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531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531A
KR20070019531A KR1020060029136A KR20060029136A KR20070019531A KR 20070019531 A KR20070019531 A KR 20070019531A KR 1020060029136 A KR1020060029136 A KR 1020060029136A KR 20060029136 A KR20060029136 A KR 20060029136A KR 20070019531 A KR20070019531 A KR 20070019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l
location tracking
location
periodic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877B1 (ko
Inventor
심동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60029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7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6800237468A priority patent/CN101213772B/zh
Priority to EP06783560.3A priority patent/EP1920543B1/en
Priority to PCT/KR2006/003136 priority patent/WO2007018409A1/en
Priority to CA2609152A priority patent/CA2609152C/en
Priority to US11/501,885 priority patent/US7627332B2/en
Priority to BRPI0613596-0A priority patent/BRPI0613596A2/pt
Priority to MX2007015564A priority patent/MX2007015564A/es
Priority to JP2008516765A priority patent/JP2008547263A/ja
Publication of KR2007001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77B1/ko
Priority to US12/581,847 priority patent/US7869818B2/en
Priority to US12/581,839 priority patent/US7873373B2/en
Priority to US12/581,830 priority patent/US7877102B2/en
Priority to US12/581,836 priority patent/US786981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UPL에 기반한 위치정보 시스템에서의 위치추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기적인 위치추적을 발생하는 트리거(Trigger)를 각각 위치서버 및 단말이 관장하는 경우에 상기 위치서버를 통한 주기적인 위치추적 요청 또는 단말을 통한 주기적인 위치추적 요청을 처리하는 주기적인 위치추적 수행방법을 제공한다.
SUPL, 위치측정, 주기적인 위치추적, 지역 이벤트, 위치정보 시스템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PERIODIC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인(periodic) 위치추적 절차로서, Network-trigged 및 Network-initiated case에서의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eriodic 위치추적 절차로서, 제1실시예에 비하여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eriodic 위치추적 절차로서, Network-trigged 및 SET-initiated case 에서의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eriodic 위치추적 절차로서, 제3실시예에 비하여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eriodic 위치추적 절차로서, SET-trigged 및 Network-initiated case 에서의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periodic 위치추적 절차로서, 제5실시예에 비하여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periodic 위치추적 절차로서, 새로운 메시지를 이용하여 트리거 정보를 SET로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periodic 위치추적 절차로서, SET- trigged case 및 SET-initiated case 에서의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인 위치추적 절차로서, 제8실시예에 비하여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 기반의 위치정보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Periodic) 위치 추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한 관련 기능부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의 위치를 일정 개체(entity)에 전달하는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위치 서비스와 관련된 네트워크의 구조는 3GPP나 3GPP2 등의 내부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상이하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단말이 속한 셀의 ID를 전달하는 셀-ID 방식, 단말로부터 각 기지국으로의 전파 도달 시간을 측정한 후 삼각측량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 및 GPS를 이용한 방법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의치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그널링과 위치정보가 이동 단말과 위치 서버간에서 전달 되어야 한다. 따라서, 최근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화된 위치 기술들(Positioning technologies), 즉 이동 단말의 위치에 기초한 위치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상기 위치 기술들은 통상 사용자 평면(User Plane)과 제어평면 (Control Plane) 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기술들의 일 예로서 사용자 평면을 통해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이 알려지고 있다.
상기 SUPL은 이동국의 위치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효율적인 방법으로서, GPS assistance와 같은 위치 assistance 정보를 전달하고, 이동 단말과 네트워크사이에서 위치 기술 관련 프로토콜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자 평면 데이터 베어러(bearer)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위치 서비스와 관련된 SPUL 네트워크는 크게 SUPL 에이전트(Agent), SLP(SUPL Location Platform) 및 SET(SUPL Enabled Terminal)등을 포함한다. 상기 SUPL 에이전트는 실제 측정된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논리적(logical)인 서비스 억세스 포인트를 나타내며, 상기 SLP는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네트워크 자원들을 억세스하는 네트워크내의 SUPL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상기 SET는 SUPL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SUPL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소자로서, 예를들어 UMTS의 UE(User Terminal), GSM의 MS(Mobile Station),IS-95 MS 또는 SET 기능이 내재된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나 PDA 등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SET는 WLAN을 통해 접속하는 다양한 이동 단말기 일 수도 있다.
상기 SET는 사용자 평면 베어러(Bearer)를 통하여 네트워크와 연동되어 SUPL에서 정의하는 절차들을 지원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원래 등록한 네트워크를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라고 하고, 사용자가 이동하여 홈 네트워크 영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 위치하였을 때 해당 지역의 네트워크를 방문 네트워크(Visited Network)라고 명명한다. 또한, 상기 홈 네트워크내의 SLP를 H-SLP (Home-SLP)로 방문 네트워크내의 SLP를 V-SLP (Visited-SLP)로 지칭한다. 이때 네트워크에서 SUPL 절차를 시작하는 경우 외부 클라이언트가 처음 접속하는 SLP를 R-SLP(Requesting SLP)라고 하며, 이는 논리개체(logical entity)로서 상기 H-SLP와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아울러 현재 위치 추적을 목표로 하는 SET를 목적(target) SET로 정의한다.
상기 네트워크 요소인 SLP는 실제로 위치(location)를 계산하는 개체인 SPC (SUPL Positioning Center)와 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이외의 SLP의 역할, 예를 들어 로밍(Roaming), 자원관리(Resource Management)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SLC (SUPL Location Center)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SET는 SLC를 거쳐 SPC와의 통신을 통하여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도 있고(Proxy mode), 상기 SPC와 바로 접속하여 위치정보를 계산할 수도 있다(Non-proxy mode).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SUPL에 기반한 즉각적인(Immediate) 위치 추적 방법은 제안하고 있지만 SUPL에 기반한 주기적인(Periodic) 위치 추적에 대해서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SUPL에 기반한 주기적인(Periodic) 위치 추적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주기적인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위치서버가 단말로 SUPL 초기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서버가 기정된 트리거 정보에 따라 각 위치추적 주기마다 단말로 위치추적의 시작을 알려주는 과정과; 상기 위치서버와 단말이 위치측정을 위한 연속적인 메시지를 교환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단말의 위치값을 위치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추적의 시작은 SUPL 트리거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UPL 초기화 메시지는 주기적인 위치 추적의 주기 및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위치 계산이 단말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단말이 SUPL 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서버로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상기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상기 위치서버는 매 주기의 끝에서 단말로 SUPL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종료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단말이 위치서버로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트리거 정보에 따라 위치서버가 각 위치추적 주기마다 단말로 위치추적의 시작을 알려주는 과정과; 상기 단말과 위치서버가 위치측정을 위한 연속적인 메시지를 교환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리거 정보는 SUPL 시작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UPL 시작 메시지는 세션 ID, 위치보고의 정확도, SET capabilities 및 트리거 이벤트등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주기적인 위치 추적의 주기 및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추적의 시작은 SUPL 트리거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바람직하게, 상기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위치 계산이 위치서버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위치서버가 SUPL 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로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상기 위치서버는 매 주기의 끝에서 단말로 SUPL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종료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단말의 주기적인 위치추적이 요청되 면 위치서버가 해당 단말로 트리거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트리거 정보에 따라 단말이 각 위치추적 주기마다 위치서버로 위치추적의 시작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위치서버와 단말이 위치측정을 위한 연속적인 메시지를 교환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단말의 위치값을 위치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리거정보는 SUPL 초기화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며, 상기 트리거정보는 주기적인 위치 추적의 주기 및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추적의 시작은 SUPL 위치 초기화 메시지를 통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위치 계산이 단말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단말이 SUPL 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서버로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상기 위치서버는 매 주기의 끝에서 단말로 SUPL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종료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주기적인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위치서버가 단말과 SUPL절차를 초기화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위치서버와 SUPL세션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서버가 단말로 트리거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 송된 트리거 정보에 따라 단말이 각 위치추적 주기마다 위치서버로 위치추적의 시작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위치서버와 단말이 위치측정을 위한 연속적인 메시지를 교환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단말의 위치값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리거정보는 SUPL 트리거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며,상기 트리거정보는 주기적인 위치 추적의 주기 및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추적의 시작은 SUPL 위치 초기화 메시지를 통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위치 계산이 단말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단말이 SUPL 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서버로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단말이 위치서버로 SUPL 시작 메시지를 전송하여 SUPL세션을 시작하는 과정과; 기 저장된 트리거 정보에 따라 단말이 각 위치추적 주기마다 단말로 위치추적의 시작을 알려주는 과정과; 상기 단말과 위치서버가 위치측정을 위한 연속적인 메시지를 교환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UPL 시작 메시지는 세션 ID, 위치보고의 정확도, SET capabilities 및 트리거 이벤트등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주기적인 위치 추적의 주기 및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추적의 시작은 SUPL 위치 초기화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위치 계산이 위치서버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위치서버가 SUPL 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로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상기 위치서버는 매 주기의 끝에서 단말로 SUPL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종료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SUPL 네트워크에서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되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SUPL에 기반한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주기적인(Periodic) 위치 추적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주기적인 위치추적을 발생하는 트리거(Trigger)를 각각 서버 및 단말이 관장하여 주기적인 위치추적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SUPL에 기반의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치 서비스는 네트워크에 의한 서비스(Network-initiated case)와 SET에 의한 (SET-initiated case)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서비스는 SET가 홈 네트워크의 H-SLP와 직접 메시지를 교환하여 측위 절차를 수행하는 Proxy mode와, SET가 H-SLP내의 SLC(SUPL Location Center) 및 SPC(SUPL Positioning Center)와 메시지를 교환하여 측위 절차를 수행하는 Non-Proxy mode로 구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리거(Trigger) 정보를 관리하는 주체에 따라 주기적인 위치추적을 Network-trigged case 또는 SET-triggered case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서비스를 네트워크에 의한 서비스(Network-initiated case)와 SET에 의한 (SET-initiated case) 서비스로 다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인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Non-Roaming Proxy모드의 Network-trigged case 및 Network-initiated case이다. 이때, SLP는 홈 네트워크측, 목적 SET(이하 SET로 약칭함)는 단말측에 각각 해당한다.
외부의 LCS 클라이언트로부터 주기적인(Periodic) 위치 추적이 요청되면, SUPL에이전트는 MLP(Mobile Location protocol) TLRR(Triggered Location Reporting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SLP로 위치 추적을 요청한다(S10).
상기 MLP TLRR메시지에는 ms-id, client-id, QoP 및 tlrr_event등의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ms-id는 위치추적 대상(SET)을 나타내고, QoP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위치결과의 정확도(시간적인 delay 및 공간적인 정확도)를 나타내며, 상기 tlrr_event는 periodic의 정의 즉, periodic 위치 추적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e.g., 오전 8시부터 10까지) 및 상기 periodic 위치 추적의 요청주 기(e.g., 1시간간격)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MLP TLRR메시지는 부가적으로 위치 추적 값의 type(현재 값인지 현재 값 추적이 어려울 경우 가장 최근에 추적한 값인지 등을 표현) 및 위치 요청이 여러개일 경우에 각 위치 추적 요청에 대한 우선도(Priority)를 설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MLP TLRR메시지를 수신한 SLP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SET가 SUPL을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 SET가 현재 SUPL 로밍 (roaming)되었는지 확인한다(S11).
확인결과 상기 SET가 SUPL을 지원하고 현재 로밍(roaming)되지 않은 경우 SLP는 SET로 SUPL 초기화 메시지(SUPL INIT)를 전송하여 SET와 SUPL 절차를 시작한다(S12). 상기 SUPL INIT 메시지는 적어도 session-id, SLP mode, SUPL mode, 사용할 positioning 방법 (posmethod)등의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SLP mode는 SLP의 동작모드(Proxy mode 또는 Non-Proxy mode)를 나타내고, 상기 SUPL mode는 위치추적의 종류(immediate, periodic, deferred)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SLP는 상기 과정(S11)를 수행하기 이전에 SET의 프라이버시 (privacy)를 확인하는데, 만약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와 관련된 통지(notification)가 필요한 경우에는 MLP TLRR 메시지내에 통지 파라미터가 추가로 포함시킨다.
따라서, 상기 SLP는 SUPL INIT 메시지 안에 주기적인 트리거 정보(periodic trigger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데 이 파라미터를 통해 SET에게 periodic 위치 추적에 대한 정보와 SLP 주도(Network-trigged case)로 해당 위치 추적이 실시됨을 알려준다. 이때, 상기 SUPL INIT 메시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ush 또는 메시지 SMS(short message service) 트리거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protocol) Push등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SUPL INIT 메시지를 수신한 SET는 자신이 현재 어떤 망에도 데이터 접속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3GPP 혹은 3GPP2)로 데이터 접속을 요청한다(S13). 일단 데이터 접속이 설정되면, SET는 SUPL INIT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된 트리거 정보를 저장한 후 SUPL 시작메시지(SUPL START)를 SLP로 전송한다 (S14). 이때, 상기 SET는 SUPL START 메시지내에 SET capability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상기 SLP는 MLP TLRA(Triggered Location Reporting answer)메시지를 통해 SUPL 에이전트로 해당 위치 추적 요청에 대한 acknowledgement(위치 추적 가능여부)를 전송한 후(S15) SUPL 응답 메시지(SUPL RESPONSE)를 통해 SET로 SUPL START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한다(S16). 이때, 상기 SUPL RESPONSE 메시지는 SUPL 트리거 메시지(SUPL TRIGGER)로 대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과정(S16)은 생략된다.
이후, 기 저장된 트리거 정보를 기초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Periodic 주기마다), SLP는 SUPL TRIGGER 메시지를 SET로 전송하여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며(S17), SET은 SLP와 트리거 세션을 시작하기 위하여 SUPL 위치 초기화 메시지(SUPL POS INIT)를 SLP로 전송한다(S18). 상기 SUPL POS INIT 메시지에는 적어도 세션 ID, 기지국 ID 등을 나타내는 위치 식별자(Location Identifier : lid), version 및 SET의 Capabilities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SLP와 SET는 실제 위치추적을 실시하기 위한 연속적인 메시지 들을 교환하고 상기 SLP 또는 SET는 상기 연속적인 메시지들을 통해 SET의 위치를 계산한다(S19). 바람직하게, 상기 SLP와 SET간에 교환되는 메시지들은 세션 ID와, 위치추적에 사용할 프로토콜(RRLP, RRC 또는 TIA-801)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SET의 위치 계산은 SLP가 SET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을 기초로 수행하거나(SET-Assisted mode), SET가 SLP로부터 획득된 Assistance를 기초로 수행할 수 있다(SET-Based mode). 도 1은 위치 계산이 SET assisted m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런데, 만약 위치 계산이 SET based mode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SET가 SUPL REPORT 메시지를 이용하여 SLP로 계산된 위치값(posresult)을 전송해 준다(S20).
따라서, SLP는 자신이 계산하거나 또는 SET로부터 전달받은 위치값을 TLREP 메시지를 통해 SUPL 에이전트로 전송한다(S21).
이어서, 다음 위치추적 주기가 되면, SLP와 SET는 SUPL TRIGGER 메시지, SULP POS INIT 메시지, SUPL POS 절차, SUPL REPORT, MLP TLREP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한 후 계산된 SET의 위치 값을 SUPL 에이전트로 전송한다(S22~S26).
이후, 일련의 Periodic위치 추적 절차가 모두 종료되면(위치추적 종료시간이 되면), SLP는 SET로 SUPL 종료 메시지(SUPL END)를 전송하여 SUPL 절차(또는 SUPL세션)의 종료를 알리고(S27), SET은 SLP와의 IP 연결을 해지하고, 위치추적 세션과 관련된 모든 자원을 해제한다.
한편, 도 1에서 SUPL START 및 SUPL RESPONSE는 생략될 수도 있는데, 이 경 우에 MLP TLRA메시지는 SUPL POS INIT 메시지 이후에 전송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인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1실시예에 비하여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SLP는 SUPL END 메시지를 이용하여 매 주기의 끝에서 한 주기에 대한 위치 추적을 종료하고 (SUPL 세션이 아니라 SUPL connection을 끊음)(S41), 다음 주기의 시작점에서 다시 SUPL TRIGGER로 다음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한다(S42). 이때, 상기 과정 (S30~S40)들은 번호만 다를 뿐 도 1의 과정(S10~S20)들과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하나의 주기에 대한 Periodic 위치 추적 절차가 종료되면(S39), SLP는 SET로 SUPL END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SUPL POS connection을 끊은 후(S41), TLREP 메시지를 이용하여 SUPL 에이전트로 해당 periodic위치 추적 값을 전송한다 (S42). 이어서 SLP는 SUPL TRIGGER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끊긴 SUPL POS connection을 열고, SET에게 다음 주기의 위치 추적이 실시됨을 알린다(S43).
따라서, 해당 이벤트가 발생할 때 SLP와 SET는 SULP POS INIT 메시지, SUPL POS 절차, SUPL REPORT 및 MLP TLREP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하고 해당 위치 값을 SUPL 에이전트로 전송한다 (S44~S47). 그리고, 일련의 Periodic 위치 추적 절차가 모두 종료되면, SLP는 SUPL END 메시지를 SET에 전송하여 SUPL 절차가 종료하였음을 알린다(S48).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인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Non-Roaming Proxy모드의 Network-trigged case 및 SET-initiated case이다. 이때, SLP는 홈 네트워크측, 목적 SET(이하 SET로 약칭함)는 단말측에 각각 해당한다.
먼저, SUPL에이전트로부터 주기적인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SET는 자신이 현재 어떤 망에도 데이터 접속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3GPP 혹은 3GPP2)로 데이터 접속을 요청한다(S50). 상기 데이터 접속이 설정되면, SET는 SLP로 SUPL START 메시지를 전송하여 Periodic 위치 추적 요청 절차를 시작한다(S51). 상기 SET는 SUPL START 메시지에 report_criteria 파라미터를 삽입하여, periodic 위치 추적 요청의 주기와 시작 시간 및 종료시간을 설정하여 SLP로 전송한다.
상기 SUPL SRART메시지를 수신한 SLP는 periodic 위치 추적 정보를 저장하고,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SET가 현재 SUPL 로밍(roaming)되었는지 확인한다(S52). 확인결과 SET가 로밍되지 않은 경우에는 SUPL RESPONSE 메시지로 응답한다 (S53).
이후,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SLP는 SUPL TRIGGER 메시지를 SET로 전송하여 periodic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하고(S54), 상기 SET은 SLP와 트리거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 SUPL POS INIT 메시지를 SLP로 전송한다(S55). 이때, periodic 위치 추적이 처음 발생할 경우에는 과정(S53)의 SUPL RESPONSE 메시지로 SUPL TRIGGER 메시지를 대신하거나 과정(S54)의 SUPL TRIGGER 메시지로 상기 SUPL RESPONSE 메시 지를 대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SLP는 위치추적(positioning)을 실시하기 위한 SUPL POS 메시지를 이용하여 SET와 위치측정 프로토콜(RRLP/RRC/TIA-801)을 연속적으로 교환하여 SET의 위치를 계산한다(S56). 이때, 상기 SET의 위치 계산은 SLP가 SET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을 기초로 수행하거나(SET-assisted mode), SET가 SLP로부터 획득된 Assistance를 기초로 수행할 수 있다(SET-based mode).
만약, 상기 위치 계산이 SET assisted mode에 의해 수행될 경우 SLP는 SUPL REPORT 메시지를 이용하여 SET로 상기 계산된 위치값(posresult)을 전송하고(S57), 상기 위치 계산이 SET based mode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SUPL REPORT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SET는 자신이 계산한 위치값 또는 SLP로부터 수신한 위치값을 SUPL 에이전트에게 전송한다.
이어서, 다음 위치추적 주기가 되면, SLP와 SET는 상술한 바와같이 SUPL TRIGGER 메시지, SULP POS INIT 메시지, SUPL POS 절차, SUPL REPORT를 이용하여 해당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한 후 계산된 SET의 위치값을 SET로 전송한다(S58~S61).
이후, 상기와 같은 일련의 Periodic위치 추적 절차가 모두 종료되면, SLP는 SET로 SUPL END 메시지를 전송하여 SUPL 절차(또는 SUPL세션)의 종료를 알리고(S62), SET는 SLP와의 IP 연결을 해지하고 위치추적 세션과 관련된 모든 자원을 해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인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 으로서, 상기 제3실시예에 비하여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SLP는 SUPL END 메시지를 이용하여 매 주기의 끝에서 한 주기에 대한 위치 추적을 종료하고 (SUPL connection을 끊음)(S78), 다음 주기의 시작점에서 다시 SUPL TRIGGER로 다음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한다(S79). 이때, 상기 과정(S70~S77)들은 번호만 다를 뿐 도 3의 과정(S50~S57)들과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하나의 주기에 대한 Periodic 위치 추적 절차가 종료되면(S76), SLP는 SET로 SUPL END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SUPL POS connection(또는 trigger connection)을 종료한다 (S78).
이어서 SLP는 SUPL TRIGGER 메시지를 SET로 전송하여 다음 주기의 위치 추적이 실시됨을 SET에게 알린다(S79). 이때, SET는 자신이 어떤 망에도 데이터 접속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3GPP 혹은 3GPP2)로 데이터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이벤트가 발생할 때 SLP와 SET는 SULP POS INIT 메시지, SUPL POS 절차, SUPL REPORT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하고, 경우에 따라서 해당 위치 값을 SET에이전트로 전송한다(S80~S82). 그리고, 일련의 Periodic 위치 추적 절차가 모두 종료되면, SLP는 SUPL END 메시지를 SET에 전송하여 SUPL 절차(또는 trigger 세션)가 모두 종료하였음을 알린다(S83).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인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 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Non-Roaming Proxy모드의 SET-trigged case 및 Network-initiated case이다. 이때, SLP는 홈 네트워크측, 목적 SET(이하 SET로 약칭함)는 단말측에 각각 해당한다.
먼저, 외부의 LCS 클라이언트로부터 Periodic 위치 추적이 요청되면, SUPL 에이전트는 MLP TLRR 메시지를 이용하여 SLP로 위치 추적을 요청한다(S90). 상기 MLP TLRR메시지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ms-id, client-id, QoP 및 tlrr_event등의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tlrr_event는 periodic의 정의 즉, periodic 위치 추적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e.g., 오전 8시부터 10까지) 및 상기 periodic 위치 추적의 요청주기(e.g., 1시간간격)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MLP TLRR메시지는 부가적으로 위치 추적 값의 type(현재 값인지 현재 값 추적이 어려울 경우 가장 최근에 추적한 값인지 등을 표현) 및 위치 요청이 여러개일 경우에 각 위치 추적 요청에 대한 우선도(Priority)를 설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MLP TLRR메시지가 수신되면, SLP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SET가 SUPL을 지원하는지 확인하고,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 SET가 현재 SUPL 로밍 되었는지 확인한다(S91).
확인결과 상기 SET가 SUPL을 지원하고 로밍되지 않은 경우, SLP는 SET로 SUPL INIT 메시지를 전송하여 SET와 SUPL 절차를 시작한다(S92). 상기 SUPL INIT 메시지는 적어도 session-id, posmethod, SLP mode, SUPL mode등의 파라미터가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SLP는 과정(S91)를 수행하기 이전에 SET의 프라이버시를 확인하는데, 만약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와 관련된 통지 (notification)가 필 요한 경우에는 상기 MLP TLRR 메시지내에 통지 파라미터를 추가로 포함시킨다.
또한, SLP는 SUPL INIT 메시지내에 report_criteria 파라미터를 포함시켜 전송하는데, 상기 파라미터를 통하여 SLP는 외부의 LCS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Periodic 위치 추적에 대한 트리거 정보를 SET으로 전송한다. 즉, SLP는 periodic 위치 추적을 발생시키는 트리거 정보를 SET로 이관하여(SET-trigged case), 상기 SET에서 해당 이벤트가 발생할 때 실제 위치 추적 절차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어, 상기 report_criteria에는 periodic 위치 추적을 요구하는 주기 및 그 시작 시간과 종료시간 등이 포함된다.
상기 SUPL INIT 메시지를 수신한 SET는 자신이 현재 어떤 망에도 데이터 접속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3GPP 혹은 3GPP2)로 데이터 접속을 요청한다(S93).
상기 데이터 접속이 설정되면, SET는 SUPL INIT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된 trigger 정보를 저장한 후 SUPL START 메시지를 SLP로 전송한다(S94). 이때, 상기 SET는 SUPL START 메시지내에 SET capability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상기 SLP는 MLP TLRA(Triggered Location Reporting answer)메시지를 통해 SUPL 에이전트로 해당 위치 추적 요청에 대한 acknowledgement를 전송하고(S95), SUPL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상기 SUPL START메시지에 응답하여 SET로 하여금 해당 이벤트가 발생할 때 위치추적절차를 개시하도록 준비시킨다(S96).
이후, 기 저장된 trigger 정보에 의해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Periodic 주기마다), SET는 SUPL POS INIT 메시지를 SLP로 전송하여 SLP와 위치추적 절차를 시 작한다(S97). 이때, 만약 SLP와 SET간의 TCP/IP connection이 상기 SUPL RESPONSE 메시지 이후 종료되었을 경우 SET는 SUPL POS INIT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다시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SET는 실제 위치추적(positioning)을 실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SLP와 연속적으로 교환하여 SET의 위치를 계산한다(S98). 이때, 상기 SET의 위치 계산은 SLP가 SET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을 기초로 수행하거나(SET-Assisted mode), SET가 SLP로부터 획득된 Assistance를 기초로 수행할 수 있다(SET-Based mode).
만약, 상기 위치 계산이 SET based mode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SET가 SLP로 계산된 위치값(posresult)을 SUPL REPORT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하고(S99), 상기 위치 계산이 SET assisted mode에 의해 수행될 경우 SLP는 SUPL REPORT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SLP는 TLREP 메시지를 이용하여 SUPL 에이전트로 해당 periodic 위치 추적 값을 전송한다(S100).
이어서, 다음 위치추적 주기가 되면, SLP와 SET는 상술한 바와같이 SULP POS INIT 메시지, SUPL POS 절차, SUPL REPORT, MLP TLREP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한 다음 계산된 SET의 위치 값을 SUPL 에이전트로 전송한다(S101~104).
이후, 일련의 Periodic위치 추적 절차가 모두 종료되면(위치추적 종료시간이 되면), SLP는 SET로 SUPL END 메시지를 전송하여 SUPL 절차(또는 SUPL세션)의 종료를 알리고(S105), SET은 SLP와의 IP 연결을 해지하고, 위치추적 세션과 관련된 모든 자원을 해제한다.
한편, 도 5에서 SUPL START 및 SUPL RESPONSE는 생략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MLP TLRA메시지는 SUPL POS INIT 메시지 이후에 전송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인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5실시예에 비하여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 매 주기마다 SET에서 SUPL세션을 열 수 있도록 한 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SLP는 SUPL END 메시지를 이용하여 매 주기의 끝에서 한 주기에 대한 위치 추적을 종료하고 (SUPL connection을 끊음)(S120), SET는 다음 주기의 시작점에서 SLP로 다시 SUPL START 메시지를 전송하여 다음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한다(S122). 이때, 상기 과정 (S110~S119)들은 번호만 다를 뿐 도 5의 과정(S90~S99)들과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하나의 주기에 대한 Periodic 위치 추적 절차가 종료되면(S118), SLP는 SET로 SUPL END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SUPL POS connection을 종료하고 (S120), TLREP 메시지를 이용하여 SUPL 에이전트로 해당 periodic위치 추적 값을 전송한다(S121).
이어서 다음 위치 추적 주기에서 SET는 SLP와 SUPL START, SUPL RESPONSE, SULP POS INIT 메시지, SUPL POS 절차, SUPL REPORT 및 MLP TLREP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하고 해당 위치 값을 SUPL 에이전트로 전송한다 (S122~S127). 이때, SUPL START메시지는 SET가 SLP로 다음 주기의 위치추적이 개시됨을 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일련의 Periodic 위치 추적 절차가 모 두 종료되면, SLP는 SUPL END 메시지를 SET에 전송하여 SUPL 절차가 종료하였음을 알린다(S128).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인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7실시예는 SUPL INIT메시지의 크기 제약으로 인하여 상기 SLP가 report_criteria를 SUPL INIT메시지로 전송하지 못할 경우에 새로운 SUPL TRIGGER REQUEST메시지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상기 제5실시예에 SUPL TRIGGER REQUEST 및 SUPL TRIGGER RESPONSE 메시지가 추가된 점이 다르며, 또한 SUPL INIT 메시지내에 SUPL Mode(immediate 또는 periodic 또는 deferred를 구분하는 파라미터)가 추가된 것이 다르다. 그 이외의 과정들은 번호만 다를 뿐 제5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과정(S130~S134)들이 수행되면, SLP는 SUPL TRIGGER REQUEST 메시지를 통해 Periodic 위치 추적에 대한 정보를 SET로 전송하여(S135), SET으로 하여금 해당 정보를 통해 Periodic 위치 추적을 준비하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별도의 확인 절차를 거치도록 한다. 상기 SET는 SUPL TRIGGER REQUEST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된 Periodic trigger 정보를 저장한 후 SUPL TRIGGER RESPONSE로서 응답한다(S136).
그런데, 도 5에서와 달리 도 7에서, SLP는 SUPL TRIGGER RESPONSE 메시지를 SET으로부터 수신한 이후에 MLP TLRA 메시지를 SUPL 에이전트로 전송한다(S137). 이것은 SLP가 SUPL TRIGGER REQUEST 메시지에 Periodic 위치 추적과 관련된 trigger정보를 포함시켜 SET로 전송하고, 상기 SET로부터 SUPL TRIGGER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응답을 받기 때문에, SUPL TRIGGER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야 비로소 Periodic 위치 추적과 관련된 트리거 정보가 SET으로 모두 전송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상기 SUPL TRIGGER RESPONSE 메시지는 생략 가능한데, 이 경우 SLP는 SUPL TRIGGER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 후 바로 MLP TLRA를 SUPL 에이전트로 전송한다.
상기 SUPL TRIGGER REQUEST 메시지는 SUPL INIT 메시지가 SMS로도 전송이 가능하므로 SMS안에 report_criteria 파라미터가 모두 포함되지 못할 경우 상기 report_criteria를 별도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이며, SUPL TRIGGER RESPONSE 메시지는 상기 SUPL TRIGGER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이다. 따라서, 도 5에서는 SUPL START 메시지와 SUPL RESPONSE 메시지를 모두 생략할 수 있었으나, 도 7에서는 periodic 위치 추적과 관련된 trigger정보를 SUPL TRIGGER REQUEST 메시지로 전송하고, SUPL TRIGGER REPONSE로 응답받을 경우에는 SET가 우선 SUPL START 메시지를 SLP로 전송하여 SUPL INIT에 포함되어 있는 Periodic 위치 추적에 대한 동의를 구해야 하기 때문에 SUPL RESPONSE 메시지만이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7실시예도 Periodic 위치 추적을 위한 주기가 상대적으로 길 경우에는 매 주기마다 SET에서 SUPL 세션을 열 수 있도록 절차를 수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매 위치추적 주기마다 SUPL START 메시지 및 SUPL RESPONSE 메시지를 SUPL POS INIT 메시지이전에 추가하고, SUPL REPORT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는 매 SUPL POS 절차 이후에, SUPL REPORT 메시지가 있는 경우에는 SUPL REPORT 메시지 이후에 SUPL END 메시지를 추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인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8실시예는 Non-Roaming Proxy모드의 SET-trigged case 및 SET-initiated case이다.
먼저, SUPL에이전트로부터 주기적인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SET는 자신이 현재 어떤 망에도 데이터 접속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3GPP 혹은 3GPP2)로 데이터 접속을 요청한다(S150).
데이터 접속이 설정되면, SET는 SLP로 SUPL START 메시지를 전송하여 Periodic 위치추적 요청 절차를 개시한다(S151). 이때, SET는 상기 SUPL START 메시지에 tlrr_event 파라미터를 삽입하여, periodic 위치 추적 요청의 주기와 시작 시간 및 종료시간을 설정하여 SLP로 전송한다. 즉, 현재 SET는 자신이 트리거 정보를 관리하면서 주기적인 SUPL절차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SLP로 tlrr_event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상기와 같이 SLP로 tlrr_event를 전송하는 이유는 SLP의 자원관리 및 periodic 위치추적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려주기 위함이다.
상기 SUPL SRART메시지를 수신한 SLP는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SET가 현재 SUPL 로밍되었는지 확인하여(S152), 만약 SET가 로밍되지 않은 경우에는 SET로 SUPL RESPONSE 메시지로 응답한다(S153).
이후, 기 저장된 트리거 정보를 기초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위치추적 주기가 되면), SET는 SUPL POS INIT 메시지를 SLP로 전송하여 periodic 위치추적 절차를 시작한다(S154). 이때, SET는 event_trigger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현재 periodic 위치추적 주기가 되었음을 SLP로 알려줄 수 있고, 아울러 남아 있는 주기 를 알려줄 수도 있다. 이때, 만약 SLP와 SET간의 TCP/IP connection이 SUPL RESPONSE 메시지 이후 종료되었을 경우 SET는 SUPL POS INIT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다시 데이터 접속을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SET는 실제 위치추적(positioning)을 실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SLP와 연속적으로 교환하여 SET의 위치를 계산한다(S155). 이때, 상기 SET의 위치 계산은 SLP가 SET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을 기초로 수행하거나(SET-Assisted mode), SET가 SLP로부터 획득된 Assistance를 기초로 수행할 수 있다(SET-Based mode).
현재 도 8은 위치 계산이 SET based mode에 의해 수행되지만, 만약, 위치 계산이 SET assisted mode에 의해 수행될 경우 SLP는 SUPL REPORT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SET로 계산된 위치값(posresult)을 전송한다(S156). 따라서, SET는 자신이 계산한 위치값 또는 SLP로부터 수신한 위치값을 SUPL 에이전트에게 전송한다.
이어서, 다음 위치추적 주기가 되면, SLP와 SET는 상술한 바와같이 SULP POS INIT 메시지, SUPL POS 절차, SUPL REPORT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하여 SET의 위치값을 계산한다(S157~159). 이후, 상기와 같은 일련의 Periodic위치 추적 절차가 모두 종료되면, SLP는 SET로 SUPL END 메시지를 전송하여 SUPL 절차의 종료를 알리고(S160), SET은 SLP와의 IP 연결을 해지함과 함께 위치추적 세션과 관련된 모든 자원을 해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주기적인 위치추적 절차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8실시예에 비하여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Periodic 위치 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SLP는 SUPL END 메시지를 이용하여 매 주기의 끝에서 한 주기에 대한 위치 추적을 종료하고 (SUPL connection을 끊음)(S176), SET는 다음 주기의 시작점에서 SLP로 다시 SUPL START 메시지를 전송하여 다음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한다(S177). 이때, 상기 과정(S170~S175)들은 번호만 다를 뿐 도 8의 과정(S150~S155)들과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하나의 주기에 대한 Periodic 위치 추적 절차가 종료되면(S175), SLP는 SET로 SUPL END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SUPL POS 세션을 종료한다 (S176).
이어서 다음 위치 추적 주기에서 SET는 SLP와 다시 SUPL START, SUPL RESPONSE, SULP POS INIT 메시지, SUPL POS 절차 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주기의 위치 추적을 실시한다(S177~S180). 이 경우 SULP START 메시지의 tlrr_event에는 감소된 주기값이 포함된다. 그리고, SET는 SUPL START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자신이 어떤 망에도 데이터 접속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3GPP 혹은 3GPP2)로 데이터 접속을 요청한다.
따라서, 일련의 Periodic 위치 추적 절차가 모두 종료되면, SLP는 SUPL END 메시지를 SET에 전송하여 SUPL 절차가 종료하였음을 알린다(S181).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SUPL에 기반한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위치추적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위치추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5)

  1. 클라이언트로부터 주기적인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위치서버가 단말로 SUPL 초기화 메시지를 전송하여 위치추적 세션을 초기화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서버가 기 저장된 트리거 정보에 따라 각 위치추적 주기마다 단말로 위치추적의 시작을 알려주는 과정과;
    상기 위치서버와 단말이 위치측정을 위한 연속적인 메시지를 교환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단말의 위치값을 위치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UPL 초기화 메시지는
    주기적인 위치 추적에 대한 정보 및 위치서버 주도로 위치 추적이 실시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위치 추적에 대한 정보는
    주기적인 위치 추적의 주기 및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UPL 초기화 메시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ush 또는 메시지 SMS(short message service) 트리거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protocol) Push등의 형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의 시작은
    SUPL 트리거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계산이 단말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단말이 SUPL 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서버로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UPL 초기화 메시지에 응답하여 단말이 위치서버로 SUPL 시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SUPL 시작 메시지가 입력되면 위치서버가 클라이언트로 현재 단말이 위치추적요청을 수신했음을 알려주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상기 위치서버는 매 주기의 끝에서 단말로 SUPL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종료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9. SUPL에이전트로부터 주기적인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단말이 위치서버로 트리거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트리거 정보에 따라 위치서버가 각 위치추적 주기마다 단말로 위치추적의 시작을 알려주는 과정과;
    상기 단말과 위치서버가 위치측정을 위한 연속적인 메시지를 교환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SUPL에이전트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정보는
    SUPL 시작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SUPL 시작 메시지는
    세션 ID, 위치보고의 정확도, SET capabilities 및 트리거 이벤트등의 파라 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주기적인 위치 추적의 주기 및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의 시작은
    SUPL 트리거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계산이 위치서버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위치서버가 SUPL 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로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상기 위치서버는 매 주기의 끝에서 단말로 SUPL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종료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16. 클라이언트로부터 단말의 주기적인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위치서버가 해당 단말로 트리거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트리거 정보에 따라 단말이 각 위치추적 주기마다 위치서버로 위치추적의 시작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위치서버와 단말이 위치측정을 위한 연속적인 메시지를 교환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단말의 위치값을 위치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정보는
    SUPL 초기화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정보는
    주기적인 위치 추적의 주기 및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SUPL 초기화 메시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ush 또는 메시지 SMS(short message service) 트리거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protocol) Push등의 형태로 전송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의 시작은
    SUPL 위치 초기화 메시지를 통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계산이 단말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단말이 SUPL 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서버로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트리거정보를 저장하고 위치서버로 SUPL 시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SUPL 시작 메시지가 입력되면 위치서버가 클라이언트로 현재 단말이 위치추적요청을 수신했음을 알려주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상기 위치서버는 매 주기의 끝에서 단말로 SUPL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위치추적 을 종료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24. 클라이언트로부터 주기적인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위치서버가 단말과 SUPL절차를 초기화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위치서버와 SUPL세션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서버가 단말로 트리거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트리거 정보에 따라 단말이 각 위치추적 주기마다 위치서버로 위치추적의 시작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위치서버와 단말이 위치측정을 위한 연속적인 메시지를 교환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단말의 위치값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정보는
    SUPL 트리거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정보는
    주기적인 위치 추적의 주기 및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의 시작은
    SUPL 위치 초기화 메시지를 통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계산이 단말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단말이 SUPL 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서버로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트리거정보를 저장하고 위치서버로 SUPL 시작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SUPL 시작 메시지가 입력되면 위치서버가 클라이언트로 현재 단말이 위치추적요청을 수신했음을 알려주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30. SUPL에이전트로부터 주기적인 위치추적이 요청되면, 단말이 위치서버로 SUPL 시작 메시지를 전송하여 SUPL세션을 시작하는 과정과;
    기 저장된 트리거 정보에 따라 단말이 각 위치추적 주기마다 단말로 위치추적의 시작을 알려주는 과정과;
    상기 단말과 위치서버가 위치측정을 위한 연속적인 메시지를 교환하여 단말의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SUPL에이전트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SUPL 시작 메시지는
    세션 ID, 위치보고의 정확도, SET capabilities 및 트리거 이벤트등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주기적인 위치 추적의 주기 및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의 시작은
    SUPL 위치 초기화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계산이 위치서버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위치서버가 SUPL 보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로 상기 계산된 위치값을 전송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위치추적의 주기가 긴 경우 상기 위치서버는 매 주기의 끝에서 단말로 SUPL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한 주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종료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 추적 방법.
KR1020060029136A 2005-08-11 2006-03-3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 KR100690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136A KR100690877B1 (ko) 2005-08-11 2006-03-3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
JP2008516765A JP2008547263A (ja) 2005-08-11 2006-08-10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周期的なポジショニング方法
PCT/KR2006/003136 WO2007018409A1 (en) 2005-08-11 2006-08-10 Periodic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A2609152A CA2609152C (en) 2005-08-11 2006-08-10 Periodic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11/501,885 US7627332B2 (en) 2005-08-11 2006-08-10 Periodic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BRPI0613596-0A BRPI0613596A2 (pt) 2005-08-11 2006-08-10 método de posicionamento periódico em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CN2006800237468A CN101213772B (zh) 2005-08-11 2006-08-10 移动通信系统中的周期性定位方法
EP06783560.3A EP1920543B1 (en) 2005-08-11 2006-08-10 Periodic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MX2007015564A MX2007015564A (es) 2005-08-11 2006-08-10 Metodo de posicionamiento periodico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movil.
US12/581,847 US7869818B2 (en) 2005-08-11 2009-10-19 Periodic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12/581,839 US7873373B2 (en) 2005-08-11 2009-10-19 Periodic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12/581,830 US7877102B2 (en) 2005-08-11 2009-10-19 Periodic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12/581,836 US7869817B2 (en) 2005-08-11 2009-10-19 Periodic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707,167 2005-08-11
US60/707,168 2005-08-11
US60/716,517 2005-09-14
US60/716,499 2005-09-14
US60/724,795 2005-10-11
US60/741,054 2005-12-01
US60/762,122 2006-01-26
KR1020060029136A KR100690877B1 (ko) 2005-08-11 2006-03-3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531A true KR20070019531A (ko) 2007-02-15
KR100690877B1 KR100690877B1 (ko) 2007-03-09

Family

ID=4162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136A KR100690877B1 (ko) 2005-08-11 2006-03-30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7627332B2 (ko)
EP (1) EP1920543B1 (ko)
JP (1) JP2008547263A (ko)
KR (1) KR100690877B1 (ko)
BR (1) BRPI0613596A2 (ko)
CA (1) CA2609152C (ko)
MX (1) MX2007015564A (ko)
WO (1) WO200701840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71B1 (ko) * 2007-06-04 2008-1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 및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방법, 이를 사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위치기반 서버
RU2467504C2 (ru) * 2008-01-11 2012-11-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сервисных возможностях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плоскости пользователя
KR101282285B1 (ko) * 2007-08-2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1310313B1 (ko) * 2011-05-16 2013-09-23 주식회사 앰투앰넷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
KR101488990B1 (ko) * 2007-10-09 2015-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0773B1 (en) * 2000-04-11 2006-09-19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activity status tracker
US7522911B2 (en) * 2000-04-11 2009-04-21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Wireless chat automatic status tracking
US7853272B2 (en) * 2001-12-21 2010-12-1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Wireless network tour guide
US7974639B2 (en) 2005-02-04 2011-07-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osition determination with a short circuit call flow
US7353034B2 (en) 2005-04-04 2008-04-01 X One, Inc. Location sharing and tracking using mobile phones or other wireless devices
US9154907B2 (en) 2005-06-2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periodic location report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US8792902B2 (en) * 2005-06-21 2014-07-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services with short-circuited message flows
US10178522B2 (en) 2005-08-02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VoIP emergency call support
WO2007018408A1 (en) * 2005-08-11 2007-02-15 Lg Electronics Inc. Area-based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690877B1 (ko) * 2005-08-11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
US8068056B2 (en) * 2005-08-25 2011-11-29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reporting with 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
US9137770B2 (en) * 2005-09-15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Emergency circuit-mode call support
US20070066309A1 (en) * 2005-09-20 2007-03-22 Elizabeth Countryman Prepaid call management in intelligent network
KR101133850B1 (ko) * 2005-10-10 201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단말 및 서버와 그 방법
AU2006225248B2 (en) * 2005-10-10 2007-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cation service-providing system and deferred location request service-providing method using previously computed location in location service-providing system
US7778639B2 (en) * 2006-04-06 2010-08-17 Lg Electronics Inc. Network-initiated area event triggered positioning method for roaming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121611B2 (en) * 2006-04-06 2012-02-21 Lg Electronics Inc. SET initiated area event triggered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007202371A1 (en) * 2006-06-03 2007-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c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iggered location request service
US20080008157A1 (en) * 2006-07-06 2008-01-10 Edge Stephen W Method And Apparatus For Parallel Registration And Call Establishment
KR101332500B1 (ko) * 2006-10-11 2013-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목표 단말의 이동성 이벤트 트리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목표 단말 및 방법
WO2008057477A2 (en) * 2006-11-03 2008-05-1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Roaming gateway enabling location based services (lbs) roaming for user plane in cdma networks without requiring use of a mobile positioning center (mpc)
US7974235B2 (en) 2006-11-13 2011-07-0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ecure location session manager
DE112007003496A5 (de) * 2007-03-14 2010-02-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triebsverfahren für eine Komponente der Automatisierungstechnik und Komponente der Automatisierungstechnik
WO2008135331A2 (en) * 2007-05-03 2008-11-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trigger negotiation in supl
US8145769B2 (en) 2007-09-26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secure user plane (SUPL) version negotiation
CN101426017B (zh) * 2007-11-01 2012-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地址簿的处理方法和系统
KR101438809B1 (ko) 2007-11-0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건적 반복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09072090A1 (en) * 2007-12-07 2009-06-11 Nokia Corporation Introducing location support into a user plane of a communications network
US8639271B2 (en) * 2008-07-02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ocation-based services by a removable module
US9125018B2 (en) * 2009-02-09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ed location services
US20100234022A1 (en) * 2009-03-16 2010-09-16 Andrew Llc System and method for supl roaming in wimax networks
CN101860787A (zh) * 2009-04-10 2010-10-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定位业务事件的触发方法及系统
US9301191B2 (en) 2013-09-20 2016-03-29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Quality of service to over the top applications used with VPN
FR2945700B1 (fr) * 2009-05-15 2011-05-20 Thales Sa Procede de transmission d'informations de position par un dispositif mobile
US8467806B2 (en) * 2009-06-05 2013-06-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ocation services with a streamlined location service layer
US20100323717A1 (en) * 2009-06-23 2010-12-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proximity detec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503984B2 (en) * 2009-12-23 2013-08-06 Amos Winbush, III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er content synchronization with central web-based records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US20110149086A1 (en) 2009-12-23 2011-06-23 Winbush Iii Amos Camera user content synchronization with central web-based records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US8406786B2 (en) * 2010-02-25 2013-03-26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ended generic messaging in a networked geolocation system
US8909257B2 (en) * 2010-06-19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protocol conveyance
US10063642B2 (en) * 2010-08-21 2018-08-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ocation services via a generic location session
US8688087B2 (en) 2010-12-17 2014-04-01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N-dimensional affinity confluencer
US8942743B2 (en) 2010-12-17 2015-01-27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ALERT enhanced alert manager
IL210899A (en) * 2011-01-27 2015-08-31 Verint Systems Ltd A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transfers across proxy servers
US9479344B2 (en) 2011-09-16 2016-10-2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Anonymous voice conversation
US8929854B2 (en) 2011-10-27 2015-01-0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mergency text messaging
US8984591B2 (en) 2011-12-16 2015-03-17 Telecommunications Systems, Inc. Authentication via motion of wireless device movement
US9384339B2 (en) 2012-01-13 2016-07-0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Authenticating cloud computing enabling secure services
US9338153B2 (en) 2012-04-11 2016-05-10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ecure distribution of non-privileged authentication credentials
US9208346B2 (en) 2012-09-05 2015-12-08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Persona-notitia intellection codifier
US9161329B2 (en) * 2013-06-26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of mobile device locations
US10952028B2 (en) * 2018-05-16 2021-03-16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of a mobile device with wireless access using a user plane location solution
US11985567B2 (en) * 2018-09-12 2024-05-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ement of positioning related protocol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3299B2 (en) 1999-01-08 2010-08-24 Trueposition, Inc. Advanced triggers for location-based service applications in a wireless location system
DE60137088D1 (de) 2001-11-19 2009-01-29 Nokia Corp Bereitstellung von positionsinformationen
GB0128155D0 (en) * 2001-11-23 2002-01-16 Nokia Corp Location request control
US7206588B2 (en) * 2002-09-13 2007-04-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6985745B2 (en) * 2002-11-25 2006-01-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radio signature position determining entity (RS-PDE) for maintaining location database reliability
JP4135499B2 (ja) 2002-12-27 2008-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測位システム並びに測位方法
US7149504B1 (en) 2003-09-25 2006-12-12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location polling intervals
JP2005142967A (ja) * 2003-11-07 2005-06-02 Ntt Docomo Inc 拡散符号の割当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US7424293B2 (en) * 2003-12-02 2008-09-09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User plane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message tunneling to support roaming
US7660590B2 (en) * 2003-12-23 2010-02-09 At&T Mobility Ii Llc Terminal-based server for location tracking
FI20040036A0 (fi) * 2004-01-13 2004-01-13 Nokia Corp Paikkainformaation tuottaminen vieraillussa verkossa
KR100877250B1 (ko) * 2004-02-05 2009-01-09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단락 호 흐름을 사용하여 위치 결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I20040261A0 (fi) * 2004-02-18 2004-02-18 Nokia Corp Aikatiedon tarjoaminen
KR100677508B1 (ko) 2004-04-14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선호 정보를 반영하는 위치 정보 시스템 및서비스 제공 방법
US20050250516A1 (en) * 2004-04-14 2005-11-10 Lg Electronics Inc. Location information system reflecting user preferences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EP1767023B1 (en) * 2004-06-16 2015-11-18 LG Electronics Inc. Broadcast/multicast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location information
KR100623480B1 (ko) * 2004-07-13 2006-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기-보조 위치 트리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US7554934B2 (en) * 2004-09-01 2009-06-3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location service messages in a satellite position location system
KR100575802B1 (ko) 2004-09-13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의 로밍 방법 및 시스템
KR101075719B1 (ko) 2004-09-18 201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Supl 인에이블 네트워크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86072B1 (ko) 2004-09-18 201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Agps 정보를 이용한 단말 위치 결정 방법
KR100846868B1 (ko) * 2005-01-17 200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l 기반의 위치정보 시스템에서의 tls 세션관리방법
GB0503927D0 (en) * 2005-02-25 2005-04-06 Nokia Corp Location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099112B2 (en) * 2005-04-18 2012-01-17 Nokia Corporation Network entit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ynamically changing a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US7613155B2 (en) * 2005-04-30 2009-11-03 Lg Electronics Inc.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by interworking between WLAN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9154907B2 (en) * 2005-06-2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periodic location report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US20070032249A1 (en) * 2005-08-05 2007-02-08 Govind Krishnamurthi Location services for and about mobile nodes
KR100690877B1 (ko) * 2005-08-11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
WO2007018408A1 (en) * 2005-08-11 2007-02-15 Lg Electronics Inc. Area-based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100735353B1 (ko) * 2005-08-12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Supl을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8068056B2 (en) 2005-08-25 2011-11-29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reporting with 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
AU2006225248B2 (en) 2005-10-10 2007-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cation service-providing system and deferred location request service-providing method using previously computed location in location service-providing system
KR101133850B1 (ko) * 2005-10-10 201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단말 및 서버와 그 방법
US7714779B2 (en) 2005-10-28 2010-05-1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lobal 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 service
US7593722B2 (en) 2006-03-28 2009-09-22 Cisco Technology, Inc. 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among multiple networks
US7778639B2 (en) 2006-04-06 2010-08-17 Lg Electronics Inc. Network-initiated area event triggered positioning method for roaming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121611B2 (en) 2006-04-06 2012-02-21 Lg Electronics Inc. SET initiated area event triggered positioning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478287B2 (en) 2006-06-07 2013-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ositioning target terminal while protecting privacy of user thereof
US9083745B2 (en) * 2007-03-12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independent location services
US7577441B2 (en) * 2007-06-27 2009-08-18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948778B2 (en) * 2007-09-11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Delayed radio resource signaling in a mobile radio networ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071B1 (ko) * 2007-06-04 2008-1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 및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방법, 이를 사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위치기반 서버
KR101282285B1 (ko) * 2007-08-2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1488990B1 (ko) * 2007-10-09 2015-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RU2467504C2 (ru) * 2008-01-11 2012-11-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сервисных возможностях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плоскости пользователя
US8712439B2 (en) 2008-01-11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for user plane location
US9369837B2 (en) 2008-01-11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for user plane location
KR101310313B1 (ko) * 2011-05-16 2013-09-23 주식회사 앰투앰넷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05410A1 (en) 2010-04-29
US20100035634A1 (en) 2010-02-11
US20100035635A1 (en) 2010-02-11
US20070037585A1 (en) 2007-02-15
WO2007018409A1 (en) 2007-02-15
BRPI0613596A2 (pt) 2011-01-18
EP1920543B1 (en) 2013-07-17
JP2008547263A (ja) 2008-12-25
EP1920543A1 (en) 2008-05-14
CA2609152C (en) 2012-05-08
US7869817B2 (en) 2011-01-11
CA2609152A1 (en) 2007-02-15
EP1920543A4 (en) 2009-12-09
US7627332B2 (en) 2009-12-01
KR100690877B1 (ko) 2007-03-09
US20100105411A1 (en) 2010-04-29
MX2007015564A (es) 2008-02-25
US7877102B2 (en) 2011-01-25
US7873373B2 (en) 2011-01-18
US7869818B2 (en) 201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87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
US8442523B2 (en) Location positioning method in handover between networks
US7778639B2 (en) Network-initiated area event triggered positioning method for roaming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93072B1 (ko) 위치정보 시스템에서의 단말간 트리거 위치 서비스요청방법
JP4772127B2 (ja) 位置基盤の通知のための位置情報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90960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지역관련 위치 추적 방법
EP2002569B1 (en) Network-initiated area event triggered positioning method for roaming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8040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로밍 단말의 지역관련 위치 확인방법
KR10069087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지역관련 위치 추적 방법
KR2009003205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로밍 단말의 지역관련 위치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