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721B1 -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721B1
KR101422721B1 KR1020120148850A KR20120148850A KR101422721B1 KR 101422721 B1 KR101422721 B1 KR 101422721B1 KR 1020120148850 A KR1020120148850 A KR 1020120148850A KR 20120148850 A KR20120148850 A KR 20120148850A KR 101422721 B1 KR101422721 B1 KR 101422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sm
stat3
cells
vegf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182A (ko
Inventor
양영목
나윤미
이재용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8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7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61K31/10Sulfides; Sulfoxides; Sulf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메틸설폰 및/또는 디메틸설폰 및 AG49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및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An anti-cancer composition comprising dimethyl sulfone}
본 발명은 디메틸설폰 및/또는 디메틸설폰 및 AG49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및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최대의 질병 중의 하나로서, 세포가 일련의 돌연변이 과정을 거쳐, 무제한적이고 비조절적인 방식으로 증식하고 불사화 되어 발생하는 질병이다. 암 발생의 원인으로는 화학물질, 바이러스, 세균, 전리방사선 등의 환경적 또는 외적 요인과 선천성 유전자 변이 등의 내적 요인을 들 수 있다(Klaunig & Kamendulis, Annu Rev Pharmacol Toxicol., 44:239-267, 2004).
한편,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현재 외과적 치료, 방사선 치료 및 화학적 치료가 사용되고 있는데,외과적 치료는 암의 초기상태의 제거에는 효과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장기를 제거해야 하는 등의 부작용과 전이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방사선 치료의 경우도 특정부위의 암 치료에는 치료효과가 높은 장점이 있는 반면 방사선의 조사로 인해 새로운 발암위험성과 전이를 방지할 수 없다는 점과 함께 치료시 환자의 고통을 수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학적 치료는 악성종양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요법제인 항암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대부분의 항암제는 암 세포의 각종 대사경로, 특히 핵산의 합성을 억제하여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약제들이다.
또한, 현재 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는 생화학적인 작용 기전에 따라 크게 알킬화제, 대사길항제, 항생물질, 유사분열억제제, 호르몬제 및 기타 제제의 6개의 범주로 분류되며, 이들 항암제는 암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세포, 특히 세포분열이 활발한 조직세포에도 손상을 입히기 때문에 골수기능저하,위장장애, 탈모증 등의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인체의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항암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항암제를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체에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항암 효과가 우수한 항암제를 천연재료로부터 수득하기 위해 식물 등 천연재료에서 항암성분을 추출하거나 또는 가공하여 암치료제나 예방용 약제 또는 건강보조식품으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로 인해 천연재료로부터 항암 활성을 가지는 물질들이 발굴되었는데, 이러한 예로 인삼의 사포닌 성분이 항암 활성이 있다고 밝혀졌으며, 동충하초 또는 상황버섯을 비롯한 버섯류 및 버섯류로부터 분리된 베타-글루칸 성분도 항암 활성이 있음이 밝혀졌고, 부추의 추출물도 항암 활성이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 이외에도 암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각종 천연재료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약학조성물 또는 가공식품 등의 형태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관련 특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11-0085153호는 SH3RF2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다양한 암 조직에서 발현량이 증가하는 SH3RF2 단백질은 암 관련 유전자인 PAK4와 결합하여 SH3RF2의 RING 도메인의 유비퀴틴화 활성에 의해 PAK4 단백질의 세포사멸 억제기능을 조절함으로써, SH3RF2가 발현억제된 암세포는 세포사멸 유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세포사멸이 촉진되고 생체 내 종양 형성능이 감소하므로, SH3RF2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다른 관련 특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110062726호는 캄페라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캄페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암 세포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이 우수하며, 아폽토시스에 의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체내에 대한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 및 항암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건강식품의 소재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항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한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방광암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STAT3, p-STAT3, Jak2, p-Jak2, HIF-1 alpha 및 VEGF-R2 단백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디메틸설폰 및 하기 화학식 2의 AG 49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2105550890-pat00001
[화학식 2]
또한 본 발명은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또 본 발명은 디메틸설폰 및 하기 화학식 2의 AG 490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2105550890-pat00002
[화학식 2]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비경구 투여시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주사, 자궁내 경막주사, 뇌혈관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하루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MSM+AG490으로 처리한 군에서 용량-의존적 암 세포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300 mM 농도의 MSM과 25 μM AG490의 시너지 효과로 사람 방광암 세포의 생존력을 감소시키고, STAT3와 p-STAT3, Jak2, p-Jak2, HIF-1 alpha 및 VEGF-R2 단백질 등의 발현수준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양 유발 동물 실험의 결과 약 30일 후 종양의 크기가 각각 300 mM MSM 그룹(3% MSM)에서 약 70%, 300 mM MSM + 25 μM AG490그룹(3% MSM + 25 μM AG490)에서 약 80% 씩 감소하였고, 전체적으로 대조군과 비교할 때 모든 MSM을 처리한 그룹에서 사람 종양의 성장 속도가 둔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MSM과 AG490의 조성물은 암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들을 약학적 조성물로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도 1은 MSM + AG490 시너지에 의해서 인간 방광암세포의 생존능력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2는 Western blotting 실험을 통하여 MSM + AG490 시너지에 의해서 인간 방광암세포에서 p-Jak2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도 3은 Western blotting 실험을 통하여 MSM + AG490 시너지에 의해서 인간 방광암세포에서 p-STAT3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도 4는 RT-PCR 실험을 통하여 인간 방광암세포에서 MSM + AG490 combination에 의한 VEGF의 mRNA발현을 살펴보았다.
도 5는 MSM + AG490에 의한 COS-7 세포에서 STAT3/VEGF 프로모터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도 6은 EMSA 실험을 통하여 T24 세포에서 STAT3/VEGF의 결합활성을 측정하였다.
도 7은 인간 방광암 세포(T24, 253J-BV)에서 STAT3, p-STAT3, VEGF, VEGF-R2 등 oncogenic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도 8은 동물실험 결과 Xenogrft Nude 생쥐에서 MSM과 MSM + AG490 혼합의 인간 방광암 종양 성장 억제 효과 및 동물조직에서 MSM과 MSM + AG490 혼합에 의한 STATs, IGF-1R, VEGF, VEGF-R2, Jak2, p-Jak2 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9는 동물조직에서 Histology(H&E staining) 방법으로 MSM과 MSM + AG490 혼합에 의한 조직 괴사 및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 방법으로 p-STAT3 와 VEGF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도 10은 MSM, AG490 과 MSM + AG490 혼합에 의해 전이성 유방암 세포인 253-BV 에서 세포이동 억제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1은 Xenogrft Nude 생쥐의 폐로 MSM과 MSM + AG490 혼합에 의한 전이 정도를 Histology(H&E staining)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도 12는 MSM + AG490 이 암세포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그림.
도 13은 MSM + AG490의 STAT3의 활성화 억제 정도를 immunoprecipitation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1: 화학식 1의 MSM과 화학식 2의 AG490 추출과 분리
Figure 112012105550890-pat00003
[화학식 1]
본 발명의 MSM은 Fluka/sigma Co. (St. Louis, MI) 를 통하여 구입하였고, 일반적으로는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를 H2O2 에 의한 산화하여 디메틸설폰(DMSO2) 생성하고, 분별증류법에 의한 디메틸설폰 생산하여 냉각 및 결정화으로 디메틸설폰 분말을 얻는다.
Figure 112012105550890-pat00004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의 AG490은 Calbiocam (La Jolla, CA)를 통하여 구입하였다.
실시예 2: 세포배양
T24와 253-BV 인간 방광암세포(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구입)를 37℃, 5% CO2 조건하에서 10% FBS(fetal bovine serum), 2 mM 글루타민 및 100 U/㎖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또한, COS-7 원숭이 신장세포를 37℃, 5% CO2 조건하에서 10% FBS(fetal bovine serum), 2mM 글루타민 및 100U/㎖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Gibco-BRL, USA)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들은 실험시마다, 2.5×105cells/㎖ 밀도로 적당한 배지에 재현탁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MSM MSM + AG490 의 시너지효과가 암세포의 생존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사
MSM이 암세포의 생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먼저 96-웰 플레이트에 암 세포 주 T24와 253J-BV 세포를 MSM과 AG490의 시너지 효과를 보기 위하여 AG490 25 μM 에 MSM의 다양한 농도( 200, 300 및 400 mM)에 따라 24 시간 동안 각각 처리하여 배양한 다음, 생존해 있는 세포에만 활성을 띠어 염색(blue formazan)되는 MTT를 처리한 후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파쇄하고 세포 파쇄액을 얻었으며, 포르마잔 생산물은 각 웰에 DMSO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550 ㎚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을 3번 반복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SM과 MSM+AG490으로 처리한 군에서 용량-의존적 세포 성장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MSM + AG490 인산화 된 Jak2 STAT3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조사
MSM 과 AG490에 의해 조절 받는 다양한 단백질의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자들은 300 mM 농도의 MSM 과 25 μM 의 AG490이 사람 방광암 세포의 생존력을 감소시키고, 인산화 된 Jak2와 STAT3 단백질 등의 발현수준을 10분과 6시간에 최대로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도 2, 3).
실시예 5: MSM + AG490 에 의한 VEGF 유전자의 발현 감소 조사
MSM + AG490 에 의해 자극을 받은 인간 방광암세포(T24)에서 VEGF의 전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이용한 total RNA Semi-quantitative analysis를 하였다(도 4).
먼저, 인간 방광암세포 T24를 사용하여 MSM 300 mM, AG490 25 μM, MSM + AG490을 처리하고, 6시간 동안 배양한 것의 VEGF 유전자의 전사 mRNA를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수행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각 측정값은 상기 18s mRNAs 수준을 정상화하여 3번 반복 측정하여 얻어졌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MSM + AG490을 처리한 경우, VEGF 유전자 발현이 synergistic 하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MSM + AG490 에 의한 VEGF 의 프로모터의 활성 조사
STAT5b 단백질에 의해 STAT3/VEGF 프로모터가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COS-7 cell을 사용하여 MSM 300 mM, AG490 25 μM, MSM + AG490을 처리하고, 처리한 세포에서 STAT3/VEGF 프로모터의 활성화 정도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MSM + AG490처리한 세포에서 각각 STAT3/VEGF 프로모터의 활성화 정도를 상대적인 루시페라제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MSM + AG490에 의해 STAT3/VEGF 프로모터의 활성이 synergistic 하게 감소하였다 (도 5).
실시예 7: STAT3 단백질과 VEGF 유전자 간의 결합 부위 및 상호 결합력의 억제 조사
T24 세포주에서 STAT3 단백질 합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특정 자극 물질이 필요하다. 상기 합성된 STAT3 단백질은 핵 안으로 들어와 VEGF의 STAT3 binding site에 결합하여 활성을 나타내는데, STAT3와 VEGF 결합 활성(binding activity)을 확인하고자 EMSA(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kit: Panomics, AY2002)를 실시하였다.
MSM + AG490 혼합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SM 300 mM, AG490 25 μM, MSM + AG490을 6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결과, MSM + AG490에 의해 VEGF 와 STAT3 결합력이 synergistic 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6).
실시예 8: MSM + AG490 oncogenic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조사
MSM 과 AG490에 의해 oncogenic 단백질의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Western blotting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자들은 300 mM 농도의 MSM 과 25 μM의 AG490이 사람 방광암 세포(T24, 253J-BV)의 ocogenic 단백질들의 발현을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도 7a, 7b).
실시예 9: 동물실험 결과 Xenogrft Nude 생쥐에서 MSM MSM + AG490 의 인간 방광암 종양 성장 억제 효과 및 동물조직에서 MSM MSM + AG490 에 의한 STATs , IGF -1, VEGF, VEGF - R2 Jak2 단백질의 발현 감소 조사
본 발명은 MSM과 MSM + AG490 혼합물질이 사람의 방광종양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동물실험(xenograft)을 실시하였다.
즉, Balb/c nu/nu 마우스종을 실험동물생산 전문업체((주)오리엔트바이오, 한국)로부터 구입하여 6주 동안 양 옆구리에 공격적인 사람 방광암세포주인 253-BV 세포를 주입하여 종양을 생성하고 주차에 따라 종양의 크기를 측정한다. 그 후에 물질을 먹이지 않는 그룹(대조군)과 MSM을 먹인 그룹(300 mM), MSM + AG490(300 mM + 25 μM)의 혼합을 먹인그룹 으로 나누어 각 그룹 당 5 마리씩 모두 20마리의 이종 간 이식된 생쥐(이종이식 생쥐; xenografted mice)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MSM과 MSM + AG490 혼합물질을 먹인 다음 a매일 종양의 크기(부피를 측정하는 공식에 의해서 단위는 mm3)를 측정하였다(도 8-a).
그 결과 약 30일 후 종양의 크기가 각각 MSM 그룹(MSM 300 mM)에서 평균 30%, MSM + AG490 그룹(300 mM + 25 μM)에서는 약 80%씩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대조군과 비교할 때 모든 물질을 처리한 그룹에서 사람 종양의 성장 속도가 둔화되었음을 알 수 있고, 그 중 대표적인 동물의 종양의 모양과 크기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도 8-b).
그 다음 마우스를 경추탈골하여 사람의 유방종양을 분리해낸 다음, 다음과 같은 실험방법으로 종양 조직에서의 여러 가지 종양억제 관련 지표를 측정하였다.
① Western blotting
② Histology(H&E staining)
③ Immunohistochemistry
④ NE(핵 protein) 측정 등
먼저 방광암 세포주 253-BV를 투입하여 nude mouse에 종양을 생성 후 적출하여 total 단백질로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각 측정값은 상기 β-액틴 수준을 정상화하여 3번 반복 측정하여 얻어졌다. 동물실험 결과 이종간 이식 nude 생쥐의 인간 방광종양 조직의 단백질을 추출하여 실험한 결과 STATs, IGF-1R, VEGF, VEGF-R2, Jak2 및 p-JAK2 단백질의 발현량이 300 mM MSM + 25 μM AG490에 의해 감소되었다(도 8-c).
이 이종이식 생쥐의 조직을 H&E staining 방법에 의하여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의 종양 조직에서는 보이지 않는 괴사 현상이 MSM + AG490을 처리(300 mM+25 μM)한 그룹의 종양 조직에서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9-a).
이종이식 생쥐의 종양조직을 5 μm 두께로 자른 다음 STAT3, p-STAT3, VEGF 특이적 1차 항체를 붙인 후, 2차 항체(Alexa Fluor 488 (rabbit)과 Alexa Fluor 594 (mouse))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STAT3/VEGF 특이적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방법으로 핵 손상없이 STAT3/VEGF level 이 감소함을 보여주는 결과를 얻었다(도 9-b).
실시예 10: MSM + AG490 이 전이성 방광암세포(253J- BV )에서 세포 이동 억제 유도
도 10에서 보면 253J-BV 세포 (105 cells/ml) 를 RPMI-1640 배지에서 키워 단일 scratch를 내어 wound를 만들고 MSM, AG490, MSM + AG490을 넣은 배지와 넣지 않은 배지로 갈아주고 24시간 후에 실험하였다.
도 10에서,
Aⅰ. 물질이 없는 RPMI-1640 배지가 있는 253-BV 세포에서 0시간 후에 세포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Aⅱ. 25 μM AG490을 넣은 253J-BV 세포에서 0시간 후에 세포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Aⅲ. 200 mM MSM을 넣은 253J-BV 세포에서 0시간 후에 세포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Aⅳ. 200 mM MSM + 25 μM AG490을 넣은 253J-BV 세포에서 0시간 후에 세포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Bi. 물질이 없는 RPMI-1640 배지가 있는 253-BV 세포에서 24시간 후에 wound size의 변화를 세포 이미지로 획득하였다.
Bii. 25 μM AG490을 넣은 253-BV 세포에서 24시간 후에 wound size의 변화를 세포 이미지로 획득하였다.
Bⅲ. 200 mM MSM을 넣은 253-BV 세포에서 24시간 후에 wound size의 변화를 세포 이미지로 획득하였다.
Bⅳ. 200 mM MSM + 25 μM AG490을 넣은 253-BV 세포에서 24시간 후에 wound size의 변화를 세포 이미지로 획득하였다.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MSM + AG490 처리 세포에서는 wound size의 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10).
실시예 11: MSM + AG490 의 전이성 방광암에서 synergistic 한 전이 억제 유도
동물실험 모델(xenograft) Balb/c 마우스에 대표적인 사람 방광암세포주인 253-BV 세포를 주입한 후에 물질를 먹이지 않는 그룹(대조군)과 MSM을 먹인 그룹, MSM + AG490 혼합을 먹인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물질을 매일 투여하고 30일 후 모든 쥐에서 폐를 적출하여 조직을 5 μm 두께로 자른 다음 H&E staining 방법에 의하여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의 폐 조직에서는 관찰된 전이 현상이 MSM + AG490 혼합을 처리한 그룹의 폐 조직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11).
실시예 12: MSM + AG490 이 암세포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조사
MSM + AG490 이 암세포(253J-BV)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이론상으로 세포가 죽을 때 세포막에 존재하고 있는 phosphatidic serin(PS)이 외부로 뒤집어져 돌출되는 것을 이용하여 PS과 annexin-V가 결합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PI의 경우에는 핵에 결합되는 물질인데 세포가 심하게 죽으면 세포막에 구멍이 생기고 핵이 외부에 노출되어 PI가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annexin-V/PI는 세포의 사멸상태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방광암 세포주 253J-BV 를 사용하여 6시간동안 처리한 300 mM MSM + 25 μM AG490 에서 synergistic 하게 세포사멸이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도 12).
실시예 13: MSM + AG490 의 STAT3 의 활성화 억제 정도 조사
인간 방광암세포 (253J-BV cell)에 25 μM AG490, 300 mM MSM, 300 mM MSM + 25 μM AG490 을 6 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각의 세포에 RIPA lysis 완충액(Gibco-BRL, USA)를 첨가하여 얻은 세포 파쇄액을 STAT3 항체와 침전(immunoprecipitation)시킨 후 protein G agarose bead를 첨가하여 얻은 침전된 단백질을 10% SDS-폴리아크릴 아마이드 젤 상에서 전개시키고 다시 니트로셀룰로스 막 위에 이동시킨 다음 phoshpotyrosine (4G10) 항체와 STAT3 항체를 사용하여 블럿팅하였다 (도 13).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디메틸설폰 및 하기 화학식 2의 AG 490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암에 대한 항암용 약학 조성물.
    Figure 112014020456961-pat00005

    [화학식 2]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STAT3, p-STAT3, Jak2, p-Jak2, HIF-1 alpha 및 VEGF-R2 단백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7. 인 비트로에서 디메틸설폰 및 하기 화학식 2의 AG 490 화합물을 방광암 세포에 처리하여 인 비트로에서 방광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
    Figure 112014020456961-pat00032

    [화학식 2]
  8. 디메틸설폰 및 하기 화학식 2 의 AG 490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암에 대한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Figure 112014020456961-pat00006

    [화학식 2]
KR1020120148850A 2012-12-18 2012-12-18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422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50A KR101422721B1 (ko) 2012-12-18 2012-12-18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850A KR101422721B1 (ko) 2012-12-18 2012-12-18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182A KR20140079182A (ko) 2014-06-26
KR101422721B1 true KR101422721B1 (ko) 2014-07-24

Family

ID=5113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850A KR101422721B1 (ko) 2012-12-18 2012-12-18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8095B1 (en) * 2020-10-19 2021-08-24 Dasman Diabetes Institute Methods of inhibiting MMP-9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5862A (ja) 1999-01-27 2003-09-02 ザ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サウス フロリダ ヒト癌の治療のためのstat3シグナル伝達の阻害
KR20070022308A (ko) * 2004-05-10 2007-02-26 로버트 에프 호프만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EP2050458A1 (en) 2007-10-17 2009-04-22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IL24 for inducing hyperproliferative or autoimmune cell dea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5862A (ja) 1999-01-27 2003-09-02 ザ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サウス フロリダ ヒト癌の治療のためのstat3シグナル伝達の阻害
KR20070022308A (ko) * 2004-05-10 2007-02-26 로버트 에프 호프만 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EP2050458A1 (en) 2007-10-17 2009-04-22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IL24 for inducing hyperproliferative or autoimmune cell dea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182A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nerjee et al. Oxidative stress triggered by naturally occurring flavone apigenin results in senescence and chemotherapeutic effect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Zhang et al. Ferulic acid exerts antitumor activity and inhibits metastasis in breast cancer cells by regulating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Nair et al. Fatty acid esters of phloridzin induce apoptosis of human liver cancer cells through altered gene expression
Hsu et al. Antidiabetic effects of pterosin A, a small-molecular-weight natural product, on diabetic mouse models
Cheng et al.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mitochondria-targeted cationic antioxidants and analogs: Role of mitochondrial bioenergetics and energy-sensing mechanism
Hsu et al. Ganoderma tsugae extracts inhibit colorectal cancer cell growth via G2/M cell cycle arrest
Wang et al. Baohuoside i suppresses breast cancer metastasis by downregulating the tumor-associated macrophages/CXC motif chemokine ligand 1 pathway
Wu et al. Kaempferol induces DNA damage and inhibits DNA repair associated protein expressions in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cells
Guo et al. N-methylhemeanthidine chloride, a novel Amaryllidaceae alkaloid, inhibits pancreatic cancer cell proliferation via down-regulating AKT activation
Hseu et al. The anti-tumor activity of Antrodia salmonea in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HL-60) cells is mediated via the induction of G1 cell-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vitro or in vivo
Ke et al. Foeniculum vulgare seed extract induces apoptosis in lung cancer cells partly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Bcl-2
Kwon et al. Induction of apoptosis by isoegomaketone from Perilla frutescens L. in B16 melanoma cells is mediated through ROS generation and mitochondrial-dependent,-independent pathway
Kong et al. Plumbagin enhances TRAIL-induced apoptosis of human leukemic Kasumi‑1 cells through upregulation of TRAIL death receptor expression, activation of caspase-8 and inhibition of cFLIP
Guerriero et al. Combining doxorubicin with a phenolic extract from flaxseed oil: Evaluation of the effect on two breast cancer cell lines
Hwang et al. Aster yomena extract ameliorates pro-inflammatory immune response by suppressing NF-κ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TWI626051B (zh) 抗癌組合物的用途
Jain et al. Assessment of herb-drug synergy to combat doxorubicin induced cardiotoxicity
Zhang et al. Xiaoaiping injection enhances paclitaxel efficacy in ovarian cancer via pregnane X receptor and its downstream molecules
CN102065875B (zh) 来自荜澄茄的提取物或提取物质作为在用以治疗癌症的药物中的活性成分的用途
Su et al. Curcumin inhibits WEHI-3 leukemia cells in BALB/c mice in vivo
KR101422721B1 (ko) 디메틸설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CN111615393B (zh) 人参皂苷m1用于制造供治疗口腔癌的药物的用途
Hassan et al. Anti-Angiogenic Activity of Annona Reticulata N-Hexane Seeds Extract: in Vivo Study
Zhao et al. Unveiling the emerging role of curcumin to alleviate ochratoxin A-induced muscle toxicity in grass carp (Ctenopharyngodon idella):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Liu et al. Corilagin induces laryngeal cancer antiproliferation and inhibits growth factor and cytokine signaling pathways in vitro and in v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