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148A -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의조절제의 용도를 포함하는 신경정신학적 장애를 치료하기위한 글루탐산 수용체의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의조절제의 용도를 포함하는 신경정신학적 장애를 치료하기위한 글루탐산 수용체의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148A
KR20070015148A KR1020067018526A KR20067018526A KR20070015148A KR 20070015148 A KR20070015148 A KR 20070015148A KR 1020067018526 A KR1020067018526 A KR 1020067018526A KR 20067018526 A KR20067018526 A KR 20067018526A KR 20070015148 A KR20070015148 A KR 20070015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sgk1
disease
glur6
sgk3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플로리안 랑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15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ddiction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현재의 출원은 예상치 못하게 혈청 및 글루코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의 몇몇 동형이 글루탐산 수용체의 강력한 조절제임을 설명한다.
글루탐산 수용제의 조절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본 발명은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유도가능한 키나아제류의 모든 세가지 요소인 SGK1, SGK2 및 SGK3가 글루탐산 수용체 조절에 관여한다는 예상치못한 결과를 전달한다. 왜냐하면 글루탐산 수용체는 신경계에서의 흥분 신호 전달의 가장 중요한 매개체이기 때문에, 그것들의 상향- 및 하향- 조절은 상당수의 신경-정신학적 질병에서 논의되어왔다. 즉, 본 발명은 글루탐산 수용체 활성의 상태와 관련하여 조직 샘플 및 표본 내 SGK1, SGK2 또는 SGK3의 상향-조절된 발현을 측정함으로써 신경정신학적 질병의 진전, 퇴보 또는 발병을 결정하는 방법을 전달한다.
혈청,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신경정신학적 장애, 글루탐산 수용체

Description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의 조절제의 용도를 포함하는 신경정신학적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글루탐산 수용체의 조절 방법{METHODS FOR MODULATING GLUTAMATE RECEPTORS FOR TREATING NEUROPSYCHIATRIC DISORDERS COMPRISING THE USE OF MODULATORS OF SERUM AND GLUCOCORTICOID INDUCIBLE KINASES}
글루탐산 수용체 활성의 변경 방법은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인 SGK1, SGK2 또는 SGK3를 발현하는 세포를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를 조절하는 물질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루탐산 수용체 상향- 또는 하향-조절과 관련된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관한 것이다.
뉴런은 신경전달을 유지하고 미세조정하기 위하여, 신경전달수용체의 상대적인 발현, 기능 및 하위세포 위치결정을 계속적으로 변형한다. 변형된 흥분 수용체 시스템에는 소단위체 GluR1 내지 GluR4를 포함하는 이온성 글루탐산 수용체(GluR)의 AMPA류의 구성요소가 있다. AMPA 수용체는 간질,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라스무센 뇌염과 같은 다양한 질병에 관여한다. 라스무센 뇌염은 심각한 간질, 반신불수, 치매 및 뇌의 염증에 의해 특징되는 발전된 장애이다. 환자가 GluR3에 대한 항체를 키울 때, 라스무센 뇌염이 발병한다는 증거가 있다. GluR3 항체가 외피 뉴런 내의 AMPA 수용체를 활성화할 수 있고, 자가항체와 상호작용하는 GluR3의 영역이 작용제 결합 사이트 내에 위치한다는 것이 알려졌다(Twyman et al., 1995). 그러므로, 수용체 활성에 의해 유도된 뉴런의 흥분은 질병을 특정짓는 간질 발작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신경정신학적 질병을 일으키는 매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많은 이슈들이 해결되어야 할 채로 남아있다.
글루탐산 수용체는 중추신경계 내에서 흥분 신호 전달계의 가장 중요한 매개체이다(M Sheng, T. Nakagawa, Nature 417, 601, 2002). 그것들은 결국 시냅스후 뉴런의 가소성에 이르는 시냅스후 뉴런 내에서 생화학적 경로의 다수를 활성화시킨다. 시냅스 강도의 변화는 시냅스후 AMPA 수용체의 활성 및/또는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해마의 포스파티딜이노시톨-3-키나아제(PI3-K)는 장기 강화동안 활성화되고, 시냅스의 AMPA 수용체와 함께 복합체를 형성한다(P.P. Sanna, et al., J. Neurosci, 22, 3359, 2002; M. Passafaro, V. Piech and M. Sheng, Nat. Neurosci, 4, 917, 2001; H. Y. Man, et al., Neuron 39, 611, 2003). 그러나, 세포막 내에서의 PI3-K로부터 AMPA 수용체 다수로의 신호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채로 남아있다. PI3-K의 하위 신호 분자에는, 단백질 키나아제 B를 인산화하여 활성화하는 3-포스포이노시티드-의존 키나아제(PDK) 및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유도가능한 키나아제류의 세가지 모든 구성요소인 SGK1, SGK2 및 SGK3가 있다(F. Lang, P. Cohen, Sci. STKE. 108, RE17, 2001). SGK1, SGK2 및 SGK3는 모두 원형질막 내에 채널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신장 상피의 Na+ 채널 ENaC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여졌다(F. Lang et al., Cell. Physiol. Biochem. 13, 41, 2003; D. Pearce, Cell. Physiol. Biochem. 13, 13-20, 2003; F.Verrey, J. Loffing, M. Zecevic, D. Heitzmann, O. Staub, Cell. Physiol. Biochem. 13, 21, 2003). 세가지 모든 키나아제는 뇌에서 풍부하게 발현하기 때문에(T. Kobayashi, P. Cohen, Biochem J. 339, 319, 1999; S. Waldegger, P. Barth, J.N.Jr. Forrest, R. Greger, F. Lang, Proc. Natl. Acad. Sci. U.S.A 94, 440, 1997), 우리는 그것들이 AMPA 수용체의 조절에 참여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SGK1은 인슐린성 성장 인자인 IGF1, 인슐린 및 포스포이노시톨-3-키나아제(PI3 키나아제) 및 포스포이노시톨-의존 키나아제인 PDK1을 포함하는 신호연쇄반응을 통한 산화스트레스를 통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여졌다(Kobayashi & Cohen 1999, Park et al. 1999, Kobayashi et al. 1999). PDK1을 통한 SGK1의 활성은 세린 422의 인산화를 포함한다. 또한, 세린 422의 아스파테이트(S422DSGK1)로의 변이는 연속적으로 활성화된 키나아제로 귀착되는 것으로 보여졌다(Kobayashi et al. 1999).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 SGK1 활성의 측정을 위하여, 다양한 분석 방법이 이용가능하다. 섬광 근접 분석(Sorg et al., J. of. Biomolecular Screening, 2002, 7, 11-19) 및 섬광판 분석에서, 기질로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의 방사성 인산화가 γATP와 함께 측정될 것이다. 저해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방사 성 신호는 검출되지 않거나 감소된 방사성 신호가 검출된다. 또한, 균일 시간-분해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HTR-FRET: homogeneous time-resolved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fer) 및 형광 분극화(FP: fluorescence polarization) 기술은 분석 방법에 유용하다(Sills et al., J. of Biomolecular Screening, 2002, 191-214). 다른 비-방사성 ELISA 기초 분석 방법은 특정 인산-항체(AB)를 사용한다. 인산-AB는 오직 인산화된 기질에만 결합한다. 이 결합은 2차 퍼옥시다아제 결합된 항 양 항체로 화학발광에 의해 검출한다(Ross et al., 2002, Biochem. J., immediate publication, manuscript BJ20020786).
이전의 결과들은 SGK1이 신장 상피의 Na+-채널의 강한 자극제임을 보여주었다(De la Rosa et al. 1999, Boehmer et al. 2000, Chen et al. 1999, Naray-Fejes-Toth et al. 1999, Lang et al. 2000, Shigaev et al. 2000, Wagner et al. 2001).
SGK1과 관계된 다른 결과는 (CC/CT)의 뉴클레오티드 조합을 가진 엑손(exon) 8의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SNP) 및 인트론 6 (CC)의 추가적인 다형성이 증가된 혈압과 관련있으며(Busjahn et al. 2002), 이것으로부터 SGK1이 혈압조절과 고혈압에 중요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왜냐하면 SGK1의 증가된 활성은 나트륨의 신장 재흡수 증가를 통해 고혈압으로 이어지는 신장 상피의 Na+채널 활성과 관계되며(Lifton 1996; Staessen et al., 2003; Warnock 2001), SGK1의 형질 변이의 조합에 따라 신장의 Na+-재흡수 증가는 차례로 혈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Busjahn et al. 2002).
현재의 출원은 예상치 못하게 혈청 및 글루코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의 몇몇 동형이 글루탐산 수용체의 강력한 조절제임을 설명한다.
글루탐산 수용제의 조절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본 발명은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유도가능한 키나아제류의 모든 세가지 구성요소인 SGK1, SGK2 및 SGK3가 글루탐산 수용체 조절에 관여한다는 예상치못한 결과를 전달한다. 왜냐하면 글루탐산 수용체는 신경계에서의 흥분 신호 전달의 가장 중요한 매개체이기 때문에, 그것들의 상향- 및 하향- 조절은 상당수의 신경-정신학적 질병에서 논의되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루탐산 수용체 활성의 상태와 관련하여 조직 샘플 및 표본 내 SGK1, SGK2 또는 SGK3의 상향-조절된 발현을 측정함으로써 신경정신학적 질병의 진전, 퇴보 또는 발병을 결정하는 방법을 전달한다.
SGK는 처음으로 트래피킹(trafficking), 시냅스 가소성 및 기억 합병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진 AMPA 수용체의 PI3-K-의존 조절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여졌다.
SGK3이 GluR1의 강력한 조절제인 반면, SKG1은 GluR6 활성에 관여된다. SGK3은 원형질막 내의 GluR1의 양을 증가시키고, GluR1-매개 글루탐산-유도 전류를 증가시킨다. GluR6은 SGK1 인식 사이트인 RXRXXS/T를 통해 SGK1과 연결되지 않으므로 미지의 아미노산 시퀀스에 영향을 끼치는 새로운 매커니즘이 관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발견은 GluR6이 카이닌산(kainate) 수용체의 필수적인 소단위체라는 것과 SGK1를 통한 GluR6의 조절이 카이닌산 수용체 트래피킹, 시냅스 가소성 및 뉴런의 흥분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이다.
즉, SGK1의 조절에 의한 글루탐산 수용체 소단위체 GluR6 활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해마와 같은 학습 및 기억에 관여되는 뇌 영역 뿐만 아니라, 대뇌핵 및 소뇌와 같은 행동의 운동 근육 및 동기부여 측면에서 풍부하게 발현되는 KAR을 타겟으로 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SGK1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적은 범위의 SGK2는 실험쥐 GluR1을 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 Xenopus oocyte)의 세포 막 내의 AMPA 소단위체 GluR1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킴함으로써 글루탐산-유도된 전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SGK1의 조절은 특히 SGK1 유전자의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에 의해 정의되는 임상적으로 적절한 표현형 또는 유전형에 적용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그러므로,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서 유래된 샘플 내 다형 SGK1 SNP 변이의 분석은 다른 적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GK1의 발현을 측정함으로써 질병의 진전, 퇴보 또는 발병을 결정하는 방법을 전달한다. 또한, 질병이 있는 개체에서 얻은 샘플은 선택된 SGK1 SNP 변이의 분석 및 질병에 대한 체질(predisposition)과의 관계 분석을 허용한다.
다른 관점은 SGK1, SGK2 및 SGK3과 관련된 질병을 조절하는 새로운 약제 후보를 확인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용한 조절제는 SGK1 기능을 방해하여 글루탐산 수용체 활성의 하향-조절을 일으키는 화합물이다.
SGK1의 저해제는 특히 간질, 발작, 외상후성 행동 장애, 불안,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우울증, 간성뇌증, 신생아 해모라이티쿠스 병(morbus hamolyticus neonatorum), 중독, 알코올중독, HIV-뇌증, 신경퇴행성 장애, 추체외로의 운동 장애(extrapyramidal motor disturbance), 실조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시력감퇴 및 난청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질병의 증상을 앓는 환자를 치료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약제 스크리닝 방법은 치료적 화합물로 이어지는 SGK1, SGK2 또는 SGK3로 귀착되었다.
두 가지 다른 그룹의 화합물, 하나는 아실하이드라존 유도체에 속하고, 다른 하나는 피리도피리미딘 유도체가 밝혀졌다.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매개체, 첨가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내의 선택된 SGK1 저해 화합물은 앞서 언급된 질병의 치료에 유용하다. 원하는 치료 프로파일로 새로운 약제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스크리닝 방법은 본 출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본 발명에서 중요하다. 또한, SGK1, SGK2, SGK3 조절 화합물의 스크리닝을 위한 한 단계 시도 또는 두 단계 시도가 적용하기에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이러한 스크리닝의 첫번째 단계는 SGK 키나아제 활성을 방해하는 화합물의 확인을 포함한다. 다양한 분석 체제가 가능하고, 바람직한 분석은 γATP를 함께 이용하는 기질로서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SGK 촉매된 방사성 인산화의 측정을 사용한다. SGK 저해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방사성 신호는 검출되지 않거나 감소된 방사성 신호가 검출된다. 두번째 판독 단계에서, SGK1 저해 화합물은 글루탐산 수용체 활성을 회복시키는 그들의 잠재력을 알아보기 위해 모니터되지만, 다른 판독 활동 또한 유용할 수 있다.
글루탐산 수용체는 결국 시냅스후 뉴런의 가소성으로 이어지는 시냅스후 뉴런 내 다수의 생화학적 경로를 활성화시키며, 즉 본 발명의 중요한 측면은 글루탐산 수용체가 조절되는 방법을 시사하는 것이다.
GluR1 조절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SGK 동형과 함께 합동발현되는 것이 요구된다. 테스트를 위하여, SGK1, SGK2 또는 SGK3가 제노프스 난모세포( Xenopus oocyte)에서 AMPA 수용체 소단위체 GluR1과 함께 발현되었다. 비-탈감작성 GluR1 돌연변이인 GluR1(L479Y)(Y. Stern-Bach, S. Russo, M Neumann, C. Rosenmund, Neuron 21, 907, 1998)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GluR1의 단백질 막 양은 GluR1만을 발현하는 난모포 내의 GluR1 단백질 양과 비교할 때, SGK3와 함께 GluR1을 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에서 현저히 증가된다. GluR1 단백질 양은 다음의 SGK2의 합동발현에서 더 높은 경향이 있는 반면, SGK1의 합동발현은 효과가 없었다. 단백질 양은 글루탐산-유도된 전류 상의 유사한 효과와 비슷했다(도 2). 글루탐산-유도된 전류는 GluR1만을 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보다 SGK3와 함께 GluR1을 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에서 현저하게 더 컸다. SGK2를 합동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 내 글루탐산-유도된 전류는 SGK3-발현하는 난모세포에서보다 현저히 작았으나, Glu1R만을 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 내의 전류보다는 현저히 더 컸다. SGK1의 합동발현은 GluR1-매개된 전류를 현저히 변형하지는 않았다.
본 실험은 AMPA 수용체의 GluR1 소단위체의 조절 내 신규한 매커니즘을 밝혔다. 뉴런 표면으로의 GluR1의 전달은 NMDA 수용체의 활성에 의해 조절되며, PI3-키키나아제의 연속적인 활성과 함께(M.S. Perkinton, J.K. lp, G.L. Wood, A.J. Crossthwaite, R.J. Williams, J. Neurochcm. 80, 239, 2002), Ca2 +가 유입된다(M. Sheng, M.J. Kim, Science 298, 776, 2002). PI3-키나아제의 활성은 신호연쇄반응을 일으켜 결국 SGK3의 활성으로 이어지며, 그후 세포막의 GluR1의 단백질 양을 증가시킨다. SGK3은 막 내의 안정된 GluR1으로 이어져 이의 복구 및 연속적인 분해를 예방하고, 및/또는 세포 막으로의 단백질의 트래피킹을 강화한다. 그러므로, 본 실험은 처음으로 SGK2 및 SGK3가 실질적으로 GluR1 양의 미세 조절에 기여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본 결과에 따르면, SGK3는 GluR1-의존 뉴런의 기능에 참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GluR1은 헤테로디메릭 GluR1-GluR2 수용체 내의 GluR2 보다 우성이며(Y. Hayashi, et al., Science 287, 2262, 2000; S. Shi, Y. Hayashi, J.A. Esteban, R. Malinow, Cell 105, 331, 2001), 해마의 CA1 장기 강화에 요구되고(D. Zamanillo, et al., Science 284, 1805, 1999), 공간기억의 발생에 참여한다(H.K. Lee, et al., Cell 112, 631, 2003; D. Reisel, et al., Nat. Neurosci. 5, 868, 2002).
SGK 동형에 의한 GluR3의 조절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AMPA 수용체 소단위체 GluR3가 제노프스 난모세포에서 SGK1, SGK2 또는 SGK3의 합동발현과 함께 또는 합동발현없이 발현되었다. 글루탐산-유도된 전류는 GluR3만을 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보다 SGK2와 함께 GluR3을 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에서 현저히 더 작은 반면(도 5), 관련된 단백질 키나아제 B(PKB)와의 합동발현은 현저한 효과가 없었다. SGK1 및 SGK3는 전류 증폭을 유사하게 감소시켰으나 SGK2보다 덜 효과적이었다.
SGK 활성의 공지된 조절제인 덱사메타손을 8일 또는 20일 동안 투여하면, GluR6 다중클로날 항체로 염색된 뇌 슬라이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쥐 해마 CA3 뉴런 내의 GluR6 단백질 양이 현저히 증가했다(도 6). 시냅스 사이트용 마커인 MAP2 항체로 염색된 해마 CA3 뉴런은 시냅스에 염색된 증가된 GluR6를 확인했다.
그러므로, GluR6 양은 해마의 CA3 뉴런 내 시냅스 사이트에서 덱사메타손에 의해 증가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그러나, 그것은 GluR6의 시냅스전 또는 시냅스후 발현을 구분할 수는 없다. 특이적으로 성상세포를 염색하는 GFAP는 대조구 동물과 비교했을 때 덱사메타손 처리된 동물 내의 GluR6 양이 성상세포에서 증가하지 않는 것을 밝혔다(도 6). 이러한 결과는 SGK1이 성상세포에서 발현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 원위치 하이드리드화 연구에 기초한 예견과 일치한다(Waerntges et al.).
SGK1과 GluR6 간의 기능적인 연결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실험쥐 KA 수용체 소단위체 GluR6는 제노프스 난모세포에서 SGK1, SGK2 또는 SGK3의 합동발현과 함께 또는 합동발현없이 발현되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GluR6의 단백질 양은 GluR6만을 발현하는 난모세포의 GluR6 단백질 양과 비교할 때, SGK1과 함께 GluR6를 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에서 현저히 증가된다. GluR6 단백질 양에 대한 작지만 여전히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다음의 SGK2 또는 SGK3의 합동발현에서 관찰된 반면, 관련된 단백질 키나아제 B(PKB)와의 합동발현은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단백질 양과 비슷하게, 글루탐산-유도된 전류는 도 3에 나타낸 GluR6만을 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보다 SGK1과 함께 GluR6를 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에서 현저히 더 컸다. 다시, SGK2 및 SGK3는 전류를 유사하게 자극하지만, SGK1보다 현저히 덜 효과적이었다.
본 실험은 KA 수용체의 GluR6 소단위체의 조절에 있어서의 새로운 매커니즘을 나타낸다. GluR6 소단위체와 조립된 카이닌산 수용체는 카이닌산 및 도몬산(domoate)에 대한 CA3 및 CA1 추체의 뉴런의 감도에 중요하다(Bureau et al. 653-63). GluR6는 SGK1 인식 사이트인 RXRXXS/T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GluR6는 SGK1용 직접 타겟 단백질 같지는 않다. 그러나, SGK1이 이러한 공지된 아미노산 시퀀스보다 다른 사이트를 인식한다는 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 막 단백질인 스타가진(stargazin)은 세포 표면에 AMPA 수용체를 안내하는 경우 및 그들을 시냅스후 사이트로 특이적으로 보내는 경우 중요한 것으로 보여졌다. 스타가진은 SGK1 인식 사이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KAR는 스타카진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다는 것이 최근 공개되었다(Chen 2003). 그러므로, SGK1이 난모세포에서 합동주입을 통해 확인한(자료는 도시되지 않음) 스타가진을 통해 GluR6를 조절하는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는다.
새롭게 확인된 키나아제를 포함하는 진보적인 조절 매커니즘은 GluR6의 강력한 조절제이다. SGK1은 원형질막 내의 GluR6의 양을 증가시키고 GluR6 매개 글루탐산-유도된 전류를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SGK1은 카이닌산 수용체 트래피킹, 시냅스 가소성 및 뉴런의 흥분의 조절에 참여한다.
도 1: SGK 를 합동발현하는 제노프스 난모세포의 세포막 내의 GluR1 소단위체 단백질 양의 증가
(A) 대표적인 웨스턴 블롯. GluR1의 검출을 위하여, 1차 토끼 면역 친화도-정제된 항-GluR1 항체(1 ㎍/㎕, Upstate)가 사용되었다. β-튜불린의 검출을 위하여, 1차 실험쥐 모노클로날 항-β-튜불린 항체(1:250, Santa Cruz)가 사용되었다. GluR1 단백질은 ~105 kDa의 명백한 분자량을 가진다. (B) GluR1 원형질 막 단백질의 상대량을 보여주는 바 그래프. 밴드의 세기는 Scion imag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산술 분석에 의해 정량되었다. 다른 군들의 세가지 다른 블롯의 값은 통계적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유의한 변화(p<0.05)는 I로 나타낸다.
도 2: SGK1 PKB 가 아닌 SGK2 SGK3 동형에 의한 GluR1 전류 증가
(A) ND96 Ringer 용액 내 300 μM 글루탐산과의 과융해반응에 의해 측정된 제노프스 난모세포 내 대표적 전류 흔적. 난모세포는 GluR1 cRNA(4ng/난모세포) 또는 SGK cRNA(6 ng/난모세포)와 함께 주입되었다. (B) GluR1+DEPC-H2O 전류로 표준화된 GluR1(L479Y)+DEPC-H2O, GluR1(L479Y)+SGK1, GluR1(L479Y)+SGK2, GluR1(L479Y)+SGK3 및 GluR1(L479Y)+PKB를 발현하는 난모세포 내 대표적 GluR1 전 류 증폭. 수평 눈금바는 5초를 나타내고 수직 눈금바는 1 ㎂를 나타낸다. 난모세포의 번호가 괄호 안에 보여지고 유의한 변화(p<0.001)는 ***로 나타낸다.
도 3: PBK 가 아닌 SGK 동형에 의한 GluR6 전류 증가
(a) 300 μM 글루탐산과의 과융해반응에 의해 측정된 제노프스 난모세포 내 대표적 전류 흔적. 모든 전류는 탈감작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난모세포를 ConA로 전처리한 후에 70 mV에서 측정되었다. (b) GluR+DEPC-H2O (n=20), GluR6+SGK1(n=12), GluR6+SGK2(n=10), GluR6+SGK3(n=9) 및 GluR6+SGK1(n=7)을 발현하는 난모세포 내 GluR6 전류 증폭이 측정되었고 GluR6+DEPC-H2O전류로 표준화되어 보여진다. 유의한 수준 p=0.001(***), p=0.01(**) 및 p=0.05(*) 상의 유의한 변화가 나타난다.
도 4: GluR6 소단위체의 SGK -조절 단백질 발현을 설명하는 웨스턴 블롯 .
원형질 막 단백질이 비오티닐-ConA로 표지되고, 용매화된 후, 스트렙타비딘-침전(streptavidin-precipitation)되었다. 미주입된 난모세포의 대조구를 포함하는 샘플이 SDS 겔 상에 분리되었고, 웨스턴블롯팅하였고, GluR6 C-말단의 16 아미노산 절편(Upstate)에 대한 면역 친화도 정제된 항체로 탐침되었다. GluR6 단백질은 ~119 kDa(I)의 명백한 분자량을 가진다.
도 5: SGK2 의 합동발현에 의한 GluR3 매개 전류의 저해
(A) 300 μM 글루탐산과의 과융해반응에 의해 측정된 제노프스 난모세포 내 대표적 전류 흔적. 모든 전류는 탈감작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난모세포를 ConA로 전처리한 후 70 mV에서 측정되었다. (B) GluR3+DEPC-H2O(n=20), GluR3+SGK1(n=12), GluR3+SGK3(n=10), GluR3+SGK1(n=9), GluR3+SGK3(n=9) 및 GluR3+SGK1(n=7)을 발현하는 난모세포 내 GluR3 전류 증폭이 측정되었고 GluR3+DEPC-H2O전류로 표준화되어 보여진다. 유의한 수준 p=0.001(***), p=0.01(**) 및 p=0.05(*) 상의 유의한 변화가 나타난다.
도 6: 덱사메타손 처리된 실험쥐와 대조구 실험쥐의 해마 내 GluR6 의 발현
(A) 실험쥐의 해마, 신장 및 심장 내 GluR6의 발현.
덱사메타손을 8일 또는 20일동안 투여하면 GluR6 다중클로날 항체로 염색된 뇌 슬라이스에서 보는 바와 같이(B) 실험쥐 해마 CA3 뉴런 내 GluR6 단백질 양이 현저히 증가한다. 해마 CA3 뉴런을 시냅스 사이트용 마커인 MAP2 항체로 염색하자 시냅스에 GluR6 염색이 증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 제노프스 난모세포 내 전기생리학적 측정
Ⅴ-Ⅵ단계의 난모세포가 다른 곳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Seebohm, Sanguinetti, Pusch, 2003), 제노프스 래비스(Xenopus laevis)의 난소에서 외과적으로 제거되었다. 난모세포에 4 ng의 GluR1 또는 GluR3 또는 GluR6의 cRNA, 또는 6 ng의 SGK1 또는 SGK2 또는 SGK3 또는 PKB의 cRNA와 함께 Nanoliter 2000 주입기(WPI inc., Florida, USA)를 사용하여 주입하였다. 표준 두-전극 전압 클램프 기록은 cRNA 주입 5일 내지 8일 후에 TurboTec 03 증폭기(npi, Tamm, Germany) 및 Axon Instruments의 DIGIDATA 1322A 인터페이스로 수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pClamp 9.0/clampfit 9.0 소프트웨어(Axon inc.) 및 Origin 6.0 소프트웨어(Microcal)로 하였다. 작용 용액은 ND-96 완충액(mM 단위로, NaCl, 96; CaCl2, 1.8; KCl, 2.0; MgCl2, 1.0 및 HEPES-NaOH, 5, NaOH로 pH 7.2)으로 준비하였다. 전류 및 전압 전극은 3 M KCl로 채워졌고 0.5 내지 1.5 MΩ의 저항을 가졌다. 난모세포는 -70 mV로 유지되었고 작용제(300 μM 글루탐산)는 10 내지 14 ㎖/분의 흐름 속도에서 ~10초동안 과용해에 의해 적용되었다. 작용제 적용에 앞서, 난모세포는 탈감작작용을 막기 위해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에 8분 동안 배양되었다.
실시예2 : 비오틴화 ConA 를 사용한 세포 표면 단백질의 표지
원형질막에 삽입된 수용체 단백질의 분획을 확인하기 위하여, 표면 단백질이 비오틴화 ConA로 태깅(tagging)되고, 비오틴-ConA/단백질 복합체의 스트렙타비딘/세파로스-매개 침전에 의해 분리되었다. 간단히 말해, 완전한 난모세포는 10 μM 비오틴-ConA(Sigma, Munchen, Germany)에서 30분동안 상온에서 배양되었다. 표준 frog Ringer에서 10분-세척을 5회 한 후, 완전한 난모세포는 H-완충액(20 ㎕/난모세포; 100 mM NaCl; 20 mM Tris-HCl, pH 7.4, 1% Triton X-100, 1mM 페닐메틸술포닐 플로라이드와 프로테나아제 저해제(Complete™ tablets, Boehringer)) 내에서의 Teflon 막자로 균질화되었고, 회전기에서 1시간동안 4℃로 유지되었다. 16000 x g에서 60초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은 20 ㎕ 세척된 스트렙타비딘-세파로스 비드(Sigma, Munchen, Germany)로 보충되었고 회전기에서 3시간동안 4℃로 배양되었다. 스트렙타비딘-세파로스 비드는 그 후 1600 x g에서 120초 스핀에 의해 펠렛화되었고, H-완충액으로 3회 세척되었다. 마지막 펠렛은 40 ㎕ 나트륨 도데실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SDS-PAGE) 로딩 완충액(0.8 M β-메르캅토에탄올, 6% SDS, 20% 글리세롤, 25 mM Tris-HCl, pH 6.8, 0.1% 브롬페놀 블루)로 끓이고 Elisa 키트(Mercodia, Uppsala, Swede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3: 겔 전기영동 및 웨스턴 블롯
균질화된 난모세포의 단백질은 SDS 전기영동으로 분리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필터에 전달되었다. 블롯은 5% 우유 분말을 포함하는 1x PBS에 상온에서 1시간 이상 차단되었다. GluR1, GluR3 또는 GluR6의 검출을 위하여, 1차 토끼 면역친화도 정제된 GluR1, GluR3 또는 GluR6 항체(1 ㎍/㎕, Upstate) 및 2차 호오스래디 쉬(horseradish) 퍼옥시다아제-결합된 당나귀 항-토끼 항체(1:1000 희석, Amersham Bioscience)가 사용되었다. 단백질 레브(leve)의 증명을 위하여, Ponceau red 염색이 수행되었다.
실시예 4: SGK1 조절 화합물
4.1.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유용한 유도체, 염, 용액 및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
[일반식 I]
Figure 112006065383926-PCT00001
상기 식에서,
R1, R5는 H, OH, OA, OAc 또는 메틸이고,
R2, R3, R4, R6, R7, R8, R9, R10은 H, OH, OA, OAc, OCF3, Hal, NO2, CF3, A, CN, OSO2CH3, SO2CH3, NH2 또는 COOH이고,
R11은 H 또는 CH3이고,
A는 1, 2, 3 또는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고,
X는 CH2, CH2CH2, OCH2 또는 -CH(OH)-이고,
Hal은 F, Cl, Br 또는 I이다.
하기의 그룹의 화학식에서 선택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3-하이드록시-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하이드록시-페닐)-애시딕 애시드-[1-(4-하이드록시-2-메톡시-페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톡시-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페닐애시딕 애시드-(3-플루오르-4-하이드록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4-하이드록시-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4-디클로르-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m-톨릴-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o-톨릴-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2-클로르-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클로르-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4-플루오르-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2-클로르-4-플루오르-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플루오르-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톡시-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톡시-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톡시-페닐)-애시딕 애시드-(3-플루오르-4-하이드록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톡시-페닐)-애시딕 애시드-[1-(4-하이드록시-2-메톡시-페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틸술포닐옥시-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5-디하이드록시-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플루오르-페닐)-애시딕 애시드-(3-플루오르-4-하이드록시-벤질리덴)-하이 드라지드,
(3-메톡시-페닐)-애시딕 애시드-(4-아세톡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3-메톡시-페닐)-프로피오닉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톡시-페닐)-애시딕 애시드-(2,4-디하이드록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톡시-페녹시)-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니트로-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톡시-페닐)-애시딕 애시드-(5-클로르-2-하이드록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톡시-페닐)-애시딕 애시드-(2-하이드록시-5-니트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2-하이드록시-2-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톡시-페닐)-애시딕 애시드-(2-에톡시-4-하이드록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브롬-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메톡시-페닐)-애시딕 애시드-[1-(4-하이드록시-페닐)-에틸리덴]-하이드라지드,
(3,5-디플루오르-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톡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하이드록시-페닐)-애시딕 애시드-(4-하이드록시-2-메틸-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하이드록시-페닐)-애시딕 애시드-(2-에톡시-4-하이드록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3-하이드록시-페닐)-애시딕 애시드-(2-메톡시-4-하이드록시-6-메틸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2-플루오르-페닐)-애시딕 애시드-(2-메톡시-4-하이드록시-벤질리덴)-하이드라지드,
4.2 일반식 Ⅱ의 화합물,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유용한 유도체, 염, 용액 및 입체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
[일반식 Ⅱ]
Figure 112006065383926-PCT00002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는 H, A, OH, OA, 알케닐, 알키닐, NO2, NH2, NHA, NA2, Hal, CN, COOH, COOA, -OHet, -O-알킬렌-Het, -O-알킬렌-NR8R9 또는 CONR8R9이고, R1, R2, R3, R4, R5에서 선택된 두 그룹은 또한 -O-CH2-CH2-, -O-CH2-O- 또는 -O-CH2-CH2-O-이고,
R6, R7은 H, A, Hal, OH, OA 또는 CN이고,
R8, R9은 H 또는 A이고,
Het는 하나 이상의 Hal, A, OA, COOA, CN 또는 카르보닐옥시젠(=O)으로 치환된, 1 내지 4개의 N-, O- 및/또는 S-원자를 가진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이고,
A는 1 내지 7개의 H-원자가 F 및/또는 염소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1 내지 10개의 C-원자를 가진 알킬이고,
X, X'는 NH 또는 부재하고,
Hal은 F, Cl, Br 또는 I이다.
하기의 화합물 그룹에서 선택된 화학식 Ⅱ에 따른 화합물: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플루오르-5-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4-클로르-5-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4-디플루오르-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6-디플루오르-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3-플루오르-5-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4-플루오르-5-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4-메틸-5-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3,4,5,6-펜타플루오르-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4-디브롬-6-플루오르-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플루오르-6-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플루오르-5-메틸-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3,4-트리플루오르-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4-브롬-2,6-디플루오르-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플루오르-3-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1-3차-부틸옥시카르보닐-피페리딘-4-일)-페닐]-유레아,
N-[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2,4-디클로르-벤즈아미드,
N-[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4-클로르-5-트리플루오르메틸-벤즈아미드,
N-[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2-플루오르-5-트리플루오르메틸-벤즈아미드,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3-클로르-5-트리플루오르메틸-2-(피페리딘-4-일옥시)-페닐]-우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플루오르-5-(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5-플루오르-2-(피페리딘-4-일옥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4-클로르-5-트리플루오르메틸-2-(피페리딘-4-일옥시)-페닐]-우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피페리딘-4-일옥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플루오르-5-(2-디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플루오르-5-[2-(피페리딘-1-일)-에톡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4-플루오르-2-(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4-플루오르-2-(2-디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3-클로르-4-[2-(모르폴린-4-일)-에톡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4-플루오르-2-[2-(모르폴린-4-일)-에톡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3-클로르-4-(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3-클로르-4-(2-디에틸아미노-에톡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4-클로르-2-(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유레아,
1-[4-(4-아미노-5-옥소-5H-피리도[2,3-d]피리미딘-8-일)-페닐]-3-[2-클로르-5-(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닐]-유레아.
실시예 5: SGK1 뉴클레오티드 다형성(polymorphism)
임의의 고혈압 환자의 인트론 6을 정의하는 뉴클레오티드 시퀀스(sequence)는 ..aattacattCgcaacccag..인 반면, 건강한 사람들을 나타내는 뉴클레오티드 시퀀스는..aattacattTgcaacccag..이다. 두 시퀀스는 접근 번호 GI 2463200 Position 2071을 통해 이용가능하다. 임의의 고혈압 환자의 엑손 8 시퀀스는 동형의 ..tactgaCttcggact..또는 ..tactgaTttcggact..또는 이형의 ..tactgaCttcggact..및 tactgaTttcggact..이다. 시퀀스는 접근 번호 NM_005627.2, 위치 777을 통해 이용가능하다. TT 뉴클레오티드 조합을 가진 동형의 개체는 심지어 동시에 CC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이 인트론 6에 나타나더라도 보호된다.
실시예 6: 덱사메타손 처리된 실험쥐 및 대조구 실험쥐의 해마 내 GluR6의 발현
Sv129J 실험쥐의 연령 및 성별 짝지워진 자손은 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2 내지 3 개월의 성체 실험쥐는 플라시보 또는 덱사메타손 펠렛(모두 Innovative Research of America, Sarasota, USA로부터 얻음)의 피하 이식 전에 케타민(Ketamin)(100 mg/kg BW, Sigma) 및 크실라진(xylazine)(4 mg/kg BW, Sigma)로 마취시켰다. 덱사메타손 펠렛은 하루당 238 ㎍ 덱사메타손의 연속적이고 선형의 방출을 가졌고, 8일 또는 20일동안 사용되었다. 뇌를 얻기 위하여, 상기 언급된 혼합물로 마취시킨 실험쥐는, 흉강으로 최종적으로 출혈되었고, 뇌가 그 후 두개골로부터 꺼내지고 즉시 액체 질소로 냉동된 얼음 상에 올려졌다.
Figure 112006065383926-PCT00003
Figure 112006065383926-PCT00004
Figure 112006065383926-PCT00005
Figure 112006065383926-PCT00006
Figure 112006065383926-PCT00007
Figure 112006065383926-PCT00008
SGK1의 조절은 특히 SGK1 유전자의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에 의해 정의되는 임상적으로 적절한 표현형 또는 유전형에 적용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그러므로,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서 유래된 샘플 내 다형 SGK1 SNP 변이의 분석은 다른 적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GK1의 발현을 측정함으로써 질병의 진전, 퇴보 또는 발병을 결정하는 방법을 전달한다. 또한, 질병이 있는 개체에서 얻은 샘플은 선택된 SGK1 SNP 변이의 분석 및 질병에 대한 체질(predisposition)과의 관계 분석을 허용한다.
다른 관점은 SGK1, SGK2 및 SGK3과 관련된 질병을 조절하는 새로운 약제 후보를 확인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용한 조절제는 SGK1 기능을 방해하여 글루탐산 수용체 활성의 하향-조절을 일으키는 화합물이다.
SGK1의 저해제는 특히 간질, 발작, 외상후성 행동 장애, 불안,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우울증, 간성뇌증, 신생아 해모라이티쿠스 병, 중독, 알코올중독, HIV-뇌증, 신경퇴행성 장애, 추체외로의 운동 장애, 실조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시력감퇴 및 난청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질병의 증상을 앓는 환자를 치료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Claims (7)

  1. SGK1, SGK2 또는 SGK3를 발현하는 세포를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를 조절하는 물질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글루탐산 수용체 활성을 변화시키는 방법.
  2. 글루탐산 수용체 상향- 또는 하향-조절에 관계된 질병의 치료용 약제 제조를 위한 제1항에 따른 방법의 용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간질, 발작, 외상후성 행동 장애, 불안,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우울증, 간성뇌증, 신생아 해모라이티쿠스 병(morbus hamolyticus neonatorum), 중독, 알코올중독, HIV-뇌증, 신경퇴행성 장애, 추체외로의 운동 장애(extrapyramidal motor disturbance), 실조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시력감퇴, 난청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조직 샘플 및 표본 내 SGK1, SGK2 또는 SGK3의 상향-조절된 발현을 측정함으로써 신경정신학적 질병의 진전, 퇴보 또는 발병을 결정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GK1는 선택된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성 변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이 간질, 불안, 정신분열증, 양극성 장애, 정신 우울증, 중독, 알코올중독, 신경퇴행, 추체외로의 운동 장애, 신경퇴행성 장애, 실조증, 알츠하이머병, 시력감퇴, 난청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의 진단용 방법.
  7. 조절악화된 글루탐산 수용체에 의해 발생되는 장애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일반식 I 또는 Ⅱ를 갖는 상기 작성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SGK1 저해제의 용도.
KR1020067018526A 2004-03-11 2005-02-08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의조절제의 용도를 포함하는 신경정신학적 장애를 치료하기위한 글루탐산 수용체의 조절 방법 KR200700151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05761.4 2004-03-11
EP04005761 2004-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148A true KR20070015148A (ko) 2007-02-01

Family

ID=3496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526A KR20070015148A (ko) 2004-03-11 2005-02-08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의조절제의 용도를 포함하는 신경정신학적 장애를 치료하기위한 글루탐산 수용체의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70191326A1 (ko)
EP (1) EP1732563A1 (ko)
JP (1) JP2007529423A (ko)
KR (1) KR20070015148A (ko)
CN (1) CN1929846A (ko)
AU (1) AU2005229496A1 (ko)
BR (1) BRPI0508574A (ko)
CA (1) CA2559136A1 (ko)
MX (1) MXPA06010268A (ko)
RU (1) RU2006135654A (ko)
WO (1) WO2005094829A1 (ko)
ZA (1) ZA20060844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743A (ko) * 2019-03-21 2020-10-0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Sgk3 유전자를 이용한 뇌신경계 질환의 진단 및 치료
WO2021006707A1 (ko) * 2019-07-10 2021-01-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증성 신경 질환의 치료제로서 sgk1 저해제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79747A1 (en) * 2006-01-31 2008-10-15 Merck Patent GmbH Methods for interfering with glucocorticoid induced gastric acid secretion
WO2007100888A2 (en) 2006-03-02 2007-09-07 Siga Technologies, Inc. Antiviral drugs for treatment of arenavirus infection
WO2007127479A2 (en) * 2006-04-28 2007-11-08 Redpoint Bio Corporation Triaryl substituted imidazole derivatives and taste-inhibiting uses thereof
CA2733378C (en) 2008-08-05 2017-04-25 Omeros Corporation Pde10 inhibitor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130017188A1 (en) 2009-07-31 2013-01-17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Modulation of sgk1 expression in th17 cells to modulate th17-mediated immune responses
RU2580654C1 (ru) * 2015-04-16 2016-04-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Н.И. Пирог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БОУ ВПО РНИМУ им. Н.И. Пирогова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эпилепсий с продолженной спайк-волновой активностью во сне
WO2018156401A1 (en) * 2017-02-24 2018-08-30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s of inhibiting serum glucocorticoid induced kinase 1 (sgk1) as a treatment for salt and water balance diseases
KR102645546B1 (ko) * 2021-06-10 2024-03-08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성뇌증에 의해 유발되는 신경학적 또는 정신학적 장애 관련 질환 진단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간성뇌증에 의해 유발되는 신경학적 또는 정신학적 장애 관련 질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8173A1 (de) * 1997-02-28 1998-09-03 Dade Behring Marburg Gmbh Zellvolumenregulierte humane Kinase h-sgk
EP0889127A1 (en) * 1997-07-01 1999-01-07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H-SGK2)
JPH11106371A (ja) * 1997-07-04 1999-04-20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アシルヒドラゾン誘導体
DE69937159T2 (de) * 1998-12-14 2008-06-26 University Of Dundee, Dundee Verfahren zur Aktivierung von SGK durch Phosphorylierung.
DE19917990A1 (de) * 1999-04-20 2000-11-02 Florian Lang Arzneimittel enthaltend Hemmstoffe der zellvolumenregulierten humanen Kinase h-sgk
US20050064501A1 (en) * 1999-04-20 2005-03-24 Prof. Dr. Med. F. Lang Medicaments comprising inhibitors of the cell volume-regulated human kinase h-sgk
DE10042137A1 (de) * 2000-08-28 2002-03-14 Florian Lang sgk2 und sgk3 als diagnostische und therapeutische Targets
DE10305212A1 (de) * 2003-02-07 2004-08-19 Florian Prof. Dr.med. Lang Verwendung der sgk-Genfamilie zur Diagnose und zur Therapie von Katarakt und Glaukom
DE10346913A1 (de) * 2003-10-09 2005-05-04 Merck Patent Gmbh Acylhydrazonderivate
DE10352979A1 (de) * 2003-11-13 2005-06-09 Merck Patent Gmbh Pyridopyrimidin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743A (ko) * 2019-03-21 2020-10-0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Sgk3 유전자를 이용한 뇌신경계 질환의 진단 및 치료
WO2021006707A1 (ko) * 2019-07-10 2021-01-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증성 신경 질환의 치료제로서 sgk1 저해제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6010268A (es) 2007-04-23
US20070191326A1 (en) 2007-08-16
CN1929846A (zh) 2007-03-14
JP2007529423A (ja) 2007-10-25
WO2005094829A1 (en) 2005-10-13
CA2559136A1 (en) 2005-10-13
RU2006135654A (ru) 2008-09-10
ZA200608447B (en) 2008-07-30
EP1732563A1 (en) 2006-12-20
AU2005229496A1 (en) 2005-10-13
BRPI0508574A (pt) 200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5148A (ko) 혈청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가능한 키나아제의조절제의 용도를 포함하는 신경정신학적 장애를 치료하기위한 글루탐산 수용체의 조절 방법
Miller et al. Heat shock proteins regulatory role in neurodevelopment
Ryskamp et al. The sigma-1 receptor mediates the beneficial effects of pridopidine in a mouse model of Huntington disease
Rannals et al. Psychiatric risk gene transcription factor 4 regulates intrinsic excitability of prefrontal neurons via repression of SCN10a and KCNQ1
Schnizler et al. Protein kinase A anchoring via AKAP150 is essential for TRPV1 modulation by forskolin and prostaglandin E2 in mouse sensory neurons
Wyneken et al. Kainate-induced seizures alter protein composition and N-methyl-D-aspartate receptor function of rat forebrain postsynaptic densities
Guo et al. IGFBPL1 regulates axon growth through IGF-1-mediated signaling cascades
Stanic et al. Rabphilin 3A: A novel target for the treatment of levodopa-induced dyskinesias
Chacon et al. Inhibition of RhoA GTPase and the subsequent activation of PTP1B protects cultured hippocampal neurons against amyloid β toxicity
Simon et al. Chronic pharmacological increase of neuronal activity improves sensory-motor dysfunction in spinal muscular atrophy mice
Liu et al. NGF-Induced Nav1. 7 upregulation contributes to chronic post-surgical pain by activating SGK1-dependent Nedd4-2 phosphorylation
Gobetto et al.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modulate acid sensing ion channels (ASICs) dependent long-term potentiation at the mouse anterior cingulate cortex
Mata et al. Calcium pump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hoi et al. NGL-1/LRRC4C deletion moderately suppresses hippocampal excitatory synapse development and function in an input-independent manner
Peng et al. Receptor and ionic mechanism of histamine on mouse dorsolateral striatal neurons
Savvaki et al. Neuronal, but not glial, Contactin 2 negatively regulates axon regeneration in the injured adult optic nerve
Mango et al. Role of ASIC1a in normal and pathological synaptic plasticity
Cazurro-Gutiérrez et al. ε-Sarcoglycan: unraveling the myoclonus-dystonia gene
Salceda Glycine neurotransmission: Its role in development
Zhang et al. Adiponectin receptor 1-mediated stimulation of Cav3. 2 channels in trigeminal ganglion neurons induces nociceptive behaviors in mice
Lu et al. Cholinergic Grb2-associated-binding protein 1 regulates cognitive function
Bowery et al. Aspects of the molecular pharmacology of GABAB receptors
Witts et al. The locus coeruleus directs sensory-motor reflex amplitude across environmental contexts
Sidoli et al. Calcineurin activity is increased in Charcot-Marie-Tooth 1B demyelinating neuropathy
Li et al. Neuregulin-1β regulates the migration of different neurochemical phenotypic neurons from organotypically cultured dorsal root ganglion ex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