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454A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24454A KR20070024454A KR1020067005384A KR20067005384A KR20070024454A KR 20070024454 A KR20070024454 A KR 20070024454A KR 1020067005384 A KR1020067005384 A KR 1020067005384A KR 20067005384 A KR20067005384 A KR 20067005384A KR 20070024454 A KR20070024454 A KR 200700244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
- foot
- toe
- leather
- g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이 신발은, 발의 표측을 덮는 형상에 정형됨과 동시에 발바닥의 외형에 근사한 저부개구연(12)을 가지는 갑혁(1)과, 갑혁(1)이 상부에 접합된 구두창(2)을 갖춘다. 갑혁(1)의 저부개구연(12)에 있어서 앞부분 측에 판재(3)가 접합되어 갑혁(1)의 앞부분 측이 발끝을 감싸듯이 주머니 모양에 형성되어 또는 판재(3)에 젤(31)로부터 되는 충격 흡수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행시에 있어서도 충격 흡수부(30)를 발끝에 안정되어 배치시킬 수가 있으므로, 발끝에 가해지는 큰 충격을 확실히 흡수할 수가 있어 발의 피로나 아픔 등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가 있다. 또, 충격 흡수부(30)를 젤(31)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최초로 신었을 때의 피트감이 항구적으로 지속됨과 동시에, 발끝에 가해지는 충격 흡수를 항구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신발
Description
이 발명은, 보행시에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두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나듯이, 갑혁(甲革)(501)과는 별체(別體)의 구두창(502) 내에 스펀지 등의 충격 흡수부(503)를 마련한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이것에 의하면, 보행시에 지면에 설치할 때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구두창에 마련한 충격 흡수부(503)가 흡수해, 발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가 있다.
특허 문헌 l : 특개2002-8510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실개평6-7506호 공보
특허 문헌 3 : 실개평6-7750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구두는, 본저(本底)나 중저(中底) 등으로 구성되는 구두창(502)과 이 구두창(502)에 접합되어 발의 표측(表側)을 덮는 갑혁(501)과의 상하의 2 파츠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구두창(502)은 보행시의 발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어려운 것에서, 상기의 것으로는,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즉, 보행시에는 발의 움직임으로 구두가 변형하기 때문에, 구두창(502)이 발바닥에 피트한 상태로 발의 움직임에 응해 추종하기 어려운 것으로부터, 구두창(502)에 마련한 충격 흡수부(503)에서는 발에 가해지는 충격 흡수가 충분히 행할 수 없었다.
특히, 펌프스(pumps) 등의 힐을 단 구두에서는, 발끝에 중심이 이동해 오기 때문에 발끝에 큰 충격을 받기 쉽고, 게다가 발끝의 움직임이 다른 부위보다 비교적 큰 것에서, 발끝에서의 피트감(일체감)이 불충분하게 되어 발끝에 가해지는 충격 흡수가 충분히 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보행시에 있어서의 발끝의 움직임에 추종시키기 쉽게 함과 동시에, 발끝에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가 있는 신발을 실현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1)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발명의 신발은,
신발의 본저의 발바닥에 접하는 면에 있어서 앞부분 측에, 판(pan)재가 설치되어
그 판재는, 발바닥의 앞부분 측에 접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부터, 상기 판재에 충격 흡수부가 설치되고 있으므로, 충격 흡수부를 발끝에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가 있다.
또, 청구항 2에 관련되는 발명의 신발은,
발의 표측을 덮는 형상에 정형됨과 동시에 발바닥의 외형에 근사한 저부개구연을 가지는 갑혁과 이 갑혁이 상부에 접합된 구두창을 갖추어
상기 갑혁의 저부개구연에 있어서 앞부분 측에 판재가 접합되어 갑혁의 앞부분 측이 발끝을 감싸듯이 주머니 모양에 형성되고 한편 상기 판재에 충격 흡수부가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갑혁의 저부개구연에 있어서 앞부분 측에 판재가 접합되어 갑혁의 앞부분 측이 발끝을 감싸듯이 주머니 모양에 형성되고 있으므로, 보행시에 있어서 발끝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追從性)을 좋게 할 수가 있다. 게다가 상기 판재에 충격 흡수부가 설치되고 있으므로, 충격 흡수부를 발끝에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가 있다.
(2)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의 신발은, 상기의 신발(청구항 1 및 2)에 있어, 상기 충격 흡수부는, 젤(gel)에서 된 것이다.
충격 흡수부를 젤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스펀지로 구성하는 경우와 달리 장기의 압축에 의해 움푹 들어간 상태인 채로 되는 원형으로 되돌아 가지 않는 형상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장기 사용에 수반해 충격 흡수부의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에 수반하는 판재의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이 방지되어 발의 지름의 대폭적인 사이즈 변화를 초래하는 것이 없다. 게다가, 젤은, 스펀지와 달리, 땀 등의 수분을 흡수해 가수분해되어 충격 흡수 성능이 열화하는 일도 적다.
(3)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의 신발은, 상기의 신발(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아스카―F경도가 30 이상 90 이하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발끝과 신발과의 피트감을 양호하게 보관 유지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발끝에서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시킬 수가 있다. 즉, 아스카―F경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 되면, 충격 흡수부가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판재의 보형성이 저하해, 발끝이 움직이기 쉬워져 피트감이 없어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아스카―F경도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충격 흡수부가 딱딱해져 판재에서의 충격 흡수가 충분히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4)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의 신발은, 상기의 신발(청구항 1 내지 4)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아스카―F경도가 30 이상 90 이하로, 또는 아스카―C경도가 10 이상 25 이하로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손바닥 정도의 면적으로 누르면 어느 정도 딱딱하고, 손가락 정도의 작은 면적으로 누르면 부드럽게 느껴진다. 따라서, 발끝 전체에 대해서 단단히 지지해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대해서는 이것에 응해 변형하여 소프트하게 지지할 수가 있어 피트감을 한층 양호하게 보관 유지해, 특히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대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시킬 수가 있다.
즉, 아스카―F경도에 대해 상기 범위 내이면, 상기 청구항 4의 것과 마찬가지로, 발끝과 신발과의 피트감을 양호하게 보관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끝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시킬 수가 있다.
또, 아스카―C경도에 대해 상기 범위 내이면, 충격 흡수부가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응해 적당하게 변형할 수가 있어 피트감과 충격 흡수 성능을 한층 향상할 수가 있다. 즉, 아스카―C경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 되면, 충격 흡수부가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발끝의 튀어나온 부위가 너무 내려앉아 피트감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아스카―C경도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충격 흡수는 충분히 행할 수 있어도 발끝이 튀어나온 부위에 응한 변형이 불충분하게 되어 피트감의 한층 더한 향상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5) 청구항 6 및 7에 관련되는 발명의 신발은, 상기의 신발에 있어, 상기 판재 및 충격 흡수부가, 발바닥에 있어서 발가락 끝에서 발바닥 장심의 앞부분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갖추는 크기로 형성된 신발이다.
이것에 의해, 발바닥의 앞부분 전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확실히 흡수할 수가 있다.
청구항 1 및 2에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보행시에 있어서도 충격 흡수부를 발끝에 안정해 배치시킬 수가 있으므로, 발끝에 가해지는 큰 충격을 확실히 흡수할 수가 있어 발의 피로나 아픔 등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더욱, 최초로 신었을 때의 피트감(일체감)이 항구적으로 지속됨과 동시에, 발끝에 가해지는 충격 흡수를 항구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더욱, 발끝과 신발과의 피트감을 양호하게 보관 유지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발끝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더욱, 발끝 전체에 대해서는 단단히 지지해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대해서는 이것에 응해 변형하여 소프트하게 지지할 수가 있으므로, 피트감을 한층 양호하게 보관 유지하고, 특히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대한 충격을 충분히 흡수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6 및 7에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보행시에 있어, 충격 흡수부를 보다 발끝에 안정되어 배치시킬 수가 있으므로, 발바닥의 앞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확실히 흡수할 수가 있어 발의 피로나 아픔 등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가 있다.
[도 l] 실시의 형태에 의한 구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실시의 형태에 의한 구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갑혁에 있어서 앞부분 측의 안감에 판재가 통솔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판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4와는 다른 판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종래의 충격 흡수 성능을 나타낸 구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갑혁 (upper)
2 구두창 (sole)
3 판재
11 상부개구연
12 저부개구연
13 표지
14 안감
21 본저
22 힐부
23 반중저
30 충격 흡수부
31 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구두는, 발의 표면을 덮는 형상에 정형된 갑혁 (1)(upper)과 이 갑혁(1)이 상부에 접합시키는 구두창(2)(sole)을 갖춘다.
구두창 2는, 발바닥의 외형에 근사한 외형을 가지는 판 모양의 본저(2)와 본저(21) 이면의 발뒤꿈치 부분에 마련한 블록상의 힐부(22)와 본저(21) 표면의 후부 측에 접합된 시트상의 반중저(2)로 구성된다. 힐부(22)는, 본저(21)와 별체가 되고 있어, 본저(21)에 접착제나 못 등으로 접합되지만, 본저(21)와 일체 형성되어도 좋 다. 이들 본저(21)나 힐부(22)는, 합성 수지나 목재 등으로부터 형성된다. 반중저(2)는, 뒤꿈치로부터 발바닥 장심의 앞부분 정도까지의 크기를 가져, 갑혁(1)의 저부개구연(1)을 끼워 넣어 접착 또는 봉합 등에 의해 본저(21) 표면에 접합된다. 이 반중저(23)는, 포재, 혁재 등으로 형성된다.
갑혁(1)은, 천연 피혁 또는 합성 피혁의 가죽을 발의 바깥측 형상에 따라 정형된 부재이며, 상부에는 발을 넣는 용도의 상부개구연(11)을 가져, 하부에는 발바닥의 외형에 근사한 저부개구연(12)을 가진다(도2를 참조). 또, 갑혁(1)은, 저부개구연(12)의 앞부분 측에 시트상의 판재(3)가 통솔되어 이 갑혁(1)의 앞부분 측이 발끝을 감싸듯이 주머니 모양에 형성되고 있다. 즉, 도3에 나타나듯이, 이 갑혁(1)은, 표지(13)와 안감(14)을 가져, 상기 판재(3)는 그 외주연이 안감(14)의 바깥 둘레와 봉합된다. 그리고, 판재(3)는, 발바닥에 있어서 발가락 끝에서 발바닥 장심의 앞부분에 대해서 접하게 된다.
덧붙여 이와 같이 갑혁(1)의 앞부분 측을 통솔하는 제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보로네이제 제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갑혁(1)은, 저부개구연(1)을 끼워 넣어 본저(21) 상부에 접합된다. 즉, 갑혁(1)의 저부개구연(12)에 있어서 후부 측은, 안쪽으로 구부린 접합대를 본저(21)의 바깥 둘레와 반중저(23)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협지시켜 접착 또는 봉합 등 되어 또, 그 앞부분 측은, 표혁을 안쪽으로 구부린 접합대를 판재(3)의 하면과 함께 본저(21)에 접착 또는 봉합 등 된다. 즉, 신발의 본저의 발바닥에 접하는 면에 있어서 앞부분 측에 판재가 설치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갑혁(1)의 앞부분 측에 통솔한 판재(3)는, 도4에 나타나듯이, 적어도 발바닥에 있어서 발가락 끝에서 발바닥 장심의 앞부분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갖춘 크기를 가지는 2매의 부직포 등의 포지(32, 33)의 사이에 젤(31)을 사이에 끼우고, 2매의 부직포 등의 포지(32, 33)의 주연부에, 예를 들어, 접착제 등을 도포해 첩합(貼合)하는 것으로 제작된다. 또, 젤(31)도, 발바닥에 있어서 발가락 끝에서 발바닥 장심의 앞부분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갖춘 크기를 가진다. 즉, 2매의 부직포 등의 포지(32, 33)와 젤(31)과는 상사형이며, 또, 2매의 부직포(32, 33)는, 젤(31)을 끼워 넣기 위한 접착할 곳, 또는 꿰맬 곳을 확보한 크기만 젤(31)보다 크다. 그리고, 판재(3)는, 이 젤(31)에 의해 충격 흡수부(30)가 설치된 것이며, 두께 약 5mm로 제작된다. 이 젤(31)은, 2매의 필름 사이에 젤(31) 소재를 협지시킨 것이 사용된다(예를 들면, 이이다산업주식회사제의 품번 「 U-NBC-451」).
또, 이 부직포 등의 포지(32, 33)에 이용되는 부직포는, 예를 들어, 스팬폰드법, 니들펀치법 및 멜트브로법 등에 의해 제조되지만, 강도의 점에서, 멜트브로법의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 등의 포지(32)는, 젤(31)의 효과를 해치는 일 없이, 그 효과에 의한 발바닥에 있어서 촉감을 유지하는 특징을 가지는 것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이 판재 3에 마련하는 충격 흡수부(30)로서는, 젤(31) 외에는, 스펀지, 엘라스트로머 등 그 외에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지는 여러 가지의 재료가 사용 가능하다.
또, 판재(3)는, 도5에 나타나듯이, 젤(31) 소재를 협지하기 위한 필름(34)으로서 신축성의 특징을 가지는 필름(34)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필름(34)은, 젤(31)의 크기와 거의 같은 평면 형상으로 제작된다. 또, 필름(34)은, 젤(31)의 효과에 의한 발바닥에 있어서 촉감을 유지하는 특징을 가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텔우레탄에 의해 제작된다.
한편, 보행시에 사용자의 체중 이상의 중량이 반복해 더해져 압축된 결과, 충격 흡수부(30)가 압축된 채로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이 되어 버리면, 이에 수반해 판재(3)도 이와 같이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이 되어 버리는 것에서, 발끝의 폭 회전의 사이즈(발의 지름)가 커져 버린다. 게다가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으면 충격 흡수 성능도 큰 폭으로 저하해 버린다. 따라서, 일단, 판재(3)가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이 되어 버리면, 발끝에서의 피트감(일체감)이 없어져, 충격 흡수 성능도 극단적으로 저하해 버린다. 거기서,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하면, 상기 충격 흡수부(30)로서는, 스펀지나 엘라스토머 등보다, 젤(31)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즉, 충격 흡수부(30)를 젤(31)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스펀지로 구성하는 경우와 달리 장기의 압축에 의해 움푹 들어간 상태인 채가 되는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이 큰 폭으로 저감된다. 따라서, 젤(31)은, 스펀지에 비해 압축에 대한 회복성(복원성)이 뛰어난 점에서 유리하다. 그 때문에, 젤(31)을 사용하는 것으로 장기 사용에 의해 충격 흡수부(30)의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에 수반하는 판재(3)의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이 방지되어 발의 지름의 대폭적인 사이즈 변 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게다가, 젤(31)은, 스펀지와 달리, 땀 등을 흡수해 가수분해되어 충격 흡수 성능이 열화하는 일이 적은 점에서도 유리하다. 그 결과, 최초로 신었을 때의 발끝의 피트감이 항구적으로 지속되어, 게다가, 충격 흡수 성능도 충분히 발휘된다.
또, 상기 충격 흡수부(30)를 구성하는 젤(31)은, 아스카―F경도(손바닥 정도의 면적에서 압압했을 때의 경도)가 30 이상 90 이하로, 또는 아스카―C경도가 10 이상 25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덧붙여 아스카―F경도는, 대체로 손바닥 정도의 넓은 면적으로 압압했을 때의 경도이며, 아스카―C경도는, 대체로 손가락 정도의 좁은 면적으로 압압했을 때의 경도이며, 어느 것도 고무 탄성체 등의 경도의 기준이 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손바닥 정도의 면으로 누르면 어느 정도 딱딱하고, 손가락 정도의 작은 면적으로 누르면 부드럽게 느껴진다. 따라서, 발끝 전체에 대해서 단단히 지지하고,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대해서는 이것에 응해 변형해 소프트하게 지지할 수가 있어 피트감을 한층 양호하게 보관 유지해, 특히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대한 충격 흡수를 충분히 발휘시킬 수가 있다.
아스카―F경도에 대해 상기 범위 내이면, 발끝과 구두와의 피트감을 양호하게 보관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끝의 충격 흡수를 충분히 발휘시킬 수가 있다. 즉, 아스카―F경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 되면, 충격 흡수부(30)가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판재 3의 보형성이 저하해, 발끝이 움직이기 쉬워져 피트감이 없어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아스카―F경도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충격 흡수부(30)가 딱딱해져 판재(3) 에서의 충격 흡수가 충분히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아스카―C경도에 대해 상기 범위 내이면, 충격 흡수부(30)가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응해 적당하게 변형할 수가 있어 피트감과 충격 흡수 성능을 한층 향상할 수가 있다. 즉, 아스카―C경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 되면, 충격 흡수부(30)가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발끝이 튀어나온 부위가 너무 내려앉아 피트감이 없어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아스카―C경도가 상기 범위를 넘으면, 충격 흡수는 충분히 실시할 수 있어도 발끝이 튀어나온 부위에 응한 변형이 불충분하게 되어 피트감의 한층 더한 향상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젤(31)은,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아미드 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예를 들어, 스틸렌블록코폴리머;SBS, 스틸렌이소플렌스틸렌블록코폴리머;SIS 등), 에폭시 수지(가소제를 포함한다), 전분 베이스 젤(아크릴로니트릴과 아크릴산과의 코폴리머) 등이 있지만, 내마모성, 인열강도, 신축성, 점성과 탄성 밸런스, 코스트의 점에서,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부터 된다.
폴리올로서는, 폴리에테르계(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PP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EG), 폴리에스텔계(아지페이트계, 폴리카프로락톤, 방향족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레핀계, 아크릴계 등이 있고, 코스트, 내수성의 점에서, 폴리에테르계가 바람직하다.
또,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TDI(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MDI(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HDI(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NDI(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IPDI(이소호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러한 변성 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고, 코스트, 취급하기 쉬움, 반응의 안정성의 점에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에 의해, 아스카―F경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폴리올로서 분자량 2000, 10000의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PPG)을 이용해, 이소시아네이트로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변성 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는 경우, 이하의 배분량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올은, 분자량 2000 및 10000의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PPG)이 1:1의 중량비로 배합되고 있다. 따라서, 분자량 2000 및 10000의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PPG)이, 각각 10~2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중량부 이상이며, 15 중량부 이하를 이용한다. 분자량 1000의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PPG)이 20 중량부 이하에서는, 아스카―F경도가 90을 넘어 충격 흡수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40 중량부 이상에서는, 아스카―F경도가 30 미만이 되어, 충격 흡수부가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판재의 보형성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또, 이소시아네이트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변성 이소시아네이트(NCO%=3%)를 이용하는 경우, 35~5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중량부 이상이며, 45 중량부 이하이다.
50 중량부 이상에서는, 아스카―F경도가 90을 넘어 충격 흡수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35 중량부 이하에서는, 아스카―F경도가 30 미만이 되어, 충격 흡수부가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판재의 보형성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폴리우레탄으로 하려면 촉매를 이용하지만, 촉매로서는 아민계, 금속계(니켈, 주석, 아연, 카드뮴, 마그네슘, 수은)가 사용되지만, 유연성, 반응의 제어의 점으로부터, 금속계(예를 들어, 주석계 화합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촉매의 사용량으로서는, 폴리우레탄(폴리올+이소시아네이트) 100에 대해서 0.1~1 중량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과 내구성을 적당한 범위로 하기 위해서이다.
폴리우레탄 수지에는,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가소제로서는,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계(디브틸프탈레이트, 디헵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디트리데실프탈레이트, 브틸벤질프탈레이트, 브틸프타릴브틸글리콜레이트) 등이 있지만, 상용성의 점에서, 방향족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는, 디브틸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가장 좋은 것은 가소제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다. 그것은, 가소제가 판재(3)의 부직포(32, 33)로 이행하여, 판재(3)의 기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가소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판재(3)를 가소제의 투과를 막는, 신축성이 있는 필름으로 덮는다.
또, 가소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폴리우레탄(폴리올 + 이소시아네이트) 100에 대해서 0~50중량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스카 경도를 적당한 범위로 하기 위해서이다.
또, 폴리우레탄 수지에는, 착색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가수분해 방지제), 소포제, 난연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상기 구두의 제조는, 종래 같은 제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갑혁(1)은, 소재의 가죽을 소정의 형지에 맞추어 재단해, 이 재단한 가죽을 발 모양을 한 목형에 맞추어 형상을 정돈한 후, 미리 준비해 둔 충격 흡수부(30)를 설치한 판재(3)를 저부개구연(12)의 앞부분 측에 둔 안감(14)에 통솔해, 이 앞부분 측을 주머니 모양으로 하는 것으로, 갑혁(1)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이 갑혁(1)의 저부개구연(12)을 안쪽으로 구부린 접합대를 마련해 이 갑혁(1)을 미리 성형에 의해 제작한 힐부(22) 첨부의 목저(21)의 상부에 배치하고, 후부 측은, 접합대를 본저(21)의 외주연와 반중저(23)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협지시켜 접착 또는 봉합 등 하여, 또, 그 앞부분 측은, 갑혁(1)의 표지(13)를 안쪽으로 구부린 접합대와 함께 판재(3)의 하면을 본저(21)에 접착 또는 봉합하는 것으로, 상기 구두가 완성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한 형태에 의한 구두에 의하면, 갑혁(1)의 저부개구연(12)에 있어서 앞부분 측에 판재(3)가 접합되어 갑혁(1)에 앞부분 측이 발끝을 감싸듯이 주머니 모양에 형성되고 있으므로, 보행시에 있어서 발끝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을 좋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판재(3)는, 발바닥에 있어서 발가락 끝에서 발바닥 장심의 앞부분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갖춘 충격 흡수부(30)가 설치되고 있으므로, 충격 흡수부(30)를 발끝, 예를 들어, 발바닥에 있어 발가락 끝에서 발바닥 장심의 앞부분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발끝에 가해지는 큰 충격을 확실히 흡수할 수가 있고, 발의 피로나 아픔을 큰 폭으로 경감할 수가 있다.
또, 충격 흡수부(30)를 젤(31)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스펀지로 구성하는 경우와 달리 장기의 압축에 의해 움푹 들어간 상태대로 되는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이 거의 없다. 이것에 의해, 장기 사용에 수반해 충격 흡수부(30)의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에 의한 판재(3)의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이 방지되어 발의 지름의 대폭적인 사이즈 변화를 초래하는 일이 적다. 게다가, 젤(31)은, 스펀지와 달리, 땀 등을 흡수해 가수분해되어 충격 흡수 성능이 열화하는 일도 적다. 따라서, 최초로 신었을 때의 피트감이 항구적으로 지속됨과 동시에, 발끝에 가해지는 충격 흡수를 항구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또, 부직포 등의 포지(32)를 이용하는 것으로, 발바닥에 대해서 직접 젤(31)이 접하는 것이 없고, 더욱, 젤(31)로 부직포 등의 포지(32)와의 사이에 필름(34)을 끼워 두는 것으로, 부직포 등의 포지(32)를 통해 젤(31)이 투과하는 것을 막는 것에서, 젤(31)이 투과했을 경우에, 그 젤(31)에 의해 발바닥이 끈적거린다는 불쾌감을 일으킬 듯한 일을 없앨 수가 있다.
또, 상기 충격 흡수부(30)로서의 젤(31)을, 아스카―F경도가 30 이상 90 이하로, 또는 아스카―C경도가 10 이상 25 이하로 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으로, 발끝 전체에 대해서 단단히 지지해,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대해서는 이것에 응해 변형하여 소프트하게 지지할 수가 있어 피트감을 한층 양호하게 보관 유지해, 특히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대한 충격 흡수를 충분히 발휘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젤과 스펀지에 대한 압축 회복성 시험을 실시했으므로, 이하에 그 시험의 개요를 설명한다.
< 시료 >
(1) 젤 (이이다 산업 주식회사제의 품번 「U-NBC-45」의 3mm 두께의 시트를 겹쳐 배합해 12mm 두께로 한 것)
(2) 스펀지 (주식회사 로쟈스인악크제의 품번 「H-32」의 2mm 두께의 시트를 겹쳐 배합해 12mm 두께로 한 것)
< 시험 방법 >
각 시료를 압축(5시간)과 개방(1시간)을 8회 반복한 후, 30분, 24시간, 36시간, 방치했을 때의 두께의 일그러짐 비율(압축 영구 일그러짐(%))을 측정했다(표 1을 참조). 덧붙여 압축은 시료의 두께가 당초의 1/4(25%)이 되는 상태로 했다.
시간(h) 영구압축 일그러짐(%) | 0.5(h) | 24(h) | 36(h) |
젤 | 8.0(%) | 4.3(%) | 2.7(%) |
스펀지 | 30.0(%) | 21.0(%) | 11.5(%) |
< 평가 >
이상의 결과로부터도 분명한 대로, 어느 것도 시간 경과에 따라 압축 영구 일그러짐이 작아지지만, 개방 당초부터 젤이 스펀지에 비해 압축 영구 일그러짐이 작고,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형상이 적은 것이 밝혀졌다.
덧붙여 상기 각 시료에 사용한 젤(이이다산업주식회사제의 품번 「U-NBC-45」), 스펀지(주식회사 로쟈스인악크제의 품번 「 H-32」)의 20mm 두께의 것의 아스카―F경도계에 의한 경도, 아스카―C경도계에 의한 경도는, 각각 이하대로이다(표 2를 참조).
아스카-F경도 | 아스카-C경도 | |
젤 | 85 | 17 |
스펀지 | 78 | 40 |
즉, 상기 젤, 상기 스펀지는, 함께 아스카―F경도가 30 이상 90 이하라고 하는 조건을 채우는 것으로부터, 발끝과 구두와의 피트감을 양호하게 보관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끝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시킬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젤은, 더해, 아스카―C경도가 10 이상 25 이하라고 하는 조건도 채우는 것으로부터, 발끝 전체에 대해서 단단히 지지해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대해서는 이것에 응해 변형하여 소프트하게 지지할 수가 있어 피트감을 한층 양호하게 보관 유지해, 특히 발가락 등의 튀어나온 부위에 대한 충격 흡수를 충분히 발휘시킬 수가 있다.
덧붙여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한 구두는, 힐을 단 펌프스 슈즈를 들어 설명했지만, 부츠 등에 적용해도 좋고, 또, 힐을 달지 않는 구두에 적용해도 좋다. 또, 부인용, 신사용의 어느 구두에 적용해도 좋다. 한층 더 또, 포멀 슈즈에 한정하지 않고, 죠깅 슈즈 등의 각종 운동화에 적용해도 좋고, 샌들 혹은 슬리퍼 등의 신발에도 적용해도 좋다. 또, 갑혁(1)(upper)이나 구두창(2)(sole)의 재질은, 상기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재질이 사용 가능하다.
Claims (7)
- 신발의 본저의 발바닥에 접하는 면에 있어서 앞부분 측에, 판재가 설치되어그 판재는, 발바닥의 앞부분 측에 접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부가 형성된, 신발.
- 청구항 1에 기재의 신발에 있어서,발의 표측을 덮는 형상에 정형됨과 동시에 발바닥의 외형에 근사한 저부개구연을 가지는 갑혁과, 이 갑혁이 상부에 접합된 구두창을 갖추어상기 갑혁의 저부개구연에 있어서 앞부분 측에 판재가 접합되어 갑혁의 앞부분 측이 발끝을 감싸듯이 주머니 모양에 형성되어 또는 상기 판재에 충격 흡수부가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의 신발에 있어서,상기 충격 흡수부는, 젤로부터 되는 신발.
-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의 신발에 있어서,상기 충격 흡수부는, 아스카―F경도가 30 이상 90 이하로 하는 신발.
-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의 신발에 있어서,상기 충격 흡수부는, 아스카―F경도가 30 이상 90 이하로, 또는 아스카―C경도가 10 이상 25 이하로 하는 신발.
-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의 신발에 있어서,상기 판재는, 발가락 끝에서 발바닥 장심의 앞부분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갖추는 크기에 형성된 신발.
-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의 신발에 있어서,상기 충격 흡수부는, 발가락 끝에서 발바닥 장심의 앞부분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을 갖추는 크기에 형성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375619 | 2003-11-05 | ||
JPJP-P-2003-00375619 | 2003-11-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4454A true KR20070024454A (ko) | 2007-03-02 |
Family
ID=3456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5384A KR20070024454A (ko) | 2003-11-05 | 2004-07-07 | 신발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048414A1 (ko) |
EP (1) | EP1680969A1 (ko) |
KR (1) | KR20070024454A (ko) |
CN (1) | CN1722963A (ko) |
WO (1) | WO200504403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81333B2 (en) * | 2004-10-29 | 2010-03-23 | The Timberland Company | Shoe footbed system with interchangeable cartridges |
KR100706610B1 (ko) * | 2006-10-12 | 2007-04-13 | 이태성 | 시이소 신발 밑창 |
SI2218349T1 (sl) | 2009-02-13 | 2012-01-31 | Spannrit Schuhkomponenten Gmbh | VloĹľek za ÄŤevelj z gelom |
US8393092B2 (en) * | 2009-04-24 | 2013-03-12 | Nine West Development Corporation | Footbed system and footwear construction |
US8881428B2 (en) | 2010-09-02 | 2014-11-11 | Nike, Inc. | Sole assembly for article of footwear with plural cushioning members |
CN103734990A (zh) * | 2014-01-14 | 2014-04-23 | 姜德谦 | 一种鞋垫及该鞋垫与鞋子的装配方法 |
US10603865B2 (en) * | 2014-12-25 | 2020-03-31 | AGC Inc. | Insulating member and its attaching method |
US10426217B1 (en) * | 2015-12-09 | 2019-10-01 | Domenick Mainolfi | Footwear with interchangeable sections |
CN105919224A (zh) * | 2016-07-21 | 2016-09-07 | 张云飞 | 一种凝胶鞋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58975A (en) * | 1936-07-01 | 1936-10-27 | Ernest A Gray | Shoemaking |
US2207437A (en) * | 1940-03-21 | 1940-07-09 | L V Marks & Sons | Shoe and the manufacture thereof |
US2502774A (en) * | 1948-12-20 | 1950-04-04 | Alianiello Nicholas | Cushioned shoe |
US2565662A (en) * | 1949-09-26 | 1951-08-28 | Henry E Mcmahon | Shoe having a cushioning element |
US2572670A (en) * | 1949-12-29 | 1951-10-23 | Arthur D Schwartz | Platform insert for shoes |
US3009270A (en) * | 1959-01-22 | 1961-11-21 | Shoe Corp Of America | Light-weight snug-fitting smooth-interior flexible composite cemented shoe |
US3765422A (en) * | 1971-12-27 | 1973-10-16 | H Smith | Fluid cushion podiatric insole |
JPS6343925Y2 (ko) * | 1986-04-11 | 1988-11-16 | ||
JPH0611533B2 (ja) * | 1986-10-18 | 1994-02-16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衝撃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4942679A (en) * | 1989-02-21 | 1990-07-24 | Genesco, Inc. | Styled comfort shoe construction |
JP3001364U (ja) * | 1994-02-24 | 1994-08-23 | 有限会社プリティシューズ | 靴底構造 |
JPH09151987A (ja) * | 1995-11-29 | 1997-06-10 | Suzuki Sogyo Co Ltd | 重ね合わせ体 |
JPH1148378A (ja) * | 1997-08-05 | 1999-02-23 | Siegel:Kk | 緩衝材 |
US6101743A (en) * | 1998-03-11 | 2000-08-15 | Brown; Dennis N. | Construction for ultra-thin orthotic |
US6176025B1 (en) * | 1999-05-28 | 2001-01-23 | Spalding Sports Worldwide, Inc. | Cushioning system for golf shoes |
US6408543B1 (en) * | 2000-05-18 | 2002-06-25 | Acushnet Company | Footbed system with variable sized heel cups |
US6598319B2 (en) * | 2001-01-17 | 2003-07-29 | Spenco Medical Corporation | Insole with rebounding and cushioning areas and adjustable arch support |
JP2002238609A (ja) * | 2001-02-15 | 2002-08-27 | Bappu Sports Kk | 靴底及びその靴底に使用される保護安定具 |
US6453578B1 (en) * | 2001-10-15 | 2002-09-24 | Taiwan Footwear Research Institute | Orthopedic sole structure |
US7237346B2 (en) * | 2004-07-09 | 2007-07-03 | Columbia Insurance Company | Insole with cushion insert |
US7526880B2 (en) * | 2004-08-09 | 2009-05-05 | Norma Ellen Polcek | Cushioned insole |
-
2004
- 2004-07-07 KR KR1020067005384A patent/KR2007002445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7-07 CN CNA2004800018601A patent/CN1722963A/zh active Pending
- 2004-07-07 WO PCT/JP2004/009650 patent/WO2005044037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7-07 EP EP04747119A patent/EP1680969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7-07 US US10/541,497 patent/US20060048414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5044037A1 (ja) | 2005-05-19 |
CN1722963A (zh) | 2006-01-18 |
US20060048414A1 (en) | 2006-03-09 |
EP1680969A1 (en) | 2006-07-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59864C (en) | Gel insole | |
US4112599A (en) | Method of cushioning and ventilating a foot, and footwear including disposable slippers and insoles for practicing such method | |
CN110074510B (zh) | 具有轮廓的流体填充室 | |
CN101600365B (zh) | 结合了具有垂直设置的泵室和压力室的流体系统的鞋类物品 | |
US9131748B2 (en) | Sole assembly with gas and viscous fluid-filled bladder assembly | |
EP0664970B1 (en) | Cup-like insole | |
US20070033835A1 (en) | Insole arrangement; footwear with insole arrangement; and, method of preparation | |
US20070240333A1 (en) | Chassis for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footwear | |
US20070022630A1 (en) | Arch support insole | |
US692291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shoe having an odor and moisture absorbent pad | |
EP0643931B1 (en) | Gym shoes | |
WO2018186914A1 (en) | Insole for relieving plantar fasciitis pain | |
KR20070024454A (ko) | 신발 | |
US20240268512A1 (en) | Reversible Multi-Purpose Liner | |
US7041867B2 (en) | Laminate material for the protection of body parts and device comprising such laminate | |
US6418642B1 (en) | Slipper with polymer insole j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 |
JP3713510B2 (ja) | 履物 | |
CN110022713B (zh) | 用于鞋类物品的具有延伸板的鞋底结构 | |
CN217039076U (zh) | 一种具有可插入中底的鞋 | |
CN220403259U (zh) | 一种形状记忆鞋垫 | |
CN214594531U (zh) | 一种内藏支撑式抗菌除臭鞋垫 | |
CN216059428U (zh) | 一种复合式鞋垫结构 | |
KR200376929Y1 (ko) | 신발의 깔창구조 | |
JP3080125U (ja) | 中敷およびその中敷を用いた靴 | |
KR200408600Y1 (ko) | 안전화용 내답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