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274A -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274A
KR20070024274A KR1020050079044A KR20050079044A KR20070024274A KR 20070024274 A KR20070024274 A KR 20070024274A KR 1020050079044 A KR1020050079044 A KR 1020050079044A KR 20050079044 A KR20050079044 A KR 20050079044A KR 20070024274 A KR20070024274 A KR 20070024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rocessor
communication
voice call
module
microproces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268B1 (ko
Inventor
강필균
오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268B1/ko
Priority to US11/467,837 priority patent/US20070047497A1/en
Publication of KR20070024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로 다른 두 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서로 고위데이터링크제어(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HDLC, 음성 호 송수신

Description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A voice cal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between two different kind of micro processo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호 송·수신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신 과정을 나타낸 동작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수신 과정을 나타낸 동작 예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종료 과정을 나타낸 동작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고위데이터링크제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음성 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종(異種) 마이크로 프로세서 간의 음성 호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는 AT 명령어(command)를 사용한다. AT 명령어는 미국 헤이즈 마이크로컴퓨터(Hayes Microcomputer products)사의 스마트 모뎀(Smart modem) 및 그 호환 모뎀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명령으로서, 현재 사실상의 표준으로 되어 있는 거의 모든 모뎀이 대응하고 있다. 본래의 명칭은 헤이즈 명령어(Hayes command)인데, 통상 AT로 명령어가 시작되기 때문에 AT 명령어라고 불린다. 여기에서 AT는 주의 또는 주목이라는 의미의 attention의 약자이다. AT 명령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Base 64 코드" 형식을 사용해야 한다. 한편, "Base 64 코드"는 바이너리(binary) 데이터를 아스키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그의 반대로 변환하는 인코딩 방식이다. 4개의 7비트 아스키 문자로 표현되도록 데이터를 3 바이트씩 4개의 6비트 단위로 나누어 표현한다. 메일에서 이미지, 오디오 파일을 보낼 때 이용하는 코딩으로 모든 플랫폼에서 안보이거나 깨지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공통으로 64개 아스키코드를 이용하여 2진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해 Base 64를 이용한다. 따라서 Base 64로 인코딩하면 크기가 33% 커진다. 따라서, AT 명령어를 이용하여 1 바이트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그 크기가 2 바이트로 증가하게 되고, 전송 측에는 인코더(encoder)가 수신 측에는 디코더(decoder)가 필요하다. 따라서, 명령어 처리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신호 처리를 위한 데이터 통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신호 처리를 위한 데이터 통신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호 송·수신 방법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서로 고위데이터링크제어(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호 송·수신 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과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호 송·수신 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개인휴대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프로세서 모듈과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CDMA) 프로세서 모듈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호 송·수신 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임의의 명령어 번호(command number)에 상응하는 동일한 패킷 구조를 갖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호 송신 방법은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음성 호 요청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message packet)을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상기 음성 호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1차 음성 호 응답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sponse message packet)을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음성 호 발신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상기 음성 호 발신 절차 수행 결과에 따라 음성 호 요청 결과 리포트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result report message packet)을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상기 음성 호 요청 결과 리포트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result report message packet)에 대한 응답으로서 음성 호 요청 결과 리포트 응답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result report response message packet)을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호 수신 방법은 음성 호를 수신한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링 통지 리포트 패킷(RING Notification report packet)을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 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호 응대 요청 패킷(Call Answer request packet)을 전송하는 과정과;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응답 패킷을 비통신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호 송·수신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HDLC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마이크로 프로세서(120) 및 제 2 마이크로 프로세서(130)와, 상기 제 1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에 사용자의 의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입력수단인 키패드(110)와, 상기 제 2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와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하나의 장치에 적재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1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로는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예를 들어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를 사용하고, 제 2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로는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예를 들어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CDMA) 프로세서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소위 PDA 전화기로 지칭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와 제 2 마이크로 프로세서(130)는 서로 고위데이터링크제어(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통신을 수행한다. HDLC 통신은 임의의 비트 길이의 정보를 프레임(frame)이라고 부르는 전송제어 단위로 분할하여 프레임 내의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명령과 응답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절차이다. 하나의 프로세서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세서의 응용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한정된 크기 이하로 만들고, 패킷(packet)에 그 데이터를 저장하여 전송한다. 그 크기 이상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전송 프로그램에서 무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기 위한 비동기식(Asynchronous) 고위데이터링크제어(HDLC) 프레임의 포맷(format)은 아래의 [표 1]에 명명된 필드로 구성된다.
Field Length Description
Information Variable Message
Frame Check 16 CRC
Ending Flag 8 Ending Character
a) Information 필드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130) 사이의 인터페이스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모든 메시지를 담는데 사용된다. PDA 전화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요구(Request) 되는 메시지들과 그에 따른 응답(Response) 메시지를 포함한다.
b) Frame Check
Frame Check 필드는 상기 Information 필드의 에러를 검출한다.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의 생성은 표준 CRC 다항식생성기에 따른다. CRC는 모든 데이터에 따라 초기화되고 보충되어 전송된다. 수신자측에서는 전송되어진 비트들(CRC 비트포함)을 CRC 계산을 통해 비교작업을 수행한다.
c) Ending Flag
프레임의 끝을 의미한다. 이것은 항상 8비트 바이너리 시퀀스(binary sequence)인 01111110(0x7E)를 의미한다.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20, 130)은 임의의 명령어 번호(command number)에 상응하는 동일한 패킷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신 과정을 나타낸 동작 예시도이다.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20)에서 음성 호를 요청하기 위해 1차로 HDLC 형식의 음성 호 요청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message packet)을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3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음성 호 요청 메시지 패킷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FIELD LENGTH
CMD_CODE (53) 1
LENGTH 1
DIAL DIGIT LENGTH(MAX 32)
SERVICE_OPTION 1
CMD_CODE는 메시지 ID를, Length는 Dial Digit의 길이를, Dial Digit는 최대 32바이트의 번호 디지트로 구성된다. 한편,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은 "5"는 8 kbps의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의 음성을, "6"은 13kbps의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의 음성을, "8"은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r)의 음성을 나타낸다.
이에 대하여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30)에서는 상기 음성 호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1차 결과(Success 또는 Fail)를 1차 음성 호 응답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sponse message packet)에 담아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2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음성 호 응답 메시지 패킷은 아래의 [표 3]과 같다.
Field Length
CMD_CODE (53) 1
Result 1
여기에서 Result값은 발신불가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0", 통화 가능한 경우에는 "1" 값을 갖는다.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30)에서 음성 호 발신 절차를 수행한다.
이어,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30)에서 상기 음성 호 발신 절차 수행에 따른 최종 처리 결과인 음성 호 요청 결과 리포트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result report message packet)을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음성 호 요청 결과 리포트 메시지 패킷은 아래의 [표 4]와 같다.
Field Length
CMD_CODE (82) 1
Result 1
여기에서 Result값은 최초 호 시도에 실패한 경우에는 "0"값을, 최초 호 시도에 성공한 경우에는 "1"값을 갖는다.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20)에서 상기 음성 호 요청 결과 리포트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result report message packet)에 대해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의 여부로서 음성 호 요청 결과 리포트 응답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result report response message packet)을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3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음성 호 요청 결과 리포트 응답 메시지 패킷은 아래의 [표 5]와 같다.
Field Length
CMD_CODE (82) 1
Result 1
이때, Result값은 Request에서 보낸 필드의 값과 동일하게 리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수신 과정을 나타낸 동작 예시도이다.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음성 호(Voice call)을 수신하면, 1차적으로 링 통지 리포트 패킷(RING Notification report packet)을 3초 간격으로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한다. [표 6]은 이때 사용되는 HDLC 형식의 패킷이다.
FIELD LENGTH
CMD_CODE (80) 1
TYPE 1
LENGTH 2
DATA LENGTH(MAX 32)
여기에서 Type이 "0"이면 음성 호(voice call)를, "1"이면 데이터(data call)를, "2"이면 팩스 호(fax call)를 나타낸다. LENGTH는 데이터의 길이를 지정하며, DATA 필드는 LENGTH에서 지정된 길이의 크기를 가지며 상대방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20)은 통신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30)로 [표 7]과 같이, 착신 수락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호 응대 요청 패킷(Call Answer request packet)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키패드에 형성된 "통화" 버튼 혹은 임의의 키를 눌러도 호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나, 호 수신에 따라 폴더를 열거나, 슬라이드를 위로 향하게 밀면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는 설정인 경우에 착신 수락의 형태로 인식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회의에 참석하거나, 절대적으로 중요한 업무를 수행 중인 경우, 외부로부터의 착신을 금지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착신을 수락하지 않는 형태로 제공된다.
Field Length
CMD_CODE(63) 1
Class 1
Mode 1
여기에서, class 값이 "0"이면 음성 호(voice call)를, "1"이면 데이터(data call)를, "2"이면 팩스 호(fax call)를 나타낸다. 한편, Mode 필드의 값이 "0"이면 "착신거부"를, "1"이면 "착신승인"을 나타낸다.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30)은 비통신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20)로부터 제공된 착신 수락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HDLC 형식의 응답 패킷으로 [표 8]과 같이 비통신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한다.
Field Length
CMD_CODE(63) 1
Class 1
Mode 1
이때, 전송되는 패킷은 Request에서 보낸 필드의 값과 동일하게 리턴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종료 과정을 나타낸 동작 예시도이다.
통화의 종료에는 크게 두 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첫 번째 경우는 종료원인이 송신측 단말에 있는 경우이다. 즉, 상대측 단말에서 통화 종료 버튼을 누르거나, 통화 중 폴더를 닫거나 슬라이드를 조작하여 통화연결을 강제 종료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130)에서 통화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Hang-up Report)를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로 전송한다. 이때, HDLC 형식의 패킷은 [표 9]와 같다.
Field Length
CMD_CODE(84) 1
Status 1
여기에서 status 가 "0"이면 상대방의 통화 종료 버튼에 의한 종료를, "1"이면 기타요인으로 인한 통화종료를 의미한다.
이에 대하여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20)에서는 통화 종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response)으로서 [표 10]과 같은 HDLC 형식의 응답 메시지(Response of hang-up report) 패킷을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20)로 전송한다.
Field Length
CMD_CODE(84) 1
Status 1
이때, 전송되는 패킷은 Report에서 보낸 필드의 값과 동일하게 리턴된다.
한편, 두 번째 통화 종료의 경우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통화가 종료되 슬라이드를 내려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이다. 통화 종료의 원인이 상대방 단말기에 있는 첫 번째 경우와 달리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통화 종료의 원인을 제공하는 경우이다.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20)에서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30)로 통화종료 요청 메시지(Hang-up request)를 [표 11]과 같이 HDLC 방식의 패킷으로 전송한다.
Field Length
CMD_CODE(54) 1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30)에서는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120)에서 보내온 통화 종료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표 12]에서와 같이 HDLC 방식의 패킷을 통해 결과를 통보한다.
Field Length
CMD_CODE(54) 1
Result 1
이때, 결과 값(Result)이 "0"이면 통화종료 실패를, "1"이면 통화종료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호 송·수신 방법은 HDLC 패킷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인코더(encoder)나 디코더(decoder)를 사용하지 않고 빠르게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직렬통신의 속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2)

  1. 서로 다른 두 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서로 고위데이터링크제어(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과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개인휴대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프로세서 모듈과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CDMA) 프로세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임의의 명령어 번호(command number)에 상응하는 동일한 패킷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5.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음성 호 요청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message packet)을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상기 음성 호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1차 음성 호 응답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sponse message packet)을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음성 호 발신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상기 음성 호 발신 절차 수행 결과에 따라 음성 호 요청 결과 리포트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result report message packet)을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상기 음성 호 요청 결과 리포트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result report message packet)에 대한 응답으로서 음성 호 요청 결과 리포트 응답 메시지 패킷(Voice call request result report response message packet)을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신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개인휴대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프로세서 모듈이고,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CDMA) 프로세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신방 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서로 고위데이터링크제어(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신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임의의 명령어 번호(command number)에 상응하는 동일한 패킷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사이의 음성 호 송신방법.
  9. 음성 호를 수신한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링 통지 리포트 패킷(RING Notification report packet)을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 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호 응대 요청 패킷(Call Answer request packet)을 전송하는 과정과;
    통신용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에서 응답 패킷을 비통신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수신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개인휴대정보단 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프로세서 모듈이고, 통신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CDMA) 프로세서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수신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서로 고위데이터링크제어(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수신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은 임의의 명령어 번호(command number)에 상응하는 동일한 패킷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수신방법.
KR1020050079044A 2005-08-26 2005-08-26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KR10071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44A KR100710268B1 (ko) 2005-08-26 2005-08-26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US11/467,837 US20070047497A1 (en) 2005-08-26 2006-08-28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44A KR100710268B1 (ko) 2005-08-26 2005-08-26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274A true KR20070024274A (ko) 2007-03-02
KR100710268B1 KR100710268B1 (ko) 2007-04-20

Family

ID=3780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044A KR100710268B1 (ko) 2005-08-26 2005-08-26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47497A1 (ko)
KR (1) KR100710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67452B (zh) * 2010-06-10 2013-07-17 国网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力专用串行实时总线的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4219B1 (en) * 1994-09-26 2001-12-25 Adc Telecommunications Inc. Channel selection for a hybrid fiber coax network
JPH10210546A (ja) * 1997-01-17 1998-08-07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固定局装置並びに移動局装置
US6385303B1 (en) * 1997-11-13 2002-05-07 Leger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announcing a caller and a callee of an incoming telephone call
KR100241783B1 (ko) * 1997-12-19 2000-02-01 윤종용 복합무선단말기의 서비스 옵션에 따른 수신경고음 및 표시문구발생 방법
US6359877B1 (en) * 1998-07-21 2002-03-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overhead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270707B1 (ko) * 1998-08-31 2000-11-01 윤종용 폰 단말기측에서의 피디에이 폰 북 서치방법
US6507762B1 (en) 1999-03-31 2003-0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n appliance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6625472B1 (en) * 1999-05-13 2003-09-23 Skyworks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ellular telephone to a universal serial bus
JP2001224068A (ja) * 2000-02-09 2001-08-17 Nec Shizuoka Ltd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US20020123365A1 (en) * 2000-12-31 2002-09-05 Thorson Walter R. Scalable base station architecture
KR100446938B1 (ko) * 2001-04-18 2004-09-01 모바일미디어텍(주) 휴대형 단말장치에서 개인정보단말회로와 이동통신단말회로간의 인터페이스구조 및 방법
US6865656B2 (en) * 2001-09-10 2005-03-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transfer of data between custom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hardware and an embedded microprocessor
KR20030059676A (ko) * 2002-01-04 2003-07-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스마트 이동통신 단말기
US7729322B2 (en) * 2002-02-28 2010-06-01 Qualcomm Incorporated HDLC hardware accelerator
KR100542259B1 (ko) * 2004-03-17 2006-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이동 단말기에서 모뎀공유 방법
KR100620016B1 (ko) * 2005-08-09 2006-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휴대정보단말기와 통신모듈간의 시스템 타임정보 공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268B1 (ko) 2007-04-20
US20070047497A1 (en)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76590C (en) Method of invoking and cancelling voice or data service from a mobile unit
US6381472B1 (en) TDD/TTY-digital access
US6112084A (en) Cellular simultaneous voice and data including digital simultaneous voice and data (DSVD) interwork
US91067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synchronization using DTMF over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s
FI114073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aikaherkän viestin tuottamiseksi säädettävää viivekanavaa pitkin
US84328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ly roaming betwee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5574773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audio feedback over a digital channel
US5809066A (en) Error correction protocol of the network between a radio data terminal modem and a remote data modem using negotiated compression parameters
CN101180876B (zh) 用于通信系统的电子设备
CN101162923A (zh) 超长蓝牙短消息的发送方法和超长蓝牙短消息的接收装置
CN101917674A (zh) 在通话中传输信息的方法及装置
US71620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between TTY and voice transmission modes
CA2217473A1 (en) Service access using limited set of characters
KR100710268B1 (ko) 이종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듈 사이의 음성 호 송·수신방법
KR20050041742A (ko)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107191B1 (ko) 인증서 등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6580922B1 (en) Method of transmitting telephone number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JPH11196037A (ja) デジタル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199805946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ordinary telephones to connect to a data network
KR100974133B1 (ko) 키폰 시스템 내의 유럽형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에스엠에스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70018162A (ko) 콜 이벤트메시지 전송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KR100240280B1 (ko) 발신전용 전화기를 이용한 데이터통신 방법
KR100945111B1 (ko) 교환기에서 에스엠에스 방법
KR2006003193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CN1777219A (zh) 一种有无线电话机的远程拨号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