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694A -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694A
KR20070018694A KR1020060074452A KR20060074452A KR20070018694A KR 20070018694 A KR20070018694 A KR 20070018694A KR 1020060074452 A KR1020060074452 A KR 1020060074452A KR 20060074452 A KR20060074452 A KR 20060074452A KR 20070018694 A KR20070018694 A KR 20070018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ndoscope
electrical connection
belt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388B1 (ko
Inventor
나오히로 나까무라
마사아끼 미야기
세이스께 다까세
히데노부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7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3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4Electrical cabl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4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electrical, e.g.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내시경과 외부 기기를 접속하는 스코프 커넥터 내에 수용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28c)이며, 상기 전자 내시경(102)의 촬상 유닛(115)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케이블의 신호선(30a 내지 30c)이 접속되는 제1 접점부(4) 및 상기 전송 케이블의 그랜드선이 접속되는 제2 접점부(5)를 구비한 제1 띠형상부(2)와, 상기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3 접점부(31)를 구비하고, 가요성을 갖는 제2 띠형상부(3)와, 상기 제1 띠형상부 및 상기 제2 띠형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를, 각각 상기 제3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송부(35, 36)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2 띠형상부가 구부러져 휘어진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와 상기 제3 접점부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이다.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전자 내시경, 촬상 유닛, 접점부, 띠형상부, 전송부

Description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ENDOSCOPE ELECTRIC CONNECTION DEVICE}
도1은 전자 내시경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전자 내시경의 외관도.
도3은 스코프 커넥터로부터 전기 커넥터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
도4는 전자 내시경의 스코프 커넥터에 마련되는 전기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5는 실드 프레임 내에 커넥터 기판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도6은 내시경의 전기 커넥터에 이용하는 커넥터 기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표면측의 평면도.
도7은 도6에 도시한 커넥터 기판의 이면측의 평면도.
도8은 커넥터 기판이 전기 커넥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
도9는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0은 삽입부 신호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케이블 선 커넥터(28c)의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기판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작용 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기판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작용 설명도.
도13은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기판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작용 설명도.
도14는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의 제1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l5는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의 제2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의 제3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의 제4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의 제5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의 제6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의 제7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슬리브
13 : 계지용 돌기부
14 : 커버 부재
15 : 인슐레이터
16 : 기판
17 : 패킹
19 : 실드 프레임
20 : 실드 덮개
22 : 나사
23 : 단선 핀
24 : 동축 핀
25 : 포스트 핀
26 : 커넥터 기판
29 : 케이블 선
101 : 시스템
102 : 전자 내시경
103 : 광원 장치
106 : 비디오 프로세서
107 : 모니터
108 : 삽입부
109 : 조작부
110 : 유니버설 코드부
111 : 라이트 가이드
112 : 케이블 선
113 : 스코프 커넥터
114 : 대물 렌즈
115 : 촬상 유닛
116 : 광원 램프
117 : 집광 렌즈
120 : 전기 커넥터
121 : 접속 코드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2-129872호 공보
본 발명은 내시경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외부 기기와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기기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에는, 복수의 케이블 선이 접속된 전기 커넥터가 이용된다.
전자 기기의 1개인 전자 내시경 장치는 체강 내에 삽입하여, 이 체강 내를 촬상하는 고체 촬상 소자를 구비한 촬상 유닛을 내장한 전자 내시경을 갖고 있다. 또한, 전자 내시경 장치는 전자 내시경에 의해 촬상된 촬상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내시경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외부 기기로서의 비디오 프로세서를 갖고 있다.
이 비디오 프로세서와 전자 내시경은 촬상 유닛으로부터의 각종 신호의 교환 및 촬상 유닛으로의 구동 전원 공급을 위해, 전자 내시경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 복수의 신호 케이블 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의 구조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2-12987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전자 내시경의 전기 커넥터 내에 있어서, 복수의 신호 케이블 선은 고체 촬상 소자를 갖는 촬상 유닛에 각각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타단부가 대응하는 커넥터 핀 등에 개별적으로 직접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커넥터는 조립 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 케이블 선을 커넥터 핀으로 개별적으로 직접 땜납 접속하기 위한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커넥터는 복수의 신호 케이블과 커넥터 핀에 접촉 불량 등의 문제점이 생기는 원인으로서, 각각의 땜납 접속이 불량 접촉되어 있거나, 신호 케이블 선에 단선 등이 발생하고 있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수리 작업자는 커넥터 내의 복수의 케이블 선이 뒤얽힌 상태로, 상기 불량 부위를 발견하였다고 해도, 복수의 케이블 선이 뒤얽힌 상태에서, 불량 부위만을 수리하는 것도 매우 곤란하였다.
또한, 조립 작업자 및 수리 작업자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을 때, 복수의 전기 케이블을 커넥터 내로 접촉 불량을 발생하지 않고 수용한다고 하는 신중하고, 또한 번거로운 작업을 강하게 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기적인 보수 및 수리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를 실현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2-129872호 공보
전자 내시경과 외부 기기를 접속하는 스코프 커넥터 내에 설치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이며, 상기 전자 내시경의 촬상 유닛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케이블의 신호가 접속되는 제1 접점부 및 상기 전송 케이블의 글랜드 선이 접속되는 제2 접점부를 구비한 제1 띠형상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3 접점부를 구비하고, 가요성을 갖는 제2 띠형상부와, 상기 제1 띠형상부 및 상기 제2 띠형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를 각각 제3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2 띠형상부가 구부러져 휘어진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와 상기 제3 접속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전자 내시경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전자 내시경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전자 내시경의 외관도, 도3은 전기 커넥터가 제거된 스코프 커넥터의 외관도이다.
우선, 전자 내시경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자 내시경 시스템(101)은 전자 내시경(이하, 간단히 내시경이라 칭함)(102)과, 광원 장치(103)와, 비디오 프로세서(106)와, 모니터(107)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내시경(102)은 체강 내에 삽입되는 가요성이 가늘고 긴 삽입부(108)와, 삽입부(108)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시술자가 파지 조작하는 조작부(109)와, 조작부(109)로부터 연장된 접속 케이블로서의 유니버설 코드(110)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삽입부(108), 조작부(109) 및 유니버설 코드(110)에는 라이트 가이드(111)와 케이블 선(112)이 내장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111)의 일단부는 삽입부(108)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유니버설 코드(110)의 기단부에 마련된 스코프 커넥터(113)에 의해 광원 장치(103)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블 선(112)의 일단부는 삽입부(108)의 선단부에 설치한 대물 렌즈(114)의 초점 위치에 배치한 CCD, CMOS 등의 고체 촬상 소자(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CCD로서 설명함)(115a)를 구비한 촬상 유닛(115), 후술하는 스위치 등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스코프 커넥터(113)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20)에 접속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09)에는 삽입부(108)의 선단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만곡부를 만곡 조작시키는 만곡 조작 손잡이(109a), 삽입부(108) 내의 처치구 채널에 처치구를 삽입시키기 위한 처치구 삽입구(109b) 및 촬상 유닛(115)의 CCD(115a)의 구동을 제어하여 동 화상/정지 화상 등의 조작용의 릴리스 스위치(release switch), 프리즈 스위치(freeze switch), 인핸스 스위치(enhance switch) 등의 화상 처리계 스위치(109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09)에는 삽입부(108)의 선단부의 대물 렌즈(114)(도1 참조)의 표면에 송기 송수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송기 송수 버튼, 체강 내의 오물이나 물 등을 흡인하는 도시되지 않은 흡인 버튼, 체강 내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송수하는 도시되지 않은 전방 송수 버튼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09)에 마련된 화상 처리계 스위치(109c)는 유니버설 코드(110)의 스코프 커넥터(113)에 마련된 전기 커넥터(120)를 통해 비디오 프로세서(10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광원 장치(103)에는 상술한 송기 송수를 행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송기 송수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인을 행하기 위한 흡인용 펌프와 전방 송수를 행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전방 송수 펌프는, 광원 장치(103)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내시경(102)은, 상술한 각 펌프를 통해 송기 송수, 흡인 및 전방 송수의 기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로 복귀하여, 광원 장치(103)는 광원 램프(116), 이 광원 램프(116)로부터의 조명광을 집광하여 스코프 커넥터(113) 내에 배치된 라이트 가이드(111)의 입력 단부에 입사하는 집광 렌즈(117), 광원 램프(116)의 점등 및 조광을 행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 및 전술한 송기 송수 펌프 등이 설치되어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06)는 내시경(102)의 삽입부(108)의 선단부에 마련된 CCD(115a)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브 회로(104)와, 촬상 유닛(115)의 CCD(115a)에 의해 광전 변환된 촬상 신호에 대해, 처리를 실시하여 내시경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회로(105)를 갖는 신호 처리 장치이다(이하, 신호 처리 장치라고도 함). 또한, 광원 장치(103)와 비디오 프로세서(106)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도 있 다.
모니터(107)는 비디오 프로세서(106)의 신호 처리 회로(105)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에 따른 내시경 화상을 표시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버설 코드(110)의 기단부에 마련된 스코프 커넥터(1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트 가이드(111)의 입사 단부를 광원 장치(103)에 접속하는 동시에, 전자 내시경(102)의 케이블 선(112)의 타단부와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120)를 갖고 있다.
이 전기 커넥터(120)는 전자 내시경(102)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외부 기기로서의 비디오 프로세서(106)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케이블 선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코드(121)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착탈 가능한 접속 플러그(122)가 연결되게 되어 있다.
접속 코드(121)의 타단부에는 접속 플러그(122)와 마찬가지인 접속 플러그(123)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플러그(123)는 비디오 프로세서(106)에 마련된 전기 커넥터(124)와 착탈 가능하다. 비디오 프로세서(106)에 마련된 전기 커넥터(124)는, 전술한 전기 커넥터(120)와 대략 마찬가지인 구성의 것이 이용된다.
즉, 전기 커넥터(120)에는 삽입부(108)의 선단부에 마련된 촬상 유닛(115)과 비디오 프로세서(106)를 접속하는 CCD 구동 제어 신호, 촬상 신호, 구동 전원 등의 송수신용의 신호선, 화상 처리계 스위치(109c)로부터의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선, 조광 제어하기 위한 신호선 등을 갖고 구성되는 케이블 선(112)의 각 신호선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착탈 가능한 접속 플러그(122)가 접속된다.
이 전기 커넥터(12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 시에 고정 부재에 의해 스코프 커넥터(113)에 고정되고, 보수 등일 때에 제거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4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전기 커넥터(120)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전자 내시경(102)의 스코프 커넥터(113)에 마련되는 전기 커넥터(120)의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5는 실드 프레임 내에 커넥터 기판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120)의 평면도, 도6은 내시경의 전기 커넥터(120)에 이용하는 커넥터 기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표면측의 평면도, 도7은 도6에 도시한 커넥터 기판의 이면측의 평면도, 도8은 커넥터 기판이 전기 커넥터(12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20)는 상술한 접속 코드(12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 플러그(122)가 결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슬리브(11)를 갖고 있다. 슬리브(11)의 외주에는 전술한 스코프 커넥터(113)에 나사 등에 의해 설치하기 위한 플랜지(12)가 설치되어 있다.
슬리브(11)의 내주의 후단부측에는 계지용 돌기부(13)가 마련되고, 계지용 돌기부(13)에 대략 원형상의 커버 부재(14)가 접촉되어 있다. 커버 부재(14)의 배면에는 절연 부재에 의해 형성된 인슐레이터(15)가 배치되고, 또한 인슐레이터(15)의 배면에는 기판(16)이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14), 인슐레이터(15) 및 기판(16)은 각각이 접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14), 인슐레이터(15) 및 기판(16)에는 단선 단자로서의 단선 핀(23), 동축 단자로서의 동축 핀(24) 및 포스트 핀(25)이 설치되어 있다.
슬리브(11)의 내주와 인슐레이터(15)의 외주 사이에는 수밀 보유 지지를 위한 패킹(17)이 끼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15)와 기판(16)의 외주 근방의 사이에는 수밀 보유 지지를 위한 패킹(18)이 끼움 장착되어 있다.
기판(16)의 배면의 외주면측에는 원통형의 실드 프레임(19)이 설치되어 있다. 실드 프레임(19)의 선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슬리브(11)의 후단부에 나사 맞춤 고정되어 있다. 실드 프레임(19)은 슬리브(11)의 후단부에 나사 맞춤 고정된다.
이에 의해, 기판(16)의 실드 프레임(19)과 접하는 측의 외주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접지 전위의 패턴은 실드 프레임(19)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동시에, 실드 프레임(19)을 통해 슬리브(11)에 접속된다. 즉, 슬리브(11), 기판(16)의 접지 전위 패턴 및 실드 프레임(19)이 통전 상태가 된다.
실드 프레임(19)의 후단부에는 케이블 선(29)이 삽입 관통되는 개구(20a)를 갖는 실드 부재에 의해 형성된 실드 덮개(20)가 나사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블 선(29)은 나사(22)에 의해 고정된 쿠션재(21a)가 내장된 케이블 선 고정판(2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케이블 선(29)은 스코프 커넥터 신호선(30a)과, 조작부 신호선(30b)과, 삽입부 신호선(30c)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스코프 커넥터 신호선(30a)은 비디오 프로세서(106)로부터 광원 장치(103)를 조광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코프 커넥터(113)에 내장된 복수의 신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 신호선(30b)은 전자 내시 경(102)의 조작부(109)에 마련된 화상 처리계 스위치(109c)로부터의 복수의 신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부 신호선(30c)은 촬상 유닛(115)으로부터의 복수의 신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코프 커넥터 신호선(30a), 조작부 신호선(30b) 및 삽입부 신호선(30c)은 복수의 단선 전선 혹은 동축선이다.
케이블 선(29)의 스코프 커넥터 신호선(30a)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본 발명에 영향을 미치는 가요성 기판에 의해 형성된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인 케이블 선 커넥터(28c)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 신호선(30b) 및 삽입부 신호선(30c)의 선단부에도 가요성 기판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28a, 28b)가 접속되어 있다.
슬리브(11)의 내주에는 외부 기기로서의 신호 처리 장치[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디오 프로세서(106)]로부터의 접속 코드(121)의 접속 플러그(122)가 접속되는 접속 부재로서의 복수의 단선 핀(23)과 복수의 동축 핀(24) 및 단일의 포스트 핀(25)이 커버 부재(14)와 인슐레이터(15)를 관통하여 기판(16)에 접속되어 있다. 커버 부재(14)의 선단부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선 핀(23), 동축 핀(24) 및 포스트 핀(25)은 슬리브(11)의 내주에 결합되는 접속 플러그(122)에 설치되어 있는 핀받이에 삽입된다.
단선 핀(23), 동축 핀(24) 및 포스트 핀(25)은 인슐레이터(15)에 접착 고정되어 있고, 후단부측은 기판(16)에 설치한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동시에, 관통 구멍의 주위에 마련한 랜드에 납땜되어 있다.
기판(16)에 납땜되는 동시에, 기판(16)의 후방에 연장되어 있는 단선 핀(23)과 동축 핀(24)은 커넥터 기판(26)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그 관통 구멍의 주위에 마련된 랜드에 납땜된다.
커넥터 기판(26)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선 핀(23)과 동축 핀(24)이 삽입되는 구멍부로서의 관통 구멍, 그 관통 구멍의 주위의 납땜용의 랜드, 케이블 선(29)의 스코프 커넥터 신호선(30a), 조작부 신호선(30b) 및 삽입부 신호선(30c)의 각각의 선단부에 마련된 케이블 선 커넥터(28a 내지 28c)가, 각각 접속되는 마이크로 커넥터(27a 내지 27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기판(26)에는 단선 핀(23)과 동축 핀(24)의 각 랜드와 마이크로 커넥터(27a 내지 27c)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패턴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전기 커넥터(120)에 마련되는 커넥터 기판(26)에 대해, 도5 내지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120)의 실드 프레임(19) 내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선 핀(23)(도5에 있어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동축 핀(24)에 납땜된 커넥터 기판(26)이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기판(26)에는 1매의 가요성 기판에 의해 형성되고, 케이블 선(29)의 각 신호선(30a 내지 30c)의 선단부에 마련된 커넥터(28a, 28b) 및 케이블 선 커넥터(28c)가 각각 접속되는 상술의 3개의 마이크로 커넥터(27a 내지 27c)가 탑재되어 있다.
이 커넥터 기판(26)은, 주로 단선 핀(23)과 동축 핀(24)의 실드부가 접속되는 대략 원형상의 제1 기판부(26a)와, 동축 핀(24)의 코어선부가 접속되는 대략 원 형상의 제2 기판부(26b)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기판(26)은 제1 기판부(26a)와 제2 기판부(26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접속 패턴을 갖고 있는 동시에, 제1 기판부(26a)와 제2 기판부(26b)를 대향하도록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26c)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커넥터 기판(26)의 상세 구성에 대해 도6 및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기판(26)의 제1 기판부(26a)의 이면에는 복수의 단선 핀 랜드(52)와, 복수의 동축 실드 핀 랜드(53)가 설치되어 있다. 단선 핀 랜드(52)는 단선 핀(23)이 삽입되는 구멍부로서의 복수의 관통 구멍(52a)과, 관통 구멍(52a)의 주위에 마련된 랜드(52b)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축 실드 핀 랜드(53)는 동축 핀(24)의 실드부가 삽입되는 구멍부로서의 복수의 관통 구멍(53a)과, 관통 구멍(53a)의 일부 주위의 외연측에 설치된 랜드(53b)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단선 핀 랜드(52)는, 도6 중의 P1 내지 P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부(26a)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동축 실드 핀 랜드(53)는, 도6 중의 P21 내지 P2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설치한 단선 핀 랜드(52)보다도 제1 기판부(26a)의 외연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기판부(26a)에는 스코프 커넥터 신호선(30a)의 커넥터(28a)가 장착되는 마이크로 커넥터(27a)가 탑재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 커넥터(27a)는 제1 기판부(26a)의 외주측에 탑재되어 있다.
커넥터 기판(26)의 제2 기판부(26b)의 이면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55a)과, 동축 코어선 핀 랜드(55)(도6 중의 P31 내지 P35)와, 실드 필름(54)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 구멍(55a)은 절곡부(26c)를 기준으로 하여 제2 기판부(26b)가 제1 기판부(26a)에 대향하도록 커넥터 기판(26)이 절곡될 때에, 제1 기판부(26a)에 마련되는 복수의 동축 실드 핀 랜드(53)(도6 중의 P21 내지 P25)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의 동축 핀(24)의 코어선부가 삽입되는 구멍부이다.
동축 코어선 핀 랜드(55)(도6 중의 P31 내지 P35)는, 전술의 복수의 관통 구멍(55a)과, 그들 관통 구멍(55a)의 주위에 마련된 랜드(55b)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드 필름(54)은 제2 기판부(26b)의 이면에 있어서, 동축 코어선 핀 랜드(55)를 제외하는 전체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드 필름(54)은, 주로 제1 기판부(26a)와 제2 기판부(26b) 사이의 전자 차폐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절곡부(26c)로부터 제1 기판부(26a)의 일부까지 연장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접지 전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7에 도시한 커넥터 기판(26)의 제1 기판부(26a)의 표면에는 복수의 홀(52'a)과, 복수의 단선 핀 랜드(52')(도7 중의 P1 내지 P19)와, 복수의 홀(53'a)(도7 중의 P21 내지 P25)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홀(52'a)은 제1 기판부(26a)의 이면의 복수의 단선 핀 랜드(52)(도6 중의 P1 내지 P19)의 관통 구멍(52a)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단선 핀 랜드(52')는 전술의 복수의 홀(52'a)과, 그들 복수의 홀(52'a)의 주위에 마련된 랜드(52'b)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홀(53'a)(도7 중의 P21 내지 P25)은 제1 기판부(26a)의 이면의 복수의 동축 실드 핀 랜드(53)(도6 중의 P21 내지 P25)의 관통 구멍(53a)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2 기판부(26b)에는 이면의 복수의 동축 코어선 핀 랜드(55)(도6 중의 P31 내지 P35)의 관통 구멍(55a)이 각각 연통되어 있는 복수의 홀(55'a)과, 이들 홀(55'a)의 주위에 마련된 랜드(55'b)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동축 코어선 핀 랜드(55')(도7 중의 P31 내지 P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기판부(26b)의 표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케이블 선(29)의 조작부 신호선(30b)의 케이블 선 커넥터(28b)가 장착되는 마이크로 커넥터(27b)와, 삽입부 신호선(30c)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가 장착되는 마이크로 커넥터(27c)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제2 기판부(26b)는 제1 기판부(26a)측으로 절곡되었을 때에, 제1 기판부(26a)에 설치한 마이크로 커넥터(27a)와 겹치는 부분이 절결되어 있다. 이 제2 기판부(26b)의 절결에 의해, 제1 기판부(26a)에 탑재되는 마이크로 커넥터(27a)로의 커넥터(28a)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즉, 가요성 기판에 의해 형성된 커넥터 기판(26)은 제1 기판부(26a)와 제2 기판부(26b)를 절곡부(26c)로부터 겹치도록 절곡한 상태에 있어서, 제1 기판부(26a)의 표면과 제2 기판부(26b)의 이면으로 이루어지는 한쪽의 면에, 주로 외부 기기와 접속하는 단선 핀(23), 동축 핀(24) 등의 접속 부재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기판(26)은 제1 기판부(26a)의 이면과 제2 기판부(26b)의 표면 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쪽의 면의 측에, 주로 전자 내시경의 유니버설 코드(110)에 내장되어 있는 케이블 선(29)의 커넥터(28a, 28b) 및 케이블 선 커넥터(28c)가 각각 장착되는 마이크로 커넥터(27a, 27b, 27c)가 탑재되게 되어 있다.
이들 마이크로 커넥터(27a 내지 27c)는, 각각에 대응하는 단선 핀 랜드(52)(도면 중의 P1 내지 P19), 동축 실드 핀 랜드(53)(도면 중의 P21 내지 25), 동축 코어선 핀 랜드(53)(도면 중의 P31 내지 P35) 및 도시하지 않은 접속 패턴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단선 핀 랜드(52), 복수의 동축 실드 랜드(53) 및 복수의 동축 코어선 핀 랜드(55)의 수, 마이크로 커넥터(27a 내지 27c)의 수 등은 일 예가며, 케이블 선(29)에 포함되는 신호선(30a 내지 30c)의 종류, 굵기, 수량 및 마이크로 커넥터(27)의 극수 등에 의해 변경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기판(26)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부(26a)와 제2 기판부(26b)의 이면이 각각 대향하도록 전기 커넥터(120)에 장착된다. 이때, 복수의 단선 핀(23)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도 부분이 기판(16)에 납땜되어 기판(16)으로의 전기적 접속이 된다. 또한, 단선 핀(23)은 인슐레이터(15)와 기판(16)의 위치 관계의 보유 지지를 행한다.
또한, 복수의 단선 핀(23) 중 몇 개는 축 방향의 길이가 짧고, 이들 길이의 짧은 단선 핀(23)이 주로 하여 기판(16)과의 전기적 접속과 위치 보유 지지용으로서 이용된다. 이들 길이의 짧은 단선 핀(23)은 기단부측의 종단부 부분이 기판(16)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기판(16)의 양면에 마련된 관통 구 멍 주위의 랜드와 납땜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16)과 길이가 짧은 단선 핀(23)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기판(16)에는 기판(16)에 탑재되는 전자 부품과의 접속 패턴 및 접지 전위 패턴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길이가 짧은 단선 핀(23)은 납땜된 랜드를 통해, 접속 패턴 혹은 접지 전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술의 길이가 짧은 단선 핀(23)과는 다른 복수의 단선 핀(23)은 그러한 기단부측의 종단부 부분이 커넥터 기판(26)의 제1 기판부(26a)의 단선 핀 랜드(52)의 관통 구멍(52a)(도6 및 도7 참조)에 삽입되어, 관통 구멍(52a)의 주위의 랜드(52b)와 납땜된다. 이에 의해, 기판(16)과 커넥터 기판(26)의 제1 기판부(26a)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복수의 동축 핀(24)은 기단부측의 종단부 부분이 커넥터 기판(26)의 제2 기판부(26b)의 동축 코어선 핀 랜드(55)의 관통 구멍(55a)(도6 및 도7 참조)에 삽입되어, 관통 구멍(55a)의 주위의 랜드(55b)와 납땜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 기판(26)의 제1 기판부(26a)와 제2 기판부(26b)는, 그러한 동안에 일정한 간격을 비워 두도록 보유 유지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복수의 동축 핀(24)은 커넥터 기판(26)의 제1 기판부(26a)에 마련되어 있는 동축 핀 랜드(53)의 관통 구멍(53a)(도6 및 도7 참조)에 실드가 되는 외주부의 기단부측의 종단부 부분이 삽입되어, 제1 기판부(26a)의 동축 실드 핀 랜드(53)와 납땜된다. 또한, 포스트 핀(25)은 기판(16)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기판(16)의 양면에 마련된 관통 구멍 주위의 랜드와 납땜된다.
이와 같이, 기판(16)과 커넥터 기판(26)의 제1 기판부(26a)와 제2 기판부는 슬리브(11) 내의 커버 부재(14)와 인슐레이터(15)에 마련된 단선 핀(23) 및 동축 핀(24)에 의해, 각각에 대향하는 면이 소정의 거리에 이격되어 기계적으로 보유 지지되는 동시에, 전기적인 접속이 된다.
이하, 도9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본 발명의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인 케이블 선 커넥터(28c)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9는 케이블 선 커넥터(28c)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0은 복합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케이블 선 커넥터(28c)의 평면도, 도11 내지 도13은 케이블 선 커넥터(28c)가 전기 커넥터(120)의 커넥터 기판(26)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작용 설명도이다.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인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약간에 폭이 넓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가요성을 갖는 제1 접점 배치 수단이 되고, 제1 띠형상부인 케이블 선 접속부(2)와, 이 케이블 선 접속부(2)의 대략 중앙 부분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을 갖는 제2 접점 배치 수단이 되고, 제2 띠형상부인 접속 단자부(3)를 갖고 구성되고, 본디 형상이 대략 T자 형상의 가요성 기판이다.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2열로 대략 등간격의 복수의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제1 접점부가 되는 복수의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와, 제2 접점부가 되는 복수의 그랜드 랜드[5(5a 내지 5n)]가 평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선 접속부(2)는 복수의 전선이 접속되기 쉽도록, 접속 단자 부(3)보다도 넓은 면적을 갖고 있다.
상술한 복수의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는 케이블 선 접속부(2)를 도9의 지면을 향해 본 상방에 1열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한편, 복수의 그랜드 랜드[5(5a 내지 5n)]는 케이블 선 접속부(2)를 도9의 지면을 향해 본 하방으로 1열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 및 그랜드 랜드[5(5a 내지 5n)]의 각각의 간격은, 접속되는 동축선의 종류 및 굵기 등에 따라, 납땜 접속이 용이한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선 접속부(2)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삽입부 신호선(30c)의 그랜드선이 되는 종합 접지 실드가 땜납되는 접지 랜드(6)와, 이 접지 랜드(6)와 전기적으로 통전하고 있는 리드선용 랜드(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드선용 랜드(7)에는 접지 리드선(8)의 일단부가 땜납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접지 리드선(8)은 타단부에 링형의 접속부를 갖고, 이 접속부가 전기 커넥터(10)의 접지 전위에 접속된다.
상술한, 제2 전기적으로 접속부인 접속 단자부(3)는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측부 중앙 부근으로부터 연장되는 변형부(3a)와, 이 변형부(3a)의 연장 단부가 되는 일단부에 전기 접속용의 제3 접점부가 되는 단자부(31)를 갖고 있다. 이 단자부(31)는 복수의 단자편(32)을 갖고, 전술한 커넥터 기판(26)에 마련되는 마이크로 커넥터(27c)에 삽입 장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31)에는 복수의 단자편(32)의 장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 는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편(33)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편(33)은 복수의 단자편(32)이 형성된 부분의 폭보다도 비교적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마이크로 커넥터(27)의 도시되지 않은 삽입구와 병설되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편 삽입구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 가이드편(33)은 마이크로 커넥터(27)와 접착 및 땜납 등에 의해 고정 부착된다.
이에 의해, 단자부(31)는 마이크로 커넥터(27c)로 삽입할 때 표리의 삽입 오류가 생기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커넥터(27)는 그 하우징의 일측면에 가이드편이 따르도록 장착하는, 예를 들어 안내 홈 등의 피가이드부를 가져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 및 그랜드 랜드[5(5a 내지 5n)]는, 각각이 대응하는 단자부(31)의 각 단자편(32)과 접속 패턴[35(35a 내지 35n), 36(36a 내지 36n)]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속 패턴[35(35a 내지 35n), 36(36a 내지 36n)]은, 본 실시 형태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에 있어서의 전송 수단인 전송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도9의 지면을 향해 보아 접지 랜드(6)보다도 좌측의 4개의 그랜드 랜드(5a 내지 5d)가 배면측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랜드 랜드(5d)가 접속 패턴(36a)에 의해 복수의 단자편(32) 중 1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케이블 선 접속부(2)의 한쪽의 단부 부분에는 볼록 형상의 절입 구멍(2a)이 마련되고, 다른 쪽의 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 출하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상으로, 그 삼각 형상의 바닥변에 소정의 폭의 접속편을 갖는 갈고리 형상부(2b)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갈고리 형상부(2b)의 이등변 삼각형상을 볼록 형상 절입 구멍(2a)의 폭이 넓은 부분에 삽입하고, 갈고리 형상부(2b)의 접속편을 볼록형 절입 구멍(2a)의 폭이 좁은 부분에 장착시킴으로써 케이블 선 접속부(2)를 대략 원통형으로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 및 그랜드 랜드[5(5a 내지 5n)]에는 케이블 선(29)의 삽입부 신호선(30c) 내에 삽입 관통하는 복수의 동축선[10(10a 내지 10n)]이 평면적으로 각각 납땜된다. 즉, 삽입부 신호선(30c)의 각 동축선[10(10a 내지 10n)]은 내부 도체가 되고, 신호선인 코어선[9(9a 내지 9n)]이, 각각 대응하는 접속 랜드[4(4a 내지 4n)]에 납땜된다. 또한, 각 동축선[10(10a 내지 10n)]은 외부 도체가 되는 접지 실드가 접속 랜드[5(5a 내지 5n)]에 각각 납땜된다.
이때,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단자부(3)가 연장되어 있는 측부와 반대측의 측부 방향, 즉 도10의 지면을 향해 본 상부측과 삽입부 신호선(30c)이 연장되도록 접속된다. 즉, 접속 단자부(3)가 전기 커넥터(120)의 커넥터 기판(26)에 마련되는 마이크로 커넥터(27c)와 접속되기 위해, 삽입부 신호선(30c)은 전기 커넥터(120)의 스코프 커넥터(113)로의 장착성을 고려하여, 접속 단자부(3)와 반대측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의 케이블 선 접속부(2)측부로부터 연장되도록 접속된다.
또한, 삽입부 신호선(30c)은 내부의 종합 접지 실드가 땜납되는 케이블 선 커넥터(28c)의 접지 랜드(6)에 땜납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케이블 선 커넥터(28c)와의 접속 보유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삽입부 신호선(30c)은 비교적 굵고 튼튼한 종합 접지 실드를 채용하고, 접지 랜드(6)에 납땜되어 케이블 선 커넥터(28c)와의 접속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로 인해, 접지 랜드(6)는 가능한 한 넓은 면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케이블 선 커넥터(28c)의 케이블 선 접속부(2)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전기 커넥터(120) 및 스코프 커넥터(113)의 크기에 의존하기 때문에, 케이블 선 접속부(2)의 면적이 제한되어 버린다. 그로 인해 복수의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 및 그랜드 랜드[5(5a 내지 5n)]는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스페이스 내에 효율 좋게, 또한 땜납 접속되는 삽입부 신호선(30c)의 복수의 동축선[10(10a 내지 10n)]의 접속성을 고려하여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상으로 서술한 이유로부터,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케이블 선 접속부(2)에 있어서, 복수의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가 삽입부 신호선(30c)의 연장되는 측에 1열로 설치되고, 복수의 그랜드 랜드[5(5a 내지 5n)]가 접속 단자부(3)의 연장되는 측에 1열로 설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는, 도9의 지면을 향해 본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상방에 긴 변 방향에 1열로 설치되고, 복수의 그랜드 랜드[5(5a 내지 5n)]는 도9의 지면을 향해 본 케이블 선 접속부(2)의 하방으로 긴 변 방향에 1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이 쌍이 되는 복수의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 및 복수의 그랜 드 랜드[5(5a 내지 5n)]는, 상하로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시그널 랜드(4a)와 그랜드 랜드(5a)는 1개의 동축선(10a)이 대략 직선 형상이 되도록, 동축선(10a)의 코어선(9a)과 접지 실드가 땜납에 의해 접속할 수 있도록,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짧은 변 방향의 상하으로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삽입부 신호선(30c)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합 실드가 접지 랜드(6)에 땜납에 의해 접속되고, 도10의 지면을 향해 본 하방으로 신장하는 복수의 동축선[10(10a 내지 10n)]이 각각 상방에 구부러져 반환되고, 각 코어선[9(9a 내지 9n)]이 각각 대응하는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에 땜납에 의해 접속되고, 각 접지 실드가 각각 대응하는 그랜드 랜드[5(5a 내지 5n)]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삽입부 신호선(30c)은 인장하는 힘이 가해져도, 각 동축선[10(10a 내지 10n)]에 직접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각 동축선[10(10a 내지 10n)]을 단선하기 어려워진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삽입부 신호선(30c)이 접속된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가 전기 커넥터(120)에 탑재된 커넥터 기판(26)의 마이크로 커넥터(27c)에 접속되는 상태에 대해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삽입부 신호선(30c)의 각 동축선(10)이 각각 대응하는 시그널 랜드(4) 및 그랜드 랜드(5)에 땜납에 의한 접속된 면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커넥터(27c)에 접속된다.
이때,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접속 단자부(3)의 단자부(31)의 각 단자편(32)(도11에 있어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마이크로 커넥터(27c)의 삽입구에 삽입된다. 또한,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단자부(31)의 가이드편(33)이 가이드편 삽입구 등에 소정으로 삽입 장착됨으로써 표리의 삽입 오류가 생기지 않도록, 또한 단자부(31)의 각 단자편(32)이 마이크로 커넥터(27c)와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케이블 선 접속부(2)가 기립하도록, 접속 단자부(3)의 변형부(3a)가 구부러져 휘어진다. 그리고,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케이블 접속부(2)의 삼각 형상의 갈고리 형상부(2b)가 철형상의 절입 구멍(2a)의 폭이 넓은 부분에 삽입되고, 갈고리 형상부(2b)의 접속편을 볼록형 절입 구멍(2a)의 폭이 좁은 부분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선 접속부(2)의 각 동축선(10)의 접속되어 있는 면이 내측이 되도록, 대략 원통형으로 구부러져 휘어진 형상이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20)에 실드 프레임(19)을 설치할 수 있어 실드 프레임(19)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복수의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 및 복수의 그랜드 랜드[5(5a 내지 5n)]는 접속 패턴[35(35a 내지 35n), 36(36a 내지 36n)]에 의해 케이블 선 접속부(2) 및 접속 단자부(3)가 구부러져 휘어져도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접속 단자부(3)가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짧은 변 방향에 따른 제1 방향으로 구부러져 휘어져도, 케이블 선 접 속부(2)가 그 긴 변 방향에 따른 제2 방향으로 구부러져 휘어진다. 즉, 접속 단자부(3) 및 케이블 선 접속부(2)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져 휘어지고, 이 다른 방향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대략 T자 형상의 가요성 기판으로 형성되고, 가로로 길게 평면 형상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케이블 선 접속부(2)에 직사각 형상축에 따라 상하에 각각 일렬의 복수의 시그널 랜드[4(4a 내지 4n)]와, 복수의 그랜드 랜드[5(5a 내지 5n)]를 갖고, 이들 각 랜드(4, 5)를 삽입부 신호선(30c)의 각 동축선(10)의 납땜이 용이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또한 케이블 선 접속부(2)에 설치한 각 랜드(4, 5)와 접속 패턴[35(35a 내지 35n), 36(36a 내지 36n)]에 의해 접속시킨 접속 단자부(3)에 비교적 폭이 좁은 복수의 단자편(32)을 갖는 단자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케이블 선 접속부(2)에 삽입부 신호선(30c)의 각 동축선(10)을 평면적인 납땜이 되기 때문에, 납땜 작업성이 향상되고, 전기 커넥터(120)의 커넥터 기판(26)에 탑재되는 마이크로 커넥터(27c)에 용이하게 복수의 단자편(32)을 갖는 단자부(31)를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접속 단자부(3)의 변형부(3a)를 구부러져 세운 상태에서 휘어져 케이블 선 접속부(2)를 대략 원통형으로 구부러져 휘어진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스페이스에 제한이 있는 실드 프레임(19)의 내부에 수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자는 스코프 커넥터(113) 내에 전기 커넥터(120)를 수용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예를 들어 삽입부 신호선(30c)의 각 동축선(10)과 케이블 선 커넥터(28c)의 접속에 접촉 불량 등의 문제점이 생겼을 경우, 수리 작업자는 스코프 커넥터(113)로부터 전기 커넥터(120)를 제거하고, 케이블 선 커넥터(28c)의 갈고리 형상부(2b)를 절입 구멍(2a)으로부터 제외하고, 케이블 선 커넥터(28c)를 대략 원통형으로부터 넓어짐으로써, 각 동축선(10)과의 접속 상태를 용이하게 점검 가능하다.
그리고, 수리 작업자는 접촉 불량 등을 일으키고 있는 동축선(10)을, 다시 땜납 접속하여 고치거나, 케이블 선 커넥터(28c) 자체를 교환 등을 함으로써, 전기적인 보수 및 수리 등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블 선 접속부(2)에는 복수의 시그널 랜드(4)가 각 동축선(10)의 구부러져 반환하는 방향에 맞추어 길이 방향에 따른 일측부 측에 1열로 배치되고, 복수의 그랜드 랜드(5)가 길이 방향에 따른 타측부 측에 1열로 배치되는 동시에, 대응하는 각 시그널 랜드(4) 및 각 그랜드 랜드(5)가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동축선(10)의 코어선(9) 및 접지 실드는 대응하는 시그널 랜드(4) 및 그랜드 랜드(5)에, 각각 용이하게 땜납에 의한 접속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도14 내지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특징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14 내지 도20은 본 발명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우선,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변형 예가 되는 케이블 선 커넥터(28c) 는, 상술한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양단부에 볼록 형상의 절입 구멍(2a) 및 삼각 형상의 갈고리 형상부(2b)를 갖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20)의 커넥터 기판(26)에 마이크로 커넥터(27c)를 통해 접속 단자부(3)의 단자편(3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케이블 선 접속부(2)가 대략 원통형이 된다. 이때, 케이블 선 커넥터(28c)의 케이블 선 접속부(2)는 그 양단부가 합쳐지도록,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 및 밴드 등에 의해 고정되어 대략 원통형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해도, 이 상태에서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전기 커넥터(120)의 실드 프레임(19) 내에 수용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변형 예가 되는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볼록 형상의 절입 구멍(2a) 및 삼각 형상의 갈고리 형상부(2b) 대신에, 케이블 선 접속부(2)를 대략 원통형으로 보유 지지 형성할 수 있도록,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양단부에 절입이 설치되어 있다.
도15에 도시한 제2 변형 예인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양단부에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따른 절삭홈(2c, 2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삭홈(2c, 2d)은 케이블 선 접속부(2)의 대략 중앙까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절삭홈(2c)은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일측부 측이 절삭구가 되고, 다른 쪽의 절삭홈(2d)은 케이블 선 접속부(2)의 타측부 측이 절삭구가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케이블 선 접속부(2)는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절삭홈(2c, 2d)의 각 절삭구측으로부터 양단부의 절입부(2c, 2d)가 합쳐지도록 계입됨으로써, 대략 원통형으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도16에 도시한 제3 변형 예인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일단부의 대략 중앙에, 길이 방향과 대략 직행하는 방향에 따른 Ⅰ자 형상의 절삭홈(2e)이 형성되고,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일단부의 대략 중앙에 지면 상에 있어서, 역コ자 형상의 절삭홈(2f)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케이블 선 접속부(2)는 일단부 부분에 마련된, 여기서는 역 コ자 형상의 절삭홈(2f)이 타단부 부분에 마련된 Ⅰ자 형상의 절삭홈(2e)에 계입됨으로써, 대략 원통형으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도17 내지 도20에 제4 내지 제7의 변형 예가 되는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상술한 실시예 및 제1 내지 제3 변형 예에서 나타낸 케이블 선 커넥터(28c)의 대략 중앙 일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속 단자부(3)를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일단부로부터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시킨 것이다.
즉,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케이블 선 접속부(2)의 일측부에 있어서의 접속 단자부(3)의 연장 위치를 변경해도, 그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각 변형 예에 있어서의 케이블 선 커넥터(28c)는 외부 기기로서의 신호 처리 장치인 비디오 프로세서(106)와 광원 장치(103)가 개별로 설치되어 있는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신호 처리 장치인 비디오 프로세서(106)와 광원 장치(103)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외부 기기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실시 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계의 숙련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인 보수 및 수리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1)

  1. 전자 내시경과 외부 기기를 접속하는 스코프 커넥터 내에 수용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이며,
    상기 전자 내시경의 촬상 유닛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케이블의 신호선이 접속되는 제1 접점부 및 상기 전송 케이블의 그랜드선이 접속되는 제2 접점부를 구비한 제1 띠형상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3 접점부를 구비하고, 가요성을 갖는 제2 띠형상부와,
    상기 제1 띠형상부 및 상기 제2 띠형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를, 각각 상기 제3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2 띠형상부가 구부러져 휘어진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와, 상기 제3 접점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형상부는 상기 제2 띠형상부보다도 넓은 면적을 갖고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형상부는 긴 변과 짧은 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형상부는 가요성을 갖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형상부는 가요성을 갖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형상부는 가요성을 갖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형상부에는 구부러져 휘어진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고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형상부는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를 일면에 갖고, 상기 일면이 내주가 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의해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부러져 휘어진 상태로 유지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띠형상부는 상기 제1 띠형상부의 상기 긴 변 방향에 따른 일측부로부터, 상기 짧은 변 방향을 따라 돌출하고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 속 디바이스.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띠형상부는 상기 제1 띠형상부의 상기 긴 변 방향에 따른 일측부로부터, 상기 짧은 변 방향을 따라 돌출하고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띠형상부는 상기 제1 띠형상부의 상기 일측부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상기 짧은 변 방향을 따라 돌출하고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형상부는 상기 제2 띠형상부가 구부러져 휘어진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구부러져 휘어지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며, 상기 긴 변 방향에 따른 방향인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띠형상부는 상기 커넥터에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갖고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띠형상부는 상기 커넥터에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부를 갖고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는, 각각 상기 제1 띠형상부의 상기 긴 변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는, 각각 상기 제1 띠형상부의 상기 긴 변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제2 띠형상부가 돌출하는 상기 제1 띠형상부의 상기 측부 측에 배치되어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부는 상기 전송 케이블이 상기 제1 띠형상부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측이 되는 상기 제1 띠형상부의 상기 측부 측에 배치되어 있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20. 전자 내시경과 외부 기기를 접속하는 스코프 커넥터 내에 수용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이며,
    상기 전자 내시경의 촬상 유닛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케이블 의 신호선이 접속되는 제1 배선 수단 및 상기 전송 케이블의 그랜드선이 접속되는 제2 접속 수단이 동일면에 설치되고, 가요성을 갖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제1 접점 배치 수단과,
    상기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3 접속 수단이 설치되고, 가요성을 갖는 제2 접점 배치 수단과,
    상기 제1 접점 배치 수단 및 상기 제2 접점 배치 수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속 수단 및 상기 제2 접속 수단을, 각각 상기 제3 접속 수단과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제2 접점 배치 수단이 구부러져 휘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수단 및 상기 제2 접속 수단과 상기 제3 접속 수단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점 배치 수단은 긴 변 방향의 양단부에 고정 수단을 갖고, 상기 동일면이 내주가 되도록 상기 고정 수단에 따라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부러져 휘어진 상태가 유지되는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KR1020060074452A 2005-08-09 2006-08-08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KR100817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452A KR100817388B1 (ko) 2005-08-09 2006-08-08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00,401 2005-08-09
KR1020060074452A KR100817388B1 (ko) 2005-08-09 2006-08-08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694A true KR20070018694A (ko) 2007-02-14
KR100817388B1 KR100817388B1 (ko) 2008-03-27

Family

ID=4164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452A KR100817388B1 (ko) 2005-08-09 2006-08-08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3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1839B1 (en) * 2002-01-23 2008-05-14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Electronic component packaging
KR100603633B1 (ko) * 2004-04-30 2006-07-24 문화숙 내시경 수술용 엔도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388B1 (ko)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7084B1 (en) Electric connector for an endoscope
EP1752082B1 (en) Endoscope electric connection device
JP4377821B2 (ja) 内視鏡の電気コネクタ、内視鏡、及び電気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
JP6109079B2 (ja) ケーブル接続構造および撮像装置
US9345395B2 (en) Imaging module and endoscope device
US11957305B2 (en) Endoscope distal end structure and endoscope
US20210307590A1 (en) Endoscope distal end structure and endoscope
US20220022729A1 (en)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dical apparatus
US20170181609A1 (en) Endoscope
JP6243565B2 (ja) 内視鏡システム
US20200060514A1 (en) Endosco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ndoscope
KR100817388B1 (ko) 내시경용 전기 접속 디바이스
JP6131148B2 (ja) 内視鏡のコネクタ
JP2011200338A (ja) 電子内視鏡
CN112751223B (zh) 用于摄像机设备的电联接器
JP6122407B2 (ja) 内視鏡用電子スコープ及び内視鏡用電子スコープの組立方法
US11962103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endosco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ble connection structure
JP2001136421A (ja) 撮像装置
US20210096354A1 (en) Image pickup apparatus, endoscope apparatus, and method of electrical connection to image pickup module in image pickup apparatus
CN113164021B (zh) 内窥镜前端构造和内窥镜
JPH08131400A (ja) 内視鏡装置
JP2005296150A (ja) 電子内視鏡の先端部
JP2022178902A (ja) 内視鏡
CN116172490A (zh) 内视镜影像撷取组件以及相关的内视镜装置
CN118058692A (en) Endoscope image capturing assembly and endoscop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