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420A - 디알릴아민을 포함하는 중합체 - Google Patents

디알릴아민을 포함하는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420A
KR20070011420A KR1020067022660A KR20067022660A KR20070011420A KR 20070011420 A KR20070011420 A KR 20070011420A KR 1020067022660 A KR1020067022660 A KR 1020067022660A KR 20067022660 A KR20067022660 A KR 20067022660A KR 20070011420 A KR20070011420 A KR 20070011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onomer
acid
alkyl
poly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산더 크리스슈토펠스
슈테판 베커
루드비히 푈켈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7001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4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 C08F226/04Dially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10N-Vinyl-pyrrolid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12N-Vinylcarb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4Preparation of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4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tan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smetic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알킬렌 옥시드-치환된 디알릴아민,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적절한 경우, 1종 이상의 추가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적절한 경우, 가교결합제를 단량체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중합체, 및 그의 화장용 제제에의 첨가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알릴아민을 포함하는 중합체{Polymers Comprising Diallylamines}
본 발명은 단량체 구성 단위로서, (폴리)알킬렌 옥시드-치환된 디알릴아민,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적절한 경우, 1종 이상의 추가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고, 적절한 경우 가교결합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및 그의 화장용 제제에의 첨가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US 3,585,148는 에톡실화 4차 디알릴아민과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및 비-오일 연속상 중에서 분산되는 오일을 위한 분리제로서의 용도를 기재하고 있다.
EP 111 965 및 EP 112 592에는, 세제 중 폴리에폭실화된 디알릴아민의 용도가 청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디알릴아민으로부터의 에톡실화 디알릴아민의 합성, 및 단일 중합체의 제조도 개시하고 있다.
US 5,478,883는 디알릴아민과 에틸렌 옥시드 및 프로필렌 옥시드의 반응 생성물의, 에멀젼 중합 중 수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의 용도를 기재하고 있다.
모발용 화장제에 대하여, 필름 형성 중합체가 예를 들어 마르거나 젖은 상태에서의 빗질 용이성(combability), 촉감, 광택 및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또한 모발에 대전 방지성을 제공하기 위한 컨디셔너로서 사용된다.
표준 상업적 양이온성 컨디셔너 중합체는, 예를 들어, 양이온성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N-비닐피롤리돈를 기재로 하는 양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어, N-비닐피롤리돈과 4차 N-비닐이미다졸의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아미드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이다.
디알릴아민 유도체를 단량체 구성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는, 예를 들어,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의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화장용 제제, 특히 컨디셔너 중합체로서 사용되기에 경제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양이온성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헤어 케어를 위해 사용 시에, 이들 중합체는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지니는 필름을 형성하고, 모발에 양호한 마르거나 젖은 상태에서의 빗질 용이성, 엉킴 방지성, 강도 및 예컨대 촉감, 부피감 및 미용용이성(handlability)과 같은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양호한 특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중합체는 씻어내기 쉽고, 다른 제제 성분과 상용성이어서 투명한 수성 제제로서 제조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a) 중성 또는 4차화된 형태인 화학식 I의 디알릴아민 (단량체 A) 1종 이상
상기 식에서,
A-O는 C1-C12-알킬렌 옥시드, 스티렌 옥시드 또는 그의 임의의 혼합물이고,
n은 2 내지 200인 정수이고,
x는 0 또는 1이며,
R1은 수소, C1 -C20-알킬, C2 -C20-알케닐, C5 -C10-시클로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벤질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C1 -C30-알킬, C5-C8-시클로알킬, C6-C20-아릴, C1-C30-알카노일, C7-C21-아로일, 황산 (반)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아미노 또는 암모늄이고,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C1-C20-알킬, C2-C20-알케닐, C5-C10-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고,
b) i) N-비닐락탐,
ii) N-비닐아미드,
iii) N-비닐이미다졸, 및
iv) 단량체 A와 상이한 N,N-디알릴아민; 및 이들 단량체의 임의의 혼합물 또는 그의 염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단량체 B);
c) 적절한 경우,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C; 및
d) 적절한 경우, 1종 이상의 가교결합제
를 단량체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중합체가 화장용 제제에서 첨가제로서 유용한 특성을 지님을 발견하였다.
C1-C12-알킬렌 옥시드는, 예를 들어,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1-부틸렌 옥시드, 부틸렌 옥시드의 이성질체, 고급 알킬렌 옥시드, 예컨대 도데칸 옥시드, 스티렌 옥시드,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렌 옥시드는 에틸렌 옥시드, 또는 에틸렌 옥시드와 프로필렌 옥시드의 혼합물이다.
혼합물의 경우, 다양한 구조적 단위가 상이한 순서, 예컨대 블록으로, 교대로 또는 무작위로 배열될 수 있다.
n은 2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인 정수이다.
C1-C20- 또는 C1-C30-알킬 라디칼은 탄소원자수 20 또는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인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탄화수소 사슬,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t-부틸, n-펜틸, 네오펜틸, n-헥실, 2-에틸헥실, n-옥틸, 1-데실, 1-도데실 등,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i-프로필을 의미한다.
C5-C8-시클로알킬 라디칼은 탄소원자수 5 내지 8인 시클로지방족 라디칼,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또는 시클로옥틸을 의미하며, 이들은 임의로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1, 2, 3 또는 4개의 C1-C4-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C6-C20-아릴은 알킬렌 단위를 통해 결합할 수 있는, 탄소원자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고, 예를 들어 벤질, 페닐 또는 에틸-페닐이다.
C1-C30-알카노일은 카르보닐기를 통해 결합되는 알킬 라디칼이며, 특히 예를 들면,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및 n-부티릴일 수 있다.
C7-C21-아로일은 C7-C21-아릴카르보닐에 대응하며, 카르보닐기를 통해 결합되는 아릴 라디칼이다. 특히 예를 들어 벤조일 및 나프토일을 들 수 있다.
R1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C1-C6-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또는 벤질,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C1-C6-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또는 페닐,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
R2는 NR'R" (아미노) 또는 NR'R"R"'+ (암모늄) (여기서, R', R" 및 R"'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직쇄 또는 분지쇄 C1-C20-알킬 라디칼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C20-히드록시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에틸 또는 2-히드록시에틸일 수 있다.
R3는 2개의 N-알릴 라디칼의 치환체이며,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C1 -C20-알킬, C2-C20-알케닐, C5-C10-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R3는 수소이다.
사용되는 단량체 A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라디칼 R1으로서 수소 또는 메틸을 함유하고, 2 내지 100몰의 알킬렌 옥시드로 알콕실화된 디알릴아민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알킬렌 옥시드는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이고, 이들은 단량체 A에 단독으로, 무작위, 교대 또는 블록 합성 배열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알킬렌 옥시드는 에틸렌 옥시드이다.
특히, 화학식 I의 단량체 A는 x가 1이고 R1이 메틸인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에서 4차화된 형태로 존재한다.
N-비닐락탐 i)은 임의로는 1개 이상의 치환체, 예를 들어, C1-C6-알킬 치환체를 갖는다.
바람직한 N-비닐락탐은 N-비닐피롤리돈, N-비닐피페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5-메틸-2-피롤리돈, N-비닐-5-에틸-2-피롤리돈, N-비닐-6-메틸-2-피페리돈, N-비닐-6-에틸-2-피페리돈, N-비닐-7-메틸-2-카프로락탐, N-비닐-7-에틸-2-카프로락탐이다.
바람직한 N-비닐아미드 화합물 ii)는 카르복실산 단위에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질소 원자 상에 수소 또는 C1-C4-알킬, 특히 메틸 또는 에틸기를 가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N-메틸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N-메틸아세트아미드, N-비닐-N-에틸아세트아미드, N-비닐프로피온아미드, N-비닐-N-메틸프로피온아미드 및 N-비닐부티르아미드이다.
바람직한 N-비닐이미다졸 iii)은 하기 화학식 II의 N-비닐이미다졸이다.
상기 식에서, R4 내지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예를 들어, 메틸 또는 에틸과 같은 C1-C4-알킬, 또는 페닐이다. 비닐이미다졸은 4차화된 형태에서 염으로도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N,N-디알릴아민 iv)는 하기 화학식 III의 N,N-디알릴아민이다.
상기 식에서, R10은 수소 또는 C1-C24 알킬이다. 디알릴아민은 염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가 특히 바람직하다.
N-비닐이미다졸 iii) 및 N,N-디알릴아민 iv)의 바람직한 염은 클로라이드 및 술페이트이다.
본 발명은 특히, 단량체 B로서 N-비닐카프로락탐 또는 N-비닐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제공한다.
단량체 A 대 B의 몰비는 일반적으로 20: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50, 특히 1:1 내지 1:30이다.
단량체 A 및 B외에도, 중합체는 임의로는 단량체 C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단량체 C는 원칙적으로는 단량체 A 및 B와 상이한 모든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이다.
적합한 단량체 C는 바람직하게는, C1-C30-알카놀 및 C1-C30-알칸디올과 α,β-에틸렌계 불포화 모노- 및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를 가지는 C2-C30-아미노알콜과 α,β-에틸렌계 불포화 모노- 및 디카르복실산의 아미드, α,β-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1차 아미드와 그의 N-알킬 및 N,N-디알킬 유도체 유도체, C1-C30-모노카르복실산과 비닐 알콜 또는 알릴 알콜의 에스테르, 비닐 에테르, 비닐방향족 화합물, 비닐 할라이드, 비닐리덴 할라이드, C1-C8-모노-올레핀, 2개 이상의 컨쥬게이트된 이중 결합을 가지는 비방향족 탄화수소와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단량체 C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에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에타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에타크릴레이트, n-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미리스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팔미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나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라키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베헤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리그노세레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세로티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멜리시닐 (메트)아크릴레이트, 팔미톨레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레일 (메트)아크릴레이트, 리놀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리놀레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사용할 수 있는 단량체 C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말레산의 알킬 에스테르 또는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 또는 2 내지 50몰의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부틸렌 옥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알콕실화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말레산과 C1-C18-알콜의 에스테르이다.
적합한 단량체 C는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에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등이다.
(메트)아크릴아미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아미드이다. 적합한 단량체 C는 또한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ter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옥틸)(메트)아크릴아미드, N-(1,1,3,3-테트라메틸-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헥실(메트)아크릴아미드, N-(n-노닐)(메트)아크릴아미드, N-(n-데실)(메트)아크릴아미드, N-(n-운데실)(메트)아크릴아미드, N-트리데실(메트)아크릴-아미드, N-미리스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펜타데실(메트)아크릴아미드, N-팔미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헵타데실(메트)아크릴아미드, N-노나데실(메트)아크릴아미드, N-아라키닐(메트)아크릴아미드, N-베헤닐(메트)아크릴아미드, N-리그노세레닐(메트)아크릴아미드, N-세로티닐(메트)아크릴아미드, N-멜리시닐(메트)아크릴아미드, N-팔미톨레이닐(메트)아크릴아미드, N-올레일(메트)아크릴아미드, N-리놀릴(메트)아크릴아미드, N-리놀레닐(메트)아크릴아미드, N-스테아릴(메트)아크릴아미드, N-라우릴(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모르폴리닐(메트)아크릴아미드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단량체 C는 메타크릴아미드이다.
추가의 적합한 단량체 C는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단량체 C는 또한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2-부텐,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부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스티렌, ter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플루오라이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이다.
단량체 C는 개별적으로 사용되거나 임의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단량체 A를 1 내지 95 몰%, 단량체 B를 5 내지 99 몰% 및 단량체 C를 0 내지 50 몰% 포함한다.
알킬렌 옥시드는 예를 들어 다단계를 거쳐 디알릴아민을 알콕실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디알릴아민을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1 당량 이상의 알킬렌 옥시드와 반응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한 전구물질을 촉매 존재하에서 알킬렌 옥시드와 추가로 반응시키며, 이 때 알킬렌 옥시드의 중합에 적합하고 아민과 상용성있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모든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촉매를 문헌[F.E. Bailey, Jr, J.V. Koleske, Alkylene Oxides and their Polymers, NY and Basel 1991, p. 35 ff]에서 검토하였다. 염기성 촉매, 예컨대 NaOH, KOH, CsOH, K tert-부톡시드, NaOMe 또는 크라운 에테르와 염기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킬렌 옥시드와 디알릴아민의 부가 생성물은 추가로 관능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킬화제로 4차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OH기를 술페이트, 술포네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로 전환시킬 수 있다. 아민 질소를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 예컨대 락트산, 또는 무기산, 예컨대 인산, 황산 및 염산을 이용한 양성자화, 또는 예컨대 C1-C4-알킬 할라이드 또는 술페이트와 같은 알킬화제에 의한 4차화에 의해 대전된 양이온성 기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알킬화제의 예로는 에틸 클로라이드, 에틸 브로마이드, 메틸 클로라이드, 메틸 브로마이드, 디메틸 술페이트 및 디에틸 술페이트가 있다. 양성자화 또는 4차화는 일반적으로 중합 전 또는 후에 실시할 수 있다. 이로서,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 또는 베타인 구조가 생성된다.
중합체의 제조
본 발명은 또한 단량체 A 및 B, 및 임의로는 C, 및 임의로는 가교결합제가 유리 라디칼 중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중합체는 벌크 중합, 용액 중합, 및 용해도가 낮은 단량체의 경우에는 에멀젼, 분산 또는 현탁 중합과 같은 통상의 중합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 혼합물 중 중합체의 용해도가 충분히 낮으면, 침전 중합으로 중합을 실시할 수도 있다.
특정한 중합 방법의 경우, 산소를 배제한, 특히 비활성 가스류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질소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중합 방법에 대하여, 예를 들어 교반 탱크, 교반 탱크 캐스케이드, 오토클레이브, 관형 반응기 및 반죽기와 같은 통상의 장치를 사용한다. 용액 및 에멀젼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제조를 유리 라디칼 수성 에멀젼 중합으로 실시하는 경우, 계면활성제 또는 보호 콜로이드를 반응 매질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 및 보호 콜로이드의 예는, 문헌[Houben Weyl, 메토den der organischen Chemie [메토ds of organic chemistry], volume XIV/1 Makromolekulare Stoffe [Macromolecular substances],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61, p. 411 ff]에 제시되어 있다.
중합은 용매 또는 희석제, 예컨대 톨루엔 o-크실렌, p-크실렌, 큐멘, 클로로벤젠, 에틸벤젠, 알킬 방향족 화합물의 공업 등급 혼합물, 시클로헥산, 지방족 화합물의 공업 등급 혼합물,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글리콜 및 글리콜 유도체,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그의 유도체, 디에틸 에테르, tert-부틸 메틸 에테르, 메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물 또는 이소프로판올/물 혼합물과 같은 혼합물 중에서 실시할 수 있다. 사용되는 용매 또는 희석제는 바람직하게는 임의로는 60중량% 이하의 알콜 또는 글리콜을 함유하는 물이다. 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은 2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개시제
중합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라디칼을 형성하는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실시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중합에 사용되는 단량체를 기준으로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다성분 개시제 계 (예를 들어, 산화환원 개시제 계)의 경우, 상기 제시한 중량은 성분들의 합에 해당한다.
적합한 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퍼옥시드, 히드로퍼옥시드, 퍼옥소디술페이트, 퍼카르보네이트, 퍼옥시드 에스테르, 수소 퍼옥시드 및 아조 화합물이다. 수용성이거나 수불용성일 수 있는 개시제의 예로는 과산화수소, 벤조일 퍼옥시드, 디시클로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라우로일 퍼옥시드, 메틸에틸 케톤 퍼옥시드, 디-tert-부틸 히드로퍼옥시드, 아세틸아세톤 퍼옥시드, tert-부틸 히드로퍼옥시드, 큐멘 히드로퍼옥시드, tert-부틸 퍼네오데카노에이트, tert-아밀 퍼피발레이트, tert-부틸 퍼피발레이트,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리튬 퍼옥소디술페이트, 소듐 퍼옥소디술페이트, 포타슘 퍼옥소디술페이트, 암모늄 퍼옥소디술페이트,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히드로클로라이드이다.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 및 소듐 퍼옥소디술페이트의 혼합물과 같은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성 매질 중의 중합을 위하여, 수용성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려진 산화환원 개시제 계도 중합 개시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환원 개시제 계는 1종 이상의 퍼옥시드-함유 화합물을 산화환원 공개시제,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 화합물의 비술파이트, 술파이트, 티오술페이트, 디티오나이트 및 테트라티오네이트와 같이 환원 효과가 있는 황 화합물과 함께 포함한다. 예를 들어, 퍼옥소디술페이트와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히드로젠술파이트의 조합, 예컨대 암모늄 퍼옥소디술페이트와 암모늄 디술파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퍼옥시드-함유 화합물 대 산화환원 공개시제의 양은 30:1 내지 0.05:1일 수 있다.
개시제 또는 산화환원 개시제 계와 함께 전이 금속 촉매, 예를 들어 철, 코발트, 니켈, 구리, 바나듐 및 망간의 염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염은 예를 들어, 황산철(II), 염화코발트(II), 황산니켈(II) 또는 염화구리(I)이다. 단량체를 기준으로, 환원성 전이 금속 염은 0.1 ppm 내지 1000 ppm의 농도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와 철(II) 염을, 예를 들어 0.5 내지 30%의 과산화수소와 0.1 내지 500 ppm의 모어(Mohr) 염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 중의 중합의 경우에도, 산화환원 공개시제 및(또는) 전이 금속 촉매를 상기 언급한 개시제, 예를 들어 벤조인, 디메틸아닐린, 아스코르브산, 및 예컨대 구리, 코발트, 철, 망간, 니켈 및 크롬과 같은 중금속의 유기적 가용성 착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산화환원 공개시제 또는 전이 금속 촉매의 양은 사용되는 단량체의 양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000 ppm이다.
분자량
중합체의 분자량 (수평균 분자량 Mn 또는 중량평균 분자량 Mw)은 예를 들어 용매, 조절제, 가교결합제, 개시제의 양, 반응 시간 및(또는) 온도와 같은 반응 파라미터의 선택에 영향받을 수 있다.
중합 조건의 선택에 따라, 중량 평균 분자량 (MW)이 예를 들어 1,000 내지 2,000,000,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50,000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다.
공중합체의 나트륨 염 수용액의 K 값은 문헌[H. Fikentscher, Cellulose-Chemie, volume 13, 58-64 and 71-74 (1932)]에 따라 pH 7, 25℃의 공중합체의 나트륨 염의 중합체 농도가 1 중량%인 수용액 중에서 측정한다.
조절제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중합을 조절제 존재하에서 실시하곤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는, SH기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 2-메르캅토에탄올, 2-메르캅토프로판올,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시스테인, N-아세틸시스테인과 같은 통상의 조절제 뿐만 아니라 소듐 하이포포스파이트 또는 아황산수소나트륨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조절제는 알칸티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2종 이상의 조절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알칸티올은 탄소 사슬 길이가 C10 -C22 직쇄 및 분지쇄 알칸티올이다. 직쇄 알칸티올, 특히 사슬 길이가 C12 내지 C22, 더욱 바람직하게는 C12 내지 C18인 알칸티올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칸티올의 예로는 n-데칸티올, n-도데칸티올, tert-도데칸티올, n-테트라데칸티올, n-펜타데칸티올, n-헥사데칸티올, n-헵타데칸티올, n-옥타데칸티올, n-노나데칸티올, n-에이코산티올, n-도코산티올이 있다. 직쇄, 짝수 개 탄소의 알칸티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칸티올은 혼합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알칸티올은 통상 단량체와 함께 중합에 가한다. 중합 조절제는 일반적으로 단량체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평균 분자량은 적합한 용매의 선택에 영향받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벤질계 H 원자를 가지는 희석제 존재하에서 중합을 실시하면, 사슬 이동의 결과로서 평균 분자량이 감소한다.
가교결합제
중합체의 분자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교결합제의 존재하에서 공중합을 실시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예를 들어, 2가 이상의 알콜의 아크릴계 에스테르, 메타크릴계 에스테르, 알릴 에테르 또는 비닐 에테르이다. 이때, 모(母) 알콜의 OH기는 전부 또는 일부 에테르화 또는 에스테르화될 수 있으나, 가교결합제는 2개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함유한다.
모 알콜의 예로는 2가 알콜, 예컨대 1,2-에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부트-2-엔-1,4-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1,10-데칸디올, 1,2-도데칸디올, 1,12-도데칸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3-메틸-펜탄-1,5-디올, 2,5-디메틸-1,3-헥산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2-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네오펜틸 글리콜 모노히드록시피발레이트,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2-히드록시프로필)페닐]프로판,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3-티오펜탄-1,5-디올과, 각각의 경우에 분자량 200 내지 10,000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이 있다.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단일중합체 이외에,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기를 혼입된 형태로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3개 이상의 OH기를 가지는 모 알콜의 예로는 트리메틸롤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1,2,5-펜탄트리올, 1,2,6-헥산트리올, 트리에톡시시아누르산, 소르비탄, 당류, 예컨대 수크로스, 글루코스 및 만노스가 있다. 물론 다가 알콜도 상응하는 에톡실레이트 또는 프로폭실레이트의 형태로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와의 반응 후에 사용될 수 있다. 다가 알콜은 먼저 에피클로로히드린과의 반응에 의해 상응하는 글리시딜 에테르로 전환될 수도 있다.
추가의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에틸렌계 불포화 C3-C6-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과의 비닐 에스테르, 또는 1가 불포화 알콜의 에스테르이다. 이러한 알콜의 예로는 알릴 알콜, 1-부텐-3-올, 5-헥센-1-올, 1-옥텐-3-올, 9-데센-1-올, 디시클로펜테닐 알콜, 10-운데센-1-올, 신나밀 알콜, 시트로넬롤, 크로틸 알콜 또는 cis-9-옥타데센-1-올이 있다. 그러나, 1가 불포화 알콜을 다염기성 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말론산, 타르타르산, 트리멜리트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시트르산 또는 숙신산으로 에스테르화할 수도 있다.
추가의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상기 기재한 다가 알콜과 예를 들어, 올레산, 크로톤산, 신남산 또는 10-운데칸산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이다.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또한 직쇄 또는 분지쇄이거나, 2개 이상의 이중결합(지방족 탄화수소의 경우에는 컨쥬게이트되지 않아야 함)을 가지는 직쇄 또는 환상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디비닐벤젠, 디비닐톨루엔,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4-비닐-1-시클로헥센, 트리비닐시클로헥산 또는 분자량 200 내지 20,000인 폴리부타디엔이다.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또한 2가 이상의 아민의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및 N-알릴아민이다. 이러한 아민으로는 예를 들어, 1,2-디아미노메탄, 1,2-디아미노에탄, 1,3-디아미노프로판, 1,4-디아미노부탄, 1,6-디아미노헥산, 1,12-도데칸디아민, 피페라진, 디에틸렌트리아민 또는 이소포론디아민이 있다. 알릴아민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상기 기재한 2가 이상의 염기성 카르복실산의 아미드도 적합하다.
특히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트리알릴아민 및 트리알릴모노알킬암모늄 염, 예를 들어 트리알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메틸술페이트이다.
또한 우레아 유도체, 2가 이상의 아미드, 시아누레이트 또는 우레탄, 예를 들어 우레아, 에틸렌우레아, 프로필렌우레아, 또는 타르타르디아미드의 N-비닐 화합물, 예컨대 N,N'-디비닐에틸렌우레아 또는 N,N'-디비닐프로필렌우레아도 적합하다.
추가의 적합한 가교결합제는 디비닐디옥산, 테트라알릴실란 또는 테트라비닐실란이다.
물론 상기 언급한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량체의 용액 또는 분산액에 가용성인 가교결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가교결합제는, 예를 들어,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트리알릴아민 및 트리알릴알킬암모늄 염, 디비닐이미다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알릴 에테르, N,N'-디비닐에틸렌우레아, 다가 알콜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반응 생성물, 폴리알킬렌 옥시드, 또는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및(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킨 다가 알콜의 메타크릴계 에스테르 및 아크릴계 에스테르이다.
더욱 특히 바람직한 가교결합제는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알릴 에테르,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N,N'-디비닐에틸렌우레아, 트리알릴아민 및 트리알릴모노알킬암모늄 염, 글리콜, 부탄디올, 트리메틸롤프로판 또는 글리세롤의 아크릴계 에스테르, 또는 글리콜, 부탄디올, 트리메틸롤프로판, 또는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킨 글리세롤의 아크릴계 에스테르이다.
가교결합제는 통상 단량체 A, B 및 C의 총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후처리 방법( Work - up )
수용액 중합법으로 중합체를 수득한 경우라면, 통상적으로 용매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합체를 단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예를 들어 분무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중합체를 증기-휘발성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중에서의 용액, 침전 또는 현탁 중합법으로 제조한 경우,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이 되도록 하기 위해 증기를 도입하여 용매를 분리해낼 수 있다. 건조 공정에 의하여 중합체를 유기 희석제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수용성 단량체 및 중합체는 1 L의 물에 1 g 이상의 양으로 용해되는 단량체 및 중합체를 의미한다.
수분산성 단량체 및 중합체는 예를 들어 교반에 의한 전단력 적용 하에서 분산가능한 입자로 붕해되는 단량체 및 중합체를 의미한다. 친수성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성이거나 적어도 수분산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수성 매질 중에 분산성이거나 가용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는 고형분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인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의 형태이다. 중합체의 K 값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20의 범위이다.
중합체는 화장용 제제에, 용해된 형태 또는 예를 들어, 중합 동안 생성된 중합체 용액 또는 분산액의 분무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해 수득가능한 고체 형태로 제공된다.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즉 용해, 유화 또는 현탁된 형태, 예를 들어 화장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체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된다.
화장용 제제에의 사용
상기 기재한 중합체는 화장제 및 피부용 조성물의 제조에 극히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화장제 또는 피부용 조성물을 위한 용도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량체 구성 단위로서,
a)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디알릴아민 1종 이상;
b)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B 및(또는) C 1종 이상; 및
c) 적절한 경우, 1종 이상의 가교결합제
를 포함하는 중합체의, 화장제 또는 피부용 제제에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예를 들어 피부, 모발, 손톱과 같은 각질성 표면에 화장용 제제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디 케어를 위한 제제 및 입술케어 제제에 중합체성 필름 형성제로서 사용된다. 이들은 널리 다양한 종류의 화장제 제제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제제화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과 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액은 특히 우수한 컨디셔너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1종 이상, 및
- 화장제용 또는 피부용으로 허용가능한 1종 이상의 담체
를 포함하는 화장제 또는 피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화장용 조성물에서, 단량체 B 대신 단량체 C가 중합체 내에 구성 단위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제용 또는 피부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1) 물,
2) 수-혼화성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C1-C4-알카놀,
3) 오일, 지방, 왁스,
4) 3)과 상이한 1, 2 또는 3가 알콜과 C6-C30-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5) 아시클릭 및 시클릭 포화 탄화수소,
6) 지방산,
7) 지방알콜,
8) 실리콘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오일 또는 지방 성분을 포함한다.
- 극성이 낮은 탄화수소, 예컨대 광물유,
-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8 이상인 직쇄 포화 탄화수소, 예컨대 테트라데칸, 헥사데칸, 옥타데칸 등,
- 시클릭 탄화수소, 예컨대 데카히드로나프탈렌,
- 분지쇄 탄화수소,
- 동물 및 식물성 오일,
- 왁스 및 왁스 에스테스,
- 바셀린,
-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지방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C1-C22-모노카르복실산과 C1-C24-모노알콜의 에스테르, 예컨대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n-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n-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헥사코사닐 팔미테이트, 옥사코사닐 팔미테이트, 트리아코타닐 팔미테이트, 도트리아코타닐 팔미테이트, 테트라트리아코타닐 팔미테이트, 헥사코사닐 스테아레이트, 옥타코사닐 스테아레이트, 트리아코타닐 스테아레이트, 도트리아코타닐 스테아레이트 및 테트라트리아코타닐 스테아레이트,
- 살리실레이트, 예컨대 C1-C10-살리실레이트, 예를 들어 옥틸 살리실레이트; 벤조에이트 에스테르, 예컨대 C10-C15-알킬 벤조에이트 및 벤질 벤조에이트,
- 다른 화장제용 에스테르, 예컨대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C10-C15-알킬락테이트 등; 및 이들의 혼합물.
추가의 바람직한 오일 및 지방 성분은 파라핀 및 파라핀 오일; 천연 지방 및 오일, 예컨대 피마자유, 대두유, 땅콩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호마유, 아보카도유, 코코아 버터, 아몬드유, 복숭아씨유, 아주까리유, 대구간유, 라드, 경뇌, 경뇌유, 경유, 맥아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달맞이꽃유, 호호바 오일; 지방 알콜, 예컨대 라우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올레일 알콜, 세틸 알콜; 지방산, 예컨대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및 이들과 상이한 포화 또는 불포화, 치환된 지방산; 왁스, 예컨대 밀랍, 카르노바 왁스, 칸딜릴라 왁스, 경뇌; 및 상기 언급한 오일 또는 지방 성분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실리콘 오일은 예를 들어, 직쇄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시클릭 실록산, 및 실온에서 액상 또는 수지 형태일 수 있는 아미노-, 지방산-, 알콜-, 폴리에테르-, 에폭시-, 불소-, 글리코시드- 및(또는) 알킬-개질된 실리콘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메틸페닐실록산)의 수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150,000 g/mol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시클릭 실록산은 4 내지 8원 고리를 가진다. 적합한 시클릭 실록산은 예를 들어 시클로메타콘이라는 이름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적합한 화장제용 및 피부용으로 상용가능한 오일 및 지방 성분은, 본원에 그 내용이 포함되는 문헌[Karl-Heinz Schrader, Grundlagen und Rezepturen der Kosmetika [Fundamentals and Formulations of Cosmetics], 2nd edition, Verlag Huehig, Heidelberg, pp. 319 - 355]에 기재되어 있다.
특히 적합한 친수성 담체는 물, 탄소원자수 1 내지 8의 1가, 2가 또는 다가 알콜, 예컨대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소르비톨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은 피부 화장제, 모발용 화장제, 피부용, 위생용 또는 제약 조성물일 수 있다. 이들의 필름 형성 특성 때문에, 상기 기재한 중합체는 특히 모발 및 피부 화장제를 위한 첨가제,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발 화장용 제제를 위한 첨가제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젤, 포움, 스프레이, 연고, 크림, 유제, 현탁액, 로션, 밀크 또는 페이스트의 형태이다. 바람직한 경우, 리포솜 또는 미소구체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제용 또는 피부용 활성 조성물은 화장제용 및(또는) 피부용 활성 성분과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제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1종 이상,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담체, 및 화장제용 활성 성분, 유화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유, 증점제, 모발용 중합체, 모발 및 피부 컨디셔너, 그라프트 중합체,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실리콘-함유 중합체, 자외선 차단제, 탈색제, 겔 형성제, 보호 성분, 착색제, 틴트, 태닝제(tanning agent), 염료, 안료, 바디화제(bodying agent), 습윤제, 유분공급제, 콜라겐, 단백질 가수분해물, 리피드, 항산화제, 소포제, 대전방지제, 유연제 및 연화제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와 상이한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적절한 경우, 화장용 제제는 향유를 포함할 수 있다. 향유의 예를 들면, 천연 또는 합성 향료의 혼합물이다.
천연 향료는 꽃 (백합, 라벤더, 장미, 자스민, 네롤리, 일랑일랑), 줄기 및 잎 (제라늄, 파출리, 페티그레인), 과일 (아니시드, 고수풀, 쿠민, 주니퍼), 과일 껍질 (베르가못, 레몬, 오렌지), 뿌리 (메이스, 안젤리카, 셀러리, 칼다먼, 코스투스, 아이리스, 칼무스), 초목 (소나무, 백단, 유창목, 삼나무, 장미나무), 허브 및 풀 (타라곤, 레몬그라스, 세이지, 타임), 침엽 및 가지 (가문비나무, 전나무, 소나무, 난쟁이 소나무), 수지 및 발삼 (갈바눔, 엘레미, 안식향, 몰약, 유향, 오포포낙스 유향)이다.
또한 적합한 것으로는 동물성 원료, 예를 들어 시벳 및 비버향이다. 전형적인 합성 향료 화합물은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콜 및 탄화수소계이다. 에스테르계 향료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벤질 아세테이트,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레이트, 4-ter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리날릴 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 아세테이트, 페닐에틸 아세테이트, 리날릴 벤조에이트, 벤질 포르메이트, 에틸 메틸페닐글리시네이트, 알릴 시클로헥실프로피오네이트, 스티랄릴 프로피오네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가 있다. 에테르계로는 예를 들어 벤질 에틸 에테르를 포함하고, 알데히드계로는 예를 들어 탄소원자수 8 내지 18의 직쇄 알카날, 시트랄,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릴옥시아세트알데히드, 시클라멘알데히드, 히드록시시트로넬랄, 릴리알 및 부르지오날을 포함하며, 케톤으로는 예를 들어 이오논, cc-이소메틸이오넨 및 메틸 세드릴 케톤을 포함하며, 알콜로는 아네톨, 시트로넬롤, 유제놀, 이소유제놀, 제라니올, 리날로올, 페닐에틸 알콜 및 테리오네올을 포함하며, 탄화수소로는 주로 터펜 및 발삼을 포함한다.
그러나, 함께 좋은 향취를 만드는 상이한 향료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개 향료 성분으로 사용되는 휘발성 낮은 에센스 오일도 향유로 적합하며, 예를 들어 세이지 오일, 카모마일 오일, 정향 오일, 발삼 오일, 민트 오일, 시나몬 잎 오일, 라임 블로섬 오일, 주니퍼 베리 오일, 베티버 오일, 올리바눔 오일, 갈바눔 오일, 라볼라눔 오일 및 라반딘 오일이 있다. 베르가못 오일, 디히드로미르세놀, 릴리알, 릴랄, 시트로넬롤, 페닐에틸 알콜, α-헥실신남알데히드, 제라니올, 벤질아세톤, 시클라멘알데히드, 린날로올, 보이삼브렌®포르테(Boisambrene® Forte), 암브록산, 인돌, 헤디온, 산델리스, 레몬 오일, 만다린 오일, 오렌지 오일, 알릴 아밀 글리콜레이트, 시클로베르탈, 라반딘 오일, 머스카텔 세이지 오일, β-다마스콘, 제라늄 오일 버본, 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베르토픽스(Vertofix)® 오어, 이소-E-수퍼, 픽솔리드(Fixolide)® P, 에버닐, 이랄데인 감마, 페닐아세트산, 제라닐 아세테이트, 벤질 아세테이트, 로즈 옥시드, 로밀라트, 이로틸 및 플로라마트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통상의 증점제는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과 그의 유도체, 다당류, 예컨대 잔탄검, 아가, 알기네이트 또는 틸로스; 셀룰로스 유도체,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지방 알콜, 모노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이다. 적합한 증점제는 또한 롬 앤드 하스(Rohm and Haas)로부터의 아쿨린(Aculyn)® 급, 예컨대 아쿨린® 22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 에폭실레이트와 스테아릴 라디칼 (20 EO 단위)의 공중합체) 및 아쿨린® 28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 에폭실레이트와 베헤닐 라디칼 (25 EO 단위)의 공중합체)이다.
적합한 화장제용 및(또는) 피부용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착색 활성 성분, 피부 및 모발 염색제, 틴트제, 태닝제, 탈색제, 각질-경화 물질, 항균성 활성 성분, 광 차단 활성 성분, 방충 활성 성분, 혈류 촉진 효과가 있는 물질, 각질용해 및 각질연화 효과가 있는 물질, 비듬방지 활성 성분, 소염제, 각질화 효과가 있는 물질, 항산화 또는 유리 라디칼 제거 효과가 있는 물질, 피부를 습윤화하거나 보습하는 물질, 유분제공 활성 성분, 항-홍반성 또는 항-알레르기 활성 성분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피부를 인공적으로 태우고, UV선을 이용한 천연 또는 인공 조사 없이 피부를 태우기에 적합한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디히드록시아세톤, 알록산 및 호두껍질 추출물이다.
적합한 각질-경화 물질은 통상적으로 지한제로도 사용되는 활성 성분, 예를 들어 황산칼륨알루미늄, 알루미늄 히드록시클로라이드, 알루미늄 락테이드 등이다.
항균성 활성 성분은 미생물을 죽이거나 그의 성장을 억제하여 방부제 및 신체 악취의 형성 또는 강한 악취를 방지하는 방취제로서도 기능하도록 사용된다. 이들의 예로서는 통상의 방부제, 예컨대 p-히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소르브산, 벤조산, 살리실산 등이 있다. 이러한 방취제로서는 예를 들어 리시놀산 아연, 트리클로산, 운데실렌산 알킬올아미드,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클로르헥시딘 등이 있다.
적합한 광 차단 활성 성분은 UV-B 및(또는) UV-A 구간에서 UV선을 흡수하는 물질이다. 적합한 UV 필터로는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아릴기가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 알콕시, 특히 메톡시; 알콕시카르보닐, 특히 메톡시카르보닐 및 에톡시카르보닐;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체를 가질 수 있는 2,4,6-트리아릴-1,3,5-트리아진이다. 또한 적합한 것은 p-아미노벤조산 에스테르, 신남산 에스테르, 벤조페논, 캄포르 유도체 및 UV선을 막는 안료, 예컨대 이산화티탄, 탈크 및 산화아연이다.
적합한 방충성 활성 성분은 특정 동물, 특히 곤충을 인간으로부터 쫓아내거나 인간에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이들의 예로서는, 2-에틸-1,3-헥산디올, N,N-디에틸-m-톨루아미드 등이 있다. 피부를 통해 혈류를 촉진하는 활성이 있는 적합한 물질로는 에센스 오일, 예컨대 난쟁이 소나무, 라벤더, 로즈마리, 주니퍼 베리, 구운 밤 추출물, 박달나무잎 추출물, 건조씨 추출물, 에틸 아세테이트, 캄포르, 멘톨, 페퍼민트 오일, 로즈마리 추출물, 유칼립투스 오일 등이 있다.
적합한 각질용해성 및 각질연화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살리실산, 칼슘 티오글리콜레이트, 티오글리콜산 및 그의 염, 황 등이 있다. 적합한 비듬방지 활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황, 황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황 리시놀 폴리에폭실레이트, 아연 피리티온, 알루미늄 피리티온 등이 있다.
피부 염증을 가라앉히는, 적합한 소염제로는 예를 들어 알란토인, 비스아볼롤, 드라고사톨, 카모마일 추출물, 판테놀 등이 있다.
화장제 및 피부용 제제에 사용되는 광 차단 필터는 햇빛이 인간 피부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그들의 결과를 감소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들 광 차단 필터는 추가의 성분들이 UV 조사에 의해 분해되는 것도 방지해야한다. 모발용 화장제 제제에서, UV선에 의한 각질 섬유의 손상이 감소되어야 한다.
UV-B 조사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수많은 화합물, 대표적으로 3-벤질리덴캄포르, 4-아미노벤조산, 신남산, 살리실산, 벤조페논 및 2-페닐벤즈이미다졸의 유도체가 알려졌다.
사용할 수 있는 UV광 차단 필터는 오일 가용성 유기 UV-A 필터 및(또는) UV-B 필터 및(또는) 수용성 유기 UV-A 필터 및(또는) UV-B 필터이다. UV 광 차단 필터의 총량은 일반적으로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 특히 1 내지 10중량%이다.
UV 광 차단 필터는 제제가 모든 범위의 자외선 조사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도록 유리하게 선택된다.
UV 광 차단 필터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4-아미노벤조산;
3-(4'-트리메틸암모늄)벤질리덴보르난-2-온 메틸 술페이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옥시벤조눔);
2-페닐벤즈이미다졸-5-술폰산 및 그의 칼륨, 나트륨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
3,3'-(1,4-페닐렌디메틴)비스(7,7-디메틸-2-옥소비시클로[2,2,1]헵탄-1-메탄술폰산) 및 그의 염;
폴리에톡시에틸 4-비스(폴리에톡시)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2-이소아밀 4-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4-메톡시신나메이트;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술이소벤조눔) 및 그의 나트륨염;
3-(4'-술포)벤질리덴보르난-2-온 및 그의 염;
3-벤질리덴보르난-2-온;
1-(4'-이소프로필페닐)-3-페닐프로판-1,3-디온;
4-이소프로필벤질살리실레이트;
2,4,6-트리아닐리노-(o-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3-이미다졸-4-일아크릴산 및 그의 에틸 에스테르;
멘틸 o-아미노벤조에이트 또는 5-메틸-2-(1-메틸에틸)-2-아미노벤조에이트;
글리세릴 p-아미노벤조에이트 또는 1-글리세릴 4-아미노벤조에이트;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디옥시벤존);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멕세논);
트리에탄올아민 살리실레이트;
디메톡시페닐글리옥살산 또는 소듐 3,4-디메톡시페닐글리옥살레이트;
3-(4'-술포)벤질리덴보르난-2-온 및 그의 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1,4-페닐렌)비스-1H-벤즈이미다졸-4,6-디술폰산, 나트륨 염;
3,4-비스[4-(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6-(4-페톡시페닐)-(1,3,5)-트리아진;
3-(4-메틸벤질리덴)캄포르;
폴리에톡시에틸 4-비스(폴리에톡시)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및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5,5'-디소듐 술포네이트.
적합한 바디화제는 탄소원자수 12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인 1차 지방 알콜 또는 히드록시 지방 알콜, 부분 글리세리드, 지방산 또는 히드록시 지방산이다. 이들 물질과 알킬올리고글루코시드 및(또는) 동일한 사슬 길이의 지방산 N-메틸글루카미드 및(또는) 폴리글리세롤 폴리-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증점제는 예를 들어, 다당류, 특히 잔탄검, 구아검, 아가, 알기네이트 및 틸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및 지방산의 고분자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 및 디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굿리치(Goodrich)로부터의 카르보폴(Carbopol)TM 또는 시그마(Sigma)로부터의 신탈렌(Synthalen)TM),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에톡실화된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과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트리메틸롤프로판과 같은 폴리올과의 에스테르, 상동체 분포가 좁은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및 염화나트륨 및 염화암모늄과 같은 전해질이다.
사용될 수 있는 강력 유분보충제는 예를 들어 라놀린, 레시틴, 폴리에폭실화 또는 아크릴화된 라놀린 및 레시틴 유도체,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리드 및 포움 안정화제로도 작용하는 지방산 알카놀아미드이다.
항산화제는 그 자체로 알려진 통상의 화합물이다. 항산화제는 카로티노이드, 카로텐 (예를 들어, α-카로텐, β-카로텐, 리코펜) 및 그의 유도체, 클로로겐산 및 그의 유도체, 리포산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디히드로리포산), 및 (금속) 킬레이트 시약, EDTA, EGTA 및 그의 유도체, 유비퀴논 및 유비퀴놀과 그의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Mg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A 팔미테이트),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및 화장용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가의 항산화제의 군으로부터 유리하게 선택된다.
상기 언급한 항산화제 (a)의 완성된 제제 내에서의 양은 예를 들어, 0.0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이고, 특히 1 내지 5중량%이다.
또한, 항균성 첨가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그람-양성 박테리아에 대해 특이적인 작용이 있는 모든 적합한 보존제, 예를 들어, 트리클로산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클로르헥시딘 (1,1'-헥사메틸렌비스[5-(4-클로로페닐)비구아니드 및 TTC (3,4,4'-트리클로로카르브아닐리드)를 포함한다.
4차 암모늄 화합물도 마찬가지로 적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감염방지 비누 및 워싱 로션에 사용된다.
수많은 에센스 오일 또는 그의 특징적인 성분, 예를 들어 클로브 오일 (유제놀), 민트 오일 (멘톨) 또는 타임 오일 (티몰)도 우수한 항균성 효과를 나타낸다. 항균성 효과 물질은 일반적으로 제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0.3%의 농도로 사용된다.
적합한 진주광택 왁스의 예로는: 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 특히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특히 코코넛 지방산 디에타노아미드; 부분 글리세리드, 특히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리드; 다염기산의 에스테르, 임의로는 히드록시-치환된 카르복실산과 탄소원자수 6 내지 22의 지방 알콜의 에스테르, 특히 타르타르산의 장쇄 에스테르; 지방 성분, 예컨대 총 탄소원자수 24 이상인 지방 알콜, 지방 케톤, 지방 알데히드, 지방 에테르 및 지방 카르보네이트, 특히 라우론 및 디스테아릴 에테르; 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 탄소원자수 12 내지 22인 올레핀 에폭시드와 탄소원자수 12 내지 22인 지방 알콜 및(또는) 탄소원자수 2 내지 15이고 히드록실기 2 내지 10개를 가지는 폴리올의 개환반응 생성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기타 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제 조성물은 원하는 조성물 특성을 얻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와 상이한 화장제용 또는 피부용으로 허용가능한 추가의 중합체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적합한 것은 일반적으로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및 중성 중합체이다.
음이온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 및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및 그의 염;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나트륨 염,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예를 들어 바스프의 루비세트(Luviset)® PUR, 및 폴리우레아이다. 특히 적합한 중합체는 t-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루비머(Luvimer)® 100P),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루비플렉스(Luviflex)®소프트 및 루비머® MAE), N-tert-부틸-아크릴아미드,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울트라홀드® 8, 스트롱), 비닐 아세테이트, 크로톤산 및 적절한 경우 추가의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루비세트® 급, INCI: VA/크로토네이트 공중합체), 임의로는 알콜, 예를 들어 카르복시 관능성인 음이온성 폴리실록산, t-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과 반응된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예를 들어 루비스콜®VBM),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과 소수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의 C4-C30-알킬 에스테르, C4-C30-알킬비닐 에스테르, C4-C30-알킬비닐 에테르 및 히알루론산이다. 음이온성 중합체의 예로는 또한 레신(Resyn)®(내셔널 스타치; National Starch) 및 가프세트(Gafset)® (GAF)라는 상품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비닐 아세테이트/크로톤산 공중합체, 및 예를 들어 루비플렉스(Luviflex)®(바스프)라는 상품명으로 입수가능한 비닐피롤리돈/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다른 적합한 중합체는 루비플렉스®VBM-35 (바스프)라는 상품명으로 입수가능한 비닐피롤리돈/아크릴레이트 삼중합체, 및 술폰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또는 술폰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합체의 군은 예를 들어, 밸런스(Balance)® CR (내셔널 스타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밸런스® 0/55 (내셔널 스타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밸런스® 47 (내셔널 스타치;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쿠아플렉스 (Aquaflex)® FX 64 (ISP; 이소부틸렌/에틸말레이미드/히드록시에틸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아쿠아플렉스® SF-40 (ISP/내셔널 스타치; VP/비닐카프로락탐/DMAPA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알리안즈(Allianz)® LT-120 (ISP / 롬 앤드 하스; 아크릴레이트/C1-2 숙시네이트/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쿠아레즈(Aquarez)® HS (이스트맨(Eastman); 폴리에스테르-1), 디아포머(Diaformer)® Z-400 (클라리안트;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디아포머® Z-711 (클라리안트; 메타크릴로일에틸 N-옥시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디아포머® Z-712 (클라리안트; 메타크릴로일에틸 N-옥시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옴니레즈(Omnirez)® 2000 (ISP; 말레산 중 폴리(메틸비닐에테르)/에탄올의 모노에틸 에스테르), 암포머(Amphomer)® HC (내셔널 스타치;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암포머® 28-4910 (내셔널 스타치;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어드벤티지(Advantage)® HC 37 (ISP; 비닐카프로락탐/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삼중합체), 어드벤티지® LC55 및 LC80 또는 LC A 및 LC E, 어드벤티지® 플러스 (ISP; VA/부틸 말레에이트/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쿨린(Aculyne)® 258 (롬 앤드 하스;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루비세트® P.U.R. (바스프, 폴리우레탄-1), 루비플렉스® 실크 (바스프), 이스트맨® AQ 48 (이스트맨), 스틸레즈® CC-10 (ISP; VP/DMAPA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틸레즈® 2000 (ISP; VP/아크릴레이트/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다이나멕스(DynamX) (내셔널 스타치; 폴리우레탄-14 AMP 아크릴레이트s 공중합체), 레신® XP (내셔널 스타치;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픽소머(Fixomer)® A-30 (온데오 날코(Ondeo Nalco); 폴리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아미도메틸 프로판 술폰산), 픽세이트(Fixate)® G-100 (노베온(Noveon); AMP 아크릴레이트/알릴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추가의 적합한 중합체는 INCI 명칭 폴리쿼터늄인 양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어, 비닐피롤리돈/N-비닐이미다졸륨 염의 공중합체 (루비쿼트® FC, 루비쿼트® HM, 루비쿼트® MS, 루비쿼트® 울트라케어), 디에틸 술페이트로 4차화된 N-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루비쿼트® PQ 11, INCI: 폴리쿼터늄-11), N-비닐카프로락탐/N-비닐-피롤리돈/N-비닐이미다졸륨 염의 공중합체 (루비쿼트® 홀드; INCI: 폴리쿼터늄-46); 양이온성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쿼터늄-4 및 -10), 아크릴아미도 공중합체 (폴리쿼터늄-7), 키토산, 양이온성 전분 유도체 (INCI: 전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개질된 옥수수 전분), 양이온성 구아 유도체 (INCI: 히드록시프로필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양이온성 해바라기유 유도체 (INCI: 해바라기씨아미도프로필 히드록시에틸디모늄 클로라이드),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INCI: 폴리쿼터늄-53), 폴리쿼터늄-32, 폴리쿼터늄-28 등이다. 적합한 양이온성 (4차화) 중합체는 메르쿼트(Merquat)®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를 기재로 하는 중합체), 가프쿼트(Gafquat)® (4차 암모늄 화합물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반응으로 제조된 4차 중합체), 중합체 JR (양이온성 기를 가지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및 식물성 양이온성 중합체, 예를 들어 구아 중합체, 예컨대 로디아(Rhodia)의 자구아(Jaguar)® 급이다.
추가의 적합한 중합체는 중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및 비닐 아세테이트 및(또는) 비닐 프로피오네이트의 공중합체, 폴리실록산, 폴리비닐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다른 공중합체, N-비닐피롤리돈 및 C1-C18인 알킬 사슬을 가지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공중합체, 폴리알킬렌 글리콜 상 폴리비닐 알콜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에컨대 콜리코트(Kollicoat)®R (바스프);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실록산, 폴리비닐카프로락탐 및 N-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다른 공중합체 상 다른 비닐 단량체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과 그의 염, 폴리비닐아민과 그의 염, 셀룰로스 유도체, 키토산, 폴리아스파르트산 염 및 유도체이다. 이들은 예를 들어, 루비플렉스®스윙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부분적으로 비누화된 공중합체; 바스프)을 포함한다.
적합한 중합체는 또한 예를 들어 DE-A-43 33 238에 기재된 것과 같은 비이온성,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 예컨대 루비스콜® 플러스 (바스프)와 같은 폴리비닐카프로락탐,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의 특히 비닐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예컨대 루비스콜®VA 37 (바스프)과 같은 비닐 아세테이트; 예를 들어 이타콘산 및 지방족 디아민을 기재로 하는 폴리아미드이다.
적합한 중합체는 또한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중합체, 예컨대 암포머®
(내셔널 스타치)라는 상품명으로 입수가능한 옥틸아크릴아미드/메틸 메타크릴레이트/tert-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예를 들어 DE-A 39 29 973, DE-A 21 50 557, DE-A 28 17 369 및 DE-A 37 08 451에 개시된 것과 같은 쯔비터이온성 중합체이다. 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그의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 염이 쯔비터이온성 중합체로서 바람직하다. 추가의 적합한 쯔비터이온성 중합체는 아머세트(Amersette)®(AMERCHOL)라는 상품명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메타크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이다 (조다폰(Jordapon)®).
적합한 중합체는 또한 비이온성, 실록산-함유,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중합체, 예를 들어 테고프렌(Tegopren)® (골드슈미트; Goldschmidt) 또는 벨실(Belsil)® (Wacker)과 같은 폴리에테르 실록산이다.
제약 조성물
제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제약 조성물의 제조에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약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조제는 약학계, 식품기술 및 관련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것, 특히 관련 약전(예를 들어, DAB Ph. Eur. BP NF)에 기재된 것과, 생리학적 사용을 배제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 다른 보조제이다.
적합한 보조제로는 윤활제, 습윤제, 유화제 및 현탁화제, 방부제, 항산화제, 소염제, 킬레이트 시약, 에멀젼 안정화제, 필름 형성제, 겔 형성제, 페이스트-마스킹제(masking agent), 수지, 히드로콜로이드, 용매, 용해 촉진제, 중화제, 투과 개선제, 색소, 4차 암모늄 화합물, 유분제공 및 유분보충제, 연고, 크림 또는 오일계 물질, 실리콘 유도체, 안정화제, 멸균제, 추진 가스, 건조제, 불투명화제, 증점제, 왁스, 연화제, 화이트 오일일 수 있다. 이러한 제제는 예를 들어 문헌[Fiedler, H. P. Lexikon der Hilfsstoffe fuer Pharmazie, Kosmetik and angrenzende Gebiete [Lexicon of auxiliaries for pharmacy, cosmetics and related fields], 4th ed., Aulendorf: ECV-Editio-Kantor-Verlag, 1996]에 제시된 바와 같은 전문 지식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활성 성분은 적합한 보조제 (부형제)와 혼합되거나 이로 희석될 수 있다. 부형제는 활성 성분을 위한 비히클, 담체 또는 매질로 작용할 수 있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물질일 수 있다. 추가의 보조제는 바람직한 경우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혼합된다. 또한, 중합체는 약제에서의 보조제로서, 바람직하게는 고체 약제형을 위한 코팅제 또는 결합제로서 적합하다. 이들은 크림에서도 사용될 수 있고, 정제 코팅 및 정제 결합제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피부 세정제 조성물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피부 세정을 위한 제제에 사용된다.
바람직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액체 내지 젤상의 컨시스턴시를 가지는 비누, 예컨대 투명 비누, 고급 비누, 탈취 비누, 크림형 비누, 아기용 비누, 피부 보호용 비누, 각질제거용 비누 및 합성 세제, 페이스트형 비누, 연질 비누 및 세척용 페이스트, 액상 세척용, 샤워 및 입욕용 제제, 예컨대 워싱 로션, 샤워 배스 및 샤워 젤, 포움 배스, 오일 배스 및 스크럽 제제, 면도용 포움, 로션 및 크림이다.
헤어 - 트리트먼트 조성물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중량% 범위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세팅 포움, 헤어 무스, 헤어젤, 샴푸, 헤어스프레이, 헤어 포움, 마무리용 유체, 파마용 중화제, 모발 염색제 및 탈색제 또는 핫-오일 트리트먼트이다. 사용 분야에 따라, 모발 화장용 제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포움, 젤, 젤 스프레이, 크림, 로션 또는 왁스의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헤어 스프레이는 에어로졸 스프레이와 추진 가스가 없는 펌프 스프레이 양자를 모두 포함한다. 헤어 포움은 에어로졸 포움과 추진 가스가 없는 펌프 포움 양자를 모두 포함한다. 헤어 스프레이 및 헤어 포움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성분을 주로 또는 이들 성분만을 포함한다. 헤어 스프레이 및 헤어 포움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수분산성인 경우, 이들은 입자 직경이 통상 1 내지 350 n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0 nm인 수성 미세분산액의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이들 제제의 고형분 함량은 통상 약 0.5 내지 20 중량% 범위 내이다. 이들 미세분산액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안정화를 위해 유화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발용 화장제 제제는
I.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1종 이상 0.05 내지 20중량%,
II. 물 및(또는) 알콜 20 내지 99.95중량%, 및
III. 기타 성분 0 내지 79.5중량%
를 포함한다.
알콜은 화장제에 통상적인 모든 알콜,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을 의미한다.
기타 성분이란 화장제에 통상적인 첨가제를 의미하며, 이들 중 일부는 앞서 언급한, 예를 들어 추진 가스, 소포제, 계면 활성 화합물, 즉 계면활성제, 유화제, 거품 형성제 및 가용화제이다. 사용되는 계면 활성 화합물은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중성일 수 있다. 추가의 통상적인 성분은 또한 예를 들어 방부제, 향유, 불투명화제, 활성 성분, 항산화제, UV 차단제, 케어(care) 물질, 예컨대 판테놀, 콜라겐, 비타민, 단백질 가수분해물, 알파 및 베타-히드록시카르복실산, 안정화제, pH 조절제, 염료, 점도 조절제, 젤 형성제, 염, 습윤제, 유분제공제, 컴플렉싱(complexing)제 및 기타 통상의 첨가제이다.
이들은 또한 부여하고자 하는 특정한 특성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화장제 분야에서 알려진 모든 스타일링 및 컨디셔닝 중합체도 포함한다.
적합한 통상의 모발용 화장제용 중합체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상기 언급한 양이온성, 음이온성, 중성, 비이온성 및 양쪽성 중합체이다.
특정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제는 또한 실리콘 화합물을 기재로 하는 컨디셔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실리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폴리알킬실록산, 폴리아릴실록산, 폴리아릴알킬실록산, 폴리에테르 실록산, 실리콘 수지 또는 디메티콘 코폴리올 (CTFA) 및 아미노관능성 실리콘 화합물, 예컨대 아모디메콘 (CTFA), "GP4 실리콘 플루이드®" 및 "GP 7100®" (Genesee), "Q2 8220®" (다우 코닝), "AFL 40®" (유니온 카바이드; Union Carbide) 또는 본 명세서에 그 내용이 전부 포함되는 EP-B 852 488, 4쪽, 1행 내지 6쪽, 16행에 개시된 중합체이다.
추가의 적합한 혼합할 만한 중합체는 실리콘-함유 중합체 골격과 실리콘-비함유 측쇄 또는 실리콘-비함유 중합체 골격과 실리콘-함유 측쇄를 가지는 실리콘 그라프트 중합체이다. 이러한 중합체의 예로는 루비플렉스 실크 (바스프) 또는 EP-B 852 488, 3쪽 20-58행에 개시된 중합체이다.
또한, 실리콘 고무도 화장용 제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와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고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그 내용이 전부 포함되는 EP-B 852488, 6쪽 17행 내지 7쪽 6행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헤어스타일링 제제, 헤어 스프레이 (에어로졸 스프레이 및 추진 가스가 없는 펌프 스프레이) 및 헤어 포움 (에어로졸 포움 및 추진 가스가 없는 펌프 포움) 중 고정제로서 특히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이러한 제제는
a)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1종 이상 0.1 내지 10중량%,
b) 물 및(또는) 알콜 20 내지 99.9중량%,
c) 1종 이상의 추진 가스 0 내지 70중량%, 및
d) 기타 성분 0 내지 20중량%
를 포함한다.
추진 가스는 헤어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 포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진 가스가다. 프로판/부탄, 펜탄, 디메틸 에테르, 1,1-디플루오로에탄 (HFC-152 a), 이산화탄소, 질소 또는 압축 공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에어로졸 헤어 포움을 위한 제제는
a)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1종 이상 0.1 내지 10중량%,
b) 물 및(또는) 알콜 55 내지 99.9중량%,
c) 추진 가스 5 내지 20중량%,
d) 유화제 0.1 내지 5 중량%, 및
e) 기타 성분 0 내지 10중량%,
를 포함한다.
유화제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는 헤어 포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유화제이다. 적합한 유화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일 수 있다.
비이온성 유화제 (INCI 명칭)의 예로는 라우레트(Laureth), 예를 들어 라우레트-4; 세테트(Ceteth), 예를 들어 세테트-1, 폴리에틸렌 글리콜 세틸 에테르; 세테아레트(Ceteareth), 예를 들어 세테아레트-25, 폴리글리콜 지방산 글리세리드, 히드록실화 레시틴, 지방산 락틸 에스테르, 알킬 폴리글리코시드이다.
양이온성 유화제의 예로는 세틸디메틸-2-히드록시에틸암모늄 디히드로젠포스페이트, 세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모늄 브로마이드, 코코트리모늄 메틸 술페이트, 쿼터늄-1 내지 x (INCI)이다.
음이온성 유화제는 예를 들어 알킬 술페이트,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술포네이트,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 숙시네이트,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N-알코일 사르코시네이트, 아실 타우레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알파-올레핀술포네이트, 특히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및 암모늄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는 분자 내에 1 내지 10개의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에틸렌 옥시드 단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은 젤 형태이다. 이러한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은 예를 들어,
a) 상기 정의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1종 이상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
b) C2-C5-알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담체 (용매), 특히 에탄올 0 내지 40중량%,
c) 1종 이상의 증점제 0.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중량%,
d) 추진 가스 0 내지 50중량%
e) a)와 상이한 1종 이상의 셋팅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비이온성 중합체 0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
f)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및 글리세롤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분제공제 0 내지 1중량%,
g) 기타 활성 성분 및(또는) 보조제, 예를 들어 1종 이상의 실리콘 화합물 0 내지 30중량%, 및
h) 전체가 100중량%가 되도록 첨가되는 물
을 포함한다.
스타일링 젤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제제는 예를 들어
a)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1종 이상 0.1 내지 10중량%,
b) 물 및(또는) 알콜 60 내지 99.85중량%,
c) 젤 형성제 0.05 내지 10중량%, 및
d) 기타 성분 0 내지 20중량%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젤 형성제는 화장제에 통상적인 모든 젤 형성제이다. 이들은 약간 가교결합된 폴리아크릴산, 예를 들어 카르보머 (INCI), 셀룰로스 유도체,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양이온성으로 개질된 셀룰로스, 다당류, 예를 들어 잔탄검, 카프릴/카프르산염 트리글리세리드, 소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쿼터늄-32 (및) 파라피늄 리퀴둠 (INCI), 소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파라피늄 리퀴둠 (INCI) (및) PPG-1 트리데세트-6, 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스테아레트-10 알릴 에테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쿼터늄-37 (및) 파라피늄 리퀴둠 (및) PPG-1 트리데세트-6, 폴리쿼터늄-37 (및) 프로필렌 글리콜디카프레이트디카프릴레이트 (및) PPG-1 트리데세트-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화장용 제제에서 컨디셔닝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샴푸 제제에서 셋팅 및(또는) 컨디셔닝제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샴푸 제제는
a)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1종 이상 0.1 내지 10중량%,
b) 물 및(또는) 알콜 25 내지 94.95중량%,
c) 계면활성제 5 내지 50중량%,
d) 추가의 컨디셔닝제 0 내지 5중량%, 및
e) 기타 화장제 성분 0 내지 10중량%,
를 포함한다.
샴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음이온성, 중성, 양쪽성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샴푸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알킬 술페이트,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술포네이트,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 숙시네이트,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N-알코일 사르코시네이트, 아실 타우레이트, 아실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 알파-올레핀술포네이트, 특히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및 암모늄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이다.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카르복실레이트는 분자 내에 1 내지 10개의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에틸렌 옥시드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술페이트, 소듐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올레일 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술포숙시네이트, 소듐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가 적합하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알킬술포베타인, 알킬 글리세니읕, 알킬 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알킬 암포아세테이트 또는 암포프로피오네이트, 알킬 암포디아세테이트 또는 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이다.
예를 들어, 코코디메틸술포프로필베타인, 라우릴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또는 소듐 코캄포프로피오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는 지방족 알콜 또는 알킬 사슬에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페놀과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반응 생성물이다. 알킬렌 옥시드의 양은 알콜 몰 당 약 6 내지 60 몰이다. 또한, 알킬아민 옥시드, 모노- 또는 디알킬알카놀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또는 소르비탄 에테르 에스테르도 적합하다.
또한, 샴푸 제제는 4차 암모늄 화합물, 예를 들어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 (INCI: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 히드록시에틸세틸디모늄 포스페이트 (INCI: 쿼터늄-44), 루비쿼트® 모노 LS (INCI 코코트리모늄 메토술페이트), 폴리(옥시-1,2-에탄디일), ((옥타데실니트릴로)트리-2,1-에탄디일)트리스(히드록시)포스페이트 (1:1) (염) (INCI 쿼터늄-52)와 같은 통상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샴푸 제제에서, 통상의 컨디셔닝제는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와 함께 사용되어 특정한 효과를 달성한다. 이들로는 예를 들어 상기 언급한 INCI 명칭 폴리쿼터늄인 양이온성 중합체, 특히 비닐피롤리돈/N-비닐이미다졸륨 염의 공중합체 (루비쿼트 FC, 루비쿼트 HM, 루비쿼트 MS, 루비쿼트 울트라케어), 디에틸 술페이트로 4차화된 N-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루비쿼트 PQ 11), N-비닐카프로락탐/N-비닐피롤리돈/N-비닐이미다졸륨 염의 공중합체 (루비쿼트 홀드); 양이온성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쿼터늄-4 및 -10),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7)를 포함한다.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실리콘 화합물을 기재로 하는 컨디셔닝 물질, 예를 들어 폴리알킬실록산, 폴리아릴실록산, 폴리아릴알킬실록산, 폴리에테르 실록산 또는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추가의 적합한 실리콘 화합물은 디메티콘 코폴리올 (CTFA) 및 아미노관능성 실리콘 화합물, 예컨대 아모디메티콘 (CTFA)이다. 또한, 양이온성 구아 유도체, 예컨대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INCI)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의도이고, 이에 제한할 의도는 아니다.
I. 분석
평균 분자량의 측정
중량평균 분자량 Mw 을 수성 용출제를 사용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로 측정하였다. 아질렌트(Agilent)의 기기의 조합 (시리즈 1100)을 사용하여 GPC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가스제거기: G 1322 A 모델
등용매 펌프: G 1310 A 모델
자동샘플채취기: G 1313 A 모델
칼럼 오븐: G 1316 A 모델
조절 모듈: G 1323 B 모델
시차 굴절계: G 1362 A 모델
물에 용해된 중합체의 경우, 사용된 용출제는 물에 용해된 트리스-완충액 (pH 7.0) 0.08 mol/L 및 NaCl 및 HCl로부터의 염소 이온 0.15 mol/L이다. 분리는 분리 칼럼 조합에서 실시하였다. GRAL BIO 선형 분리재를 사용하여 PSS의 칼럼 787 및 788번 (각각 8 x 30 mm)을 사용하였다. 통과 유속은 칼럼 온도 23℃에서 0.8 ml/분이었다.
측정은 분자량 M이194 내지 1,700,000 (mol/g)인 PSS의 폴리에틸렌 옥시드 표준으로 실시하였다.
K값 측정
공중합체의 나트륨 염 수용액의 K값은 문헌[H. Fikentscher, Cellulose-Chemie, volume 13, 58-64 and 71-74 (1932)]에 따라, pH 7, 25℃ 온도에서, 공중합체의 나트륨 염의 중합체 농도 1 중량%인 용액에서 측정하였다.
고형분 함량의 측정
한정된 양의 샘플 (약 0.5 내지 1 g)을 계량하여 알루미늄 접시 (초기 중량)에 담았다. 샘플을 IR 램프 (160 볼트) 하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그런 다음 샘플 질량을 다시 측정하였다 (최종 중량). 고체 함량 백분율 (SC)는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SC = 최종 중량 X 100/초기 중량 (중량%)
디알릴 단량체 및 공중합체의 제조
단량체 반응성 알콕실레이트의 제조:
<실시예 M1> 디알릴아민 + 20 EO (EO = 에틸렌 옥시드)
디알릴아민 2.471 kg 및 탈염수 0.126 kg를 자켓 냉각기, 산화물 측정기 및 내부 온도계를 가지는 10 L 철 반응기에 초기 도입하였다. 반응기를 약간 진공화한 뒤, 25℃에서 질소를 사용하여 15.4 bar의 기압을 형성하였다. 50분 후, 계를 3 bar로 감압하고, 80℃로 가열하였다. 그런 다음, 80분 시점에서, 에틸렌 옥시드 1.120 kg를 계량하여 가하고, 압력을 2.8 내지 4.3 bar로, 온도가 95℃를 넘지 않도록 유지하였다. 에틸렌 옥시드를 가한 뒤, 혼합물을 120분간 교반한 뒤 50℃로 냉각하였다. 1.217 kg를 반응기로부터 제거하여, 잔류 물질에 45% KOH 수용액 0.1463 kg을 가하였다. 온도를 103℃로 증가시키고, 물을 10 mbar 미만의 압력에서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질소를 사용하여 2 bar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혼합물을 122℃로 21시간 동안 가열하고, 에틸렌 옥시드 14.817 kg를 가스로 주입하고, 주입하는 동안 압력을 2 내지 5.5 bar로, 온도는 135℃를 넘지 않도록 유지하였다. 240분간 가한 뒤, 118℃에서 교반을 계속하고, 남은 옥시드를 110분에 걸쳐 첨가하고 이 온도에서 120분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80℃로 냉각하고, 반응기로부터 10.36 kg을 수득하였다. 생성물은 62.9 mg KOH/g의 OH값을 가졌다.
<실시예 M2> 디알릴아민 + 40 EO
실시예 M1 실시후 반응기에 남은 생성물을 동일한 반응기에서 86℃로 가열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비활성으로 만들고, 2 bar로 가압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115℃로 가열하고, 240분에 걸쳐 에틸렌 옥시드 6.964 kg을 가스로 주입하고, 이 때 온도가 130℃를 넘지 않고, 압력은 2 내지 5.8 bar를 유지하였다. 모두 가한 뒤, 혼합물을 117℃에서 120분간 교반하고, 생성물 13.24 kg를 반응기로부터 수득하였다. 생성물은 32.03 mg KOH/g의 OH값을 가졌다..
<실시예 M3> 디알릴아민 + 80 EO
실시예 M1에 따라 제조된 생성물 3.574 kg을 실시예1에서 사용한 반응기 내에서 45% 강도 KOH 수용액 0.04464 kg으로 처리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 옥시드 10.105 kg와 반응시켰다. 이로서 24.13 mg KOH/g의 OH 값을 가지는 반응 생성물 13.51 kg을 수득하였다.
4차화
<실시예 Q1> 디알릴아민 + 4차화된 20EO
디알릴아민 + 20EO (실시예 M1) 548.18 g을 60℃에서 용융시켰다. 1시간 경과 후, 디메틸 술페이트 67.10 g를 이 용융물에 균일하게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된 후, 혼합물을 추가로 60℃에서 2.5시간 더 교반하여 반응을 완료시켰다.
<실시예 Q2> 디알릴아민 + 4차화된 40EO
디알릴아민 + 40EO (실시예 M2) 260.00 g을 65℃에서 용융시켰다. 1시간 경과 후, 디메틸 술페이트 16.74 g을 이 용융물에 균일하게 적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된 후, 혼합물을 추가로 65℃에서 2시간 더 교반하여 반응을 완료시켰다.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P1>
탈염수 853 g, N-비닐피롤리돈 80 g, 50중량% 강도의 디알릴아민 + 4차화된 20EO (실시예 Q1) 수용액 40 g 및 트리알릴아민 1.5 g을 약한 질소류 하에서 하부 교반기, 온도계, 질소 주입구, 환류 응축기 및 적가 깔때기를 가지는 2리터 유리 반응기에 초기 도입한 뒤, 20중량% 강도의 황산 6.2 g으로 pH 6.8로 조정한 뒤 65℃로 가열하였다.
원하는 65℃ 온도에 이르자마자, 물 60.5 g 중 개시제 (와코(Wako)® V50) 1.5 g의 용액 20 g을 3시간에 걸쳐 가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1시간 더 교반한 뒤, 남은 개시제 용액 (42 g)을 1시간에 걸쳐 가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후중합하였다.
용액의 고형분 함량은 약 10%였다.
<실시예 P2>
탈염수 856 g, N-비닐피롤리돈 80 g, 50중량% 강도의 디알릴아민 + 4차화된 20EO (실시예 Q1)의 수용액 40 g 및 트리알릴아민 0.75 g을 약한 질소류 하에서 초기 도입한 뒤, 5중량% 강도의 황산 6.8 g으로 pH 6.8로 조정한 뒤 65℃로 가열하였다.
원하는 65℃ 온도에 이르자마자, 물 60.5 g 중 개시제 (와코® V50) 1.5 g의 용액 20 g을 3시간에 걸쳐 가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1시간 더 교반한 뒤, 남은 개시제 용액 (42 g)을 1시간에 걸쳐 가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후중합하였다.
용액의 고형분 함량은 약 10%였다.
<실시예 P3>
탈염수 846 g, N-비닐피롤리돈 70 g, 50중량% 강도의 디알릴아민 + 4차화된 20EO (실시예 Q1) 수용액 60 g 및 트리알릴아민 0.75 g을 약한 질소류 하에서 초기 도입한 뒤, 5중량% 강도의 황산 19 g으로 pH 6.8로 조정한 뒤 65℃로 가열하였다.
원하는 65℃ 온도에 이르자마자, 물 60.5 g 중 개시제 (와코® V50) 1.5 g의 용액 20 g을 3시간에 걸쳐 가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1시간 더 교반한 뒤, 남은 개시제 용액 (42 g)을 1시간에 걸쳐 가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후중합하였다.
용액의 고형분 함량은 약 10%였다.
<실시예 P4>
탈염수 836 g, N-비닐피롤리돈 60 g, 50중량% 강도의 디알릴아민 + 4차화된 20EO (실시예 Q2) 수용액 80 g 및 트리알릴아민 0.75 g을 약한 질소류 하에서 초기 도입한 뒤, 5중량% 강도의 황산 19 g으로 pH 6.8로 조정한 뒤 65℃로 가열하였다.
원하는 65℃ 온도에 이르자마자, 물 60.5 g 중 개시제 (와코® V50) 1.5 g의 용액 20 g을 3시간에 걸쳐 가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1시간 더 교반한 뒤, 남은 개시제 용액 (42 g)을 1시간에 걸쳐 가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후중합하였다.
용액의 고형분 함량은 약 10%였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P1 내지 P4을 10중량% 강도의 수용액 형태로 하기 제시한 제제를 제조하는데에 사용하였고, 이에 정량적 데이터를 기초로 하였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퍼센트는 중량퍼센트이다.
FB1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루비스콜 K30 를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0.50 카르보폴 940 (6) 카르보머
87.60 탈염수 탈염수
0.70 트리에탄올아민 케어 (1) 트리에탄올아민
6.00 중합체 P1 (1)
5.00 루비스콜 K30 용액 (1) PVP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 RH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페노닙 (42)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0.1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6)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 케미칼 디비젼
(42) 클라리안트(Clariant)
FB2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루비스콜 VA64 를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0.50 카르보폴 980 (6) 카르보머
87.60 탈염수 탈염수
0.90 뉴트롤 TE (1)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
에틸렌디아민
7.00 중합체 P2 (1)
4.00 루비스콜 VA64 W (1) VP/VA 공중합체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 CO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페노닙(42)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0.10 1,2-프로필렌 글리콜 케어 (1) 프로필렌 글리콜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6)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 케미칼 디비젼
(42) 클라리안트
FB3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루비스콜 ( Luviskol ) K90 을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0.50 카르보폴(Carbopol) ETD 2001 (6) 카르보머
87.60 탈염수 탈염수
0.70 트리에탄올아민 케어 (1) 트리에탄올아민
6.00 중합체 P3 (1)
5.00 루비스콜 K90 (1) PVP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Cremophor) CO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니파긴(Nipagin) M (34) 메틸파라벤
0.1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27)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6)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 케미칼 디비젼
(34) 니파 래버러토리즈 리미티드 (Nipa Laboratories ltd.)
(27) 코그니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Cognis Deutschland GmbH)
FB4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루비쿼트 홀드를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10.00 중합체 P1 (1)
2.50 루비쿼트 홀드 (1) 폴리쿼터늄-46
15.00 에탄올 96% 알콜
70.30 탈염수 탈염수
5.00 루비스콜 K90 (1) PVP
0.10 향유
0.10 글리세롤 (20) 글리세린
2.00 나트로솔(Natrosol) 250 HR (4)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6)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 케미칼 디비젼
(20) 머크(Merck KGaA)
(4) 아쿠알론 게엠베하(Aqualon GmbH)
FB5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어메이즈(Amaze)를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6.00 중합체 P2 (1)
2.00 어메이즈 (72) 개질된 옥수수 전분
0.50 하이다겐(Hydagen) HCMF (27) 키토산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 CO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아빌(Abil) 8843 (44) PEG-14 디메티콘
 0.10 페노닙(Phenonip) (42)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91.40 탈염수 탈염수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6)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 케미칼 디비젼
(27) 코그니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42) 클라리안트
(44) Th. 골드슈미트 아게 (Goldschmidt AG)
(72) 내셔널 스타치 앤드 케미칼 리미티드
FB6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스틸레즈 ( Styleze ) CC -10를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8.00 중합체 P3 (1)
5.00 스틸레즈 CC-10 (65) VP/DMAPA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05 AMP (56)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84.85 탈염수 탈염수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 RH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다우 코닝 190 (16) 디메티콘 코폴리올
0.10 페노닙 (42)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2.00 클루셀(Klucel) (4)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4) 아쿠알론 게엠베하
(16)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oration)
(42) 클라리안트
(56) 앵거스 케미칼 컴퍼니(Angus Chemical Company)
ISP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B7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스틸레즈 2000을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6.00 중합체 P1 (1)
1.00 스틸레즈 2000 (65) VP/아크릴레이트/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26 AMP (56)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90.64 탈염수 탈염수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 RH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캐리온(Karion) F 리퀴드 (20) 소르비톨
0.10 페노닙 (42)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2.00 히드록시프로필구아 히드록시프로필구아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20) 머크 KGaA
(42) 클라리안트
(56) 앵거스 케미칼 컴퍼니
ISP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B8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알리안즈 ( Allianz ) LT -120을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0.50 울트레즈(Ultrez) 10 (6) 카르보머
90.01 탈염수 탈염수
0.70 트리에탄올아민 케어 (1) 트리에탄올아민
6.00 중합체 P2 (1)
2.00 알리안즈 LT-120 (61) 아크릴레이트/C1 -2 숙시네이트/
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9 AMP (56)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 CO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플루라케어(Pluracare) E400 (1) PEG-8
0.10 페노닙 (42)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0.50 나트로솔 250 HR (4)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4) 아쿠알론 게엠베하
(6)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 케미칼 디비젼
(42) 클라리안트
(56) 앵거스 케미칼 컴퍼니
(61) 롬 앤드 하스 게엠베하
FB9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픽소머 ( Fixomer ) A30을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7.00 중합체 P4 (1)
7.00 픽소머 A30
0.70 트리에탄올아민 케어 (1) 트리에탄올아민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 CO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D-판테놀 USP (1) 판테놀
0.10 페노닙 (42)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84.90 탈염수 탈염수
1.00 세피겔(Sepigel) 305 (175)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42) 클라리안트
(175) 세픽(Seppic)
FB10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PVF 를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0.50 카르보폴 940 (6) 카르보머
90.50 탈염수 탈염수
0.70 트리에탄올아민 케어 (1) 트리에탄올아민
7.00 중합체 P1 (1)
1.00 PVF (72) 폴리비닐포름아미드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 RH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페노닙 (42)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0.10 유비눌(Uvinul) MC 80 (1)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10 아빌 8843 (44) PEG-14 디메티콘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6)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 케미칼 디비젼
(42) 클라리안트
(44) Th. 골드슈미트 아게
(72) 내셔널 스타치 앤드 케미칼 리미티드
FB11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0.50 카르보폴 940 (6) 카르보머
88.50 탈염수 탈염수
0.70 트리에탄올아민 케어 (1) 트리에탄올아민에틸렌디아민
10.00 중합체 P4 (1)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 CO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페노닙 (42)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0.10 1,2-프로필렌 글리콜 케어 (1) 프로필렌 글리콜
0.1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27)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6)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 케미칼 디비젼
(27) 코그니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42) 클라리안트
FB12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10.00 중합체 P2 (1)
15.00 에탄올 96%
72.70 탈염수 탈염수
0.10 향유
0.10 글리세롤 (20) 글리세린
0.10 D-판테놀 USP (1) 판테놀
2.00 나트로솔 250 HR (4)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6)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 케미칼 디비젼
(20) 머크 KGaA
아쿠알론 게엠베하
FB13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0.50 카르보폴 ETD 2001 (6) 카르보머
88.50 탈염수 탈염수
0.70 트리에탄올아민 케어 (1) 트리에탄올아민
10.00 중합체 P1 (1)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 CO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니파긴 M (34) 메틸파라벤
0.10 유비눌 MC 80 (1)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10 아빌 8843 (44) PEG-14 디메티콘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6) 비.에프. 굿리치 컴퍼니 케미칼 디비젼
(34) 니파 래버러토리즈 리미티드
(44) Th. 골드슈미트 아게
FB13a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헤어젤
% 원료 공급처 INCI
10.00 중합체 P3 (1)
소량 향유
소량 크레모포어 CO 40 (1)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10 팔라티놀(Palatinol) A (1) 디에틸 프탈레이트
 0.10 루비톨(Luvitol) EHO (1) 세테아릴 에틸헥사노에이트
 0.10 세티올 HE (27)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0.10 페노닙 (42)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및 프로필파라벤
87.70 탈염수 탈염수
 2.00 루비겔(Luvigel) EM (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27) 코그니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42) 클라리안트
FB14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고정 용액
% 원료 공급처 INCI
62.60 에탄올 96 % 알콜
30.00 탈염수 탈염수
  0.10 다우 코닝 190 폴리에테르 (16) 디메티콘 코폴리올
  0.10 향유
  0.10 유비눌 MC 80 (1)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10 D-판테놀 USP (1) 판테놀
  7.00 중합체 P4 (1)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16)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B15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고정 용액
% 원료 공급처 INCI
0.10 다우 코닝 190 폴리에테르 (16) 디메티콘 코폴리올
0.05 다우 코닝 344 플루이드 (16) 시클로메티콘
소량 향유
53.85 에탄올 96% 알콜
40.00 탈염수 탈염수
6.00 중합체 P1 (1)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16)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B16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고정 용액
% 원료 공급처 INCI
 0.10 D-판테놀 USP (1) 판테놀
0.10 뉴트릴란 케라틴(Nutrilan Keratin) W
0.10 엘라스틴(Elastin) PG 2000 가수분해된 엘라스틴
0.40 유비눌 M 40 (1) 벤조페논-3
10.00 탈염수 탈염수
84.30 에탄올 96% 알콜
소량 향유
5.00 중합체 P2 (1)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B17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루비쿼트 스타일을 함유하는 고정 용액
% 원료 공급처 INCI
4.00 중합체 P2 (1) 폴리비닐카프로락탐
3.50 루비쿼트(Luviquat) 스타일 (1) 폴리쿼터늄-16
72.20 에탄올 96% 알콜
20.00 탈염수 탈염수
소량 향유
공급처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B18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고정 용액
% 원료 공급처 INCI
 4.00 중합체 P1 (1)
 0.20 플루라케어 E 400 (1) PEG-8
 0.10 향유
10.00 탈염수
85.70 에탄올 96 % 알콜
공급처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B19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펌프 스프레이
% 원료 공급처 INCI
26.00 중합체 P3 (1)
73.70 에탄올 96% 알콜
0.10 향유
0.10 유비눌 MC 80 (1)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10 다우 코닝 190 (16) PEG/PPG-18/18 디메티콘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16)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B20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펌프 스프레이
% 원료 공급처 INCI
26.00 중합체 P2 (1)
4.00 루비스콜 플러스 (1) 폴리비닐카프로락탐
69.60 에탄올 96 % 알콜
0.10 유비눌 MC 80 (1)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10 다우 코닝 344 (16) 시클로메티콘
0.10 다우 코닝 556 (16) 페닐 트리메티콘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16)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B21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NON VOC
% 원료 공급처 INCI
13.00 중합체 P4 (1)
0.10 향유
0.10 1,2-프로필렌 글리콜 케어 (1) 프로필렌 글리콜
0.10 시트로플렉스(Citroflex) 2 (53)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46.70 탈염수 탈염수
40.00 HFC 152A 히드로플루오로카본 152a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53) 화이자 케미(Pfizer Chemie)
FB22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루비세트 캔( CAN )을 함유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NON VOC
% 원료 공급처 INCI
10.00 중합체 P1 (1)
2.00 루비세트 CAN (1) VA/크로토네이트/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
0.16 AMP (56)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0.10 향유
0.10 피탄트리올 (1) 피탄트리올
52.64 탈염수 탈염수
35.00 HFC 152A 히드로플루오로카르본 152a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56) 앵거스 케미칼 컴퍼니
FB23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루비세트 P.U.R.을 함유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VOC 55
% 원료 공급처 INCI
 7.00 중합체 P4 (1)
 7.00 루비세트 P.U.R. (1) 폴리우레탄-1
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
14.30 무수 에탄올 알콜
36.50 탈염수 탈염수
 0.10 1,2-프로필렌 글리콜 케어 (1) 프로필렌 글리콜
 0.10 향유
40.00 DME - 디메틸 에테르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B24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루비스콜 플러스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VOC 55
% 원료 공급처 INCI
10.00 중합체 P2 (1)
 5.00 루비스콜 플러스 (1) 폴리비닐카프로락탐
17.00 무수 에탄올 알콜
32.80 탈염수 탈염수
 0.10 니아신아미드 니아신아미드
 0.10 향유
35.00 DME 디메틸 에테르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B25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루비머 100P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VOC 80
% 원료 공급처 INCI
10.00 중합체 P3 (1)
1.00 루비머 100P (1)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24 AMP (56)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35.00 무수 에탄올 알콜
8.56 탈염수 탈염수
0.10 Belsil CM040 (156) 시클로펜타실록산
0.10 향유
10.00 n-부탄 - 부탄
35.00 DME - 디메틸 에테르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56) 앵거스 케미칼 컴퍼니
(156) 바커 케미 게엠베하(Wacker Chemie GmbH)
FB26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루비스콜 VA37 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VOC 80
% 원료 공급처 INCI
10.00 중합체 P1 (1)
4.00 루비스콜 VA37 (1) VP/VA 공중합체
38.00 무수 에탄올 알콜
7.70 탈염수 탈염수
0.10 D-판테놀 USP (1) 판테놀
0.10 다우 코닝 556 (16) 페닐 트리메티콘
0.10 향유
40.00 DME - 디메틸 에테르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16)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B27 : 물을 포함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루비플렉스 실크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 원료 공급처 INCI
 7.00 중합체 P1 (1)
4.00 루비플렉스 실크 (1) PEG/PPG-25/25 디메티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47 AMP (56)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48.23 무수 에탄올 알콜
0.10 팔라티놀 A (1) 디에틸 프탈레이트
0.10 D-판테놀 USP (1) 판테놀
0.10 향유
10.00 프로판/부탄 - 프로판/부탄
30.00 DME - 디메틸 에테르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56) 앵거스 케미칼 컴퍼니
FB28 : 물을 포함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및 암포머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 원료 공급처 INCI
10.00 중합체 P4 (1)
1.00 암포머 28-4910 (72) 아크릴레이트s 공중합체
0.17 AMP (56)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43.53 무수 에탄올 알콜
0.10 다우 코닝 193 (16) PEG-12 디메티콘
0.10 다우 코닝 556 (6) 페닐 트리메티콘
0.10 향유
45.00 DME - 디메틸 에테르
공급처
(1)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16)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56) 앵거스 케미칼 컴퍼니
(72) 내셔널 스타치 앤드 케미칼 리미티드
혼합방법:
FB29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펌프 헤어 세팅 포움
3.00 중합체 P1
1.00 루비쿼트 모노 CP 히드록시에틸 세틸디모늄 포스페이트
0.20 크레모포어 A 25 세테아레트-25
0.40 향유 PC 910.781/크레모포어
95.40 탈염수 탈염수
소량 방부제
제조방법:
성분들로 균일한 혼합물을 제조하여 펌프식 포움 병에 옮긴다.
FB30 : 펌프 스프레이
A 소량 크레모포어 CO 40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소량 향유
75.50 탈염수 탈염수
7.30 중합체 P1
B 1.00 1,2-프로필렌 글리콜 케어 프로필렌 글리콜
0.20 유비눌 P 25 PEG-25 PABA
1.00 루비쿼트 HM 552 폴리쿼터늄-16
15.00 에탄올 96% 알콜
제조방법:
상 A를 교반한다. 상 B의 성분을 차례로 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킨 뒤 병에 담는다.
FB31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스타일링 워터
A 0.70 크레모포어 CO 40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20 향유
75.10 탈염수 탈염수
7.30 중합체 P1
B 1.00 1,2-프로필렌 글리콜 케어 프로필렌 글리콜
0.50 루비쿼트 울트라케어 폴리쿼터늄-44
0.20 유비눌 P 25 PEG-25 PABA
15.00 에탄올 96% 알콜
제조방법:
상 A를 교반한다. 상 B의 성분을 차례로 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킨 뒤 병에 담는다.
FB32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헤어 포움
A 0.70 크레모포어 CO 40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20 향유
78.50 탈염수 탈염수
B 0.50 루비쿼트 모노 LS 코코트리모늄 메토술페이트
6.70 중합체 P3
2.50 루비쿼트 홀드 폴리쿼터늄-46
0.20 유비눌 P 25 PEG-25 PABA
0.50 플루라케어 E 400 PEG-8
0.20 크레모포어 A 25 세테아레트-25
소량 방부제
C 10.00 프로판/부탄 3.5 bar (20℃) 프로판/부탄
제조방법:
상 A를 교반한다. 상 B의 성분을 차례로 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킨 뒤 상 C와 함께 병에 담는다.
FB33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스타일링 무스
A 2.00 루비쿼트 모노 LS 코코트리모늄 메토술페이트
소량 향유
B 62.85 탈염수 탈염수
7.00 중합체 P1
2.00 루비쿼트 PQ 11 폴리쿼터늄-11
0.20 크레모포어 A 25 세테아레트-25
0.50 D-판테놀 USP 판테놀
0.05 유비눌 MS 40 벤조페논-4
0.20 다우 코닝 949 양이온성
15.00 에탄올 96% 알콜
C 0.20 나트로솔 250 HR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D 10.00 프로판/부탄 3.5 bar (20℃) 프로판/부탄
제조방법:
상 A를 혼합한다. 상 B의 성분을 차례로 가하고 혼합한다. 상 C를 가하고 균일하게 분산될 때까지 교반한다. pH를 6 내지 7로 조정한다. 상 D와 함께 병에 담는다.
FB34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셋팅 포움
A 2.00 루비쿼트 모노 LS 코코트리모늄 메토술페이트
소량 향유
B 83.13 탈염수 탈염수
0.47 AMP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0.20 방부제
0.20 아빌 B 8843 디메티콘 코폴리올
C 4.00 중합체 P1
D 10.00 프로판/부탄 3.5 bar (20℃) 프로판/부탄
제조방법:
상 A를 혼합한다. 상 B의 무게를 재어 투명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상 B를 상 A 내로 교반해 넣는다. 상 C를 가하고 교반한다. 상 D와 함께 병에 담는다.
FB35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촉촉해 보이는( wetlook ) 셋팅 포움
A 3.00 루비쿼트 모노 LS 코코트리모늄 메토술페이트
0.20 향유
B 78.80 탈염수 탈염수
C 5.00 글리세롤 87% 글리세린
소량 방부제
3.00 중합체 P2
D 10.00 프로판/부탄 3.5 bar (20℃) 프로판/부탄
제조방법:
상 A를 혼합한다. 상 B를 상 A 내로 교반하여 첨가한다. 상 C를 가한다. 상 D와 함께 병에 담는다.
FB36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포움 컨디셔너
5.00 루비쿼트 PQ 11 폴리쿼터늄-11
5.00 중합체 P2
0.50 루비쿼트 모노 CP 히드록시에틸 세틸디모늄
포스페이트
10.00 무수 에탄올 알콜
0.40 향유 "카리나(Carina)"/크레모포어 RH
소량 방부제
69.10 탈염수 탈염수
10.00 프로판/부탄 프로판/부탄
제조방법:
모든 성분의 무게를 재고, 균일하게 분산될 때까지 교반한다. 병에 담는다.
FB37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광택( Sheen ) 헤어 왁스
5.00 루비톨 EHO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5.00 피마자유 피마자 (리시누스 콤무니스
(Ricinus Communis)) 유
17.00 바셀린 페트롤라툼
7.00 테세로-와흐스(TeCero-Wachs) 1030 K 미세결정 왁스
6.00 밀랍 3044 PH 밀랍
5.00 중합체 P1 (무수)
3.00 유비눌 MBC 95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2.00 유비눌 MBM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0.10 피탄트리올 피탄트리올
0.50 페녹시에탄올 페녹시에탄올
48.40 고점성도 파라핀유 광물유
11.00 다우 코닝 556 플루이드 페닐 트리메티콘
소량 향유
제조방법:
상 A의 성분의 무게를 재어 용융시킨다.
FB38 : 컬러 발삼( COLOR BALSAM )
A 1.50 크레모포어 A 6 세테아레트-6, 스테아릴 알콜
1.50 크레모포어 A 25 세테아레트-25
3.00 세틸스테아릴 알콜 세테아릴 알콜
6.00 루비톨 EHO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0.30 피탄트리올 피탄트리올
B 7.70 루비쿼트 울트라케어 폴리쿼터늄-44
6.00 중합체 P4
2.00 1,2-프로필렌 글리콜 케어 프로필렌 글리콜
1.00 D-판테놀 USP 판테놀
소량 방부제
70.87 탈염수 탈염수
C 0.05 염기성 보라색 14 C.I. 42510, 염기성 보라 14
0.08 염기성 적색 76 C.I. 12245, 염기성 적색 76
소량 향유
소량 시트르산 시트르산
제조방법:
상 A 및 B를 별도로 약 80℃로 가열한다. 상 B를 상 A에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균질화하고, 약간 후균질화하였다. 약 40℃로 냉각한 뒤, 상 C를 가하고 약간 균질화하였다. pH를 6 내지 7로 조정하였다.
FB39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헤어 리페어 ( REPAIR ) 트리트먼트
A 0.20 루비톨 EHO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3.00 중합체 P1
0.10 피탄트리올 피탄트리올
2.00 크레모포어 CO 40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B 소량 향유
2.00 루비쿼트 모노 LS 코코트리모늄 메토술페이트
C 79.70 탈염수 탈염수
D 2.00 루비쿼트 엑셀런스 폴리쿼터늄-16
1.00 실리콘 오일 SF 1288 디메티콘 코폴리올
소량 방부제
10.00 에탄올 96% 알콜
소량 시트르산 시트르산
제조방법:
상 A 및 B를 각각 혼합한다. 상 C를 교반하면서 상 B로 가하였다. 상 B 및 C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상 A로 가하였다. 상 D를 가하고 점도가 높아질 때까지 교반한다. pH를 4 내지 5로 조정한다.
FB40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헤어
A 0.50 글루카메이트 SSE-20 PEG-20 메틸 글루코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량 크레모포어 CO 40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소량 향유
30.00 탈염수 탈염수
B 10.00 루비쿼트 홀드 폴리쿼터늄-46
2.00 루비스콜 K 90 PVP
6.00 중합체 P2
0.30 저멀(Germall) 115 이미다졸리닐 우레아
0.10 왹실(Euxyl) K 100 벤질 알콜,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존
0.50 D-판테놀 USP 판테놀
5.00 플루라케어 E 6000 PEG 90
3.00 1,2-프로필렌 글리콜 케어 프로필렌 글리콜
40.10 탈염수 탈염수
C 2.50 나트로솔 250 HR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제조방법:
상 A를 가용화한다. 상 B를 용해하고, 상 A에 교반하면서 가한다. 상 C를 상 A 및 B의 용액에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FB41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실키 헤어 칵테일( SILKY HAIR COCKTAIL )
A 3.00 루비겔 EM 카프리산/카프릴산/카프르 글리세리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00 중합체 P1 (무수)
0.50 배커 벨실 DMC 6031 디메티콘 코폴리올
2.00 배커 벨실 DM 1000 디메티콘
3.00 배커 벨실 CM 1000 시클로메티콘, 디메티콘
2.00 배커 벨실 ADM 6057E 아모디메티콘,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트리데세트-10
2.00 배커 벨실 PDM 200 페닐 트리메티콘
1.00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마카다미아 (테르니폴리아(Ternifolia))
너트 오일
0.5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00 크레모포어 CO 40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소량 향유
B 77.54 탈염수 탈염수
0.46 AMP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4.00 루비플렉스 실크 PEG/PPG-25/25 디메티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소량 방부제
제조방법:
상 A의 성분을 혼합한다. 상 B를 용해한다. 상 B를 교반하면서 상 A에 가하고 균질화한다.
FB42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오일 광택 모이스쳐라이저( moisturizer )
A 2.00 세틸 알콜 세틸 알콜
1.00 솔란(Solan) ELD PEG-75 라놀린
4.0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0 크레모포어 A 25 세테아레트-25
4.00 루비톨 EHO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B 10.00 글리세롤 87% 글리세린
5.00 중합체 P4
2.00 1,2-프로필렌 글리콜 케어 프로필렌 글리콜
1.00 루비쿼트 모노 LS 코코트리모늄 메토술페이트
1.50 실리콘 마이크로에멀젼 트리메틸실릴아미노디메티콘,
SM 2115 옥톡시놀-40,
이소라우레트-6, 글리세린
1.00 크레모포어 PS 20 폴리소르베이트 20
67.00 탈염수 탈염수
C 0.50 D-판테놀 USP 판테놀
소량 방부제
소량 향유
소량 시트르산 시트르산
제조방법:
상 A 및 B를 별도로 약 80℃로 가열한다. 상 B를 상 A에 교반하면서 가하고 균질화한다. 약 40℃로 냉각하고, 상 C를 가한 뒤 다시 잘 균질화한다.
FB43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고광택 셋팅 크림
A 5.00 세틸 알콜 세틸 알콜
10.00 테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5.0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소량 방부제
1.00 다우 코닝 200 플루이드 디메티콘
B 5.00 글리세롤 87% 글리세린
5.00 중합체 P1
0.20 에데타 BD 디소듐 EDTA
2.00 루비스콜 K 30 PVP
66.80 탈염수 탈염수
C 소량 향유
제조방법:
상 A 및 B를 별도로 약 80℃로 가열한다. 상 A에 상 B를 교반하면서 가하고 균질화한다. 약 40℃로 냉각하고, 상 C를 가한뒤 살짝 다시 균질화한다.
FB44 : 퍼머넌트 웨이브( PERMANENT WAVE )
A 70.95 탈염수 탈염수
3.00 중합체 P1
0.20 테고 베타인 L 7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0.20 크레모포어 PS 20 폴리소르베이트 20
1.25 루비쿼트 엑설런스 폴리쿼터늄-16
0.20 에데타(Edeta) BD 디소듐 EDTA
0.20 나트로솔 250 HR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B 8.00 80%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
C 11.00 25% 암모니아 용액 수산화암모늄
D 5.00 암모늄 카르보네이트 암모늄 카르보네이트
제조방법:
상 A의 모든 성분의 무게를 재고 혼합한다. 상 B를 상 A에 교반하면서 가한다.
FB45 :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파마용 중화제
A 1.00 크레모포어 CO 40 PEG-40 수소화된 피마자유
0.20 향유
2.00 중합체 P3
91.60 탈염수 탈염수
B 0.20 테고 베타인 L 7 코크아미도프로필 베타인
0.20 크레모포어 A 25 세테아레트-25
2.50 루비쿼트 엑설런스 폴리쿼터늄-16
소량 방부제
C 2.30 과산화수소 30% 과산화수소
D 소량 인산 85% 인산
제조방법:
상 A를 가용화한다. 상 B의 성분을 차례로 가하고 혼합한다. 상 C를 가하고 다시 교반한다. pH를 3.0 내지 3.5로 조정한다.

Claims (13)

  1. a) 중성 또는 4차화된 형태의 화학식 I의 디알릴아민 (단량체 A) 1종 이상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O는 C1-C12-알킬렌 옥시드, 스티렌 옥시드 또는 그의 임의의 혼합물이고,
    n은 2 내지 200의 정수이고,
    x는 0 또는 1이며,
    R1은 수소, C1 -C20-알킬, C2 -C20-알케닐, C5 -C10-시클로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벤질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C1 -C30-알킬, C5-C8-시클로알킬, C6-C20-아릴, C1-C30-알카노일, C7-C21-아로일, 황산 (반)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아미노 또는 암모늄이고,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C1-C20-알킬, C2-C20-알케닐, C5-C10-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임);
    b) i) N-비닐락탐,
    ii) N-비닐아미드,
    iii) N-비닐이미다졸, 및
    iv) 단량체 A와 상이한 N,N-디알릴아민, 및 이들 단량체의 임의의 혼합물 또는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단량체 B);
    c) 적절한 경우,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C; 및
    d) 적절한 경우, 1종 이상의 가교결합제
    를 단량체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단량체 B가 N-비닐카프로락탐 또는 N-비닐피롤리돈인 중합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가 1,000 내지 2,000,000인 중합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내지 120의 K 값을 가지는 중합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될 단량체 혼합물이
    a) 단량체 A 1 내지 95 몰%;
    b) 단량체 B 5 내지 99 몰%; 및
    c) 단량체 C 0 내지 50 몰%
    를 포함하는 것인 중합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량체 A, B 및 C의 총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의 가교결합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해성 또는 수분산성인 중합체.
  8. 단량체 A 및 B, 임의로는 C, 및 임의로는 가교결합제를 유기 라디칼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및 화장제 분야에 통상적인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용 제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및 헤어 케어에 통상적인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헤어 케어 조성물.
  11. a) 중성 또는 4차화된 형태의 화학식 I의 디알릴아민 (단량체 A) 1종 이상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O는 C1-C12-알킬렌 옥시드, 스티렌 옥시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이고,
    n은 2 내지 200의 정수이고,
    x는 0 또는 1이고,
    R1은 수소, C1-C20-알킬, C2-C20-알케닐, C5-C10-시클로알킬 또는 임의로는 치환된 벤질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C1-C30-알킬, C5-C8-시클로알킬, C6-C20-아릴, C1-C30-알카노일, C7-C21-아로일, 황산 (반)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아미노 또는 암모늄,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수소, C1-C20-알킬, C2-C20-알케닐, C5-C10-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임);
    b)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및
    c) 적절한 경우 1종 이상의 가교결합제
    를 단량체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중합체의 화장제 또는 피부과용 제제에서의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가
    i) N-비닐락탐,
    ii) N-비닐아미드,
    iii) N-비닐이미다졸, 및
    iv) 단량체 A와 상이한 N,N-디알릴아민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1종 이상 또는 이들 단량체의 임의의 혼합물 또는 그의 염인 중합체의 화장용 제제, 또는 헤어 케어 조성물에서의 용도.
  13. 제12항에 따른 중합체, 및 화장제 분야에 통상적인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0067022660A 2004-03-31 2005-03-26 디알릴아민을 포함하는 중합체 KR20070011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16650.1 2004-03-31
DE102004016650A DE102004016650A1 (de) 2004-03-31 2004-03-31 Diallylamine enthaltende Polymeris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420A true KR20070011420A (ko) 2007-01-24

Family

ID=3496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660A KR20070011420A (ko) 2004-03-31 2005-03-26 디알릴아민을 포함하는 중합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191548A1 (ko)
EP (1) EP1732961A1 (ko)
JP (1) JP2007530755A (ko)
KR (1) KR20070011420A (ko)
CN (1) CN1938348A (ko)
CA (1) CA2558550A1 (ko)
DE (1) DE102004016650A1 (ko)
RU (1) RU2006138175A (ko)
WO (1) WO2005095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6007A1 (de) * 2005-06-03 2006-12-07 Beiersdorf Ag Kosmet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einem besonderen Anisfruchtextrakt und sulfonierten Lichtfiltern
DE102005026006A1 (de) * 2005-06-03 2006-12-07 Beiersdorf Ag Kosmet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einem besonderen Anisfruchtextrakt und Triazin-Lichtfiltern
US20070160560A1 (en) * 2005-10-28 2007-07-12 Ludivine Laure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fixative polymer and at least one surfactant chosen from ionic and nonionic surfactants
FR2892629B1 (fr) * 2005-10-28 2012-04-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fixant particulier et au moins un tensioactif ionique et/ou non ionique
EP2022479A1 (en) * 2007-08-07 2009-02-11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Hair styling composition
US8312886B2 (en) * 2007-08-09 2012-11-20 Philip Morris Usa Inc. Oral tobacco product having a hydrated membrane coating and a high surface area
KR101689904B1 (ko) * 2009-03-05 2016-12-26 시바 코포레이션 개인 관리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양성 삼원공중합체
FR2948873A1 (fr) * 2009-08-07 2011-02-1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poly(diallylamines alcoxyles) neutralises,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FR2948874A1 (fr) * 2009-08-07 2011-02-1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poly(diallylamines alcoxyles) quaternises,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WO2011146394A1 (en) * 2010-05-17 2011-11-24 Millipore Corporation Stimulus responsive polymers for the purification of biomolecules
RU2466148C1 (ru) * 2011-05-03 2012-11-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Х.М. Бербекова" Сополимер на основе n,n-диаллиламиноэтановой кислоты и винилацетата
FR2984142B1 (fr) * 2011-12-20 2013-12-20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polymere acrylique particulier et copolymere silicone, procede d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le mettant en oeuvre
DE102014214463A1 (de) * 2014-07-24 2016-01-28 Beiersdorf Ag Deodorantzubereitungen umfassend Polyquaternium Polyme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3366C2 (de) * 1995-11-21 1998-09-10 Stockhausen Chem Fab Gmbh Mit ungesättigten Aminoalkoholen vernetzte, wasserquellbare Polymerisat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0241296A1 (de) * 2002-09-04 2004-03-18 Basf Ag Verwendung von vernetzten kationischen Polymerisaten in der Kosmeti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8348A (zh) 2007-03-28
JP2007530755A (ja) 2007-11-01
US20070191548A1 (en) 2007-08-16
CA2558550A1 (en) 2005-10-13
DE102004016650A1 (de) 2005-10-20
WO2005095479A1 (de) 2005-10-13
EP1732961A1 (de) 2006-12-20
RU2006138175A (ru) 200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520B1 (ko) 양쪽성 공중합체, 그의 제조 및 그의 용도
KR20070011420A (ko) 디알릴아민을 포함하는 중합체
KR101353777B1 (ko) 실리콘기 함유 공중합체, 그의 제조 및 용도
KR101026326B1 (ko) (메트)아크릴아미드 단위를 함유하는 1종 이상의 수용성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311056B1 (ko) 질소 원자를 갖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함유한 수용성 또는수분산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제제
US20080194708A1 (en) Cationic Polymers as Thickeners for Aqueous and Alcoholic Compositions
US8252296B2 (en) Aqueous polymer dispersion and use thereof in cosmetics
KR20090077780A (ko) 4급화 질소-함유 단량체 기재의 양쪽성 공중합체
KR20070099038A (ko) 화장품 제제를 위한 증점제 형태의 수-중-수 에멀젼중합체의 용도
WO2008017653A1 (de) Verwendung von kationischen copolymerisaten aus aminhaltigen acrylaten und n-vinylimidazoliumsalzen in haarkosmetischen zubereitungen
KR20110073492A (ko)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의 존재 하의 침전 중합
WO2005004821A1 (de) Kosmetische und pharmazeutische mittel auf basis von polyelektrolyt-komplexen
EP2175934A2 (de) Kosmetische mittel auf basis von vinylimidazol-polymeren
EP1916991A1 (de) Vernetzte methylmethacrylat-copolymere für kosmetische anwendungen
US20050053566A1 (en) Cosmetic agent containing at least one copolymer having nvinyllactam units
US20050281774A1 (en) Use of polymers based on n-vinyl caprolactam
US20070081964A1 (en) Use of polymers based on n-vinyl caprolactam in hair cosmetics
DE102004051647A1 (de) Kosmet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Ethylmethacrylat-Copolymere
EP1915124B1 (de) Festigerpolymere auf basis von polyesteracrylaten
RU2403898C2 (ru) Водны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ин растворимый или диспергируемый в воде сополимер с катионогенными группами
RU2481099C2 (ru) Применение катионных сополимеров на основе содержащих аминогруппы акрилатов и солей n-винилимидазолия в косметических препаратах для волос
WO2006106113A2 (de) Verwendung von polyisobuten enthaltenden copolymerisaten in shampoos und haarpflegemittel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