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355A - 집진 용기 및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집진 용기 및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24355A KR20070024355A KR1020060071862A KR20060071862A KR20070024355A KR 20070024355 A KR20070024355 A KR 20070024355A KR 1020060071862 A KR1020060071862 A KR 1020060071862A KR 20060071862 A KR20060071862 A KR 20060071862A KR 20070024355 A KR20070024355 A KR 200700243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dust collecting
- opening
- unit
- electric bl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47L9/104—Means for intercepting small objec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축적된 진애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집진 용기 및 이것을 갖춘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집진 용기에서는, 전동 송풍기(24)의 부압에 의해 흡인한 먼지 포함 공기를 진애 분리 유닛(진애 분리 수단)(400)에 의해서 공기와 진애로 분리하고, 이 진애 분리 유닛(40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도입 개구)(53A)에 집진부(70)를 갖춘 집진부 유닛(집진 용기)(410)이 접속되며, 집진부(70)는, 배출구(53A)에 접속하고 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케이스부(연통 풍로)(72)와, 연통 케이스부(72)로부터 거의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집진 케이스부(포집실)(74)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청소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집진 유닛을 떼어낸 청소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집진 유닛을 떼어낸 청소기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집진 유닛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집진 유닛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집진 유닛의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진애 분리 유닛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수납 케이스의 전벽부와 진애 분리부와 덕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집진부 유닛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집진부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덮개를 벗긴 집진부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집진부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수납 케이스와 소제 바디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플리츠 필터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플리츠 필터체의 원통부의 형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소제 바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소제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전기 청소기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2는 소제 부재에 의해서 배출 개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3은 진애 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 집진 용기(집진부 유닛) 70 : 집진부
72 : 연통 풍로(연통 케이스부) 74 : 포집실(집진 케이스부)
400 : 진애 분리 수단(진애 분리 유닛) 53A : 배출구(도입 개구)
24 : 전동 송풍기
본 발명은, 흡인한 먼지 포함 공기를 공기와 진애(塵埃)로 분리하는 진애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갖춘 집진 용기 및 이것을 갖춘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동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흡인한 먼지 포함 공기를 공기와 진애 로 분리하는 진애 분리부와, 이 진애 분리부에서 분리된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전기 청소기는, 하부에 진애가 축적되는 집진부가 형성되어, 이 집진부의 상부에 부압실이 형성되고, 이 부압실 내에 진애 분리부가 형성되어, 위아래로 연장되는 안내관에 의해서 진애 분리부와 집진부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기 청소기에 빨아들여진 먼지 포함 공기는, 진애 분리부에 의해서 공기와 진애로 분리되어, 공기는 부압실로 흐르는 한편, 진애는 안내관을 통해 집진부 안에 축적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181210
그런데, 전술한 전기 청소기에서는, 집진부 내에 축적된 진애가 증가함에 따라서 부압실에 흐르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하면, 집진부 내의 공기가 진애 분리부 안으로 끌려 들어갈 우려가 있었다.
또한, 진애 분리부 안으로 끌려 들어간 공기와 함께 집진부 내에 축적된 진애도 진애 분리부 안으로 역류하여, 진애 분리부가 막혀 버리거나 할 우려도 생기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축적된 진애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집진 용기 및 이것을 갖춘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집진 용기는, 전동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흡인한 먼지 포함 공기를 공기와 진애로 분리하는 진애 분리 수단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접속되어 진애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부를 갖추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배출구에 일단부가 접속되어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풍로와, 이 연통 풍로의 타단부에서 거의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포집실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흡인한 공기와 진애를 분리하여, 분리한 진애를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진애 분리 수단과, 상기 집진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 풍로의 일단부가 상기 진애 분리 수단의 배출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실시형태인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전기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11)와, 이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1A)에 일단이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고 그 타단에는 손잡이 조작관(13)이 설치되어 있는 집진 호스(12)와, 손잡이 조작관(13)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된 연장관(14)과, 연장관(14)의 선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된 흡입구체(15)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관(13)에는 조작부(13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부(13A)에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13a)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체(15)에는, 그 바닥면으로 진애를 흡인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입 개구(진애 흡입구)를 구비하는 흡입실(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 흡입실은 연장관(14) 및 집진 호스(12)를 통해 청소기 본체(11) 내에 설치한 집진 유닛(50)(도 6 참조)의 흡입 접속구(57a)에 연통하고 있다.
청소기 본체(11)는 본체 케이스(20)와, 본체 케이스(20) 내에 장착된 집진 유닛(50)(도 6 참조)과, 후술하는 전동 송풍기(2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20)의 앞쪽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유닛실(장착부)(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집진 유닛실(22)에는 집진 유닛(50)의 후술하는 진애 분리 유닛(진애 분리 수단)(400)과 집진부 유닛(집진 용기)(410)이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진애 분리 유닛(400) 및 집진부 유닛(410)을 집진 유닛실(22) 내에 장착하면, 각각 도시하지 않은 걸림 수단에 의해서 걸리어, 진애 분리 유닛(400) 및 집진부 유닛(410)과 본체 케이스(20)가 고정된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20)의 전단부에는, 집진부 유닛(410)과 본체 케이스(20)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레버(K)(도 2 참조)가 설치되고, 본체 케이스(20)의 집진 유닛실(22) 내에는 진애 분리 유닛(400)과 본체 케이스(20)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도시하지 않은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집진 유닛실(22)의 상부에는 개구(23)가 형성되고(도 3 참조), 이 개구(2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케이스(21A, 21B)에 의해서 폐쇄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20)의 뒤쪽에는 전동 송풍기(2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전동 송풍기(24) 의 앞쪽(도 2에 있어서 우측)에 전면 개구(25B)를 갖는 원통형의 접속 풍로부(25)가 형성되고, 이 접속 풍로부(25) 내에는 격자 부재(25K)가 배치되어 있고, 전면 개구(25B)에는 시일 부재(27)가 장착되어 있다. 접속 풍로부(25)의 후방벽(25A)에는 접속 개구(25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 개구(25b)와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가 연통하고 있다.
집진 유닛실(22)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제1 전달 수단)(Ga)와, 이 구동 기어(Ga)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구동 수단)(M)가 설치되어 있다.
집진 유닛(5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애 분리 수단인 진애 분리 유닛(400)과, 집진 용기인 집진부 유닛(410)을 구비하고 있다.
진애 분리 유닛(400)은, 진애 분리부(52)와, 진애 분리부(52)와 일체로 되어있는 필터부(80)와, 이 필터부(80) 위에 설치한 덮개 케이스(21A)로 구성되어 있다.
진애 분리부(52)는, 외주벽(53)에 의해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분리실부(54)와, 이 분리실부(54) 내에 분리실부(54)의 축선을 따라서 설치된 거의 원추 형상의 진애 분리 수단(55)과, 분리실부(54)의 우측벽(54A)(도 9 참조)의 외측에 설치한 흡인 풍로부(56)와, 흡입 접속구(57a)(도 6 참조)로부터 분리실부(54)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풍로관(57)을 갖고 있다. 흡입 접속구(57a)는 진애 분리 유닛(400)이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되면,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1A)에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분리실부(54)의 외주벽(53)의 상부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로부터 분리된 진애를 집진부(70)로 배출하는 도입 개구(배출구)(53A)와, 배출 개구(84K)(도 10참조)로부터 배출된 진애를 분리실부(54)로 도입하는 도입 구멍(15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실부(54)의 우측벽(54A)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개구(154A)와 부채형의 개구(154B)가 형성되고, 원형 개구(154A)에는 진애 분리 수단(55)이 부착되어 있고, 부채형 개구(154B)에는 네트 필터(NF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우측벽(54A)에는 접속 개구(54Aa)가 형성되고, 이 접속 개구(54Aa)에는 안내 풍로관(57)이 접속되어 있어, 분리실부(54)와 안내 풍로관(57)이 연통하고 있다.
분리실부(54)의 좌측면(도 7에 있어서)은 개구되어 있으며, 이 개구(54Ba)(도 9 참조)에는 덮개(58)(도 8참조)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진애 분리 수단(55)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55a)과, 링 프레임(55b)과, 원판(55a)과 링 프레임(55b)을 연결한 복수의 연결 프레임(55c)과, 연결 프레임(55c)의 주위에 접착한 네트 필터(NF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 풍로부(56)는, 우측벽(54A)의 개구(154A) 및 네트 필터(NF1)를 통해 분리실부(54) 내에 연통하는 동시에, 우측벽(54A)의 개구(154B)의 네트 필터(NF2)를 통해 분리실부(54) 내에 연통하고 있다(도 9 참조).
또한, 이 흡인 풍로부(56)는, 후술하는 필터부(80)의 수납 케이스(81) 내에 연통하고 있는 동시에, 그 우측벽부(156)(도 7 참조)에 형성한 접속 개구(56A)를 통해 후술하는 집진 케이스부(74)의 집진실(73)에 연통하고 있다.
안내 풍로관(57)은, 분리실부(54)의 접속 개구(54Aa)에서 분리실부(54) 내로 도입되는 공기를 도 9 및 도 10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집진부 유닛(410)은 집진부(70)와, 이 집진부(70) 위에 설치된 덮개 케이스(21B)로 구성되어 있다.
집진부(7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따라서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연통로(71)(도 7 참조)를 형성하는 연통 케이스부(연통 풍로)(72)와, 이 연통 케이스부(72)의 우단부에 연통하여 거의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진애를 축적하는 집진실(73)(도 7 참조)을 형성한 집진 케이스부(포집실)(74)를 갖고 있다.
연통 케이스부(72)의 좌단부 근방의 하면에는 개구(72A)가 형성되고, 이 개구(72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애 분리부(52)의 도입 개구(53A)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통 케이스부(72)는 이 도입 개구(53A)에 접속하고, 또한, 거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된다.
또한, 집진 케이스부(74)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면인 좌측벽부(74A)에는 접속 개구(7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 개구(75)에는 네트 필터(NF3)가 부착되어 닫혀 있다(도 13 참조).
이 네트 필터(NF3)의 외측으로서, 네트 필터(NF3)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판(170)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이 커 버판(170)은 좌측벽부(74A)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판(170)의 하부에는 개구(170A)가 형성되어, 네트 필터(NF3)의 상부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부터 커버판(170)에 의해서 덮여 있다(도 7 참조).
커버판(170)의 개구(170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 풍로부(56)의 접속 개구(56A)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집진 케이스부(74)는, 우측면이 개구된 케이스부(174)(도 13 참조)와, 이 케이스부(174)의 우측면의 개구(76)에 개폐가 자유롭게 부착된 덮개(77)(도 14 참조)에 세로로 2 분할하여 형성한 상태로 되어 있다.
케이스부(174)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 필터(NF3)가 부착된 좌측벽부(74A)와, 이 좌측벽부(74A)의 주위를 둘러싸는 동시에 연통 케이스부(72)와 일체로 된 주벽부(74B)를 갖고 있다.
또한, 덮개(77)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부(77A)와, 이 저벽부(77A)의 전후단에서부터 각각 위쪽으로 연장되는 측벽부(77B, 77C)와, 이 측벽부(77B, 77C)의 상부 사이에 가설하여 놓여진 상벽부(77D)와, 이들 저벽부(77A), 측벽부(77B, 77C), 상벽부(77D)로 둘러싸인 덮개판부(77E)를 갖고 있다.
그리고, 덮개(77)의 저벽부(77A)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74) 측으로 연장되는 아암부(77M)가 형성되고, 이 아암부(77M)에 축부(77J)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 축부(77J)가 케이스부(174)의 바닥부에 설치한 베어링부(78)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즉, 덮개(77)는 아래쪽의 단부인 저벽부(77A)가 케이스부(174)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부(77J)를 중심으로 하여 덮개(77)가 회동함으로써, 집진 케이스부(74)의 개구(76)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벽부(77D)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이 후크가 덮개(77)의 걸림부(도시하지 않음)에 걸림으로써 덮개(77)가 열리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부(70)의 덮개 케이스(21B)에 설치한 해제 버튼(21Ba)을 조작하면, 그 후크의 걸림이 해제된다. 한편, 이 때 덮개(77)를 하측으로 함으로써, 덮개(77)는 자신의 중량에 의해 축부(77J) 주위로 회동하여 열린다.
더욱이, 덮개(77)의 측벽부(77B, 77C)의 좌우 방향의 폭은, 케이스부(174)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이 덮개(77)의 좌우 방향의 폭은 집진 케이스부(74)의 좌우 방향의 폭의 1/2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진애 분리 유닛(400)을 장착한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집진부 유닛(410)을 장착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부 유닛(410)의 개구(72A)에 진애 분리부(52)의 도입 개구(53A)가 접속되고, 집진부 유닛(410)의 커버판(170)의 개구(170A)가 진애 분리 유닛(400)의 흡인 풍로부(56)의 접속 개구(56A)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필터부(80)는 후면(도 8에 있어서 좌측면)이 개구되는 동시에 원통형의 수납 케이스(81)와, 이 수납 케이스(81)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플리츠(pleats) 필터체(이차 필터)(100)와, 이 플리츠 필터체(100)와 일체로 회전하는 소제 바 디(300)(도 16 참조)를 갖고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81)의 전벽부(구획벽)(84)의 전면(도 6에 있어서 우측)에는 진애 분리부(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수납 케이스(81) 안이 필터실(181)로 되어 있다(도 10 참조).
수납 케이스(81)의 전벽부(84)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개구(84A)와 상부에 진애를 배출하는 배출 개구(84K)가 형성되고, 접속 개구(84A)가 흡인 풍로부(56)(도 7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 개구(84A)를 통해 수납 케이스(81) 안과 흡인 풍로부(56)가 연통하고 있다.
배출 개구(84K)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덮개(450)에 의해 폐색되고, 이 폐색 덮개(450)는 스프링(401)에 의해 후방(도 10에 있어서 좌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또한, 폐색 덮개(450)는 스프링(40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전방(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배출 개구(84K)가 열린다. 폐색 덮개(450)에는 돌기(450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기(450A)가 배출 개구(84K)에서 수납 케이스(81) 안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출 개구(84K)는 연통 부재(403)에 의해서 진애 분리부(52)의 도입 구멍(153B)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벽부(84)의 접속 개구(84A)의 근방에는, 상호 소정 간격을 둔 1쌍의 돌기(88)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플리츠 필터(104)의 산부(104A)(상류측에 대한 산부)의 돌출부(104A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벽부(84)의 중심부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84J)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81)의 내주벽면은 플리츠 필터(104)로부터 떨어뜨려진 진애를 받는 진애 수용실(86)로 되어 있다.
플리츠 필터체(10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의 프레임(101)과, 이 프레임(101)의 중심 위치에 설치한 축부(101A)와, 이 축부(101A)에서 방사형으로 플리츠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플리츠 골재(102, 103)와, 이 플리츠 골재(102, 103)에 붙여져 형성된 필터인 플리츠 필터(104)를 갖고 있다.
축부(101A)의 축 구멍(101Aa)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벽부(84)의 축(84J)이 상대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플리츠 필터체(100)는 축(84J)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101)의 후단에,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짧은 원통부(110)가 형성되고, 이 원통부(110)의 외주면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을 따라서 지름이 작은 3개의 소직경부(110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소직경부(110A)와 소직경부(110A) 사이가 대직경부(110B)로 되어 있다.
이 소직경부(110A)나 대직경부(110B)는 마이크로 스위치(S1)에 의해 검지하는 것으로, 이 마이크로 스위치(S1)(도시하지 않음)는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대직경부(110B)를 검지하고 있을 때 마이크로 스위치(S1)는 온으로 되고, 소직경부(110A)를 검지하고 있을 때 오프가 되도록 되어 있다.
원통부(110)의 후단면에는 기어(107)가 형성되고, 이 기어(107) 및 원통부(110)는 수납 케이스(81)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기어(107)는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의 구동 기어(Ga)에 맞물려,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플리츠 필터체(100)가 수납 케이스(81) 내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진애 분리 유닛(40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하면 기어(107)가 구동 기어(Ga)에 맞물리고, 그 집진 유닛실(22)로부터 진애 분리 유닛(400)을 들어 올리면, 기어(107)는 구동 기어(Ga)에서 떨어져, 진애 분리 유닛(400)은 집진 유닛실(22)로부터 간단히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소제 바디(30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리츠 필터체(100)의 축부(101A)에 끼워 맞춰져 그 축부(101A)와 일체로 회전하는 축부(301)와, 이 축부(301)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아암(302)과, 이 아암(302)의 선단부에 설치된 소제 부재(303)를 갖고 있다. 한편, 도 20에서는 2개의 소제 부재(303)는 생략하고 있다.
소제 부재(303)는,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내벽면을 미끄럼 접촉하여 그 진애 수용부(86)에 고여 있는 진애를 긁어 올리는 제1 미끄럼 접촉부(303A)와, 수납 케이스(81)의 전벽부(84) 위를 미끄럼 접촉하는 제2 미끄럼 접촉부(303B)와, 제1 미끄럼 접촉부(303A)에서 긁어 올린 진애를 배출 개구(84K)로 떨어뜨리는 경사면(가이드 경사면)(303C)이 형성되어 있다.
소제 바디(300)는 플리츠 필터체(1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소제 부재(303)는 도 16에 도시하는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내주면을 따라서 그 내주면 및 전벽부(84)를 미끄럼 접촉하여 이동한다. 이 미끄럼 접촉 이동에 의해, 소제 부재(303)가 진애 수용부(86)에 고인 진애를 배출 개 구(84K)로 밀어 올리는 식으로 되어 있다.
소제 부재(303)가 배출 개구(84K)의 위치로 이동해 오면, 소제 부재(303)가 폐색 덮개(450)의 돌기(450A)를 눌러 폐색 덮개(450)를 스프링(40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시켜, 배출 개구(84K)를 열리게 한다.
플리츠 필터체(100)가 회전하여, 소제 부재(303)가 도 16에 도시하는 위치로 오면, 마이크로 스위치(S1)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도록, 즉 마이크로 스위치(S1)가 플리츠 필터체(100)의 원통부(110)의 대직경부(110B)의 검지에서 소직경부(110A)의 검지로 전환되도록, 마이크로 스위치(S1)의 부착 위치와, 플리츠 필터체(100)에 대한 소제 바디(300)의 부착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소제 부재(303)가 도 16에 도시하는 위치에 왔을 때, 배출 개구(84K)는 폐색 덮개(450)에 의해 폐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진애 분리 유닛(40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하면, 청소기 본체(11)의 접속 풍로부(25)의 전면 개구(25B)에 시일 부재(27)를 통해 진애 분리 유닛(400)의 수납 케이스(81)의 후단면이 접합되어, 수납 케이스(81) 안과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가 접속 풍로부(25)를 통해 연통된다.
도 21은 이 전기 청소기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1에 있어서, 200은 조작부(13A)의 조작 스위치(13a)(도 1 참조)의 조작이나 마이크로 스위치(S1)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전동 송풍기(24)나 모터(M)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다.
[동작]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청소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유닛(5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에 장착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 호스(12)를 청소기 본체(11)의 접속구(11A)에 접속하는 동시에 손잡이 조작관(13)에 연장관(14)을 통해 흡입구체(15)를 접속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한다. 이 접속에 의해 제어 장치(200)가 모터(M)을 구동시켜, 필터부(80)의 플리츠 필터체(100)를 회전시킨다. 플리츠 필터체(100)의 회전과 함께 소제 바디(300)가 회전하여, 소제 바디(300)의 소제 부재(303)는 그 제1 미끄럼 접촉부(303A)가 진애 수용부(86)의 둘레면 위를 미끄럼 접촉 이동하여 그 진애 수용부(86)에 모여 있는 진애를 둘레면을 따라서 위로 밀어 올린다.
이와 같이, 소제 부재(303)는 회전 이동에 의해 진애를 진애 수용부(86)를 따라서 배출 개구(84K)로 밀어 올리기 때문에, 이러한 밀어 올림을 간단한 구조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소제 바디(300)는 플리츠 필터체(10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하기 때문에, 구동원은 하나면 되며, 소제 바디(300)용의 전용 모터는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소제 부재(303)가 배출 개구(84K)의 위치로 오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제 부재(303)의 제2 미끄럼 접촉부(303B)가 폐색 덮개(450)의 돌기(450A)를 누르기 때문에, 폐색 덮개(450)가 열린다.
한편, 소제 부재(303)의 제1 미끄럼 접촉부(303A)에서 긁어 올린 진애는, 소 제 부재(303)의 측면(303D)을 통해 경사면(303C)에 떨어뜨려지고, 또한 그 진애는 경사면(303C)에 의해서 배출 개구(84K)로 떨어뜨려져 배출된다. 이 배출 개구(84K)에 떨어뜨려진 진애는 연통 부재(403)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도입 구멍(153B)에서 분리실부(54) 안으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플리츠 필터체(100)의 회전에 의해 소제 부재(303)가 도 16에서 도시하는 위치에 오면, 마이크로 스위치(S1)가 플리츠 필터체(100)의 원통부(110)의 대직경부(110B)의 검지에서 소직경부(110A)의 검지로 전환되고, 이로써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소제 부재(303)가 도 16에 도시하는 위치로 이동하면, 소제 부재(303)의 제2 미끄럼 접촉부(303B)에 의한 폐색 덮개(450)의 돌기(450A)의 압박이 해제되어, 폐색 덮개(450)가 스프링(401)의 압박력에 의해 배출 개구(84K)를 폐색한다.
모터(M)의 구동 중, 즉 폐색 덮개(450)에 의해서 배출 개구(84K)가 폐색될 때까지의 동안, 손잡이 조작관(13)의 조작부(13A)의 스위치(13a)를 조작하더라도 전동 송풍기(24)는 구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안으로 배출된 진애가 배출 개구(84K)로부터 흡인되어 재차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손잡이 조작관(13)의 조작부(13A)의 스위치(13a)가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24)가 구동된다. 이 전동 송풍기(24)의 구동에 의해,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져, 접속 풍로부(25)를 통해 집진 유닛(50)의 수납 케이스(81) 내에 부압이 작용하고, 또한 흡인 풍로부(56)를 통해 집진 케이스 부(74) 안이나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에 작용한다. 그리고, 그 부압이 안내 풍로관(57)을 통해 집진 호스(12), 연장관(14) 및 흡입구체(15)에 작용하여, 흡입구체(15)로부터 공기와 같이 진애가 흡인된다.
이 흡인된 진애 및 공기가 연장관(14) 및 집진 호스(12)를 통해 집진 유닛(50)의 흡입 접속구(57a)로 흡인된다. 이 흡입 접속구(57a)로 흡인된 진애 및 공기는 안내 풍로관(57)을 지나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안으로 도입되고, 이 분리실부(54) 내에서는 도 23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분리실부(54) 내에서의 회전에 의해, 진애에 작용하는 관성력에 의해서 공기와 분리되어, 공기는 진애 분리 수단(55)의 네트 필터(NF1)(도 10 참조)나 개구(154B)의 네트 필터(NF2)를 지나고, 또한 흡인 풍로부(56)를 지나 필터부(80)의 수납 케이스(81) 안으로 흡인된다.
다른 한편, 분리된 진애는, 관성력에 의해서 분리실부(54)의 상부에 형성된 도입 개구(53A)로부터 집진부(70)의 연통 케이스부(72) 안으로 일부의 공기와 함께 도입된다.
이 도입된 진애 및 공기는 도입 개구(53A)에 접속하고 또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케이스부(72)의 연통로(71)를 따라서 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 연통로(71)를 지나 집진실(73)에 흡인된다.
그리고, 집진실(73)의 입구 부분에까지 이동한 진애는 거의 수직 아래쪽으로 낙하하여 이 집진실(73) 내에 축적된다.
이에 따라, 집진 케이스부(74) 내에 축적된 진애량이 증가함으로써, 네트 필 터(NF3)가 폐색되어 진애 분리 유닛(400)의 진애 분리부(52) 안으로 공기가 끌려 들어가더라도, 집진실(73) 내에 낙하하여 축적된 진애는, 진애 분리부(52) 안에까지 역류하는 일없이, 확실하게 축적될 수 있다.
즉, 한번 집진실(73) 안으로 낙하한 진애는 진애 분리부(52) 안으로 끌려 들어가는 공기에 의해서 날아 올랐다고 하여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케이스부(72) 안을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집진실(73) 내에 머물고, 진애 분리부(52) 안에까지 역류하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진애 분리 유닛(400)의 진애 분리부(52)에 의해서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집진 케이스부(74)에 축적된 진애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집진실(73)로 흡인된 공기는 네트 필터(NF3) 및 커버판(170)의 하부의 개구(170A)를 지나 흡인 풍로부(56)에 흡인되고, 또한 필터부(80)의 수납 케이스(81) 안으로 흡인된다.
이 때, 네트 필터(NF3)를 통과하는 공기에 실린 미세한 티끌이 네트 필터(NF3)에 포집되어, 이 네트 필터(NF3)에 부착하게 된다.
여기서, 네트 필터(NF3)는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커버판(170)에 의해서 덮여 있는 동시에, 커버판(170)의 하부에 개구(170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네트 필터(NF3)의 하부에 많은 공기가 흐른다. 이 때문에, 네트 필터(NF3)의 하측에서부터 진애가 부착되어, 폐색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진애를 집진실(73)의 하측에서부터 차례로 보다 축적할 수 있다.
수납 케이스(81) 안으로 흡인된 공기는 플리츠 필터체(100)의 플리츠 필터(104)를 지나 청소기 본체(11)의 접속 풍로부(25)로 흡인되고, 또한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에 흡인된다.
전동 송풍기(24)의 흡입 개구(24A)에 흡인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24) 안을 지나 도 2에 도시하는 청소기 본체(11)의 배기구(20H)로부터 배기된다.
청소가 끝나면, 조작부(13A)의 조작 스위치(13a)를 조작하여 전동 송풍기(2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 전동 송풍기(24)의 구동이 정지되면, 도 21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200)가 모터(M)를 구동시킨다. 모터(M)의 구동에 의해 구동 기어(Ga)가 회전하여 플리츠 필터체(100)가 회전한다.
이 플리츠 필터체(100)의 회전에 의해, 수납 케이스(81)의 전벽부(84)의 돌기(88)가 플리츠 필터(104)의 산부(104A)의 돌출부(104Ab)에 맞닿아, 플리츠 필터(104)에 진동이 주어지게 되어,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된 진애가 떨어뜨린다. 이 진애는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된다.
돌기(88)는 플리츠 필터체(100)의 회전 중심보다 아래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플리츠 필터체(100)의 하측 부분의 플리츠 필터(104)에 큰 진동이 주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그 하측 부분의 플리츠 필터(104)로부터 진애가 떨어뜨려져 그대로 진애 수용부(86)로 떨어지며, 이 낙하 도중에 재차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되어 버리는 일이 없으며, 이 때문에 효율적으로 진애를 떨어뜨릴 수 있다.
다른 한편, 플리츠 필터체(100)와 함께 소제 바디(300)가 회전하여, 소제 바디(300)의 소제 부재(303)의 제1 미끄럼 접촉부(303A)가 수납 케이스(81)의 진애 수용부(86)의 내주면을 미끄럼 접촉하여 이동한다. 이 미끄럼 접촉 이동에 의해,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된 진애가 긁혀 올라가면서 진애 수용부(86)의 둘레면을 따라서 위로 밀어 올리고, 그리고, 소제 부재(303)가 배출 개구(84K)의 위치에 오면, 상술된 바와 같이 하여 배출 개구(84K)가 열려(도 22 참조), 그 밀어 올려진 진애가 배출 개구(84K)로 배출되어, 연통 부재(403)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안으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플리츠 필터체(100)가 예컨대 1 회전하여, 소제 부재(303)가 도 16의 위치에 오면, 마이크로 스위치(S1)가 플리츠 필터체(100)의 원통부(110)의 대직경부(110B)의 검지에서 소직경부(110A)의 검지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어, 플리츠 필터체(100)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 개구(84K)가 폐색 덮개(450)에 의해 폐색된다.
또한, 소제 바디(300)의 소제 부재(303)가 배출 개구(84K)를 열었을 때에 전원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빼낸 경우,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어, 배출 개구(84K)가 열린 상태로 되어 버린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전기 청소기(10)는,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면, 모터(M)를 구동하여 플리츠 필터체(100)를 회전시키고, 그리고 소제 부재(303)가 도 16에서 도시하는 위치에 오면, 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켜 소제 부재(303)를 도 16의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배출 개구(84K)는 폐색 덮개(450)에 의해서 폐색되고, 이 후 전동 송풍기(24)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로 되돌려 진 진애를 배출 개구(84K)로부터 흡인하여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은 방지된다.
또한, 진애 수용부(86)에 저장된 진애는 소제 부재(303)의 회전 이동에 의해, 배출 개구(84K)로부터 연통 부재(403)를 통해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안으로 되돌려지는 것이므로, 플리츠 필터(104)용의 전용 집진부를 집진부 유닛(410)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플리츠 필터(104)에 눈막힘이 생긴 경우에는, 진애 분리 유닛(400)을 청소기 본체(11)로부터 떼어내어 플리츠 필터(104)를 청소한다.
진애 분리 유닛(400)을 떼어내는 것은, 우선 본체 케이스(20)로부터 집진부 유닛(410)을 떼어낸 후에 하지만, 구동 기어(Ga)가 플리츠 필터체(100)의 기어(107)의 회전 중심 위치보다 하측 위치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구동 기어(Ga)가 방해가 되는 일없이, 진애 분리 유닛(400)을 위로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플리츠 필터체(100)의 기어(107)는 구동 기어(Ga)에서 벗겨진다. 이 때문에, 진애 분리 유닛(400)을 청소기 본체(11)의 집진 유닛실(22)로부터 간단히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진애 분리 유닛(400)을 장착할 때에도, 이 진애 분리 유닛(400)을 집진 유닛실(22)의 위에서부터 삽입하면, 구동 기어(Ga)가 방해가 되는 일없이, 플리츠 필터체(100)의 기어(107)가 구동 기어(Ga)에 맞물려, 진애 분리 유닛(400)을 집진 유닛실(22)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하나를 도면에 의해 상술하여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의 변경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출 개구(84K)로부터 배출되는 진애를 진애 분리부(52)의 분리실부(54) 안으로 되돌리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진애 분리부(52)의 상류가 되는 안내 풍로관(57)으로 되돌리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리츠 필터체(100)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리츠 필터(104)에 부착된 진애를 떨어뜨리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플리츠 필터체(100)를 회전시키지 않고서 플리츠 필터(104)에 진동을 부여하여 진애를 떨어뜨리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예는, 캐니스터형 타입의 전기 청소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업라이트식의 전기 청소기나, 손잡이 조작관 등에 진애 분리 유닛을 부착하는 전기 청소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집진 용기에 따르면, 진애 분리 수단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진애를, 연통 풍로를 따라서 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거의 수직 하방으로 낙하시켜 축적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포집실 내에 축적된 진애량이 증가함으로써 진애 분리 수단 안으로 공기가 끌어들여지더라도, 포집실 내에 낙하하여 축적된 진애는 진애 분리 수단 안으로 역류하는 일없이, 확실하게 축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애 분리 수단에 의해서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축적된 진애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 전동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흡인한 먼지 포함 공기를 공기와 진애(塵埃)로 분리하는 진애 분리 수단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접속되어 진애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부를 갖춘 집진 용기로서,상기 집진부는, 상기 배출구에 일단부가 접속되어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통 풍로와, 이 연통 풍로의 타단부로부터 거의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포집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실의 하단부 및/또는 그 근방에 상기 진애 분리 수단 하류의 상기 전동 송풍기로의 흡인 풍로부에 연통하는 개구를 형성하여, 이 개구에 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용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 설치한 상기 필터의 외측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커버판을 배치하고, 상기 커버판의 하부에 개구를 형성하여, 필터의 상부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부터 커버판에 의해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용기.
-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흡인한 공기와 진애를 분리하여, 분리한 진애를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진애 분리 수단과, 제1 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집진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 풍로의 일단부가 상기 진애 분리 수단의 배출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흡인한 공기와 진애를 분리하여, 분리한 진애를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진애 분리 수단과, 제3항에 기재한 집진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통 풍로의 일단부가 상기 진애 분리 수단의 배출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45215 | 2005-08-26 | ||
JP2005245215A JP4118289B2 (ja) | 2005-08-26 | 2005-08-26 | 集塵容器及び電気掃除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4355A true KR20070024355A (ko) | 2007-03-02 |
KR100857491B1 KR100857491B1 (ko) | 2008-09-09 |
Family
ID=3777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1862A KR100857491B1 (ko) | 2005-08-26 | 2006-07-31 | 집진 용기 및 전기 청소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118289B2 (ko) |
KR (1) | KR100857491B1 (ko) |
CN (1) | CN100571594C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41902A2 (ko) * | 2008-10-10 | 2010-04-15 | 엘지전자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18289B2 (ja) | 2005-08-26 | 2008-07-16 | 株式会社東芝 | 集塵容器及び電気掃除機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4551B1 (ko) | 1999-12-06 | 2004-08-16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사이클론방식 진공청소기 |
JP3648502B2 (ja) | 2002-06-11 | 2005-05-18 | 日立ホーム・アンド・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JP4220200B2 (ja) | 2002-08-28 | 2009-02-04 | 株式会社東芝 | 電気掃除機 |
JP3762363B2 (ja) * | 2002-12-17 | 2006-04-05 | 東芝テック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JP3798390B2 (ja) | 2003-06-20 | 2006-07-19 | 東芝テック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JP4118289B2 (ja) | 2005-08-26 | 2008-07-16 | 株式会社東芝 | 集塵容器及び電気掃除機 |
-
2005
- 2005-08-26 JP JP2005245215A patent/JP411828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7-27 CN CNB200610099118XA patent/CN10057159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7-31 KR KR1020060071862A patent/KR10085749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41902A2 (ko) * | 2008-10-10 | 2010-04-15 | 엘지전자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 |
WO2010041902A3 (ko) * | 2008-10-10 | 2010-07-01 | 엘지전자주식회사 | 진공 청소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118289B2 (ja) | 2008-07-16 |
CN100571594C (zh) | 2009-12-23 |
JP2007054454A (ja) | 2007-03-08 |
CN1919133A (zh) | 2007-02-28 |
KR100857491B1 (ko) | 2008-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02377B1 (ko) | 전기 청소기 | |
KR100942415B1 (ko) | 전기 청소기 | |
US7682414B2 (en) | Dust collecting unit for use in cleaner | |
KR101074541B1 (ko) | 진공 청소기 | |
KR20120031446A (ko) | 전기 청소기 | |
KR20170046345A (ko) |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 |
JP4011079B2 (ja) | 電気掃除機 | |
KR100857491B1 (ko) | 집진 용기 및 전기 청소기 | |
JP4007454B2 (ja) | 電気掃除機 | |
JP3998213B2 (ja) | 電気掃除機 | |
JP4012227B2 (ja) | 電気掃除機 | |
JP3990419B2 (ja) | 電気掃除機 | |
JP4256368B2 (ja) | 電気掃除機 | |
JP4118288B2 (ja) | 電気掃除機 | |
JP2004089263A (ja) | 電気掃除機 | |
KR101436630B1 (ko) | 진공 청소기 | |
JP2007054554A (ja) | 電気掃除機 | |
JP2004135994A (ja) | 電気掃除機 | |
JP4769049B2 (ja) | 電気掃除機 | |
JP2007029383A (ja) | 電気掃除機 | |
JP2008228986A (ja) | 電気掃除機 | |
JP2007252641A (ja) | 電気掃除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