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320A - 유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23320A KR20070023320A KR1020050077792A KR20050077792A KR20070023320A KR 20070023320 A KR20070023320 A KR 20070023320A KR 1020050077792 A KR1020050077792 A KR 1020050077792A KR 20050077792 A KR20050077792 A KR 20050077792A KR 20070023320 A KR20070023320 A KR 200700233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rectifying
- discharge
- plate
- water g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1—Upstream control, i.e. monitoring for predictive contro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3—Downstream control, i.e. outlet monitoring, e.g. to check the treating agents, such as halogens or ozone, leaving the proce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폐수를 포함한 슬러지 등의 유체를 항상 일정량만큼 다음의 처리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각종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하여 사용시 오폐수나 슬러지 등의 유체를 항상 일정량만큼 공급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처리효율을 높이고 부하변동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유량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오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량 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가 설치된 오폐수 처리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량 조절장치
10 : 본체 20 : 유입부 21 : 정류판
30 : 정류부 40 : 배출부 41 : 수문
42 : 배출공 50 : 반송부 51 : 상류판
52 : 반송공
본 발명은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처리의 부하변동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일정량의 유체를 다음의 처리조로 공급할 수 있어 오폐수 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각종 정화 처리장치에 설치하여 사용시 항상 일정량의 유체를 다음의 처리조로 공급하여 줌으로서 정화처리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산업의 급속한 발달과 인구증가로 인하여 생활하수나 산업폐수 등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수질오염이 매우 심각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수질오염의 주범은 오폐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을 포함하여 질소 및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들 수 있다. 특히, 하천이나 호수에 영양염류의 유입량이 크게 증가되면서 상수원이 급속하게 오염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오폐수 내에 존재하는 영양염류의 처리기술 개발과 배출규제 강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오폐수 내에 존재하는 유기물과 질소 및 인과 같은 영양염류의 처리방법으로는 물리적 처리방법과 생물학적 처리방법 및 화학적 처리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현재 대부분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에는 미생물이 존재하는 슬러지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활성슬러지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활성슬러지법은 통상적으로 유입된 오폐수를 포기조로 이송하여 포기(aeration)시킨 후 침전조로 이송하여 침전시키되, 침전된 슬러지는 포기조로 반송시키고 상등수는 방류하는 방법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상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가 유입되어 일정량을 다음 처리조로 이송하기 위한 유량 조정조(110)와, 상기 유량 조정조(110)를 거쳐 유입된 오폐수를 포기하면서 슬러지와 접촉시켜 정화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기조(120)와, 상기 포기조(12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처리수내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침전된 슬러지는 포기조(120)로 반송하거나 슬러지처리조(150)로 이송시키고, 상등수는 방류하는 침전조(1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량 조정조(110)로 오폐수를 유입하기 이전에 오폐수 내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1차적으로 걸러내어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린을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유량 조정조(110)로 유입된 오폐수는 포기조(120) 및 침전조(14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정화 처리되게 된다. 이때, 정화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포기조(12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 형성하고 있으며, 포기는 포기조(120) 하단에 형성된 산기관(121)으로 외부의 블로아(13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분출되면서 이루어지며, 침전조(140)에서 정화 처리된 상등수는 별도의 처리시설이나 하천 등으로 방류되고, 침전조(140)의 하단에 침전된 슬러지는 포기조(120)로 반송되거나 슬러지처리조(150)로 이송된 후 폐기되거나 재활용되게 된다.
그러나, 생활하수나 폐수는 낮 시간에는 배출량이 많아지나 밤 시간에는 배출량이 적어지는 등, 시간별로 오폐수의 발생량에 많은 차이를 갖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한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포기조(120)로 많은 양의 처리수가 유입될 경우 완벽한 처리 공정을 수행 할 수 없게 되어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포기조(120) 이전에 유량 조정조(110)를 설치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유량 조정조(110)에서 포기조(120)로 오폐수를 일정량씩 공급하기 위하여 펌프와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펌프와 밸브를 사용하여 유량 조절을 하는 경우 밸브가 막히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여 항상 일정량의 오폐수를 포기조로 공급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과량으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부하변동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일정량의 오폐수를 포기조로 공급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폐수를 포함한 슬러지 등의 유체를 항상 일정량만큼 다음의 처리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각종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하여 사용시 오폐수나 슬러지 등의 유체를 항상 일정량만큼 공급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처리효율을 높이고 부하변동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유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량 조절장치를 구비한 정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유입되는 유체의 와류를 정류하는 정류판과, 상기 정류판을 거쳐 유입된 유체가 보관되는 정류 부와; 상기 정류부의 유체가 유입되어 외부처리조로 배출되는 곳으로, 원하는 배출량에 따라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와; 상기 정류부의 유체 중 수문을 통과하지 못한 유체가 유입되어 외부로 반송되는 곳으로, 유체가 상향류로 통과되는 상류판과, 상기 상류판을 거쳐 유입된 유체의 외부반송을 위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반송공을 구비한 반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유량 조절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량 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1)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20)와, 상기 유입부(20)에 유입된 유체의 와류를 정류하는 정류판(31)과, 상기 정류판(31)을 거쳐 유입된 유체가 보관되는 정류부(30)와, 상기 정류부(30)의 유체가 유입되어 외부처리조로 배출되는 곳으로, 원하는 배출량에 따라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문(41)과, 상기 수문(41)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공(42)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부(40)와, 상기 정류부(30)의 유체 중 수 문을 통과하지 못한 유체가 유입되어 외부로 반송되는 곳으로, 유체가 상향류로 통과되는 상류(51)판과, 상기 상류(51)판을 거쳐 유입된 유체의 외부반송을 위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반송공(52)을 구비한 반송부(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유량 조절장치(1)는 통상의 오폐수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각종 정화처리시설에서 일정량의 유체를 다음 처리조로 이송시키기 위한 부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유량 조절장치(1)가 설치된 경우 종래 펌프와 밸브를 사용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방식과는 달리 항상 일정량의 유체를 외부 처리조로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의 부하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처리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체는 일정량을 다음 처리조로 이송하고자 하는 각종 오폐수나 슬러지 등을 칭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1)가 적용되는 시설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유입부(20)와, 정류부(30), 배출부(40) 및 반송부(50)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유입부(20)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공간으로서 유체는 펌프 등의 설비에 의해 유입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될 수 있다. 이때, 일정량의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두 개의 처리조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1)를 설치한 경우 유입부(20)로 유입되는 유체는 앞의 처리조로부터 유입되는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통상의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유량 조정조(110)와 포기조(120) 사이에 본 발명의 유량 조절장치(1)가 설치된 경우 유량 조정조(110)에 보관된 오폐수가 유입부(20)로 이송되게 된다.
유입부(20)로 유입된 유체는 유체압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렇게 와류가 형성된 유체가 그대로 배출부(40)나 반송부(50)로 이송될 경우 유체량 조절이 다소 곤란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입부(20)에 유입되는 유체의 와류를 정류하는 정류판(31)을 갖는 정류부(30)를 형성하였다. 여기서, 정류판(31)은 하단이 관통되어 있어 유입부(20)의 유체가 하향류로 정류부(30)로 이송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유체가 정류판(31)을 통과하여 정류부(3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유입부(20)에 형성된 유체의 와류가 정류되면서 정류부(30)에서는 와류 생성이 방지되게 된다.
정류부(30)로 이송된 유체는 배출부(40)로 유입된 후 외부 처리조로 이송되게 된다. 여기서 외부 처리조는 일정량의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두 개의 처리조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1)를 설치한 경우 뒤의 처리조를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통상의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유량 조정조(110)와 포기조(120) 사이에 본 발명의 유량 조절장치(1)가 설치된 경우 상기 외부처리조는 포기조(120)에 해당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40)는 원하는 배출량에 따라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문(41)과, 상기 수문(41)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공(42)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수문(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부(40)로부터 외부처리조로 이송하기 위한 유체의 배출량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어 항상 일정량의 유체가 외부처 리조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외부처리조의 처리용량을 고려하여 배출량을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수문(4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이때, 정류부(30)에서 외부처리조로 배출되는 수량을 증가하려고 할 때는 수문(41)의 높이를 낮추어주고 배출량을 감소하려고 할 때는 수문(41)의 높이를 높여 수문(41) 상부로 통과하는 유체를 조절하여 일정량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고, 정류부(30)에 유입된 유체 중 수문(41)을 통과하지 못한 유체는 상류(51)판 위로 통과하여 반송부(50)에 유입되고 반송공(52)을 거처 유량조정조(110)로 반송되도록 한다.
이때 수문(41)의 높낮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은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수문(41)을 통과하여 배출하고자 하는 유체량에 따라 수문(41)의 상하 이동을 원동기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공지기술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부(40)에 유입된 유체는 외부 처리조로 이송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배출부(40)의 일측 하단에 배출공(42)을 형성하여 배출부(40)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 처리조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배출공(42)은 외부처리조와 배관으로 연결된다. 이때,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는 외부처리조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모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류부(30)의 유체 중 수문(41)을 통과하지 못한 유 체가 상향류로 유입되어 외부로 반송되는 곳으로, 유체가 상향류로 통과되는 상류(51)판과, 상기 상류(51)판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외부반송을 위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반송공(52)을 구비한 반송부(50)기 포함된다.
즉, 유입부(20)에 유입된 유체는 정류판(31)을 통과하여 정류부(30)에 유입되고 정류부(30)에 유입된 유체는 수문(41)과 상류판(51)을 통과하여 배출부(40)와 반송부(50)로 이동하는데, 이때 수문(41)과 상류판(51)을 통과하는 유체의 높이는 같다. 따라서 유입부(20)에 유입된 유체가 과량이거나 소량일 경우가 있는데 수문(41)과 상류판(51)의 상부 절개면이 넓어 수문(41)과 상류판(51) 상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수위의 편차가 매우 작으므로 수문(41)을 통하여 원하는 배출량을 조절할 경우 수문(41)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량은 최초 원하는 배출량과 별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외부처리조로 유체를 이송 할 때 원하는 량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류판(51)은 배출부(40)로 이송되는 일정량의 유체를 제외한 나머지 잔량의 유체가 자연스럽게 반송부(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반송부(5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며, 그 폭은 수문(41)의 폭보다 넓게 하여 과량의 유체가 용이하게 반송부(50) 내부로 유입된 후 반송되도록 하여 유체의 과부하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1)는 유체의 과부하에 관계없이 배출부(40)로 일정량의 유체가 유입된 후 외부처리조로 이송되어 항상 일정량의 유체가 배출되게 되며, 상기 반송부(50)에 의해 유체의 부하변동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유체의 반송은 유입부(20)로 유입되는 유체가 보관된 처리조로 반송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처리시설로 반송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입부(20)로 유입되는 유체가 보관된 처리조로 반송시키는 것이 좋다.
유체의 반송을 위하여 상기 반송부(50)의 일측 하단에는 반송공(52)이 형성되는데, 상기 반송공(52)은 별도의 배관과 연결되어 유체가 반송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때, 유체의 반송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모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조절장치(1)는 배출부(40)의 수문(41) 상단이 V홈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수문(41) 상단이 V홈의 형태를 갖는 경우 배출부(40)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외부처리조로 보내고자 하는 유체량의 편차 없이 일정량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조절장치(1) 배출부(40)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도면에는 두 개의 배출부(40)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그 이상 설치하여도 무관하다. 이와 같이 배출부(40)를 다수개 형성하는 경우 유체를 여러 곳으로 분산하여 항상 일정량을 배출하여야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즉, 유입부 (20)에 유입된 유체는 정류판(31)을 통과하여 정류부(30)에 유입되고 정류부(30)에 유입된 유체는 두 개의 배출부(40)에 형성된 수문(41)과 상류판(51)을 통과하여 각각 두 개의 배출부(40)와 반송부(50)로 이송되고, 배출부(40)로 이송된 유체는 각각 별도의 외부처로조로 이송되어 처리되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반송부(50)의 일측에 두 개의 배출부(40)를 연속하여 형성하고, 각각은 정류부(30)와 인접하게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정류부(30)와 배출부(40) 및 반송부(5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조절장치(1)는 정류부(30)의 좌우측으로 배출부(40)가 형성되고, 일측은 반송부(50)와 연결된다. 즉, 유입부(20)에 유입된 유체는 정류판(31)을 통과하여 정류부(30)에 유입되고 정류부(30)에 유입된 유체는 좌우측의 배출부(40)에 형성된 수문(41)들과 상류판(51)을 통과하여 두 개의 배출부(40)와 반송부(50)로 각각 이송되고, 배출부(40)로 이송된 유체는 각각 별도의 외부처로조로 이송되어 처리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1)는 통상의 오폐수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각종 정화처리시설에서 일정량의 유량을 다음 처리조로 이송시키기 위한 부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가 설치된 오폐수 처리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조절장치(1)는 통상의 오폐수 처리장 치에서의 유량 조정조(110)와 포기조(120) 사이에 본 발명의 유량 조절장치(1)가 설치된다.
즉, 오폐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오폐수의 일정량을 다음 처리조로 이송하기 위한 유량 조정조(110)와, 상기 유량 조정조(110)의 오폐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폐수의 일정 유량을 포기조(120)로 이송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1)와, 상기 유량 조절장치(1)를 거쳐 유입된 오폐수를 포기하면서 슬러지와 접촉시켜 정화처리 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기조(120)와, 상기 포기조(12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처리수내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침전된 슬러지는 포기조(120)로 반송하거나 슬러지처리조(150)로 이송시키고, 상등수는 방류하는 침전조(1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량 조절장치(1)는 유량 조정조(110)로부터 오폐수가 유입부(20)로 유입되고, 유입부(20)로 유입된 오폐수는 정류부(30)와 배출부(40)를 거쳐 포기조(120)로 이송된다. 여기서, 수문을 통과하지 못한 유체는 상류판(51)을 상부로 통과하여 반송부(50)로 유입된 다음 유량조정조(110)로 반송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장치(1)를 사용하면 포기조(120)로 보내고자 하는 량에 큰 편차 없이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장치는 처리하고자 하는 유체의 량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일정량의 유체를 다음의 처리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어 각종 오폐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하여 사용시 오폐수 등의 유체의 처리효 율을 높이고 유체의 부하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처리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자명하게 도출 가능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유입되는 유체의 와류를 정류하는 정류판과, 상기 정류판을 거쳐 유입된 유체가 보관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유체가 유입되어 외부처리조로 배출되는 곳으로, 원하는 배출량에 따라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와; 상기 정류부의 유체 중 수문을 통과하지 못한 유체가 유입되어 외부로 반송되는 곳으로, 유체가 상향류로 통과되는 상류판과, 상기 상류판을 거쳐 유입된 유체의 외부반송을 위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반송공을 구비한 반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정류판은 하단이 관통되어 있어 유입부의 유체가 하향류로 정류부로 이송되면서 유체의 와류가 정류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장치.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상기 상류판의 폭이 수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수문은 그 상단이 V홈의 형태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반송부로 유입된 유체는 유입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보관된 처리조로 반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장치.
-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유입되는 유체의 와류를 정류하는 정류판과, 상기 정류판을 거쳐 유입된 유체가 보관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유체가 유입되어 외부처리조로 배출되는 곳으로, 원하는 배출량에 따라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부와, 상기 정류부의 유체 중 수문을 통과하지 못한 유체가 유입되어 외부로 반송되는 곳으로, 유체가 상향류로 통과되는 상류판과, 상기 상류판을 거쳐 유입된 유체의 외부반송을 위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반송공을 구비한 반송부를 포함하는 유량 조절장치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7792A KR100710501B1 (ko) | 2005-08-24 | 2005-08-24 | 유량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7792A KR100710501B1 (ko) | 2005-08-24 | 2005-08-24 | 유량 조절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4407U Division KR200400681Y1 (ko) | 2005-08-24 | 2005-08-24 | 유량 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3320A true KR20070023320A (ko) | 2007-02-28 |
KR100710501B1 KR100710501B1 (ko) | 2007-05-07 |
Family
ID=4163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7792A KR100710501B1 (ko) | 2005-08-24 | 2005-08-24 | 유량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050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9863B1 (ko) * | 2007-03-21 | 2008-01-31 | 박진채 | 고액분리기의 분뇨공급제어장치 |
KR101023019B1 (ko) * | 2008-05-08 | 2011-03-24 | 주식회사 에코다임 | 유량 조절장치 |
KR101867778B1 (ko) * | 2017-12-05 | 2018-06-15 | 주식회사삼성환경엔지니어링 | 침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9945Y1 (ko) * | 2001-12-17 | 2002-03-27 | 삼안기업 주식회사 | 오폐수 처리장치의 유량조절장치 |
-
2005
- 2005-08-24 KR KR1020050077792A patent/KR10071050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9863B1 (ko) * | 2007-03-21 | 2008-01-31 | 박진채 | 고액분리기의 분뇨공급제어장치 |
KR101023019B1 (ko) * | 2008-05-08 | 2011-03-24 | 주식회사 에코다임 | 유량 조절장치 |
KR101867778B1 (ko) * | 2017-12-05 | 2018-06-15 | 주식회사삼성환경엔지니어링 | 침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10501B1 (ko) | 2007-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43355B2 (en) | Self contained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 |
JP4880801B2 (ja) | 可変式高度下水処理装置 | |
US6921478B2 (en) |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 |
SE467923B (sv) | Anlaeggning och foerfarande foer rening av avlppsvatten | |
US8431027B2 (en) |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with bubble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 |
KR100710501B1 (ko) | 유량 조절장치 | |
KR101541070B1 (ko) | 고도처리장치 | |
FI57578B (fi) | Anlaeggning foer biologisk rening av avfallsvatten | |
KR200400681Y1 (ko) | 유량 조절장치 | |
CN110392672B (zh) | 具有内部固体分离的曝气反应器 | |
KR101817471B1 (ko) |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 |
KR20090130283A (ko) | 폭기조 내장형 침전장치 | |
KR101577063B1 (ko) | 폭기/침전 일체형 반응조를 구비한 하폐수 처리장치 | |
US20120211407A1 (en) | Dissolved Air Flotation Nozzle for Use With Self Contained Dissolved Air Flotation System | |
KR100381901B1 (ko) |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 |
KR100650181B1 (ko) | 오폐수 처리시설의 전처리 및 유량 조정 장치 | |
KR101622299B1 (ko) | 균등 이송을 위한 오·폐수 이송장치 | |
KR100540549B1 (ko) | 수직형 멤브레인 바이오 리액터를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 장치 | |
KR102614473B1 (ko) | Mbr이 구비된 혼합형 하수처리 시스템 | |
KR100237606B1 (ko) | 탈질·반응·침전조 수직 일체형 하수·오수·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장치 | |
KR102545064B1 (ko) | 다단계 하수처리 시스템 | |
JP2005279408A (ja) | メディア及び膜ろ過複合ろ過装置 | |
KR20050028899A (ko) | 유량조정 기능을 갖는 일차침전지와 이를 이용한유량조정방법 | |
KR101023019B1 (ko) | 유량 조절장치 | |
JP2012206083A (ja) | 汚水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