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223A - 연료전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223A
KR20070023223A KR1020050077542A KR20050077542A KR20070023223A KR 20070023223 A KR20070023223 A KR 20070023223A KR 1020050077542 A KR1020050077542 A KR 1020050077542A KR 20050077542 A KR20050077542 A KR 20050077542A KR 20070023223 A KR20070023223 A KR 20070023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unit
liquid separation
burner
cel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547B1 (ko
Inventor
황용준
허성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547B1/ko
Priority to CA002544722A priority patent/CA2544722A1/en
Priority to US11/431,674 priority patent/US20070048581A1/en
Priority to CNA2006100827062A priority patent/CN1921199A/zh
Priority to EP06014456A priority patent/EP1758192A3/en
Publication of KR2007002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01M8/04022Heating by combus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01M8/04164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by condensers, gas-liquid separator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73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auxiliary devices, e.g. reformers, compressors, bur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492Humidity; Ambient humidity; Water cont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28Humidity; Water cont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492Humidity; Ambient humidity; Water content
    • H01M8/04514Humidity; Ambient humidity; Water content of anode exhau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28Humidity; Water content
    • H01M8/04843Humidity; Water content of fuel cell exhau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전지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은 연료극과 공기극을 구비하며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스택유닛; 상기 스택유닛의 연료극에 수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유닛; 상기 스택유닛의 공기극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 및 상기 스택유닛에서 상기 연료공급유닛의 버너로 공급되는 오프개스(off-gas)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기액분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연료전지시스템의 기액분리유닛(200)으로 인해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어 버너(111g) 내 연소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수증기가 안정적으로 개질반응기(111b)에 공급되어 개질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료전지시스템의 전체성능이 향상된다.
연료전지시스템, 기액분리유닛, 오프개스, 버너

Description

연료전지시스템{FUEL CELL SYSTEM}
도 1은 종래 연료전지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연료전지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도,
도 3은 도 2의 기액분리유닛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기액분리유닛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기액분리유닛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의 기액분리유닛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의 기액분리유닛과 추가된 제어부 및 화염센서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도 2의 기액분리유닛과 추가된 제어부 및 온도센서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도 2의 기액분리유닛과 추가된 제어부 및 습도센서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연료공급유닛 120 : 공기공급유닛
122 : 공기공급팬 130 : 스택유닛
140 : 전기출력유닛 150 : 급수유닛
200 : 기액분리유닛 210 : 기액분리몸체
220 : 배출관 230 : 냉각팬
240 : 냉각관 250 : 냉각핀
260: 다공질부재 310 : 제어부
320 : 화염센서 330 : 온도센서
340 : 습도센서
본 발명은 연료전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택유닛에서 연료공급유닛의 버너로 공급되는 오프개스(off-gas)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기액분리유닛을 구비한 연료전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LNG, LPG, CH3OH, 가솔린 등의 탄화수소계(CH계열) 연료를 탈황공정→개질반응→수소정제공정을 거쳐 수소(H2)만을 정제하여 연료로 사용하는 PEMFC(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방식의 종래 연료전지시스템(이하, 연료전지시스템으로 통칭함)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연료전지시스템은, LNG에서 수소(H2)만을 추출하여 스택유닛(30)에 공급하는 연료공급유닛(10)과, 공기를 스택유닛(30) 및 연료공급유닛(10)에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20)과, 공급된 수소(H2) 및 공기로 전기를 생성하는 스택유닛(30)과, 스택유닛(30)에서 생성된 전기를 교류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전기출력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연료공급유닛(10)에서 연료와 수증기가 개질반응하여 수소가 발생된다. 이때 개질반응에 필요한 수증기를 생성하기 위해 연료공급유닛(10)에는 수증기발생기(10b)와, 수증기발생기(10b)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버너(10a)가 구비된다.
한편, 이러한 버너(10a)를 구동시키기 위해 초기에는 연료(Fuel)가 버너(10a)에 공급되고, 이후에는 스택유닛(30)에서 발전을 위해 사용하고 남은 오프개스가 공급된다. 그러나, 이렇게 공급되는 오프개스는 고온다습하기 때문에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버너(10a)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심하면 버너(10a)가 꺼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개질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연료전지시스템의 전체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연료전지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택유닛에서 연료공급유닛으로 공급되는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연료전지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은 연료극과 공기극을 구비하며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스택유닛; 상기 스택유닛의 연료극에 수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유닛; 상기 스택유닛의 공기극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 및 상기 스택유닛에서 상기 연료공급유닛의 버 너로 공급되는 오프개스(off-gas)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기액분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연료전지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기액분리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시스템은 연료공급유닛(110), 공기공급유닛(120), 스택유닛(130), 전기출력유닛(140), 급수유닛(150), 기액분리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연료공급유닛(110)은 LNG에서 수소(H2)를 정제하여 스택유닛(130)의 연료극(131)에 공급하는 개질기(111) 및 배관(112)을 포함한다. 개질기(111)는 연료에 함유된 황을 제거하는 탈황반응기(111a)와, 연료와 수증기가 개질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개질반응기(111b)와, 개질반응기(111b)를 거쳐 발생된 일산화탄소를 재반응시켜 수소를 추가 발생시키는 고온수반응기(111c) 및 저온수반응기(111d)와, 공기를 촉매로 하여 연료중의 일산화탄소를 제거함으로써 수소를 정제하는 부분산화반응기(111e)와, 개질반응기(111b)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발생기(111f)와, 수증기발생기(111f)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버너(111g)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공급유닛(120)은 스택유닛(130)의 공기극(132)에 공기를 공급하며, 제1,2공급라인(121,123), 공기공급팬(122)을 포함한다.제1공기공급라인(121)은 공기극(132)에 대기중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공급팬(122)과 제2예열기(162)사 이에 설치된다. 제2공기공급라인(123)은 버너(111g)에 대기중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공급팬(122)과 버너(111g)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스택유닛(130)은 연료공급유닛(10)과 공기공급유닛(20)에서 각각 공급되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동시에 생성하도록 연료극(131)과 공기극(132)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출력유닛(140)은 스택유닛(13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교류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한다.
상기 급수유닛(150)은 연료공급유닛(110)의 개질기(111)와 스택유닛(130)에 물을 공급하여 개질기(111)와 스택유닛(130)을 냉각한다. 급수유닛(150)은 소정량의 물을 충전하는 급수통(151)과, 스택유닛(130)과 급수통(151) 사이를 순환식으로 연결하는 물순환라인(152)과, 물순환라인(152)의 중간에 설치되며 급수통(151)의 물을 펌핑하는 물순환펌프(153)와, 물순환라인(152)의 중간에 구비하여 순환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는 열교환기(154) 및 방열팬(155)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급수통(151)의 물 또는 일반 상수(도면에선, 일반상수를 도시)를 개질기(111)에 공급하는 상수공급라인(156)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액분리유닛(200)은 스택유닛(130)에서 배출되어 연료공급유닛(110)의 버너(111g)로 공급되는 오프개스(off-gas)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기액분리유닛(200)은 기액분리몸체(210), 배출관(220), 기액분리촉진부인 냉각팬(230)을 포함한다.
기액분리몸체(210)는 오프개스를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용기로서, 스택유닛 (130)에서 연료공급유닛(110)의 버너(111g)를 연결하는 배관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기액분리몸체(210)내에서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이 분리된다.
배출관(220)은 기액분리몸체(210)의 일측에 설치되며, 기액분리몸체(210)에서 분리된 수분이 배출되는 파이프이다.
냉각팬(230)은 기액분리몸체(210)의 타측에 설치되며, 기액분리몸체(210)내기액분리를 촉진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기액분리유닛(200)에 의해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이 냉각팬(230)에 의해 냉각되어 오프개스로부터 분리된 후,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해 버너(111g, 도 2참조)가 꺼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기액분리유닛(200)을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의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4는 도 2의 기액분리유닛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기액분리유닛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기액분리유닛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제1변형예에 따른 기액분리유닛(200)에는 기액분리촉진부로서 냉각팬(230) 대신 냉간관(240)을 사용된다. 상기 냉각관(240)은 기액분리몸체(210)의 내부를 거치도록 설치되며, 열교환 면적을 늘리기 위해 구불구불하게 기액분리몸체(210) 내부를 통과한다. 상술한 구성를 가진 기액분리유닛(200)에 의해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이 냉각관(240)에 의해 냉각되어 오프개스로부터 분리된 후,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해 버너 (111g, 도 2참조)가 꺼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5에 도시된 제2변형예에 따른 기액분리유닛(200)에는 기액분리촉진부로서 냉각팬(230) 대신 냉각핀(250)이 사용된다. 상기 냉각핀(250)은 기액분리몸체(210)의 외벽에 설치되며, Z열교환 면적을 늘리기 위해 기액분리몸체(210)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기액분리유닛(200)에 의해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이 냉각핀(250)에 의해 냉각되어 오프개스로부터 분리된 후,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해 버너(111g, 도 2참조)가 꺼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에 도시된 제3변형예에 따른 기액분리유닛(200)에는 기액분리촉진부로서 냉각팬(230) 대신에 다공질부재(260)가 사용된다. 상기 다공질부재(260)는 기액분리몸체(210) 내부에 설치되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기액분리유닛(200)에 의해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이 다공질부재(260)를 통과하면서 오프개스로부터 분리된 후, 배출관(220)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해 버너(111g, 도 2참조)가 꺼지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냉각팬(230), 냉각관(240), 냉각핀(250), 다공질부재(260)를 기액분리유닛(200)에 동시에 또는 둘이상 짝을 이루어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기액분리유닛(200)에 수분분리효과를 높히기 위해 상기 버너(111g)내 연소 정도를 측정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와, 이의 신호를 받아 기액분리유닛(200)을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기액분리유닛과 추가된 제어부 및 화염센서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2의 기액분리유닛과 추가된 제어부 및 온도센서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9는 도 2의 기액분리유닛과 추가된 제어부 및 습도센서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참고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의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연료전지시스템에는 센서부로서 화염센서(320)와, 화염센서(320)의 신호에 따라 기액분리유닛(200)의 수분분리량을 조절하는 제어부(310)가 추가 설치된다.
상기 화염센서(320)은 버너(111g)의 내부에 설치되며, 버너(111g)의 화염을 감지하여 제어부(310)로 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신호에 따라 냉각팬(230)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냉각관(240)내에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기액분리량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너(111g)의 화염이 약할 때는 냉각팬(230)이 속도를 크게하거나, 냉각관(240) 내에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을 늘려 기액분리유닛(200)의 수분분리량을 늘린다. 반면, 버너(111g)의 화염이 강할 때는 냉각팬(230)이 속도를 작게하거나, 냉각관(240) 내에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을 줄여 기액분리유닛(200)의 수분분리량을 줄인다. 따라서, 상황에 맞게 기액분리유닛(200)의 수분분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연료전지시스템에는 센서부로서 온도센서(330)와, 온도센서(330)의 신호에 따라 기액분리유닛(200)의 기액분리량을 조절하 는 제어부(310)가 추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센서(330)는 버너(111g)의 내부에 설치되며, 버너(111g)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310)로 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신호에 따라 냉각팬(230)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냉각관(240) 내에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기액분리량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너(111g)내 온도가 낮을 때는 냉각팬(230)이 속도를 크게하거나, 냉각관(240) 내에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을 늘려 기액분리유닛(200)의 수분분리량을 늘린다. 반면, 버너(111g)의 온도가 높을 때는 냉각팬(230)이 속도를 작게하거나, 냉각관(240) 내에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을 줄여 기액분리유닛(200)의 수분분리량을 줄인다. 따라서, 상황에 맞게 기액분리유닛(200)의 수분분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연료전지시스템에는 센서부로서 습도센서(340)와, 습도센서(340)의 신호에 따라 기액분리유닛(200)의 기액분리량을 조절하는 제어부(310)가 추가 설치된다.
상기 습도센서(340)는 기액분리유닛(200)과 버너(111g)를 연결하는 배관상에 설치되며, 기액분리유닛(200)에서 배출되어 버너(111g)로 공급되는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신호에 따라 냉각팬(230)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냉각관(240)내에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기액분리량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너(111g)로 공급되는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습도가 높을 때는 냉각팬(230)의 속도를 크게 하거나, 냉각관(240)내에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을 늘려 기액분리유닛(200)의 수분분리량을 늘린다. 반면,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습도가 낮을 때는 냉각팬(230)의 속도를 작게 하거나, 냉각관(240)내에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을 줄여 기액분리유닛(200)의 수분분리량을 줄인다. 따라서, 상황에 맞게 기액분리유닛(200)의 수분분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연료전지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료공급유닛(110)에서 LNG와 수증기를 개질하여 수소를 발생시킨 후 이 수소를 스택유닛(130)의 연료극(131)으로 공급한다. 공기공급유닛(120)은 공기를 스택유닛(130)의 공기극(132)으로 공급한다. 스택유닛(130)은 공급된 수소와 공기로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생 된 전기는 전기출력유닛(150)에서 교류로 바꿔 각종 전기제품(도면상에는 Load로 표시)에 공급한다.
한편, 개질반응에 필요한 수증기를 생성하기 위해 수증기발생기(111f)에 상수가 공급되고, 이러한 상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버너(111g)에는 스택유닛(30)에서 발전을 위해 사용하고 남은 오프개스가 공급된다.
이때,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은 기액분리유닛(200)을 거치면서 제거된다. 따라서, 수분이 제거된 오프개스로 인해 버너(111g)내 연소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시스템에 따르면, 기액분리유닛(200)이 구비되어 있어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어 버너(111g) 내 연소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증기가 안정적으로 개질반응기(111b)에 공급되어 개질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연료전지시스템의 전체 성능이 향상된다.

Claims (10)

  1. 연료극과 공기극을 구비하며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스택유닛;
    상기 스택유닛의 연료극에 수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유닛;
    상기 스택유닛의 공기극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유닛; 및
    상기 스택유닛에서 상기 연료공급유닛의 버너로 공급되는 오프개스(off-gas)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기액분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유닛은,
    오프개스(off-gas)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기액분리몸체;
    오프개스속에 포함한 수분의 분리를 촉진하는 기액분리촉진부; 및
    오프개스로부터 분리된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촉진부는,
    상기 기액분리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냉각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촉진부는,
    상기 기액분리몸체의 내부를 거치도록 설치된 냉각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촉진부는,
    상기 기액분리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냉각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촉진부는,
    상기 기액분리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다공질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시스템은,
    상기 버너 내 연소 정도를 측정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기액분리유닛의 기액분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버너 내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버너 내 화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기액분리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오프개스속에 포함된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시스템.
KR1020050077542A 2005-08-23 2005-08-23 연료전지시스템 KR100700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542A KR100700547B1 (ko) 2005-08-23 2005-08-23 연료전지시스템
CA002544722A CA2544722A1 (en) 2005-08-23 2006-04-24 Fuel cell system
US11/431,674 US20070048581A1 (en) 2005-08-23 2006-05-11 Fuel cell system
CNA2006100827062A CN1921199A (zh) 2005-08-23 2006-05-18 燃料电池系统
EP06014456A EP1758192A3 (en) 2005-08-23 2006-07-12 Fuel ce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542A KR100700547B1 (ko) 2005-08-23 2005-08-23 연료전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223A true KR20070023223A (ko) 2007-02-28
KR100700547B1 KR100700547B1 (ko) 2007-03-28

Family

ID=3749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542A KR100700547B1 (ko) 2005-08-23 2005-08-23 연료전지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48581A1 (ko)
EP (1) EP1758192A3 (ko)
KR (1) KR100700547B1 (ko)
CN (1) CN1921199A (ko)
CA (1) CA25447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64B1 (ko) * 2007-10-30 2011-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체 회수장치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79451A1 (en) 2004-08-17 2007-05-02 LG Electronics, Inc. Fuel cell system
CN101006600A (zh) * 2004-08-17 2007-07-25 Lg电子株式会社 燃料电池系统及其控制方法
EP1779453A1 (en) * 2004-08-17 2007-05-02 LG Electronics, Inc. Fuel cell system
KR100788194B1 (ko) * 2006-05-25 200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료전지시스템
JP2010238590A (ja) * 2009-03-31 2010-10-21 Tot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8307B2 (ja) * 1999-06-30 2008-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6585785B1 (en) * 2000-10-27 2003-07-01 Harvest Energy Technology, Inc. Fuel processor apparatus and control system
US6537351B2 (en) * 2001-05-29 2003-03-25 Utc Fuel Cells, L.L.C. Compact light weight condenser assembly
KR20040014401A (ko) * 2001-07-26 2004-02-1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연료전지시스템
US20030211373A1 (en) * 2002-03-26 2003-11-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uel cell system
US20040197625A1 (en) * 2003-04-04 2004-10-07 Texa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water from a fuel cell exhaust stream
JP4889207B2 (ja) 2003-07-15 2012-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発電装置
CN1291514C (zh) * 2003-07-15 2006-12-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燃料电池发电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64B1 (ko) * 2007-10-30 2011-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체 회수장치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1199A (zh) 2007-02-28
EP1758192A2 (en) 2007-02-28
KR100700547B1 (ko) 2007-03-28
EP1758192A3 (en) 2009-04-22
CA2544722A1 (en) 2007-02-23
US20070048581A1 (en)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29156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のパージ方法
JP5442009B2 (ja) 直列接続された2つの燃料電池スタックを有する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923092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700547B1 (ko) 연료전지시스템
KR100788194B1 (ko) 연료전지시스템
KR100664089B1 (ko) 연료전지시스템 및 이의 스택유닛 가열방법
JP2009104814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100757441B1 (ko) 연료전지시스템
US8328886B2 (en) Fuel processor having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for co shift reac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fuel processor
JP4403230B2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の運転方法
EP1791208A2 (en) Fuel cell system
JP4664936B2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4263401B2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50252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2319427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発電方法
KR20170080824A (ko) 선박
JP4938299B2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の運転方法
JP2007026998A (ja)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発電装置の燃料電池温度制御方法及び装置
JP2011210637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778479B1 (ko) 연료전지시스템
KR100806581B1 (ko) 연료전지시스템
JP201811320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8226603A (ja) 燃料電池装置における熱回収システム
JP2005228583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の起動方法
JP4479361B2 (ja) ハイブリッド型燃料電池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