩하는 디코딩 데이터를 상기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 상기 디코딩 데이터 및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에 상기 데이터 메모리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프로세서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전송하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제어 신호 및 메모리 입력 데이터-상기 메모리 입력 데이터는 상기 디코딩 데이터 및 외부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임-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권한 부여된 프로세서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로 디코딩 데이터 및 외부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를 전송하는 오디오 응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 제어기는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부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상기 데이터 메모리의 액세스를 차단하는 대기 제어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코딩 데이터의 저장 또는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 수신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메모리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제어기는 상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 권한 허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는 상기 권한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코딩 데이터의 수신 또는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메모리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싱글 포트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프로세서, 디코딩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상기 디코딩 데이터를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연결되는 메모리 제어기를 포함하는 오디오 응용 장치에서, 상기 메모리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디코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 전달하는 단계(a)-상기 제어 신호는 쓰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를 포함함-; 상기 디코딩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후,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부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b); 상기 제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대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c);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 전송하는 단계(d)-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읽기 지정자 및 상기 데이터 저장 주소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 상기 디코딩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부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 받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데 이터 메모리에 연결되는 메모리 제어기를 포함하는 오디오 응용 장치에서, 상기 메모리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부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a); 상기 제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대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b);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메모리로 전달하는 단계(c)-상기 제어 신호는 쓰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를 포함함-;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후,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 전송하는 단계(d)-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읽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응용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응용 장치는 프로세서(400), 메모리 제어기(402), 데이터 메모리(404)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는 스피커 또는 오디오 신호 전송단과 같은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미도시)와 프로세서(400)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연결된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의 상태를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세서(400)로부터 입출력 명령을 받아 입출력 장치와 프로세서 사이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프로세서(400)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는 데이터 메모리(404)에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외부 출력을 위해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에 제공되어야 하며, 반대로,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역시 데이터 메모리(404)에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인코딩을 위해 프로세서(400)에 제공되어야 한다.
여기서, 데이터 메모리(404)는 인코딩 및 디코딩 과정 시, 디코딩 데이터 또는 인코딩되어야 하는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는 점에서 오디오 데이터 버퍼라는 용어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인코딩 및 디코딩 시, 데이터의 저장 및 출력을 위해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모두 데이터 메모리에 액세스해야만 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제어기(402)가 제공되어 프로세서(400)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의 데이터 메모리(404) 액세스를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제어기(402)는 프로세서(400)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제어 신호1 및 제어 신호2)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데이터 메모리(404)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가 디코딩한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404)에 저장하고자 경우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가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404)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메모리 제어기(402)는 프로세서(400)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가 전송하는 소정 제어 신호 및 메모리 입력 데이터(디코딩 데이터 또는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메모리(404)로 전달한다.
여기서, 데이터 저장은 프로세서(400)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가 데이터 메모리(404)에 저장된 데이터를 쓰는 과정을 의미하며, 프로세서(400)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가 메모리 제어기(402)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는 쓰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00)가 인코딩을 위한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404)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가 디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메모리 제어기(402)는 프로세서(400)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가 전송하는 소정 제어 신호를 데이터 메모리(404)로 전달하고, 프로세서(400)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 중 하나가 데이터 메모리(404)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수신은 프로세서(400)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가 데이터 메모리(404)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는 과정을 의미하며, 프로 세서(400)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가 메모리 제어기(402)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는 읽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 제어기(402)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가 데이터 메모리(404)에 저장된 디코딩 데이터의 수신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404)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프로세서(400)로 대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프로세서(400)가 데이터 메모리(404)에 액세스 하는 것을 차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제어기(402)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에 우선적으로 데이터 메모리 액세스를 허용하고, 프로세서(400)는 대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만 데이터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수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404)는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갖는 싱글 포트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메모리(402)는 데이터 저장 시, 하나의 포트를 통해 메모리 제어기(402)로부터 제어 신호 및 메모리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400)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로의 데이터 전송 시, 메모리 제어기(402)의 제어에 따라 이들 중 하나에 대해서 연결이 설정되기 때문에 데이터 메모리(404)는 하나의 포트를 통해 프로세서(400) 및 오디오 입출력 데이터(406)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응용 장치는 메모리 제어기(402) 를 통해 프로세서(400)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의 데이터 메모리(404)에 액세스하는 것을 제어하기 때문에 데이터 메모리(404)가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갖는 싱글 포트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과 같이,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에 우선적인 데이터 메모리 액세스를 허용하고,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의 액세스 동안 프로세서(400)의 데이터 메모리 액세스를 차단한다 하더라도 일반적인 오디오 응용 장치에서 프로세서(400)에 비해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의 메모리 액세스 빈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은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데이터 메모리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가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경우와 인코딩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도 5 내지 도 6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도 4에 도시된 용어와 동일하게 사용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디코딩 시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의 데이터 메모리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400)는 오디오 데이터 디코딩 과정을 수행하고(S500), 대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2).
프로세서(400)가 디코딩한 데이터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에 제공되기 위해 데이터 메모리(404)에 저장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데이터 저장 과정 전에 프로세서(400)는 대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통해 프로세서(400)가 데이 터 메모리 액세스 권한을 가질 수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
대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400)는 메모리 제어기(402)로 제어 신호1 및 메모리 입력 데이터1을 전송한다(S504,S506).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신호1은 쓰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 입력 데이터1은 프로세서(400)가 디코딩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메모리 제어기(402)는 상기한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메모리(404)로 전달한다(S508,S510).
여기서, 메모리 제어기(402)가 전송하는 제어 신호4는 제어 신호1에 상응할 수 있으며, 메모리 입력 데이터3은 메모리 입력 데이터1에 상응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404)는 디코딩 데이터를 저장한다(S512).
데이터 저장 후, 프로세서(400)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로 제어 신호3을 전송한다(S514). 제어 신호3은 데이터 저장 주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3 수신 후,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는 메모리 제어기(402)로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516).
제어 요청 신호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가 메모리 제어기(402)에 데이터 메모리(404)로의 액세스 권한을 부여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메모리 제어기(402)는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400)로 대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S518), 이에 따라, 프로세서(400)의 데이터 메모리 액세 스가 차단된다.
또한, 메모리 제어기(402)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로 권한 허용 신호를 전송하며(S520),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는 권한 허용 신호를 수신한 후 메모리 제어기(402)로 제어 신호2를 전송한다(S522).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므로, 제어 신호2는 읽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메모리 제어기(402)는 데이터 메모리(402)로 제어 신호4를 전송하며(S524), 데이터 메모리(404)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로 메모리 출력 데이터를 전송한다(S526).
상기 단계(S526)는 제어 신호4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404)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 사이에 연결이 설정되면서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가 데이터 메모리(404)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는 과정에 해당된다.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는 수신된 데이터를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 출력하여(S528),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인코딩 시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의 데이터 메모리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서 사용되는 제어 신호1 내지 4, 메모리 입력 데이터1 내지 3은 각 프로세서(400), 메모리 제어기(402) 및 오디오 입출력 장치(406)가 전송하는 신호 및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의 설명에서도 동일한 용어가 사용되나, 도 6이 도 5와 달리 데이터 인코딩 과정에 대한 설명인 바, 그 신호 및 데이터가 포함하는 정보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에 외부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S600), 프로세서(400)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로 제어 신호3을 전송한다(S602).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는 메모리 제어기(402)로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404)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604).
메모리 제어기(402)는 제어 요청 신호 수신 후, 프로세서(400)로 대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S606),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로 권한 허용 신호를 전송한다(S608).
이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 메모리(404)에 액세스하는 경우, 프로세서(400)의 데이터 메모리(404) 액세스는 차단된다.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는 메모리 제어기(402)로 제어 신호2를 전송한다(S610). 도 5와 달리, 도 6에서의 제어 신호2는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쓰기 지정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2와 함께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406)는 메모리 입력 데이터2를 메모리 제어기(402)로 전송하며(S612), 메모리 제어기(402)는 제어 신호2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4 및 메모리 입력 데이터2에 상응하는 메모리 입력 데이터3을 데이터 메모리(404)로 전송한다(S614,S616).
여기서, 메모리 입력 데이터2 및 3은 외부 오디오 데이터에 해당되며, 데이터 메모리(404)는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S618).
이와 같이, 데이터 메모리(404)에 외부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메모리 제어기(402)는 프로세서(400)로의 대기 제어 신호의 전송을 중지할 것이다.
이후, 프로세서(400)는 인코딩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 받기 전에 메모리 제어기(402)로부터 대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며(S620), 대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 신호1을 메모리 제어기(402)로 전송한다(S622).
여기서, 제어 신호1에는 읽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기(402)는 제어 신호1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4를 데이터 메모리(404)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400)와 데이터 메모리(404) 사이에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신호4에 포함된 정보에 상응하여 데이터 메모리(404)는 메모리 출력 데이터를 프로세서(400)로 전송한다(S626).
상기한 메모리 출력 데이터는 외부 오디오 데이터에 상응하며, 프로세서(400)는 이를 수신하여 인코딩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628).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메모리(404)는 프로세서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저장하기 위해, 단지 메모리 제어기(404)와 통신하며, 프로세서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도 메모리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이들 중 하나에만 연결 설정되기 때문에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로의 데이터 저장 및 데이터 메모리에서의 데이터 출력이 제어되기 때문에 싱글 포트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메모리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는 프로세서;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부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디코딩하는 디코딩 데이터를 상기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
    상기 디코딩 데이터 및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에 상기 데이터 메모리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프로세서 또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전송하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제어 신호 및 메모리 입력 데이터-상기 메모리 입력 데이터는 상기 디코딩 데이터 및 외부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임-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 전달하는 메모리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권한 부여된 프로세서 및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로 디코딩 데이터 및 외부 오디오 데이터 중 하나를 전송하는 오디오 응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기는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부터 데이터 송수신을 위 한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상기 데이터 메모리의 액세스를 차단하는 대기 제어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오디오 응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코딩 데이터의 저장 또는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 수신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메모리 제어기로 전송하는 오디오 응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제어기는 상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 권한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오디오 응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는 상기 권한 허용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코딩 데이터의 수신 또는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메모리 제어기로 전송하는 오디오 응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싱글 포트 메모리인 오디오 응용 장치.
  7.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프로세서, 디코딩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상기 디코딩 데이터를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 및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연결되는 메모리 제어기를 포함하는 오디오 응용 장치에서, 상기 메모리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디코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 전달하는 단계(a)-상기 제어 신호는 쓰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를 포함함-;
    상기 디코딩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후,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부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b);
    상기 제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대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c);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 전송하는 단계(d)-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읽기 지정자 및 상기 데이터 저장 주소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 상기 디코딩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신호 및 디코딩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제어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 권한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는 상기 권한 허용 신호 수신 후,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메모리 제어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
  10. 주변 오디오 입출력 장치로부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 받는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연결되는 메모리 제어기를 포함하는 오디오 응용 장치에서, 상기 메모리 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 법으로서,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부터 제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a);
    상기 제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대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b);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메모리로 전달하는 단계(c)-상기 제어 신호는 쓰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를 포함함-;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된 후,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 전송하는 단계(d)-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읽기 지정자 및 데이터 저장 주소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메모리 제어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로 권한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는 상기 권한 허용 신호 수신 후, 상기 제2 제어 신호 및 상기 외부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제어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싱글 포트 메모리인 데이터 메모리 공유 방법.
KR1020050079337A 2005-08-29 2005-08-29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74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337A KR100749503B1 (ko) 2005-08-29 2005-08-29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337A KR100749503B1 (ko) 2005-08-29 2005-08-29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008A true KR20070027008A (ko) 2007-03-09
KR100749503B1 KR100749503B1 (ko) 2007-08-14

Family

ID=3810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337A KR100749503B1 (ko) 2005-08-29 2005-08-29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870A (ko) * 2014-05-28 2017-03-06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데이터 프로세서 및 사용자 제어 데이터의 오디오 디코더들과 렌더러들로의 전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148B1 (ko) 1998-12-30 2001-11-02 서평원 메모리공유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870A (ko) * 2014-05-28 2017-03-06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데이터 프로세서 및 사용자 제어 데이터의 오디오 디코더들과 렌더러들로의 전송
US10674228B2 (en) 2014-05-28 2020-06-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ata processor and transport of user control data to audio decoders and renderers
US11381886B2 (en) 2014-05-28 2022-07-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ata processor and transport of user control data to audio decoders and renderers
US11743553B2 (en) 2014-05-28 2023-08-2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ata processor and transport of user control data to audio decoders and render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503B1 (ko) 200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9471B2 (ja) 無線記憶デバイスに対するマルチユーザ・アクセス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9295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gigabit Ethernet IP telephone chip with integrated DDR interface
WO2007147114A2 (en) Peripheral sharing usb hub for a wireless host
JP2013533504A (ja) 選択的出力制御によってオーディオデータを復号する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CN109416624A (zh) 用于使用分布式通用串行总线(usb)主机驱动器的系统和方法
WO2018145101A1 (en) A/v interconnection architecture including an audio down-mixing transmitter a/v endpoint and distributed channel amplification
KR20050043303A (ko) 다중 프로세서 환경에서의 dma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0749503B1 (ko) 프로세서와 오디오 입출력 제어기가 데이터 메모리를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1182572A2 (en) Multimedia modular card, device for operating the same, and integrated multimedia system
JP2008301454A (ja) オーディオデータ中継装置
KR102555485B1 (ko) 스피커 장치, 스피커 장치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및 스피커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71426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ividually configur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ies sharing a common command access bus
JP2007257415A (ja)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KR20070000655A (ko) 복수 경로를 통한 메모리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060134555A (ko)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한 메모리 공유 방법 및 장치
US10530536B2 (en) RF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100592109B1 (ko) 공유 메모리의 분할 영역의 다중 억세스 제어 방법 및 공유메모리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EP1942409A1 (en) Media connect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909025B1 (ko)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한 메모리 공유 방법 및 메모리 공유구조를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KR100728870B1 (ko) 듀얼 포트 램 및 상기 듀얼 포트 램을 이용한 무손실데이터 전송 방법
KR20230039260A (ko) Sfpdp 기반 pmc 및 xmc 디바이스
US20210084364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producing data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5915076A (zh) 一种蓝牙外线功能实现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1390066A (zh) 在地址信道上的辅助写入
JP2002094576A (ja) シリアル通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