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308A -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308A
KR20070022308A KR1020067025946A KR20067025946A KR20070022308A KR 20070022308 A KR20070022308 A KR 20070022308A KR 1020067025946 A KR1020067025946 A KR 1020067025946A KR 20067025946 A KR20067025946 A KR 20067025946A KR 20070022308 A KR20070022308 A KR 20070022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pharmaceutical formulation
peroxide
weight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에프 호프만
Original Assignee
로버트 에프 호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에프 호프만 filed Critical 로버트 에프 호프만
Priority to KR102006702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308A/ko
Publication of KR20070022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27Peroxy compounds, e.g. hydroperoxides, peroxides, peroxy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having four such rings, e.g. porphine derivatives, bilirubin, biliver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5Isoalloxazines, e.g. riboflavins, 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55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e.g. hemin, hematin, melarsop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0Pe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학적 제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당해 약제학적 제형은 알켄, 예를 들면, 제라니올을 산소-함유 산화제, 예를 들면, 오존으로 산화시켜 수득한 반응 생성물 또는 과산화물 종; 투과성 용매, 예를 들면,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킬레이트화 금속을 포함하는 염료, 예를 들면, 헤마토포르피린; 및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 예를 들면, 벤조퀴논을 포함한다. 당해 약제학적 제형은 암, 예를 들면, 림프종을 앓는 환자를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산화적 치료학적 제형, 암, 림프종

Description

표적화된 치료학적 산화 제형의 암 치료용도{Use of targeted oxidative therapeutic formulation in treatment of cancer}
배경
본 출원은 2004년 5월 10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표적화된 치료학적 산화 제형의 암 치료용도"인 미국 가특허원 제60/569,69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이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은 과산화물 종 또는 산화 생성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액체 형태 또는 용액인 올레핀성 화합물을 산소-함유 산화제로 산화시켜 수득되는 반응 생성물 또는 과산화물 종; 투과성 용매; 킬레이트화 금속을 함유하는 염료; 및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제형의 제조 및 암 치료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오존은 3원자 기체 분자이고, 산소의 동소체 형태이다. 전기 방전 또는 강한 자외선 광으로 순수한 산소를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오존이 심각한 오염원이라는 대중적인 오해로 인해 질환의 "유리 라디칼" 이론 및 항산화제 공급 시장은 이의 치료학적 용도에 반대하는 의학적 정설로 불이익을 받고 있다. 그러나, 오존 치료는 틀린 명칭이다. 오존은 혈장내 및 세포막내에 존재하는 유기 화합물과 선 택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부산물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활성 메카니즘을 갖는 극도로 반응성이고, 불안정한 기체이다. 불포화된 올레핀과 오존의 선택적 반응은 오조나이드를 생성하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에서 일어난다. 오존은 자체로 독성이고, 이의 반응 생성물인 오조나이드는 불안정하고, 자체로는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1818년에 발견된 과산화수소(H202)는 천연에서 미량으로 존재한다. 과산화수소는 불안정하고, 유기 막 및 미립자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휘발되어 분해(또는 발포)된다. 광, 교반, 열 및 철 모두는 용액중 과산화수소 분해 속도를 가속화시킨다. 과산화수소는 생체외 직접 접촉에 의해 낮은 수준의 퍼옥사이드-파괴 효소, 예를 들면, 카탈라제를 갖는 미생물을 죽인다. 그러나, 과산화수소를 퍼옥사이드-민감성 이 콜라이(E. coli)로 감염된 래빗의 혈액으로 주입하는 경우, 살균 효과가 없다. 또한, 이 콜라이를 함유하는 래빗 또는 사람 혈액에서 생체외 퍼옥사이드 농도의 증가는 직접적인 살균 활성의 증거가 되지 않는다. 고 농도 과산화수소의 부족은 숙주 동물 혈액에서 퍼옥사이드-파괴 효소 카탈라제의 존재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효과를 갖기 위해, 고 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상당한 기간 동안 박테리아와 접촉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혈액에 존재하는 다량의 과산화수소-파괴 효소, 예를 들면, 카탈라제는 퍼옥사이드가 혈액내에서 수초 이상의 시간 동안 존재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주사 또는 주입으로 혈액 스트림에 도입된 과산화수소는 직접적으로 혈액 또는 세포외 유체에서 세포외 살균제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과산화수소는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살균 공정에 참여한다. 활성화 된 대식세포는 감염 부위 또는 종양으로 유인되고, 감염 유기체 및/또는 종양으로 부착되고, 이를 섭취한다. 감염된 유기체 및 종양세포의 사멸은 대식세포 내에서 과산화수소에 의해 일어난다. 과산화수소는 세포의 클로라이드를 이산화염소 유리 라디칼로 산화시키고, 이는 미생물 막을 불안정하게 하고, 지속되는 경우, 아폽토시스 또는 세포 자살을 유도한다. 세포내 과산화에서 중요한 치료학적 기준은 단지 병에 걸린 또는 활성화된 대식세포로 과산화 담체 분자를 선택적으로 전달, 흡수 및 활성화시키는 것이고, 이는 향상된 카탈라제 및 글루타티온 리덕타제 활성화를 불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주입된 과산화수소는 일반화된 독이지만, 표적화된 세포내 과산화는 선택적인 치료 도구이다.
대식세포는 이의 국소 부위에 의존하여 면역, 골 석회화, 시력, 신경 절연(말이집형성), 해독, 펌핑 강도 및 신체로부터 독성의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식세포의 에너지 요구량은 미토콘드리아로 언급되는 세포내 구조에 의해 충족된다. 미토콘드리아는 종종 미세섬유 내부 세포구축에 구조적으로 관련된다. 미토콘드리아의 굴곡(folded) 내층은 높은 에너지 분자 ATP를 생성하고, 외층은 시토크롬 및 퍼옥사이드를 생성하는 전자 재순환 분자를 포함한다. 미토콘드리아의 외층은 내독소, 진균독소, 바이러스 엔코딩 독소, 약물, 중금속 및 살충제에 의해 독성 차단되거나 손상되기 쉽다. 미토콘드리아의 과산화 작용이 방해되는 경우, 세포의 미세섬유 구조는 가교결합되어 부정확한 신호, 부전, 부적합한 복제 또는 조기 세포사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옥시다제 효소 활성은 놀랍게도 다수의 악성 종양 및 바이러스-감염된 대식세포에서 감소된다[참조: Allen, et al, 1977]. 특히, 원숭이 바이러스-형질전환된 세포 및 비-형질전환된 세포의 연구는 형질전환된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옥시다제 효소의 활성이 비-형질전환된 세포에서의 활성의 단지 50%임을 나타내었다[참조: White, et al, 1975). 몇몇의 연구는 또한 몇몇의 종양유전자 활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탱글화(tangled)된 미세섬유와 함께 악성 변화에서 미세섬유의 가교결합을 내포한다[참조: Holme, 1990].
림프종은 림프계통의 다양한 암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용어이다. 림프종에서, 림프계통에서 세포는 조절할 수 없을 정도로 증식되어 악성 종양을 생성한다. 림프종은 세포 타입 및 암성 종양의 위치에 의해 분화된다.
림프종은 피부의 사실상 임의의 위치에서 발달될 수 있다. 이들 종양은 일반적으로 고립된 환부로 일어나지만, 인접한 피부는 종양이 발달할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림프종의 전체 모양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조기 환부는 정상 피부로 덮혀질 수 있는 작은 표면 결절인 경향이 있다. 종양이 발달됨에 따라, 오버레이 표피 층이 파괴되고, 궤양형성, 괴사 및 악취가 환부가 점차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관찰될 수 있다.
림프종은 진단된 종양의 20%까지 나타나는 통상적으로 진단된 말 종양이다. 진단 평균 연령은 8.6 내지 14.6살의 범위이지만, 1살 내지 29살 정도로 어린 연령에서도 보고되었다. UV 방사는 이러한 종양 발달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관련되고, 엷게 색소침착된 말은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피부 암종은 표피세포에서 일어나고 종종 국소적으로 침습되지만 전이되는데 시간이 걸리는 경향이 있다. 그 러나, 전이 빈도는 18.6% 정도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이가 일어나면, 국소 림프 결절은 일반적으로 병에 걸린 위치이다.
몇몇의 치료 선택이 있고, 종양의 위치에 좌우되어 가장 적합하게 선택한다. 수술적 제거는, 가능한 경우라면,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료이다. 종종 이러한 종양은 수술로 제거하기가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위치에서 발현된다. 냉동수술(액체 질소로 냉각) 및 화학요법은 대안적인 치료 선택을 나타낸다. 종양의 위치 및 크기에 좌우되어, 화학요법 제제는 종양의 표면위로 크림 또는 연고로서 투여되거나, 주사로 종양의 기저로 투여될 수 있다. 진단 및 치료가 조기에 시작되면, 예후는 종종 긍정적이다. 그러나, 종양 재발이 수주 또는 수개월 내에 일어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효과적이지만 현저한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암, 예를 들면, 림프종에 걸린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미국 특허 제4,451,480호(De Villez)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방법을 교시한다. 이 방법은 감염 부위를 다양한 고정성 오일 및 불포화된 에스테르, 알콜, 에테르 및 지방산의 오존화로 유도된 오존화 물질로 통상적으로 치료함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4,591,602호(De Villez)는 미생물 감염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 호호바의 오조나이드를 나타낸다.
미국 특허 제4,983,637호(Herman)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중 테르펜의 오조나이드를 투여하여 국소 및 전신 바이러스 감염을 비경구 치료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086,076호(Herman)는 담체 및 테르펜의 오조나이드를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을 나타낸다. 당해 조성물은 전신 투여 또는 국소 적용에 적합하다.
미국 특허 제5,126,376호(Herman)는 포유동물에서 담체 중 테르펜의 오조나이드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국소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190,977호(Herman)에서는 전신 주입에 적합한 비-수성 담체 및 테르펜의 오조나이드를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을 교시한다.
미국 특허 제5,190,979호(Herman)는 포유동물에서 담체 중 테르펜의 오조나이드를 사용하여 의학적 상태를 비경구로 치료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260,342호(Herman)에서는 포유동물에서 담체 중 테르펜의 오조나이드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비경구로 치료하는 방법을 교시한다.
미국 특허 제5,270,344호(Herman)는 포유동물에서 포유동물의 장으로 트리옥솔란 또는 불포화된 탄화수소의 디퍼옥사이드 유도체를 적용하여 전신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당해 유도체는 비극성 용매에 용해된 불포화된 탄화수소를 오존분해하여 제조한다.
미국 특허 제5,364,879호(Herman)는 포유동물에서 의학적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고, 여기서, 조성물은 디퍼옥사이드 또는 비-테르펜 불포화된 탄화수소의 트리옥솔란 유도체를 포함하고, 당해 유도체는 35℃ 이하에서 담체중에서 불포화된 탄화수소를 오존분해하여 제조한다.
상이한 약제학적 징후에 대한 테르펜 오조나이드의 용도가 보고되고 있지만, 테르펜 오조나이드는 여러가지 결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모노테르펜의 오조나이드, 예를 들면, 마이센 및 리모넨은 실험실에서 가연성이다. 결과적으로, 제조하거나 저장하기에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알켄 화합물을 산화시켜 생성된 반응 생성물을 이용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제학적 제형 또는 조성물이 필요하다. 또한, 유리 라디칼 형성에 대항하여 미토콘드리아 방어를 자극하고, 암, 예를 들면, 림프종을 앓는 개체를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요약
본 발명은 액체 형태 또는 용액인 불포화된 유기 화합물을 산소-함유 산화제로 산화시켜 수득한 반응 생성물 또는 과산화물 종; 투과성 용매; 킬레이트화된 염료; 및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에 관한 것이다. 약제학적 제형의 하나의 양태에서, 필수적인 성분은 불포화된 알콜의 오존분해로 생성되는 과산화 생성물, 안정화 용매, 메탈로포르피린 및 퀴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제형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과산화물 종 또는 반응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알켄 및 오존의 반응을 통해 형성된다. 알켄 및 오존 사이의 반응은 크리기 메카니즘(Criegee mechanism)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메카니즘에 따라서, 하기 반응식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의 초기 단계에서 오존을 알켄으로 1,3-이극성 첨가고리화 반응시켜 1차 오조나이드(1,2,3-트리옥살란)을 수득한다. 1차 오조나이드는 불안정하고, 1,3-고리전환(cycloreversion)되어 카보닐 화합물 및 카보닐 옥사이드가 된다. 다른 시약 또는 친핵성 용매의 부재하에, 이러한 신규한 1,3-이극은 제2 1,3-이극성 첨가고리화반응으로 도입되어 "표준" 오조나이드, 1,2,4-트리옥살란을 수득한다.
Figure 112006091140847-PCT00001
부반응에서, 하기 반응식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보닐 옥사이드가 이량체화에 도입되어 과산화 이량체, 1,2,4,5-테트라옥산을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6091140847-PCT00002
카보닐 옥사이드는 강한 친전자성 종이고, 친핵성 종(예를 들면, 알콜 또는 물)의 존재하에, 반응식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친핵성 첨가반응으로 1-알콕시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쉽게 생성한다. 특정 조건하에서, 1-알콕시하이드로퍼옥사이드는 추가로 반응되어 카복실산 유도체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6091140847-PCT00003
다시, 이론에 결부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서 알콜-함유 알켄의 오존분해 동안 3개의 주요한 형태의 과산화 생성물이 표준 오조나이드, 카보닐 테트라옥산 이량체 및 1-알콕시하이드로퍼옥사이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물의 존재하에, 이들 과산화 생성물 중 몇몇은 또한 조 생성물 혼합물 중 유기 과산을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오존분해의 초기 생성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투과성 용매, 예를 들면,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사하게, 이론에 결부시키지 않고, 안정화는 가장 가능성 있는 단순한 용매화 현상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DMSO는 본래 친핵체로 공지되어 있다. 반응성 종(예를 들면, 디메틸설폭소늄 염으로서)을 안정화시키는 친핵성 파트너로서 참여할 수도 있다. 안정화된 과산화 분자 및 당해 약제학적 제형의 투과성 용매는 일반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여겨지는(generally regarded as safe; "GRAS") 성분으로부터 제조된다.
약제학적 제형의 또다른 성분은 킬레이트화된 염료, 예를 들면, 포르피린이다. 광화학적 여기하에 산소를 민감화시키는 메탈로포르피린의 특성은 상세히 기록되어 있고, 이는 페로포르피린 및 구리 포르피린이 산소-함유 시스템을 결합하는 특성이 있다.
약제학적 제형의 추가의 성분은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 예를 들면, 퀴논이다.
이론에 결부시키지 않더라도,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형은 감염되고 종양과 같은 형성이상 대식세포에서 재생자동촉매 산화를 유도하는 생화학적 제제의 배합물 인 것이 요구된다. 약제학적 제형은 저항이 없는 과산화를 통해 표적화된 아폽토시스(세포자멸사)를 자극한다. 따라서, 약제학적 제형은 다수의 외관상 이종의 미토콘드리아-계 대식세포 질환에서 치료학적 효과를 야기한다. 특히, 약제학적 제형은 불충분한 시토크롬 옥시다제 및 카탈라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고형 종양에서 부가적인 손상 없이 선택적으로 암 세포를 죽인다. 당해 약제학적 제형은 또한 종양 세포 증식 및 종양 성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결과는 암 치료에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하나의 예로 처리한 뮤린 ASL-1 세포의 뉴클레오티드 흡수(3H-TdR)를 나타낸다.
도 2은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다른 예로 처리한 뮤린 ASL-1 세포의 뉴클레오티드 흡수(3H-TdR)를 나타낸다.
도 3은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하나의 예로 처리한 뮤린 EL-4 세포의 뉴클레오티드 흡수(3H-TdR)를 나타낸다.
도 4는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다른 예로 처리한 뮤린 EL-4 세포의 뉴클레오티드 흡수(3H-TdR)를 나타낸다.
도 5는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하나의 예로 처리한 후 시간에 따라 계산한 생존 뮤린 ASL-1 세포를 나타낸다.
도 6은 약제학적 제형의 2개의 예 중 하나로 처리한 후 4 및 20시간에 계산한 죽은 뮤린 ASL-1 세포의 퍼센트를 나타낸다.
도 7은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하나의 예로 처리한 미토겐-자극된 뮤린 림프구 세포의 뉴클레오티드 흡수(3H-TdR)를 나타낸다.
도 8은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다른 예로 처리한 미토겐-자극된 뮤린 림프구 세포의 뉴클레오티드 흡수(3H-TdR)를 나타낸다.
도 9는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하나의 예로 처리한 뮤린 비장세포 종양 세포의 뉴클레오티드 흡수(3H-TdR)를 나타낸다.
도 10은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다른 예로 처리한 뮤린 비장세포 종양 세포의 뉴클레오티드 흡수(3H-TdR)를 나타낸다.
도 11은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하나의 예로 처리한 뮤린 흉선 세포 종양 세포의 뉴클레오티드 흡수(3H-TdR)를 나타낸다.
도 12는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다른 예로 처리한 뮤린 흉선 세포 종양 세포의 뉴클레오티드 흡수(3H-TdR)를 나타낸다.
도 13은 상이한 농도의 약제학적 제형의 하나의 예로 처리한 후 시간에 따라 계산된 죽은 뮤린 림프종 세포의 퍼센트를 나타낸다.
도 14는 DMSO 단독으로 처리한 마우스 및 약제학적 제형의 하나의 예로 처리한 마우스로부터 절개한 종양의 평균 중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액체 형태 또는 용액인 불포화된 유기 화합물을 산소-함유 산화제로 산화시켜 수득한 반응 생성물 또는 과산화물 종; 투과성 용매; 킬레이트화된 염료; 및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에 관한 것이다. 약제학적 제형은 암, 예를 들면, 림프종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약제학적 제형의 본질적인 성분은 불포화된 알콜을 오존분해하여 생성되는 과산화 생성물, 안정화 용매, 메탈로포르피린 및 퀴논을 포함한다.
불포화된 올레핀성 탄화수소일 수도 있는 약제학적 제형의 불포화된 유기 화합물은 하이드록실 그룹-비함유 알켄 또는 하이드록실-함유 알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켄의 탄소수는 약 35 미만이다. 하이드록실 그룹-비함유 알켄 그룹은 개방-쇄 불포화된 탄화수소, 모노사이클릭 불포화된 탄화수소 또는 비사이클릭 불포화된 탄화수소일 수 있다. 하이드록실-함유 알켄은 개방-쇄 불포화된 알콜, 모노사이클릭 불포화된 알콜 또는 비사이클릭 불포화된 알콜일 수 있다. 알켄은 또한 고정성 오일, 에스테르, 지방산 또는 에테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불포화된 올레핀성 탄화수소는 불포화, 포화, 사이클릭 또는 착화된 알켄, 하이드라진, 이소프레노이드, 스테로이드, 퀴놀린, 카로테노이드, 토코페롤, 프레닐화(prenylated) 단백질 또는 불포화 지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 직한 불포화 탄화수소는 알켄 및 이소프레노이드이다.
이소프레노이드는 주로 필수 에센셜 오일의 성분으로서 식물에서 발견된다. 다수의 이소프레노이드가 탄화수소이지만, 산소-함유 이소프레노이드는 또한, 예를 들면, 알콜, 알데히드 및 케톤을 생성한다. 일반적인 관점에서, 이소프렌 자체는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의 최종 생성물이며 중간체가 아닌 것으로 공지되어 있지만, 이소프레노이드 탄화수소의 빌딩 블록은 탄화수소 이소프렌, CH2=C(CH3)-CH=CH2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소프레노이드 탄화수소는 이를 포함하는 이소프렌(C5H8) 단위의 수로 분류된다. 따라서, 모노테르펜은 2개, 세스퀴테르펜은 3개, 디테르펜은 4개, 세스테르테르펜은 5개, 트리테르펜은 6개, 테트라테르펜은 8개의 이소프렌 단위를 각각 갖는다. 테트라테르펜은 카로테노이드로서 보다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리모넨 및 피넨은 모노테르펜의 예이다. 파르네솔 및 네롤리돌은 세스퀴테르펜 알콜의 예이다. 비타민 A1 및 피톨은 디테르펜 알콜의 예이고, 스쿠알렌은 트리테르펜의 예이다. 카로텐으로 공지된 프로비타민 A1는 테트라테르펜의 예이다. 제라니올, 모노테르펜 알콜은 산소 결합된 상태 및 표준 상태에서 액체이고, 살아있는 세포에 안전하다.
약제학적 제형에 바람직한 불포화 탄화수소는 알켄 이소프레노이드, 예를 들면, 마이리센, 시트릴렌, 시트랄, 피넨 또는 리모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불포화 탄화수소는 또한 직쇄인 2 내지 4개의 반복되는 이소프렌 그룹을 갖는 선형 이소프레노이드 알콜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테르피네올, 시트로넬롤, 네롤, 피톨, 멘 톨, 제라니올, 제라닐제라니올, 리날로올 또는 파르네솔이다.
불포화된 유기 화합물은 이의 배치에서 다른 분자와 직쇄, 측쇄, 환형, 나선형 또는 착화될 수 있다. 불포화된 유기 화합물은 산화제로 결합되기 전에 본래 기체상 액체 또는 고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개방-쇄 불포화된 탄화수소는 CnH2n, 1개의 이중결합, n=2-20; CnH2n-2, 2개의 이중결합, n=4-20; CnH2n-4, 3개의 이중결합, n=6-20; CnH2n-6, 4개의 이중결합, n=8-20; C25H40, 세스테르테르펜 탄화수소; 또는 C30H48, 트리테르펜 탄화수소일 수 있다.
모노사이클릭 불포화된 탄화수소는 CnH2n-2, 1개의 이중결합 및 1개의 환, n=3-20; CnH2n-4, 2개의 이중결합 및 1개의 환, n=5-20; CnH2n-6, 3개의 이중결합 및 1개의 환, n=7-20; C25H40, 세스테르테르펜 탄화수소; 또는 C30H48, 트리테르펜 탄화수소일 수 있다.
비사이클릭 불포화된 탄화수소는 CnH2n-4, 1개의 이중결합 및 2개의 환, n=4-20; CnH2n-6, 2개의 이중결합 및 2개의 환, n=6-20; C25H40, 세스테르테르펜 탄화수소; 또는 C30H48, 트리테르펜 탄화수소일 수 있다.
개방-쇄 불포화된 알콜은 CnH2nOm, 1개의 이중결합, n=3-20, m=1-4; CnH2n-2Om, 2개의 이중결합, n=5-20, m=1-4; CnH2n-4Om, 3개의 이중결합, n=7-20, m=1-4; CnH2n-6Om, 4개의 이중결합, n=9-20, m=1-4; C25H40Om, m=1-4, 세스테르테르펜 알콜; 또는 C30H48Om, m=1-4, 트리테르펜 알콜일 수 있다.
모노사이클릭 불포화된 알콜은 CnH2n-2Om, 1개의 이중결합 및 1개의 환, n=3-20, m=l-4; CnH2n-4Om, 2개의 이중결합 및 1개의 환, n=5-20, m=1-4; CnH2n-6Om, 3개의 이중결합 및 1개의 환, n=7-20, m=1-4; C25H40Om, m=1-4, 세스테르테르펜 알콜; 또는 C30H48Om, m=1-4, 트리테르펜 알콜일 수 있다.
비사이클릭 불포화 알콜은 CnH2n-4Om, 1개의 이중결합 및 2개의 환, n=5-20, m=1-4; CnH2n-6Om, 2개의 이중결합 및 2개의 환, n=7-20, m=1-4; C26H40Om, m=1-4, 세스테르테르펜 알콜; 또는 C30H48Om, m=1-4, 트리테르펜 알콜일 수 있다.
약제학적 제형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알켄은 약 0.001 내지 약 30%,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0%로 다양할 수 있다.
불포화된 탄화수소를 산화시키는 약제학적 제형의 산소-함유 산화제는 싱글렛(singlet) 산소, 트리플렛(triplet) 상태의 산소,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오존, 페리오데이트, 하이드록실 라디칼, 과산화수소, 알킬 퍼옥사이드, 카바밀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또는 전이원소에 결합된 산소, 예를 들면, 몰리브데늄(예를 들면, MoO5)일 수 있다.
이소프레노이드 알콜, 예를 들면, 제라니올을 손상시키지 않고 "활성 산소"를 결합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은 0 내지 20℃의 온도에서 암실에서 물 또는 극성 용 매의 부재하에 오존화하는 것이다. 이어서, 제라니올 "오조나이드"를 용해시키고, 100% DMSO 중에 암실에서 안정화시켜 생성물의 조기 분해를 방지한다. 이론에 결부시키지 않더라도, 오조나이드가 아닌 제라니올 오존화의 테트라옥산 과산화 이량체 부산물의 촉매적 분해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의 존재하에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방출되는 최종 반응성 치료학적 제제는 과산화수소 및 아세트산이다.
약제학적 제형은 또한 투과성 용매를 이용한다. 산소-결합된 불포화된 탄화수소를 안정화시키는 투과성 용매는 에몰리언트, 액체, 리포솜, 미셀 막 또는 증기일 수 있다. 사용가능한 투과성 용매는 수용액, 지방, 스테롤, 레시틴, 포스파타이드,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설포닐메탄, 폴리비닐피롤리돈, pH-완충된 염수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투과성 용매는 DMSO,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pH-완충된 염수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투과성 용매는 DMSO이다.
약제학적 제형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투과성 용매는 약 50 내지 약 99%, 바람직하게는 약 90 내지 약 98%,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5 내지 약 98%로 가변적일 수 있다.
"안정화된" 과산화 분자 및 이의 투과성 용매는 식약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 의해 규격화된 제조에서 현재 사용되는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었다. 이들 성분은 USP/NF에서 발견되는 문헌[참조: Drug Master Files, Drug Monographs]의 대상이거나, 일반적으로 안정하다고 인정되는 것이다("GRAS").
약제학적 제형의 또다른 성분은 킬레이트화된 염료이다.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킬레이트화된 이가 또는 삼가 금속, 예를 들면, 철, 구리, 망간, 주석, 마그네슘 또는 스트론튬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킬레이트화 금속은 철이다. 킬레이트화된 염료, 예를 들면, 광화학적 여기하에서 산소를 민감화시키는 메탈로포르피린의 특성은 상세히 기록되어 있고, 이는 페로포르피린 및 구리 포르피린이 산소-함유 시스템을 결합하는 특성이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염료는 천연 또는 합성 염료를 포함한다. 이들 염료의 예는 포르피린, 로즈 벤갈, 클로로필린, 헤민, 포르핀, 코린, 텍사프린, 메틸렌 블루, 헤마톡실린, 에오신, 에리트로신, 플라비노이드, 락토플라빈, 안트라센 염료, 하이페리신, 메틸콜안트렌, 뉴트랄 레드, 프탈로시아닌, 플루오레스세인, 유멜라닌 및 페오멜라닌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염료는 임의의 천연 또는 합성 포르피린, 헤마토포르피린, 클로로필린, 로즈 벤갈, 이의 각각의 동류물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염료는 헤마토포르피린과 로즈 벤갈의 혼합물 및 헤마토포르피린과 클로로필린의 혼합물이다. 염료는 광자, 레이저, 이온화 방사, 음자, 전기 심장 임펄스(electrical cardiac impulse), 전기천공(electroporation)), 자기 또는 혈장 펄스 또는 연속 흐름 여기에 대해 반응성일 수 있다.
약제학적 제형 또는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염료는 약 0.1 내지 약 30%,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8 내지 약 1.5%로 다양할 수 있다.
약제학적 제형의 추가의 성분은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 예를 들면, 퀴논이 다.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은 임의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조퀴논, 나프토퀴논 또는 안트로퀴논일 수 있다. 바람직한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은 벤조퀴논, 메틸-벤조퀴논, 나프토퀴논 및 메틸-나프토퀴논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은 메틸-나프토퀴논이다.
약제학적 제형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은 약 0.01 내지 약 20.0%,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0.5%로 가변적일 수 있다.
약제학적 제형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에너지 원 또는 전자 공여체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유용한 전자 공여체는 NADH, NADPH, 전류, 아스코르베이트 또는 아스코르브산 및 게르마늄 세스퀴옥사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전자 공여체는 아스코르베이트 및 게르마늄 세스퀴옥사이드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전자 공여체는 염 형태의 아스코르브산이다.
약제학적 제형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전자 공여체는 약 0.01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로 가변적일 수 있다.
생체내에서 생물학적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 약제학적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오조나이드 보다는 불포화된 탄화수소의 오존분해-생성된 과산화 생성물로서 수퍼옥사이드 생성 킬레이트화된 염료 및 방향족 퀴논과 함께 주입된다. 불포화된 탄화수소 생성물 또는 과산화 이량체 분자는 비-수성 안정화 용매 중에서 안정화될 수 있고, 지질 막을 침투할 수 있다.
활동적으로 활성화된 염료 치료의 연구자들은 수퍼옥사이드 생성 염료 및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는 우선적으로 통상적으로 카탈라제 결핍의 감염되고 활성화된 종양과 같은 형성이상 세포로 흡수되는 것으로 오랫동안 알고 있었다. 이론에 결부시키지 않고, 퍼옥사이드의 카탈라제-유도된 파괴는 표적 세포에서 자연적으로 또는 약제학적 제형에 의해 정지될 수 있다. 과산화 이량체는 또한 이량체에 전자 공여를 초기화하고 세포내 과산화수소 및 아세트산의 방출을 야기하는 수퍼옥사이드 생성 염료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염료의 전기 활성은 항상 빛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심장 펄스에 의해 생성되는 작은 전기 펄스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염된 대식세포 내에 과산화 반응은 세포내에서 미세관의 프레닐화 단백질 결합을 파괴하여 감염시키는 독소를 파괴하거나 대식 숙주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경향이 있다.
약제학적 제형은 안정한 성분의 배합물이다. 이들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건조 고체 성분 및 액체 성분으로서 개별적인 용기에 저장될 수 있고, 이후에 사용되는 장소에서 혼합된다. 건조 고체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킬레이트화된 염료 및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을 포함한다. 액체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불포화된 탄화수소를 산소-함유 활성제로 산화시켜 수득한 반응 생성물 또는 과산화물 종을 투과성 용매와 함께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정맥내로 투여한다. 재조합된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염수에 희석된 농축물로서 정맥내 투여될 수 있다. 치내 및 경막내 전달은 또한 투여경로로 가능하다. 근육내 주사는 국소 자극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약제학적 제형의 생체내 투여는 환자에서 종양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당해 약제학적 제형은 배양된 종양 세포의 자연적 증식 및 미토겐-자극된 증식 둘 다를 억제하고, 배양된 종양 세포의 생존 수를 감소시키고, 생체내 종양 크기를 감소킨다. 약제학적 제형은 불충분한 시토크롬 옥시다제 및 카탈라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고형 종양에서 부가적인 손상 없이 선택적으로 암 세포를 죽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불포화된 탄화수소의 오존분해
알켄의 오존분해는 용매 중에서 또는 자체로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반응 혼합물의 냉각은 반응의 과산화 생성물의 폭발적 분해를 피하는데 중요하다.
다음 일반적인 방법은 액체 알켄의 오존분해에서 통상적이다.
자기 교반기가 장착된 1ℓ들이 플라스크를 알켄(2mol)으로 채우고, 장치를 칭량하였다. 플라스크를 냉 욕(빙수 또는 얼음-염)으로 둘러 싼다. 내용물이 5℃ 미만으로 냉각되면, 교반을 시작하고, 건조 산소 중 오존의 스트림(통상적으로 3% 오존)을 혼합물을 통해 통과시켰다. 오존화된 산소를 유리 프릿을 통해 분배시키는 것이 유리하지만, 교반된 용액에서는 필수적이지는 않다. 주기적으로, 기체 스트림을 정지하고, 반응 플라스크를 칭량하거나 반응 혼합물을 샘플링하였다. 이어서, 기체 스트림을 재시작하였다.
반응 플라스크의 질량이 충분한 중량 증가가 나타나거나, 반응 혼합물의 양자 자기공명("H1 NMR") 스펙트럼이 올레핀성 양자 공명(보통 약 50%)의 강도에서 목 적하는 감소를 나타내면, 기체 유동을 정지시킨다.
오존분해를 상기와 같이 오존에 비-반응성인 용매, 예를 들면, 포화된 탄화수소 또는 염소화 탄화수소 중 알켄의 용액을 교체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오존분해는 또한 상기와 같이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실질적인 방법으로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알켄 대신에 알켄올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서서히 냉각된 투과성 용매로 붓는다.
실시예 2. 약제학적 제형의 제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형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오존/순수한 산소 기체 혼합물 120mg/L를 알카디엔 알콜, 3,7-디메틸-2,6-옥타디엔-1-올(제라니올)을 통해 1시간당 1ℓ기체로 살포하고;
(2) 반응을 약 5℃로 유지하고;
(3) 시간당 반응 생성물의 소량 분취량을 제거하여 과산화물 종 또는 반응 생성물 형성을 H1 NMR로 측정하고;
(4) 약 50% 이상의 이용가능한 불포화된 결합이 반응되었을 때 반응을 중지시키고;
(5) 생성물 혼합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1:10)로 희석시켜 용액 또는 분산액을 수득하고;
(6) 표적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전에, 표적 생물학적 시스템을 정맥내 염수 주입으로 전달하는 경우, 헤마토포르피린, 로즈 벤갈 및 메틸-나프토퀴논 건조 분말의 혼합물을 분산되는 각 성분의 농도가 20μmol로 생성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용액 또는 분산액에 가하였다. 임의로 아스코르베이트를 사용하기 전에 제형에 첨가할 수 있다.
실시예 3. 약제학적 제형의 예
2개의 바람직한 제형은 다음과 같다:
A.
중량% 성분
0.54* 제라니올의 오존화로부터의 아세탈 퍼옥사이드의 테트라옥산 이량체
98.00 DMSO
0.83 헤마토포르피린
0.24 메틸나프토퀴논
0.39 로즈 벤갈
*질량분광계로 측정함.
B.
중량% 성분
0.54* 제라니올의 오존화로부터의 아세탈 퍼옥사이드의 테트라옥산 이량체
98.00 DMSO
0.83 헤마토포르피린
0.24 메틸나프토퀴논
0.39 클로로필린 나트륨-구리 염
*질량분광계로 측정함.
실시예 4. 말 림프종 치료의 정성적 평가
약제학적 제형을 7마리의 피실험 말에게 정맥내로 주입하고, 각각 림프종 종양 세포 성장으로 병에 걸렸다. 투여형 및 치료 과정은 약제학적 제형의 6개의 치 료제로 이루어지고, 30cc 정상 멸균 염수 중 상기 실시예 3으로부터의 제형 30cc로 이루어진 각각의 치료제를 2주 기간동안 투여하였다. 주사를 목정맥내에 투여하였다. 어떤 다른 치료술 및 절차도 이 치료 과정 동안 처리하지 않았다.
처리 전 및 후속적인 생체검사를 모든 피실험자에게 수행하고, 한 마리의 피실험자의 일련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현미경 증거 및 사진 증거는 종양의 분해, 정상 구조의 복원 및 최종적 치료를 나타낸다. 임상적 관찰은 처리 과정 동안 종양이 회색으로 되고, 수술 또는 다른 절차의 개입 없이 딱지를 형성하였다. 처리후(30일) 피실험자의 사진 자료는 본래의 육아(granulation) 및 근육 조직을 나타내고, 이를 정상 상피 피복하여 치료하였다. 초기 처리한지 2년 후 찍은 최종 사진 증거는 건강하고 증상없는 조직의 계속적인 성장을 나타내었다. 현미경 사진 자료는 또한 종양의 완전한 분해 및 정상 조직 재성장을 나타내었다. 나머지 피실험 말은 사진촬영하지 않고, 유사한 분해 과정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배양된 종양 세포의 감소된 증식
뮤린 종양 세포의 2개의 라인을 개별적으로 배양시켰다: ASL-1(백혈병) 및 EL-4(T-세포 림프종).
이들 세포의 샘플을 상기 실시예 3의 제형 A 및 제형 B 0%, 0.001%, 0.01% 및 0.1%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된 종양 세포의 증식에서 약제학적 제형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배양 매질(3H-TdR)로부터 삼중 티미딘의 흡수를 측정하였다. 뉴클레오티드 티미딘의 흡수는 포지티브 세포 증식을 나타내는데, 이는 세포가 DNA 합성을 겪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4에 기재된 결과는 제형 A 및 제형 B 둘 다가 ASL-1 및 EL-4 세포 증식을 0.01% 및 0.1%의 농도에서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생존 ASL-1 세포의 수는 또한 0.01% 및 0.001%의 제형 A로 처리한 후 계수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생존 ASL-1 세포의 수는 제형 A로 처리하여 명백하게 감소되었다.
도 6은 제형 A 및 제형 B가 ASL-1 세포에서 아폽토시스 또는 세포사를 유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세포사는 제형 A 또는 제형 B로 처리한지 4시간 후에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20시간에, 제형 A로 처리한 ASL-1 세포 거의 100%가 사멸하였다.
이 결과는 약제학적 제형이 종양 세포의 증식을 감소시키고, 종양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자극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6. 미토겐-자극된 림프구 증식 억제
뮤린 림프구를 배양하고, 증식을 자극하는 미토겐으로 처리하였다.
이들 세포의 샘플을 상기 실시예 3의 제형 A 및 제형 B 0%, 0.001%, 0.01% 및 0.1%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된 종양 세포의 증식에서 약제학적 제형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배양 매질(3H-TdR)로부터 삼중 티미딘의 흡수를 측정하였다.
도 7 및 8에 나타난 결과는 제형 A 및 제형 B 둘 다가 0.001%, 0.01%, 및 0.1%의 농도에서 미토겐-자극된 림프구 세포 증식를 억압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7. 자연적 림프구 증식 억제
뮤린 비장세포 및 흉선 세포 종양 세포를 배양하였다.
이들 세포의 샘플을 상기 실시예 3의 제형 A 및 제형 B 0%, 0.001%, 0.01% 및 0.1%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된 종양 세포의 증식에서 약제학적 제형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배양 매질(3H-TdR)로부터 삼중 티미딘의 흡수를 측정하였다.
도 9 내지 12에 나타난 결과는 제형 A 및 제형 B 둘 다가 자연적 림프구 세포 증식을 0.1%의 농도의 제형 A로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또한 0.01% 농도의 제형 A로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8. 종양 세포의 형태 검사
실시예 5, 6 및 7에서 약제학적 제형으로 처리된 경우 사멸한 종양 세포의 샘플을 트리판 블루로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세포가 사멸된 것으로 나타나지만, 세포는 형태학적으로 손상되지 않았다. 이러한 관찰은 약제학적 제형이 종양 세포에서 괴사 보다 아폽토시스를 유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9. 배양된 뮤린 흉선 림프종의 시험관내 효과
흉선 림프종 세포를 3-개월령 Atm-/-마우스로부터 제거하고, 배양하였다.
이러한 세포의 샘플을 상기 실시예 3의 제형 A의 0.01%, 및 0.1% 농도 및 DMSO로 처리하였다. 대조군 샘플을 DMSO 단독으로 처리하였다.
도 13은 각각의 농도의 제형 A로 처리한 후 죽은 종양 세포의 퍼센트를 나타낸다. 결과는 약제학적 제형이 시험관내 생존 흉선 종양 세포의 수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명백하게 나타낸다.
실시예 10. 뮤린 흉선 림프종 세포의 생체내 효과
실시예 9에서 제조한 배양된 흉선 림프종 세포(1 x 105)를 성인 수컷 Atm+/+ 마우스로 피하 주사하였다.
6일 후, 마우스를 0.01% 농도의 실시예 3의 제형 A를 피하 주사를 통해 20mg/kg체중으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처리를 14일 동안 매일 수행하였다. 배양된 림프종 세포를 주입한 대조군 마우스를 DMSO로 처리하였다. 14일 후, 마우스에서 성장한 종양을 절개하고 중량을 재었다.
도 14는 약제학적 제형으로 처리된 마우스 및 DMSO로 처리된 마우스에서 종양의 평균 중량을 나타낸다. 결과는 약제학적 제형이 배양되어 면역손상 수령자 유전자도입 마우스로 이식된 흉선 림프종 세포의 생체내 성장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인용된 참조문헌
다음 미국 특허 문헌 및 공보는 참조로서 본원에 인용된다.
미국 특허 제4,451,480호(DeVillez)
미국 특허 제4,591,602호(DeVillez)
미국 특허 제4,983,637호(Herman)
미국 특허 제5,086,076호(Herman)
미국 특허 제5,126,376호(Herman)
미국 특허 제5,190,977호(Herman)
미국 특허 제5,190,979호(Herman)
미국 특허 제5,260,342호(Herman)
미국 특허 제5,270,344호(Herman)
미국 특허 제5,364,879호(Herman)
기타 간행물
Figure 112006091140847-PCT00004

Claims (30)

  1. 약제학적 제형의 약 0.001 내지 약 30중량%로 포함되는, 멘톨, 또는 테르피네올, 시트로넬롤, 네롤, 리날로올, 피톨, 제라니올, 페릴릴 알콜, 멘톨, 제라닐제라니올 또는 파르네솔을 포함하는 알켄의 산소-함유 산화제에 의한 산화로부터 수득되는 반응 생성물 또는 과산화물 종;
    디메틸설폭사이드, 스테롤, 레시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메틸설포닐메탄을 포함하고, 약제학적 제형의 약 50 내지 약 99중량%로 포함되는 투과성 용매;
    포르피린, 로즈 벤갈, 클로로필린, 헤민, 코린, 텍사프린, 메틸렌 블루, 헤마톡실린, 에오신, 에리트로신, 락토플라빈, 안트라센 염료, 하이페리신, 메틸콜안트렌, 뉴트랄 레드, 프탈로시아닌, 플루오레스세인, 유멜라닌 또는 페오멜라닌을 포함하고 킬레이트화된 이가 또는 삼가 금속을 포함하고, 약제학적 제형의 약 0.1 내지 약 30중량%로 포함되는 염료,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조퀴논, 나프토퀴논 또는 안트로퀴논을 포함하고, 약제학적 제형의 약 0.01 내지 약 20중량%로 포함되는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약제학적 제형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암 환자의 치료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알켄이 액체 형태, 용액 또는 분산액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알켄이 고정성 오일, 에스테르, 지방산 또는 에테르에 포함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산소-함유 산화제가 싱글렛(singlet) 산소, 트리플렛(triplet) 상태의 산소,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페리오데이트, 하이드록실 라디칼, 과산화수소, 알킬 퍼옥사이드, 카바밀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또는 전이원소에 결합된 산소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산소-함유 산화제가 오존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투과성 용매가 액체, 미셀 막, 리포솜, 에몰리언트 또는 증기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투과성 용매가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염료가 포르피린, 로즈 벤갈, 클로로필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금속이 철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금속이 구리, 망간, 주석, 마그네슘 또는 스트론튬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전자 공여체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전자 공여체가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 염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암이 림프종인 방법.
  14. 오존 및 산소의 혼합물로 제라니올을 산화시켜 수득한 반응 생성물 또는 과산화물 종;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헤마토포르피린과 로즈 벤갈의 혼합물 또는 헤마토포르피린과 클로로필린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킬레이트화된 이가 또는 삼가 금속을 포함하는 염료; 및
    메틸나프토퀴논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약제학적 제형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암 환자의 치료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암이 림프종인 방법.
  16. 약제학적 제형의 약 0.001 내지 약 30중량%로 포함되는, 멘톨, 또는 테르피네올, 시트로넬롤, 네롤, 리날로올, 피톨, 제라니올, 페릴릴 알콜, 멘톨, 제라닐제라니올 또는 파르네솔을 포함하는 알켄의 산소-함유 산화제에 의한 산화로부터 수득되는 반응 생성물 또는 과산화물 종;
    디메틸설폭사이드, 스테롤, 레시틴,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메틸설포닐메탄을 포함하고, 약제학적 제형의 약 50 내지 약 99중량%로 포함되는 투과성 용매;
    포르피린, 로즈 벤갈, 클로로필린, 헤민, 코린, 텍사프린, 메틸렌 블루, 헤마톡실린, 에오신, 에리트로신, 락토플라빈, 안트라센 염료, 하이페리신, 메틸콜안트렌, 뉴트랄 레드, 프탈로시아닌 또는 플루오레스세인을 포함하고 킬레이트화된 이가 또는 삼가 금속을 포함하고, 약제학적 제형의 약 0.1 내지 약 30중량%로 포함되는 염료,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조퀴논, 나프토퀴논 또는 안트로퀴논을 포함하고, 약제학적 제형의 약 0.01 내지 약 20중량%로 포함되는 방향족 산화환원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약제학적 제형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환자의 종양 세포 증식의 억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알켄이 액체 형태, 용액 또는 분산액인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알켄이 고정성 오일, 에스테르, 지방산 또는 에테르에 포함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산소-함유 산화제가 싱글렛 산소, 트리플렛 상태의 산소,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페리오데이트, 하이드록실 라디칼, 과산화수소, 알킬 퍼옥사이드, 카바밀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또는 전이원소에 결합된 산소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산소-함유 산화제가 오존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투과성 용매가 액체, 미셀 막, 리포솜, 에몰리언트 또는 증기인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투과성 용매가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인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염료가 포르피린, 로즈 벤갈, 클로로필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금속이 철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금속이 구리, 망간, 주석, 마그네슘 또는 스트론튬을 포함하는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전자 공여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전자 공여체가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 염을 포함하는 방법.
  28. 제16항에 있어서, 종양 세포가 림프종 세포인 방법.
  29. 오존 및 산소의 혼합물로 제라니올을 산화시켜 수득한 반응 생성물 또는 과산화물 종;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헤마토포르피린과 로즈 벤갈의 혼합물 또는 헤마토포르피린과 클로로필린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킬레이트화된 이가 또는 삼가 금속을 포함하는 염료; 및
    메틸나프토퀴논을 포함하는 유효량의 약제학적 제형을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환자의 종양 세포 증식의 억제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종양 세포가 림프종 세포인 방법.
KR1020067025946A 2004-05-10 2005-05-10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070022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5946A KR20070022308A (ko) 2004-05-10 2005-05-10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569,695 2004-05-10
KR1020067025946A KR20070022308A (ko) 2004-05-10 2005-05-10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308A true KR20070022308A (ko) 2007-02-26

Family

ID=4365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946A KR20070022308A (ko) 2004-05-10 2005-05-10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3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21B1 (ko) * 2012-12-18 2014-07-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220144440A (ko) * 2021-04-19 2022-10-27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케토-엔올 변환체 약물을 함유하는 생체 시료의 전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전처리된 시료, 및 이 전처리 시료에 대한 정량 분석 방법
EP4117668A4 (en) * 2021-04-16 2023-12-06 Provectus Pharmatech,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ORAL TREATMENT OF LEUKEMI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21B1 (ko) * 2012-12-18 2014-07-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EP4117668A4 (en) * 2021-04-16 2023-12-06 Provectus Pharmatech,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ORAL TREATMENT OF LEUKEMIA
KR20220144440A (ko) * 2021-04-19 2022-10-27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케토-엔올 변환체 약물을 함유하는 생체 시료의 전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전처리된 시료, 및 이 전처리 시료에 대한 정량 분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8661B1 (en) Use of targeted oxidative therapeutic formulation in treatment of burns
US7521440B2 (en) Targeted oxidative therapeutic formulation
US7414044B2 (en) Use of targeted oxidative therapeutic formulation in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US20050250757A1 (en) Use of targeted oxidative therapeutic formulation in treatment of cancer
US6790463B2 (en) Uses of targeted oxidative therapeutic formulation in arteriosclerosis
US20050192267A1 (en) Use of targeted oxidative therapeutic formulation in treatment of viral diseases
KR20070022308A (ko)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EP1747017B1 (en) Use of targeted oxidative therapeutic formulation in treatment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US7572782B2 (en) Use of targeted oxidative therapeutic formulation in bone regeneration
US20060035881A1 (en) Use of targeted oxidative therapeutic formulation in endodontic treatment
KR20070022305A (ko) 연령 관련 황반 변성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표적화된산화적 치료 제형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