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540A -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 - Google Patents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540A
KR20070017540A KR1020067024868A KR20067024868A KR20070017540A KR 20070017540 A KR20070017540 A KR 20070017540A KR 1020067024868 A KR1020067024868 A KR 1020067024868A KR 20067024868 A KR20067024868 A KR 20067024868A KR 20070017540 A KR20070017540 A KR 20070017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lancemaside
testosterone
extract
syring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츠코 세키타
마사노리 구로야나기
가요 야스다
이쿠코 미즈노
미츠야스 우시지마
미노루 하야마
마코토 이치카와
마사노리 스미히로
Original Assignee
와쿠나가 세이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쿠나가 세이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와쿠나가 세이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7540A/ko
Publication of KR2007001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4Codono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저하를 억제하여, 남성 갱년기 장애에 수반되는 제반 증상 등을 예방, 개선하는 안전성이 높은 의약품 또는 식품을 제공한다.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
더덕, 테스토스테론

Description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 {DRUG FOR AMELIORATING MALE CLIMACTERIC DISORDER}
본 발명은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 작용 및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 작용을 갖는 의약 또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테스토스테론은 남성 생식기의 발달, 골격이나 근육의 발달, 성욕·성 충동의 항진 및 뇌나 정신면의 활력 항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혈중 테스토스테론은 강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경우에 그 농도가 저하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혈중 테스토스테론이 저하되면, 남성 갱년기 장애나 사춘기 지발증(遲發症) 등의 질병을 일으킨다.
남성 갱년기 장애가 되면, 다양한 증상 (예를 들어, 낙담, 우울, 초조, 불안, 신경 과민, 생기 소실, 피로감, 관절염, 근육염, 근력 저하, 발한, 안면 홍조, 수면 장애, 기억력 저하, 집중력 저하, 육체적 소모감, 성욕 저하, 발기 장애, 사정감 소실 등) 이 강하게 발현된다. 남성 갱년기 장애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혈액 검사에 의한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의 측정이나 앙케이트에 의한 방법이 있다. 남성 갱년기 장애가 발병하는 연령대는 40 대에서 50 대의 남성에 대하여 주로 확인되나, 빠르면 20 대, 또는 60 대 이후의 남성에게도 그 증상이 나타 나는 경우가 있다. 남성 갱년기 장애의 발증에는 한창 일할 나이의 남성이 부담해야할 업무나 가정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스트레스가 크게 관여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최근 갱년기 장애로 의심되는 중노년 남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나 남성 갱년기 장애에 대하여, 임상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을 함유하는 안드로겐 제제에 의한 호르몬 보충 요법이 보급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증상에 대한 유효성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치료 방법의 대상이 되는 것은 혈액 검사에서 테스토스테론이 분명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고, 전립선 질환이 없는 사람으로 한정되어 있다. 그 이유로는 부작용으로서 전립선 비대증이나 전립선암의 현재화(顯在化)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나 남성 갱년기 장애에 수반되는 제반 증상에 대하여, 부작용이 적고, 안전한 소재로 예방과 완화를 기대할 수 있는 의약품 또는 건강 식품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다.
더덕속(屬)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은 예로부터 항염증, 거담, 자양 강장, 정력 강화 등을 목적으로 민간 요법으로 이용되고 있고, 특히 한국에서는 약선 (藥膳) 요리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 분말 식품이나 음료 중에 이용되는 경우도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2 참조). 더덕의 약리 작용 연구나 성분 연구로서는 정자 형성 촉진 작용 및 성행동 장애 개선 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더덕 및 그 함유 성분에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 작용이나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 작용이 있다는 것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99273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8941호
비특허 문헌 1 : 이토 나오키, 히사스에 신이치, 츠카모토 다이지, 남성 갱년기 장애에 대한 남성호르몬 보충 요법, Geriat. Med. 42 (9) : 1151-1156, 2004
비특허 문헌 2 : 1998∼2000년도 창약 등 휴먼 사이언스 연구 종합 연구 보고서, 제 5 분야 건강 유지 증진·예방 의약품의 개발에 관한 연구, 86-99, 2001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를 억제하여, 남성 갱년기 장애에 수반되는 제반 증상 등을 예방, 개선하는 안전성이 높은 의약품 또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이 높은 천연 소재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탐색한 결과,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 그리고 당해 식물에 함유되는 특정한 사포닌 및 페닐프로파노이드류가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하여, 남성 갱년기 장애의 제반 증상에 대해서 뛰어난 개선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에 관련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에 관련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고,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저하 억제 또는 남성 갱년기 장애의 예방, 치료, 개선 혹은 경감을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라는 내용의 표시가 되어있는 식품과 관련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와 관련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와 관련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의약품과 관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식품과 관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의 사용과 관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를 제조하기 위한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의 사용과 관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의 사용과 관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를 제조하기 위한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의 사용과 관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투여 또는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저하 억제 방법과 관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투여 또는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의 개선 방법과 관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투여 또는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저하 억제 방법과 관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투여 또는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의 개선 방법과 관련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에 의하면, 전립선 비대증이나 전립선암의 현재화 등의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고,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남성 갱년기 장애에 수반되는 제반 증상이나 사춘기 지발증의 예방, 치료, 개선 또는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 투여군과 대조군에 있어서의 구속 스트레스 부하 마우스의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평균 ± 표준 오차).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저하 억제란, 스트레스, 가령 (加齡) 등에 의해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정상치 이하로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는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저하에 기인하는 질환이나 증상, 예를 들어 남성 갱년기 장애, 사춘기 지발증 등의 예방·개선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남성 갱년기 장애의 개선이란 남성 갱년기 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제반 증상, 예를 들어, 낙담, 우울, 초조, 불안, 신경 과민, 생기 소실, 피로감, 관절염, 근육염, 근력 저하, 발한, 안면 홍조, 수면 장애, 기억력 저하, 집중력 저하, 육체적 소모감, 성욕 저하, 발기 장애, 사정감 소실, 노화 등을 예방, 치료, 개선 또는 경감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남성 갱년기 장애에는 연령에 관계없이 상기 제반 증상이 인정되는 장애가 전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더덕속 식물로는 예를 들어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당삼 (C. pilosula Nannf.), 만삼 (C. sylvestris)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바람직하게는 더덕 (C. lanceolata Trautv.) 이다.
상기 더덕속 식물은 식물체를 구성하는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근경, 잎, 줄기, 꽃, 열매, 종자, 싹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 또는 근경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덕속 식물의 추출물로는 상기 더덕속 식물을 상온 또는 가온 하에서 추출하거나 또는 속스레이 추출기 등의 추출 기구를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얻어지는 각종 용제 추출액, 그 희석액, 농축액, 엑기스, 이것을 건조시켜 얻어지는 건조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용제로는 극성 용제, 비극성 용제 둘 다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등의 알코올류;1,4-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등의 사슬형 및 고리형 에테르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류;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류;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헥산, 시클로헥산, 석유 에테르 등의 탄화수소류;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피리딘류;초임계 이산화탄소;유지, 왁스, 그 외 오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극성 용제, 특히 물, 에탄올 및 그 혼합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은 사용하는 용매에 따라서도 상이하나, 관용적인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체 또는 그 건조물을 분쇄, 파쇄, 또는 재단한 것에 극성 용매를 첨가하고 0℃ ∼100℃, 바람직하게는 70℃ ∼100℃ 에서 5 분∼24 시간, 바람직하게는 5 분∼1 시간 방치함으로써 추출하면 된다.
상기 추출물은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지만, 당해 추출물을 희석, 적절한 여과 또는 원심 분리 등의 조작에 의해 불용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농축 혹은 동결 건조시킨 후, 필요에 따라 분말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조제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액액 분배 기술 (예를 들어, 아세트산 에틸, 디에틸에테르, 헥산 등의 비극성 용매로 세정하여 물로 추출하는 것),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정제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불활성 협잡물(挾雜物)을 제거하고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공지된 방법으로 탈취, 탈색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나서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의 화학 구조는 이하와 같고, Tangshenoside 류에는 Tangshenoside I 및 Tangshenoside Ⅱ가 포함된다.
Figure 112006087072273-PCT00001
이들은 모두 더덕속 식물에 포함되는 성분이며, 후기 실시예 2 및 3 에서 나 타내는 바와 같이,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을 메탄올 등 알콜류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추출 엑기스를 각종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실시하고, 이어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 정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여기서, Lancemaside-A 는 처음으로 단리된 신규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천연물로부터의 추출 또는 화학 합성에 의해 얻은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 Tangshenoside 류 및 Lancemaside-A (이하, 「더덕속 식물 등」이라고도 한다) 는 후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뛰어난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 작용을 가져,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 작용을 가짐과 함께 높은 안전성을 갖는다는 점으로부터, 식품, 의약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 및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덕속 식물 등을 식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남성의 갱년기 장애에 수반되는 제반 증상 (예를 들어, 낙담, 우울, 초조, 불안, 신경 과민, 생기 소실, 피로감, 관절염, 근육염, 근력 저하, 발한, 안면 홍조, 수면 장애, 기억력 저하, 집중력 저하, 육체적 소모감, 성욕 저하, 발기 장애, 사정감 소실, 노화 등) 의 예방, 개선 또는 경감을 컨셉으로 하는 식품, 예를 들어 제품, 포장 용기, 카탈로그, 자료 등에, 그러한 내용의 표시가 되어 있는 환자용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등으로 할 수 있다.
식품 형태로는 고형 식품, 크림상 또는 잼상의 반유동 식품, 겔상 식품, 음료, 찻잎 등 모든 형태가 가능하고, 예를 들어, 분말, 캅셀, 과립, 타블렛, 드링크 제, 티백 등의 형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음식품은 관용 방법에 따라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식품에는 남성 갱년기 장애의 개선 등에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약용 식물, 예를 들어 항우울 작용을 갖는 식물, 항불안 작용을 갖는 식물, 혈중 DHEA-S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황산염) 저하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식물은 단체 (單體) 로, 항우울 작용, 항불안 작용, 혈중 DHEA-S 저하 억제 작용 중 어느 2 종 이상의 작용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항우울 작용을 갖는 식물로는 예를 들어 한국 인삼, 가시오가피, 세인트존스워트, 다미아나, 은행나무잎, 발레리안, 녹차, 시계풀, 호프, 카모마일, 황금 (skullcap), 대추, 연 (蓮) 열매, 카바카바, 석류나무, 오렌지 플라워, 레몬 버베나, 린덴, 마조람, 패션 플라워, 레몬밤, 쟈스민, 라벤더, 민트, 사프란, 코라, 황벽나무, 후박나무, 미나리, 차조기, 나포마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포마이다.
항불안 작용을 갖는 식물로는 예를 들어 레더우드 (leatherwood), 장미, 카바, 바코파, 클라리 세이지, 제라늄, 발레리안, 카모마일, 한국 인삼, 가시오가피, 라벤더, 은행나무잎, 레몬바베나, 사프란, 패션 플라워, 카바카바를 들 수 있다.
혈중 DHEA-S 저하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로는 예를 들어, 얌(yam), 한국 인삼, 과라나, 오미자, 다미아나, 병풀, 붉은 퓨에라리아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붉은 퓨에라리아이다.
본 발명의 더덕속 식물 등을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혹은 Syringin 에, 약학상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하여 의약 조성물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의약품 투여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구 투여, 직장 투여, 경피 투여, 주사에 의한 투여 등의 일반적인 투여 경로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당해 의약품은 투여 경로에 따라 약학상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적당한 고형 제제나 액체 제제 등으로 처방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로는 캡슐제, 정제, 환제, 트로키제, 산제 및 과립제 등을 들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을 적어도 1 종의 첨가제 (예를 들어, 결정 셀룰로오스, 유당 또는 전분) 와 혼화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 제제는 첨가제에 추가하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같은 활택제를 이용하여 조제해도 된다. 캡슐제, 정제 및 환제의 경우에는 추가로 완충제를 이용해도 된다. 정제 및 환제에는 장용성 (臟溶性) 피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제제로는 액체 제제의 조제에 통상 이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어 물을 함유하는 약학상 허용할 수 있는 유제, 용액, 현탁제, 시럽제 및 엘릭시르제를 들 수 있다. 액체 제제는 본 발명에 의한 식물체 및/또는 추출물에 첨가제를 첨가하고 추가로 보조제, 예를 들어, 습윤제, 유화제, 현탁제, 조미제 또는 향미제를 배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에는 상기 기술한 남성 갱년기 장애의 개선 등에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약용 식물이나 남성 갱년기 장애의 치료 등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 예를 들어 항우울 작용을 갖는 약물, 항불안 작용을 갖는 약물, 혈중 DHEA-S 저하 억제 작용을 갖는 약물을 첨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 효과,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보다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항우울 작용을 갖는 약물로는 예를 들어, 염산 아미트리프틸린 등의 3 고리계 항우울약, 염산 마프로티린 등의 4 고리계 항우울약, 말레산 플루복사민 등의 SSRI, 염산 밀나시프란 등의 SNRI, 염산 사프라진 등의 MAO 저해약, 염산 트라조돈, 술피리드를 들 수 있다.
항불안 작용을 갖는 약물로는 예를 들어, 알프라졸람, 에티졸람, 옥사졸람, 클록사졸람 등의 벤조디아제핀 유도체나 탄도스피론을 들 수 있다.
혈중 DHEA-S 저하 억제 작용을 갖는 약물로는 예를 들어, DHEA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황산염)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는 예를 들어,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의 뿌리를 뜨거운 물 속에서 30분간∼120분간 가열한 후, 불용해 성분을 제거하고, 용매를 농축,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얻어지는 추출물에, 항우울 작용을 가지는 라포마 및 혈중 DHEA-S 저하 억제 작용을 가지는 붉은 퓨에라리아 등을 첨가하고, 의약품이나 식품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부형제 또는 담체를 첨가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덕속 식물 등을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투여량은 투여 방법, 사용 목적에 따라 상이하나, 고형제로 하는 경우에는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로는 원생약 환산으로, 통상 1 회 0.01∼5g, 1 일 투여량으로 0.01∼15g, 바람직하게는 1 회 0.1∼1g, 1 일 투여량으로 0.1∼3g, 바람직하게는 0.5∼2g 이고, Lancemaside-A, Tangshenoside 류, Syringin 으로는 통상 1 회 0.01∼0.5g, 1 일 투여량으로 0.01∼1.5g, 바람직하게는 1 회 0.1∼1g, 1 일 투여량으로 0.1∼0.3g, 바람직하게는 0.1∼0.2g 이다.
또, 액제으로 하는 경우에는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로는 원생약 환산으로, 0.02∼10w/v% 용액으로 하여 1 회 1∼50㎖ 를 1 일 1∼3 회, Lancemaside-A, Tangshenoside 류, Syringin 으로서는 0.01∼0.5w/v% 용액으로 하여 1 회 1∼50㎖ 를 1 일 1∼3 회 투여하면 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더덕 추출물의 조제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말린 뿌리 1.4㎏ 에 정제수 13ℓ 를 첨가하고 90℃ 이상의 뜨거운 물 속에서 1 시간 가열한 후, 불용해 성분을 여과했다. 얻어진 열수 (熱水) 추출액은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더덕 추출물 476g 을 얻었다.
실시예 2 Tangshenoside 류 및 Syringin 의 추출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더덕 추출물 476g 을 폴리스티렌 다공질 수지 (다이아 이온 HP-20) 를 통과시켜, 물로 세정한 후에 메탄올로 용출시켰다. 그 메탄올 용출 획분을 클로로포름, 메탄올 혼합 용액을 용출 용매로 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획분 1 (Tangshenoside Ⅱ, Syringin 을 함유), 획분 2 (Tangshenoside I 을 함유) 를 얻었다. 획분 1 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취 조건 1) 에 의해 분리하고, 농축하여 Tangshenoside Ⅱ (50㎎), Syringin (70㎎) 을 얻었다. 획분 2 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취 조건 2) 에 의해 분리하고, 농축하여 Tangshenoside I (24㎎) 을 얻었다.
분취 조건 1 (Tangshenoside Ⅱ, Syringin 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취 조건)
이동상;25% 아세토니트릴
유속;8㎖/min
검출 파장;210㎚
칼럼;YMC-Pack ODS-AQ (내경 20㎜, 길이 250㎜, 입자 직경 5㎛, (주) 와이엠씨사 제조)
칼럼 온도;실온
분취 조건 2 (Tangshenoside I 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취 조건)
이동상;18% 아세토니트릴
유속;8㎖/min
검출 파장;210㎚
칼럼;Mightysil RP-18 GP (내경 20㎜, 길이 250㎜, 입자 직경 5㎛, 칸토 과학 (주))
칼럼 온도;실온
실시예 3 Lancemaside-A 의 추출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말린 뿌리 1㎏ 에 정제수 15ℓ 를 첨가하고 90℃ 이상의 뜨거운 물 속에서 1 시간 가열한 후, 불용해 성분을 여과했다. 얻어진 열수 추출액은 건조시킴으로써 더덕 추출물 0.4㎏ 을 얻었다. 더덕 추출물 0.4㎏ 을 폴리스티렌 다공질 수지 (다이아 이온 HP-20) 를 통과시켜, 물, 30% 메탄올로 세정한 후에 메탄올로 용출시켰다. 그 메탄올 용출 획분을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 혼합 용액을 용출 용매로 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Lancemaside-A 를 함유하는 획분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취 조건 3) 에 의해 분리하고, Lancemaside-A 를 함유하는 용출액을 다이아 이온 HP-20 칼럼을 통과시켜 물로 세정한 후, 메탄올로 용출, 농축, 동결 건조시켜 Lancemaside-A (110㎎) 를 얻었다. Lancemaside-A 의 물성을 이하에 나타낸다.
분취 조건 3 (Lancemaside-A 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취 조건)
이동상;0.1%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물:아세토니트릴 혼액 (72:28)
유속;9.99㎖/min
검출 파장;210㎚
칼럼;TSK gel ODS-80TS (내경 20㎜, 길이 250㎜, 입자 직경 5㎛, 토소 주식회사)
칼럼 온도;25℃
물성
1) 성상:백색 분말
2) MS:일렉트로 스프레이 이온화법
양이온:m/z 1213,[M+Na], m/z 1229,[M+K], 음이온:m/z 1189,[M-H]-
3) 13C-NMR (pyridine-d5) :
Figure 112006087072273-PCT00002
실시예 4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 저하 억제 시험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더덕 추출물을 이용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노화와 스트레스에 의한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 저하 억제 효과를 검토했다. 7 개월령의 ddY 계 웅성 마우스 (1 군 10 마리) 에 피험 물질 1g/㎏ 을 1 일에 1 회 2 주간에 걸쳐 경구 투여했다. 최종 투여일, 피험 물질 투여 1 시간 후에 구속에 의한 스트레스 부하를 주었다. 구속 스트레스는 부드러운 철망으로 마우스의 몸을 감고, 절식 절수 하에서 16 시간 (17:00∼9:00) 부하를 주고, 부하 종료 직후에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측정했다. 유의차 검정은 Student't 검정을 이용했다. 결과를 도 1 에 나타내는데, 스트레스 부하를 주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스트레스 부하군의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저하되나, 더덕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 저하를 분명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스트레스 부하군과 비교하여, 위험률 5% 에서 유의차가 있는 것이었다. 또 동일하게 Lancemaside-A 및 Tangshenoside I 에도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실시예 5 안전성 시험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더덕 추출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5 주령의 ddY 계 마우스 (1 군 자웅 각 4 마리) 에 더덕 추출물을, 10g/㎏ 및 20g/㎏ 을 30㎖/㎏ 의 투여액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고, 그 후 6 일간 체중 추이 및 일반 상태를 관찰했다. 투여 다음날 및 6 일째에 각 군의 자웅을 2 마리씩 부검하여, 흉복부 장기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더덕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사망예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또 일반 상태, 체중 추이 및 해부 소견 모두에 있어서도 이상 소견은 확인되지 않는다.
실시예 6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 시험
남성 갱년기 장애의 발현 연령인 40 대의 남성 3 명에 대하여, 매일 2 회, 아침 식사 후 및 저녁 식사 후에, 피험물 (더덕 추출물 0.5g (원생약 환산:1.47g), 덱스트린, 전분 등 부형제 0.2g) 을 0.7g 씩 14 일간 복용시키고, 그 복용감을 측정했다. 그 결과, 3 명 모두 복용 전은 임상에서 남성 갱년기 장애의 판단 증상 중 하나인 조조 (早朝) 발기가 이따금 있는 정도였으나, 피험물 복용 개시 후 3∼4 일째부터 조조 발기가 발현되고, 복용을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중 조조 발기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7 제제 처방예
(1) 과립제
성분명 처방량 (㎎/day)
더덕 추출물 500 (원생약 환산:1.47g)
붉은 퓨레라리아 분말 250
나포마 엑기스 분말 75
덱스트린 150
결정 셀룰로오스 500
유당 500
이산화 규소 25
2000
(2) 액제
성분명 처방량 (㎎/day)
더덕 추출물 1000 (원생약 환산:2.94g)
가시오가피 엑기스 500
한국 인삼 엑기스 100
트레할로스 3000
과당 2000
경화 피마자유 250
벤조산 나트륨 150
구연산 적당량
적당량
50㎖

Claims (17)

  1. 더덕속(屬)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
  2.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
  3.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고,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의 억제 또는 남성 갱년기 장애의 예방, 치료, 개선 혹은 경감을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라는 내용의 표시가 되어 있는 식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항우울 작용을 갖는 식물, 항불안 작용을 갖는 식물 및 혈중 DHEA-S 저하 억제 작용을 갖는 식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5.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
  6.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
  7.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의약품.
  8.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식품.
  9. 제 7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항우울 작용을 갖는 약물, 항불안 작용을 갖는 약물 및 혈중 DHEA-S 저하 억제 작용을 갖는 약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약물을 함유하는 의약품.
  10.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의 용도.
  11.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를 제조하기 위한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의 용도.
  12. 혈중 테스토스테론 저하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의 용도.
  13.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를 제조하기 위한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의 용도.
  14.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투여 또는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저하 억제 방법.
  15. 더덕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투여 또는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의 개선 방법.
  16.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투여 또는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저하 억제 방법.
  17. Tangshenoside 류, Lancemaside-A 및 Syringin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투여 또는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의 개선 방법.
KR1020067024868A 2004-05-31 2005-05-31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 KR20070017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4868A KR20070017540A (ko) 2004-05-31 2005-05-31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60445 2004-05-31
KR1020067024868A KR20070017540A (ko) 2004-05-31 2005-05-31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540A true KR20070017540A (ko) 2007-02-12

Family

ID=4365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868A KR20070017540A (ko) 2004-05-31 2005-05-31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75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4828B1 (en) A method of preparing a panax spp. plant extract with increased content ratio of ginsenoside rg3, rg5, and rk1 produced by microwave irradiation
US20040192579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matrine and dictamnine for treating or preventing cancer and other diseases
KR20030059984A (ko) 인삼의 가공방법 및 가공인삼 추출물의 용도
CN113905751A (zh) 用于增加黑参提取物中人参皂苷的生物利用度以及促进其吸收的组合物
WO2007133054A1 (en) A novel process for preparing black ginseng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080099362A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496834B1 (ko) 울금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080274213A1 (en) Drug for Ameliorating Male Climacteric Disorders
WO2008075866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processed extract of panax quinquefolium 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US20010046523A1 (en) Ginger-based herbal composition for promoting health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624704B1 (ko) 탈모 또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CN113164541B (zh) 含有西洋接骨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男性更年期综合症的预防用、治疗用或改善用组合物
JP2018506524A (ja) バーンアウト症候群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JP2007084559A (ja) 血中テストステロン低下抑制剤
KR100806035B1 (ko) 신경안정 및 항불안 효능을 갖는 산국화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조성물
KR20230058156A (ko) 실리범 마리아넘 식물 물질로부터 생리활성 화합물의 추출 및 이의 이용
KR101060909B1 (ko) 뇌 신경 세포 보호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JP2008007473A (ja) 決明子抽出物
KR20070017540A (ko)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제
KR100769412B1 (ko) Pr-119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의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210140933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04323439A (ja) 血液粘性改善用組成物
KR101367885B1 (ko) 인삼 및 비티스속 식물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학습능력 향상,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900802B1 (ko) 수치석웅황, 백화사설초 및 단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JP2006306889A (ja) 男性更年期障害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