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864A -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전기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전기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864A
KR20070018864A KR1020067017718A KR20067017718A KR20070018864A KR 20070018864 A KR20070018864 A KR 20070018864A KR 1020067017718 A KR1020067017718 A KR 1020067017718A KR 20067017718 A KR20067017718 A KR 20067017718A KR 20070018864 A KR20070018864 A KR 20070018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connector
load bearing
electrical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4812B1 (ko
Inventor
윌리엄 에이. 베로네시
폴 에이. 스턱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67017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8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66B7/1223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by analysing electric vari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5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elements for indicating or detecting the rope or cable st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07Elevator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30) 조립체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장치(40)는 적어도 하나의 인장 부재(32)와 전기 전도성 접촉을 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 부재(42)를 포함한다. 클램핑 부재(45)는 전기 커넥터 부재를 지지하며, 인장 부재(32)를 덮는 코팅(34)을 관통하도록 커넥터 부재를 조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 예에서의 클램핑 부재(45)는 하중 지지 부재(30)의 반대 측들에 수용되는 제1 부분(46) 및 제2 부분(48)를 갖는다. 조정기(50)는 전기 전도성 부재를 코팅을 통해 인장 부재와 전기 전도성 접촉을 하도록 가압하도록 클램핑 부재부들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 인장 부재, 전기 커넥터 장치, 전기 전도성 접촉, 조정 장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전기 커넥터 장치 {ELECTRICAL CONNECTOR DEVICE FOR USE WITH ELEVATOR LOAD BEARING MEMBERS}
본 발명은 대체로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장 부재와 전도성 접속을 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카(car) 및 평형추의 중량을 견디며 카가 승강 통로 내에서 요구되는 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로프 또는 벨트와 같은 하중 지지 부재를 통상 포함한다. 수년 동안, 강철 로프가 사용되었다. 더욱 최근에는 재킷 내에 수용된 복수의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코팅 강철 벨트가 도입되었다. 일 예로, 인장 부재는 강철 코드이며, 재킷은 폴리우레탄 재료를 포함한다.
새로운 장치배열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수명에 걸친 하중 지지 부재의 하중 지지 성능을 감시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을 제공한다.
현대적인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를 감시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식(electricity-based) 감시 기술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인장 부재와 전기 전도성 접속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립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견지에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인장 부재와 전기 접속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하나의 예시 장치는 인장 부재를 덮는 코팅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커넥터 부재를 포함한다. 클램핑 부재는 코팅의 적어도 일측에 수용되며 전기 커넥터 부재를 지지한다. 커넥터 부재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고 적어도 두 개의 인장 부재를 전기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락 컨덕터를 포함하는 회로 조합체가 클램핑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클램핑 부재는 하중 지지 부재의 반대 측에 수용되는 제1 및 제2 부분을 갖는다. 조정기는 제1 및 제2 부분을 서로를 향해 이동시켜 커넥터 부재가 인장 부재와 접촉하도록 가압된다.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조립체는 비전도성 재킷 내에 수용된 복수의 인장 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 부재는 재킷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인장 부재와 전기 전도성 접촉을 한다. 재킷의 외부에 수용된 클램핑 부재는 전기 커넥터를 지지한다. 클램핑 부재는 전기 커넥터 부재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 조합체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장점은 일반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첨부되는 도면은 이하와 같이 간략히 설명될 수 있다.
도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커넥터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고정되는 승강시 벨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3은 도2의 3-3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4-4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5는 도3과 유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또다른 예시적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카(22)는 종래의 방식으로 승강 통로(26) 내에서 평형추(24)와 함께 이동한다. 하중 지지 부재(30)는 카(22) 및 평형추(24)의 중량을 지지하며 (도시되지 않은) 기계의 적어도 하나의 구동 시브(drive sheave)와 상호작용하여 승강 통로 내에서의 카 및 평형추를 바람직하게 이동시킨다.
도2는 코팅 강철 벨트인 예시적 하중 지지 부재(3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2의 예는 논의를 위한 목적이며 본 발명은 특정 형식의 벨트 또는 하중 지지 부재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에서, 복수의 인장 부재(32)는 벨트(30) 내에서 종방향(즉, 도2에 도시된 L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예에서, 인장 부재(32)는 종래의 방식으로 코드를 형성하도록 권취되는 강철 스트랜드를 각각 포함한다.
인장 부재(32)는 일 실시예에서 폴리우레탄 재료를 포함하는 재킷(34) 내에 수용된다.
도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벨트(30)는 전기 커넥터 장치(40)와 결합된다. 도3 및 도4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장치(40)는 복수의 전기 커넥터 부재(42)를 갖는다. 커넥터 부재(42)의 일단부(44)는 벨트(30) 상의 재킷(34)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커넥터 부재(42)는 인장 부재(32)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부재(42)는 강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는 제1 부분(46) 및 제2 부분(48)을 갖는 클램핑 부재(4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분(46, 48)는 벨트(30)의 반대 측에 수용된다. 조정기(50)는 커넥터 부재(42)의 단부(44)가 재킷 재료(34)를 통해 인장 부재(32)와 전기 전도성 접촉하도록 가압되도록, 제2 부분(48)에 대해 제1 부분(46)을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한다. 도시된 예에서, 조정기(50)는 클램핑 부재의 제2 부분(48)의 상응 나사 수용부(54)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적으로 나사가 형성된 외부(52)를 포함한다. 조정기(50)를 회전시킴에 따라, 클램핑 부재(45)의 제1 및 제2부는 함께 당겨져서, 재킷 재료(34)를 통해 인장 부재(32)와 전기적 접촉을 하도록 커넥터 부재(42)를 가압한다. 일 예에서, 조정기(50) 및 수용부는 커넥터 부재(42)와 인장 부재(32) 사이의 완전한 결합을 가시적으로 확인하도록 (예컨대, 나사의 속도를 재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는, 클램핑 부재는 다른 방식으로 서로 가압되며, 커넥터 장치를 정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다른 장치배열이 사용된다.
도3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장치(40)는 벨트(30) 내의 각각의 인장 부재(32)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부재(42)를 포함한다. 도4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인장 부재(32)는 특정 인장 부재(32)와 관련된 커넥터 부재(42) 중 하나가 파손되거나 충분한 접촉을 확립하거나 유지하는 데 실패한 경우에 대리기능(redundancy)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커넥터 부재(42)에 의해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서, 클램핑 부재부(46, 48)는 비전도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예에서, 제1 부분(46)는 커넥터 부재(42) 및 인쇄 회로 기판(60)을 지지한다. 적어도 회로 조합체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칩과 같은 전자 부품(62)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부재(42)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도록 예컨대, 본 예시의 인쇄 회로 기판(60)에 의해 지지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로 기판(60) 상의 회로 트레이스는 커넥터(42)와 벨트 상태 감시 시스템의 다른 전자부품 사이의 상호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인쇄 회로 기판(60)과 지지된 전자부품(62)은 클램핑 부재(45)의 제1 부분(46)에 고정되는 하우징(64) 내에 수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분(46) 상의 회로 조합체는 인장 부재 또는 전체 하중 지지 부재의 상태를 지시하는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4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60)은 인장 부재(32)를 적절하게 감시하도록 전력 및/또는 제어 신호를 커넥터 부재(42)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드(68)를 갖는 커플링 장치(66)를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예에서는, 축전지 전력 및 무선 신호 전송이 사용되며, 다른 장치와 수동 유 선 접속(hand wired connection)을 하는 리드는 없다.
도5는 도3의 도면과 유사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선택된 커넥터 부재(42)는 인쇄 회로 기판(60) 상에 지지되는 회로 트레이스(70)에 의해 상호접속된다. 인쇄 트레이스(70)는 한 커넥터를 나머지 커넥터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단락시키며(short), 벨트(30) 내의 인장 부재(32)의 몇몇 또는 전부를 따라 연장되는 연속적인 전도성 경로를 갖기 위한 가능성을 확립한다. 예컨대, 모든 중간 인장 부재(32)가 회로 경로를 따라 분기되도록 하면서 가장 왼편의 인장 부재는 연속 회로 경로의 일단부일 수 있고, 가장 오른편의 인장 부재(32)는 회로의 타단부가 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 실시예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벨트의 일단부 부근에 제1 커넥터 장치를 가지며,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벨트의 대향 단부 부근에 별도의 커넥터 장치를 갖는다. 이러한 장치배열은 벨트를 따라 인장 부재의 일련의 커플링을 만들어낸다.
특정한 감시 방법 및 선택된 관련 부품에 따라,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바람직한 작동을 확립하도록 커넥터 부재(42)와의 적절한 접속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감시 기술은 저항식(resistance-based)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이 공개 출원 WO 00/5376호에 개시된다. 이 문헌의 교시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었다. 이러한 설명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전기 커넥터 장치의 다양한 부품을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재료로부터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회로 조합체, 전자부품 및 하우징을 클램핑 장치로 합체함으로써,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벨트 내에서 인장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더욱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접근방안을 제공한다. 부품의 독특한 장치배열은 전기 전도성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의 단순하고 신뢰성 있는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성질상 제한적이라기보다는 예시적이다. 개시된 예에 대한 변경 및 개조는 본 발명의 정수 내에 있다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주어진 법적 보호의 범주는 이하의 청구항을 연구함에 의해서만 오직 결정될 수 있다.

Claims (23)

  1.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중 지지 부재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장 부재와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이며,
    하중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수용되는 클램핑 부재와,
    클램핑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인장 부재와 전기 전도성 접촉을 하기 위한 위치로 인장 부재를 덮는 코팅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 부재와,
    커넥터 부재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클램핑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회로 조합체를 포함하는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는 하중 지지 부재의 대향 측들에 수용되는 제1 및 제2 부분을 가지며, 적어도 한 부분의 이동은 커넥터 부재를 인장 부재와 접촉을 하도록 가압하도록 작동하는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한 부분을 다른 부분을 향해 이동시키는 조정기를 포함하는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조정기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도록 클램핑 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나사가 형성된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적어도 한 부분은 나사 조정기와 협동하는 나사 수용부를 갖는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하우징과, 커넥터 부재와 커플링되는, 하우징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회로 조합체를 갖는 하우징 내의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지지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 부재는 인장 부재를 덮는 코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전기 전도성 접촉을 하는 결합면을 갖는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응하는 복수의 인장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커넥터는 복수의 인장 부재보다 크고, 하나 이상의 커넥터가 각각의 인장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응하는 인장 부재를 따라 연속적인 전기 전도성 경로를 확립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인장 부재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인장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단락 컨덕터를 포함하는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커넥터 부재는 모든 인장 부재를 따라 연속 전도성 경로를 확립하도록 커플링된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단락 컨덕터는 하중 지지 부재의 대향 단부 부근에서 전기 커넥터 부재로부터 지지되는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장치.
  14.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하중 지지 부재 내의 적어도 하나의 인장 부재와 전기 전도성 접촉을 확립하는 방법이며,
    전기 커넥터 부재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 조합체를 또한 지지하는 클램핑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 부재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커넥터 부재를 인장 부재를 덮는 코팅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와,
    커넥터 부재와 인장 부재 사이에서 전기 전도성 접촉을 하기에 충분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코팅을 관통하여 커넥터 부재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을 확립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하중 지지 부재는 복수의 인장 부재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부재를 각각의 인장 부재와 전도성 접촉을 하도록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을 확립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커넥터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장 부재 내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을 확립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하중 지지 부재에 인접하게 클램핑 부재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와, 클램핑 부재 및 커넥터 부재를 하중 지지 부재의 중심을 향해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을 확립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클램핑 부재의 한 부분을 하중 지지 부재의 각각의 측면들에 위치 설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분들을 서로에 대해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을 확립하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장 부재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인장 부재 에 대해 단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을 확립하는 방법.
  20. 복수의 전기 전도성 인장 부재와,
    인장 부재를 덮는 비전도성 코팅과,
    인장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 전도성 접촉을 하도록 인장 부재를 덮는 코팅을 관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커넥터 부재와,
    코팅의 적어도 일측에 수용되며, 상기 커넥터 부재가 인장 부재와 전기 전도성 접촉을 유지하도록 전기 커넥터 부재를 지지하는 클램핑 부재와,
    상기 커넥터 부재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클램핑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회로 조합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코팅의 제1 측에 수용된 제1 부분과 코팅의 제2 측에 수용된 제2 부분을 가지며, 인장 부재에 대한 커넥터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클램핑 부재부분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조립체.
  22. 제20항에 있어서, 복수의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부재는 각각의 인장 부재와 전기 전도성 접촉을 하는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조립체.
  23. 제20항에 있어서, 인장 부재들 중 적어도 두 개를 전기적으로 커플링하기 위 한 적어도 하나의 단락 컨덕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조립체.
KR1020067017718A 2006-09-01 2004-03-16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전기커넥터 장치 KR10079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7718A KR100794812B1 (ko) 2006-09-01 2004-03-16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전기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7718A KR100794812B1 (ko) 2006-09-01 2004-03-16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전기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864A true KR20070018864A (ko) 2007-02-14
KR100794812B1 KR100794812B1 (ko) 2008-01-15

Family

ID=4134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718A KR100794812B1 (ko) 2006-09-01 2004-03-16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전기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23076A (ja) * 2019-01-02 2021-09-02 日立楼宇技▲術▼(▲広▼州)有限公司Hitachi Building Technology (Guangzhou) Co., Ltd. エレベータの牽引スチールベルトのロープ破損検出装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検出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7653A (zh) * 2019-11-22 2020-02-21 合肥工业大学 一种钢带内芯的检测方法及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754B2 (ja) * 1976-07-21 1985-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ロ−プの異常検出装置
FR2634312B1 (fr) * 1988-07-18 1994-03-18 Cousin Ets Cousin Freres A M Cable electroporteur
CA2169431C (en) * 1995-03-06 2005-07-12 Claudio De Angelis Equipment for recognising when synthetic fibre cables are ripe for being discarded
US5992574A (en) * 1996-12-20 1999-11-30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to inspect hoisting ropes
US6633159B1 (en) * 1999-03-29 2003-10-14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detection of degradation of jacketed elevator rope
JP4500437B2 (ja) * 2000-12-15 2010-07-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出装置
US6653943B2 (en) * 2001-07-12 2003-11-25 Inventio Ag Suspension rope wear det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23076A (ja) * 2019-01-02 2021-09-02 日立楼宇技▲術▼(▲広▼州)有限公司Hitachi Building Technology (Guangzhou) Co., Ltd. エレベータの牽引スチールベルトのロープ破損検出装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812B1 (ko)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359B2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for use with elevator load bearing members
US7410033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restraining device for use with elevator belts
AU2009317388B2 (en) Supporting belt
CN100530840C (zh) 电连接器
CN106536384B (zh) 多功能带
EP3053867A1 (en) Rope terminal arrangement, arrangement for condition monitoring of an elevator rope and elevator
WO2005094248A3 (en) Elevator load bearing member monitoring device
CN102770364A (zh) 其上附连有连接装置的电梯系统带
WO2007109608A3 (en) Composite contact for fine pitch electrical interconnect assembly
HK1101381A1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for use with elevator load bearing members
ATE397310T1 (de) Kodiereinheit mit widerständen für einen kabelbaum
KR100794812B1 (ko) 엘리베이터 하중 지지 부재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전기커넥터 장치
JP2006191098A (ja) 装着オートマトンと構成素子用の供給装置との間の誘導性エネルギー伝達装置、供給装置、および装着オートマトン
CN109071173B (zh) 电梯设备以及用于电梯设备的转向滚轮结构
CN206208817U (zh) 电梯复合钢带检测装置
US20210130134A1 (en) Methods of treating a load-bearing part in a passenger moving system
KR100861201B1 (ko) 엘리베이터 벨트에 사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및 제한장치
CN210572604U (zh) 电路板检查设备
KR20230138382A (ko) 리프팅 장비 및 브레이킹 장치
JP2000208187A (ja) クリップ式中継コネクタ
KR101511757B1 (ko) 케이블 납땜상태 검사장치
KR20110072648A (ko) 케이블 및 케이블커넥터
KR20060023358A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장비
JP2005093086A (ja) 入力受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