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791A -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791A
KR20070021791A KR1020050076418A KR20050076418A KR20070021791A KR 20070021791 A KR20070021791 A KR 20070021791A KR 1020050076418 A KR1020050076418 A KR 1020050076418A KR 20050076418 A KR20050076418 A KR 20050076418A KR 20070021791 A KR20070021791 A KR 20070021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exchange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1791A/ko
Publication of KR2007002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파일 전송관련서버 없이 단말 종단간(Peer To Peer) 파일전송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간의 데이터 송수신모드시, 제1 휴대용 단말기가 아이피(IP)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아이피를 포함하는 파일교환정보를 생성하고, 그 파일교환정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작성하여 제2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단문메시지의 파일교환정보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파일교환정보를 포함하면 해당 아이피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아이피를 포함하는 파일교환정보를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SMS의 파일교환정보에 따라 제2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특정 프로토콜의 할당된 아이피를 통해 해당 파일을 송신함과 아울러, 제2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송한 SMS의 파일교환정보에 따른 해당 파일을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FILE IN A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말기#1 11: 제1 Node-B(기지국)
12: 제1 RNC(무선망제어국) 13: MSC(이동전화교환국)
14: SMSC(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 15: 제2 RNC(무선망제어국)
16: 제2 Node-B(기지국) 17: SGSN(패킷교환지원노드)
18: GGSN(패킷관문지원노드) 20: 단말기#2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파일 전송관련서버 없이 단말 종단간(Peer To Peer) 파일전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화기능외에도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ing Sevice)를 제공하여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SMS 뿐만 아니라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서비스한다. 상기 MMS는 단순 문자만을 제공하던 SMS의 단문메시지와 함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한다.
종래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전송은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E-mail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에 파일을 첨부하여 전송하였다.
예를 들어,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해당 파일을 MMS를 통해 전송하고자하면, MMS 서비스를 선택한후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선택된 파일을 이동통신 서버를 통해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나, 종래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은 E-mail 혹은, MMS에 파일을 첨부하여 전송하여야 할 경우, E-mail서버, MMS서버를 이용해야 하므로, 첨부할 수 있는 파일의 개수와 전송할 수 있는 용량에 제한이 있었다. 이에, 추가적으로 파일을 전송 혹은 수신하는데 다소 시간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동통신망에서 파일 전송관련서버 없이 단말 종단간 파일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간의 데이터 송수신모드시, 제1 휴대용 단말기가 아이피(IP)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아이피를 포함하는 파일교환정보를 생성하고, 그 파일교환정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작성하여 제2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단문메시지의 파일교환정보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파일교환정보를 포함하면 해당 아이피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아이피를 포함하는 파일교환정보를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SMS의 파일교환정보에 따라 제2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특정 프로토콜의 할당된 아이피를 통해 해당 파일을 송신함과 아울러, 제2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송한 SMS의 파일교환정보에 따른 해당 파일을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에 따른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단말기#1(10)은 전원을 온 하면, 음성호(Circuit Service)을 위한 준비과정을 거친후 사용자가 음성호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간의 데이터 송수신모드를 실행하고자 하면, 단말기는 IP를 이동통신망에서 얻어와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패킷 서비스 어테치(PS attach)라고 한다.
이후, 단말기#1(10)은 UDP클라이언트 소켓을 생성하여 후술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UDP는 User Datagram Packet으로서, 인터넷에서 통신하기 위한 기본적인 프로토콜로서, Flow Control(Packet 재전송등의 기능)을 하지않고 단순히 해당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만 하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드는 UDP를 이용하는 파일 전송모드이다.
상기 패킷 서비스 어테치에 의해 IP를 할당받은 상기 단말기#1(10)은 단말기#2(20)측으로 파일교환정보를 담은 SMS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교환정보는 단말의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 수신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파일전송에 사용할 프로토콜(protocol) 종류, 전송할 파일 개수, 전송할 파일 크기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일교환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i=150.150.2.5;t=0195538474;p=tftp;fn=2;fs=1024' 라고 하면,
여기서 i=단말의 IP 어드레스, t=단말의 전화번호, p=단말이 파일전송에 사용할 프로토콜 종류, fn=전송할 파일 개수, fs=전송할 파일크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파일교환정보를 SMS으로 전송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1(10)-->제1 Node-B(기지국)(11)-->제1 RNC(무선망제어국)(12)-->MSC(이동전화교환국)(13)-->SMSC(SMS Center)(14)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SMSC(14)가 단말기#2(20)측으로 SMS 전송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된다.
즉, SMSC(14)-->MSC(13)-->제2 RNC(15)-->제2 Node-B(16)-->단말기#2(20)의 과정을 통해 단말기#2(20)으로 전송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SMS를 수신한 단말기#2(20)는 수신된 SMS의 파일교환정보를 확인한다. 그래서 상기 단말기#2(20)는 단말기#1(10)이 파일을 전송하려고함을 인지한후 패킷 서비스 어테치를 수행하여 자신의 IP주소 등의 정보를 SMS에 실어서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2(20)의 IP정보는 단말기#1(10)이 단말기#2(20)로부터 파일을 수신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정보가 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2(20)에서 단말기#1(10)측으로 전송되는 SMS에도 상기한 파일교환정보가 담겨있다.
이후, 상기 단말기#1(10)이 단말기#2(20)로부터 온 SMS의 내용을 확인한후 단말기#2(20)와의 파일전송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단말기#1(10)과 단말기#2(20)간의 파일 전송 흐름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1(10)<-->제1 Node-B(11)<-->제1 RNC(12)<-->SGSN(패킷교환지원노드)(17)<-->GGSN(패킷관문지원노드)(18)<-->SGSN(17)<-->제2 RNC(15)<-->제2 Node-B(16)<-->단말기#2(20)로 전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여기서 단말기#1(10)가 파일전송을 요구하고, 단말기#2(20)가 단말기#1(10)이 요구하는 해당 파일을 전송한다는 가정에서 후술한다. 또한, 211~217단계는 단말기#1(10)이 주체가 되고, 219~231단계는 단말기#2(20)가 주체가 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11단계에서 단말기#1(10)은 사용자의 키조작이 단말간의 파일을 교환하는 테이터 송수신 모드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데이터 송수신 모드이면, 213단계에서 단말기#1(10)은 IP를 이동통신망에서 할당받기 위한 패킷 서비스 어테치(PS attach)절차를 수행한후, 2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15단계에서 단말기#1(10)은 UDP클라이언트 소켓을 생성한후 217단계로 진행하여 단말기#2(20)와 파일교환을 요구하는 SMS를 단말기#2(20)측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SMS에는 상술한 파일교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면, 219단계에서 단말기#2(20)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SMS에 파일교환정보가 포함되어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파일교환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221단계에서 단말기#2(20)는 파일교환정보를 파싱(parsing)한다.
이후, 223단계에서 단말기#2(20)는 파싱된 정보가 유효한 정보인가를 확인한후 유효한 정보이면, 225단계로 진행하여 패킷 서비스 어테치(PS attach) 절차를 수행한다.
그러나 확인결과 파싱된 정보가 유효한 정보가 아니면, 227단계에서 단말기#2(20)는 단말기#1(10)에게 전송한 SMS의 파일교환정보에 오류가 있음을 SMS로 알린다.
상기 패키서 서비스 어테치 절차수행후, 229단계에서 단말기#2(20)는 UDP클라이언트 소켓을 생성한후 2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31단계에서 단말기#2(20)는 단말기#1(10)측으로 파일교환정보가 포함된 SMS를 송신한다.
이에 233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10)과 단말기#2(20)간의 파일전송은 서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SMS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교환정보에 따른 특정 프로토콜(UDP)에 의해 할당된 아이피를 사용하여 파일을 송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상대 단말기로 바로 파일을 송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일의 개수와 데이터 용량에 상관없이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서버를 필요로 하지않으므로, 통신사업자의 장비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용 단말기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간의 데이터 송수신모드시, 제1 휴대용 단말기가 아이피(IP)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아이피를 포함하는 파일교환정보를 생성하고, 그 파일교환정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작성하여 제2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단문메시지의 파일교환정보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파일교환정보를 포함하면 해당 아이피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아이피를 포함하는 파일교환정보를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SMS의 파일교환정보에 따라 제2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특정 프로토콜의 할당된 아이피를 통해 해당 파일을 송신함과 아울러, 제2 휴대용 단말기측으로 전송한 SMS의 파일교환정보에 따른 해당 파일을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교환정보는,
    단말의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 수신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파일전송에 사용할 프로토콜(protocol) 종류, 전송할 파일 개수, 전송할 파일 크기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로토콜은,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정보를 보낸다는 신호나 받는다는 신호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보내는 쪽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피를 할당받은후 단문메시지 전송전에 특정 프로토콜의 클라이언트 소켓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
KR1020050076418A 2005-08-19 2005-08-19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 KR20070021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418A KR20070021791A (ko) 2005-08-19 2005-08-19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418A KR20070021791A (ko) 2005-08-19 2005-08-19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791A true KR20070021791A (ko) 2007-02-23

Family

ID=4365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418A KR20070021791A (ko) 2005-08-19 2005-08-19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17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6019B (zh) * 2007-10-30 2013-04-24 广州市威宝网络科技有限公司 手机系统的数据文件传输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6019B (zh) * 2007-10-30 2013-04-24 广州市威宝网络科技有限公司 手机系统的数据文件传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86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quality of service modification
JP4071862B2 (ja) データ通信に移動局を参加させ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779077B2 (en) File transmission method in instant messaging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supporting the same
CN101600224B (zh) 无线数据卡支持多个pdp上下文的实现方法及无线数据卡
KR20070048628A (ko) 이동 통신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 접속을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경쟁을 해결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US200601740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ccess network authentication for high rate packet data session
JP2008537868A (ja) カードアプリケーションツールキットにより性能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パラメータを用いて通信セッションの開始を要求する装置及び方法
JP2022543906A (ja) Natトラバーサル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MX2007001440A (es) Metodo para transmitir datos de alta o de baja especificos de la aplicacion y sistema, servidor, y terminal de comunicacion para el mismo.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EP3057280B1 (en) Multiparty call method and apparatus
US20090067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for Communication
WO2009121285A1 (zh) 短消息处理及分析的方法和系统
US20060056381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acket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40177575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n application session, device and corresponding notification
JP5867506B2 (ja) モバイル無線通信デバイス、モバイル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方法。
KR20070021791A (ko) 휴대용 단말기간의 파일 전송방법
KR1009324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에 단문메시지 삽입방법
CA25985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for communication
US201000427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ing dual protocol stacks
CN100362844C (zh) 在码分多址系统中实现网间互联协议传真业务的系统
KR100657624B1 (ko)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및장치
JP2005267014A (ja) サーバ装置
CN113993169B (zh) 数据传输方式的更改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242590B1 (ko)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0886833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착신 품질을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