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313B1 -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313B1
KR101310313B1 KR1020110045832A KR20110045832A KR101310313B1 KR 101310313 B1 KR101310313 B1 KR 101310313B1 KR 1020110045832 A KR1020110045832 A KR 1020110045832A KR 20110045832 A KR20110045832 A KR 20110045832A KR 101310313 B1 KR101310313 B1 KR 10131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iddlewar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ess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985A (ko
Inventor
강경표
김봉철
권성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투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투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투앰넷
Priority to KR102011004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31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이 제공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은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운영체제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한 억세스 네트워크로의 통신 세션이 상시 유지 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세션을 활용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Mobile device comprising middleware for using communication resource}
본 발명은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운영체제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연산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에 있어서, 무선 통신 기능의 구비는 필수적인 것이 되어가고 있다. 이동 단말에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되고,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과 같은 위치 파악 기술 역시 이동 단말에 구비 되면서, 현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텔레매틱스 단말이 자동차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에 범용 운영 체제가 구비되는 경우,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되어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에 의하여 제공 되는 통신 기능을 활용하기 위하여는 무선 통신 모듈의 드라이버를 직접 활용하여야 하므로, 응용 프로그램 개발이 어려웠고, 하나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기능 사용 중, 다른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통신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의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함에 있어, 미들 웨어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사용만으로도 이동 단말에서 제공 되는 무선 통신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 단말이 지속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한 통신 세션을 유지하도록 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통신 요청 시 신속히 대응하도록 하는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모듈 및 GPS 모듈의 활용을 인터페이스 하는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운영체제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은,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한 억세스 네트워크로의 통신 세션이 상시 유지 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세션을 활용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를 포함한다.
상기 미들 웨어는, 상기 통신 세션의 상시 유지를 위한 트리거 메시지를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PPP(Point-to-Point Protocol) 기반 데이터 통신을 위한 PPP 통신 세션 설립 및 해제 동작을 상기 통신 세션을 기반으로 가상으로 에뮬레이팅 하는 PPP 인터페이스 및 AT 커맨드 기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AT 커맨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 웨어는, 상기 GPS 모듈로부터 GPS 데이터를 제공 받아 관리하고, 상기 GPS 데이터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GPS 인터페이스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웨어는,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디드 되는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 및 상기 운영체제에서 실행 되는 미들 웨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운영체제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은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한 억세스 네트워크로의 통신 세션이 상시 유지 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세션을 활용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 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운영체제 및 상기 미들 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함에 있어, 미들 웨어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사용만으로도 이동 단말에서 제공 되는 무선 통신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이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데이터 통신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들 웨어가 항상 통신 세션을 유지하고, 상기 통신 세션을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제공 되므로,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입장에서 데이터 통신 시도 시, 접속 지연 기간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논리적 구성 모듈 계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논리적 구성 모듈 상세 계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 구비된 미들 웨어의 논리적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 구비된 미들 웨어의 구현 시 파일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 구비된 미들 웨어의 구현 시 파일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 구비된 운영 체제 상에서 구현 된 미들 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100)에는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106)이 구비되며, 무선 신호의 송수신에는 안테나(110)가 활용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06)은 예를 들어 CDMA 모뎀, GSM 모뎀, Wibro 모뎀일 수 있다. 이동 단말(100)에는 GPS 모듈(108)이 구비 되어, GPS 위성으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100)은 연산 수단으로서 프로세서(102)를 구비하며, 저장 모듈(104)에 저장 된 프로그램이 RAM(114)에 로드 되어 프로세서(102)를 통하여 수행 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에서의 프로그램 실행 결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16)를 통한 명령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112)를 통한 정보의 디스플레이가 이뤄질 수 있다. 저장 모듈(104)은 롬(Read Only Memory; ROM), 피롬(Programable ROM; P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램(Random Access Memory;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와 같은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동 단말(100)에는 이동 단말(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관리 모듈(11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단말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논리적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02)는 자신이 지원하는 일련의 명령어들로 구성 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작만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100)의 논리적 구조는, 프로세서(102)에서 실행 되는 프로그램을 기능적으로 분류하여 계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는 3 개의 응용 어플리케이션(30-A, 30-B, 30-C)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내용은 3 개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수행 되는 것으로 한정 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GPS 모듈(108), 무선 통신 모듈(106) 및 전원 관리 모듈(118)은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하드웨어 모듈이고, OS 커널(10), 미들 웨어(20), 응용 어플리케이션들(30-A, 30-B, 30-C)은 프로세서(102)에서 실행 되는 프로그램들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 커널(10)은 미들 웨어(20)가 동작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응용 어플리케이션(30-A, 30-B, 30-C)은 미들 웨어(20)를 통하여 GPS 모듈(108), 무선 통신 모듈(106) 및 전원 관리 모듈(118) 등 이동 단말(100)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OS 커널(10)은 이동 단말(100)의 동작 전반을 관리하는 것으로, 특정 동작만을 위하여 설계된 것이 아닌,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삭제를 통하여 이동 단말(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 된 범용 OS의 커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OS 커널(10)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CE, 리눅스, 심비안의 커널일 수 있다.
미들 웨어(20)는 무선 통신 모듈(106)을 통한 억세스 네트워크로의 통신 세션이 상시 유지 되도록 무선 통신 모듈(106)을 제어한다. 미들 웨어의 통신 세션 상시 유지 기능과 관련하여 추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미들 웨어(20)는 상시 유지 되는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의 통신 세션을 기반으로 하여, 응용 어플리케이션(30-A, 30-B, 30-C)이 무선 통신 모듈(106)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2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는 예를 들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서 제공 되는 함수 셋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의 구현 예시에 대하여도 추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 어플리케이션(30-A, 30-B, 30-C)은 미들 웨어(20)의 통신 인터페이스(21) 만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모듈(106)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용 어플리케이션(30-A, 30-B, 30-C)은 무선 통신 모듈(106)의 종류와 관계 없이 통신 인터페이스(21)만을 적절히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모듈(106)은 미들 웨어(20)에 의하여 응용 어플리케이션(30-A, 30-B, 30-C)에 대하여 은닉 되므로, 응용 어플리케이션(30-A, 30-B, 30-C)의 개발 시에 무선 통신 모듈(106)의 종류 및 지원 기능 등은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논리적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100)은 택시에 설치 되는 텔레매틱스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되었다. 그에 따라, 택시 용 텔레매틱스 단말에서 사용 될 것으로 예상 되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D), 택시 콜 어플리케이션(30-E), 카드 결제 어플리케이션(30-F) 및 통화/문자 어플리케이션(30-G)이 동시에 OS 커널 상에서 실행 중인 경우를 가정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웨어(20)의 통신 인터페이스(21)는 PPP 인터페이스(211) 및 AT 커맨드 인터페이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
PPP 인터페이스(211)는 PPP(Point-to-Point Protocol) 기반 데이터 통신을 위한 PPP 통신 세션 설립 및 해제 동작을 상기 통신 세션을 기반으로 가상으로 에뮬레이팅(emulating)한다.
PPP 인터페이스(211)는 PPP 통신 세션 설립 동작을 위한 DataConnect 함수 및 PPP 통신 세션 설립 해제 동작을 위한 DataDisconnect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미들 웨어(20)는 통신 세션이 항상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따라서, 미들 웨어(20)는 상기 DataConnect 함수가 호출 된다고 하여 실제로 통신 세션을 신규 설립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106)을 제어하지는 않고, 상기 DataConnect 함수를 호출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실제로 통신 세션을 신규 설립하는 동작이 일어나는 것처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에뮬레이팅하는 동작만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DataDisconnect 함수가 호출 되더라도 통신 세션이 실제로 연결 해제 되지는 않는다.
DataConnect 함수를 호출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은 미들 웨어(20)에 의하여 항상 유지 되는 상기 통신 세션을 이용하여 PPP 기반 데이터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PP 기반 데이터 통신은 예를 들어, 소켓 통신 기술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켓 통신 기술은 OS 커널(10)의 확장 기능으로서 제공 되는 것이고, 둘 이상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커넥션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미들 웨어(20)가 무선 통신 모듈(106)을 제어하여 PPP 통신 세션을 지속적을 연결 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둘 이상의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PPP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AT 커맨드 인터페이스(212)는 AT 커맨드 기반 기능을 제공한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AT 커맨드는 모뎀 제어를 위한 규격화 된 명령어로, 상기 AT 커맨드는 음성 통화 송신, 음성 통화 수신, 문자 메시지 전송, 문자 메시지 수신을 위한 것일 수 있다. AT 커맨드 인터페이스(212)는 상기 각각의 AT 커맨드를 무선 통신 모듈(106)에 내리기 위한 각각의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응용 어플리케이션(30-D 내지 G)은 AT 커맨드를 직접 무선 통신 모듈(106)에 제공하지 않고, 미들 웨어(20)가 제공하는 AT 커맨드 인터페이스(212) 소속 함수를 호출하고, 미들 웨어는 AT 커맨드 인터페이스(212) 소속 함수가 호출 되는 경우, 이를 취합하여 각각의 함수에 대응하는 AT 커맨드를 무선 통신 모듈(106)에 제공한다. AT 커맨드를 무선 통신 모듈(106)에 제공하는 것은 도 4에 도시된 AT 커맨드 스케쥴러(24)가 담당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웨어(20)는 GPS 모듈(108)로부터 GPS 데이터를 제공 받아 관리하고, 상기 GPS 데이터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GPS 인터페이스(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D)은 GPS 데이터를 미들 웨어(20)를 통하지 않고 GPS 모듈(108)로부터 직접 제공 받도록 구현 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D)의 수정이 필요 없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GPS 모듈(108)의 데이터가 출력 되는 포트를 가상 포트 기술을 사용하여 가상 포트 1(1081), 가상 포트 2(1082) 두 개의 가상 포트로 나눈 후, 가상 포트 2(1082)로부터 GPS 데이터를 제공 받아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D)의 수정이 필요 없도록 상기 가상 포트 1(1081)의 포트 번호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D)이 기존에 GPS 데이터를 제공 받던 포트 번호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상 포트 2(1082)로부터 제공 받은 GPS 데이터의 관리는 도 4에 도시된 GPS 데이터 관리부(25)에 의하여 수행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인터페이스(22)는 GPS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한 조회 함수(221) 및 주기적으로 GPS 데이터를 제공 받기 위한 주기 제공 함수(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들 웨어(20)의 논리적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블록도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GPS 데이터 관리부(25)는 GPS 모듈(108)의 가상 포트 2(1082)를 통하여 제공 된 GPS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저장 또는 업데이트하고, AT 커맨드 스케쥴러(24)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AT 커맨드 인터페이스 소속 함수 호출에 의하여 접수 된 AT 커맨드 호출 요청 들을 스케쥴링한다.
도 4에는 무선 통신 모듈(106)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통신 모듈 드라이버(107)도 도시되어 있다. 무선 통신 모듈 드라이버(107)는 API 형태로 제공 되어, 미들 웨어(20)가 무선 통신 모듈 드라이버(107)를 활용하여 무선 통신 모듈(106)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세션 관리부(23)는 무선 통신 모듈(106)을 통한 억세스 네트워크로의 통신 세션이 상시 유지 되도록 무선 통신 모듈(106)을 무선 통신 모듈 드라이버(107)를 통하여 제어한다.
세션 관리부(23)는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세션의 상시 유지를 위한 트리거 메시지를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 송신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106)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에 의하여 아이들 상태의 지속적인 유지에 따른 커넥션 타임-아웃 종료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메시지는 기정의된 주기마다 송신 되거나, 상기 커넥션 타임-아웃 시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수신 되는 이벤트에 응답하여 송신 될 수 있다.
세션 관리부(23)는 통신 세션이 절단 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세션의 절단 판단은 세션 관리부(23)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세션 관리부(23)는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 세션의 절단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세션 관리부(23)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통신 세션 절단 확인 메시지를 제공 받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통신 세션의 절단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응답하며, 상기 통신 세션이 절단 된 경우, 상기 통신 세션을 복구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미들 웨어(20)는 이동 단말(100)에서 실행 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30-A 내지 G)들이 GPS 모듈(108) 및 무선 통신 모듈(106)을 활용할 때 미들 웨어(20)에서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21) 및 GPS 인터페이스(22)를 이용하는 것 만으로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미들 웨어(20)는 무선 통신 모듈(106)을 제어하여 통신 세션이 상시 유지되도록 하므로, 응용 어플리케이션(30-A 내지 G)들이 즉각적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미들 웨어(20)의 구현 예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웨어(20)는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27) 및 미들 웨어 어플리케이션(26)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27)는 소스 코드 자체(예를 들어, middleware.c, middleware.h)일 수도 있으며, 다이나믹 링크드 라이브러리 파일(dll)일 수도 있다. 또한,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27)는 COM(Component Object Model) 오브젝트 형태의 파일일 수도 있다.
미들 웨어 어플리케이션(26)은 OS 커널(10) 상에서 실행 되는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미들 웨어 어플리케이션(26)는 이동 단말(100)의 부팅 시 자동 실행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들 웨어 어플리케이션(26)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들 웨어(20)의 구현 예시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어플리케이션(30-A 내지 30-D)은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27)를 포함한다.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27)는 정적으로 링크될 수도 있으며, 동적으로 링크될 수도 있다. 미들 웨어 어플리케이션(26) 역시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문자 어플리케이션(30-D)이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27)에 포함 된 문자 메시지 송신 함수를 호출 하는 경우,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프로세스 간 연락)기술을 이용하여 미들 웨어 어플리케이션(26)에 특정 신호가 제공 되고, 미들 웨어 어플리케이션(26)은 이에 따라 문자 메시지 송신을 위한 AT 커맨드를 무선 통신 모듈(106)에 제공하게 된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6의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응용 어플리케이션 30-A 내지 30-D
미들 웨어 20
OS 커널 10
무선 통신 모듈 106
GPS 모듈 108

Claims (15)

  1.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운영체제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한 억세스 네트워크로의 통신 세션이 상시 유지 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세션을 활용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를 포함 하되,
    상기 미들 웨어는 아이들(idle) 상태의 지속적인 유지에 따른 커넥션 타임-아웃 종료 방지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트리거 메시지를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 송신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PPP(Point-to-Point Protocol) 통신 세션 설립 또는 해제 동작을 위한 함수가 호출되는 경우, PPP 기반 데이터 통신을 위한 PPP 통신 세션 설립 또는 해제 동작을 상기 통신 세션을 기반으로 가상으로 에뮬레이팅 하는 PPP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만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웨어는,
    상기 통신 세션의 상시 유지를 위한 트리거 메시지를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웨어는,
    기정의된 주기마다 상기 트리거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웨어는,
    상기 통신 세션 단절 전에 생성 되는 이벤트에 응답 하여, 상기 트리거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AT 커맨드 기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AT 커맨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8. 제1 항에 있어서,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 웨어는, 상기 GPS 모듈로부터 GPS 데이터를 제공 받아 관리하고, 상기 GPS 데이터에 대한 억세스를 위한 GPS 인터페이스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더 제공하는, 이동 단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GPS 모듈은, 둘 이상의 가상 포트를 통하여 GPS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미들 웨어는, 상기 가상 포트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GPS 데이터를 제공 받는, 이동 단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웨어는,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디드 되는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 및
    상기 운영체제에서 실행 되는 미들 웨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웨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를 임베디드 하는, 이동 단말.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웨어는,
    상기 통신 세션의 절단 시, 상기 통신 세션을 복구 하는, 이동 단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웨어는,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통신 세션 절단 확인 메시지를 제공 받은 경우, 상기 통신 세션의 절단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응답하며, 상기 통신 세션이 절단 된 경우, 상기 통신 세션을 복구 하는, 이동 단말.
  14.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운영체제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한 억세스 네트워크로의 통신 세션이 상시 유지 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세션을 활용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 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운영체제 및 상기 미들 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 하되,
    상기 미들 웨어 프로그램은 아이들(idle) 상태의 지속적인 유지에 따른 커넥션 타임-아웃 종료 방지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트리거 메시지를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PPP(Point-to-Point Protocol) 통신 세션 설립 또는 해제 동작을 위한 함수가 호출되는 경우, PPP 기반 데이터 통신을 위한 PPP 통신 세션 설립 또는 해제 동작을 상기 통신 세션을 기반으로 가상으로 에뮬레이팅 하는 PPP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웨어 프로그램 데이터는,
    상기 응용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디드 되는 미들 웨어 라이브러리 파일; 및
    상기 운영체제에서 실행 되는 미들 웨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KR1020110045832A 2011-05-16 2011-05-16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 KR10131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832A KR101310313B1 (ko) 2011-05-16 2011-05-16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832A KR101310313B1 (ko) 2011-05-16 2011-05-16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985A KR20120127985A (ko) 2012-11-26
KR101310313B1 true KR101310313B1 (ko) 2013-09-23

Family

ID=4751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832A KR101310313B1 (ko) 2011-05-16 2011-05-16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3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330A (ko) * 2002-02-15 2004-10-08 텔레포나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이동 단말기용 플랫폼 시스템을 위한 미들웨어 서비스 계층
KR20070019531A (ko) * 2005-08-11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
KR20080060888A (ko) * 2006-12-27 2008-07-02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330A (ko) * 2002-02-15 2004-10-08 텔레포나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이동 단말기용 플랫폼 시스템을 위한 미들웨어 서비스 계층
KR20070019531A (ko) * 2005-08-11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주기적인 위치추적 방법
KR20080060888A (ko) * 2006-12-27 2008-07-02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Oma dm 프로토콜을 위한 세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985A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1791B (zh) 用于基于移动设备的集群计算架构的方法和装置
CN101403981B (zh) 手机应用程序运行状态的管理方法和系统
EP2993588B1 (en) Method for downloading file, device and system thereof
CN107291456B (zh) 一种多屏显示的控制方法及系统
EP2988191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by the electronic device
CN105808235A (zh) 移动终端通知栏消息的管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1843670B2 (en) Packet data unit (PDU) se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20014055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듀얼 스탠바이 모드 및 싱글 스탠바이 모드의 전환 방법
CN102546920A (zh) 一种运行进程的方法、系统及设备
US118751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machine emulator upgrading virtualization emulator
WO2019019954A1 (zh) 基于终端的多安卓系统实现方法、存储介质及终端
US9042945B2 (en) Parallelization of application launch and activation of mobile data connection for applications requiring remote data in a device
CN106462448B (zh) 多操作系统设备、通知设备及其方法
CN108958807B (zh) 一种终端系统启动方法及终端
KR20120116771A (ko) 단말의 다중 운영체제 구동장치 및 운영체제 전환방법
CN108255547B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装置
KR101310313B1 (ko) 통신 자원 활용을 위한 미들 웨어를 구비한 이동 단말
CN105138107A (zh) 移动终端下载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8196997B (zh) 一种用于对应用进行动态控制的装置、方法以及移动终端
WO20121458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rocessor
EP2425336A1 (en) Mobile operating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14594965A (zh) 应用软件的安装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50076723A (ko) 차량 부팅 방법 및 차량 부팅 장치
CN112416641A (zh) 主从架构中被控端节点重启检测方法及主控端节点
WO2010086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izing the peripherals in a terminal device to enable remote management via removable portable media with processing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