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118A -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이형회복방법 - Google Patents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이형회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118A
KR20070017118A KR1020067016379A KR20067016379A KR20070017118A KR 20070017118 A KR20070017118 A KR 20070017118A KR 1020067016379 A KR1020067016379 A KR 1020067016379A KR 20067016379 A KR20067016379 A KR 20067016379A KR 20070017118 A KR20070017118 A KR 20070017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elease
sheet
recovery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히토 히로미츠
히로아키 노무라
Original Assignee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7118A/ko
Publication of KR20070017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8Releas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형회복 작용성분(1) 또는, 이형회복 작용성분(1) 및 성형부재(8)를 내포한 적어도 2층의 시트상 기재로 이루어지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이며, 상기 시트상 기재는 최외층에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2)를 사용한 구조 혹은 상측 또는 최외층에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2)를 사용하고, 하측에 기공용적율 40%이하의 시트상 섬유기재(6) 및/또는 내열성 필름(7)을 사용한 구조이다.
성형부재, 이형회복시트, 성형금형용, 프린트기판, 수지샘, 칩

Description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이형회복방법{SHEET FOR RECOVERING RELEASABILITY OF MOLD AND METHOD FOR RECOVERING RELEASABILITY}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 성형재료용의 금형 등에서 성형품을 원활하게 이형시키기 위한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이형회복방법에 관하고, 특히는 프린트기판 등의 기판상에 칩을 빌드업한 편면을 수지 밀봉하는 금형 등에서 성형품을 원활하게 이형시키기 위한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이형회복방법에 관한다.
에폭시 수지 성형재료 등의 열경화성 수지 성형재료의 성형시에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 성형재료 중에 포함되는 이형제가 금형의 캐비티 표면에 삼출(渗出)해 이형작용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성형물의 성형을 장시간 계속하면 열경화성 수지 성형재료 중에 포함되는 이형제나 수지 저분자량물 등이, 캐비티 표면에 적층해, 성형품의 이형성이 현저하게 나빠지거나, 성형품의 표면에 피부거침 등의 현상을 일으키고, 그 때문에 성형품 표면에 플로우마크(flow mark)가 발생하거나, 광택 등이 나지 않는 결함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일정한 성형수마다, 금형표면을 클리닝함으로써 상기 결함을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클리닝 작업종료 후의 금형표면은 오염과 함께 금형상에 존재하는 이형회복 성분도 제거해 버리기 때문에, 클리닝 직후에 생산을 개시하면, 제 품이 금형에 부착해서 형(mold) 이탈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통상은 금형클리닝을 실시한 후에, 이형 회복재를 사용해서 몇 번의 숏 성형이 행해진다.
또한 칩을 빌드업한 프린트기판을 하금형(下金型)에 흡인 세트하고, 편면을 상금형(上金型)으로 수지 밀봉하는 금형의 표면 등을 청소하는 편면성형 금형용의 클리닝 작업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클리닝 직후의 성형작업은 제품이 형 이탈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금형에 대해서도 클리닝작업 종료 후에 이형회복부재를 사용해서 몇 번의 숏 성형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편면 밀봉용 금형에서는 프린트기판 등을 고정하기 위해서 하금형측에 흡인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흡인구에 클리닝재나 이형회복부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기판과 동등한 두께를 가지는 특수한 치구(jig)를 하금형에 흡인세트하고, 상금형을 클리닝 및/또는 이형 회복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치구를 사용한 클리닝 작업 및 이형회복 작업은 치구의 세트나 성형 후의 성형물의 제거에 시간이 지나치게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금형의 흡인구에서 클리닝재나 이형회복부재가 새는 것에 의해 캐비티 내로의 미충전이 발생하거나 캐비티 내의 미충전이 발생함으로써 성형시의 압력이 부족하고, 성형물 강도가 저하하는 것에 의해 칩핑(chipping)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9-70856호 공보에는 이형회복 작용성분을 함침시킨 내열성 및 유연 성을 가지는 세공이 랜덤하게 다수 형성된 시트를 금형면에 클램프시켜 이형회복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금형의 합쳐진 면에서는 이형회복을 할 수 있었지만, 금형 캐비티 표면에까지 성분이 도달하기 어렵고, 캐비티 내부까지 충분하게 이형회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형회복 작용성분을 함침시킨 시트는 건조시키면 딱딱해져서 부러지거나, 분진이 많아진다는 문제점이 있고, 건조시키지 않으면 끈적거림이 있어 작업성에 문제가 생기는 동시에, 세공이 랜덤하게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는 시트강도의 저하가 발생하고, 이것에 수반하는 기재강도의 저하에 의해서 칩핑이 발생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나아가서는 상금형만 이형회복시키는 것은 세공이 랜덤하게 다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금형의 흡인구에 이형회복 작용성분이 막히고 더욱더 작업성의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형회복 작용성분(또는 이형회복 작업성분 및 성형부재)을 내포한 적어도 2층의 시트상 기재로 이루어지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이형회복시트의 최외층에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사용함으로써 가루나 부러짐 등의 작업성을 개량할 수 있는 점, 시트상 기재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이형회복 작업성분을 금형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나아가 이형회복시트의 상측 또는 최외층에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사용하고, 하측에 기공용적율 40%이하의 시트상 섬유기재 및/또는 내열성 필름을 사용한 구조로 한 이형회복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하금형의 흡인구에 수지가 막히지 않고, 상측 또는 최외층의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가 금형의 구석구석까지 이형회복 작용성분 및 성형부재를 골고루 미치게 하는 점, 또한 이형회복방법에 있어서도, 이형회복 작용성분을 내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필름이나 테이프 등의 내포부재가 수지 샘을 방지하는 스톱퍼의 역할을 함으로써, 금형 캐비티의 위치에 따라서 배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작업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점, 나아가 시트상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수지를 벗겨낼 때의 강도가 증가하고, 칩핑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형회복 작용성분을 내포한 적어도 2층의 시트상 기재로 이루어지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이며, 상기 시트상 기재가 최외층에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사용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형회복 작업성분을 내포한 적어도 2층의 시트상 기재로 이루어지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이며, 상기 시트상 기재가 상측 또는 최외층에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사용해, 하측에 기공용적율 40%이하의 시트상 섬유기재 및/또는 내열성 필름을 사용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형회복 작용성분 및 성형부재를 내포한 적어도 2층의 시트상 섬유기재로 이루어지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이며, 상기 시트상 섬유기재가,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이면서 또한 상기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의 최외층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본 발명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를, 가열한 금형내에 끼워넣고, 일정시간 가열가압해서 경화시킨 후, 이형회복시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의 이형회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지나 우송시의 형 붕괴(shape loss), 유동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형회복방법에 있어서도, 이형회복 작용성분을 내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필름이나 테이프 등의 내포부재가, 수지 샘을 방지하는 스톱퍼의 역할을 함으로써 이형회복시트의 금형상으로의 배치가 용이하며, 칩핑의 발생이 거의 없는 점에서, 성형 후의 성형물의 제거작업도 간이하며, 극히 효율이 좋은 금형이형 회복작업이 가능해지고, 작업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나아가 이형회복시트의 최외층에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사용함으로써 시트상 기재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이형회복 작업성분을 금형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을 흡인세트하기 위한 흡인구에 이형회복 수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기판과 동등한 두께를 가지는 특수한 치구를 하금형에 흡인세트할 필요가 없고, 이형회복 작용성분 또는, 이형회복 작업성분 및 성형부재를 내포한 이형회복시트의 상측 또는 최외층에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사용하고, 하측에 기공용적율 40%이하의 시트상 섬유기재 및/또는 내열성 필름을 사용한 구조로 한 이형회복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하금형의 흡인구에 이형회복 수지가 막히지 않고 간단하게 세트 가능한 동시에, 상측의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가 금형의 구석구석까지 이형회복 작업성분을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는 점, 나아가서는 시트상 섬유기재가 필러의 역할을 하는 점에서 이형강도가 강해지고, 칩핑의 발생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A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B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4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E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5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F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6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G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7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H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제조예 5의 시트상 금형 클리닝재 S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8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I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9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J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0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K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1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L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2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M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시트상 섬유기재로서는 100℃이상의 내열성을 가지는 종이, 직물,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재는 연소처리 등의 폐기처리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종이, 직포인 목면 등의 천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실형상의 부재를 짜서 형성된 그물 등도 호적하게 사용된다.
이들 기재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Bemliese(등록상표) PO500, BA832, 832R, BA112, 112R, RB119, 142, 149, 839(이상 아사히카세이코교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예를 들면 Ecule(등록상표) 6301A, 6401A, 6501A, 6601A, 6701A, 6A01A, Volans(등록상표) 4050P, 4061P, 4080P, 4081P, 4091P, 7093P, 7121P(이상 토요보세키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예를 들면 Miracle Cloth(등록상표) DF-1-73, DF-5-100, Apitas(등록상표) RPN5-60SA, LS-70(이상 다이와보세키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예를 들면 Marix(등록상표) 10606WTD, 70500WSO, 90403WSO, 20451FLV, 20707WTA, 70600WTO, Nyace(등록상표) P0703WTO, WiWi(등록상표) R0405WTO, R0705WTO(이상 Unitika, Ltd. 제품), 예를 들면, Kinocloth(등록상표) KS40, K60, K70, Palcloth(등록상표) P40, P60(이상 Oji Kinocloth Co., Ltd. 제품), 예를 들면 Panelon(등록상표) 2610, 270, 6810, K550, 5130, S30off, 3700, RF860, 7330GP, 5140, 5150, 5160, FT500, FT800, TO510, IH250(이상 Dynic Corp. 제품), 예를 들면 Oikos(등록상표) AP2050, AP2060, AP2080, AP2120, AM2060, AK2045, TDP2050, TDP2060(이상 닛신보세키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예를 들면 4000CR, PC-750CR, 8890CR, WE-60CR, H-8010E, JH-3003N, HP21, HP55(이상 Japan Vilene Co., Ltd. 제품)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최외층 또는 상측에 사용하는 기공용적율 70%이상의 기재로서는 Bemliese(등록상표) PO500, BA832, 832R, BA112, 112R, RB119, 142, 149, 839(이하 이사히카세이코교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Ecule(등록상표) 6301A, 6401A, 6501A, 6601A, 6701A, 6A01A, Volans(등록상표) 4050P, 4061P, 4080P, 4091P, 7093P, 7121P(이상 토요보세키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Panelon(등록상표) 2610, 270, 6810, K550, 5130, S30off, 3700, RF860, TO510, IH250(이상 Dynic Corp. 제품), Oikos(등록상표) AP2050, AP2060, AP2080, AM2060, AK2045, TDP2050, TDP2060(이상, 닛신보세키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HP21, HP55(이상 Japan Vilene Co., Ltd. 제품)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시트상 섬유기재는 다수의 관통구멍을 뚫지 않고, 금형의 구석구석까지 이형회복 작용성분 및 성형부재를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멍을 뚫지 않기 때문에, 이형회복 작업종료 후의 꺼냄 시에도 강도가 있어 찢기거나, 부셔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이들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는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얇은 타입을 2장 겹쳐서 사용하거나, 두꺼운 타입을 사이로 해서 얇은 타입을 상하로 배치해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내측에는 기공용적율 70%미만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하측에 사용하는 기공용적율 40%이하의 기재로서는 기공용적율 40%이상의 기존의 부직포(예를 들면, 상기의 기공용적율 70%이상의 기재)를 프레스기 등으로 압축함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측에 사용하는 내열성 필름으로서는 150℃이상의 내열성을 가지는 필름, 바람직하게는 200℃이상의 내열성을 가지는 필름이 호적하게 사용 된다.
이들 하측에 사용하는 기재는 시트상 섬유기재와 내열성 필름을 적층해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기공용적율 40%이하의 기재는 압축하여 두께가 없어지게 되어 복수장 겹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기재의 크기는 특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금형면적보다 큰 사이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것을 에어벤트(air vent)부 등의 이형회복 작업 시에 수지가 새어도 여백부분에 흡수할 수 있고, 넘쳐나온 수지의 청소에 많은 시간을 요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이들 여백부분의 길이는 기재와 수지의 조합에 의해서 기재로의 수지의 함침성이 다르기 때문에 특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이형회복 작업종료 후의 작업성 등을 고려하면 금형의 가장자리로부터 약 5cm이상 있는 것이 좋다.
이들 기재는 태블릿상(tablet form), 과립상, 분상, 시트상 또는 판상의 적어도 1종의 이형회복 작업성분을 내포하는데, 2장의 기재를 합쳐서 내포하는 것도 가능하고, 금형면적의 2배 이상의 기재를 자루(bag)모양으로 해서 내포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기재는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로 피복한 것이나, 양면페이트, 접착제 및 점착제 등(이하, 내포부재로 약칭하는 일이 있음)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내포부재를 부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내포부재의 피복방법은 특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기재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일정 폭의 열가소성 수지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중심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필름을 기재와 라미네이트해 피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내포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시트상 기재를 압착 또는 변형시킴으로써 접착하는 것으로 피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포하는 방법은 특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일예를 들면, 우선 1장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 피복시트상 기재의 위에 일정 중량의 태블릿상, 과립상, 분상, 시트상 또는 판상의 적어도 1종의 이형회복부재를 놓고, 그 상방으로부터 하방의 시트상 기재와 동일 형상의 시트상 기재를 피복시킴으로써 제작된다.
나아가 서로 겹쳐진 시트상 기재를, 이형회복부재가 어긋나지 않도록 히트실함으로써 완료한다.
또한 이형회복부재가 이동하지 않도록 적당한 면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이송시, 반송시에 이형회복부재가 편중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양면테이프, 접착제 및 점착제 등을 적당한 면적으로 부착한 시트상 기재로 내포할 수도 있다.
이들의 내포부재를 시트상 기재에 부착하거나, 히트실하거나 할 경우는 최외측 부분을 2중으로 히트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내측의 내포부재가 금형의 열에 의해 용해해 이형회복부재가 흘러나와도 2중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외측의 내포부재에 의해 정지하며, 수지 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형회복부재의 주원료는 멜라민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이며, 그 중에서도 멜라민계 수지가 경화성 등으로 유용하 다. 멜라민계 수지는 멜라민 등의 트리아진류를 포름알레히드 등의 메틸롤화한 수지이며, 일반적으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가 사용된다.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는 일반적으로는 수용액의 상태에서 제조되며, 수용액을 예를 들면 스프레이드라이 등으로 건조시키면 분상물이 얻어지며, 수용액에 펄프를 블렌드한 후, 건조시키면 과립상물이 얻어지며, 분상물이나 과립상물을 타정해 태블릿상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수용액을, 시트상 기재에 함침시켜, 건조시키면 시트상물이 된다. 판상물은 상기의 분상물 또는 과립상물을 타정기로 타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기재에 함침시키는 경우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수용액 중에 기재를 통과시킨 후, 건조시키는 것만으로 시트상의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기재로의 수지의 함침율은 예를 들면 기재의 종류를 바꾸거나, 수지액 농도를 조성하거나, 함침시킨 수지액의 스퀴징 정도를 조절하거나 함으로써 목적하고자 하는 함침율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경화성이나 유동성을 조성함으로써 기재로의 함침율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형회복부재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 외에 이형제를 함유한다.
이형제로서는 스테아린산, 베헤닌산과 같은 장쇄지방산, 스테라인산아연, 스테아린산캄슘으로 대표되는 장쇄지방산의 금속염, 카르나우바 왁스, 몬탄 왁스, 몬탄산의 부분 비누화 에스테르로 대표되는 에스테르계 왁스, 스테아릴아틸렌디아미드로 대표되는 장쇄지방산아미드, 폴리에틸렌 왁스로 대표되는 파라핀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형제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5~2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정도 사용된다. 이들의 배합성분의 비율은 반드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형제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이형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많은 이형회복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고, 이형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제품의 외관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형회복 작업 후에 행해지는 성형재료의 더미숏(dummy shot)의 회수가 많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형회복부재는 열경화성 수지와 이형제 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첨가제(예를 들면, 활제, 광물질분체, 경화촉매 등)를 배합하고, 배합물을 예를 들면 니더(Kneader), 리본블렌더(ribon blender), 헨쉘믹서(henschel mixer), 볼밀(ball mill) 등으로 균일하게 혼합해서 얻을 수 있다. 상기 이형회복부재를 타정함으로써 태블랫상 또는 판상의 이형회복부재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멜라민계 수지 수용액에 이형제를 첨가해서 분상, 과립상 또는 시트상의 이형회복부재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트상 또는 판상으로 제조된 이형회복부재는 4각형, 장방형, 직사각형 및 기타의 형상으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고, 함침율이 높은 시트상 이형회복부재 1 내지 2장 정도, 함침율이 낮은 시트상 이형회복부재는 복수장 겹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형회복부재를 내포한 회복시트는 금형의 형상에 맞춰서 제작하는 것이나, 캐비티 및 포트부에 효율 좋게 수지가 충전되게끔 이형회복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의 이형회복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금형에 대해서 균일하게 수지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캐비티 내로의 수지의 미충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이형회복시트는 이형회복부재 외에 미가류의 합성고무 및/또는 천연고무를 성형부재로서 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합성고무로서는 부틸고무, 아크릴고무, 실리콘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스티렌-부타디엔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계 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폴리엔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브록중합체, 수소화-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블록중합체, 에틸렌계 이오노머(ionomer)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미가류의 합성고무 또는 천연고무는 가열용융시에 적당한 점탄성을 나타내므로, 금형을 죄였을 때에 시트상 기재를 중심에서 상하의 금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요한 작용을 하는 부재이며, 이 작용에 의해 시트상 기재를 금형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캐비티의 코너나 에어벤트 등으로 발생하는 칩핑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작용은 캐비티 내로의 수지의 충전성에 대해서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형회복부재의 유동성 불량이나 이형회복 시의 압력부족 등에서 발생하는 캐비티 내로의 수지의 미충전 등의 결함에 대해서도 해소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트상 기재는, 성형 후에는 성형물 안으로 들어가지 때문에 성형물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필러와 동일한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성형후의 성형물 강도를 향상시키는 위해서 펄프를 사용하는데, 이것을 시트상 기재으로 대체함으로써 필러사이의 결합력이 강해지며, 그 결과, 성형물 강도는 향상한다. 수지의 침투성은 기공용적율이 70%이상의 기재를 상측 또는 최외층에 사용하는 것에 의해 해소시키고, 필러와 기재를 병용함으로써 성형물 강도는 더욱 향상한다.
또한 성형물의 강도가 향상함으로써 칩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 결과, 이형성과 함께 작업성도 향상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등을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등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멜라민 480중량부와 포르말린(37% 수용액) 522중량부를 가열반응하고, 공지의 방법으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만들고, 얻어진 수지액에 펄프 248중량부를 첨가해서 혼련(混練)한 후, 감압건조시켜서 펄프 혼입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를 전단식의 분쇄기로 조(粗)분쇄함으로써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과립을 얻었다.
제조예 1
참고예 1에서 얻어진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과립 60중량부, 시판의 멜라민수지(Nippon Carbide Industries, Co., Inc. 제품 Nikaresin S-176) 40중량부, 안식향산 0.5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아연 1.5중량부를 볼밀로 혼합 분쇄함으로써 이 형회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이형회복 수지 조성물을 타정기로 타정함으로써 길이 200mm, 폭 100mm, 두께 3mm의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얻었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조쇄기에 의해 분쇄한 후, 빗에 의해 미분을 제거해 과립상 이형회복부재 Y를 얻었다.
제조예 3
참고예 1에서 얻어진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과립 60중량부, 시판의 멜라민 수지(Nippon Carbide Industries, Co., Inc. 제품 Nikaresin S-176) 40중량부, 안식향산 0.5중량부, 스테아린산아연 1.2중량부 및 카르나우바 왁스 0.3중량부를 볼밀로 혼합 분쇄함으로써 이형회복용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이형회복용 수지 조성물을 타정기로 타정함으로써 길이 200mm, 폭 100mm, 두께 3mm의 판상 이형회복부재 Z를 얻었다.
제조예 4
무니점도 15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 100중량부 및 석유계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오일 10중량부를 가압니더에서 10분간 혼련해, 얻어진 덩어리형상물을 2축압출기로 압출해서 시트상으로 한 후, 나아가 가압롤을 사용해 폭 150mm, 두께 3mm의 시트상부재 R를 얻었다.
제조예 5
참고예 1에서 얻어진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과립 60중량부, 시판의 멜 라민 수지(Nippon Carbide Industries, Co., Inc. 제품 Nikaresin S-176) 40중량부, 안식향산 0.5중량부 및 스테아린산아연 0.5중량부를 볼밀로 혼합 분쇄함으로써 클리닝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클리닝 수지 조성물을 타정기로 타정함으로써 길이 200mm, 폭 100mm, 두께 3mm의 판상 클리닝부재로 하고, 이것을 길이 300mm, 폭 200mm의 HP21(Japan Vilene Co., Ltd. 제품)의 시트상 섬유기재(기공용적율 94%)의 중앙에 배치하고, 그 위에 동일 사이즈의 HP21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배치해 판상 클리닝부재를 끼워넣는 동시에 가압해서 고정한다. 다음으로 단면(端面)을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하고 도 7에 나타내는 시트상 금형클리닝재 S를 얻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길이 300mm, 폭 200mm의 HP21(Japan Vilene Co., Ltd. 제품)의 시트상 섬유기재(기공용적율 94%)의 중앙에 배치하고, 그 위에 동일 사이즈의 HP21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배치해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끼워넣는 동시에 가압해서 이형회복부재 X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단면을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하고, 도 1에 나타내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A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A를 사용한 이형회복시험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A는 양호한 성형성 및 이형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길이 300mm, 폭 200mm으로 재단한 Bemliese BA112(아사히카세이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기공용적율 85%)의 위에, 동일 사이즈로 각각의 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25mm의 부분에서 중앙부를 제거한 T0510(Dynic Corp. 제품, 기공용적율 99%)을 배치하고, 제거한 중앙부에 제조예 2에서 얻어진 과립상 이형회복부재 Y를 배치한 후, 나아가 동일 사이즈의 Bemliese BA112를 위에서 겹쳐서 배치한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단면을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하고 도 2에 나타내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B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B를 사용한 이형회복시험 결과를 표 1에 기록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B는 양호한 성형성 및 이형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판상 이형회복부재 X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얻어진 판상 이형회복부재 Z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C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C를 사용한 이형회복 시험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C는 양호한 성형성 및 이형성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HP21(Japan Vilene Co., Ltd. 제품, 기공용적율 94%) 대신에 H-8010E(Japan Vilene Co., Ltd. 제품, 기공용적율 63%)를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D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D를 사용한 이형회복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D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시판의 태블릿상 이형회복부재 EMEC-10(Sumitomo Bakelite Co., Ltd. 제품)을 사용해 하기의 시험방법에 의해 이형회복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시험방법
시판의 비페닐계 에폭시 수지 성형재료(히타치카세이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CEL-9200XU)를 사용해, TQFP의 금형으로 500숏의 성형에 의해 금형의 오염을 실현하였다. 이 오염된 금형을, 제조예 5에서 얻어진 시트상 금형클리닝재 S를 사용해 5숏 클리링 작업을 실시한 후, A~D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시판의 태블랫상 이형회복부재 EMEC-100을 사용해 이형회복 시험을 행하였다.
수지 충전성에 대해서는 12 캐비티의 상형측과 하형측을 합계한 24곳 중, 수지가 충전된 곳의 비율로 평가를 행하였다.
나아가 칩핑에 대해서는 캐비티 내에 발생한 칩핑의 개수로 평가를 행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이형회복시트명 A B C D EMEC-100
시트상기재의 기공용적율(%) 94/94 85/99/85 94/94 63/63 -
금형온도(℃) 175 175 175 175 175
장전시간(초) 이형회복시트 2 2 2 2 10
더미프레임 - - - - 10
경화시간(초) 180 180 180 180 180
제거시간(초) 5 5 5 20 50
숏수(회) 2 2 2 2 2
총작업시간(초) 374 374 374 404 500
수지충전성(%) 100 100 100 92 100
칩핑수(개) 0 0 0 3 8
[실시예 4]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길이 300mm, 폭 20mm,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중앙에 배치하고, 그 위에 길이 300mm, 폭 200mm의 HP21(Japan Vilene Co., Ltd. 제품)의 시트상 섬유기재(기공용적율 94%)를 배치해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끼워넣는 동시에, 80℃로 가압해 이형회복부재 X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단면을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하고, 도 3에 나타내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E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E를 사용한 이형회복 시험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E는 양호한 이형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미리 가압해서 기공용적율 40%이하로 조정한 Bemliese BA112(아사히카세이 카부시키가이샤 제품)를 길이 300mm, 폭 200mm로 재단하고, 이것을 2장 겹친 다음에, 동일 사이즈로 기공용적율 미조정의 Bemliese BA112(아사히카세이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기공용적율 85%)를 배치하고, 3방의 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25mm의 부분을 열가소성 필름을 가열용융해서 접착시키고, 그 중에 제조예 2에서 얻어진 과립상 이형회복부재 Y를 충전한 후, 남은 일방을 마찬가지로 단면에서 내측으로 25mm의 부분으로 접착시킴으로써 과립상 이형회복부재 Y를 내포시킨다. 다음으로 각각의 단면을 동일하게 열가소성 필름을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하고, 도 4에 나타내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F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 이형회복시트 F를 사용한 이형회복시험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F는 양호한 이형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미리 가압해서 기공용적율 40%이하로 조정한 Volans 4091P(Toyobo Co., Ltd. 제품)를 길이 300mm, 폭 200mm로 재단하고, 그 위에 동일 사이즈로 재단한 두께 75㎛의 폴리에틸렌테르프탈레이트 필름을 얹어서 서로 겹친다. 상측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중앙부에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배치한 후, 하측의 시트상 기재와 동일 사이즈로 기공용적율 미조정의 Volans 4091P(Toyobo Co., Ltd. 제품, 기공용적율 94%)를 배치하고, 80℃의 온도에서 가압해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상측의 기재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단부를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해서 도 5에 나타내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G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G를 사용한 이형회복 시험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회복시트 G는 양호한 이형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미리 가압해서 기공용적율 40%이하로 조정한 BA112(아사히카세이 카부시키가이샤 제품)를 길이 300mm, 폭 200mm로 재단하고, 그 중앙부에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시트상 성형부재 R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시트상 성형부재 R 위에 배치하고, 그 위에서 하측의 시트상 기재와 동일 사이즈로 기공용적율 미조정의 Bemliese BA112(아사히카세이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기공용적율 85%)를 겹쳐서 배치하고, 80℃의 온도에서 가압함으로써 각 부재를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단면을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하고, 도 6에 나타내는 성형금형 회복시트 H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H를 사용한 이형회복 시험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회복시트 H는 양호한 이형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길이 300mm, 폭 200mm,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동일 사이즈의 Bemliese BA112(아사히카세이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기공용적율 85%)를 배치하고, 3쪽의 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25mm의 부분을 열가소성 필름을 가열용융해 접착시키고, 그 중에 제조예 2에서 얻어진 과립상 이형회복부재 Y를 충전한 후, 남은 일방을 동일하게 단면에서 내측으로 25mm의 부분에서 접촉시킴으로써, 과립상 이형회복부재 Y를 내포시킨다. 다음으로 각각의 단면을 동일하게 열가소성 필름을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하고, 도 8에 나타내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I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I를 사용한 이형회복 시험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회복시트 I는 양호한 이형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9]
길이 300mm, 폭 200mm,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필름의 중앙부에,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시트상 성형부재 R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시트상 성형부재 R 상에 배치하고, 그 위에서 하측의 기재와 동일 사이즈의 Bemliese BA112(아사히카세이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기공용적율 85%)를 겹쳐서 배치하고, 85℃의 온도에서 가압함으로써 각 부재를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단면을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하고, 도 9에 나타내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J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J를 사용한 이형회복 시험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회복시트 J는 양호한 이형회복 효과를 나타내었다.
E~J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를 사용해서 하기의 시험방법에 의해 이형회복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시험방법
시판의 비페닐계 에폭시 수지 성형재료(히타치카세이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CEL-9200 XU)를 사용해, QFN의 금형으로 500숏의 성형에 의해 금형의 오염을 실현하였다. 이 오염된 금형을 제조예 5에서 얻어진 시트상 금형클리닝재 S를 사용해서 5숏 클리닝 작업을 실시한 후, E~J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를 사용해 이형회복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기준은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성형 후의 성형물 제거시간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수지충전성에 대해서는 캐비티수의 합계 중, 캐비티 내에 완전하게 수지가 충전된 곳의 비율로 평가를 행하였다.
나아가 칩핑에 대해서는 캐비티 내에 발생한 칩핑의 개수로 평가를 행하였다.
실시예
4 5 6 7 8 9
이형회복시트명 E F G H I J
시트상기재의 기공용적율(%) 94/0 85/33 94/0/38 85/33 85/0 85/0
내열성필름의 유무
금형온도(℃) 175 175 175 175 175 175
경화시간(초) 180 180 180 180 180 180
평균제거시간(초/장) 5 5 5 5 5 5
시간충전성(%) 100 100 100 100 100 100
칩핑수(개) 0 0 0 0 0 0
[실시예 10]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길이 300mm, 폭 200mm의 Volans 4091P(Toyobo Co., Ltd. 제품)의 시트상 섬유기재(기공용적율 94%)의 중앙에 배치하고, 그 위에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시트상 성형부재 R를 길이 250mm로 재단하고 중앙에 배치한다. 나아가 시트상 성형부재 R 위에,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재치하고, 마지막으로 그 위에서 동일 사이즈의 Volans 4091P를 배치해, 이들의 Volans 4091P로 시트상 성형부재 R 및 판상 이형회복부재 X를 끼워넣는 동시에 가압해서 고정한다. 다음으로 단면을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K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K를 사용해서 이형회복 시험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K는 양호한 성형성 및 이형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길이 300mm, 폭 200mm으로 재단한 Bemliese BA112(아사히카세이 카부시키가이샤 제품, 기공용적율 85%)의 위에, 동일 사이즈의 단면에서 내측으로 25mm의 부분에서 중앙부를 제거한 T0510(Dynic Corp. 제품, 기공용적율 99%)을 배치하고, 제거한 중앙부에 제조예 3에서 얻은 판상 이형회복부재 Z를 배치한 후, 그 위에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시트상 성형부 R를 재치해, 나아가 그 위에 다시 제조예 3에서 얻은 판상 이형회복부재 Z를 배치한다. 마지막으로 동일 사이즈의 Bemliese BA112를 위에서 겹쳐서 배치한 후, 각각의 단면을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L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L을 사용한 이형회복 시험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L은 양호한 성형성 및 이형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제조예 3에서 얻어진 판상 이형회복부재 Z를 300mm, 폭 200mm의 HP21(Japan Vilene Co., Ltd. 제품)의 시트상 섬유기재(기공용적율 94%)의 중앙에 배치하고, 그 위에 동일 사이즈의 HP21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배치해 판상 이형회복부재 Z를 끼워넣는 동시에 가압해서 이형회복부재 Z를 고정하고, 회복시트부재 M1을 얻었다. 마찬가지로 해서 동일 사이즈의 회복시트부재 M2를 제작하고, 회복시트부재 M1과 회복시트부재 M2를 그들의 사이의 중앙에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시트상 성형부재 R를 배치해 서로 겹쳐서, 상기 시트상 성형부재 R를 끼워넣고, 가압해서 고정한다. 다음으로 단면을 가열용융시킴으로써 접착하고, 도 12에 나타내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M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M를 사용한 이형회복 시험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M은 양호한 성형성 및 이형성을 나타내었다.
K~M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에 대해서 상기의 A~D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의 이형회복 시험과 동일한 이형회복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11 12
이형회복시트명 K L M
시트상기재의 기공용적율(%) 94/94 85/99/85 94/94/94/94
금형온도(℃) 175 175 175
장전시간(초) 이형회복시트 2 2 2
더미프레임 - - -
경화시간(초) 180 180 180
제거시간(초) 5 5 5
숏수(회) 2 2 2
총작업시간(초) 374 374 374
수지충전성(%) 100 100 100
칩핑수(개) 0 0 0
아울러 도 1~12 중, 1은 판상 이형회복부재 X; 2,2a,2b,2c는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기재; 3은 내열성 필름; 4는 가열용융부분; 5는 과립상 이형회복부재 Y; 6,6a는 기공용적율 40%이하의 시트상 기재; 7은 열가소성 필름; 8은 시트상 성형부재 R; 9는 판상 클리닝부재 S; 10은 판상 이형회복부재 Z이다.
본 발명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는 하형측에 흡인구를 가지는 편면 밀봉용 성형금형의 이형회복 작업에 있어서, 고가의 프린트기판이나 대용의 치구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간단하게 게다가 효율 좋게 금형에 이형회복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흡인구로의 수지침입 등의 문제가 없는 점에서, 수지 샘에 의한 캐비티 내로의 수지 미충전이 발생하지 않고, 성형 후의 성형물을 용이하게 금형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상측에 사용함으로써 시트상 기재의 강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이형회복 부재를 금형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본 발명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는 뛰어난 금형이형 회복성과 작업성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2)

  1. 이형회복 작용성분을 내포한 적어도 2층의 시트상 기재로 이루어지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이며, 상기 시트상 기재가, 최외층에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사용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2. 이형회복 작용성분을 내포한 적어도 2층의 시트상 기재로 이루어지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이며, 상기 시트상 기재가, 상측 또는 최외층에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를 사용해, 하측에 기공용적율 40%이하의 시트상 섬유기재 및/또는 내열성 필름을 사용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가, 기판 등의 편면에 수지 밀봉하는 금형을 이형회복하는 이형회복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회복 작용성분과 함께, 성형부재를 내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5. 이형회복 작용성분 및 성형부재를 내포한 적어도 2층의 시트상 섬유기재로 이루어지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이며, 상기 시트상 섬유기재가, 기공용적율 70%이상의 시트상 섬유기재이면서 또한 상기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의 최외층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재가, 미가류의 합성고무 및/또는 천연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회복 작용성분이, 열경화성 수지 및 이형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나아가 광물질류 분체(粉體) 및 경화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테이프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해 피복 또는 열융착함으로써, 이형회복 작용성분 또는, 이형회복 작용성분 및 성형부재를 내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를, 양면테이프, 접착제 및 점착제의 적어도 1종을 사용해서 접착함으로써 이형회복 작용성분 또는, 이형회복 작용성분 및 성형부재를 내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상 기재를 압착 또는 변형시킴으로써 접착하는 것에 의해, 이형회복 작용성분 또는, 이형회복 작용성분 및 성형부재를 내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성형금형용 회복시트를, 가열한 금형 내에 끼워넣고, 일정시간 가열가압해 경화시킨 후, 이형회복시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의 이형회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를, 성형금형을 클리닝한 후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의 이형회복방법.
KR1020067016379A 2004-05-28 2005-05-19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이형회복방법 KR20070017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379A KR20070017118A (ko) 2004-05-28 2005-05-19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이형회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58544 2004-05-28
JPJP-P-2004-00183438 2004-06-22
JPJP-P-2004-00183448 2004-06-22
JPJP-P-2005-00046631 2005-02-23
KR1020067016379A KR20070017118A (ko) 2004-05-28 2005-05-19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이형회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118A true KR20070017118A (ko) 2007-02-08

Family

ID=4365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379A KR20070017118A (ko) 2004-05-28 2005-05-19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이형회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71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111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k brake pad
CN1606935A (zh) 制备用于吸收和消散体液和湿气的多层复合材料的方法
KR100593284B1 (ko) 성형 금형용 클리닝재 및 클리닝 방법
KR20070017118A (ko) 성형금형용 이형회복시트 및 이형회복방법
US20070167097A1 (en) Mold conditioning sheet and method of mold conditioning
KR101853704B1 (ko) 인테리어 자재 접착용 접착층을 구비한 친환경 인테리어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TWI586545B (zh) Laminated body
KR100714020B1 (ko) 성형 금형용 클리닝재 및 클리닝 방법
CZ20032777A3 (cs) Podlahová krytina
JP2008302595A (ja) 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20020451A (ko) 전두부 포장용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44501B1 (ko) 반도체 금형 코팅용 고무시트
JP2012135935A (ja) 離型フィルム
CN100408296C (zh) 成型模具用清洗材料和清洗方法
CN100436097C (zh) 成型模具用清洁材料和清洁方法
KR102047790B1 (ko) 커피 슬러지 조성의 합성보드를 포함하는 가구용 판상 자재의 제작방법 및 가구용 판상 자재
WO2023153409A1 (ja) 接着積層体および電子機器用筺体
JP3809819B2 (ja) 金型清掃用樹脂組成物
KR20190125273A (ko) 커피 슬러지 조성의 합성보드를 포함하는 가구용 판상 자재의 제작방법 및 가구용 판상 자재
TW202247980A (zh) 成型模維護用部件、樹脂成型裝置和樹脂成型品的製造方法
JP2024013073A (ja) 床材補修構造、床材の補修方法および床構造
JPH0349922A (ja) 部分通気性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S606213B2 (ja) ゴム製品の製造方法
CN114075364A (zh) 回收并再利用酚醛类型废料及环保电木酚醛材料的制造方法
CZ2021450A3 (cs) Konstrukční deska obsahující komunální odpad a způsob její výro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