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988A - 계란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계란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988A
KR20070022988A KR1020050077099A KR20050077099A KR20070022988A KR 20070022988 A KR20070022988 A KR 20070022988A KR 1020050077099 A KR1020050077099 A KR 1020050077099A KR 20050077099 A KR20050077099 A KR 20050077099A KR 20070022988 A KR20070022988 A KR 2007002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load cell
sorting
weight
eg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0781B1 (ko
Inventor
이효영
Original Assignee
(주)아이맥스
이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맥스, 이효영 filed Critical (주)아이맥스
Priority to KR1020050077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7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4Grading eggs
    • A01K43/08Grading eggs according to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14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using totalising or integrating devices
    • G01G11/16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using totalising or integrating devices being electrical or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의 선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계란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란 선별장치는 계란을 공급하는 계란 공급부와, 상기 계란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계란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부착되어 상기 로드셀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는 방진고무와, 상기 로드셀을 경유한 상기 계란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계란의 이송을 검출하여 이송신호를 발생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계란을 무게에 따라 선별하기 위한 복수의 솔레노이드와, 상기 각 솔레노이드에 의해 선별되어 방출되는 상기 계란을 복수로 정렬시키는 선별 테이블과, 상기 로드셀로부터의 무게 측정신호를 디지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측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 솔레노이드를 제어하여 상기 계란을 무게에 따라 선별시킴과 아울러 상기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란, 선별, 로드셀, 방진고무, 솔레노이드

Description

계란 선별장치{APPARATUS FOR SORTING EG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드셀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근접센서 및 전압 조절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시스템 설정시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뉴화면에 각 항목 설정시 표시되는 비밀번호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메뉴화면에서 시스템 설정 시 표시되는 시스템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메뉴화면에서 비밀번호 변경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메뉴화면에서 시스템 실행시 시스템 실행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메뉴화면에서 시스템 실행 중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도 5에 도시된 메뉴화면에서 데이터 보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4 : 방진공무 6 : 로드셀 지지대
10 : 계란 공급부 20 : 로드셀
22 : 계란 측정용 바스켓 30 : 이송장치
32 : 계란 이송용 바스켓 34 : 회전기어
40 : 제어부 42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44 : 등급 설정부 46 : 카운터
48 : 선별신호 생성부 49 : 솔레노이드 구동부
50 : 솔레노이드 52 : 전압 조절기
60 : 표시장치 70 : 선별 테이블
본 발명은 계란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란의 선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계란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계장에서 발생된 계란을 한곳에 집란시켜서 정열시킨 후 이를 무게에 따라 선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양계장에 설치된 계란 선별장치는 윈도우 프로그램을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에 계란 선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계란을 선별하고 있다. 즉, 종래의 계란 선별장치는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고서는 계란을 선별할 수 없게 된다.
종래의 계란 선별장치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란을 선별하기 위해 선별장치를 설치하고, 선별장치 위에 선반을 만들어 무거운 컴퓨터 모니터와 컴퓨터 본체를 설치하고 컴퓨터 자판 및 마우스를 이용하여 계란을 선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계란 선별장치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첫째, 컴퓨터 일체를 설치하려면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먼지와 습기로 인하여 컴퓨터의 모니터가 자주 고장나게 된다.
둘째, 컴퓨터 본체가 먼지나 선별장치의 진동으로 인해서 기억장치인 하드 디스크가 쉽게 고장나며 여름철 우천시 습기로 인해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농장의 바쁜 일정에 자주 차질을 초래한다.
셋째, 컴퓨터가 고장 날 경우 매우 고가의 수리비용이 발생하며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고 수리 받기에도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야 한다.
넷째, 농장은 전기적인 안정성이 떨어지고 불규칙한 전기 공급으로 인해 컴퓨터가 자주 고장을 일으키게 되고 컴퓨터로 인해 농장의 주인은 자금적으로나 업무적으로나 매우 손해가 발생하며 1년 후 A/S 발생시는 더욱더 불편한 점이 발생된다.
다섯째, 종래의 계란 선별장치의 진동으로 인해서 무게감지 센서의 정확도가 매우 불규칙하고 선뢰성이 떨어지며 무게감지의 처리 속도는 있는 반면에 움직이는 계란의 무게에 대한 오차정도가 매우 크므로 무게 오차로 인한 가격적인 손해가 하 루 10만 개에 달하므로 그 손실은 양계 농가의 손실이 매우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란 선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계란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선별장치는 계란을 공급하는 계란 공급부와, 상기 계란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계란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부착되어 상기 로드셀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는 방진고무와, 상기 로드셀을 경유한 상기 계란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계란의 이송을 검출하여 이송신호를 발생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계란을 무게에 따라 선별하기 위한 복수의 솔레노이드와, 상기 각 솔레노이드에 의해 선별되어 방출되는 상기 계란을 복수로 정렬시키는 선별 테이블과, 상기 로드셀로부터의 무게 측정신호를 디지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측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 솔레노이드를 제어하여 상기 계란을 무게에 따라 선별시킴과 아울러 상기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란 선별장치는 상기 이송장치에서 상기 계란을 이탈시키기 위한 상기 각 솔레노이드의 힘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 조절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셀은 상기 근접센서로부터의 이송신호에 따라 상기 계란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계란의 무게를 수 내지 수십회 측정하여 수 내지 수십회의 무게 측정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수 내지 수십회의 무게 측정신호 각각을 복수의 디지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최종적인 계란의 무게를 산출하여 계란의 등급을 설정하는 등급 설정부와, 상기 근접센서로부터의 이송신호를 카운팅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로부터의 카운팅 신호와 상기 등급 설정부에 의해 등급이 설정된 계란을 매칭시켜 등급에 따라 계란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신호를 생성하는 선별신호 생성부와, 상기 선별신호에 따라 상기 각 솔레노이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급 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측정 데이터 중 최고 무게 및 최소 무게에 대응되는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평균화하여 최종적인 계란의 측정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계란의 등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란의 등급별 무게, 등급별 상기 솔레노이드의 위치, 날짜, 시간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 설정부는 설정화면을 통해 "등급설정"을 하고 사용자가 "등급설정"을 선택하여 "무게" 항목에 대응되는 "왕란", "특란", "중란", "소란" 및 "경 란" 각각의 무게 값을 설정하고, 상기 "경란"의 경우 무게 값을 입력하지 않아도 20g 이상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 설정부는 설정화면의 "선별Ⅰ" 및 "선별Ⅱ"항목에서 상기 로드셀을 기준으로 "왕란", "특란", "대란", "중란", "소란" 및 "경란"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위치를 입력하고, 상기 "왕란", "특란", "대란" 및 "중란" 각각에 상기 솔레노이드를 2개씩 선택하며, 상기 "소란" 및 "경란" 각각에 상기 솔레노이드를 1개씩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드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선별장치는 외부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계란을 공급하는 계란 공급부(10)와, 계란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계란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20)과, 로드셀(20)을 지지하는 로드셀 지지대(6)와, 로드셀 지지대(6)에 부착되는 방진고무(4)와, 로드셀(20)을 경유한 계란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0)와, 이송장치(30)에 설치되어 계란의 이송을 검출하는 근접센서(54)와, 이송장치(30)에 의해 이송되는 계란을 무게에 따라 선별하기 위한 복수의 솔레노이드(50)와, 각 솔레노이드(50)에 의해 선별되어 방출되는 계란을 복수로 정렬시키는 선별 테이블(70)과, 로드셀(20)로부터의 무게 측정신호(WS)를 디지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측정 데이터에 따라 각 솔레노이드(50) 를 제어하여 계란을 무게에 따라 선별시킴과 아울러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컨트롤러(40)와, 컨트롤러(40)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60)를 구비한다.
계란 공급부(10)는 양계장에서 집란된 계란을 정렬하고 정렬된 계란을 하나씩 로드셀(20)로 공급한다.
로드셀(20)은 계란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중량) 감지센서로써 계란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계란의 무게에 상응하는 측정 데이터를 컨트롤러(40)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로드셀(20)은 계란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계란이 놓여지는 계란 측정용 바스켓(22)과, 계란 측정용 바스켓(22)에 놓여진 계란의 무게를 수 내지 수십 회 측정하는 측정부(24)를 포함한다.
측정부(24)는 근접센서(54)로부터 이송신호가 공급된 순간부터 측정부(24)를 통해 계란 측정용 바스켓(22)에 계란이 놓여져 있는 동안 수 내지 수십 회에 거쳐 고속으로 계란의 무게를 측정하여 컨트롤러(4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로드셀(20)은 순간적으로 계란의 무게를 수 내지 수십회 측정하므로써 측정되는 계란 무게의 오차는 0.1g 이하로 최소화되어 이송중인 계란의 무게 측정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된다.
한편, 로드셀(20)에 의해 측정된 무게 측정신호(WS)는 여름/겨울 같이 온도가 변화가 클 경우와 계란에 묻은 이물질에 의해 로드셀(20)에 오염된 경우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로드셀(20)의 변형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영점을 보정해야만 한다.
로드셀(20)의 영점을 보정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시스템에서 수동으로 로드셀(20)을 보정한다. 그런 다음, 수동으로 보정한 로드셀(20) 값의 ±5g 이내인 경우 수동으로 재설정이 필요없이 설정된 값으로 자동 보정된다. 그러나 보정한 로드셀값의 ±5g 이상인 경우 설정된 값으로 자동 보정을 실시하지 않고 수동적인 영점 보정이 필요하다는 알람 등의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로드셀의 값을 입력하여 로드셀(20)의 영점을 보정하게 된다.
방진고무(4)는 로드셀(20)을 지지하는 로드셀 지지대(6)와 선별장치의 몸체에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모터에 의해 이송장치(3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로드셀(20)의 측정부(24)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즉, 로드셀(20)은 기게적인 진동에 의해 2g 정도의 측정 오차를 발생하기 때문에 방진고무(4)는 전기적인 절연과 동시에 기계적인 진동이 로드셀(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로드셀(20)은 계란 측정용 바스켓(22)에 놓여진 계란의 무게를 더욱 정밀하게 측정하여 무게 측정신호(WS)를 컨트롤러(40)에 공급하게 된다.
이송장치(30)는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로써 양끝단에 회전기어가 설치되고, 양 회전기어 간에 이송체인이 설치되어 로드셀(20)을 경유한 계란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이송체인(30)에는 로드셀(20)을 경유한 계란을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의 계란 이송용 바스켓(32)을 구비한다.
한편, 이송장치(30)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기어(3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센서(54)가 설치된다.
근접센서(54)는 이송장치(30)의 회전할 때마다 이송신호를 발생하여 컨트롤 러(40)에 공급한다. 이러한, 근접센서(54)는 초기에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테스트 방법을 거쳐 이송장치(30)의 일측에 설치된다. 근접센서(54)의 테스트 방법은 우선 무게가 10g 이상 차이를 가지는 계란 2개를 로드셀(20)에 공급하여 계란의 무게를 측정한다. 즉, 작은 계란 및 큰 계란을 나란히 이동시키면서 무게를 측정하고, 큰 계란 및 작은 계란의 순서를 바꾼 다음 무게를 측정한다. 근접센서(54)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이러한 과정을 적어도 3회 반복한다. 그런 다음, 순번 1 내지 10을 무시하고 11 내지 20번을 확인하여 계란의 순서를 변경해도 오차가 작은 곳에 대응되는 이송장치(30)의 일측에 근접센서(54)가 설치된다. 이러한, 근접센서의 테스트 방법을 통해 오차가 작은 곳에 근접센서(54)를 설치함으로써 계란의 선별에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이송장치(30)의 일측부에는 복수의 솔레노이드(5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압 조절기(52)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압 조절기(52)는 계란을 원하는 위치에서 선별하기 위해 솔레노이드(50)를 작동하게 해야 하므로 전압을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계란을 파손시키기 않고 무게가 큰 계란도 무리없이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솔레노이드(50) 각각은 컨트롤러(40)로부터의 선별신호에 따라 이송장치(30)의 계란 이송용 바스켓(32)에 놓여져 이송중인 계란을 선별한다. 즉, 각 솔레노이드(50)는 이송중인 계란을 계란 이송용 바스켓(32)에서 이탈시켜 선별 테이블(70)로 방출시키게 된다. 이때, 각 솔레노이드(50)는 전압 조절기(52)에 의해 계란 이송용 바스켓(32)에서 계란을 이탈시키는 힘이 설정된다.
이러한 복수의 솔레노이드(5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계란의 무게별 등급에 대응되는 왕란, 특란, 대란 및 중란에 따라 두개씩 쌍으로 구동될수 있고, 소란 및 경란에 따라 하나씩 구동될 수 있다.
선별 테이블(70)은 각 솔레노이드(50)에 의해 계란 이송용 바스켓(32)으로부터 방출되는 무게별, 즉 등급별로 계란을 정렬시키기 위한 복수의 테이블을 구비한다.
컨트롤러(40)는 근접센서(54)로부터 공급되는 이송신호에 따라 로드셀(20)을 동작시켜 로드셀(20)로 하여금 계란의 무게를 수 내지 수십 회 측정하도록 제어하여 로드셀(20)로부터 수 내지 수십 회의 무게 측정신호(WS)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컨트롤러(40)는 로드셀(20)로부터 공급되는 수 내지 수십 회의 무게 측정신호(WS)를 분석하여 최종적인 계란이 무게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장치를 초기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설정부(41)와, 로드셀(20)로부터 공급되는 수 내지 수십 회의 무게 측정신호(WS) 각각을 복수의 디지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2)와, 복수의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최종적인 계란의 무게를 산출하여 계란의 등급을 설정하는 등급 설정부(44)와, 근접센서(54)로부터의 이송신호(AS)를 카운팅하는 카운터(46)와, 카운터(46)로부터의 카운팅 신호와 등급 설정부(44)에 의해 등급이 설정된 계란을 매칭시켜 등급에 따라 계란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신호(SS)를 생성하는 선별신호 생성부(48)와, 선별신호(SS)에 따라 각 솔레노이드(5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솔레노이드 구동부 (49)를 구비한다.
시스템 설정부(4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설정신호(USS)에 따라 시스템 비밀번호, 날짜, 시간, 계란의 등급 등을 설정함과 아울러 로드셀(20)을 보정한다.
먼저, 시스템 설정부(41)는 사용자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60)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에서 "시스템 설정"이 선택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를 묻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 설정부(4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설정화면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설정화면에서 "날짜 설정"을 선택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년, 월 및 일을 입력하여 시스템 날짜를 설정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설정화면에서 "시간 설정"을 선택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오전, 오후, 시 및 분을 입력하여 시스템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설정화면에서 "등급 설정"을 선택하여 계란의 등급을 설정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등급 설정"을 선택하여 "무게" 항목에 대응되는 "왕란", "특란", "대란", "중란", "소란" 및 "경란" 각각에 대한 무게 값(g)을 입력하여 변경한다. 이때, "경란"의 경우 무게 값을 입력하지 않아도 20.0g 이상인 경우만 선별된다. 또한, 사용자는 "선별Ⅰ" 및 "선별Ⅱ"항목에서 로드셀(20)을 기준으로 "왕란", "특란", "대란", "중란", "소란" 및 "경란" 각각에 대응되는 솔레노이드(50)의 위치를 입력한다. 이때, "왕란", "특란", "대란" 및 "중란" 각각에는 솔레노이드(50)를 2개씩 선택할 수 있으며, "소란" 및 "경란" 각각에는 솔레노이드(50) 를 1개씩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설정화면에서 "로드셀 보정"을 선택하여 로드셀 값을 입력하여 로드셀(20)을 보정한다.
이와 같은,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최소 버튼을 선택하여 메뉴 화면으로 복귀한다.
한편, 시스템 설정부(41)는 사용자에 의해 메뉴화면에서 "비밀번호 변경"이 선택될 경우 사용자의 비밀번호의 확인 거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2)는 로드셀(20)로부터 공급되는 수 내지 수십회의 무게 측정신호(WS) 각각을 복수의 디지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여 등급 설정부(44)로 공급한다.
등급 설정부(44)는 복수의 디지털 측정 데이터 중 최고 무게 및 최소 무게에 대응되는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버리고, 최고 및 최소 무게에 대응되는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평균화하여 최종적인 계란의 측정 데이터를 산출한다. 그런 다음, 등급 설정부(44)는 최종적인 계란의 측정 데이터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시스템 설정부(41)에 의해 설정된 계란의 등급별 무게와 비교하여 계란의 등급을 설정한다. 이때, 설정된 계란의 등급은 표시장치(60)로 공급된다.
카운터(46)는 근접센서(54)의 이송신호에 따라 계란의 위치신호 및 이송되는 계란의 총수를 카운팅하게 된다. 이때, 계란의 총수는 표시장치(60)로 공급된다.
선별신호 생성부(48)는 카운터(46)로부터의 카운팅 신호를 이용하여 등급 설정부(44)에 의해 등급이 설정된 계란을 이송장치(30)에서 선별하기 위한 선별신호(SS)를 생성하여 솔레노이드 구동부(49) 및 표시장치(60)로 공급한다. 즉 선별신호 생성부(48)는 설정된 계란의 등급에 따라 이송장치(30)에 의해 이송중인 계란을 선택하기 위하여, 로드셀(20)을 기준으로 계란을 이송시키는 계란 이송용 바스켓(32)의 칸수와 선택할 솔레노이드(50)의 위치까지 카운터로부터의 카운팅 신호를 카운트하여 표시장치(60)의 계란 등급 설정란에 설정된 숫자에 따라 솔레노이드(50)의 위치에 상관없이 선별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구동부(49)는 선별신호 생성부(48)로부터 공급되는 선별신호(SS)에 따라 각 솔레노이드(50)를 개별적,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구동부(49)는 반영구적인 수명과 무소음의 동작 및 고속의 동작도 가능한 무접점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장치(60)는 액정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카운터(46)로부터 공급되는 계란의 총수 및 선별신호(SS)를 이용하여 선별되는 계란의 총수 및 등급별 계란의 총수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상에 표시한다.
한편, 컨트롤러(40)는 표시장치(60)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프린터 등을 포함하는 주변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RS-232C 통신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로 구성된 표시장치(60)는 저절전 소형화를 구현하므로 습기와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도 종래의 컴퓨터보다 오랜 시간동안 오동작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선별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메뉴화면에서 "시스템 실행"이 선택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을 실행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한다.
사용자가 시스템 실행을 지시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란을 선별하게 된다. 즉, 제어부(40)는 로드셀(20)에 의해 계란의 무게가 감지되면 감지된 아날로그 측정신호를 디지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여 감지된 계란의 무게에 따라 계란의 등급을 설정하고 계란의 등급에 대응되는 솔레노이드(50)를 선택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이송체인(30)에 의해 이송중인 계란은 솔레노이드(50)의 힘에 의해 계란 이송용 바스켓(32)에서 이탈하여 선별 테이블(70)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60)에는 설정된 계란의 등급에 따라 선별되는 계란의 수량이 표시되고, 선별 작업에 대한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메뉴화면에서 "데이터 보기"가 선택될 경우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란의 선별 작업에 대한 날짜 정보가 표시장치(60)에 표시되고, 저장장치에 저장된 데이터가 표시장치(60)에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선별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란을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일의 무게에 따라 "특대", "특", "대", "중" 및 "소'로 등급을 설정하여 사과를 포함하는 과일을 등급에 따라 선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란 선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컴퓨터가 없이도 계란 선별장치로써 독립적으로 현장에서 작동이 가능 하다.
2) 제어부와 표시장치를 하나의 마이콤 장치로 통합할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3) 종래에서는 컴퓨터와 모니터를 사용하므로 소비전력이 많은데 반하여 본 발명은 저절전형 액정 표시장치를 사용하므로 소비전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4) 양계농가의 열악한 환경에 대해 컴퓨터는 먼지나 습기 때문에 자주 고장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A/S 발생시 수리하는 시간도 많이 걸리지만 본 발명은 수리비용도 적게 들고 신속히 교체가 가능하므로 양계 농가의 바쁜 일정 시간에 협조 할 수 있다.
5) 종래와 같이 컴퓨터 사용할 경우 윈도우(WINDOWS)와 같은 컴퓨터 운영 프로그램을 구매해야 하므로 외화 낭비가 있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운영 프로그램이 필요 없으므로 외화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6) 로드셀에 방진고무를 부착하여 진동이 로드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 로써 계란 무게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7) 전압 조절기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의 힘을 조절함으로써 계란의 선별시 계란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0)

  1. 계란을 공급하는 계란 공급부와,
    상기 계란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계란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부착되어 상기 로드셀에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는 방진고무와,
    상기 로드셀을 경유한 상기 계란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계란의 이송을 검출하여 이송신호를 발생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계란을 무게에 따라 선별하기 위한 복수의 솔레노이드와,
    상기 각 솔레노이드에 의해 선별되어 방출되는 상기 계란을 복수로 정렬시키는 선별 테이블과,
    상기 로드셀로부터의 무게 측정신호를 디지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측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 솔레노이드를 제어하여 상기 계란을 무게에 따라 선별시킴과 아울러 상기 측정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서 상기 계란을 이탈시키기 위한 상기 각 솔레노이드의 힘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 조절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선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은 상기 근접센서로부터의 이송신호에 따라 상기 계란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계란의 무게를 수 내지 수십 회 측정하여 수 내지 수십회의 무게 측정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선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 영점을 보정하는 방법으로써 수동으로 보정한 로드셀 값이 ±5g 이내인 경우 수동으로 재설정 없이 설정된 값으로 자동 보정되고 보정한 로드셀 값이 ±5g이상인 경우 수동적인 영점보정이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선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수 내지 수십 회의 무게 측정신호 각각을 복수의 디지털 측정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최종적인 계란의 무게를 산출하여 계란의 등급을 설정하는 등급 설정부와,
    상기 근접센서로부터의 이송신호를 카운팅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로부터의 카운팅 신호와 상기 등급 설정부에 의해 등급이 설정된 계란을 매칭시켜 등급에 따라 계란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신호를 생성하는 선별신호 생성부와,
    상기 선별신호에 따라 상기 각 솔레노이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선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구동부는 상기 선별신호 생성부로부터 공급되는 선별신호에 따라 각 솔레노이드를 개별적,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구동신호를 생성함에 있어 반영구적인 수명과 무소음의 동작 및 고속의 동작도 가능한 무접점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선별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측정 데이터 중 최고 무게 및 최소 무게에 대응되는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평균화하여 최종적인 계란의 측정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계란의 등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선별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란의 등급별 무게, 등급별 상기 솔레노이드의 위치, 날짜, 시간 및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선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설정부는 설정화면을 통해 "등급설정"을 하고 사용자가 "등급설정"을 선택하여 "무게" 항목에 대응되는 "왕란", "특란", "중란", "소란" 및 "경란" 각각의 무게 값을 설정하고, 상기 "경란"의 경우 무게 값을 입력하지 않아도 20g 이상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선별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설정부는 설정화면의 "선별Ⅰ" 및 "선별Ⅱ"항목에서 상기 로드셀을 기준으로 "왕란", "특란", "대란", "중란", "소란" 및 "경란"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위치를 입력하고, 상기 "왕란", "특란", "대란" 및 "중란" 각각에 상기 솔레노이드를 2개씩 선택하며, 상기 "소란" 및 "경란" 각각에 상기 솔레노이드를 1개씩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선별장치.
KR1020050077099A 2005-08-23 2005-08-23 계란 선별장치 KR100730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099A KR100730781B1 (ko) 2005-08-23 2005-08-23 계란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099A KR100730781B1 (ko) 2005-08-23 2005-08-23 계란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988A true KR20070022988A (ko) 2007-02-28
KR100730781B1 KR100730781B1 (ko) 2007-06-20

Family

ID=4163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099A KR100730781B1 (ko) 2005-08-23 2005-08-23 계란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788A1 (ko) * 2016-12-09 2018-06-14 주식회사 하농 과산계 선별 시스템 및 과산계 선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581B1 (ko) 2018-01-25 2022-03-18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침습적 광학측정 기반의 계란 선별장비
KR102285285B1 (ko) * 2019-10-16 2021-08-03 이이성 이상란 검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960Y1 (ko) 2002-03-22 2002-06-21 심승원 정확한 중량감지 기능을 갖는 계란선별기
KR100437138B1 (ko) * 2002-04-11 2004-06-23 (학)창성학원 디지털 제어용 계란선별장치
KR200294448Y1 (ko) 2002-07-25 2002-11-13 윤택진 하중/압력신호변환기를 이용한 계란선별기의중량측정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788A1 (ko) * 2016-12-09 2018-06-14 주식회사 하농 과산계 선별 시스템 및 과산계 선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781B1 (ko)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3433C (en) System and methods for belt conveyor weighing
CN101498601B (zh) 粉末成型产品自动称重传送质量控制系统
RU2504742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взвешивани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для электронных конвейерных весов
CN105606300B (zh) 一种电池供电式应变多维力传感器故障诊断系统
CN107187582B (zh) 一种襟缝翼操纵手柄
CN201917640U (zh) 一种pcb板测试系统
CN201387357Y (zh) 粉末成型产品自动称重传送质量控制系统
KR100730781B1 (ko) 계란 선별장치
US6865955B2 (en) Conveyor diagnostic system
CN101532869B (zh) 料斗秤的称量控制装置及其方法
KR100829482B1 (ko) 터치스크린패널의 자동검사기
CN101788328A (zh) 一种平台秤的称量控制装置及其方法
CN101763097B (zh) 质量流量控制器/计老化监测系统
US11092940B2 (en) Lightning or other surge detection for wireless transmitters and other devices
CA2539109A1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CN208383254U (zh) 一种自动测皮的简单皮带秤仪表
CN103837122A (zh) 智能同轴度检测仪
KR20160026521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모니터링 장치
WO2006067661A3 (en) A testable multiprocessor system and a method for testing a processor system
KR100599743B1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설비 Fault alarmsystem
EP34206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level electronic protection using combination of current sensing and temperature sensing
CN207976209U (zh) 基于重力检测的玻璃自动数片记数装置
CN2804818Y (zh) 一种电子皮带秤自校验装置
US20240094082A1 (en) Junction bank for scale controller and load cell
CN213812568U (zh) 一种皮带秤调试测试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