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346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346A
KR20070024346A KR1020060064115A KR20060064115A KR20070024346A KR 20070024346 A KR20070024346 A KR 20070024346A KR 1020060064115 A KR1020060064115 A KR 1020060064115A KR 20060064115 A KR20060064115 A KR 20060064115A KR 20070024346 A KR20070024346 A KR 20070024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ffic
gateway
traffic transmission
transmiss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8993B1 (ko
Inventor
정명철
이영대
박성준
천성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6006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99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6/003340 priority patent/WO2007024112A1/en
Priority to RU2008107088/09A priority patent/RU2407164C2/ru
Priority to EP06783727.8A priority patent/EP1935117B1/en
Priority to US12/064,455 priority patent/US8243680B2/en
Priority to CN2006800305785A priority patent/CN101243628B/zh
Priority to BRPI0615116-7A priority patent/BRPI0615116A2/pt
Priority to MX2008001462A priority patent/MX2008001462A/es
Priority to JP2008526892A priority patent/JP4647693B2/ja
Priority to TW95131444A priority patent/TWI359621B/zh
Publication of KR20070024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에서 무선단말이 트래픽 전송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변경하게 될 경우의 효율적인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은, 무선 단말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첫 번째 무선망 노드(seNB)로부터 두 번째 무선망 노드(teNB)로 접속하게 될 때, 무선 시스템이 두 번째 무선망 노드에 가장 적합한 게이트웨이를 재설정하여 최적화된 경로를 통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종래 게이트웨이의 변경으로 인하여 발생되던 망 내의 혼잡과 불필요한 시그널링 과정을 줄일 수 있다.
E-UMTS,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게이트웨이 변경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TRAFFIC TRANSMISSION PATH RELOC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인 E-UMTS의 망 구조.
도 2는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UTRAN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제어평면 구조.
도 3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UTRAN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사용자평면 구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망 구조 모델로서, AG 재설정과 관련된 기본적인 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단말이 seNB에서 teNB로 이동한 경우 eNB간의 트래픽(e.g.,패킷)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내 도면.
도 6은 단말이 seNB에서 teNB로 이동한 경우 sAG에서 teNB로의 트래픽 전송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단말이 seNB에서 teNB로 이동한 경우 SAG와 teNB간의 경로가 없을 경우의 트래픽 전송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단말이 seNB에서 teNB로 이동한 경우 teNB에 가장 최적의 AG를 재설정하여 트래픽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전송경로 재설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무선단말(UE) 12 : 소스 기지국(source eNB)
13 : 목적 기지국(target eNB)
본 발명은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단말이 트래픽 전송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변경하게 될 경우의 효율적인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인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이다.
E-UMTS시스템은 기존 UMTS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상기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E-UMTS망은 크게 E-UTRAN과 EPC(Evolved Packet Core)로 구분된다. E-UTRAN은 단말(User Equipment : UE)과 기지국(이하 eNB 또는 eNode B로 약칭), 망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망과 연결되는 접속게이트웨이 (Access Gateway : AG, MME/UPE로도 표현가능)로 구성된다. 상기 AG는 사용자 트래픽을 처리하는 부분과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부분으로 나누어 질 수도 있다. 이때, 새 로운 사용자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AG와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AG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 할 수 있다.
하나의 eNode B(eNB)에는 하나이상의 셀(Cell)이 존재할 수 있으며, eNode B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EPC는 AG와 기타 UE의 사용자 등록을 위한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UMTS에서 E-UTRAN과 EPC를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eNodeB와 AG사이에는 S1 인터페이스를 다수 개의 노드들 끼리(Many to Many) 연결할 수 있다. eNodeB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인접한 eNodeB간에는 항상 X2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그물(meshed) 망 구조를 가진다.
단말과 망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시스템간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 OSI)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및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제 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 3계층에 위치하는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계층은 단말과 망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계층은 단말과 망간에 RRC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RRC계층은 eNode B와 AG 등 망 노드들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eNode B 또는 AG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는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계층 (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과 제어신호(Signaling)전달을 위한 제어평면 (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도 2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시스템간상호접속 (OSI)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및 L3 (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도 2의 무선프로토콜의 제어평면과 도 3의 무선프로토콜의 사용자평면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전송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 MAC)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 RLC)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RLC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패킷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베어러 (Radio Bearer : RB)들의 설정 (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망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전송채널로는 시스템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과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공유채널(Shared Channel : SCH)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종래에는 무선단말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현재 무선 단말이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는 트래픽 전송을 위한 게이트웨이에 더 이상 접속하지 못하거나 또는 기타 운용 측면에서 게이트웨이를 유지 하지 못할 경우, 무선단말은 이동하여 온 기지국에 적합 한 게이트웨이로 접속을 변경한다.
그런데, 새로운 게이트웨이로의 변경은 게이트웨이간의 문맥 정보(Context) 교환, 많은 기지국과 게이트웨이간의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등으로 인하여 망의 혼잡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이 트래픽 전송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변경하게 될 경우 시그널링 메시지의 전송을 최적화 시켜 망의 혼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은, 무선 단말이 제1무선망 노드로부터 제2무선망 노드로 핸드오버하면, 제2 무선망 노드에 가장 적합한 트래픽 처리를 위한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게이트웨이로 트래픽 전송경로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트래픽 전송경로를 통해 트래픽 전송 노드가 제2무선망노드로 트래픽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무선망 노드는 단말이 현재 접속하여 서비스 받고 있는 기지국이고, 제2무선망 노드는 단말이 이동하여 서비스를 받을 기지국을 나타낸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에서 상기 트래픽 전송경로 변경단계는, 제2무선망 노드가 상기 결정된 제1게이트웨이로 재설정 요구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재설정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제1게이트웨이가 단말이 이전에 서비스를 전송받던 제2게이트웨이로 경로최적화 요구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제1게이트웨이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고, 망 내부의 트래픽 전송 노드로 트래픽 경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설정 요구메시지는 단말의 인증정보, 보안 정보 및 압축관련정보등과 같은 단말의 문맥정보를 포함한다. .
바람직하게, 상기 경로최적화 요구메시지는 단말에 대한 문맥정보와 식별자 정보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게이트웨이는 응답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을 자신이 관리하는 단말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제2게이트웨이는 단말에 대한 문맥정보등을 삭제하고 자신이 관리하는 단말 리스트에서 삭제한다.
본 발명은 E-UMTS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되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무선망의 접속게이트웨이(AG)를 무선단말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변경하고자 할 경우 망 내의 혼잡과 불필요한 시그널링 과정을 최적화 시킬 수 있는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즉, 무선통신 시스템은 무선 단말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첫 번째 무선망 노드로부터 두 번째 무선망 노드로 접속하게 될 경우, 두 번째 무선망 노드에 가장 적합한 트래픽 처리를 위한 게이트웨이 노드를 변경하거나 새로 설정하여 전송효율을 최적화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첫번째 무선망 노드는 단말이 현재 접속하여 서비스 받고 있는 기지국 노드(seNB)이고, 두번째 무선망 노드는 단말이 이동하여 서비스를 받을 기지국 노드(teNB)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망 구조 모델로서, AG 재설정과 관련된 기본적인 망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Inter-AS는 AG의 상위에 존재하는 망 노드로서, 단말로 전송되는 서비스는 Inter-AS를 거쳐 AG로 전송된다(e.g., 트래픽 전송 노드). 또한 상기 Inter-AS는 타 망과의 연동을 위한 Anchor의 역할도 할 수 있다. AG간에는 서로간에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sAG는 현재 단말이 접속하고 서비스를 전송 받고 있는 AG이다. 상기 sAG에는 단말과 관련된 정보들이 들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인증정보, 보안정보, 압축관련정보, 서비스정보 및 TA(Tracking Area)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AG에는 단말에 대한 압축관련 프로토콜인 PDCP와 보안관련 프로토콜이 위치한다.
상기 tAG는 단말이 teNB로 이동한 후에 이동하여 갈 AG이고, seNB는 단말이 현재 접속하여 서비스 받고 있는 기지국 노드이다. 상기 기지국을 통해 단말은 무선자원을 할당 받으며 무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트래픽을 전송 받는다. 만약 seNB로부터 teNB로 이동할 경우, 단말은 seNB와의 접속을 끊고 teNB와 새로운 접속을 이룬다. 이때, 기본적으로 teNB는 seNB와 연결된 인터페이스(X2)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eNB간의 패킷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eNB는 여러 개의 AG와 인터페이스(S1)를 통하여 패킷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단말이 seNB에서 teNB로 이동한 경우 eNB간의 트래픽(e.g.,패킷) 전송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seNB에서 teNB로 이동하면, seNB가 핸드오버명령을 단말에 전송한 후부터 teNB가 핸드오버완료를 수신하여 핸드오버가 완료될 때까지 seNB로부터 teNB로 패킷 전송이 이루어진다.
도 6은 단말이 seNB에서 teNB로 이동한 경우 sAG에서 teNB로의 트래픽 전송을 나타낸다. 도 6은 단말이 핸드오버를 완료하여 teNB로 이동하여 오면, sAG로부터 경로가 업데이트되어 seNB가 아닌 바로 teNB로 트래픽이 전송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단말이 seNB에서 teNB로 이동한 경우 sAG와 teNB간의 경로가 없을 경우의 트래픽 전송을 나타낸다. 도 7은 단말이 seNB에서 teNB로 이동한 경우에 sAG로부터 바로 teNB로 연결되는 경로가 없거나 기타 문제 등으로 인하여 바로 연결이 불가능 할 경우에는, 트래픽전송이 teNB가 연결 가능한 tAG를 통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낸다.
도 6 또는 도 7의 경우에 단말은 최적화된 경로가 아닌 경로를 통해 트래픽이 전송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트래픽 전송 지연 등이 생기게 된다. 혹은 트래픽 부하나 sAG의 용량 등에 따라 트래픽 전송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eNB에 가장 적합한 게이트웨이 (상기에서는 tAG)를 재설정(Relocation)하여 최적화된 경로를 통해 트래픽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단말이 seNB에서 teNB로 이동한 경우 상기 teNB에 가장 합당한 AG를 재설정하여 트래픽을 전송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9는 AG재설정을 통한 패킷 전송경로 최적화 방법으로서, 특히 도 6 및 도 7과 같은 트래픽 전송 과정에서 AG를 재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에서 단말은 활성화 상태(Active mode)로서 트래픽을 수신 또는 송신하고 있는 상태이다. 단말이 seNB에서 teNB쪽으로 이동하여 핸드오버가 진행되는 시점에서, 단말은 seNB을 거쳐서(도 5: inter AS->sAG-> seNB-> teNB-> 단말) 트래픽을 전송받게 된다.
이후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단말은 sAG로부터 teNB로 바로(도 6: inter AG-> sAG->teNB->단말) 트래픽을 전송 받게 되거나, 또는 새로운 AG인 tAG를 거쳐(도 7: inter AS->sAG->tAG->teNB->단말) 트래픽을 전송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먼저 teNB는 단말의 트래픽 송신 혹은 수신 상태등의 활동상황 (Activity)를 확인한다. 이때 단말은 현재 트래픽을 송신 혹은 수신하는 활성화 상태(Active mode)이거나, 활성화 상태이지만 현 시점에서는 송신 혹은 수신하는 트래픽이 거의 없거나 없는 가성활성화(Qusai-Active mode)일 수 있다. 상기 가성활성화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Idle mode)와 유사하지만 단말의 문맥정도(UE context)등이 연결된 eNB에서 유지되며 존재한다는 점이 차이점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단말이 활성화상태로서 트래픽 송수신이 진행되다가 잠시 트래픽 송수신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서 가성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단말이 가성활성화상태에 있음이 확인되면, teNB는 가장 효율적인 (트래픽 경로 최적화, 트래픽 부하, 사용자 부하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운용자측면에서 결정될 수 있음) AG(e.g.,tAG)를 결정하여, tAG로 AG 재설정 (Relocation)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10).
상기 AG 재설정 요구 메시지에는 단말에 대한 문맥정보(UE context)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 문맥정보는 단말의 인증정보, 보안 정보 및 압축관련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단말은 비활성화 상태(Idle mode)로 변경될 수도 있고 혹은 가성활성화상태(Qusai-Active mode)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teNB는 단말 상태 변경 또는 유지를 위한 요구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teNB로부터 AG 재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tAG는 AG경로최적화(Path Optimization)요구 메시지를 sAG로 전송한다(S11). 이때 상기 AG경로최적화 메시지에는 단말에 대한 문맥정보와 식별자(Identification)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필요할 경우 인증정보 및 보안정보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AG경로최적화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sAG는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정보, 보안 정보 등의 문맥 정보를 포함하여 AG경로최적화(Path Optimization) 응답 메시지를 tAG에 전송한다(S12). 상기 AG경로최적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tAG는 상기 단말을 자신이 관리하는 단말 리스트에 등록(Registration 혹은 Attach) 시킨다. 상기 sAG는 상기 단말에 대한 문맥 정보 등을 삭제하고 자신이 관리하는 단말 리스트에서 뺄 수도 있다(detach). 또한 sAG는 전체 또는 일부의 상기 단말 문맥 정보 등을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sAG는 경로변경(Path Switching)메시지를 통하여 inter-AS 또는 망 내부에서 트래픽의 분배 또는 서비스의 제공 등에 관계되는 서버등에 상기 단말에 대한 트래픽 전송을 위한 경로가 sAG가 아닌 tAG로의 변경이 필요함을 요구한다(S13). 상기 경로변경 메시지를 수신한 inter-AS는 상기 단말을 위한 트래픽 전송을 sAG가 아닌 tAG를 통해 전송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트래픽은 Inter-AS와 tAG를 거쳐 바로 teNB로 전송되어 단말에게 최적화된 경로를 통해 제공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무선 단말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첫 번째 무선망 노드(seNB)로부터 두 번째 무선망 노드(teNB)로 접속하게 될 때, 상기 두 번째 무선망 노드에 가장 적합한 게이트웨이를 재설정하여 최적화된 경로를 통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종래 게이트웨이의 변경으로 인해 발생되던 망 내의 혼잡과 불필요한 시그널링 과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무선 단말이 제1무선망 노드로부터 제2무선망 노드로 핸드오버하면, 제2 무선망 노드에 가장 적합한 트래픽 처리를 위한 게이트웨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게이트웨이로 트래픽 전송경로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트래픽 전송경로를 통하여 트래픽 전송 노드가 상기 제2 무선망노드로 트래픽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망 노드는
    단말이 현재 접속하여 서비스 받고 있는 기지국이고, 제2무선망 노드는 단말이 이동하여 서비스를 받을 기지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전송 노드는
    타 망과의 연동을 위한 anchor역할을 수행하는 무선망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전송경로 변경단계는
    상기 제2무선망 노드가 상기 결정된 제1게이트웨이로 재설정 요구메시지를 전송하 는 단계와;
    상기 재설정 요구메시지를 수신한 제1게이트웨이가 단말이 이전에 서비스를 전송받던 제2게이트웨이로 경로최적화 요구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게이트웨이가 제1게이트웨이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고, 망 내부의 트래픽 전송 노드로 트래픽 경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 요구메시지는
    단말에 대한 문맥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정보는
    단말의 인증정보, 보안 정보 및 압축관련정보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최적화 요구메시지는
    단말에 대한 문맥정보와 식별자 정보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에 따라 제1게이트웨이가 상기 단말을 자신이 관 리하는 단말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게이트웨이는
    단말에 대한 문맥정보등을 삭제하고 자신이 관리하는 단말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KR1020060064115A 2005-08-25 2006-07-0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KR101238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115A KR101238993B1 (ko) 2005-08-25 2006-07-0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RU2008107088/09A RU2407164C2 (ru) 2005-08-25 2006-08-24 Способ переадресации канала передачи потока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радиосвязи
EP06783727.8A EP1935117B1 (en) 2005-08-25 2006-08-24 Traffic transmission path reloc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12/064,455 US8243680B2 (en) 2005-08-25 2006-08-24 Traffic transmission path reloc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6/003340 WO2007024112A1 (en) 2005-08-25 2006-08-24 Traffic transmission path relocatio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2006800305785A CN101243628B (zh) 2005-08-25 2006-08-24 用于无线通信系统的业务传输路径重新配置方法
BRPI0615116-7A BRPI0615116A2 (pt) 2005-08-25 2006-08-24 método de relocação de caminho de transmissão de tráfego para sistema de comunicação por rádio
MX2008001462A MX2008001462A (es) 2005-08-25 2006-08-24 Metodo de recuperacion de via de acceso de transmision de trafico para un sistema de comunicacion de radio.
JP2008526892A JP4647693B2 (ja) 2005-08-25 2006-08-24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送信経路再設定方法
TW95131444A TWI359621B (en) 2005-08-25 2006-08-25 Traffic transmission path relocation method for 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1153605P 2005-08-25 2005-08-25
US60/711,536 2005-08-25
KR1020060064115A KR101238993B1 (ko) 2005-08-25 2006-07-0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346A true KR20070024346A (ko) 2007-03-02
KR101238993B1 KR101238993B1 (ko) 2013-03-04

Family

ID=3983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115A KR101238993B1 (ko) 2005-08-25 2006-07-0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43680B2 (ko)
EP (1) EP1935117B1 (ko)
KR (1) KR101238993B1 (ko)
BR (1) BRPI0615116A2 (ko)
WO (1) WO20070241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1509A (zh) * 2020-02-21 2021-08-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8243A1 (en) * 2007-01-15 2008-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ging communication paths
US8576795B2 (en) 2007-03-16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between source and target access systems
FI20075252A0 (fi) * 2007-04-13 2007-04-13 Nokia Corp Menetelmä, radiojärjestelmä, matkaviestin ja tukiasema
US9049629B2 (en) * 2007-06-18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inter-system handover
GB2453315A (en) 2007-08-15 2009-04-08 Nec Corp Connection Identifier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503391B2 (en) * 2008-09-18 2013-08-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CS to IMS hand-back and hand-in for IMS systems for legacy CS UE with home node B access
US8774129B2 (en) * 2009-03-16 2014-07-08 Nokia Siemens Networks Oy Mobile network optimization
US8446883B2 (en) * 2009-09-16 2013-05-21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networked operations in voice radio systems
US8594014B2 (en) * 2009-10-22 2013-11-26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tracking areas and reducing paging
US8358593B2 (en) 2009-10-22 2013-01-22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serving gateways to service user equipment
KR101086540B1 (ko) 2009-11-03 2011-11-23 주식회사 팬택 소형 기지국 진입을 위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9225624B2 (en) * 2012-12-20 2015-12-29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topology discovery and application in a border gateway protocol based data center
US9253703B1 (en) * 2013-03-12 2016-02-02 Sprint Spectrum L.P. Methods and systems for considering the congestion level of an inter-base-station link during handoff of a mobile station
WO2014189277A1 (en) * 2013-05-21 201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9681350B1 (en) 2015-09-15 2017-06-13 Sprint Spectrum L.P. Differential routing of voice handover traffic and non-voice handover traffic in response to congestion on an inter-base-station interface
US10972516B1 (en) * 2018-08-24 2021-04-06 Amdocs Development Limi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babilistic estimation and prevention of muting occurrences in voice over LTE (VoLT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8772B (fi) * 1998-03-31 2002-03-15 Nokia Corp Matkaviestimen yhteyksien hallintamenetelmä
US6819937B2 (en) * 1998-06-30 2004-11-16 Nokia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in a TDMA system
KR100429182B1 (ko) * 1998-09-07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에이티엠백본망에서의이동통신패킷데이터네트워크및이동통신패킷데이터서비스제공방법
FI108832B (fi) * 1999-03-09 2002-03-28 Nokia Corp IP-reitityksen optimointi accessverkossa
AU3826199A (en) * 1999-04-30 2000-11-17 Nokia Networks Oy Sgsn semi anchoring during the inter sgsn srnc relocation procedure
US6968190B1 (en) * 1999-11-29 2005-11-22 Nokia Mobile Phones, Ltd. Transfer of optimization algorithm parameters during handover of a mobile station between radio network subsystems
FI108491B (fi) 2000-02-11 2002-01-31 Nokia Corp Palvelevan verkkoelementin uudelleen sijoitus
US6961571B1 (en) * 2000-04-05 2005-1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location of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 with signaling of linking of dedicated transport channels
GB0011913D0 (en) * 2000-05-17 2000-07-05 Nokia Networks Oy Connec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01091382A1 (en) * 2000-05-22 2001-11-29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GB0015715D0 (en) * 2000-06-27 2000-08-16 Nokia Networks Oy Maintaining associ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6944462B2 (en) * 2000-12-11 2005-09-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node handover in radio access network
US7065062B2 (en) * 2001-02-16 2006-06-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IP mobility management at dormant hand-over in CDMA IP-based cellular packet-data network
JP3717798B2 (ja) 2001-03-26 2005-1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移動通信システム
GB2374494A (en) * 2001-04-12 2002-10-16 Ericsson Telefon Ab L M SGSN handover in a GPRS Network
US7313628B2 (en) 2001-06-28 2007-12-25 Nokia, Inc. Protocol to determine optimal target access routers for seamless IP-level handover
US20030003919A1 (en) * 2001-06-29 2003-01-02 Per Beming Relocation of serving network radio network controller ( SRNC) which has used direct transport bearers between SRNC and base station
US7818453B2 (en) * 2001-10-05 2010-10-19 Nokia Corporation Address transition and message correlation between networks nodes
WO2003034683A1 (en) * 2001-10-11 2003-04-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ata flow between mobile nodes, access routers and peer nodes
US6717924B2 (en) * 2002-01-08 2004-04-06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hold mode
JP4000906B2 (ja) 2002-05-22 2007-10-31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経路の最適化方法及びパケット転送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227433B2 (ja) * 2002-09-17 2009-02-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データ送信方法
US7881261B2 (en) * 2002-09-26 2011-0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dormant handoff of mobile stations having multiple packet data service instances
TW569603B (en) 2002-10-01 2004-01-01 Quanta Comp Inc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 relocation in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EP1499147A1 (en) 2003-07-17 2005-01-19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Traffic dependant soft handover in a UMTS system
TWI225375B (en) 2003-08-06 2004-12-11 Benq Corp Earth magnetism aiding position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positioning system
FI116442B (fi) * 2003-09-15 2005-11-15 Nokia Corp Pakettivälitteinen kanavanvaihto
KR20050091611A (ko) * 2004-03-12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60099972A1 (en) * 2004-11-08 2006-05-11 Nair Sureshbabu P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an idle mobile unit in a distributed network
US8553643B2 (en) * 2005-07-19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Inter-system handover using legacy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1509A (zh) * 2020-02-21 2021-08-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3301509B (zh) * 2020-02-21 2022-10-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5116A2 (pt) 2011-05-03
WO2007024112A1 (en) 2007-03-01
EP1935117B1 (en) 2013-12-18
US8243680B2 (en) 2012-08-14
EP1935117A4 (en) 2012-06-20
US20080247361A1 (en) 2008-10-09
EP1935117A1 (en) 2008-06-25
KR101238993B1 (ko) 201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99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전송경로 재설정 방법
CN109076382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由基站执行的数据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装置
US1107099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link and wireless connec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EP2838292B1 (en) Communicating radio resource configuration information
US20200029237A1 (en) Method for reporting measurement result by user equipment transceiving data by first radio access technology and second radio access technology, and device therefor
KR10097226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관리 방법
EP2225902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over procedure thereof
RU2414081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US96682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uplink common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689608B1 (en) Method for releasing user equipment contex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168263B1 (en) Paging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for effective call setup
KR101233171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US9560628B2 (en) Method and node for pag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CN111225386A (zh) 小小区通信的方法、系统及其设备
US8571556B2 (en) Method of communicating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4799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losed subscriber group grou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64769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トラフィック送信経路再設定方法
KR101372579B1 (ko) 이종망에서 셀룰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
KR101691830B1 (ko) 멀티 모드 단말에서 nas 프로시져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397055A1 (en) Inter-system handover involving e1 interface
KR10127241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