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1727A -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1727A
KR20070021727A KR1020050076308A KR20050076308A KR20070021727A KR 20070021727 A KR20070021727 A KR 20070021727A KR 1020050076308 A KR1020050076308 A KR 1020050076308A KR 20050076308 A KR20050076308 A KR 20050076308A KR 20070021727 A KR20070021727 A KR 2007002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essage
wireless terminal
data transmission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219B1 (ko
Inventor
길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6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219B1/ko
Priority to US11/495,502 priority patent/US7801095B2/en
Priority to DE602006018835T priority patent/DE602006018835D1/de
Priority to EP06017159A priority patent/EP1755281B1/en
Priority to ES06017159T priority patent/ES2356833T3/es
Publication of KR2007002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2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t the data link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은, 무선 단말과 AP간에 WiFi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 또는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AP가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모드 변경 정보를 비콘, Probe Response, Association Response메시지 임의의 필드에 실어 무선 단말로 전송하고,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모드 변경 정보를 현재 설정된 자신의 데이터 전송 모드와 비교하여 모드를 변경한 후 변경된 모드로 AP에 재 접속을 시도하여 AP와의 WiFi 무선 링크 접속을 수행함으로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단절없이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DETECTING DATA TRANSMISSION MODE OF ACCESS POINT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방법에 대한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방법에 대한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P 20 : 무선 단말
본 발명은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랜(Wireless LAN)이란, 유선 랜의 확장으로 구현된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 무선 주파수 기술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연결 없이 데이터를 공중으로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무선 랜은 무선 중계기 즉, 액세스 포인트(Acess Point: 이하 AP라 칭한다)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연결할 수 있으며, 일반 가정의 경우 AP에 인터넷 공유기능을 접목시켜 인터넷 회선을 공유할 수 있다.
WiFi 단말은, 이러한 무선 랜과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을 접목시킨 것으로서, 무선 랜 환경을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전화기이다.
이와 같은 WiFi 단말이 다른 위치에 있는 단말과 호 접속하기 위해서는 AP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의 소프트 스위치(Soft Switch)와 호 처리를 위한 호 처리 메시지를 교환하여야 한다.
현재 무선 랜에 대한 표준안 802.11은 무선 랜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관한 표준뿐만 아니라 몇가지 보안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다양한 보안 프로토콜을 정의하였다. 이러한 보안 프로토콜의 주요 목적은 AP에서 WiFi 단말 즉,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도청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터가 부정한 방법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부수적으로 무선 랜 시스템에 접근 통제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문제점을 수행하기 위하여 AP에서는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 도청이나 손실 및 변형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모드를 암호화 모드로 변경 하거나, 또는 전송되는 데이터 타입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음성 또는 비디오 트래픽의 쓰루풋(Throughput)을 증대시켜 실시간 전송을 위한 QoS모드로 변경하여 해당 데이터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무선 단말은 AP에서 데이터 전송 모드를 암호화 모드(Encrypt Mode) 또는 QoS모드로 변경한 경우, 사용자는 각각 무선 단말에서 해당 모드로 재 설정하여 단말을 재 실행하거나, 리부트(Reboot)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는 초기 무선 단말이 AP를 스캔하여 해당 모드를 검출하여 접속은 가능하지만 서비스 도중 AP의 모드가 변경되는 이를 감지할 방법이 없어 이루 AP와의 통신이 두절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AP에서 보안 모드 및 QoS 모드 변경시 모드 변경을 무선 단말에서 자동 감지하여 해당 모드로 재 접속함으로써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AP에서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 우, AP는 데이터 전송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한 제1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에 따라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변경된 모드로 상기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위한 제2 메시지를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는, Plaintext 모드, WEP 모드, WPA 모드, QoS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메시지는, 비콘, Probe Response, Association Response 메시지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내 임의의 Information 필드내에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Probe Request,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내 임의의 Information 필드내에 포함한다.
상기 AP와 무선 단말간에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 않은 상태에서, AP가 리스타트를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AP는 비콘 프레임의 임의 Information 필드에 상기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여 무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AP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은, 해당 필드를 파싱하여 변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AP와 무선 단말간에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지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모드가 변경되어 정상 서비스 상태로 리스타트되는 경우 AP는 무선 단말로 비콘 메시지를 전송하고, 비콘 메시지에 따라 무선 단말로부터 Probe Request 메시지 가 수신되는 경우 AP는 Probe Response 메시지의 임의의 Information 필드에 모드 변경 정보를 부가하여 무선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AP로부터 비콘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 단말은 이전에 접속한 AP 로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전에 접속한 해당 AP로부터 모드 변경 정보가 포함된 Probe Response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 단말은, 상기 메시지내 Information 필드를 파싱하여 변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P와 무선 단말간에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 않은 상태에서, AP가 리스타트를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AP는 비콘 프레임의 임의 Information 필드에 상기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여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로부터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은, 상기 모드 변경 정보가 포함된 해당 필드를 파싱하여 변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P와 무선 단말간에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지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모드가 변경되어 정상 서비스 상태로 리스타트되는 경우, AP는 무선 단말로 비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단 말은 비콘 메시지에 따라 이전에 접속한 AP로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무선 단말로부터 Prob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AP는 Probe Response 메시지의 임의의 Information 필드에 모드 변경 정보를 부가하여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로부터 모드 변경 정보가 포함된 Probe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단말은, 상기 메시지내 Information 필드를 파싱하여 변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데이터 전송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한 제1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AP; 상기 AP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에 따라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변경된 모드로 상기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위한 제2 메시지를 상기 AP로 전송하는 무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비콘, Probe Response, Association Response 메시지중 임의의 Information 필드내에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Probe Request,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중 임의의 Information 필드내에 포함한다.
상기 AP는, 무선 단말과의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 않은 상태에서, 리스타트를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비콘 프레임의 임의 Information 필드에 상기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AP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은, 해당 필드를 파싱하여 변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시도한다.
그리고, 상기 AP는, 무선 단말과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지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모드가 변경되어 정상 서비스 상태로 리스타트되는 경우, 무선 단말로 비콘 메시지를 전송하고, 비콘 메시지에 따라 무선 단말로부터 Prob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AP는 Probe Response 메시지의 임의의 Information 필드에 모드 변경 정보를 부가하여 무선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AP로부터 비콘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전에 접속한 AP로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Probe Rwquest 메시지에 따라 이전에 접속한 AP로부터 모드 변경 정보가 포함된 Probe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내 Information 필드를 파싱하여 변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이전에 접속한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보기로 하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10)은, AP(20)와 802.11 규격으로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 는 클라이언트이다. 여기서, 무선 단말은 WiFi 단말 즉, WiFi 핸드셋(Handse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20)은 무선 구간내에서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보안을 위해 WEP(Wireless Equivalent Privacy)모드. WPA(WiFi Protected Access)모드 등의 802.11, 802.11i 및 WiFi 얼라이언스(Alliance)에서 규정한 보안 모드를 지원하게 된다.
또한, 무선 구간의 접속 카테고리(Access Category)에 따라 서로 다른 전송 기회를 부여하여 원하는 액세스 그룹에 대한 전송 우선 순위를 지원하기 위해 802.11e에서 규정한 QoS모드를 지원한다. 상기한 접속 카테고리는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P(10)는 무선 단말(20)과802.11규격으로 접속하여 무선 구간에서의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백본 네트워크(Backbone Network)와 xDSL, LAN으로 접속된다.
AP(10) 역시 무선 구간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시 데이터 보안을 위해 WEP 모드, WPA 모드 등의 802.11, 802.11i 및 WiFi 얼라이언스에서 규정한 보안 모드를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AP(10)는 WiFi 관련 파라미터들의 관리를 위해 웹 기반 관리(Wep based Management)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한 보안 모드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AP(10)는 무선 구간의 접속 카테고리에 따라 서로 다른 전송 기회를 부여하여 원하는 액세스 그룹에 대한 전송 우선순위를 지원하기 위해 802.11e에서 규정한 QoS모드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안 모드와 QoS 모드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
먼저, 보안 모드는 플레인텍스트 모드(Plaintext Mode), WEP 모드, WPA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레인텍스트 모드는, 무선 단말과 AP사이의 무선 구간에서 사용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무선 구간은 무구나 모니터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WEP 모드는, 유선 랜에서 제공하는 것과 유사한 수준의 보안 및 기밀 보호를 무선 랜에 제공하기 위하여 WiFi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보안 프로토콜이다. 유선 랜은 일반적으로 빌딩에 출입하는 것을 통제하는 것과 같이 물리적 보안 절차에 의해 보호될 수 있지만, 무선 랜의 경우에는 특정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무선 파장이 벽체에 의해 한계지어지지 않으므로 이런 보안 방식은 유효하지 않다. WEP는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서 유선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보안 대책에서 제공되는 것과 비슷한 방호를 제정하는 것을 추구한다. 데이터 암호화는 클라이언트와 AP사이의 취약한 무선 링크를 보호하며, 일단 암호화가 취해지면 기밀보호를 확실히 하기 위해 암호보호, 전구간 암호화, VPN 그리고 인증 등과 같은 다른 일반적인 랜 보안 절차들이 시행될 수 있다.
WEP 모드는, 무선 단말(20)과 AP(10)간의 고정된 길이의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게 된다. 동일 AP에 연결된 무선 단말(20)들은 모두 동일한 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일 AP(10)에 접속 단말들간에는 암호화가 크게 의 미가 없게 된다. 즉, 동일 AP(10)에 접속된 단말들간에는 데이터 암호화가 이루어져도 쉽게 해킹이나 변형이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키를 모르더라도 간단한 방법에 의해 키를 도용하여 데이터의 해킹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단점 역시 가지고 있다.
한편, WPA 모드는, WiFi 무선랜 사용자를 위해 개발된 최신 보안 표준 모드이다. WPA는 원래의 WiFi 보안 표준인 WEP보다 개량된 것으로서, 조만간 WEP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WPA는 WEP에 비해 보다 정교환 데이터 암호화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 인증이 다소 불충분했던 WEP와는 달리 완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WEP는 그리 복잡하지 않은 가정용으로는 아직도 유용하지만, 대량의 메시지 흐름으로 인해 암호화키보다 신속하게 발견될 수 있는 기업용에는 충분치 않은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리고 WPA는 암호화 기법으로 TKIP를 사용한다. TKIP는 패킷당 키 할당, 메시지 무결성 확인, 확장 초기화 벡터, 키 값 재 설정 기능등을 포함함으로서 WEP의 약점을 해결한 것이다. 그리고 WPA는 802.1x와 확장 인증 프로토콜인 EAP에 기초하여 강력한 사용자 인증을 제공한다. WPA는 각 사용자를 인증할 때 RADIUS와 같은 중앙 인증 서버를 사용하게 된다.
WPA는 현재 개발되고 있는 보안 표준인 IEEE 802.11i의 부분 집합이라고도 말할 수 있으며, 이와 호환성을 유지하게 될 것이다.
결국, WPA 모드는, WiFi 얼라이언스에서 제안한 산업 표준으로 Resident 사 용자를 위한 WPA-PSK(Pre Shared Key) 방식과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사용자를 위한 인증 기능을 강화한 802.1x/EAP 등이 있다. 암호화 키로서 TKIP를 이용하여 단말과 AP간에 좀 더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서버중 키의 동적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IEEE 802.11e에서 언급하고 있는 QoS 모드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자.
QoS 모드는 WiFi 무선 구간에서 데이터 타입에 따라 차등적으로 전송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의 쓰루풋을 증대시켜 실시간 전송에 목적이 있다. 상대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의 경우 낮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버스트(Burst) 전송에 부합하도록 구현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규격으로는 WME, 802.11e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AP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드 변경시 무선 단말에서 이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
먼저, 암호화 모드 및 QoS 모드(Encrypt/QoS Mode) 변경을 감지하는 방법은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첫 째, 현재 접속된 AP(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암호화 모드 또는 QoS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를 감지하는 방법과, 둘 째, AP와의 연결이 Disconnected 된 상태에서 암호화 모드 또는 QoS 모드를 감지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AP의 파라미터 변경을 하는 관리 화면에서 관련 모드를 변경하게 되면, 이를 적용하기 위해 AP(10)를 리부팅(Reboting)하게 되거나, 소프트 리셋(Soft Reset)을 실시한다. 이 경우 AP에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되는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의 전송이 일정 시간동안 중단되게 된다.
따라서, 무선 단말(20)은 현재 접속된 AP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AP(10)와의 링크가 연결되지 않은 "Disconnected" 상태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Disconnected" 지속 시간은 AP의 파라미터 변경 적용 알고리즘에 따라 다라질 수 있다.
AP(10)와 현재 접속된 상태에서 AP(10)에서의 암호화 또는 QoS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무선 단말(20)에서는 현재 접속된 AP(10)에서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의 "Security/QoS Information " 필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AP(10)에서 모드를 변경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무선 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새로운 모드로 AP(10)에 재 접속을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즉, 무선 단말(20)은 AP(10)로부터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비콘 프레임내의 해당 필드를 파싱(Parsing)해서 파싱된 모드변경 데이터와 무선 단말(20)에 현재 설정된 모드 변경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모드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모드로 AP(10)에 접속을 재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무선 단말(20)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AP(10)가 암호 또는 QoS 모드를 변경한 경우, AP(10)는 비콘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무선 단말(20)로 전송하고, 무선 단말(20)은 AP(10) 로부터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여 AP(10)와 WiFi 링크를 연결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그리고, 무선 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 모듈에서는 이전에 접속하고 있던 AP(10)로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 메시지를 수신한 AP(10)는 무선 단말(20)로 "Probe Response"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AP(10)는 무선 단말(20)로 전송하는 "Probe Response" 메시지 내에 임의의 필드에 모드 변경 정보를 부가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무선 단말(20)은 AP(10)로부터 전송되는 "Probe Response" 메시지 내에 포함된 모드 변경 정보를 즉, "Security/QoS Infirmation Elements"를 감지하여 새로운 암호화 모드로 AP에 재접속을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AP(10)는 무선 단말(20)로 WiFi 링크가 연결된 상태로 변경되면, "Probe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때 까지 주기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AP(10)에서 모드 변경된 모드 변경 정보 즉, Security/QoS Information Element" 는 AP(10)에서 무선 단말(20)로 전송하는 비콘 , Probe Response, Association, Re-association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으며, 각 암호화 모드별 무선 단말(20)로 전송되는 모드 변경 정보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전송될 수 있다.
WEP모드 802.11 Management Type Capability Information의 Privacy Enabled Flag 필드
WPA 모드 802.11 Management Type TIM 정보의 Element 필드 : 0xDD
OUI : 0x00, 0x50, 0xF2, 0x01
WME 모드 802.11 Management Type TIM 정보의 Element 필드 : 0xDD
OUI : 0x00, 0x50, 0xF2,
OUI Type : 0x02
OUI Sub Type: 0x01
즉, AP(10)에서 암호화 또는 QoS 모드변경시 AP는 비콘 , Probe Response, Association, Re-association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단말(20)은 상기 AP(10)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내 상기한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필드를 모니터링하여 모드 변경을 감지하고, 모드 변경에 따라 모드 변경 절차를 수행하여 변경된 해당 모드로 AP(10)에 재접속을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방법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 별로 각각 단계적으로 설명해 보기로 하자.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방법에 대한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무선 단말과 AP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AP가 모드 변경시 이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메시지 흐름도이다. 즉,즉, 도 1은 리스타트가 필요하지 않은 AP에서 모드 변경시 이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와 무선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WiFi 링크 설정상태) 즉, AP에서 모드 변경시 리스타트(Restart)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무선 단말에서의 모드 변경을 감지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AP(10)는 다수의 무선 단말(20)로 비콘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 방법으로 전송한다(S101).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20)은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AP(10)를 탐색하기 위한 "Probe Request" 메시지를 AP(10)로 전송한다(S102).
AP(10)는 무선 단말(20)로부터 "Prob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 APT지 즉,"Probe Response" 메시지를 무선 단말(2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S103).
"Probe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단말(20)은 해당 AP(10)와 링크 설정을 위한 "Association Request"메시지를 AP(10)로 전송하면(S104), AP(10)는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Association Response"메시지를 무선 단말(20)로 전송함으로써 AP(10)와 무선 단말(20)간에 WiFi 링크가 설정(Connected)되게 되는 것이다(S104).
이와 같이 AP(10)와 무선 단말(20)간에 WiFi 링크가 설정된 상태(Connected)암호화 또는 QoS 모드를 변경한 경우, AP(10)는 모드 변경 정보를 무선 단말로(20)로 통보하기 위해 비콘 프레임을 무선 단말(20)로 전송한다. 즉, AP(10)는 비콘 프레임의 Information 필드중 임의의 필드에 모드 변경 정보를 부가하여 무선 단말(20)로 전송한다(S105).
무선 단말(20)은 AP(10)로부터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내 Information 필드를 파싱하여 해당 정보와 기 설정된 이전 모드 정보와 비교한 후, 이전 모드(Old Mode)를 변경하여 새로운 모드(New Mode)로 변경한 후 새로운 모드로 AP(10)에 재 접속을 시도하게 되는 것이다.
즉, 무선 단말(20)은 AP(10)로부터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으로부터 모드 변경이 감지되면, 변경된 모드로 재 접속을 위해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AP(10)는 무선 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Association Response" 메시지를 무선 단말(20)로 전송함으로써, AP(10)와 무선 단말(20)간에 변경된 모드로 WiFi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S106, S107).
(제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방법에 대한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무선 단말과 AP간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AP가 모드 변경시 이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메시지 흐름도이다. 즉, 도 2는 리스타트가 필요한 AP에서 모드 변경시 이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한 메시지 흐름도이다.
먼저, AP(10)와 무선 단말(20)간 WiFi 무선 링크 접속이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AP(10)가 다시 새로운 모드로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 모드 변경 및 리스타트를 수행하는 경우, AP(10)는 무선 단말(20)과의 링크 접속을 위해 비콘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 방법으로 전송하여 무선단말(20)과의 WiFi 링크를 접속하게 된다(S201).
WiFi 링크 접속 상태에서, 무선 단말(20)의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AP(10)로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S202), "Probe Request"메시지를 수신한 AP(10)는 이에 응답하여 "Probe Response" 메시지를 무선 단말(2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AP(10)는 상기 "Probe Response" 메시지의 임의의 Information 필드에 변경된 모드 정보를 부가하여 무선 단말로(20)로 전송하는 것이다(S203).
무선 단말(20)은 AP(10)로부터 전송된 "Probe Response" 메시지의 Information 필드에 부가된 모드 변경 정보를 파싱하여 현재 자신에 설정된 모드 정보와 비교하여 모드 변경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모드변경이 감지되면, 무선 단말(20)은 변경된 모드에 따라 해당 모드로 AP(10)에 재접속하게 된다. 즉, 무선 단말(20)은 AP(10)로부터 모드 변경을 감지하게 되면 링크 접속을 위해 AP(10)로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S204),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AP(10)는 이에 응답하여 "Association Response" 메시지를 무선 단말(20)로 전송함으로써 AP(10)와 무선 단말(20)간에 변경된 모드로 WiFi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2 실시예에서 AP(10)에서 모드 변경시 "Probe Response" 메시지에 모드변경 정보를 부가하여 전송한다고 기재하였으나, 모드 변경 정보는 비콘 프레임에 부가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Association Response" 메시지에 부가하여 전송할 수 도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은, 무선 단말과 AP간에 WiFi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 또는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AP가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모드 변경 정보를 비콘, Probe Response, Association Response메시지 임의의 필드에 실어 무선 단말로 전송하고,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모드 변경 정보를 현재 설정된 자신의 데이터 전송 모드와 비교하여 모드를 변경한 후 변경된 모드로 AP에 재 접속을 시도하여 AP와의 WiFi 무선 링크 접속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은, 무선 단말과 AP간에 WiFi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 또는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AP가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모드 변경 정보를 비콘, Probe Response, Association Response메시지 임의의 필드에 실어 무선 단말로 전송하고,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모드 변경 정보를 현재 설정된 자신의 데이터 전송 모드와 비교하여 모드를 변경한 후 변경된 모드로 AP에 재 접속을 시도하여 AP와의 WiFi 무선 링크 접속을 수행함으로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단절없이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8)

  1.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에 있어서,
    AP에서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AP는 데이터 전송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한 제1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에 따라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변경된 모드로 상기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위한 제2 메시지를 상기 AP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는, Plaintext 모드, WEP 모드, WPA 모드, QoS 모드 중 적 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비콘, Probe Response, Association Response 메시지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 지의 임의의 Information 필드내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Probe Request,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의 임의의 Information 필드내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AP와 무선 단말간에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 않은 상태에서, AP가 리스타트를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AP는 비콘 프레임의 임의 Information 필드에 상기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여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은, 해당 필드를 파싱하여 변 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AP와 무선 단말간에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지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모드가 변경되어 정상 서비스 상태로 리스타트되는 경우 AP는 무선 단말로 비콘 메시지를 전송하고, 비콘 메시지에 따라 무선 단말로부터 Prob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AP는 Probe Response 메시지의 임의의 Information 필드에 모드 변경 정보를 부가하여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비콘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 단말은 이전에 접속한 AP 로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전에 접속한 해당 AP로부터 모드 변경 정보가 포함된 Probe Response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무선 단말은, 상기 메시지내 Information 필드를 파싱하여 변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시도하 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
  9.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에 있어서,
    AP와 무선 단말간에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 않은 상태에서, AP가 리스타트를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AP는 비콘 프레임의 임의 Information 필드에 상기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여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로부터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은, 상기 모드 변경 정보가 포함된 해당 필드를 파싱하여 변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
  10.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에 있어서,
    AP와 무선 단말간에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지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모드가 변경되어 정상 서비스 상태로 리스타트되는 경우, AP는 무선 단말로 비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단말은 비콘 메시지에 따라 이전에 접속한 AP로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무선 단말로부터 Prob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AP는 Probe Response 메시지의 임의의 Information 필드에 모드 변경 정보를 부가하여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AP로부터 모드 변경 정보가 포함된 Probe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단말은, 상기 메시지내 Information 필드를 파싱하여 변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 방법.
  11. 무선랜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데이터 전송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한 제1 메시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AP;
    상기 AP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에 따라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변경된 모드로 상기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위한 제2 메시지를 상기 AP로 전송하는 무선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모드는, Plaintext 모드, WEP 모드, WPA 모드, QoS 모드 중 적 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비콘, Probe Response, Association Response 메시지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의 임의의 Information 필드내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무선랜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Probe Request,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의 임의의 Information 필드내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무선랜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무선 단말과의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 않은 상태에서, 리스타트를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모드를 변경한 경우, 비콘 프레임의 임의 Information 필드에 상기 모드 변경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랜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P로부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은, 해당 필드를 파싱하여 변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 랜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무선 단말과 무선 링크 접속이 이루어지지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모드가 변경되어 정상 서비스 상태로 리스타트되는 경우, 무선 단말로 비콘 메시지를 전송하고, 비콘 메시지에 따라 무선 단말로부터 Probe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AP는 Probe Response 메시지의 임의의 Information 필드에 모드 변경 정보를 부가하여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 랜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AP로부터 비콘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전에 접속한 AP로 Prob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Probe Rwquest 메시지에 따라 이전에 접속한 AP로부터 모드 변경 정보가 포함된 Probe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 시지내 Information 필드를 파싱하여 변경 모드를 감지하고, 현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한 후, 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AP에 전송하여 이전에 접속한 AP와의 무선 링크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랜 시스템.
KR1020050076308A 2005-08-19 2005-08-19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694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308A KR100694219B1 (ko) 2005-08-19 2005-08-19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장치 및 그 방법
US11/495,502 US7801095B2 (en) 2005-08-19 2006-07-31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ata transmission mode of access point in wireless terminal
DE602006018835T DE602006018835D1 (de) 2005-08-19 2006-08-17 Verfahren und System zur Ermittlung des Datenübertragungsmodus eines Zugangspunktes
EP06017159A EP1755281B1 (en) 2005-08-19 2006-08-17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data transmission mode of an access point
ES06017159T ES2356833T3 (es) 2005-08-19 2006-08-17 Método y sistema para la detección del modo de transmisión de datos de un punto de acces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308A KR100694219B1 (ko) 2005-08-19 2005-08-19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727A true KR20070021727A (ko) 2007-02-23
KR100694219B1 KR100694219B1 (ko) 2007-03-14

Family

ID=3731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308A KR100694219B1 (ko) 2005-08-19 2005-08-19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01095B2 (ko)
EP (1) EP1755281B1 (ko)
KR (1) KR100694219B1 (ko)
DE (1) DE602006018835D1 (ko)
ES (1) ES2356833T3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91B1 (ko) * 2007-11-09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사설망(wpan)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7990922B2 (en) 2007-11-09 2011-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device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KR101238325B1 (ko) * 2011-11-15 2013-03-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수의 인프라 구조 기반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스루풋 향상 방법
WO2013073812A1 (ko) * 2011-11-15 2013-05-23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인프라 구조 기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스루풋 향상 방법
KR101466131B1 (ko) * 2012-11-13 2014-11-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수의 인프라 구조 기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스루풋 향상 방법
KR20180039472A (ko) * 2016-10-10 2018-04-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서브프레임 구조 구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1269B2 (en) 2006-07-26 2011-02-01 Symbol Technologies, Inc. Media type access category based channel management for a wireless network
US8331294B2 (en) * 2007-07-20 2012-12-1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among personalized and shared resources with a personalized portable device
SE532731C2 (sv) * 2008-06-16 2010-03-23 Free2Move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kommunikation mellan flera trådlösa enheter
JP4881922B2 (ja) 2008-07-31 2012-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画像入力装置、画像出力装置、無線通信回路、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380401B1 (en) * 2010-02-03 2016-06-28 Marvell International Ltd. Signaling schemes allowing discovery of network devices capable of operating in multiple network modes
JP4929407B1 (ja) 2011-03-09 2012-05-09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08834135B (zh) 2012-06-28 2022-09-06 黄金眼科技有限公司 Aid再分配方法以及用于执行所述aid再分配方法的装置
KR101514966B1 (ko) 2012-06-28 2015-04-2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재할당 방법
CN103582053B (zh) * 2012-07-23 2016-09-1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信道切换方法、装置和系统
US9319902B2 (en) 2012-08-09 2016-04-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b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25754B1 (ko) * 2012-11-01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
US9717005B2 (en) 2012-11-21 2017-07-2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Schemes for connecting to wireless network
TWI649001B (zh) 2013-01-11 2019-01-2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中繼存取點(r-ap)及用於在r-ap中報告端站與r-ap之關聯的方法
WO2013185705A1 (zh) * 2013-01-16 2013-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自动建立无线连接的方法和终端
WO2016026144A1 (zh) * 2014-08-22 2016-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过WPS建立网络连接的方法及移动Wi-Fi设备
US10368310B2 (en) 2017-08-09 2019-07-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 saving in a computing device that includes multiple radios
US10448314B2 (en) * 2017-12-07 2019-10-15 Symbo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itigating connection impact on network infrastructure
KR102443628B1 (ko) * 2017-12-22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443881B2 (ja) * 2020-03-27 2024-03-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2481233B1 (ko) * 2020-11-30 2022-12-27 (주)아이오티뉴테크 LoRa통신에 의한 단말기 및 AP간 데이터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2731A (ja) * 2001-11-16 2003-05-23 Mitsumi Electric Co Ltd 通信装置、ipアドレス取得方法、ローミング方法
EP1324541B1 (en) * 2001-12-26 2007-09-05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6788658B1 (en) * 2002-01-11 2004-09-07 Airflow Network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having split MAC layer
US7224679B2 (en) * 2002-05-10 2007-05-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update of 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 set
US7346772B2 (en) * 2002-11-15 2008-03-18 Cisco Technology, Inc. Method for fast, secure 802.11 re-association without additional authentication, accounting and authorization infrastructure
US20050152305A1 (en) * 2002-11-25 2005-07-14 Fujitsu Limited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self-organizing multi-hop wireless access networks
US20040137905A1 (en) * 2003-01-09 2004-07-15 Docomo Communications Laboratories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scanning in wireless networks
US7295831B2 (en) * 2003-08-12 2007-11-13 3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intrusion detection prevention and security management
US7558960B2 (en) * 2003-10-16 2009-07-07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infrastructure validation of network management frames
KR100735242B1 (ko) * 2003-12-16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연동 정보를전달하고 통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35577B1 (ko) * 2004-08-12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의 적응형 키검색장치 및 방법
JP4414305B2 (ja) * 2004-08-19 2010-02-10 富士通株式会社 中継装置および中継装置の再起動方法並びに中継装置用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ム
US20060149858A1 (en) * 2004-12-30 2006-07-06 Microsoft Corporation Establishing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WUSB) connection via a trusted medium
US7359363B2 (en) * 2005-01-30 2008-04-15 Cisco Technology, Inc. Reduced power auto-configuration
US7596376B2 (en) * 2005-02-18 2009-09-29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acilitating client handoffs in wireless network systems
US7805140B2 (en) * 2005-02-18 2010-09-28 Cisco Technology, Inc. Pre-emptive roaming mechanism allowing for enhanced QoS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s
WO2006118497A1 (en) * 2005-04-29 2006-11-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perator shop selec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91B1 (ko) * 2007-11-09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사설망(wpan)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7990922B2 (en) 2007-11-09 2011-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device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KR101238325B1 (ko) * 2011-11-15 2013-03-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수의 인프라 구조 기반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스루풋 향상 방법
WO2013073812A1 (ko) * 2011-11-15 2013-05-23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인프라 구조 기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스루풋 향상 방법
KR101466131B1 (ko) * 2012-11-13 2014-11-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수의 인프라 구조 기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스루풋 향상 방법
KR20180039472A (ko) * 2016-10-10 2018-04-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서브프레임 구조 구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5281A1 (en) 2007-02-21
ES2356833T3 (es) 2011-04-13
US20070060128A1 (en) 2007-03-15
EP1755281B1 (en) 2010-12-15
KR100694219B1 (ko) 2007-03-14
DE602006018835D1 (de) 2011-01-27
US7801095B2 (en) 201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219B1 (ko)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장치 및 그 방법
US8046583B2 (en) Wireless terminal
US10749749B2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wireless residential access network
CN109219965A (zh) 一种通信方法及相关装置
US73434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utilizing configuration network setup in a WLAN
US200602629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gotiating security parameters for protecting management frames in wireless networks
US20070190973A1 (en)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base station control programs and base station control methods
US8582476B2 (en) Communication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relay method
US201201705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out-of-band delivery of wireless network credentials
US97941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the propagation of ad-hoc networks
US8145131B2 (en) Wireless ad hoc network security
CN113132983B (zh) 智能终端断网重连方法
US202301300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personal wi-fi network
JP2016535560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およびそれぞれのデバイスのリンク回復のための方法
KR100819942B1 (ko) 유무선 네트워크의 검역 및 정책기반 접속제어 방법
US10785703B1 (en) Preventing connections to unauthorized access points with channel switch announcements
JP2006217198A (ja) 複数のレイヤ2機能を備える無線基地局
CN113708951A (zh) 用于实现智能终端设备的自动配网的方法和系统
JP5175898B2 (ja) 無線通信装置、接続解除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28062A (ko) 공중 무선랜 서비스를 위한 무선랜 접속장치간 로밍서비스 방법
US202400806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curely connecting to a local area network
KR100654441B1 (ko) 무선 네트워크 접근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40063035A (ko) 이동 전화망을 이용하는 공중 무선 랜의 접속 인증 방법
JP2005086416A (ja) 秘匿通信システム
KR20130140134A (ko) 무선 네트워크 크리덴셜들의 대역-외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