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8013A -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8013A
KR20070018013A KR1020067017730A KR20067017730A KR20070018013A KR 20070018013 A KR20070018013 A KR 20070018013A KR 1020067017730 A KR1020067017730 A KR 1020067017730A KR 20067017730 A KR20067017730 A KR 20067017730A KR 20070018013 A KR20070018013 A KR 20070018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metal
open
channel
prot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827B1 (ko
Inventor
더크 노만
알렉산더 뵘
군나르 발터
Original Assignee
인코 리미티드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코 리미티드,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filed Critical 인코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6701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82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1Making porous workpiece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Abstract

본원 발명은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계하는데, 이 방법에 따르면 증가된 내산화성 및/또는 증가된 내부식성을 가지는 금속 발포체가 제공된다. 상기 금속 발포체를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에 있어서, 개방-다공성 구조의 웹 내부에 제조에 의하여 결정될 때 형성되는 채널 모양의 공동이 존재한다. 동시에, 웹과 공동이 발포체의 금속성 출발 물질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성 보호층에 제공되거나 채널 모양의 공동이 상기 물질로 채워질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저 발포체의 금속이 용융하는 온도 미만에서 열처리하는 동안 각각 액체가 되거나 액체 상을 형성하는, 분말에 포함되는 적절한 금속 분말 또는 합금 성분이 사용될 것이다. 모세관 작용으로 인하여, 웹 내부의 채널 모양의 공동 표면이 습윤되어, 냉각 후 금속성 보호층이 형성되거나 채널 모양의 공동이 채워질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A metal foam body having an open-porous structure as well as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원 발명은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계한다.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는 상이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유리한 절차는 원칙적으로 두 가지 상이한 방법에 기초한다.
두 가지 모두의 경우에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다공성 구조 요소가 사용되며, 다공성 구조 요소의 특수한 표면에 플레이팅이 제공되고, 후속적으로 열처리하는 동안 구조 요소의 유기 성분이 열적으로 방출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한 방식에서 이러한 개방-다공성 유기성 구조의 표면 위에서 갈바니 금속화가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표면 위에서 금속의 균질한 화학적 증기 증착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Ni).
이에 대안적으로, 이러한 금속층은 소위 "Schwarzwalder 법"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현탁제/분산제는 유기성 구조 요소의 표면 위에 증착되며, 후속적으로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코팅된 구조 요 소는 열처리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유기성 성분 위에 이미 접촉된 성분은 방출되고, 소결이 수행된다.
그러나 제조에 의하여 결정될 때, 채널 모양의 공동은 금속성 발포체의 지지 골격을 형성하는 웹 내부에 남는데, 이는 열처리 이전에 웹 내부에 각각의 유기성 성분이 그 공간을 채워버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수한 금속 발포체의 지지 구조가 되는 웹은 주변 대기를 향한 개방된 입구를 포함하며, 웹 내부에 형성된 채널 모양의 공동이 주변 매질(대기)에 대하여 유체-압착 방식으로 100% 밀폐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적절한 제조 방법에 따라서, 금속 및 금속 합금 각각이 모두가 이러한 개방-다공성 금속 발포체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많은 수의 적절한 금속 및 금속 합금이 산화되는 경향을 가지거나 각각의 주변환경 하에서 충분히 높은 내부식성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금속성 개방-다공성 발포체가 적용되는 많은 경우에서 응당 산화되거나 부식된 표면 또한 추가적인 보호 없이는 적합하지 않으며, 열등한 성질 또는 방해를 초래하여, 파손이 일어날 수 있는 결과까지 가져온다.
그러므로 증가된 내산화성 및/또는 내부식성을 가지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진 금속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 본원 발명의 목적이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지는 금속 발포체를 가지고 해결된다. 금속 발포체는 청구항 9항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유리한 구체예 및 개선은 종속 청구항에 개시된 특징을 가지고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에 있어서, 제조에 의하여 결정될 때 미리 형성된 채널 모양의 공동은 각각의 개방-다공성 구조의 웹 내부에 웹의 내부 표면 상의 보호층에 제공되고, 또는 채널 모양의 공동이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이 후 발포체의 금속성 출발 물질과 상이한 물질로부터 채널 모양의 공동 상의 보호층/공동 안으로의 채움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에 있어서, 명세서의 도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채널 모양의 공동이 웹에 남게 되는 결점이 제거될 수 있으며, 단순하고 비교적 논리적인 방식에 따라서도 금속 발포체가 제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에 따라 금속 발포체를 제조하는 동안, 금속성 기저 발포체의 코팅은 바인더 및 금속 분말을 가지고 수행되도록 본원 발명이 기능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코팅이 수행되어, 각 기저 발포체의 외부 표면이 코팅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공극 내부도 코팅이 수행되고, 복수의 웹은 코팅 물질로 커버된다.
이 때 사용되는 금속 분말은 기저 발포체 물질의 용융 온도 미만에서 용융하고 웹 또한 형성되도록 선택되거나, 각각의 금속 분말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합금 성분이 액체상을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이 때, 용융된 액체 상은 각각 모세관 작용으로 인하여 채널 모양의 공동안으로 웹 벽의 개구 /공극을 통과하며, 동시에 이들의 내부 표면에서 습윤이 일어난다. 개구/공극은 각각 용융물 및 액체 상으로 커버되게 될 것이며, 이로부터 웹 내의 채널 모양의 공동의 내부 표면 위에 보호층이 형성되거나, 채널 모양의 공동이 용융물 및 액체 상으로 채워지게 될 것이다.
보호층을 냉각 및 응고시키고 각각을 채운 후, 본원 발명에 따른 금속성 발포체는 여전히 내산화성 및 내식성에 있어서 특히 개선된 성질을 가지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진다.
기저 발포체의 각 금속에 대한 금속 분말의 조성 및 해당 조합을 적절히 선택하여, 금속간 상 또는 액체 용액 또는 이러한 금속 발포체 자체를 적어도 웹 물질을 향한 경계면에서 채널 모양의 공동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상이한 기저 발포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에 따른 제조 공정에서 니켈로 이루어지고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가 니켈 기초 합금, 알루미늄 기초 합금 또는 알루미늄 분말의 금속 분말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보호층 및 채움이 각각 채널 모양의 공동 내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니켈 기초 합금의 철 금속 분말 뿐만 아니라 순수한 알루미늄 분말로 이루어진 기저 발포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구리 및 구리 합금 각각이 보호층 및 채움 각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니켈 및 알루미늄 기초 합금에 있어서, 니켈과 알루미늄 각각의 비율은 40 중량% 이상이어야 한다. 또다른 합금 원소로서 철, 코발트, 탄소, 니오븀, 실리콘, 니켈, 구리, 티타늄, 크롬, 마그네슘, 바나듐 및/또는 주석이 포함될 수 있다.
니켈 기초 합금의 예로 두 가지 상이한 품질 및 조성의 Wall Colomonoy Corp.사의 "Nicrobraz" 상표가 공지되어 있다. 우선 하나는 LM-BNi-2: Cr 7; Si 4,5; B 3.1; Fe 3; C 0.03 (나머지 Ni)로서 970 - 1170 ℃ 범위의 용융 및 브레이징 온도를 가지며, 다른 하나는 30-BN1-5: Cr 19; Si 10,2; C 0,03 (나머지 Ni)로서 1080 - 1200 ℃ 범위의 용융 및 브레이징 온도를 가진다.
구리로 이루어진 기저 발포체에 있어서, 주석 기초 합금의 금속 분말이 바람직하며, 주석의 비율은 50 중량% 이상이어야 한다. 주석 기초 합금에서, 납, 니켈, 티타늄, 철 및/또는 망간이 부가적 합금 원소로서 포함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금속 발포체의 제조를 위하여, 웹 내부에 있는 채널 모양의 공동의 자유 횡단면이 각 기저 발포체의 평균 공극 크기의 30% 미만이고 최대 1000 ㎛의 내부 직경을 가지는 금속성 기저 발포체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채널 모양의 공동의 자유 횡단면 크기 디자인으로, 용융물 및 액체상 각각이 채널 모양의 공동 내부를 습윤되게 하기에 충분히 큰 모세관 작용을 확보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금속성 발포체를 제조하는 동안, 코팅은 하나 이상의 바인더 및 각 선택된 금속 분말을 사용하여 개방-다공성 기저 발포체에 코팅을 증착시켜야 하는데, 여기서 코팅은 기저 발포체를 압축함으로써 지지되거나 기저 발포체를 진동시켜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코팅은 밀폐된 용기 안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 용기 내의 내부 압력은 감소되어 있다.
특히, 니켈로 이루어진 기저 발포체에 있어서, 열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기저 발포체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이러한 변형은 니켈 발포체를 가지고 수행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 각각의 모양으로 제공된 코팅된 니켈 발포체는 이후 채널 모양의 공동 내부에 보호층을 형성하고 채널 모양의 공동을 각각 채우기 위하여 열처리 될 수 있다.
앞서 수행된 모델링은 본원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니켈 기초 합금에 의하여 현저히 증가된 기계적 강도가 또한 달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하다.
본원 발명에 따라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를 제조하는 동안, 열처리가 완료되기 이전에 아직 액체인 과잉 용융물 및 액체 상 각각의 제거를 수행하여, 사용된 각 기저 발포체의 최초 다공도를 모두 낮은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보호층의 형성 및 채널 모양의 공동 각각을 채우는 것에 후속하여, 바인더 및 금속 분말을 가지고 상기 수득된 금속 발포체의 반복 코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때 보호층의 형성 또는 채움에 사용되었던 분말과 상이한 금속 분말이 특히 유리하게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금속 분말은 또다른 금속이거나, 상이한 방식으로 조성된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남게되는 표면, 특히 각 공극의 내부 표면은 부가적으로 변형되거나 각각 코팅될 수 있다.
열처리하는 동안 열처리는 보호성 대기 뿐만 아니라 환원 대기를 포함한 모든 경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샘플의 계산된 예비산화를 위하여 절차의 마지막에서 산화 대기가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원 발명을 실시예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니켈로 이루어지고, 92 내지 96% 범위의 다공도를 가지는 기저 발포체를 1% 폴리(비닐 피롤리돈) 수용액에 침적시켰다. 침적시킨 후, 흡수 패드에 대고 압축시켜, 공극으로부터 과잉의 바인더를 제거할 수 있었으며, 개방-다공성 구조의 웹의 외부 표면을 간단히 습윤시켰다. 상기 코팅된 니켈 기저 발포체를 진동시키고 다음의 조성 및 35㎛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니켈 기초 합금의 금속 분말로 코팅하였다.
56.8 중량%의 니켈,
0.1 중량%의 탄소,
22.4 중량%의 크롬,
10.0 중량%의 몰리브덴,
4.8 중량%의 철,
0.3 중량%의 코발트,
3.8 중량%의 니오븀, 및
1.8 중량%의 실리콘
이렇게 하여 거의 모든 방식에서 금속 분말의 입자들이 이들을 덮고 있는 웹의 외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니켈 기저 발포체를 변형시켜 금속 발포 구조 상에 실린더 모양을 얻을 수 있었다. 금속 분말의 입자들이 바인더에 의하여 여전히 표면에 부착되어 남아있게 되는 모델링을 한 후, 산소 대기에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5 K/min의 가열 속도로 가열을 수행하였다. 300 내지 600℃의 범위에서, 바인더는 방출되었는데, 여기서 이를 위하여 대략 30분의 억류 시간을 유지하였다. 상기 억류 시간에 후속하여 1220 내지 1380℃ 까지 온도를 올리고, 이 온도 범위에서 30분의 억류 시간을 유지시켰다.
결과적으로, 사용된 금속 분말로부터 액체 상이 형성될 수 있었다. 액체 상은 공극 또는 웹 벽 내부에 있는 그밖의 다른 개구를 통하여 상기 웹에 배열되어 있는 채널 모양의 공동으로 침투할 수 있었으며, 웹 안의 채널 모양의 공동의 각 내부 벽은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습윤될 수 있었고, 냉각 후 상기 웹 내부의 채널 모양 공동의 내부 표면 상에 보호층이 형성되었다.
완성된 금속 발포체는 실질적으로 여전히 약 91%의 다공도를 포함하였지만 출발 니켈 기저 발포체에 비하여 최고 1050℃의 온도의 대기에서 현저히 증가된 내산화성을 달성하였다. 또한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순수한 니켈 발포체에 비하여, 예를 들어 내크리프성, 점착력 및 강도와 같은 기계적 성질을 현저히 향상시켰는데, 특히 이들상에 동적 부하를 작용하는 동안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상기 제조된 금속 발포체는 특정 한도 내에서만 변형될 수 있었으며, 특정한 굴곡 반경이 고려되어야 하였다.
실시예 2
니켈로 이루어져 있고 92 내지 96%의 다공도를 가지는 기저 발포체의 외부 표면 위를 연마하여, 웹의 채널 모양의 공동 상에 부가적인 개구를 생성하였다. 후속적으로 상기 제조된 발포체를 바인더로서 1%의 폴리(비닐 피롤리돈) 수용액에 침적시킨 후, 흡수 패드에 대고 눌러 과잉의 바인더를 공극 밖으로 제거하였다. 동시에 공극 내부의 웹 표면의 습윤이 확보되어 남아있어야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고 바인더로 코팅된 니켈 발포체를 알루미늄 분말 혼합물로 증착시켰다. 알루미늄 분말은 조각조각의 입자 구조(20 ㎛ 미만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짐)를 가지는 알루미늄 분말 1 중량%와 구형 입자 구조(100 ㎛ 미만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짐)를 가지는 알루미늄 분말 90 중량%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미리 교반기에서 10분 이상 건조 혼합시켰다.
바인더로 습윤된 표면을 진동 장치에서 알루미늄 분말로 코팅시켜, 알루미늄 분말이 개방-다공성 구조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적어도 웹의 외부 표면이 알루미늄 입자들로 커버되게 하였다. 상기 구조의 개방-다공성은 실질적으로 유지되었다.
열처리를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제조된 니켈 기저 발포체를 다시 적절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데, 이 때 열처리 후에도 그 모양은 실질적으로 유지되었다.
열처리는 질소 대기에서 수행되었는데, 여기서 300 내지 600 ℃ 범위의 온도와 30 분의 억류 시간에서 놓아두는 동안 5 K/min의 가열 속도를 다시 유지하였으며, 이후 웹의 채널 모양의 공동에서 니켈 알루미나이드를 형성하기 위한 최종 열 처리가 900 내지 1000 ℃의 특정 온도 범위 및 40분의 억류 시간 내에서 수행되었다.
결국 상기 제조된 금속성 발포체는 약 91%의 다공도를 포함하였으며, 적어도 거의 완전히 니켈 알루미나이드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웹 내부에 있는 채널 모양의 공동은 완전히 채워졌다.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금속 발포체는 최고 1050℃의 대기에서 내산화성을 가진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 따라 바인더와 알루미늄 분말을 사용하여, 철로 이루어져 있고 92 내지 96% 범위의 다공도를 가지는 기저 발포체를 제조하였으며, 후속하여 수소 대기에서 열처리 하였는데, 이 때, 유기 성분들을 방출하기 위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5 K/min의 가열 속도를 다시 유지시켰으며, 최종 열처리는 900 내지 1150℃의 온도 범위의 고온에서 30 분의 억류 시간으로 유지시켰다.
냉각 후, 상기 제조된 금속 발포체는 91%의 다공도를 가졌으며, 거의 완전히 철 알루미나이드로 이루어져 있었고, 제조에 의하여 결정된 기저 발포체 내부에 미리 제공된 채널 모양의 공동은 완전히 채워졌다. 상기 방식으로 제조된 금속 발포체는 최고 900 ℃ 온도의 대기에서 내산화성을 띠었다.
실시예 4
구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92 내지 96% 범위의 다공도를 가지는 기저 발포체를 실시예 3과 같이 기계적 예비 처리를 한 후 1%의 폴리(비닐 피롤리돈) 수용액에 침적시키고, 후속적으로 흡수 패드에 대고 눌러서 과잉의 바인더를 제거하였다. 개방-다공성 구조 내부에 주석 분말의 균일한 분포를 얻고, 특히 웹의 외부 표면을 거의 완전히 커버링하기 위하여, 적어도 웹의 표면 위가 바인더로 습윤된 구리 발포체를 진동 장치에 넣고, 주석 분말(50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며 구형 입자 구조를 가짐)을 양쪽 면에 뿌렸다.
이에 후속하여,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가열 속도 및 억류 시간으로 장치하여 열처리를 수행한 후, 600 내지 1000 ℃으로 온도를 증가시키고 1 시간의 억류 시간에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상기 열처리 후, 거의 완전히 주석 청동으로 이루어진 금속 발포체가 수득될 수 있었으며, 채널 모양의 공동은 거의 완전히 채워졌다. 구리로 이루어진 최초의 발포체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증가될 수 있었다. 완성된 금속 발포체는 약 91%의 다공도를 가졌으나, 특정 굴곡 반경을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기계적으로 여전히 변형가능하였다.
본원 발명은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계하는데, 이 방법에 따르면 증가된 내산화성 및/또는 증가된 내부식성을 가지는 금속 발포체가 제공된다. 상기 금속 발포체를 위한 본원 발명에 따른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에 있어서, 개방-다공성 구조의 웹 내부에 제조에 의하 여 결정될 때 형성되는 채널 모양의 공동이 존재한다. 동시에, 웹과 공동이 발포체의 금속성 출발 물질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성 보호층에 제공되거나 채널 모양의 공동이 상기 물질로 채워질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저 발포체의 금속이 용융하는 온도 미만에서 열처리하는 동안 각각 액체가 되거나 액체 상을 형성하는, 분말에 포함되는 적절한 금속 분말 또는 합금 성분이 사용될 것이다. 모세관 작용으로 인하여, 웹 내부의 채널 모양의 공동 표면이 습윤되어, 냉각 후 금속성 보호층이 형성되거나 채널 모양의 공동이 채워질 수 있다.

Claims (19)

  1. 개방-다공성 구조의 웹 내부에 있는, 제조에 의하여 확정될 때 형성되는 채널 모양의 공동에 금속 발포체의 금속성 출발 물질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성 보호층이 제공되거나 채널 모양의 공동이 채워지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발포체(base foam)는 니켈로부터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포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발포체는 철 또는 구리로부터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포체.
  4.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상기 채움(filling)은 각각 니켈 기초 합금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포체.
  5.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상기 채움은 각각 알루미늄, 알루미늄 기초 합금 또는 알루미나이드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포체.
  6.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상기 채움은 주석 기초 합금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포체.
  7.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상기 채움은 각각 구리 또는 구리 기초 합금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포체.
  8.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형성 이전에 상기 웹내에 있는 상기 채널 모양의 공동의 자유 횡단면이 상기 기저 발포체의 평균 공극 크기의 30%보다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발포체.
  9.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 내부에 발포체의 제조에 의하여 확정되는 채널 모양의 공동이 존재하는 금속성 발포체를 바인더 및 금속 분말로 코팅하고,
    동시에 상기 금속 분말 또는 상기 금속 분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합금 성분은 상기 기저 발포체의 금속이 용융하는 온도 미만에서 열처리하는 동안 각각 액체가 되고 액체상을 형성하여, 채널 모양의 공동의 표면의 습윤이 상기 웹 내부에서 모세관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냉각시키는 동안 각각 상기 웹 내부의 채널 모양의 공동의 표면에 금속성 보호층이 제공되고 상기 채널 모양의 공동이 채워지게 되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니켈로 이루어진 상기 개방-다공성 기저 발포체는 니켈 또는 알루미늄 기초 합금의 금속 분말과 함께 사용되고, 여기서 상기 니켈 및 알루미늄은 각각 40 중량% 이상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철로 이루어진 상기 개방-다공성 기저 발포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기초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 분말로 코팅되고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은 50 중량% 이상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12. 제 9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된 금속 분말에는 철, 코발트, 탄소, 니오븀, 실리콘, 니켈, 구리, 티타늄, 크롬, 망간, 바나듐 또는 주석이 추가적 합금 원소로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구리로 이루어진 상기 개방-다공성 기저 발포체는 주석 기초 합금의 금속 분말로 코팅되고, 상기 주석은 50 중량% 이상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납, 니켈, 티타늄, 철 또는 망간이 추가적으로 합금 원소로서 포함되는 주석 기초 합금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15. 제 9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로 코팅된 기저 발포체는 상기 열처리 이전에 압축되거나 진동을 받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16. 제 9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후 상기 코팅된 기저 발포체는 규정된 모델링(modelling)을 거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17. 제 9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동안 과잉 용융 및 액체 상은 각각 개방 공극으로부터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18. 제 9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채널 모양의 공동 내부에서 보호층이 형성되는 제 1 열처리에 후속하여, 바인더와 금속 분말로 또다른 코팅이 이루어지고, 후속적으로 제 2 열처리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모양의 공동 내부에서 상기 보호층의 형성 및 채움 각각에 사용된 상기 금속 분말과 상이한 점도를 가지는 금속 분말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1020067017730A 2004-03-19 2005-03-08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31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7730A KR100831827B1 (ko) 2004-03-19 2005-03-08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14076.6 2004-03-19
KR1020067017730A KR100831827B1 (ko) 2004-03-19 2005-03-08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013A true KR20070018013A (ko) 2007-02-13
KR100831827B1 KR100831827B1 (ko) 2008-05-28

Family

ID=4164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730A KR100831827B1 (ko) 2004-03-19 2005-03-08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425A (ko) * 2019-09-25 2021-04-07 에보닉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금속 발포체 보디들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786B1 (ko) 2010-08-10 2012-12-14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개방-다공성 금속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755A (en) 1977-09-21 1979-05-22 Union Carbide Corporation Oxidation resistant porous abradable seal member for high temperature service
US5640669A (en) * 1995-01-12 1997-06-1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eparing metallic porous body, electrode substrate for battery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H08225866A (ja) * 1995-02-22 1996-09-03 Sumitomo Electric Ind Ltd 三次元網状構造金属多孔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07218B2 (ja) * 1999-06-29 2009-01-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金属多孔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複合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425A (ko) * 2019-09-25 2021-04-07 에보닉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금속 발포체 보디들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827B1 (ko)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2598B2 (en) Metal foam body having an open-porous structure as well as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4639230B2 (ja) 開孔金属発泡体の製造方法
KR100578178B1 (ko) 다공성 소결체 제조방법 및 제조된 다공성 소결체
JP6106608B2 (ja) 多孔質アルミニウムの製造方法
CA2533118C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nents with a nickel base alloy as well as components manufactured therewith
WO2007121575A1 (en) Open cell porous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831827B1 (ko) 개방-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포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527236A (ja) ターボエンジン用タービンブレ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902861A (en) Composite material
JP2001181814A (ja) 金属基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432961A (zh) 用于制造由金属制成的开孔成型体的方法和使用该方法制造的成型体
JPS6047322B2 (ja) 多孔質焼結体の製造法
JP7383601B2 (ja) 表面改質された金属製の開孔成型体の製造方法
CN112955269A (zh) 制造具有氧化层的开孔金属体的方法和由该方法制造的金属体
JPH01184206A (ja) 板状多孔質焼結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