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159A - 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 Google Patents

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159A
KR20070022159A KR1020077001202A KR20077001202A KR20070022159A KR 20070022159 A KR20070022159 A KR 20070022159A KR 1020077001202 A KR1020077001202 A KR 1020077001202A KR 20077001202 A KR20077001202 A KR 20077001202A KR 20070022159 A KR20070022159 A KR 20070022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oil fatty
oxygen
fatty acid
unsaturated carbox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시히사 쓰지
미에 고다니
마사요시 야마나카
도모유키 와타나베
히데하루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to KR102007700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159A/en
Publication of KR2007002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1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8Additives improving gas barrier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2Additives improving oxygen scavenging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은 가스 차단성 수지, 당해 가스 차단성 수지에 분산된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 및 산소 흡수 촉진제를 포함한다.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을 구성하는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의 양이온이다. 산소 흡수 촉진제는 전이금속염, 라디칼 발생제 및 광촉매 입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불포화 카복실산의 분자량은 3,000 이하이다.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gas barrier resin, a salt of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dispersed in the gas barrier resin, and an oxygen absorption accelerator. The cation constituting the salt of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a cation of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and aluminum. The oxygen absorption promot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ansition metal salts, radical generators and photocatalyst particles. The molecular weight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3,000 or less.

산소 흡수성 조성물, 가스 차단성 수지, 불포화 카복실산, 산소 흡수 촉진제, 알칼리 금속, 전이금속염, 라디칼 발생제, 광촉매 입자. Oxygen absorbent compositions, gas barrier resins,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xygen absorption promoters, alkali metals, transition metal salts, radical generators, photocatalyst particles.

Description

산소 흡수성 조성물 및 포장재{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본 발명은 산소 흡수성 조성물 및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xygen absorbent compositions and packaging materials.

식품 등과 같이 산소에 의한 열화가 큰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산소가 적은 환경하에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보존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종래부터 다양한 산소 흡수제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포장의 내부에 봉입되는 산소 흡수제가 제안되어 있다[예: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3-198962호]. 이러한 산소 흡수제는 분체, 정제 또는 시트 등의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산소에 의한 열화가 큰 물품을 보존하는 경우, 이의 포장재의 재료 자체가 산소 흡수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응하기 위해 산소 흡수능을 갖는 조성물 등이 제안되어 있다[예: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1157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115776호의 조성물은 산화되는 화합물(이하, 「피산화 화합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인 에틸렌성 불포화 탄화수소와 전이금속 촉매를 포함한다. 탄소-탄소 이중결합은 전이금속 촉매의 존재하에 산소와 반응하 여 산소를 흡수한다. In order to stably store articles with high deterioration by oxygen such as foods, it is important to store them under an environment with low oxygen. In order to enable such preservation, various oxygen absorbers have been conventionally proposed. For example, an oxygen absorbent encapsulated in a package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JP-A-63-198962). Such oxygen absorbers are used in the form of powder, tablets or sheets. However, in the case of storing an article having a large deterioration by oxygen, it is sometimes desirable that the material of the packaging material itself has an oxygen absorbing ability. In order to meet such demands, compositions and the like having oxygen absorbing capacity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JP-A-5-115776). The composition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5-115776 contains the 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and transition metal catalyst which are the compound to be oxidized (henceforth "the compound to be oxidized"). Carbon-carbon double bonds react with oxygen to absorb oxygen in the presence of transition metal catalysts.

그러나, 산소 흡수능을 갖는 종래의 조성물에서는 충분한 특성이 수득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피산화 화합물을 수지중에 분산시킨 조성물의 경우, 이것을 사용하여 포장재를 제작하면, 피산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성분이 수지로부터 용출된다는 문제 및 이와 동시에 악취가 발생되기도 한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a conventional composition having an oxygen absorbing capacity, sufficient properties may not be obtained in some cas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mposition in which a oxidized compound is dispersed in a resin, when a packaging material is prepared using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a component derived from the oxidized compound is eluted from the resin and at the same time a odor is generated.

발명의 개시 Disclosur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피산화 화합물이 수지로부터 용출되기 어려우며 산소 흡수능 등의 특성이 높은 산소 흡수성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which is difficult to elute the compound to be oxidized from the resin and has high properties such as oxygen absorption ability and a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은 가스 차단성 수지, 가스 차단성 수지에 분산된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 및 산소 흡수 촉진제를 함유하고,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을 구성하는 양이온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의 양이온이며, 산소 흡수 촉진제가 전이금속염, 라디칼 발생제 및 광촉매 입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불포화 카복실산의 분자량이 3,000 이하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gas barrier resin, a salt of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dispersed in a gas barrier resin and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and the cation constituting the salt of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an alkali metal, It is a cation of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aline earth metals and aluminum, the oxygen absorption promot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ansition metal salts, radical generators and photocatalyst particles,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3,000 or less.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불포화 카복실산이 팔미트올레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퍼리나린산, 이량체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어유 지방산, 아마인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 오동나무 기름 지방산, 당유 지방산, 참기름 지방산, 면실유 지방산, 유채유 지방산 및 톨유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ay be palmitole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 perinaric acid, dimer acid, docosahex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fish oil fatty acid, linseed oil fatty acid, soybean oil fatty acid,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ulownia oil fatty acid, sugar oil fatty acid, sesame oil fatty acid, cottonseed oil fatty acid, rapeseed oil fatty acid and tall oil fatty acid.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가스 차단성 수지가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barrier resin may include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또한, 본 발명의 포장재는, 산소 흡수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산소 흡수성 조성물이 가스 차단성 수지, 가스 차단성 수지에 분산된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 및 산소 흡수 촉진제를 포함하고,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을 구성하는 양이온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의 양이온이며, 산소 흡수 촉진제가 전이금속염, 라디칼 발생제 및 광촉매 입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불포화 카복실산의 분자량이 3,000 이하이다. 이러한 포장재는 상기한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한다. Furthermore, the packaging material of this invention WHEREIN: The packaging material containing the part which consists of an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WHEREIN: An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contains a gas barrier resin, the salt of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disperse | distributed to the gas barrier resin, and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The cation constituting the salt of the carboxylic acid is a cation of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and aluminum, and the oxygen absorption promot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ansition metal salts, radical generators and photocatalytic particles, unsaturated The molecular weight of carboxylic acid is 3,000 or less. Such packaging includes a portion comprised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포장재에서는 상기 부분이 산소 흡수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일 수 있다. In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may be a layer made of an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본 발명의 포장재에서는 상기 층과 당해 층에 적층된 다른 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layer and other layers laminated to the layer.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은 피산화 화합물로서 특정한 불포화 카복실산염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불포화 카복실산염은 유기 용매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또한 증기압이 낮으므로, 수지로부터 유출되기 어려우며,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포장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불포화 카복실산염을 사용함으로써 착색이 적은 산소 흡수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pecific unsaturated carboxylate as a compound to be compounded. Unsaturated carboxylate salt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low solubility in organic solvents and water and low vapor pressur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low out of the resin and can form a stable packaging material for a long time. Moreover, by using such unsaturated carboxylate, it becomes possible to form the oxygen absorption layer with little coloring.

본 발명의 포장재는 산소에 의한 열화의 영향이 큰 물품, 예를 들면, 식품, 의약, 의료 기재, 기계 부품, 의류 등의 포장재로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고온이나 고습도의 조건하에 사용되는 포장재로서 바람직하다.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ackaging material such as an article having a large influence of deterioration due to oxygen, for example, food, medicine, medical substrates, machine parts, clothing, etc., and is particularly preferable as a packaging material used under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Do.

도 1은 리놀렌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graph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using linoleate.

도 2는 리놀렌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2 is a graph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operties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linoleate.

도 3은 리놀렌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기타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3 is a graph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operties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linoleate.

도 4는 리놀렌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기타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4 is a graph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operties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linoleate.

도 5는 에이코사펜타엔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It is a graph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using eicosapentaenoate.

도 6은 에이코사펜타엔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6 is a graph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operties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eicosapentaenoate.

도 7은 에이코사펜타엔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 성의 기타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7 is a graph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eicosapentaenoate.

도 8은 에이코사펜타엔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기타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8 is a graph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operties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eicosapentaenoate.

도 9는 도코사헥사엔산나트륨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기타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It is a graph which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using sodium docosahexanoate.

도 10은 엘레오스테아르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 및 엘레오스테아르산을 사용하는 비교예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10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properties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eleostearate and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comparative example using eleostearic acid.

도 11은 엘레오스테아르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 및 엘레오스테아르산을 사용하는 비교예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FIG. 11 is a graph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operties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eleostearate and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comparative example using eleostearic acid.

도 12는 엘레오스테아르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 및 엘레오스테아르산을 사용하는 비교예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기타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12 is a graph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operties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eleostearate and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comparative example using eleostearic acid.

도 13은 엘레오스테아르산염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 및 엘레오스테아르산을 사용하는 비교예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의 특성의 기타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13 is a graph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operties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eleostearate and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comparative example using eleostearic acid.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특 정한 기능을 발현하는 물질로서 구체적인 화합물을 예시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시되는 재료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addition, although the specific compound may be illustrated as a substance which expresses a specific func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the material illustrated can be used individually and can also be used in combination.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실시 형태 1에서는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은 가스 차단성 수지, 가스 차단성 수지에 분산된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이하, 카복실산염(A)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및 산소 흡수 촉진제를 함유한다. 카복실산염(A)를 구성하는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의 양이온이다. 또한, 산소 흡수 촉진제는 전이금속염, 라디칼 발생제 및 광촉매 입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그리고, 불포화 카복실산의 분자량은 3,000 이하이다. In Embodiment 1,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Embodiment 1 contains a gas barrier resin, a salt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dispersed in the gas barrier resin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carboxylate (A)), and an oxygen absorption accelerator. The cation constituting the carboxylate (A) is a cation of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and aluminum. In addition, the oxygen absorption promot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ansition metal salts, radical generators and photocatalyst particles. And the molecular weight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3,000 or less.

이하, 카복실산염(A)에 관해서 설명한다. 카복실산염(A)를 구성하는 알칼리 금속으로서는 나트륨이나 칼륨을 들 수 있다. 카복실산염(A)를 구성하는 알칼리 토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마그네슘, 칼슘, 바륨, 스트론튬을 들 수 있다. 알칼리 토금속을 사용하는 카복실산염(A)는 알칼리 금속을 사용하는 카복실산염(A)와 비교하여 수용성이 낮으므로 카복실산염(A)의 물에 대한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칼슘은 안전 위생상 무해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Hereinafter, carboxylate (A) is demonstrated. Examples of the alkali metal constituting the carboxylate (A) include sodium and potassium. As alkaline earth metal which comprises a carboxylate (A), magnesium, calcium, barium, strontium is mentioned, for example. The carboxylic acid salt (A) using alkaline earth metal has low water solubility compared with the carboxylic acid salt (A) using alkali metal, and therefore the elution of carboxylate (A) to water can be suppressed. Among these, calcium is preferable in view of being harmless for safety and hygiene.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카복실산염(A)는 칼슘을 사용하는 카복실산염(A)보다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또한 증기압이 낮으므로 카복실산염(A)의 물에 대한 용출이나 수지로부터의 유출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과 같은 중성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카복실산염(A)의 탈탄산 분해를 억제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포장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carboxylate (A) using aluminum has a lower solubility in water and a lower vapor pressure than the carboxylate (A) using calcium, further suppressing the elution of the carboxylate (A) to water and outflow from the resin. can do. Further, by using a neutral metal such as aluminum, decarboxylation decomposition of the carboxylate (A) can be suppressed and a stable packaging material can be form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본 발명에서 카복실산염(A)를 구성하는 카복실산은 분자량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카복실산염(A)를 구성하는 카복실산의 분자량은 3,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며, 예를 들면, 100 내지 400이다. 분자량이 3,000 이하인 카복실산에서 유래하는 카복실산염(A)는 용이하게 수지에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2가의 양이온에 의해 형성되는 카복실산염(A)의 화학식량은 카복실산의 분자량의 2배 정도가 되며, 3가의 양이온에 의해 형성되는 카복실산염(A)의 화학식량은 카복실산의 분자량의 3배 정도가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xylic acid constituting the carboxylate (A) preferably has a small molecular weight.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 which comprises a carboxylate (A) is 3,000 or less, Preferably it is 500 or less, for example, 100-400. The carboxylate (A) derived from the carboxylic acid whose molecular weight is 3,000 or less can be easily disperse | distributed to resin. In addition, the chemical formula of the carboxylate (A) formed by the divalent cation is about twic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 and the chemical formula of the carboxylate (A) formed by the trivalent cation is three time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arboxylic acid. It is about.

카복실산염(A)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한다. 카복실산염(A)는 모노카복실산의 염일 수 있고, 디카복실산 등의 폴리카복실산의 염일 수 있다. 카복실산염(A)는 직쇄 또는 쇄식의 비환식 화합물일 수 있고, 불포화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환식 화합물일 수 있다. 측쇄를 갖는 불포화 카복실산을 사용하는 경우, 산소 흡수에 따라 측쇄 부분이 분해하여 저분자 물질(악취 물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산소 흡수에 따르는 저분자 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직쇄의 불포화 카복실산염 또는 지환식 구조를 갖는 불포화 카복실산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복실산염(A)를 구성하는 불포화 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팔미트올레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퍼리나린산, 이량체산, 도코사헥사엔산, 에 이코사펜타엔산, 어유 지방산, 아마인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 오동나무 기름 지방산(주로 엘레오스테아르산), 당유 지방산, 참기름 지방산, 면실유 지방산, 유채유 지방산 및 톨유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분자내에 다수의 이중결합을 갖는 리놀렌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을 사용함으로써 산소 흡수능력이 높은 조성물이 수득된다. Carboxylate (A) contains a carbon-carbon double bond. The carboxylic acid salt (A) may be a salt of a monocarboxylic acid, and may be a salt of a polycarboxylic acid such as dicarboxylic acid. The carboxylate (A) may be a linear or chain acyclic compound, or may be a cyclic compound having an unsaturated alicyclic structure. When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which has a side chain is used, a side chain part may decompose according to oxygen absorption, and a low molecular substance (odor substance)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In order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substances due to oxygen absorp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straight chain unsaturated carboxylate or an unsaturated carboxylate having an alicyclic structure. Examples of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constituting the carboxylate (A) include palmilean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 perinarinic acid, dimer acid, docosahex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and fish oil.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atty acids, linseed oil fatty acids, soybean oil fatty acids, paulownia oil fatty acids (mainly eleostearic acid), sugar oil fatty acids, sesame oil fatty acids, cottonseed oil fatty acids, rapeseed oil fatty acids and tall oil fatty acids. Among them, a composition having high oxygen absorption capacity is obtained by using linolenic acid, docosahexaeno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 having a large number of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카복실산염(A)에서 전체 탄소수 Nc에 대한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수 Nd의 비, Nd/Nc의 값은 통상적으로 0.005 내지 0.5의 범위이며, 예를 들면, 0.05 내지 0.3의 범위이다. Nd/Nc의 범위를 0.15 이상으로 함으로써 산소 흡수능력이 높은 조성물이 수득된다. The ratio of the number Nd of carbon-carbon double bonds to the total carbon number Nc in the carboxylate (A), the value of Nd / Nc, is usually in the range of 0.005 to 0.5,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05 to 0.3. By setting the range of Nd / Nc to 0.15 or more, a composition having high oxygen absorption capacity is obtained.

카복실산염(A)의 예로서는 알칼리 금속염에서는 팔미트올레산나트륨, 올레산나트륨, 리놀산나트륨, 리놀렌산나트륨, 아라키돈산나트륨, 퍼리나린산나트륨, 이량체산나트륨, 도코사헥사엔산나트륨, 에이코사펜타엔산나트륨, 어유 지방산나트륨, 아마인유 지방산나트륨, 대두유 지방산나트륨, 엘레오스테아르산나트륨, 팔미트올레산칼륨, 올레산칼륨, 리놀산칼륨, 리놀렌산칼륨, 아라키돈산칼륨, 퍼리나린산칼륨, 이량체산칼륨, 도코사헥사엔산칼륨, 에이코사펜타엔산칼륨, 어유 지방산칼륨, 아마인유 지방산칼륨, 대두유 지방산칼륨, 엘레오스테아르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arboxylate (A) include alkali salts of sodium palmitate, sodium oleate, sodium linoleate, sodium linoleate, sodium arachidonic acid, sodium perlinate, sodium dimer, sodium docosahexaenoate and sodium eicosapentaenoate. Sodium fish oil, sodium linseed oil, sodium soybean oil, sodium oleostearate, potassium palmitate, potassium oleate, potassium linoleate, potassium linoleate, potassium arachidonic acid, potassium perinaline, potassium dimerate, docosahexa Potassium enoate, potassium eicosapentaenoate, fish oil fatty acid potassium, linseed oil fatty acid potassium, soybean oil fatty acid potassium, potassium eleostearate, etc. are mentioned.

또한, 알칼리 토금속을 함유하는 카복실산염(A)로서는 팔미트올레산칼슘, 올레산칼슘, 리놀산칼슘, 리놀렌산칼슘, 아라키돈산칼슘, 퍼리나린산칼슘, 이량체산 칼슘, 도코사헥사엔산칼슘, 에이코사펜타엔산칼슘, 어유 지방산칼슘, 아마인유 지방산칼슘, 대두유 지방산칼슘, 엘레오스테아르산칼슘, 팔미트올레산마그네슘, 올레산마그네슘, 리놀산마그네슘, 리놀렌산마그네슘, 아라키돈산마그네슘, 퍼리나린산마그네슘, 이량체산마그네슘, 도코사헥사엔산마그네슘, 에이코사펜타엔산마그네슘, 어유 지방산마그네슘, 아마인유 지방산마그네슘, 대두유 지방산마그네슘, 엘레오스테아르산마그네슘, 팔미트올레산바륨, 올레산바륨, 리놀산바륨, 리놀렌산바륨, 아라키돈산바륨, 퍼리나린산바륨, 이량체산바륨, 도코사헥사엔산바륨, 에이코사펜타엔산바륨, 어유 지방산바륨, 아마인유 지방산바륨, 대두유 지방산바륨, 엘레오스테아르산바륨 등을 들 수 있다. Moreover, as carboxylate (A) containing alkaline-earth metal, calcium palmitate, calcium oleate, calcium linoleate, calcium linoleate, calcium arachidonic acid, calcium furininarate, calcium dimer, calcium docosahexaenoate, eicosapenta Calcium nitrate, fish oil fatty acid calcium, linseed oil fatty acid calcium, soybean oil fatty acid calcium, calcium eleostearate, magnesium palmitate, magnesium oleate, magnesium linoleate, magnesium linoleate, magnesium arachidonic acid, magnesium perlininate, magnesium dimer Docosahexaenoic acid magnesium, eicosapentaenoic acid magnesium, fish oil fatty acid magnesium, linseed oil fatty acid magnesium, soybean oil fatty acid magnesium, magnesium eleostearate, barium oleate, barium oleate, barium linoleate, barium linoleate, barium arachidonic acid , Barium perinarate, barium dimer, barium docosahexaenoate, barium eicosapentaenoate, Oil fatty acids may include barium, barium linseed oil fatty acids, soybean oil fatty acid barium, eleostearic acid and barium.

또한,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카복실산염(A)로서는, 예를 들면, 팔미트올레산알루미늄, 올레산알루미늄, 리놀산알루미늄, 리놀렌산알루미늄, 아라키돈산알루미늄, 퍼리나린산알루미늄, 이량체산알루미늄, 도코사헥사엔산알루미늄, 에이코사펜타엔산알루미늄, 어유 지방산알루미늄, 아마인유 지방산알루미늄, 대두유 지방산알루미늄, 엘레오스테아르산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Moreover, as carboxylate (A) containing aluminum, aluminum palmitate, aluminum oleate, aluminum linoleate, aluminum linoleate, aluminum arachidonic acid, aluminum perinaline, aluminum dimer acid, docosahexaenoate, for example , Eicosapentaenoate, fish oil fatty acid aluminum, linseed oil fatty acid aluminum, soybean oil fatty acid aluminum, aluminum eleostearate and the like.

이들 중에서도, 산소 흡수능력이 우수하고 카복실산염(A)의 물에 대한 용출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 위생상 무해한 것을 고려하면, 리놀렌산칼슘, 도코사헥사엔산칼슘, 에이코사펜타엔산칼슘, 어유 지방산칼슘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복실산염(A)의 탈탄산 분해를 억제할 수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포장재를 형성할 수 있는 것도 고려하면, 리놀렌산알루미늄, 도코사헥사엔산알루미늄, 에이코사펜타엔산알루미늄, 어유 지방산알루미늄이 보다 바람직하다.Among them, calcium linoleate, calcium docosahexaenoate, calcium eicosapentaenoate, which are excellent in oxygen absorption ability, can inhibit the elution of carboxylate (A) to water, and are harmless for safety and hygiene. Fish oil fatty acid calcium is preferred. Further, considering that the decarboxylation of the carboxylate (A) can be suppressed and that a stable packaging material can be form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luminum linoleate, aluminum docosahexaenoate, aluminum eicosapentaenoate, and fish oil fatty acid aluminum This is more preferable.

카복실산염(A)는 조성물에 분산성이 양호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각종 성형품에 있어서는 산소 흡수성 및 가스 차단성이 유지되기 쉽고, 가스 차단성 수지가 갖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성도 양호하다. 이 때, 분산되어 있는 카복실산염(A)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10㎛ 이하인 것이 적절하다. 평균 입자직경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카복실산염(A)와 카복실산염(A) 이외의 수지와의 계면 면적이 작아지며, 산소가스 차단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산소 흡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조성물을 사용하는 다층 용기 등의 성형품의 산소 흡수성, 가스 차단성 및 투명성의 관점에서, 분산되어 있는 카복실산염(A)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입자직경이란,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조성물의 단면을 3000배의 배율로 촬영하고, 시야에 존재하는 전체 입자의 입자직경을 평균한 것을 의미한다. It is preferable that carboxylate (A) is disperse | distributed favorably in a composition. In the various molded articles which consist of the composition of such a state, oxygen absorption and gas barrier property are easy to maintain, and it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can provide the function which a gas barrier resin has. Moreover, transparency is also favorable. At this tim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dispersed carboxylate (A) particles is preferably 10 μm or less. Whe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exceeds 10 µm, the interface area between the carboxylate (A) and a resin other than the carboxylate (A) decreases, and the oxygen gas barrier property may decrease, and the oxygen absorption performance may decrease. . From the viewpoint of oxygen absorption, gas barrier properties and transparency of molded articles such as multilayer containers using the composi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dispersed carboxylate (A) particles is more preferably 5 µm or less, further preferably 2 µm or less. Do. Her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means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composition was image | photographed by the magnification of 3000 times with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ll the particle | grains which exist in a visual field is mean.

산소 흡수 촉진제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카복실산염(A)의 산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물질이다. 카복실산염(A)가 산화됨으로써 분위기 중의 산소가 소비된다. 산소 흡수 촉진제로서 전이금속염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높은 산소 흡수능이 수득된다.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is a substance for promoting oxidation of carboxylate (A) containing a carbon-carbon double bond. Oxygen in the atmosphere is consumed by the oxidation of the carboxylate (A). Particularly high oxygen absorption capacity is obtained by using a transition metal salt as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전이금속염을 구성하는 전이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철, 니켈, 구리, 망간, 코발트, 로듐, 티타늄, 크롬, 바나듐 및 루테늄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철, 니켈, 구리, 망간 및 코발트가 바람직하다. 전이금속염을 구성하는 음이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산 또는 염화물 유래의 음이온을 들 수 있다. 유기산 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스테아르산, 디메틸디티오카바민산, 팔미트산, 2-에틸헥산산, 네오데칸산, 리놀산, 톨산, 올레산, 수지산, 카프르산 및 나프텐산을 들 수 있다. 전이금속염은 산소 흡수 촉진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첨가되므로, 이것을 구성하는 유기산은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고,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대표적인 전이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2-에틸헥산산코발트, 네오데칸산코발트, 나프텐산코발트 및 스테아르산코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전이금속염으로서는 이오노머(ionomer)를 사용할 수 있다. As a transition metal which comprises a transition metal salt, iron, nickel, copper, manganese, cobalt, rhodium, titanium, chromium, vanadium, and ruthenium are mentioned, for example. Among these, iron, nickel, copper, manganese and cobalt are preferable. As an anion which comprises a transition metal salt, the anion derived from an organic acid or a chloride is mentioned, for example. Examples of the organic acid include acetic acid, stearic acid, dimethyldithiocarbamic acid, palmitic acid, 2-ethylhexanoic acid, neodecanoic acid, linoleic acid, tolic acid, oleic acid, resinous acid, capric acid and naphthenic acid. have. Since a transition metal salt is added for the purpose of using as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the organic acid which comprises this may contain a carbon-carbon double bond, and may not contain a carbon-carbon double bond. Representative transition metal salts include, for example, cobalt 2-ethylhexanoate, cobalt neodecanoate, cobalt naphthenate and cobalt stearate. In addition, an ionomer can be used as a transition metal salt.

라디칼 발생제로서는, 예를 들면, N-하이드록시석신산이미드, N-하이드록시말레산이미드, N,N'-디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산테트라카복실산디이미드, N-하이드록시프탈산이미드, N-하이드록시테트라클로로프탈산이미드, N-하이드록시테트라브로모프탈산이미드, N-하이드록시헥사하이드로프탈산이미드, 3-설포닐-N-하이드록시프탈산이미드, 3-메톡시카보닐-N-하이드록시프탈산이미드, 3-메틸-N-하이드록시프탈산이미드, 3-하이드록시-N-하이드록시프탈산이미드, 4-니트로-N-하이드록시프탈산이미드, 4-클로로-N-하이드록시프탈산이미드, 4-메톡시-N-하이드록시프탈산이미드, 4-디메틸아미노-N-하이드록시프탈산이미드, 4-카복시-N-하이드록시헥사하이드로프탈산이미드, 4-메틸-N-하이드록시헥사하이드로프탈산이미드, N-하이드록시HET산이미드, N-하이드록시하이믹산이미드, N-하이드록시트리멜리트산이미드, N,N-디하이드록시피로멜리트산디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N-하이드록시석신산이미드, N-하이드록시말레산이미드, N-하이드록시헥사하이드로프탈산이미드, N,N'-디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산테트라카복실산디이미드, N-하이드록시프탈산이미드, N-하이드록시테트라브로모프탈산이미드, N-하이드록시테트라클로로프탈산이미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As a radical generator, N-hydroxy succinimide, N-hydroxy maleic acid imide, N, N'- dihydroxy cyclohexane tetracarboxylic acid imide, N-hydroxy phthalic acid imide, N-, for example Hydroxy tetrachlorophthalic acid imide, N-hydroxy tetrabromophthalic acid imide, N-hydroxyhexahydrophthalic acid imide, 3-sulfonyl-N-hydroxyphthalic acid imide, 3-methoxycarbonyl-N -Hydroxyphthalic acid imide, 3-methyl-N-hydroxyphthalic acid imide, 3-hydroxy-N-hydroxyphthalic acid imide, 4-nitro-N-hydroxyphthalic acid imide, 4-chloro-N- Hydroxyphthalic acid imide, 4-methoxy-N-hydroxyphthalic acid imide, 4-dimethylamino-N-hydroxyphthalic acid imide, 4-carboxy-N-hydroxyhexahydrophthalic acid imide, 4-methyl- N-hydroxyhexahydrophthalic acid imide, N-hydroxyHET acid imide, N-hydroxy high Acid can be cited Mead, N- hydroxy trimellitic acid imide, N, N- di-hydroxyalkyl pyromellitic sandiyi imide and the like. Among these, N-hydroxy succinimide, N-hydroxy maleic acid imide, N-hydroxy hexahydro phthalic acid imide, N, N'- dihydroxy cyclohexane tetracarboxylic acid imide, and N-hydroxy phthalic acid Mid, N-hydroxy tetrabromophthalic acid imide, and N-hydroxy tetrachloro phthalic acid imide are especially preferable.

광촉매 입자는 빛의 조사에 의해 카복실산염(A)의 산화반응의 촉매로서 기능하는 입자이다. 광촉매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이산화티타늄, 산화텅스텐, 산화아연, 산화세륨, 티타늄산스트론튬, 니오브산칼륨의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분말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광촉매 기능이 높고 식품 첨가물로서 인정되고 있으며 안전하고 또한 염가인 점으로부터, 이산화티타늄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티타늄은 아나타제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산화티타늄 분말의 30중량%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이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타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광촉매 작용이 수득된다. Photocatalyst particle | grains are particle | grains which function as a catalyst of the oxidation reaction of carboxylate (A) by irradiation of light. Examples of the photocatalyst particles include particles of titanium dioxide, tungsten oxide, zinc oxide, cerium oxide, strontium titanate and potassium niobate. These are usually used in the form of powders. Among these, titanium dioxide is preferable because it has high photocatalyst function, is recognized as a food additive, safe and inexpensive. It is preferable that titanium dioxide is an anatase type, and it is preferable that 30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50 weight% or more) of a titanium dioxide powder is anatase type titanium dioxide. High photocatalytic action is obtained by using anatase type titanium dioxide.

가스 차단성 수지는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 선택된다. 가스 차단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의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수지는 산소 차단성이 높으므로, 이들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산소에 의한 열화가 문제로 되는 물품의 포장재료에 적합한 조성물이 수득된다. 이의 수지 중에서도,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는 카복실산염(A)의 분산성이 양호하므로 바람직하다. 가스 차단성 수지의 산소 투과도는 500ml·20㎛/(m2·day·atm)(20℃, 65% RH) 이하(이것은 20℃, 상대습도 65%의 환경하에 측정할 때에 1기압의 산소의 압력 차이가 있는 상태에서 면적 1m2, 20㎛ 두께의 필름을 1일에 투과하는 산소의 부피가 500ml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20ml·20㎛/(m2·day·atm) 이하이다. The gas barrier resin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mposition. Examples of the gas barrier resin include synthetic resins such as polyvinyl alcohol resins, polyamide resins, and polyacrylonitrile resins. Any one of these may be used alone, or one or more thereof may be mixed and used. Since these resins have high oxygen barrier properties, the use of these resins yields compositions suitable for packaging materials for articles in which degradation by oxygen is a problem. Among these resin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are preferred because the dispersibility of the carboxylate (A) is good. Oxygen permeability of gas barrier resin is less than 500ml · 20㎛ / (m 2 · day · atm) (20 ℃, 65% RH) It means that the volume of oxygen permeating a film having an area of 1 m 2 , 20 μm in one day in the state of pressure difference is 500 ml or less.), For example, 20 ml · 20 μm / (m 2 · day atm)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산소 흡수성 조성물은 상기 이외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1-펜텐, 폴리1-부텐 등의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라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1-부텐, 이소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등의 α-올레핀;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무수 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이의 염, 이의 부분 또는 완전 에스테르, 이의 니트릴, 이의 아미드, 이의 무수물; 포름산비닐,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비닐부틸레이트, 비닐옥타노에이트, 비닐도데카노에이트, 비닐스테아레이트, 비닐아라키도네이트 등의 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류;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란계 화합물; 불포화 설폰산 또는 이의 염; 알킬티올류; 비닐피롤리돈류를 들 수 있다. Moreover,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can contain resin of that excepting the above. As such resin, for example, polyolef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4-methyl-1-pentene, poly1-butene and the like can be used. Moreover, ethylene propylene copolymer, polyvinylidene chloride, polyvinyl chloride, polystyrene, polycarbonate, polyacrylate can be used. In addition, polyest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can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copolymers of ethylene or propylene with other monomers. As another monomer, For example, alpha-olefins, such as 1-butene, isobutene, 4-methyl-1- pentene, 1-hexene, 1-octen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itaconic acid,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maleic anhydride, salts thereof, partial or complete esters thereof, nitriles thereof, amides thereof, anhydrides thereof; Carboxylic acid vinyl esters such as vinyl formate,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octanoate, vinyl dodecanoate, vinyl stearate and vinyl arachidonate; Vinylsilane-based compounds such as vinyltrimethoxysilane; Unsaturated sulfonic acids or salts thereof; Alkyl thiols; Vinylpyrrolidones can be mentioned.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는 비닐에스테르의 단독중합체 또는 비닐에스테르와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특히 비닐에스테르와 에틸렌과의 공중합체)를 알칼리 촉매 등을 사용하여 비누화함으로써 수득된다. 비닐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비닐을 들 수 있지만, 기타 지방산 비닐 에스테르(프로피온산비닐, 피발산비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polyvinyl alcohol resin is obtained by saponifying a homopolymer of vinyl ester or a copolymer of vinyl ester with another monomer (particularly, copolymer of vinyl ester and ethylene) using an alkali catalyst or the like. As vinyl ester, although vinyl acetate is mentioned, other fatty acid vinyl ester (vinyl propionate, vinyl pivalate, etc.) can be used, for example.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의 비닐에스테르 성분의 비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이고, 예를 들면, 95몰% 이상이다. 비누화도를 90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고습도하에서 가스 차단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비누화도가 상이한 2종류 이상의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핵자기공명(NMR)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vinyl ester component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s 90 mol% or more, for example, 95 mol% or more. By making saponification degree 90 mol% or more, the fall of gas barrier property can be suppressed under high humidity. Moreover, two or more types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s in which saponification degree differs can be used. Saponification degree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can be calculated | required by the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method.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의 적절한 용융유동율[210℃, 2160g 하중하, 일본 공업규격(JIS) K7210에 근거한다]은 0.1 내지 100g/10분, 보다 적합하게는 0.5 내지 50g/10분, 더욱 적합하게는 1 내지 30g/10분이다. 용융유동율이 0.1g 내지 100g/10분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용융성형을 실시할 때의 가공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많다. The appropriate melt flow rate (based on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JIS) K7210 at 210 ° C and 2160 g load) of the polyvinyl alcohol resin is 0.1 to 100 g / 10 minutes, more preferably 0.5 to 50 g / 10 minutes, more suitably. Is 1 to 30 g / 10 minutes. When the melt flow rate deviates from the range of 0.1 g to 100 g / 10 minutes,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melt molding often worsens.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EVOH) 등의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카복실산염(A)에는 알루미늄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복실산염(A)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의 착색을 경감할 수 있다. When using polyvinyl alcohol-type resins, such as an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EVOH), it is preferable to use an aluminum salt for carboxylate (A). By using such carboxylate (A), coloring of the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can be reduced.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중에서도,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EVOH)는 용융성형을 할 수 있고 고습도하에서 가스 차단성이 양호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EVOH의 전체 구조단위에서 차지하는 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예를 들면, 5 내지 60몰%(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5몰%)의 범위이다. 에틸렌 단위의 비율을 5몰% 이상으로 함으 로써 고습도하에서 가스 차단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 단위의 비율을 60몰% 이하로 함으로써 높은 가스 차단성이 수득된다. 에틸렌 단위의 비율은 핵자기공명(NMR)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 단위의 비율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EVOH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Amo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the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EVOH) is capable of melt molding and has good gas barrier properties under high humidity. The proportion of ethylene units occupying the entire structural unit of EVOH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5 to 60 mol% (preferably 10 to 55 mol%). By reducing the ratio of ethylene units to 5 mol% or m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gas barrier properties under high humidity. Moreover, high gas barrier property is obtained by making the ratio of an ethylene unit into 60 mol% or less. The ratio of an ethylene unit can be calculated | required by the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method. Moreover, the mixture of two or more types of EVOH in which the ratio of ethylene units differs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EVOH는 공중합 성분으로서 소량의 다른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등의 α-올레핀;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무수 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이나 이의 유도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β-메톡시-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란계 화합물; 불포화 설폰산 또는 이의 염; 알킬티올류; 비닐피롤리돈류를 들 수 있다. EVOH가 공중합 성분으로서 비닐실란 화합물 0.0002 내지 0.2몰%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공압출 성형 또는 공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을 실시하는 경우에 균질한 성형물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비닐실란계 화합물로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In addition, as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tained, EVOH may contain a small amount of other monomers as a copolymerization component. As an example of such a monomer, For example, alpha-olefins, such as propylene, 1-butene, isobutene, 4-methyl-1- pentene, 1-hexene, 1-octen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such as itaconic acid,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and maleic anhydride; Vinylsilane-based compounds such as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vinyltri (β-methoxy-ethoxy) silane, and 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Unsaturated sulfonic acids or salts thereof; Alkyl thiols; Vinylpyrrolidones can be mentioned. When EVOH contains 0.0002-0.2 mol% of a vinylsilane compound as a copolymerization component, it becomes easy to manufacture a homogeneous molding when shaping | molding by co-extrusion molding or construction extrusion molding. As a vinylsilane type compound, vinyl trimethoxysilane and vinyl triethoxysilane are used suitably.

또한, EVOH에 붕소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압출 성형 또는 공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을 하는 경우에 균질한 성형물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붕소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붕산류(예: 오르토붕산), 붕산에스테르, 붕산염, 수소화붕소류를 들 수 있다. 또한, EVOH에 알칼리 금속염(예: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인산나트륨)을 첨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층간 접착성이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EVOH에 인산 화합물(예: 인산 2수소나트륨, 인산 2수소칼륨, 인산수소2나트륨, 인산수소2칼륨)을 첨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EVOH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붕소 화합물, 알칼리 금속염 및 인 화합물 등의 첨가제가 첨가된 EVOH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a boron compound can be added to EVOH. This facilitates the production of a homogeneous molded article when forming by coextrusion molding or construction extrusion molding. As a boron compound, boric acid (for example, orthoboric acid), a boric acid ester, a boric acid salt, and boron hydride are mentioned, for example. In addition, alkali metal salts (eg, sodium acetate, potassium acetate, sodium phosphate) may be added to EVOH. Thereby, interlayer adhesiveness and compatibility may be improved in some cases. In addition, a phosphoric acid compound (e.g., sodium dihydrogen phosphate,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disodium hydrogen phosphate, dipotassium hydrogen phosphate) may be added to EVOH. Thereby, the thermal stability of EVOH can be improved in some cases. EVOH to which additives, such as a boron compound, an alkali metal salt, and a phosphorus compound, were added can be manufactured by a well-known method.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카프로아미드(나일론-6), 폴리운데칸아미드(나일론-11), 폴리라우릴락탐(나일론-12),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나일론-6,6),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나일론-6,10)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단독중합체; 카프로락탐/라우로락탐 공중합체(나일론-6/12), 카프로락탐/아미노운데칸산 공중합체(나일론-6/11), 카프로락탐/ω-아미노노난산 공중합체(나일론-6/9), 카프로락탐/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공중합체(나일론-6/6,6), 카프로락탐/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 공중합체(나일론-6/6,6/6,10)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MX-나일론), 헥사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헥사메틸렌이소프탈아미드 공중합체(나일론-6T/6I) 등의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아미드 수지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카프로아미드(나일론-6) 및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나일론-6,6)이 바람직하다. The kind of the polyamide-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polycaproamide (nylon-6), polyundecanamide (nylon-11), polylauryllactam (nylon-12), polyhexamethyleneadipa Aliphatic polyamide homopolymers such as mead (nylon-6,6) and polyhexamethylene sebacamide (nylon-6,10); Caprolactam / laurolactam copolymer (nylon-6 / 12), caprolactam / aminoundecanoic acid copolymer (nylon-6 / 11), caprolactam / ω-aminononanoic acid copolymer (nylon-6 / 9), Caprolactam / hexamethyleneadipamide copolymer (nylon-6 / 6,6), caprolactam / hexamethyleneadipamide / hexamethylene sebacamide copolymer (nylon-6 / 6,6 / 6,10) Aliphatic polyamide copolymers; Aromatic polyamide, such as polymethaxylylene adipamide (MX-nylon) and hexamethylene terephthalamide / hexamethylene isophthalamide copolymer (nylon-6T / 6I), is mentioned. These polyamide resins may be used independently, respectively and may mix and use two or more types. Among these, polycaproamide (nylon-6) and polyhexamethyleneadipamide (nylon-6,6) are preferable.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의 단독중합체나, 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As polyacrylonitrile-type resin, the homopolymer of acrylonitrile and the copolymer of monomers, such as an acrylate ester, and an acrylonitrile are mentioned.

실시 형태 1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가 수득되는 한, 산화방지제, 가소제, 열안정제(용융안정제), 광개시제, 탈취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착색제, 필러, 충전제, 안료, 염료, 가공 조제, 난연제, 방담(防曇)제 및 건조제 등의 첨가제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of Embodiment 1 is an antioxidant, plasticizer, heat stabilizer (melt stabilizer), photoinitiator, deodorant, ultraviolet absorber, antistatic agent, lubricant, colorant, filler, filler, pigment, dye,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It may contain one or more additives such as processing aids, flame retardants, antifogging agents and desiccants.

실시 형태 1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카복실산염(A) 및 산소 흡수 촉진제의 양에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각 성분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 조정된다. 카복실산염(A)가 불포화 모노카복실산염이고 산소 흡수 촉진제가 전이금속염인 경우의 조성물의 일례에서는, 예를 들면, 가스 차단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카복실산염(A)의 양은 1중량부 내지 30중량부(예: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의 범위이며, 산소 흡수 촉진제의 양은 카복실산염(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4중량부 내지 10O중량부(예: 10-2중량부 내지 O.1중량부)의 범위이다. 또한, 카복실산염(A)가 불포화 모노카복실산염 이외의 카복실산염인 경우에도, 동일한 비율로 할 수 있다.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quantity of the carboxylate (A) and oxygen absorption promoter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Embodiment 1, It adjusts according to the kind and objective of each component. In one example of the composition where the carboxylate (A) is an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salt and the oxygen absorption promoter is a transition metal salt, for example, the amount of the carboxylate (A) is 1 part by weight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gas barrier resin. The amount is in the range of 5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for example, 5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and the amount of the oxygen absorption promoter is 10 -4 parts by weight to 100 parts by weight (for example, 10 -2 parts by weigh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ate (A)). 0.1 part by weight). Moreover, even if carboxylate (A) is carboxylate other than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 salt, it can be set as the same ratio.

또한, 산소 흡수 촉진제로서 광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복실산염(A) 100중량부에 대해 광촉매의 양을 0.1중량부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예: 0.5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의 범위)로 해도 좋다. In addition, when using a photocatalyst as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you may make the quantity of a photocatalyst into the range of 0.1 weight part-100 weight part (for example, the range of 0.5 weight part-10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carboxylate (A).

또한, 산소 흡수 촉진제로서 라디칼 발생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복실산염(A) 100중량부에 대해, 라디칼 발생제의 양을 0.1중량부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예: 0.5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의 범위)로 해도 좋다. In the case of using a radical generator as the oxygen absorption promoter, the amount of the radical generator is in the range of 0.1 parts by weight to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xylate (A) (for example, 0.5 parts by weight to 10 parts by weight). Range).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스 차단성 수지, 카복실산염(A), 산소 흡수 촉진제 및 첨가제 등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각 성분을 혼합하는 방법 및 혼합의 순서에 특별한 한정은 없고, 전부의 성분을 동시에 혼합할 수도 있으며, 각 성분을 임의의 순서로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복실산염(A)와 산소 흡수 촉진제를 미리 혼합한 다음, 다른 성분과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카복실산염(A) 및 첨가제를 혼합한 후에 산소 흡수 촉진제 및 수지와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산소 흡수 촉진제 및 수지를 혼합한 후에 카복실산염(A) 및 첨가제와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카복실산염(A), 수지 및 첨가제를 혼합한 후에 산소 흡수 촉진제와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산소 흡수 촉진제 및 첨가제를 혼합한 후에 카복실산염(A) 및 수지와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카복실산염(A), 수지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수득한 혼합물과, 산소 흡수 촉진제 및 수지를 혼합하여 수득한 혼합물을 혼합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can be formed by mixing components, such as a gas barrier resin, a carboxylate (A),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and an additive.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method of mixing each component, and the order of mixing, All the components can also be mixed simultaneously, and each component can be mixed in arbitrary order. For example, the carboxylate (A) and the oxygen absorption promoter may be mixed in advance and then mixed with other components. Moreover, after mixing a carboxylate (A) and an additive, it can mix with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and resin. Moreover, after mixing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and resin, it can mix with a carboxylate (A) and an additive. Moreover, after mixing a carboxylate (A), resin, and an additive, it can mix with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Moreover, after mixing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and an additive, it can mix with a carboxylate (A) and resin. Moreover, the mixture obtained by mixing carboxylate (A), resin, and an additive, and the mixture obtained by mixing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and resin can be mixed.

혼합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용매에 용해시켜 복수의 용액을 제조하고, 이들 용액을 혼합한 후에 용매를 증발시키는 방법이나, 용융한 수지에 다른 성분을 첨가하여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As a specific method of mixing, for example, a method of dissolving each component in a solvent to prepare a plurality of solutions, mixing these solutions, evaporating the solvent, or adding another component to the melted resin and kneading them Can be mentioned.

혼련은, 예를 들면, 리본 배합기, 고속 믹서, 코니더, 믹싱 롤, 압출기 또는 인텐시브 믹서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Kneading | mixing can be performed using a ribbon compounder, a high speed mixer, a kneader, a mixing roll, an extruder, or an intensive mixer, for example.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필름, 시트, 용기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들 성형물은 포장재나 탈산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장 용기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층체의 일부 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일단 펠렛으로 하고 나서 성형할 수 있으며, 조성물의 각 성분을 건조 배합하여, 직접 성형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ld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films, sheets, containers, and the like. These moldings can be used as a packaging material or an oxygen scavenger. It can also be used as part of a packaging container. The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can be used as a material which comprises some layer of a laminated body. Moreover, the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can be shape | molded once as pellets, and each component of a composition can be dry-blended and shape | molded directly.

(실시 형태 2)(Embodiment 2)

실시 형태 2에서는 본 발명의 포장재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장재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산소 흡수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한다. 이 부분은 어떠한 형상이라도 양호하며, 예를 들면, 층상, 병 모양 또는 캡 모양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포장재는 실시 형태 1의 조성물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In Embodiment 2, the packaging material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he packaging material of this invention contains the part which consists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demonstrated in Embodiment 1. This part may have any shape and may be, for example, a layered shape, a bottle shape or a cap shape. Such a packaging material can be formed by processing the composition of Embodiment 1 into various shapes.

실시 형태 1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융압출 성형법에 의해 필름, 시트 및 파이프 등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법에 의해 용기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중공 성형법에 의해 병 등의 중공 용기로 성형될 수 있다. 중공 성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압출 중공 성형이나 사출 중공 성형을 적용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Embodiment 1 can be molded into the shape of a film, sheet, pipe or the like by, for example, a melt extrusion molding method. Moreover, it can shape | mold in container shape by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It can also be molded into a hollow container such as a bottle by the blow molding method. As blow molding, extrusion blow molding or injection blow molding can be applied, for example.

실시 형태 2의 포장재는 실시 형태 1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이하, 층(A)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 다른 층[이하, 층(B)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과의 적층체일 수도 있다. 적층체로 함으로써 기계적 특성, 수증기 차단성, 산소 차단성 등의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층(B)의 재료 및 수는 포장재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선택된다. The packaging material of Embodiment 2 may consist only of the layer (henceforth referred to as layer (A)) which consists of the composition of Embodiment 1, and the other layer (henceforth layer B) which consists of different materials may be It may be a laminate. By setting it as a laminated body, characteristics, such as mechanical characteristics, a water vapor barrier, and an oxygen barrier, can be improved more. The material and number of layers (B)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required for the packaging material.

적층체의 구조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층(A)와 층(B) 사이에는 양자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성 수지층[이하, 층(C)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배치할 수 있다. 적층체의 구성은, 예를 들면, 층(A)/층(B), 층(B)/층(A)/층(B), 층(A)/층(C)/층(B), 층(B)/층(C)/층(A)/층(C)/층(B), 층(B)/층(A)/층(B)/층(A)/층(B) 및 층(B)/층(C)/층(A)/층(C)/층(B)/층(C)/층(A)/층(C)/층(B)를 들 수 있다. 적층체가 복수 의 층(B)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적층체의 각 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적층체 전체의 두께에 대한 층(A) 두께의 비율을 2 내지 20%의 범위로 함으로써 성형성 및 비용의 점에서 유리해지는 경우가 있다.The structure of the lami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 adhesive resin laye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layer (C)) for adhering both can be disposed between the layer (A) and the layer (B). The structure of a laminated body is a layer (A) / layer (B), a layer (B) / layer (A) / layer (B), a layer (A) / layer (C) / layer (B), Layer (B) / layer (C) / layer (A) / layer (C) / layer (B), layer (B) / layer (A) / layer (B) / layer (A) / layer (B) and Layer (B) / layer (C) / layer (A) / layer (C) / layer (B) / layer (C) / layer (A) / layer (C) / layer (B). If the laminate comprises a plurality of layers (B), they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he thickness of each layer of a laminated body is not specifically limited. When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layer (A) to the thickness of the whole laminate is in the range of 2 to 20%, it may be advantageous in terms of moldability and cost.

층(B)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나 금속이나 종이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층(B)에 사용되는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틸이나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층(B)에 사용할 수 있는 종이로서는 백판지, 마닐라 볼, 밀크 카툰 원지, 컵 원지, 아이보리지 등을 들 수 있다. 층(B)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층(A)에 관해서 예시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1-펜텐, 폴리1-부텐 등의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카프로아미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 등의 폴리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1-부텐, 이소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등의 α-올레핀;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무수 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이의 염, 이의 부분 또는 완전 에스테르, 이의 니트릴, 이의 아미드, 이의 무수물; 포름산비닐,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비닐부틸레이트, 비닐옥타노에이트, 비닐도데카노에이트, 비닐스테아레 이트, 비닐아라키도네이트 등의 카복실산비닐에스테르류;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란계 화합물; 불포화 설폰산 또는 이의 염; 알킬티올류; 비닐피롤리돈류를 들 수 있다. The layer (B) can be formed of,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a metal, paper, or the like. As a metal used for layer (B), steel, aluminum,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Examples of the paper that can be used for the layer (B) include white paper, manila balls, milk cartoon paper, cup paper, ivory paper and the like. Although the thermoplastic resin used for layer (B)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resin illustrated about the layer (A) can be used. For example, polyolefins, such as polyethylene, a polypropylene, poly4-methyl-1- pentene, poly 1-butene, can be used. In addition,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polyvinylidene chloride, polyvinyl chloride, polystyrene, polyacrylonitrile, polycarbonate, polyacrylate,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can be used. In addition, polyest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can be used. In addition, polyamides such as polycaproamide, polyhexamethyleneadipamide, and polymethaxylyleneadipamide can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copolymers of ethylene or propylene with other monomers. As another monomer, For example, alpha-olefins, such as 1-butene, isobutene, 4-methyl-1- pentene, 1-hexene, 1-octen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itaconic acid, methacrylic acid, acrylic acid, maleic anhydride, salts thereof, partial or complete esters thereof, nitriles thereof, amides thereof, anhydrides thereof; Carboxylic acid vinyl esters such as vinyl formate,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octanoate, vinyl dodecanoate, vinyl stearate and vinyl arachidonate; Vinylsilane-based compounds such as vinyltrimethoxysilane; Unsaturated sulfonic acids or salts thereof; Alkyl thiols; Vinylpyrrolidones can be mentioned.

층(A) 및 층(B)는 무연신의 것일 수 있으며,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 또는 압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Layers (A) and (B) may be unstretched and may be stretched or rolled uniaxially or biaxially.

층(C)에 사용되는 접착성 수지는 각 층간을 접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나 폴리에스테르계의 1액형 또는 2액형의 경화성 접착제나,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이의 무수물(무수 말레산 등)을 올레핀계 중합체에 공중합 또는 그래프트 변성한 것(카복실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을 사용할 수 있다. 층(A) 및 층(B)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카복실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접착성을 실현할 수 있다. 카복실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중합체를 카복실산 변성하여 수득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The adhesive resin used for layer (C)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s long as it can adhere | attach each layer. For example, one- or two-component curable adhesives of polyurethane or polyester or copolymers or graft-modified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anhydrides thereof (such as maleic anhydride) to olefin polymers (carboxylic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s) Can be used. When layer (A) and layer (B) contain a polyolefin resin, high adhesiveness can be implement | achieved by using a carboxylic acid modified polyolefin resin. Examples of the carboxylic acid-modified polyolefin resins include resins obtained by carboxylic acid-modifying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opolymerized polypropylen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and ethylene- (meth) acrylic acid ester copolymers. .

적층체를 구성하는 층의 1층 이상에 탈취제를 배합할 수 있다. 탈취제에는,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에서 예시한 탈취제를 사용할 수 있다. A deodorant can be mix | blended with one or more layers of the layer which comprises a laminated body. As a deodorant, the deodorant illustrated in Embodiment 1 can be used, for example.

실시 형태 2의 적층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출 라미네이트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용매 유연법, 공사출 성형법, 공압출 성형법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공압출 성형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공압출 라미네이트법, 공압출 시트 성형법, 공 압출 인플레이션 성형법, 공압출 블로우 성형법을 적용할 수 있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body of Embodiment 2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can form by a well-known method. For example, methods, such as an extrusion lamination method, a dry lamination method, a solvent casting method, a construction extrusion molding method, and a coextrusion molding method, are applicable. As the coextrusion molding method, for example, a coextrusion laminate method, a coextrusion sheet molding method, a coextrusion inflation molding method, or a coextrusion blow molding method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포장재가 다층 구조를 갖는 용기인 경우, 실시 형태 1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을 용기의 내면에 가까운 층, 예를 들면, 최내층에 배치함으로써 용기내의 산소를 빠르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where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quickly absorb oxygen in the container by disposing a layer made of the composition of Embodiment 1 in a layer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for example, the innermost layer.

본 발명은 다층 용기 중에서도 전층의 두께가 300㎛ 이하인 다층 용기 또는 압출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층 용기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This invention is used suitably for the multilayer container which the thickness of a whole layer is 300 micrometers or less, or a multilayer container manufactured by the extrusion blow molding method also in a multilayer container.

전층의 두께가 300㎛ 이하인 다층 용기는 다층 필름과 같은 비교적 얇은 다층 구조체로 이루어진 용기이며, 통상적으로 파우치 등의 형태로 사용된다. 플렉시블하고 제조도 간편하며, 또한 가스 차단성이 우수하며, 또한 지속적인 산소 흡수기능을 가지므로, 산소에 대하여 감수성이 높으며 열화되기 쉬운 제품의 포장에 매우 유용하다. 전층 두께를 300㎛ 이하로 함으로써 높은 플렉시블성이 수득된다. 전층의 두께를 250㎛ 이하, 특히 200㎛ 이하로 함으로써 보다 높은 플렉시블성이 수득된다. 또한, 기계적 강도를 고려하면, 전층 두께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multilayer container having a total thickness of 300 μm or less is a container made of a relatively thin multilayer structure such as a multilayer film, and is usually used in the form of a pouch or the like. Flexible, easy to manufacture, excellent gas barrier properties, and has a continuous oxygen absorption function, it is very useful for packaging products that are highly sensitive to oxygen and susceptible to degradation. High flexibility is obtained by setting the total layer thickness to 300 µm or less. Higher flexibility is obtained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layer to 250 µm or less, particularly 200 µm or less. In consideration of mechanical strength, the total layer thickness is preferably 10 μm or more, more preferably 20 μm or more.

이러한 다층 용기를 밀봉하기 위해, 다층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층은 열밀봉할 수 있는 수지로 이루어진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자루 모양으로 가공된 다층 필름에 내용물을 충전하여 열밀봉함으로써 다층 용기가 수득된다.In order to seal such a multilayer container, at least one surface layer of the multilayer film is preferably a layer made of a resin that can be heat sealed. As such resin, polyolefin, such as polyethylene and a polypropylene, is mentioned, for example. A multilayer container is obtained by filling a bag into a multilayer film processed into a bag and heat-sealing the contents.

한편, 압출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층 용기는 통상적으로 병 등의 형태로 사용된다. 생산성이 높은 동시에 가스 차단성이 우수하며, 또한 지속적인 산소 흡수기능을 가지므로, 산소에 대하여 감수성이 높으며 열화되기 쉬운 제품의 포장에 매우 유용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ultilayer container manufactured by the extrusion blow molding method is usually used in the form of a bottle or the like. It is very useful for the packaging of products that are highly sensitive to oxygen and susceptible to deterioration because of high productivity and excellent gas barrier properties and continuous oxygen absorption.

보틀형의 용기의 몸통부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100 내지 2000㎛의 범위이며, 용도에 따라 선택된다. 이 경우, 실시 형태 1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2 내지 20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trunk portion of the bottle-shaped container is generally in the range of 100 to 2000 µm, and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layer which consists of the composition of Embodiment 1 can be made into the range of 2-200 micrometers, for example.

본 발명의 포장재는 용기용의 패킹(가스켓), 특히 용기 캡용의 가스켓일 수 있다. 이 경우, 실시 형태 1의 조성물에 의해 가스켓이 형성된다.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invention may be a packing (gasket) for a container, in particular a gasket for a container cap. In this case, a gasket is formed by the composition of Embodiment 1.

이하,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하기 방법으로, 불포화 카복실산염을 제조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examples. First, unsaturated carboxylate is manufactured by the following method.

(리놀렌산칼슘) (Calcium linoleate)

리놀렌산 24.00g, 수산화칼슘 3.19g 및 톨루엔 100ml를 혼합하여, 4시간 동안 공비 탈수한 후, 톨루엔을 증류 제거한다. 수득된 생성물을 방냉한 후, 감압 건조하여 리놀렌산칼슘을 수득한다. 24.00 g of linolenic acid, 3.19 g of calcium hydroxide and 100 ml of toluene were mixed, and after azeotropic dehydration for 4 hours, toluene was distilled off. The product obtained is allowed to cool and then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calcium linoleate.

(리놀렌산나트륨) (Sodium linoleate)

리놀렌산 24.00g, 수산화나트륨 3.45g 및 톨루엔 100ml를 혼합하여, 4시간 동안 공비 탈수한 후, 톨루엔을 증류 제거한다. 수득된 생성물을 방냉한 후, 감압 건조하여 리놀렌산나트륨을 수득한다. 24.00 g of linolenic acid, 3.45 g of sodium hydroxide, and 100 ml of toluene are mixed, and after azeotropic dehydration for 4 hours, toluene is distilled off. The obtained product was allowed to cool and then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sodium linoleate.

(리놀렌산알루미늄) (Aluminum Linoleate)

리놀렌산 24.00g, 수산화나트륨 3.45g 및 톨루엔 100ml를 혼합하여, 4시간 동안 공비 탈수한 후, 톨루엔을 증류 제거한다. 수득된 생성물을 방냉한 후, 감압 건조하여 리놀렌산나트륨을 수득한다. 건조시킨 리놀렌산나트륨염 12.86g을 물 230ml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황산알루미늄(14 내지 18수화물) 2.44g을 물 20ml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30분에 걸쳐 첨가한다. 침전된 생성물을 인출하고, 60℃에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12.00g의 리놀렌산알루미늄(담황색)을 수득한다. 24.00 g of linolenic acid, 3.45 g of sodium hydroxide, and 100 ml of toluene are mixed, and after azeotropic dehydration for 4 hours, toluene is distilled off. The obtained product was allowed to cool and then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sodium linoleate.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2.44 g of aluminum sulfate (14-18 hydrates) was dissolved in 20 ml of water was added to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12.86 g of dried sodium linoleate was dissolved in 230 ml of water over 30 minutes. The precipitated product is taken out and dried in vacuo at 60 ° C. to yield 12.00 g of aluminum linoleate (pale yellow).

(에이코사펜타엔산칼슘) (Calcium Eicosapentaenoate)

에이코사펜타엔산에틸에스테르(가부시키가이샤 교와테크노스제) 28.3g, 수산화칼슘 3.19g 및 톨루엔 100ml를 혼합하여, 3시간 동안 공비한 후, 톨루엔을 증류 제거한다. 수득된 생성물을 방냉한 후, 감압 건조하여 에이코사펜타엔산칼슘(EPA-Ca)를 수득한다. 28.3 g of eicosapentaenoic acid ethyl ester (manufactured by Kyowa Technos Co., Ltd.), 3.19 g of calcium hydroxide, and 100 ml of toluene are mixed and azeotropically for 3 hours, and then toluene is distilled off. The obtained product was allowed to cool and then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calcium eicosapentaenoate (EPA-Ca).

(에이코사펜타엔산나트륨) Sodium Eicosapentaenoate

수산화나트륨 1.26g(31.5mmol)을 에탄올 45.0g에 용해시킨 후, 에이코사펜타엔산에틸에스테르(가부시키가이샤 교와테크노스제) 10.00g(30.3mmol)을 첨가하여, 4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반응액을 증발기로 농축하여, 감압 건조함으로써 에이코사펜타엔산나트륨(EPA-Na)를 수득한다. After dissolving 1.26 g (31.5 mmol) of sodium hydroxide in 45.0 g of ethanol, 10.00 g (30.3 mmol) of eicosapentaenoic acid ethyl ester (manufactured by Kyowa Technos Co., Ltd.) was added and refluxed for 4 hours. The reaction solution is concentrated by an evaporator and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sodium eicosapentaenoate (EPA-Na).

(에이코사펜타엔산바륨)(Barium Eicosapentaenoate)

수산화나트륨 1.26g(31.5mmol)을 에탄올 45.0g에 용해시킨 후, 에이코사펜타엔산에틸에스테르(가부시키가이샤 교와테크노스제) 10.00g(30.3mmol)를 첨가하여, 4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반응액을 증발기로 농축하여, 감압 건조함으로써 에이코 사펜타엔산나트륨을 수득한다. 건조시킨 에이코사펜타엔산나트륨 10.00g을 물 200ml에 용해시킨 수용액에 염화바륨 3.2g을 물 30ml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30분에 걸쳐 첨가한다. 침전된 생성물을 인출하고, 60℃에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9.5g의 에이코사펜타엔산바륨(EPA-Ba)를 수득한다. After dissolving 1.26 g (31.5 mmol) of sodium hydroxide in 45.0 g of ethanol, 10.00 g (30.3 mmol) of eicosapentaenoic acid ethyl ester (manufactured by Kyowa Technos Co., Ltd.) was added and refluxed for 4 hours. The reaction solution is concentrated with an evaporator and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sodium eicosapentaenoate. An aqueous solution of 3.2 g of barium chloride dissolved in 30 ml of water was added to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10.00 g of dried eicosapentaenoate was dissolved in 200 ml of water over 30 minutes. The precipitated product was taken out and dried in vacuo at 60 ° C. to yield 9.5 g of barium eicosapentaenoate (EPA-Ba).

(도코사헥사엔산나트륨) (Sodium docosahexaenoate)

에이코사펜타엔산에틸에스테르 대신에 도코사헥사엔산에틸에스테르(가부시키가이샤 교와테크노스제)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코사헥사엔산나트륨(DHA-Na)를 수득한다. Sodium docosahexaenoate (DHA-Na) i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docosahexaenoic acid ethyl ester (manufactured by Kyowa Technos Co., Ltd.) is used in place of eicosapentaenoic acid ethyl ester.

(엘레오스테아르산) (Eleostearic acid)

냉각관, 적가 깔때기 및 질소 도입 라인을 장착한 3리터-분리식 플라스크에 오동나무 기름 500g을 가하여, 질소 치환한다. 100℃까지 승온한 후, 20% 수산화칼륨 수용액 723g을 적가한다. 적가 종료후, 100℃에서 4시간 동안 교반을 실시한다. 반응액을 냉각한 다음, 톨루엔 1kg을 가하여 용해하고, 염산 260g, 순수 260g을 가하여 균일 용액으로 한다. 용액을 496.7g까지 농축한 후, 석출한 고체를 분리식 플라스크로 옮기며, 헥산을 가하고, 7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으로 한다. 이러한 용액을 0℃까지 냉각한 다음, 철야 방치하는 것으로 고체를 석출시킨다. 석출된 고체를 흡인 여과한 후, 냉 헥산 1리터로 2회 세정한다. 이어서, 실온에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엘레오스테아르산 233g을 수득한다. 500 g of paulownia oil is added to a 3-liter flask equipped with a cooling tube, a dropping funnel and a nitrogen introduction line, and nitrogen-substituted. After heating up to 100 degreeC, 723g of 20% potass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is added dropwise. After completion of the dropwise addition, stirring was carried out at 100 ° C. for 4 hours. After cooling the reaction solution, 1 kg of toluene is added to dissolve it, and 260 g of hydrochloric acid and 260 g of pure water are added to make a homogeneous solution. After concentrating the solution to 496.7 g, the precipitated solid was transferred to a separate flask, hexane was added and stirred at 70 ° C. for 3 hours to obtain a uniform solution. After cooling this solution to 0 degreeC, solid is precipitated by standing overnight. The precipitated solid was suction filtered and washed twice with 1 liter of cold hexane. Subsequently, 233 g of eleostearic acid is obtained by vacuum drying at room temperature.

(엘레오스테아르산나트륨) (Sodium stearate)

냉각관, 적가 깔때기 및 질소 도입 라인을 장착한 3리터-분리식 플라스크에 상기 수법으로 제작한 엘레오스테아르산 116.5g과 수산화나트륨 16.73g을 투입하고, 질소 치환한 후, 순수 155g을 가하여, 9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생성한 고체를 흡인 여과하여, 순수 2리터로 3회 세정한다. 이어서, 80℃에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엘레오스테아르산나트륨 107g을 수득한다. 116.5 g of eleostearic acid and 16.73 g of sodium hydroxide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were added to a 3-liter flask equipped with a cooling tube, a dropping funnel, and a nitrogen introduction line, followed by nitrogen replacement, and then 155 g of pure water was added thereto. Stir for 3 hours at < RTI ID = 0.0 > The resulting solid is suction filtered and washed three times with 2 liters of pure water. Subsequently, 107 g of sodium leostearate is obtained by vacuum drying at 80 deg.

(리놀렌산철) (Iron linoleate)

리놀렌산 25.13g, 수산화나트륨 3.61g(물 10g에 용해) 및 톨루엔 100ml를 혼합하여, 2시간 동안 공비 탈수한 후, 톨루엔을 증류 제거한다. 수득된 생성물을 감압 건조하고, 21.55g의 리놀렌산나트륨을 수득한다. 이러한 리놀렌산나트륨 10.00g과 물 90g을 질소 분위기하에 혼합하여, 욕조 온도 50℃의 욕조에서 승온한다. 이러한 혼합물에 황산제일철(7수화물) 4.63g을 물 18ml(질소 버블링 종료)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30분에 걸쳐 가한다. 수용액을 가하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침전물이 흑색으로 착색하며, 황산제일철 수용액을 첨가하고 나서 30분 경과 후에는 진흑(眞黑)색으로 된다. 이것은 철(II)이 철(III)으로 산화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리놀렌산의 전이금속염을 사용하는 비교 샘플에서는 산화 열화가 심하므로, 취급성이 나쁘다는 문제 및 착색된다는 문제가 있다. 25.13 g of linolenic acid, 3.61 g of sodium hydroxide (dissolved in 10 g of water) and 100 ml of toluene are mixed, and after azeotropic dehydration for 2 hours, the toluene is distilled off. The product obtained is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21.55 g of sodium linoleate is obtained. 10.00 g of such sodium linoleate and 90 g of water are mixed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nd the temperature is raised in a bath having a bath temperature of 50 ° C. To this mixture,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4.63 g of ferrous sulfate (hexahydrate) was dissolved in 18 ml of water (end of nitrogen bubbling) was added over 30 minutes. When an aqueous solution is added, the precipitate becomes black with time, and becomes dark black 30 minutes after the ferrous sulfate aqueous solution is added. This is considered to be because iron (II) is oxidized to iron (III). As described above, in the comparative sample using the transition metal salt of linolenic acid, oxidative deterioration is sever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of poor handling and coloring.

(리놀렌산망간) (Manganese Linoleate)

황산제일철(7수화물) 대신에 황산망간(5수화물)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놀렌산망간을 수득한다. Manganese linoleate i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except that manganese sulfate (pentahydrate) is used instead of ferrous sulfate (hexahydrate).

(샘플 1 내지 3의 제작) (Production of Samples 1 to 3)

상기한 방법으로 합성한 리놀렌산의 각종 금속염 7g, 스테아르산코발트 0.59g(Co의 양은 약 800ppm) 및 EVOH 63g을 건조 배합한 다음, 200℃에서 5분 동안 용융 배합한다. 용융 배합은 분위기를 질소로 퍼징하면서 실시한다. 이어서, 수득된 각종 조성물을 200℃로 가열하여 프레스하고, 약 200㎛ 두께의 필름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하여, 리놀렌산칼슘을 포함하는 필름(샘플 1), 리놀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필름(샘플 2) 및 리놀렌산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필름(샘플 3)을 제작한다. 이들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리놀렌산의 각종 금속염은 1㎛ 정도의 입자직경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양호하다. 특히, 리놀렌산알루미늄은 보다 미세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대단히 양호하다. 7 g of various metal salts of linolenic acid synthesized by the above method, 0.59 g of cobalt stearate (about 800 ppm of Co) and 63 g of EVOH are dry blended and then melt blended at 200 ° C. for 5 minutes. Melt blending is carried out while purging the atmosphere with nitrogen. The various compositions obtained are then heated to 200 ° C. to press and a film of about 200 μm thick is obtained. In this manner, a film containing calcium linoleate (sample 1), a film containing sodium linoleate (sample 2) and a film containing aluminum linoleate (sample 3) are produced. When the cross sections of these films were observ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various metal salts of linolenic acid were dispersed in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1 µm, and the dispersibility was good. In particular, aluminum linoleate is more finely dispersed, and dispersibility is very good.

(샘플 4 내지 6의 제작) (Production of samples 4 to 6)

리놀렌산염 7g 대신에 에이코사펜타엔산의 각종 금속염 7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이코사펜타엔산칼슘을 포함하는 필름(샘플 4), 에이코사펜타엔산나트륨을 포함하는 필름(샘플 5) 및 에이코사펜타엔산바륨을 포함하는 필름(샘플 6)을 제작한다. 이들 필름(두께 약 200㎛)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에이코사펜타엔산의 금속염은 1㎛ 정도의 입자직경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양호하다. A film containing calcium eicosapentaenoate (sample 4), eicosapentaenoic aci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s 1 to 3, except that 7 g of various metal salts of eicosapentaenoic acid were used instead of 7 g of linolenic acid salts. A film containing sodium (sample 5) and a film containing barium eicosapentaenoate (sample 6) were produced. The cross sections of these films (thickness of about 200 µm) were observ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s a result, the metal salts of eicosapentaenoic acid were dispersed in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1 µm, and dispersibility was good.

(샘플 7의 제작) (Production of sample 7)

리놀렌산염 7g 대신에 도코사헥사엔산나트륨 7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 7의 필름(두께 약 200㎛)을 제작한다. 이러한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도코사헥사엔산나트륨은 1㎛ 정도의 입자직경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양호하다. A film of Sample 7 (thickness about 200 μ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s 1 to 3, except that 7 g of sodium docosahexaenoate was used instead of 7 g of linoleate. The cross section of such a film was observ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odium docosahexanoate was dispersed in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1 µm, and the dispersibility was good.

(샘플 8의 제작) (Production of sample 8)

리놀렌산염 7g 대신에 엘레오스테아르산나트륨 7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 8의 필름(두께 약 200㎛)을 제작한다. 이러한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엘레오스테아르산나트륨은 1㎛ 정도의 입자직경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양호하다. A film of Sample 8 (thickness about 200 μ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s 1 to 3, except that 7 g of sodium oleate was used instead of 7 g of linoleate. The cross section of such a film was observ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odium oleate was dispersed in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1 µm, and dispersibility was good.

(샘플 9의 제작) (Production of sample 9)

EVOH 63g 대신에 폴리카프로아미드(나일론-6, 우베고산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1030B) 63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 9의 필름(두께 약 200㎛)을 제작한다. 이러한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에이코사펜타엔산의 금속염은 1㎛ 정도의 입자직경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양호하다. A film of Sample 9 (thickness of about 200 μ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 5, except that 63 g of polycaproamide (nylon-6, manufactured by Ubego Sangyo Co., Ltd., trade name: 1030B) was used instead of 63 g of EVOH. . The cross section of such a film was observ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s a result, the metal salt of eicosapentaenoic acid was dispersed in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1 µm, and the dispersibility was good.

(샘플 10의 제작) (Production of sample 10)

EVOH 63g 대신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미쓰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바렉스 1000) 63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 10의 필름(두께 약 200㎛)을 제작한다. A film of Sample 10 (thickness of about 200 μ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 5, except that 63 g of polyacrylonitrile (trade name: Varex 1000) was used instead of 63 g of EVOH. do.

(샘플 11의 제작) (Production of sample 11)

EVOH 63g 대신에 폴리염화비닐(세키스이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에스메디카 V6142E) 63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 11의 필름(두께 약 200㎛)을 제작한다. The film of Sample 11 (thickness about 200 μ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Sample 5, except that 63 g of polyvinyl chloride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Co., Ltd., product name: Esmeica V6142E) was used instead of 63 g of EVOH. To make.

(샘플 12의 제작) (Production of sample 12)

스테아르산코발트 대신에 이산화티타늄 분말(니혼아에로질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P-25(아나타제형 73.5%, 루타일형 26.5%를 포함한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 12의 필름을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에이코사펜타엔산나트륨 7g, 이산화티타늄 0.70g 및 EVOH 63g을 건조 배합한 다음, 200℃에서 5분 동안 용융 배합한다. 용융 배합은 분위기를 질소로 퍼징하면서 실시한다. 이어서, 수득된 조성물을 200℃로 가열하여 프레스하며, 약 200㎛ 두께의 필름(샘플 12)을 수득한다. 이러한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에이코사펜타엔산나트륨은 1㎛ 정도의 입자직경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양호하다. The same method as Sample 5, except that titanium dioxide powder (manufactured by Nippon Aerogel Co., Ltd., product name: P-25 (including 73.5% anatase type and 26.5% rutile type)) was used instead of cobalt stearate. To prepare a film of Sample 12. Specifically, 7 g of eicosapentaenoate, 0.70 g of titanium dioxide, and 63 g of EVOH are dry blended, followed by melt blending at 200 ° C. for 5 minutes. The resulting composition is then heated to 200 ° C. and pressed to obtain a film of about 200 μm thickness (sample 12.) The cross section of this film was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odium sapentanoate is dispersed in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1 μm, and dispersibility is good.

(샘플 13의 제작) (Production of sample 13)

물/메탄올(= 30/70중량%) 혼합 용액 40.5g과 EVOH 4.5g을 비커에 채취하고, 잘 교반하면서 80℃까지 가열하며, 10중량% 농도의 EVOH 용액을 제조한다. 이러한 용액에 에이코사펜타엔산나트륨 0.5g 및 N-하이드록시프탈산이미드(NHPI) 0.05g을 가하여,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균일하게 용해시킨다. 수득된 용액을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시판하는 PET 필름 위에 바 피복으로 도포한 다음, 진공 건조기로써 용매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약 10㎛ 두께의 도포막이 형성된 필름(샘플 13)을 수득한다. 이러한 필름의 도포막 부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에이코사펜타엔산나트륨은 1㎛ 정도의 입자직경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양호하다. 40.5 g of a water / methanol (= 30/70 wt%) mixed solution and 4.5 g of EVOH were collected in a beaker, heated to 80 ° C. with good stirring, to prepare an EVOH solution of 10 wt% concentration. To this solution, 0.5 g of sodium eicosapentaenoate and 0.05 g of N-hydroxyphthalic acid imide (NHPI) are added, and the solution is uniformly dissolved at room temperature under a nitrogen atmosphere. The obtained solution is applied by bar coating on a commercially available PET film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and then the solvent is removed by a vacuum dryer. In this way, a film (sample 13) in which a coating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μm is formed is obtained.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oating film part of such a film was observed with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odium eicosapentaate disperse | distributed to the particle diameter of about 1 micrometer, and dispersibility is favorable.

(샘플 14의 제작) (Production of sample 14)

N-하이드록시프탈이미드 대신에 아세트산코발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 14의 필름을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물/메탄올(= 30/70중량%) 혼합 용액 40.5g과 EVOH 4.5g을 비커에 채취하고, 잘 교반시키면서 80℃까지 과열하며, 10중량% 농도의 EVOH 용액을 제조한다. 이러한 용액에 에이코사펜타엔산나트륨 0.5g 및 아세트산코발트 0.85g(Co의 양은 약 400ppm)을 가하여,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균일하게 용해시킨다. 수득된 용액을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시판하는 PET 필름 위에 바 피복으로 도포한 다음, 진공 건조기로써 용매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약 10㎛ 두께의 도포막이 형성된 필름(샘플 14)을 수득한다. 이러한 필름의 도포막 부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에이코사펜타엔산나트륨은 1㎛ 정도의 입자직경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양호하다. A film of Sample 14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Sample 13, except that cobalt acetate was used instead of N-hydroxyphthalimide. Specifically, 40.5 g of a water / methanol (= 30/70 wt%) mixed solution and 4.5 g of EVOH were collected in a beaker, superheated to 80 ° C. with good stirring, and an EVOH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10 wt% was prepared. 0.5 g of sodium eicosapentaate and 0.85 g of cobalt acetate (amount of Co is about 400 ppm) were added to this solution, and it was dissolved uniformly at room temperature under a nitrogen atmosphere. The obtained solution is applied by bar coating on a commercially available PET film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and then the solvent is removed by a vacuum dryer. In this way, a film (sample 14) on which a coating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μm is formed is obtained.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oating film part of such a film was observed with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odium eicosapentaate disperse | distributed to the particle diameter of about 1 micrometer, and dispersibility is favorable.

(비교 샘플 1) (Comparative Sample 1)

리놀렌산염 7g 대신에 리놀렌산 7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샘플 1의 필름(두께 약 200㎛)을 제작한다. 이러한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리놀렌산은 입자직경이 5㎛ 이상인 크기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좋지 않다. A film of Comparative Sample 1 (thickness about 200 μ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s 1 to 3, except that 7 g of linolenic acid was used instead of 7 g of linolenic acid salt. The cross section of such a film was observ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s a result, linolenic acid was dispersed in a particle diameter of 5 mu m or more, and the dispersibility was not good.

(비교 샘플 2) (Comparative Sample 2)

리놀렌산염 7g 대신에 엘레오스테아르산 7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샘플 2의 필름(두께 약 200㎛)을 제작한다. 이러한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엘레오스테아르산은 입자직 경이 5㎛ 이상인 크기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좋지 않다. A film of Comparative Sample 2 (thickness about 200 μ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s 1 to 3, except that 7 g of eleostearic acid was used instead of 7 g of linoleate. The cross section of the film was observ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s a result, eleostearic acid was dispersed in a size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5 µm or more, and dispersibility was not good.

(비교 샘플 3) (Comparative Sample 3)

EVOH 63g 대신에 저밀도 폴리에틸렌(니혼폴리에틸렌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노바텍 LA320) 63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샘플 2의 필름(두께 약 200㎛)을 제작한다. 이러한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리놀렌산염은 입자직경이 5㎛ 이상인 크기로 분산되어 있으며, 분산성은 좋지 않다. A film of Comparative Sample 2 (thickness of about 200 μ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s 1 to 3, except that 63 g of low density polyethylene (Novtek LA320) manufactured by Nippon Polyethylene Co., Ltd. (trade name: Novatec LA320) was used instead of 63 g of EVOH. . The cross section of such a film was observed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the linolenic acid salt was dispersed in a size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5 µm or more, and the dispersibility was not good.

(비교 샘플 4 및 5) (Comparative Samples 4 and 5)

리놀렌산나트륨 대신에 리놀렌산철 또는 리놀렌산망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샘플 4 및 5의 필름을 제작한다. 그러나 양쪽 샘플 모두 착색도 심하고, 아름다운 필름을 제작할 수 없다. The films of Comparative Samples 4 and 5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s 1 to 3, except that iron linoleate or manganese linoleate was used instead of sodium linoleate. However, both samples are also highly colored, and a beautiful film cannot be produced.

[산소 흡수능의 평가] [Evaluation of Oxygen Absorption Capacity]

(샘플 1 내지 3 및 비교 샘플 1의 산소 흡수능의 평가) (Evaluation of Oxygen Absorbability of Samples 1-3 and Comparative Sample 1)

샘플 1 내지 3 및 비교 샘플 1의 필름 1.0g을 각각, (1) 23℃에서 50% RH의 실내 또는 (2) 23℃에서 100% RH의 실내에서 용량 260cc의 병에 투입하여 병을 밀봉한다. 또한, 상기 필름 1.0g을 각각, (3) 60℃에서 50% RH의 실내 또는 (4) 60℃에서 100% RH의 실내에서, 용량 260cc의 병에 물 5cc와 동시에 투입하여 병을 밀폐한다. 그리고, 일정 기간마다 병 중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흡수된 산소의 양을 산출한다. 이 때, (1) 및 (2)의 조건의 병은 23℃에서 보관하며, (3) 및 (4)의 병은 60℃에서 보관한다. 측정결과를 도 1 내지 4에 도시한다. 도 1 내지 4에 도 시된 바와 같이 리놀렌산나트륨을 사용하는 샘플 2는 고습도하에서 산소 흡수능이 낮다. 리놀렌산칼슘을 사용하는 샘플 1은 측정시의 온도/습도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 최대로 31cc/g(60℃ 및 100% RH에서 38일 후)의 산소 흡수를 달성한다. 리놀렌산알루미늄을 사용하는 샘플 3은 샘플 1과 동일하게 측정시의 온도/습도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 최대로 30cc/g(60℃ 및 100% RH에서 38일 후)의 산소 흡수를 달성한다. 한편, 비교 샘플 1의 필름은 산소 흡수를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 1.0 g of the films of S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Sample 1 are respectively sealed in (1) 50% RH at 23 ° C. or (2) 100% RH at 23 ° C. in a 260 cc bottle. . In addition, 1.0 g of the film, respectively, (3) at room temperature of 50% RH at 60 ° C. or (4) at room temperature of 100% RH at 60 ° C., was simultaneously added to a bottle of capacity 260 cc with 5 cc of water to seal the bottle. And the oxygen concentration in a bottle is measured every fixed period, and the quantity of oxygen absorbed is computed. At this time, the bottles of the conditions of (1) and (2) are stored at 23 degreeC, and the bottles of (3) and (4) are stored at 60 degreeC.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FIGS. 1 to 4. As shown in Figures 1 to 4, Sample 2 using sodium linoleate has a low oxygen absorption capacity under high humidity. Sample 1 using calcium linoleate is highly affected by temperature / humidity in the measurement, but achieves a maximum oxygen absorption of 31 cc / g (after 38 days at 60 ° C. and 100% RH). Sample 3 using aluminum linoleate is largely affected by the temperature / humidity as measured in Sample 1, but achieves up to 30 cc / g (after 38 days at 60 ° C. and 100% RH) oxygen absorption. On the other hand, the film of Comparative Sample 1 shows little oxygen absorption.

(샘플 4 내지 8 및 비교 샘플 2의 산소 흡수능의 평가) (Evaluation of Oxygen Absorbability of Samples 4 to 8 and Comparative Sample 2)

샘플 4 내지 8 및 비교예 2의 필름의 산소 흡수능을 상기와 동일한 수법에 의해 평가한다. 샘플 4 내지 6의 측정결과를 도 5 내지 8에 도시한다. 샘플 7의 측정결과를 도 9에 도시한다. 샘플 8 및 비교 샘플 2의 측정결과를 도 10 내지 13에 도시한다. The oxygen absorption capacity of the films of Samples 4 to 8 and Comparative Example 2 is evaluated by the same method as above.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amples 4-6 is shown to FIGS. 5-8. The measurement result of sample 7 is shown in FIG. 9.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sample 8 and the comparative sample 2 is shown to FIGS. 10-13.

(샘플 9 내지 14 및 비교 샘플 3의 산소 흡수능의 평가) (Evaluation of Oxygen Absorbing Capacity of Samples 9 to 14 and Comparative Sample 3)

샘플 9 내지 14 및 비교 샘플 3의 필름의 산소 흡수능을 상기와 동일한 수법에 따라 평가한다. 그 결과, 어떤 샘플도 산소 흡수를 나타낸다. The oxygen absorption capacity of the films of Samples 9 to 14 and Comparative Sample 3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above. As a result, any sample shows oxygen absorption.

(비교 샘플 3의 산소 흡수능의 평가) (Evaluation of Oxygen Absorbing Capacity of Comparative Sample 3)

비교 샘플 3의 필름의 산소 흡수능을 상기와 동일한 수법에 따라 평가한다. 그 결과, 비교 샘플 3의 필름은 산소 흡수를 나타낸다. The oxygen absorption ability of the film of Comparative Sample 3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above. As a result, the film of Comparative Sample 3 shows oxygen absorption.

(비교 샘플 4 및 5의 산소 흡수능의 평가) (Evaluation of Oxygen Absorbability of Comparative Samples 4 and 5)

비교 샘플 4 및 5의 필름의 산소 흡수능을 상기와 동일한 수법에 따라 평가한다. 그 결과, 양쪽 샘플 모두 열안정성이 좋지 않으므로, 착색이 심하고, 거의 산소 흡수를 나타내지 않는다. The oxygen absorption ability of the films of Comparative Samples 4 and 5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above. As a result, since both samples have poor thermal stability, coloring is severe and hardly exhibits oxygen absorption.

(악취 평가) (Odor evaluation)

샘플 1 내지 8 및 비교 샘플 1 내지 3의 필름 1g을 정밀하게 칭량하고, 시트 성형의 5시간 후에 롤상으로 권취하여, 23℃, 50% RH의 공기를 채운 내부 용량 85ml의 병에 투입한다. 이러한 병에 물을 1ml 가하고, 알루미늄층을 포함하는 다층 시트와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병의 입구를 밀봉하고 나서, 60℃에서 2주 동안 방치한다. 이어서, 패널리스트 5명이 시료의 헤드 스페이스 가스를 평가한다. 그 결과, 비교 샘플 1 및 3에서는 물고기 냄새가 나며, 비교 샘플 2에서는 고무 냄새가 난다. 한편, 샘플 1 내지 8은 비교 샘플과 비교하여 악취가 낮다. Samples 1 to 8 and 1 g of films of Comparative Samples 1 to 3 are precisely weighed, wound up in rolls after 5 hours of sheet molding, and placed in a bottle of 85 ml of internal capacity filled with air at 23 ° C. and 50% RH. 1 ml of water is added to the bottle, and the inlet of the bottle is sealed using a multilayer sheet containing an aluminum layer and an epoxy resin, and then left at 60 ° C. for 2 weeks. Subsequently, five panelists evaluate the head space gas of the sample. As a result, the fish smells in Comparative Samples 1 and 3, and the rubber smell in Comparative Sample 2. On the other hand, Samples 1 to 8 have a lower odor than the comparative samples.

(휘산 억제 효과의 평가) (Evaluation of volatilization inhibitory effect)

샘플 1 내지 8 및 비교 샘플 1과 동일하게 각종 금속염 또는 리놀렌산과, 스테아르산코발트 및 EVOH를 건조 배합한 다음, 200℃에서 5분 동안 용융 배합한다. 용융 배합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벤트부에서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탈기하여 배합장치 내부가 266Pa(2mmHg)로 되도록 감압하면서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작하고, 산소 흡수능을 측정한다. 그 결과, 리놀렌산을 사용하는 비교 샘플 1은 용융 배합할 때에 벤트부에서 리놀렌산이 휘발하므로, 충분한 산소 흡수능을 나타내지 않는다. 한편, 금속염에서는 이러한 휘발이 없으며, 금속염을 사용하는 샘플은 질소로 퍼징하면서 용융 배합하여 제작한 샘플과 동등한 산소 흡수능을 나타낸다. In the same manner as in S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Sample 1, various metal salts or linolenic acid, cobalt stearate and EVOH were dry blended, followed by melt blending at 200 ° C. for 5 minutes. Melt mixing is carried out while depressurizing the inside of the mixing apparatus by degassing by using a vacuum pump at the vent to remove impurities. A film is produced using the composition thus prepared, and the oxygen absorption capacity is measur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ample 1 using linolenic acid volatilizes linolenic acid in a vent part at the time of melt-blending, and does not show sufficient oxygen absorpt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uch volatilization in the metal salt, and the sample using the metal salt exhibits the same oxygen absorption capacity as that produced by melt blending while purging with nitrogen.

(용출시험) Dissolution Test

샘플 1 내지 8 및 비교 샘플 1 및 2의 필름의 양면에 두께 20㎛의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도셀로가부시키가이샤제 OP-#20 U-1)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한다. 접착제는 우레탄계 접착제(도요모톤제, 상품명: AD335A)와 경화제(도요모톤제, 상품명: Cat-10)와, 톨루엔/메틸에틸케톤 혼합 용액(중량비 1:1)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층/우레탄계 접착제층/수지 조성물층(산소 흡수성 필름층)/우레탄계 접착제층/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층이라는 층 구성의 적층 시트를 제작한다. A 20-micrometer-thick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OP- # 20 U-1 manufactured by Tocelo Co., Ltd.) having a thickness of 20 µm is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films of S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Samples 1 and 2 using an adhesive. As the adhesive, a mixture of a urethane adhesive (Toyo Moton, trade name: AD335A), a curing agent (Toyo Motone, trade name: Cat-10), and a toluene / methyl ethyl ketone mixed solution (weight ratio 1: 1) is used. In this way, a laminated sheet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layer / urethane adhesive layer / resin composition layer (oxygen absorbent film layer) / urethane-based adhesive layer /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layer is produced.

이어서, 수득된 적층 시트 2장을 중첩하여 열밀봉하며, 30cm ×30cm의 파우치를 제작한다. 파우치 내부에는 물을 투입한다. 이러한 파우치를 60일 동안, 30℃에서 80% RH의 분위기하에 보관한 후, 파우치 내부의 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GC-MS)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 리놀렌산을 사용하는 비교 샘플 1의 경우에는 리놀렌산의 용출이 확인되며, 엘레오스테아르산을 사용하는 비교 샘플 2의 경우에는 엘레오스테아르산의 용출이 확인된다. 한편, 각종 금속염을 사용하는 샘플에서는 이러한 용출은 확인되지 않는다. Subsequently, two obtained laminated sheets are piled up and heat-sealed, and the pouch of 30 cm x 30 cm is produced. Put water inside the pouch. This pouch is stored for 60 days at 30 ° C. under an atmosphere of 80% RH, and then the water inside the pouch i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As a result, in the case of comparative sample 1 using linolenic acid, elution of linolenic acid is confirmed, 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sample 2 using eleostearic acid, elution of eleostearic acid is confirmed. On the other hand, such elution is not confirmed in the sample using various metal salts.

각 샘플의 구성을 표 1에 기재한다. The configuration of each sample is shown in Table 1.

불포화 카복실산Unsaturated carboxylic acid 산소 흡수 촉진제Oxygen absorption promoter 수지Suzy 샘플 1Sample 1 리놀렌산CaLinolenic Acid Ca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샘플 2Sample 2 리놀렌산NaLinolenic acid Na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샘플 3Sample 3 리놀렌산AlLinolenic Acid Al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샘플 4Sample 4 EPA-CaEPA-Ca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샘플 5Sample 5 EPA-NaEPA-Na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샘플 6Sample 6 EPA-BaEPA-Ba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샘플 7Sample 7 DHA-NaDHA-Na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샘플 8Sample 8 엘레오스테아르산NaEleostearic acid Na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샘플 9Sample 9 EPA-NaEPA-Na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나일론-6Nylon-6 샘플 10Sample 10 EPA-NaEPA-Na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샘플 11Sample 11 EPA-NaEPA-Na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샘플 12Sample 12 EPA-NaEPA-Na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EVOHEVOH 샘플 13Sample 13 EPA-NaEPA-Na NHPINHPI EVOHEVOH 샘플 14Sample 14 EPA-NaEPA-Na 아세트산CoAcetate Co EVOHEVOH 비교 샘플 1Comparison sample 1 리놀렌산Linolenic acid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비교 샘플 2Comparison sample 2 엘레오스테아르산Eleostearic acid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비교 샘플 3Comparison sample 3 리놀렌산NaLinolenic acid Na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비교 샘플 4Comparison sample 4 리놀렌산FeLinolenic acid Fe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비교 샘플 5Comparative Sample 5 리놀렌산MnLinolenic acid Mn 스테아르산CoStearic acid Co EVOHEVOH

각 샘플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The evaluation results of each sample are shown in Table 2.

산소 흡수능Oxygen absorption capacity 악취stink 휘산 억제 효과Volatilization inhibitory effect 용출 시험Dissolution test 분산성Dispersibility 샘플 1Sample 1 있슴There 낮음lowness 휘발 없슴No volatility 용출 없슴No dissolution 약 1㎛About 1 샘플 2Sample 2 있슴There 낮음lowness 휘발 없슴No volatility 용출 없슴No dissolution 약 1㎛About 1㎛ 샘플 3Sample 3 있슴There 낮음lowness 휘발 없슴No volatility 용출 없슴No dissolution 약 1㎛About 1㎛ 샘플 4Sample 4 있슴There 낮음lowness 휘발 없슴No volatility 용출 없슴No dissolution 약 1㎛About 1 샘플 5Sample 5 있슴There 낮음lowness 휘발 없슴No volatility 용출 없슴No dissolution 약 1㎛About 1 샘플 6Sample 6 있슴There 낮음lowness 휘발 없슴No volatility 용출 없슴No dissolution 약 1㎛About 1㎛ 샘플 7Sample 7 있슴There 낮음lowness 휘발 없슴No volatility 용출 없슴No dissolution 약 1㎛About 1㎛ 샘플 8Sample 8 있슴There 낮음lowness 휘발 없슴No volatility 용출 없슴No dissolution 약 1㎛About 1㎛ 샘플 9Sample 9 있슴There -- -- -- 약 1㎛About 1 샘플 10Sample 10 있슴There -- -- -- -- 샘플 11Sample 11 있슴There -- -- -- -- 샘플 12Sample 12 있슴There -- -- -- 약 1㎛About 1㎛ 샘플 13Sample 13 있슴There -- -- -- 약 1㎛About 1㎛ 샘플 14Sample 14 있슴There -- -- -- 약 1㎛About 1 비교 샘플 1Comparison sample 1 전혀 없슴None at all 물고기 냄새Fish smell 휘발 있슴Volatilized 용출 있슴There is dissolution 5㎛ 이상5 ㎛ or more 비교 샘플 2Comparison sample 2 있슴There 고무 냄새Rubber smell -- 용출 있슴There is dissolution 5㎛ 이상5 ㎛ or more 비교 샘플 3Comparison sample 3 있슴There 물고기 냄새Fish smell -- -- 5㎛ 이상5 ㎛ or more 비교 샘플 4Comparison sample 4 전혀 없슴None at all -- -- -- -- 비교 샘플 5Comparative Sample 5 전혀 없슴None at all -- -- -- --

또한, 분산성은 수지에 분산되어 있는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염의 입자직경으로 평가한다. 이러한 입자직경이 작을수록 분산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비교 샘플 3의 결과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지로서 가스 차단성 수지가 아닌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 산소 흡수 촉진제의 분산성이 저하된다. 이것은, 가스 차단성 수지와 비교하여, 폴리에틸렌과 같은 탄화수소계 중합체는 산소 함유 관능기를 갖는 카복실산염과의 친화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In addition, dispersibility is evaluated by the particle diameter of carboxylic acid or carboxylate dispersed in resin. Smaller particle diameters indicate better dispersibility. As described in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sample 3, when polyethylene which is not a gas barrier resin is used as resin, the dispersibility of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falls. This is considered to be because hydrocarbon-based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have inferior affinity with the carboxylate which has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compared with gas barrier resin.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불포화 카복실산을 사용하는 비교 샘플 1 및 2에서는 물고기 냄새나 고무 냄새가 발생한다. 또한, 비교 샘플 1 및 2에서는 불포화 카복실산의 분산성이 낮다. 동일하게, 수지로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비교 샘플 3에서는 물고기 냄새가 발생한다. 불포화 카복실산염으로서 전이금속염을 사용하는 비교 샘플 4 및 5에서는 착색이 심하고, 산소 흡수능도 낮다. As shown in Table 2, in Comparative Samples 1 and 2 using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fish odor or rubber odor occurs. In Comparative Samples 1 and 2, the dispersibility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is low. Equally, fish odor occurs in Comparative Sample 3 using polyethylene as the resin. In Comparative Samples 4 and 5 using a transition metal salt as the unsaturated carboxylate, coloration is severe and oxygen absorption ability is low.

본 발명은 산소 흡수성 조성물 및 이들을 사용하는 포장재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산소에 의한 열화의 영향이 큰 물품, 예를 들면, 식품, 의약, 의료기재, 기계부품, 의류 등의 포장재로서 적절하게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and a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it is suitably used as a packaging material for articles having a large influence of deterioration due to oxygen, for example, food, medicine, medical equipment, machine parts, clothing and the like.

Claims (8)

가스 차단성 수지, 가스 차단성 수지에 분산된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 및 산소 흡수 촉진제를 함유하고, Containing a gas barrier resin, a salt of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dispersed in the gas barrier resin, and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을 구성하는 양이온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의 양이온이며, The cation constituting the salt of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a cation of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and aluminum, 산소 흡수 촉진제가 전이금속염, 라디칼 발생제 및 광촉매 입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The oxygen absorption promot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ansition metal salts, radical generators and photocatalyst particles, 불포화 카복실산의 분자량이 3,000 이하인, 산소 흡수성 조성물.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whose molecular weight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3,000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불포화 카복실산이 팔미트올레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퍼리나린산(parinaric acid), 이량체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어유 지방산, 아마인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 오동나무 기름 지방산, 당유 지방산(sugar oil fatty acid), 참기름 지방산, 면실유 지방산, 유채유 지방산 및 톨유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산소 흡수성 조성물.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palmitole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 parinaric acid, dimer acid, docosahex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fish oil fatty acid, linseed oil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atty acids, soybean oil fatty acid, paulownia oil fatty acid, sugar oil fatty acid, sesame oil fatty acid, cottonseed oil fatty acid, rapeseed oil fatty acid and tall oil fatty acid. 제1항에 있어서, 가스 차단성 수지가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를 포함하는, 산소 흡수성 조성물. The oxygen absorbing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s barrier resin comprise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산소 흡수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A packaging material comprising a portion made of an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산소 흡수성 조성물이 가스 차단성 수지, 가스 차단성 수지에 분산된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 및 산소 흡수 촉진제를 포함하고,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comprises a gas barrier resin, a salt of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dispersed in a gas barrier resin and an oxygen absorption promoter, 불포화 카복실산의 염을 구성하는 양이온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소의 양이온이며, The cation constituting the salt of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a cation of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and aluminum, 산소 흡수 촉진제가 전이금속염, 라디칼 발생제 및 광촉매 입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The oxygen absorption promot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ansition metal salts, radical generators and photocatalyst particles, 불포화 카복실산의 분자량이 3,000 이하인 포장재. The packaging material whose molecular weight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3,000 or less. 제4항에 있어서, 불포화 카복실산이 팔미트올레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퍼리나린산, 이량체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어유 지방산, 아마인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 오동나무 기름 지방산, 당유 지방산, 참기름 지방산, 면실유 지방산, 유채유 지방산 및 톨유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포장재.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is palmitole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 perinaric acid, dimer acid, docosahex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fish oil fatty acid, linseed oil fatty acid, soybean oil fatty acid. Packaging material which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ulownia oil fatty acid, sugar oil fatty acid, sesame oil fatty acid, cottonseed oil fatty acid, rapeseed oil fatty acid and tall oil fatty acid. 제4항에 있어서, 가스 차단성 수지가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를 포함하는 포장재. The packaging material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gas barrier resin comprises a polyvinyl alcohol resin. 제4항에 있어서, 산소 흡수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부분이 산소 흡수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인 포장재. The packaging material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ortion made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is a layer made of the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제7항에 있어서, 산소 흡수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과 당해 층에 적층된 다른 층을 포함하는 포장재.8. A packaging material according to claim 7, comprising a layer made of an oxygen absorbent composition and another layer laminated to the layer.
KR1020077001202A 2004-06-18 2005-06-15 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KR200700221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202A KR20070022159A (en) 2004-06-18 2005-06-15 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1176 2004-06-18
KR1020077001202A KR20070022159A (en) 2004-06-18 2005-06-15 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159A true KR20070022159A (en) 2007-02-23

Family

ID=4365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202A KR20070022159A (en) 2004-06-18 2005-06-15 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15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306B2 (en) 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JP2002241608A (en) Oxygen-absorbing resin composition, packaging material and multi-layered container for package
JP2001039475A (en) Resin composition, laminate, container and container lid
JP4355233B2 (en) Oxygen absorber and 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same
JP4288755B2 (en) Oxygen absorber, packaging material and packaging container using the same
JP4926697B2 (en) Oxygen absorben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same
JP5143322B2 (en)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gas barrier properties
JP2004161796A (en)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and gas barrier property and packaging material
CN101277761B (en) Oxygen absorbing composition and containers made by using the same
KR20070022159A (en) 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JP4795724B2 (en) Oxygen-absorbing laminate and packaging material
WO2007040168A1 (en) Oxygen absorbent, oxygen-absorbing composition,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laminate and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oxygen-absorbing composition
JP5143321B2 (en) Resin composition having gas barrier properties
JP4296636B2 (en) Oxygen-absorbing resin composition, packaging material, and packaging container
JP4865542B2 (en) Oxygen absorben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oxygen-absorbing composition and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same
JP7115827B2 (en) Resin molding with excellent discoloration resistance
WO2006106780A1 (en) Oxygen-absorptiv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and laminated article produced using the same
JP4600987B2 (en) Oxygen-absorbing container
JP2002145351A (en) Oxygen absorbing plastic container
JP2003012940A (en) Resin composition
KR20170134619A (en) Multilaye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