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377A -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간섭을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제조품 - Google Patents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간섭을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제조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377A
KR20070020377A KR1020067007216A KR20067007216A KR20070020377A KR 20070020377 A KR20070020377 A KR 20070020377A KR 1020067007216 A KR1020067007216 A KR 1020067007216A KR 20067007216 A KR20067007216 A KR 20067007216A KR 20070020377 A KR20070020377 A KR 20070020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d signal
whitening
determining
updated
normalized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우셍 헤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to KR1020067007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0377A/ko
Publication of KR20070020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수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제1 채널 추정치(104)를 이용하여 정규화 잡음 상관치가 결정된다(210). 정규화 잡음 상관치(210)를 이용하여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이 결정된다(212).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212)에 따라 백색화 필터(202)가 수신 신호에 적용된다.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의 동기화 조정이 수행된다(204).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와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사용하여 제1 채널 추정치와 동일한 범위인 제2 채널 추정치가 결정된다(206).
정규화 잡음 상관, 조건부 백색화-필터, 동기화 조정, 제1 채널 추정치, 제2 채널 추정치

Description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제조품{METHOD OF AND APPARATUS FOR NOISE WHITENING FILTER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순화된 백색화 필터링(whitening filtering)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s)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잡음 백색화 필터링에 관한 것이다.
GSM, EGDE(Enhanced Data GSM Evolution) 및 DAMPS(Digital Advanced Mobile Service)에 따라 동작하는 것과 같은 무선 디지털 시분할 다중 액세스(time-division multiple access:TDMA)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기 성능은 종종 간섭(interference)에 의해 제한된다. 간섭은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이웃하는 셀에서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공동-채널 간섭(co-channel interference:CCI)을 발생할 수 있는 반면 인접한 반송파 주파수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인접-채널 간섭(adjacent-channel interference:ACI)을 발생할 수 있다.
ACI는 통상적으로 제1 인접 채널로부터의 간섭에 의해 지배되는데, 그 이유는 제2 인접 채널로부터의 간섭이 수신기 필터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될 (suppressed) 수 있기 때문이다. CCI와 ACI는 통상적으로 유색 잡음(colored noise)으로 나타난다. MLSE(Maximum-Likelihood Sequence Estimation)에 기초하는 수신기 복조기는, 백색 잡음이 존재할 때만 최적이다. 그러므로, 보정되지 않는다면, 유색 잡음은 MLSE에 기초하는 수신기 등화기(equalizer)의 성능을 상당히 저하시킬 수 있다.
유색 잡음을 백색화하는 데에는 1) 암시적-백색화 및 2) 명시적-백색화의 두 가지 주요 접근방법이 있다. 암시적-백색화 접근방법은, 결정 피드백을 갖춘 등화기를 채용할 경우, 소위 프리-필터(즉, 백색화된 정합 필터)에 백색화 기능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결정 피드백 등화기(decision feedback equalizer:DFE) 및 결정 피드백 시퀀스 추정기(decision feedback sequence estimator:DFSE)는 결정 피드백의 실례이다. 암시적-백색화 접근방법은 대응 채널의 범위(span)보다 훨씬 긴 길이를 갖는 프리-필터를 필요로 한다. 이상적인 프리-필터는 반-인과적(anti-casual)이며, 시간에 있어 제한되지 않고, 근사만 될 수 있다. 또한, 프리-필터의 셋업 및 처리는 종종 계산에 있어 비용이 드는데, 그 이유는 프리-필터 셋업에는 전파 채널의 스펙트럼 인수분해(spectrum factorization) 및 채널의 최대/위상 팩터를 역으로 하는 것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도 1은 예시적인 명시적-백색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는 종속 관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변수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6026035523-PCT00001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02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03
훈련 시퀀스(training sequence)
Figure 112006026035523-PCT00004
동기화 위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05
n 탭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06
n+m 탭의 업데이트된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07
잡음 상관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08
백색화 필터 계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09
기호 추정치(symbol estimate)
명시적-백색화 프로세스(100)는 동기화 블록(102)에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10
의 버스트 동기화(burst synchronization)로 시작된다.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11
은 또한 채널 추정 블록(104), 잡음 상관 블록(106) 및 백색화 필터 블록(110)에 입력된다. 동기화 블록(102)은 채널 추정 블록(104)에 동기화 위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12
를 출력한다. 채널 추정 블록(104)에서 n-탭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13
이 계산되고, 이것은 잡음 상관 블록(106)에 출력된다. 잡음 상관 블록(106)에서 잡음 표본들의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이 수행된다. 잡음 상관 블록(106)은 백색화-필터-설정 블록(108)에 잡음 상관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14
를 출력한다. 백색화-필터-설정 블록(108)에 의해 결정된 백색화-필터 설정은 백색화-필터 블록(110)에 입력된다.
잡음 상관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15
를 이용하여 율-워커 방정식(Yule-Walker equation)의 해를 얻기 위해 백색화-필터-설정 블록(108)이 적용될 수 있다. 백색화 필터 블록(110)의 출력은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16
이다.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17
에 대한 채널은 길이가 n탭 인데 비해,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18
에 대한 복합 채널(composite channel)은 그 길이가 n+(m+1)-1=n+m 탭이다. 백색화 필터 블록(110)에 의해 출력된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19
는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20
과 백색화-필터 블록(110)의 백색화 필터의 콘볼루션(convolution)이다.
채널 추정 블록(112)에서 제2 채널 추정치가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일반화 최소 제곱(generalized least square:GLS)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채널 추정치는, 백색화 필터 블록(110)의 지식을 활용한다. 등화기(114)에 입력될 복합 채널에 관한 더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2 채널 추정이 수행된다. 등화기(114)는 입력으로서, 채널 추정 블록(112)의 n+m 탭의 업데이트된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21
와 백색화-필터 블록(110)의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22
를 수신한다. 등화기(114)는 기호 추정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23
를 출력한다.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24
에 대한 복합 채널은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25
에 대한 채널의 탭의 수에 비해 더 많은 수의 탭을 지닌다. MLSE 등화기(예를 들어 등화기(114))의 복잡도는 복합-채널 범위(span)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GSM의 가우스 최소 편이 변조(Gaussian minimum shift keying:GMSK)와 같은 이진 변조의 경우, 비터비 알고리즘(Viterbi algorithm)을 이용하는 MLSE 등화기는 2n-1개의 상태를 가지며, 여기서 n는 채널 범위이다. 따라서, 프로세스(100)를 구현하기 위해 전체 MLSE 등화기는 반드시 2n+m-1개의 상태를 가져야만 한다.
백색화 필터 블록(110)이 2차 FIR 필터만큼 짧더라도, 등화기(114)는 채널 범위의 확장으로 인해 여전히 4배 더 복잡할 것이다. 또한, 차수 재귀(order recursion)로 또는 차수 재귀 없이 율-워커 방정식을 직접 푸는 것은, 잡음 자기상관 및 특히 더 큰 래그(lag)의 구성요소가 강한 ACI 간섭에서의 잡음 추정 오류로 인해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강한 인접 채널 간섭이 있는 채널 상태에서 항상 최적은 아니다.
이러한 결점 및 기타 결점은 단순화된 백색화 필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극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 신호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수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제1 채널 추정치를 이용하여 정규화 잡음 상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규화 잡음 상관을 이용하여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conditional whitening-filter setting)이 결정된다.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에 따라 백색화 필터가 수신 신호에 적용된다. 이 적용 단계는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산출한다.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의 동기화 조정이 수행된다. 동기화 조정의 수행 단계는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를 산출한다.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 및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채널 추정치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신 신호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는 수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제1 채널 추정치를 이용하여 정규화 잡음 상관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정규화 잡음 상관을 이용하여 추가의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에 따라 수신 신호에 백색화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산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의 동기화 조정을 수행하여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 및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 신호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조품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이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된 프로세서 명령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명령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판독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수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제1 채널 추정치를 이용하여 정규화 잡음 상관을 결정하도록 동작하게 한다. 프로세서 명령어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정규화 잡음 상관을 이용하여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고, 이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에 따라 백색화-필터를 수신 신호에 적용하여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산출하도록 동작하게 한다. 프로세서 명령어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의 동기화 조정을 수행하여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를 산출하고, 이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 및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도록 동작하게 한다.
도 1은 상술되었고, 예시적인 명시적-백색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는 예시적인 명시적-백색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기지국과 통신하는 예시적인 GSM EDGE-호환가능한 이동국을 도시하는 도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더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장치 및 방법은 GSM 이동국의 문맥에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범위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예제에 한정하도록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또한 통신 시스템의 수많은 기타 유형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예시적인 명시적-백색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은 종속 관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변수들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6026035523-PCT00026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27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28
훈련 시퀀스
Figure 112006026035523-PCT00029
동기화 위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30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31
n 탭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32
n 탭의 업데이트된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33
정규화 잡음 상관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34
백색화 필터 계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35
기호 추정치
명시적-백색화 프로세스(200)는 동기화 블록(102)에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36
의 버스트 동기화로 시작된다.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37
은 또한 채널 추정 블록(104), 정규화 잡음 상관 블록(210) 및 백색화-필터 블록(202)에 입력된다. 동기화 블록(102)은 채널 추정 블록(104)에 동기화 위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38
를 출력한다. 채널 추정 블록(104)에서 n-탭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39
가 계산되고, 이것은 정규화 잡음 상관 블록(210)으로 출력된다. 잡음 상관 블록(210)에서 잡음 표본들의 자기상관이 수행된다. 잡음 상관은 추정된 채널 탭의 전체 에너지의 역과 균형을 이룸으로써 정규화된다. 정규화 잡음 상관 블록(210)은 조건부 백색화-필터-설정 블록(212)에 정규화 잡음 상관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40
를 출력한다. 정규화 잡음 상관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41
는 반송파-대-간섭(carrier-to-interference:C/I) 비 정보를 포함한다(carry). C/I가 그리 크지 않은 넓은 영역에서, 잡음 상관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42
의 제2 래그 넘어서는 잡음 상관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43
의 제거는 차수 재귀 계산 및 비-차수 재귀 계산 둘 다에서 조건부 백색화-필터-설정 블록(212)에 의해 수행되는 계산을 단순화하고, ACI 채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잡음 자기상관의 래그를 억제함으로써 필터가 더 짧아지고(즉, 더 작은 수의 탭), 이어서 더 높은 차수의 필터에 대해서는 행렬 계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계산이 더 단순해진다.
조건부 백색화-필터-설정 블록(212)은 정규화 잡음 상관 블록(210)에 의해 출력되는 정규화 잡음 상관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44
를 활용한다. 추정된 정규화 잡음 전력과 동등한 0 래그는 더 높은 차수의 래그가 사용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잡음 표본이 상관되지 않으면, 잡음은 이미 백색이며, 따라서 백색화가 필요하지 않다(즉, 백색화 필터에 단 하나의 탭 a0이 있음). 제1-차수 백색화 필터가 충분한 경우, 대부분의 자기상관이 인접한 잡음 표본으로부터 생기는지, 더 멀리 있는 표본으로부터 생긴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테스트가 수행된다. 억제는 추정된 정규화 잡음 전력에 따라 온과 오프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의 의사-코드는 하나의 실수 계수 a0=1과 두 개의 복소수 계수 a1 및 a2를 갖는 FIR(finite impulse response)인 제2-차수 백색화 필터에 대한 예시적인 차수-재귀 백색화-필터 설정을 보여주고 있다.
Figure 112006026035523-PCT00045
은 스위치 임계값을 나타내고 //은 코드가 아닌 코멘트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26035523-PCT00046
조건부 백색화-필터-설정 블록(212)에 의해 결정된 백색화-필터 설정은 백색화-필터 블록(202)에 입력된다. 백색화 필터 블록(202)의 출력은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47
이다.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48
는 백색화-필터 설정에 따라 백색화-필터 블록(202)에 의해 필터링되어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49
를 생성한다. 동기화-조정 블록(204)은 백색화 필터 블록(202) 후에 동기화 위치를 조정한다. 동기화-조정 블록(204)에 의한 동기화 위치의 조정으로 인해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도시된 복합-채널 범위 확장을 피할 수 있다. 동기화-조정 블록(204)은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유색 잡음의 동기화를 바로잡도록 기능하고, 소형 복합 채널(즉,
Figure 112006026035523-PCT00050
)이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51
의 에너지 대부분을 커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의 배치는 백색화 필터 후에 바뀔 수 있다. 동기화-조정 블록(204)에 의해 수행되는 동기화 조정은, 동기화 블록(102)의 동기화 윈도우보다 더 좁은 동기화 윈도우를 갖는 제2 동기화로 간주될 수 있다.
동기화-조정 블록(204)에 의한 동기화 조정 후에, 채널 추정 블록(206)에서 제2 n-탭 채널 추정치가 생성된다. 더 일반적인 사례는 제2 채널 추정치가 l-탭인 경우이다(이때 n≤l〈n+m). 백색화 필터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상적으로 채널 추정 블록(206)에 의한 계산적으로 더 효율적인 최소 제곱(LS) 추정치면 충분하다. 등화기(208)에 입력될 더 정확한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2 채널 추정이 수행된다. 등화기(208)는 채널 추정 블록(206)으로부터 n 탭의 업데이트된 채널 추정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52
와 백색화-필터링 블록(202)으로부터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53
를 입력으로 수신한다. 등화기는 기호 추정치
Figure 112006026035523-PCT00054
를 출력한다.
프로세스(200)는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
Figure 112006026035523-PCT00055
에 대해 복합 채널의 탭의 수에 있어서의 확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GSM의 GMSK와 같은 이진 변조의 경우, 비터비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MLSE 등화기는 2n-1개의 상태를 갖는다(여기서 n은 채널 범위임). 프로세스(200)를 구현하기 위해, 전체 MLSE 등화기는 단지 2n-1개의 상태만을 가지면 된다. 따라서, 더 작은 수의 상태를 갖는 더 단순한 등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기지국과 통신하는 예시적인 GSM EDGE-호환가능한 이동국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동국(300)은 최대 384 kbit/s의 속도로 신 뢰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이동국(300)은 송신기(302)와 수신기(304)를 포함하며, 이들은 신호 처리 회로 소자(306), 기저대역 코덱(308) 및 RF 회로 소자 섹션(310)으로 나뉘어진다.
송신 방향에서, 신호 처리 회로 소자(306)는 송신기(302)에서 기지국(312)으로 채널(314)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를 보호하도록 기능한다. 사용자 데이터(318)를 보호하기 위해, 순환 중복 코드(cyclic redundancy code:CRC) 생성, 콘볼루션 코딩(convolutional coding), 인터리빙(interleaving) 및 버스트 어셈블리(burst assembly)를 포함하여 채널 코딩 블록(316)에 의해 수행되는 몇몇 프로세스가 사용된다. 그 결과로 생기는 데이터는 버스트로 어셈블링되고, 그래서 버스트의 중간에 부가되는 훈련 시퀀스 미드앰블(midamble)외에 가드(guard) 기호 및 트레일(trail) 기호가 부가된다. 사용자 데이터(318)와 시그널링 정보는 둘 다 동일한 처리를 통과한다. 어셈블된 버스트는 변조기(320)에 의해 변조된다.
수신 방향에서, 복조기(322)를 이용하여 기저대역 코덱(308)의 출력이 복조된다. 신호 처리 회로 소자(306)의 채널 디코딩 블록(324)에 의해 수행되는 몇몇 프로세스가 복조기(322)의 복조된 출력에 적용된다. 수행된 프로세스로는 버스트 디어셈블리,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간섭 감소, 등화(equalization),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콘볼루션 디코딩 및 CRC 검사가 있다. 채널 디코딩 블록(324)은 통상적으로 프로세스(200)를 수행하는 엔티티이다. 그러나, 프로세스(200)가 복조기(322)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라 한다면, 간섭 제거(rejection) 및 등화는 또 한 복조기(322)의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기저대역 코덱(308)은 송신 데이터와 수신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digital-to-analog:D/A) 변환기(326)와 아날로그-디지털(analog-to-digital:A/D) 변환기(328)를 통해, 각각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D/A 변환기(326)는 아날로그 기저대역 I 및 Q 신호를 RF 회로 소자 섹션(310)의 송신기(330)에 제공한다.
수신 방향에서는, 기지국(312)에 의해 송신된 신호가 채널(314)을 통해 수신기 회로 소자(332)에서 수신된다. 수신기 회로 소자(33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 I 및 Q가 A/D 변환기(328)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 다시 변환된다. A/D 변환기(328)로부터의 I 및 Q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은 채널 디코딩 블록(324)으로 입력되기 전에 복조기(322)에 의해 필터링되고 복조된다. 이후 신호 처리 회로 소자(306)에 의해 수행되는 몇몇 프로세스가 복조기(322)의 복조된 출력에 적용된다.
이동국(300)은 또한 예를 들어 동기화, 주파수 및 시간 획득 및 수신 신호 강도의 추적, 모니터링, 측정과 같은 기타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기능으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이동국(300)과 네트워크 간의 시그널링, SIM 인터페이스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동국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기지국과 같은 다른 엔티티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집적 회로 또는 칩 세트, 무선 구현 및 수신기 시스템 제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본 발명의 복조 기술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동작한다. 소프트웨어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unit) 내의 자기 디스크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하도록 적응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플래시 메모리 카드, EEPROM 기반 메모리, 버블(bubble) 메모리 기억 장치, ROM 기억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수행하도록 적응된 소프트웨어는 또한 그 전체 또는 그 일부가, 프로세서 내의(즉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의 메모리 내의) 펌웨어에 또는 동적 주 메모리 또는 정적 주 메모리에 또한 상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또한 집적 회로, 현장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s), 칩 세트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ASICs), 무선 구현 및 기타 통신 시스템 제품의 구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전술된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각종 재배열, 수정 및 대체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3)

  1.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제1 채널 추정치를 이용하여 정규화 잡음 상관치(normalized noise correlate)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치를 이용하여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conditional whitening-filter setting)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에 백색화 필터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적용 단계는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산출함-;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의 동기화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를 산출함-; 및
    상기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와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의 동기화 조정의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제1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의 동기화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등화하여 기호 추정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는, 정규화 잡음 전력이 임계값보다 크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n번째 래그 이상의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치를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n은 음이 아닌 정수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의 0 래그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의 결과에 응답하여, 더 높은 차수의 래그가 고려되어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치의 제1 래그의 절대값의 제곱이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어떠한 백색화 필터링도 설정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의 제1 래그의 절대값의 네제곱이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1-차수 백색화 필터링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의 절대값의 제곱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지 않고,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의 절대값의 네제곱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2-차수 백색화 필터링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 및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널 추정치와 동일한 범위(span)의 제2 채널 추정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제1 채널 추정치를 이용하여 정규화 잡음 상관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치를 이용하여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된 신호에 백색화 필터를 적용하여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산출하기 위한 수단;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의 동기화 조정을 수행하여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와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의 동기화 조정의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의 제1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의 동기화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등화하여 기호 추정치를 산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정규화 잡음 전력이 임계값보다 크다는 판정에 응답하여 n번째 래그 이상의 상기 정규화 상관치를 억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n은 음이 아닌 정수인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치의 0 래그를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더 높은 차수의 래그가 고려되어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치의 제1 래그의 절대값의 제곱이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그 어떠한 백색화 필터링도 설정하지 않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의 제1 래그의 절대값의 네제곱이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1-차수 백색화 필터링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치의 절대값의 제곱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작지 않고,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치의 절대값의 네제곱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제2-차수 백색화 필터링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 및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채널 추정치와 동일한 범위의 제2 채널 추정치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GSM과 호환가능한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GSM과 호환가능한 장치.
  23.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조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된 프로세서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명령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판독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하의 단계들은,
    상기 수신 신호 및 상기 수신 신호의 제1 채널 추정치를 이용하여 정규화 잡음 상관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정규화 잡음 상관치를 이용하여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조건부 백색화-필터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된 신호에 백색화 필터를 적용하여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의 동기화 조정을 수행하여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동기화 위치와 상기 업데이트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채널 추정치를 결정하는 단계
    인 제조품.
KR1020067007216A 2003-10-14 2004-10-08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간섭을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제조품 KR20070020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7216A KR20070020377A (ko) 2003-10-14 2004-10-08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간섭을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제조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84,598 2003-10-14
KR1020067007216A KR20070020377A (ko) 2003-10-14 2004-10-08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간섭을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제조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377A true KR20070020377A (ko) 2007-02-21

Family

ID=4365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216A KR20070020377A (ko) 2003-10-14 2004-10-08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간섭을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제조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03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3911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noise whitening filtering
US6944245B2 (en) Multi-pass interference reduction in a GSM communication system
EP1569399B1 (en) Single-antenna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iver with improved decision feedback for GSM systems
JP4874980B2 (ja) 反復的な前進−後進パラメータ推定
US200502504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MLSE in the presence of co-channel interferer for GSM/GPRS systems
US6044111A (en) Equalizer with a sequence estimation method with state reduction for a receiver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9037187B2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iver and method
US6674820B1 (en) Receiv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ceiving communication signals subject to colored noise
EP0731567B1 (en)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or and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ing method
JP2008532354A (ja) 向上されたブロック等化を提供する無線通信装置及び関連する方法
CA2516910A1 (en) Joint demodulation techniques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JP4621684B2 (ja) 反復的な干渉推定および時空間的白色化による単一アンテナ干渉除去
CA2526757A1 (en) Decision feedback equalizer with combined cck encoding-decoding in feedback filtering
US70924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rejection
JP3424723B2 (ja) 適応等化器
Hart et al. Innovations-based MAP detection for time-varying frequency-selective channels
US7269226B2 (en) Data processing method
KR20070020377A (ko) 수신 신호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간섭을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제조품
JP3007228B2 (ja) 最尤系列推定器
US20060093073A1 (en) Signal receiver
Gu et al. An effective lms equalizer for the gsm chipset
EP15557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tree pruning in a multiuser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