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636A - 자동절환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절환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636A
KR20070018636A KR1020050073495A KR20050073495A KR20070018636A KR 20070018636 A KR20070018636 A KR 20070018636A KR 1020050073495 A KR1020050073495 A KR 1020050073495A KR 20050073495 A KR20050073495 A KR 20050073495A KR 20070018636 A KR20070018636 A KR 20070018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ink
shaft
rota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270B1 (ko
Inventor
문희봉
Original Assignee
오성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성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27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igid pivoted member carrying the moving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26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 H01H31/28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with angularly-movabl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절환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이 발생하였을 때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절환하는 자동절환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용전원과 연결된 제 1 고정단자와, 비상전원과 연결된 제 2 고정단자와, 부하와 연결된 부하단자를 포함하는 고정단자부; 부하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자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하여 제 1 고정단자 또는 제 2 고정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단자부; a) 회전에 의하여 단자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일단은 가동단자부의 단자회전축과 고정결합되고, 타단에는 슬롯이 형성된 연결링크와; b) 일단이 고정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연결링크의 슬롯에 끼워지는 제어링크축이 결합된 제어링크부와; c) 제어링크축이 고정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제어링크축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d) 고정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어링크축을 이동시키는 회동제어부와; e) 제어링크축의 회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회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절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환스위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절환스위치 {Automatic Transfer Switc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절환스위치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절환스위치의 다른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자동절환스위치의 구성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 접촉단자와 제 1 고정단자가 단락, 제 1 접촉단자와 제 2 고정단자가 개방된 상태의 도 1의 자동절환스위치의 가동단자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 접촉단자와 제 1 고정단자가 개방, 제 1 접촉단자와 제 2 고정단자가 단락된 상태의 도 1의 자동절환스위치의 가동단자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1의 자동절환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가동단자부 110: 단자회전축
120: 가동단자
810: 제 1 고정단자 820: 제 2 고정단자
830: 부하단자
본 발명은 자동절환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이 발생하였을 때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절환하는 자동절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절환스위치는 한전에서 공급되는 전원인 상용전원으로부터, 천재 지변 등, 비상시에 정전이 발생하였을 때 예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으로 절환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병원, 공장, 연구소, 방송국 등과 같이 정전이 발생하였을 때,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상전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자동절환스위치는 정전이 발생하였을 때, 상용전원으로부터 비상전원으로 절환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는 상용전원 측 단자, 비상전원 측 단자 및 부하 단자로 구성된 고정단자들과, 부하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용전원 측 단자 또는 비상전원 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단자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절환스위치는 상용전원 측 단자로부터 비상전원 측 단자로의 회전, 비상전원 측 단자로부터 상용전원 측 단자로의 회전을 위하여 각각 별도의 회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그 구성이 복잡하며, 어느 하나의 회전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오작동의 우려가 적은 자동절환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용전원과 연결된 제 1 고정단자와, 비상전원과 연결된 제 2 고정단자와, 부하와 연결된 부하단자를 포함하는 고정단자부; 상기 부하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자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고정단자 또는 상기 제 2 고정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단자부; a) 회전에 의하여 상기 단자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가동단자부의 상기 단자회전축과 고정결합되고, 타단에는 슬롯이 형성된 연결링크와; b) 일단이 고정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연결링크의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제어링크축이 결합된 제어링크부와; c) 상기 제어링크축이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링크축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d) 상기 고정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어링크축을 이동시키는 회동제어부와; e) 상기 제어링크축의 회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회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절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환스위치를 개시한다.
상기 절환부는 상기 단자회전축과 연결된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를 상기 단자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링크부와, 상기 제어링크부를 통하여 상기 단자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제어부는 상기 제어링크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슬 롯의 끝단 중 어느 한 끝단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제어링크축이 상기 가이드슬롯의 어느 한쪽 끝단에서 다른 쪽 끝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제어부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어링크축이 걸리도록 형성된 한 쌍의 훅킹돌기들를 가지는 훅킹링크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기 훅킹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훅킹돌기들에 걸린 상기 제어링크축이 회동하도록 상기 훅킹링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일단이 본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지지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링크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링크와, 상기 제 2 지지링크의 타단에 결합된 링크핀이 삽입되는 핀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훅킹링크와 결합축에 의하여 고정연결되어 상기 훅킹링크와 함께 회전하는 캠링크를 포함하는 회동링크부와, 상기 제 1 지지링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 1 지지링크의 양단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로드와, 상기 결합로드를 상측으로 밀어 상기 제 1 지지링크가 회전되도록 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절환스위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절환스위치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과 연결되는 상용전원단자(제 1 고정단자; 810), 비상전원과 연결되는 비상전원단자(제 2 고정단자; 820) 및 부하와 연결되는 부하단자(830)로 구성된 고정단 자부와, 상기 부하단자(8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자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고정단자(810) 또는 제 2 고정단자(8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단자부(100); 상기 가동단자부(100)를 상기 제 1 고정단자(810) 또는 제 2 고정단자(820)와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절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단자부, 가동단자부(100) 및 절환부는 본체프레임(300)에 각각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본체프레임(300), 고정단자부, 가동단자부(100) 및 절환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단자부는 본체프레임(300)에 고정 설치되는 상용전원단자인 제 1 고정단자(810), 비상전원단자인 제 2 고정단자(820) 및 부하단자(8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고정단자(810)는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한국전력 측과 연결되는 고정단자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고정단자(820)는 정전 등에 의하여 상용전원을 공급받지 못할 때에 부하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소형 발전기와 같은 비상전원과 연결된 고정단자로 구성된다. 상기 부하단자(830)는 상기 상용전원단자(810) 또는 비상전원단자(820) 각각과 절환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전기/전자 기기 등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단자부는 연결되는 상용전원의 종류에 따라서 2선식, 3선식, 4선식 등 배선형식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상용전원단자(810), 비상전원단자(820) 및 부하단자(830)의 수는 그 배선 형식에 따라서 2 내지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단자부(100)는 상기 본체프레임(300)에 고정설치되는 단자회전축(110)과, 상기 단자회전축(100)에 고정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단자(122b)들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접촉단자(122b)의 수는 연결되는 전원의 배선 수(2선, 3선, 4선식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상기 접촉단자(122b)들은 각각 상기 단자회전축(110)과 고정결합되어 단자회전축(1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지지부재(121)와, 상기 지지부재(121)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고정단자(810) 및 제 2 고정단자(820) 각각과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접촉단자(122a) 및 제 2 접촉단자(122b)와, 상기 제 1 접촉단자(122a) 및 제 2 접촉단자(122b)를 상기 부하단자(83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단자(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21)는 상기 제 1 접촉단자(122a) 및 제 2 접촉단자(122b), 연결단자(123)로부터 통전되지 않도록 비전도성부재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21)에는 상기 제 1 접촉단자(122a) 및 제 2 접촉단자(122b) 각각이 상기 제 1 고정단자(810) 및 제 2 고정단자(820) 각각과 일정한 접촉 압력을 가지고 접촉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24)가 설치된다.
상기 절환부는 상기 단자회전축(110)과 연결된 연결링크(210)와, 상기 연결링크(210)를 상기 단자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링크부와, 상기 제어링크부를 통하여 상기 단자회전축(11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링크(210)는 일단이 상기 단자회전축(1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자회전축(110)과 고정결합되고, 타단에는 후술할 제어링크부의 제어링크축(231)이 삽입되는 슬롯(211)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211)은 상기 제어링크축(23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제어링크부는 고정축(310)과, 일단이 상기 고정축(3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슬롯(211)에 끼워지는 제어링크축(231)이 결합된 제어링크(230)와, 상기 제어링크축(231)이 상기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링크축(231)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310)은 상기 단자회전축(110)과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부(220) 또는 본체프레임(300)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본체프레임(300)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를 가지는 호 형상으로 가이드슬롯(22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롯(221)에는 가이드슬롯(22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링크축(231)이 끼워진다.
상기 회동제어부는 상기 제어링크축(231)이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바 모터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동제어부는 제어링크(230)가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가이드슬롯(221)의 끝단 중 어느 한 끝단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280)와, 상기 제어링크축(231)이 가이드슬롯(221)의 어느 한쪽 끝단에서 다른 쪽 끝단 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280)는 일단이 본체프레임(300)과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어링크축(231)과 연결되며 그 길이가 변동 가능한 가변링크(282)와, 상기 제어링크축(231)을 미는 탄성부재(2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81)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가변링크(282)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가변링크(282)와 결합된다. 상기 가변링크(282)는 제어링크축(231)의 이동에 의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300)과 힌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회동제어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링크축(231)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어링크축(231)을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제어부는 상기 제어링크축(231)이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슬롯(221)을 따라서 한 쪽 끝단에서 다른 쪽 끝단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제어부는 훅킹링크(240), 회동링크부 및 회동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훅킹링크(240)는 상기 고정축(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어링크축(231)이 걸리도록 형성된 한 쌍의 훅킹돌기들(241a, 24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링크부는, 상기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훅킹링크를 회전시켜훅킹돌기(241a, 241b)들에 걸린 상기 제어링크축(231)이 회동하도록 상기 훅킹링크(24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일단이 본체프레임(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지지링크(270)와,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링크(270)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링크(260)와, 상기 제 2 지지링크(260)의 타단에 결합된 링크핀(261)이 삽입되는 핀가이드슬롯(251)이 형성되고 상기 훅킹링크(240)와 결합축(320)에 의하여 고정연결되어 상기 훅킹링크(240)와 함께 회전하는 캠링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지지링크(270)는 본체프레임(300)에 고정설치된 힌지부재(27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설치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290)는 상기 제 1 지지링크(270)를 상기 힌지부재(271)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링크(270)의 양단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로드(291)과, 상기 결합로드(291)를 상측으로 밀어 상기 제 1 지지링크(270)가 힌지부재(271)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가압장치(2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장치(292)는 상기 결합로드(291)가 선형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상기 가압장치(292)로는 솔레노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압장치(292)가 솔레노이드로 사용된 경우에는 순간적인 전압만 가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결합로드(291)는 솔레노이드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절환스위치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제 1 접촉단자와 제 1 고정단자가 단락, 제 1 접촉단자와 제 2 고정단자가 개방된 상태의 가동단자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5는 제 1 접촉단자와 제 1 고정단자가 개방, 제 1 접촉단자와 제 2 고정단자가 단락된 상태의 가동단자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제 1 접촉단자와 제 1 고정단자가 단락, 제 1 접촉단자와 제 2 고정단자가 개방된 상태, 도 4에 도시된 상태의 이동제어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과 도 8의 중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제어부의 탄성부재가 최대한 수축되었을 때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어링크축이 회전하여 제 1 접촉단자와 제 1 고정단자가 개방, 제 1 접촉단자와 제 2 고정단자가 단락된 상태, 즉 도 6에 도시된 상태의 이동제어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동제어부의 탄성부재가 최대한 수축되었을 때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절환스위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과 부하 사이에 설치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은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는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으로 구성된 전원과 부하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는 평소에는 상용전원이 부하에 공급되도록,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촉단자(122a)와 상용전원이 연결된 제 1 고정단자(8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단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제 2 접촉단자(122b)는 제 2 고정단자(820)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접촉단자(122a)는 제 1 고정단자(810)와 단락 상태를 유지 하고, 제 2 접촉단자(122b)는 제 2 고정단자(820)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어링크축(231)은 가이드슬롯(221)의 일단(A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링크(210)의 슬롯(211)의 최상단에 위치된다.
한편 정전 등이 발생된 경우 자동절환스위치는 별도의 제어장치(미도시) 또는 사용자의 작동에 의하여 제 1 접촉단자(122a)가 제 1 고정단자(810)와 개방 상태로, 제 2 접촉단자(122b)는 제 2 고정단자(820)와 단락 상태, 즉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하게 되며, 그 작동과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동제어부의 가압장치(292)는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링크(270)와 연결된 결합로드(291)을 상측으로 밀게 된다. 상기 결합로드(291)이 상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 1 지지링크(270)는 힌지부재(27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1 지지링크(270)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지지링크(270)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2 지지링크(260)는 상측으로 밀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지지링크(260)의 타단에 결합된 링크핀(261)은 캠링크(250)을 밀게 되고, 캠링크(250)는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캠링크(25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캠링크(250)와 고정결합된 훅킹링크(240) 또한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훅킹링크(240)가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훅킹링크(240)의 훅킹돌기(241b)는 제어링크축(231)에 힘을 가하게 되고, 상기 제어링크축(231)은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가이드슬롯(221)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링크축(23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280)의 탄성부재(281)는 제어링크축(231)에 탄성력을 가하면서 수축하게 된다.
상기 제어링크축(231)은 가이드슬롯(221)을 따라서 회전하여 A 위치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링크축(23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를 지나게 되면 상기 가압부(280)의 탄성부재(281)에 의해 제어링크축(231)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하여 B 위치로 급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장치(292)는 상기 제어링크축(23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를 지나는 순간 그 작동을 멈추게 되며, 상기 결합로드(291)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어링크축(231)은 A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제 1 접촉단자(122a)는 도 5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단자(810)와 개방 상태로, 제 2 접촉단자(122b)는 제 2 고정단자(820)와 단락 상태로 변경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절환스위치는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상태인, 제 1 접촉단자(122a)는 제 1 고정단자(810)와 단락 상태로, 제 2 접촉단자(122b)는 제 2 고정단자(820)와 개방 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접촉단자(122a)는 제 1 고정단자(810)와 단락 상태로, 제 2 접촉단자(122b)는 제 2 고정단자(820)와 개방 상태로 변경되는 과정은 상기 제어링크축(231)이 B 위치에서 회전에 의하여 A 위치로의 이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회동제어부의 가압장치(29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링 크(270)와 연결된 결합로드(291)을 상측으로 밀게 된다. 상기 결합로드(291)이 상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 1 지지링크(270)는 힌지부재(27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1 지지링크(270)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지지링크(270)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2 지지링크(260)는 상측으로 밀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지지링크(260)의 타단에 결합된 링크핀(261)은 캠링크(250)을 밀게 되고, 캠링크(250)는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캠링크(25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캠링크(250)와 고정결합된 훅킹링크(240) 또한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훅킹링크(240)가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훅킹링크(240)의 훅킹돌기(241b)는 제어링크축(231)에 힘을 가하게 되고, 상기 제어링크축(231)은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가이드슬롯(221)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링크축(23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280)의 탄성부재(281)는 제어링크축(231)에 탄성력을 가하면서 수축하게 된다.
상기 제어링크축(231)은 가이드슬롯(221)을 따라서 회전하여 B 위치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링크축(23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를 지나게 되면 상기 가압부(280)의 탄성부재(281)에 의해 제어링크축(231)에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하여 A 위치로 급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장치(292)는 상기 제어링크축(23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를 지나는 순간 그 작동을 멈추게 되며, 상기 결합로드(291)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어링크축(231)은 B 위치에서 A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제 1 접촉단자(122a)는 도 5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단자(810)와 개방 상태로, 제 2 접촉단자(122b)는 제 2 고정단자(820)와 단락 상태로 변경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오작동의 우려가 적은 에 따른 자동절환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5)

  1. 상용전원과 연결된 제 1 고정단자와, 비상전원과 연결된 제 2 고정단자와, 부하와 연결된 부하단자를 포함하는 고정단자부;
    상기 부하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자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고정단자 또는 상기 제 2 고정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단자부;
    a) 회전에 의하여 상기 단자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가동단자부의 상기 단자회전축과 고정결합되고, 타단에는 슬롯이 형성된 연결링크와; b) 일단이 고정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연결링크의 상기 슬롯에 끼워지는 제어링크축이 결합된 제어링크부와; c) 상기 제어링크축이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링크축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가이드부와; d) 상기 고정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어링크축을 이동시키는 회동제어부와; e) 상기 제어링크축의 회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회동제어부를 포함하는 절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환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상기 단자회전축과 연결된 연결링크와, 상기 연결링크를 상기 단자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링크부와, 상기 제어링크부를 통하여 상기 단자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환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부는
    상기 제어링크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슬롯의 끝단 중 어느 한 끝단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제어링크축이 상기 가이드슬롯의 어느 한쪽 끝단에서 다른 쪽 끝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환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부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어링크축이 걸리도록 형성된 한 쌍의 훅킹돌기들를 가지는 훅킹링크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기 훅킹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훅킹돌기들에 걸린 상기 제어링크축이 회동하도록 상기 훅킹링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일단이 본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지지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 1 지지링크의 타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지지링크와, 상기 제 2 지지링크의 타단에 결합된 링크핀이 삽입되는 핀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훅킹링크와 결합축에 의하여 고정연결되어 상기 훅킹링크와 함께 회전하는 캠링크를 포함하는 회동링크부와,
    상기 제 1 지지링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환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 1 지지링크의 양단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로드와, 상기 결합로드를 상측으로 밀어 상기 제 1 지지링크가 회전되도록 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절환스위치.
KR1020050073495A 2005-08-10 2005-08-10 자동절환스위치 KR100721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495A KR100721270B1 (ko) 2005-08-10 2005-08-10 자동절환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495A KR100721270B1 (ko) 2005-08-10 2005-08-10 자동절환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636A true KR20070018636A (ko) 2007-02-14
KR100721270B1 KR100721270B1 (ko) 2007-05-25

Family

ID=4163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495A KR100721270B1 (ko) 2005-08-10 2005-08-10 자동절환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2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05B1 (ko) * 2006-03-21 2007-12-27 오성기전주식회사 자동절환스위치
KR100933048B1 (ko) * 2007-11-02 2009-12-21 성일휴 자동 전환스위치의 전환장치
KR102630841B1 (ko) * 2023-12-07 2024-01-29 주식회사 현이엔지 공동 주택 절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832B1 (ko) 2010-03-15 2011-09-08 오성기전주식회사 전원 절체 개폐기의 전원 절환 구조
KR20210048942A (ko) 2019-10-24 2021-05-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동절환 스위치를 이용한 도서지역 전력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907A (ko) * 1998-08-26 2000-03-15 박창엽 비상전원 절체 개폐기
KR100337542B1 (ko) * 1999-07-02 2002-05-21 정영수 무정전 전원절환 절체 개폐기
KR100423223B1 (ko) * 2001-07-19 2004-03-18 유기현 전원 절환 개폐기의 자동절환 스위치
JP3930283B2 (ja) 2001-10-15 2007-06-13 株式会社新愛知電機製作所 トグル機構を備えた電源切替開閉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05B1 (ko) * 2006-03-21 2007-12-27 오성기전주식회사 자동절환스위치
KR100933048B1 (ko) * 2007-11-02 2009-12-21 성일휴 자동 전환스위치의 전환장치
KR102630841B1 (ko) * 2023-12-07 2024-01-29 주식회사 현이엔지 공동 주택 절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270B1 (ko) 200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384B1 (ko) 자동절환스위치
KR100721270B1 (ko) 자동절환스위치
CN100358069C (zh) 借助摆动按钮的电控制器的加压驱动机构
GB2457079A (en) On-load tap changer
EP3355334B1 (en) High voltage dc relay
EP090090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KR100787905B1 (ko) 자동절환스위치
KR100844202B1 (ko) 병렬 구조의 전원 절환 장치
JPH02278625A (ja) 2重断路端子
CN217333977U (zh) 一种操作机构及开关装置
WO2016165054A1 (en) Electric switch
JPH06349378A (ja) 可変抵抗スイッチ
KR20010043637A (ko) 전기 과부하 계전기의 접점 메카니즘
KR101081998B1 (ko) 전원 자동 절환스위치 장치의 가동단자 회전구조
KR100730045B1 (ko) 무정전 자동절체스위치를 내장한 저압배전반
KR100995403B1 (ko) 전원절체개폐기의 절환선택구, 절환선택스위치부 및 상기 절환선택스위치부를 구비한 전원절체개폐기
KR100319793B1 (ko) 더블-폴싱클-쓰로우스위치장치
RU2340030C2 (ru) Поворотный блокировочно-сцепной механизм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редохранителя
JP2009510679A (ja) 電気スイッチ装置
US20220301791A1 (en) Semi-independent switch-disconnector
EP0893864B1 (en) Drawer type circuit breaker
CN102782794B (zh) 保护具有差分功能的电线路的锁定机构
GB2148599A (en) Electric switches
JP3670730B2 (ja) スイッチ装置
CN210640151U (zh) 柔性脱扣装置和包括该柔性脱扣装置的组合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