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257A -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257A
KR20070024257A KR1020050079011A KR20050079011A KR20070024257A KR 20070024257 A KR20070024257 A KR 20070024257A KR 1020050079011 A KR1020050079011 A KR 1020050079011A KR 20050079011 A KR20050079011 A KR 20050079011A KR 20070024257 A KR20070024257 A KR 20070024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ire
poultry
screw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935B1 (ko
Inventor
진은정
Original Assignee
진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은정 filed Critical 진은정
Priority to KR102005007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935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4Feed troughs; Feed thr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06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or solid feed, e.g. grit-cake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50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7Poultry or ruminant f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사료통의 배출구 크기를 조절하여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판들을 와이어에 연결하고 이 와이어를 왕복이동시켜 배출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공급파이프에 설치된 많은 사료통의 조절판들을 한 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절판들의 이동거리를 동일하게 제어하여 각 사료통에 정량의 사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각 사료통에 설치된 조절판들을 공급파이프와 평행하게 설치된 와이어에 연결하고 이 와이어를 조절수단에 의해 왕복이동시킬 때 상기 조절판이 이동하여 사료통의 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공급파이프에서 사료통으로 공급되는 사료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절수단은 와이어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이동한 다음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정,역회전 조작에 의해 와이어를 왕복이동시키는 스크류;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 근처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도록 너트를 갖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양계장, 닭, 사료, 공급장치, 와이어

Description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FEED FOR POULTRY FARMING CHICKEN}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사료통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판이 사료통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을 확대해서 보인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통 내부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료 공급장치 11 : 와이어
12 : 조절수단 13 : 탄성부재
14 : 스크류 15 : 지지대
16 : 연결부재
본 고안은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축에 사료를 공급하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사료통의 배출구 크기를 조절하여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판들을 와이어에 연결하고 이 와이어를 왕복이동시켜 배출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공급파이프에 설치된 많은 사료통의 조절판들을 한 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절판들의 이동거리를 동일하게 제어하여 각 사료통에 정량의 사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계장에서 사육되는 닭은 사료를 많이 섭취하여 비만이 되거나 또는 사료의 공급이 부족하여 영양상태가 좋지 않게 되면, 알을 낳지 못하거나 알을 낳더라도 비정상적인 알을 낳게 된다.
따라서, 닭을 사육하는 양계장에서는 부화시기부터 성계가 될 때까지 적량의 사료를 닭에게 공급하기 위한 사료 공급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양계용 사료공급장치(1)를 보이고 있다. 종래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1)는 공급파이프(2)의 각 통로(3)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사료통(4)이 설치된다.
상기 공급파이프(2) 내부에는 사료가 공급할 때 이동하는 케이블(5)이 수납되고, 이 케이블(5)에는 사료를 밀어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밀판(6)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사료통(4)은 하부에 분배실(4a)이 구비되고, 이 분배실(4a) 상부에는 닭이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공간부(4b)가 형성되며, 상부에 사료가 분배실(4a)로 공급되기 위한 배출구(4c)가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구(4c)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하강하는 조절판(4d)에 의해 그 개도량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사료 공급장치(1)는 사용자가 사료통(4) 외부로 돌출된 조절판(4d)의 손잡이를 잡고 화살표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시키게 되면, 사료통 내부에 위치한 조절판(4d) 단부가 배출구(4c)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즉, 손잡이를 상승시키게 되면 조절판(4d)은 배출구(4c)의 크기를 작게 하고, 손잡이를 하강하게 되면 조절판(4d)은 배출구(4c)의 크기를 크게 하는 방법으로 공급파이프(2)에서 분배실(4a)로 공급되는 사료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1개의 공급파이프(2)에 설치된 사료통(4)의 수량은 양계장의 규모에 따라 다르나 통상 100∼150개 정도 되고, 이 공급파이프(2)는 대략 5열로 배치되므로 양계장에는 500∼750개 정도가 사용되는데, 병아리가 부화하여 성장함에 따라 사료의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 대략 3일 간격으로 각 사료통(4)의 조절판(4d)을 조절해야 하는데, 이 작업을 수작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무수히 많은 사료통(4)의 조절판(4d)을 사용자가 빈번하게 수작업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이에 필요한 관리비용이 증가하였고, 또한 수작업으로 조절판(4d)을 조절하게 되므로 각 조절판(4d)의 위치가 일정하지 않아 공급되는 사료량이 달라져 닭들의 영양상태가 고르지 않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하여 건강한 알을 양산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많은 조절판(4d)을 자주 조절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료통(4)의 배출구(4c)를 많이 개방하여 그 조절횟수를 줄이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사료가 과다하게 공급되어 닭이 비만해지고, 먹고 남은 사료는 부패하여 닭이 질병에 걸리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각 사료통의 배출구 크기를 조절하여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판들을 와이어에 연결하고 이 와이어를 왕복이동시켜 배출구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공급파이프에 설치된 많은 사료통의 조절판들을 한 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절판을 조작할 때 조절판들의 이동거리를 동일하게 제어하여 각 사료통에 정량의 사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를 제 공함에 있다.
이러한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는 사료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의 하부에 이 공급파이프와 연통되게 복수 개의 사료통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파이프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납된 케이블에 사료를 운반하는 복수 개의 밀판이 설치되며, 사료통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슬롯에 사료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판이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사료통에 설치된 조절판들을 공급파이프와 평행하게 설치된 와이어에 연결하고 이 와이어를 조절수단에 의해 왕복이동시킬 때 상기 조절판이 이동하여 사료통의 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공급파이프에서 사료통으로 공급되는 사료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판이 사료통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수단을 확대해서 보인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통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는 사료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2)의 하부에 이 공급파이프(2)와 연통되게 복수 개의 사료통(4)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파이프(2)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납된 케이블(5)에 사료를 운반하는 복수 개의 밀판(6)이 설치되며, 사료통(4)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슬롯(4e)에 사료 배출구(4c)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공급파이프(2)로부터 공급되는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판(4d)이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10)는 상기 각 사료통(4)에 설치된 조절판(4d)들을 공급파이프(2)와 평행하게 설치된 와이어(11)에 연결하고 이 와이어(11)를 조절수단(12)에 의해 왕복이동시킬 때 상기 조절판(4d)이 이동하여 사료통(4)의 배출구(4c)의 크기를 조절하여 공급파이프(2)에서 사료통(4)으로 공급되는 사료량을 조절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와이어(11)는 조절판(4d)의 이동방향을 감안하여 공급파이프(2)와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그 일단부는 후술할 탄성부재(13)에 의해 공급파이프 (2)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후술할 스크류(14)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11)는 사료통(4)의 수량에 따라 그 지름을 달리한다. 즉 사료통(4)이 많을수록 와이어(11)의 지름을 크게 하여 사용시 끊어짐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와이어(11)를 왕복이동켜 조절판(4d)을 제어하는 조절수단(12)은 와이어(11)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11)가 이동한 다음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 상기 와이어(11)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정,역회전 조작에 의해 와이어(11)를 왕복이동시키는 스크류(14); 상기 와이어(11)의 타단부 근처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14)를 체결할 수 있도록 너트(15a)를 갖는 지지대(15);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13)는 와이어(11)를 복원할 수 있는 힘을 갖는 것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성부재(13)는 와이어(11)의 길이에 따라 탄성계수는 다르게 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된 와이어(11)를 복원할 수 있는 충분한 탄성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13)는 그 일단부가 공급파이프(2)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와이어(11)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너트(15a)에 체결된 스크류(14)를 조작하여 와이어(11)를 이완시킬 때 상기 와이어(11)를 잡아당겨 조절판(4d)을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3)가 와이어(11)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와이어(11)에 고정된 조 절판(4d)은 사료통(4) 내부로 더 삽입되어 조절판(4d)은 사료통(4)의 배출구(4c)를 작게 하여 사료의 배출량을 줄이게 된다.
상기 스크류(14)는 지지대(15)의 너트(15a)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회전하여 그와 연결된 와이어(11)를 직접 왕복이동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크류(14)의 선단부에 와이어(11)가 연결되는데, 스크류(14)가 회전할 때 와이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만약 스크류(14)가 회전할 때 와이어(11)도 같이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11)는 비틀림 하중을 받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끊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꼬이게 되어 조절판(4d)을 정상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1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류(14)와 와이어(11)는 스크류(14)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부재(16)로 이음되고, 상기 연결부재(16) 하부에는 이 연결부재(16)의 회전을 방지하는 받침대(15b)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크류(14)가 회전할 때 연결부재(16)는 받침대(15b)에 걸림정지되어 와이어(1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대(15)는 와이어(11)의 단부에 위치하고 공급파이프(2)에 고정되어, 그의 너트(15a)에 스크류(14)를 체결하여 조절판(4d)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대(15)는 그 일측에 와이어(11)가 감기는 롤러(15c)가 설치되는데, 상기 롤러(15c)는 와이어(11)를 감아 안정되게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5)는 눈금자(15d)가 더 구비된다. 이 눈금자(15d)는 와이어(11)의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와이어(11)에 설치된 핀(11a)의 움직임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15)는 그 하부에 연결부재(16)의 회전을 방지하는 받침대(15b)가 설치되어 스크류(14)가 회전할 때 연결부재(16)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도 3, 도 6과 같이 탄성부재(13) 및 지지대(15)를 공급파이프(2) 양측에 설치하여 그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11)가 공급파이프(2)와 평행하게 하고, 사료통(4) 외부로 인출된 조절판(4d)을 고정부재(17)를 이용하여 와이어(11)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스크류(14)를 회전시켜 와이어(11)를 스크류(14)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 와이어(11)에 연결된 조절판(4d)이 사료통(4)에서 인출되어 사료통(4)의 배출구(4c)는 더 개방되어 사료의 공급량을 많게 한다. 이때 스크류(14)가 회전하더라도 연결부재(16)는 스크류(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스크류(14)와 같이 회전하지 않게 되고, 만약 연결부재(16)가 회전하더라도 지지판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대(15b)가 상기 연결부재(16)의 회전을 방지하여 연결부재(16)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스크류(1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동시에 탄성부재(13)는 상기 와이어(11)를 잡아당기게 되므로 와이어(11)에 설치된 조절판 (4d)은 사료통(4) 내부로 더 삽입되어 배출구(4c)의 크기를 작게 하여 사료의 공급량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부화된 병아리가 점차 성장할수록 적절한 시기에 스크류(14)를 조작하여 사료통(4)의 배출구(4c)를 더 개방하여 사료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크류를 정,역회전할 때 와이어에 연결된 각 사료통의 조절판이 일정하게 왕복이동하면서 사료통의 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조절판을 일체로 조작하여 종래 조절판을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조작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절판이 일체로 조작되므로 그 이동거리를 동일하게 제어하여 각 사료통에 정량의 사료를 공급하여 닭을 균형있게 성장시켜 양질의 알을 양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료의 과잉공급을 방지하여 사료가 부패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사료를 공급하는 공급파이프의 하부에 이 공급파이프와 연통되게 복수 개의 사료통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파이프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납된 케이블에 사료를 운반하는 복수 개의 밀판이 설치되며, 사료통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슬롯에 사료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공급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판이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사료통에 설치된 조절판들을 공급파이프와 평행하게 설치된 와이어에 연결하고 이 와이어를 조절수단에 의해 왕복이동시킬 때 상기 조절판이 이동하여 사료통의 배출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공급파이프에서 사료통으로 공급되는 사료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와이어를 왕복이동가능하게 하는 상기 조절수단은
    와이어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가 이동한 다음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정,역회전 조작에 의해 와이어를 왕복이동시키는 스크류;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 근처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도록 너 트를 갖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와 와이어는 스크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부재로 이음되고, 상기 연결부재 하부에는 이 연결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받침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크류가 회전할 때 연결부재는 받침대에 걸림정지되어 와이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와이어가 감기는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눈금자가 구비되어 와이어에 설치된 핀의 이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KR1020050079011A 2005-08-26 2005-08-26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KR100702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11A KR100702935B1 (ko) 2005-08-26 2005-08-26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11A KR100702935B1 (ko) 2005-08-26 2005-08-26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882U Division KR200402962Y1 (ko) 2005-09-08 2005-09-08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257A true KR20070024257A (ko) 2007-03-02
KR100702935B1 KR100702935B1 (ko) 2007-04-06

Family

ID=3809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011A KR100702935B1 (ko) 2005-08-26 2005-08-26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93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9006A (zh) * 2012-05-18 2012-09-19 青岛平度市金巢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家禽槽式喂料器
CN103416323A (zh) * 2013-09-11 2013-12-04 蚌埠依爱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饲料机落料装置
KR101888673B1 (ko) * 2018-03-29 2018-08-14 장수철 사료 급이기
CN108443624A (zh) * 2018-05-03 2018-08-24 松桃德科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清理的拆解式家禽养殖场饲料输送管道
KR20180137061A (ko) * 2017-06-15 2018-12-27 김부전 곤충 사료 공급장치
KR20220080653A (ko) * 2020-12-07 2022-06-14 김동하 사료 손실이 방지되는 닭사료통
KR20230018074A (ko) 2021-07-29 2023-02-07 (주)동성코코팬 양계용 사료 공급기
CN116171892A (zh) * 2023-03-30 2023-05-30 江苏大地动物保健品有限公司 一种鸡养殖用便捷式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58B1 (ko) 2019-12-06 2021-09-03 나완주 미세조절이 가능한 체인식 모이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359Y1 (ko) * 1995-12-30 1998-09-15 김성호 계량사료통
KR19990004216U (ko) * 1998-10-27 1999-01-25 김윤태 사료 공급장치
KR200266122Y1 (ko) * 2001-11-21 2002-02-27 박종문 사료 공급기
KR200360400Y1 (ko) * 2004-06-03 2004-08-30 박인성 축사용 양계급이기
KR200394500Y1 (ko) * 2005-06-15 2005-09-02 이창현 돼지사료 급여장치
KR200398332Y1 (ko) * 2005-07-28 2005-10-12 박수연 가축 사료 제한 급이기의 급이기 연결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9006A (zh) * 2012-05-18 2012-09-19 青岛平度市金巢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家禽槽式喂料器
CN103416323A (zh) * 2013-09-11 2013-12-04 蚌埠依爱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饲料机落料装置
KR20180137061A (ko) * 2017-06-15 2018-12-27 김부전 곤충 사료 공급장치
KR101888673B1 (ko) * 2018-03-29 2018-08-14 장수철 사료 급이기
CN108443624A (zh) * 2018-05-03 2018-08-24 松桃德科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清理的拆解式家禽养殖场饲料输送管道
KR20220080653A (ko) * 2020-12-07 2022-06-14 김동하 사료 손실이 방지되는 닭사료통
KR20230018074A (ko) 2021-07-29 2023-02-07 (주)동성코코팬 양계용 사료 공급기
CN116171892A (zh) * 2023-03-30 2023-05-30 江苏大地动物保健品有限公司 一种鸡养殖用便捷式装置
CN116171892B (zh) * 2023-03-30 2023-11-24 江苏大地动物保健品有限公司 一种鸡养殖用便捷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935B1 (ko) 200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935B1 (ko)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EP2883448B1 (de) Kontrollfutterschale und Fütterungsanordnung für die Geflügelhaltung
US3598087A (en) Restricted feeding apparatus
KR101810570B1 (ko)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KR101830356B1 (ko)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US4815417A (en) Brooder feeding apparatus
US4722301A (en) Brooder feeding apparatus
US20190335706A1 (en) Wet/dry animal feeder
KR20170143473A (ko) 파종기용 흙 및 종자 공급장치
KR200402962Y1 (ko)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US8925486B2 (en) Indexed animal feeder
KR100555331B1 (ko) 양식어류의 자동사료투척기
KR20160002802U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101830355B1 (ko)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KR20150104805A (ko) 모돈의 자동 급이장치
US6182606B1 (en) Automated livestock feeder
KR101955097B1 (ko) 아파트형 양계용 케이지의 사료공급 분배장치
CN208480454U (zh) 一种多功能料槽
EP0760203A1 (en) Regulating silo for feeding cattle
DE19718076C2 (de) Selbstmixfütterer
CN107897020A (zh) 一种可根据牧场奶牛生长周期进行调节的喂养装置
CN205442060U (zh) 饲料自动分料装置
JPH06327373A (ja) 養鶏用給餌方法及び給餌装置
CN216164409U (zh) 一种蛋鸡养殖自动供料机
KR102196123B1 (ko) 자동수위조절장치를 갖는 습식 급이기의 물 수위 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