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035A - 휴대폰과 연동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과 연동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035A
KR20070011035A KR1020050094166A KR20050094166A KR20070011035A KR 20070011035 A KR20070011035 A KR 20070011035A KR 1020050094166 A KR1020050094166 A KR 1020050094166A KR 20050094166 A KR20050094166 A KR 20050094166A KR 20070011035 A KR20070011035 A KR 20070011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mobile phone
cradle
ke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9862B1 (ko
Inventor
조왕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Publication of KR2007001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by access privileges are related to the ident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증된 사용자만이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대안으로, 사전에 인증된 사용자가 아닌 제3자가 차량을 운전하기 위해 자동차 키를 차에 꽂아 전원이 켜지는 경우 비상등이 연속해서 점등하거나 시동이 걸리지 않고, 차량에 위치 추적 장치가 설치된 경우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는 등 다양한 기기의 작동이 강제되거나 혹은 작동하지 않아 정상적인 운행이 불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GPS를 통한 자동위치추적을 통하여 사전에 인증되지 않은 사람은 운전이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의 분실이나 불법적인 운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먼저 자동차에 고유코드가 내장된 거치대(휴대폰을 고정시키는 장치)와 거치대에 연결하여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운전자는 처음 한번 차량을 운전하기 전에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허가한 인증코드를 다운받기 위해 등록된 개인 휴대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자동차 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생성되어 전송되는 인증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휴대폰에 저장한 뒤 자동차에 탑승하여 설치된 거치대에 휴대폰을 연결하고, 자동차 키를 차에 꽂아 전원이 켜지는 경우, 거치대 자체에서 생성한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자동차를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 GPS, 휴대폰, 이동통신망, 제어장치, 인증코드

Description

휴대폰과 연동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omitted}
도표1은 본 발명의 총괄 개요도
도표2는 거치대와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마이컴을 모두 사용)
도표3은 거치대와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마이컴을 거치대에 통합)
도표4A은 차량 사용자 인증장치의 작동에 대한 흐름도(마이컴을 2개 사용) 1/2
도표4B는 차량 사용자 인증장치의 작동에 대한 흐름도(마이컴을 2개 사용) 2/2
도표5A은 차량 사용자 인증장치의 작동에 대한 흐름도(마이컴을 거치대에 통합) 1/2
도표5B는 차량 사용자 인증장치의 작동에 대한 흐름도(마이컴을 거치대에 통합) 2/2
도표6은 자동차 키 대신 거치대에서 시동을 거는 절차에 대한 흐름도
도표7은 타이머를 이용한 장기 방치 차량에 대한 관리 및 회수에 대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 휴대폰은 고유번호를 가지고 무선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
102 거치대는 휴대폰을 고정 시킬 수 있으면서 휴대폰과 통신이 가능하게 만드는 장치로 핸즈프리,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결합하여 만들 수 있음.
106 제어장치는 거치대와 연동하여 시동제어, 비상등 제어, GPS를 활용한 위치추적장치의 제어 및 기타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임.
224 마이컴은 일반 기계장치에 설치되어 컴퓨터의 CPU에 해당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휴대폰과 연동하여 자동차의 사용자 인증을 받지 않은 제3자가 임의로 자동차를 운행하고자 하는 경우 다양한 주변기기와 연동하여 운행이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전에 인증된 사용자 및 사용허가를 받은 사용자만이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과 종래의 기술
본 발명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개별적으로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과 연동하여 자동차의 운전자를 인증하는 장치로, 인증 받은 사람만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등록된 자동차의 대수가 1,500만대를 넘어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 이지만 자동차로 인한 수많은 사건과 범죄 그리고 공해로 인하여 현대문명의 재앙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상황에서,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차량을 도난당하거나 정상적인 승인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이 운전함에 따른 문제는 추가적인 제2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차량의 도난방지를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지금도 제안되고 있는 것 중에서 차량의 문에 장착되어 정상적인 자동차 키로 문을 여는 경우가 아닌 경우 경보음이 발생하거나 시동이 걸리지 않게 하는 방법, GPS송수신기를 설치하여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차량에 운전자의 생체정보(지문, 홍체인식, 안면인식 등)를 확인하여 등록되지 않은 운전자는 시동을 걸지 못하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GPS를 통한 위치추적은 현재 렌트카 또는 회사차량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위치를 제3자가 지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운전자가 자주 바뀌는 경우나 제3자가 긴급하게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이 불가능한 점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본 특허와 관련된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 출원1019980049255는 차량번호에 대응되는 전파를 발생하게 하여 등록된 것과 일치하면 경보출력을 발생하게 하여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것과 특허 출원1020000052236은 자동차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무선 전송하다가 자동차가 도난당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자동차의 운행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모두 지속적인 무선통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막대한 시설이 필요하고, 또한 전파가 잡히지 않는 음영지역에서 발생하는 오류 로 인하여 심각한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증된 사용자만이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대안으로, 먼저 자동차에 고유코드가 내장된 거치대(휴대폰을 고정시키는 장치)와 거치대에 연결하여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운전자는 처음 한번만 차량을 운전하기 전에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허가한 인증코드를 다운받기 위해 등록된 개인 휴대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자동차 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생성되어 전송되는 인증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휴대폰에 저장한 뒤 자동차에 탑승하여 설치된 거치대에 휴대폰을 연결하고, 거치대에서 시동을 거는 경우는 즉시, 자동차 키를 이용하는 경우는 키를 차에 꽂아 전원을 켜는 경우, 거치대 자체에서 생성한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자동차를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유코드가 부여된 거치대와 거치대에 연결되어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며, 두 기기 모두 컴퓨터의 CPU역할을 하는 마이컴이라는 장치를 달아서 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제3자가 임의로 주변장치에 직접 연결하여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필요에 의해 각각에 설치된 마이컴을 1개로 통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운전자는 차량을 운전하기 전에 최초 한번만 지정한 휴대폰으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가능 인증코드를 다운받아 휴대폰에 저장한 뒤에 운전할 차량에 탑승하여 인증코드가 저장된 휴대폰을 거치대에 연결하고, 자동차 키를 이용하는 경우 키를 차에 꽂아 전원이 켜지는 경우 거치대에서 휴대폰번호(만약 보안을 위하여 보안칩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보안코드가 될 것임)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에 설치된 거치대의 코드를 조합하여 인증코드를 자체에서 생성한 뒤, 휴대폰에 저장된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자동차의 모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불일치하는 경우 비상등이 계속 점멸, 시동이 걸리지 않음, 차량의 위치를 GPS에 의해 추적할 수 있는 장치가 연결된 경우 자동으로 장치가 작동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만, 자동차 키가 아닌 거치대에서 시동을 거는 경우에는 휴대폰을 거치대에 유/무선으로 연결하는 즉시 거치대에서 휴대폰번호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에 설치된 거치대의 코드를 조합하여 인증코드를 자체에서 생성한 뒤, 휴대폰에 저장된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전원장치와 시동장치가 ON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자동차의 전원부터 연결되지 않아 사용이 전혀 불가능해 지고, ON된 경우 비밀번호와 함께 전원버튼을 누르면 자동차에 전원이 켜지고, 시동버튼을 누르면 시동이 걸리게 되는 것으로, 자동차 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긴급상황을 대비한 마스터키가 존재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또한 사전에 등록된 사람이 아닌 제3자에게 운전할 권한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등록된 개인 휴대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을 승낙할 제3자의 휴대폰번호와 사용할 기간 및 인증코드를 다시 다운받아야 할 주기를 입력하면, 서버에서 제3자의 휴대폰으로 기간이 제한된 사용가능 인증코드를 메시지로 송신하고, 제3자는 메시지가 수신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허용된 기간동안 차량을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을 도난당한 경우 사전 승인된 휴대폰이 없으면 정상적인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하고, 휴대폰과 함께 분실하여 거치대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위치추적이 가능하면서 휴대폰에 특수코드를 송신하면 차량의 비상등이 반복적으로 점멸하는 것에 의해 범인을 검거할 수 있을 것이며, 훔친 뒤에 장기간 운행을 하지 않고 방치한 경우 거치대에 설치된 타이머가 일정 기간 이상 시동을 걸지 않았음을 자동으로 체크하여 비상등을 짧은 시간 작동하고, GPS위치추적기가 설치된 경우 추적기가 자동 작동되면서 최초에 수신한 코드를 체크하여 도난코드가 수신되었으면 GPS는 지속적으로 작동하면서 비상등이 계속 점멸되도록 하여 즉시 차량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고 정상인 경우 즉시 작동을 중지하게 되어 불필요한 위치추적으로 인한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전 중에 차량강도, 사고 등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차량의 은밀한 곳에 설치된 긴급버튼을 누르는 경우 자동으로 비상등이 계속 점멸되도록 하고, GPS위치추적기가 설치된 경우 즉시 추적기가 자동 작동되어 서버에서 위치를 추적하고, 정보가 즉시 경찰로 통지되어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도표1은 본 특허의 총괄개요도로 비밀번호의 입력과 전원장치 및 시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키보드(103)를 포함하고, 긴급상황 발생시 누를 수 있는 긴급버튼(105)이 연결된 휴대폰(104)을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102), 시동장치의 제어를 할 수 있는 시동제어장치(107), 비상시 버튼을 눌러 외부에 알릴 수 있는 비상버튼 을 관리하는 비상등제어장치(108), GPS위치추적장치제어장치(109) 및 기타장비제어장치(110)를 포함한 장비제어장치(106)로 구성되고, 각각의 기능은 무선인터넷을 통해 휴대폰(104)에 사용승인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거치대(102)는 휴대폰(104)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역할과 휴대폰(104)과 연결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코드을 생성한 뒤 비교하여 제어장치(105)의 작동을 지시하는 고유한 기능과 핸즈프리 또는 네비게이션을 장착할 수 있고, 긴급버튼(103)은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등의 작동과 위험메시지를 송신하여 외부에 위험을 알리기 위한 기능을 하고, 제어장치(105)는 거치대(102)에서 생성된 작동키를 체크하여 주변기기들에게 필요한 작동을 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표2는 거치대(207)와 제어장치(225)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 거치대(207)와 제어장치(225)에 각각 마이컴이 설치된 것으로, 거치대(207)는 핸드폰(201)과 연결된 커넥트2(217), 휴대폰 연결체크(216), 타이머(215), 메모리제어부(214), 키보드제어부(213),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전원버튼과 시동버튼을 누룰 수 있는 키보드(238), 차량의 시동을 초기에 걸 수 있도록 제어 하는 시동제어부(209), 전원제어부(211), 장비제어장치(225)와 연결하는 커넥트3(223), 전원부(221), 긴급버튼 제어부(218), 핸즈프리(220) 및 모든 것을 통제하는 마이컴(224)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비제어장치(225)는 커넥트4~7, 마이컴1~4, 자동차 키를 이용하는 경우 시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시동이 걸린 뒤에 지속적으로 마이컴(227)의 지시에 따라 시동장치를 제어하는 시동제어장치(228), 비상등 제어장치(231), GPS위치추적장치제어장치(234), 기타장비제어장치(237)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넥트2(217)는 휴대폰(201)과 연결하여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송수신하고, 제어부(204)는 수신된 휴대폰번호(만약 보안을 위하여 보안칩(205)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보안코드가 될 것임)와 거치대(207) 자체에 저장된 메모리제어부(214)의 설정된 코드를 조합하여 인증코드를 생성(222)한 후 휴대폰(201)에서 수신한 인증코드와 비교(222)한 뒤 일치하는 경우 제어장치(225)의 작동을 명령하는 작동키를 생성(222)하게 되고, 제어장치(225)의 개별 마이컴1∼4는 커넥트4∼7을 통해 커넥트3(223)과 연결하고, 제어장치(225)의 개별 마이컴1∼4는 작동키가 생성되어 있는지 유/무선으로 체크하여, 생성되지 않았으면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하도록 시동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228) 하거나 비상등이 지속적으로 점멸(231)하게 하거나 GPS를 통한 차량 추적 장치의 작동을 수행(234)하게 하는 등의 기능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여 정상적인 운행이 불가능하게 하고, 반대로 생성되었으면 차량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지시할 것이며, 거치대(207)의 휴대폰연결체크(216)는 지속적으로 휴대폰(201)이 연결되어 있는지 체크하여 마이컴(224)에 정보를 제공하고, 타이머(215)는 지속적으로 시동이 켜진 시간을 체크하여 일정기간 시동이 켜지지 않은 경우 비상등이 짧은 시간 수차례 점멸한 뒤 꺼지고(231), GPS도 자동으로 작동(234)하여 최초에 수신되는 코드가 정상이면 즉시 GPS의 작동을 중지(234)하고, 도난코드와 같은 비상코드가 인식되면 지속적으로 GPS가 작동(234)하면서 비상등이 주기적으로 점멸(2321)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핸즈프리(220)는 유/무선 핸드프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키보드제어부(213)는 키보드(238)를 제어하여 자동차 키를 사용하지 않고 거치대(207)에서 시동을 거는 경우 이용하고, 키보드(238)는 비밀번 호를 입력하는 숫자버튼과 전원을 ON시키는 전원버튼 및 시동을 거는 시동버튼으로 구성되어 있고, 키보드(238)로부터 비밀번호와 전원버튼이 눌러 진 경우 마이컴(207)은 메모리제어부(214)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전원제어부(211)를 통하여 차량에 전원을 ON하고, 시동버튼이 눌러지면 마이컴(224)은 시동제어부(209)를 통하여 시동을 걸게 되는 것이다.
도표3은 거치대(307)와 제어장치(325)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 제어장치의 마이컴을 거치대의 마이컴(324)에 통합한 것으로, 거치대(307)는 핸드폰(301)과 연결된 커넥트2(317), 휴대폰 연결체크(316), 타이머(315), 메모리제어부(314), 키보드제어부(313),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전원버튼과 시동버튼을 누룰 수 있는 키보드(334), 차량의 시동을 처음 걸 수 있도록 제어 하는 시동제어부(309), 전원제어부(311), 장비제어장치(325)와 연결하는 커넥트3(323), 전원부(321), 긴급버튼 제어부(318), 핸즈프리(320) 및 모든 것을 통제하는 마이컴(324)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비제어장치(325)는 커넥트4~7, 자동차 키를 이용하는 경우 시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시동이 걸린 뒤에 지속적으로 거치대의 지시에 따라 시동장치를 제어하는 시동제어장치(327), 비상등 제어장치(329), GPS위치추적장치제어장치(331), 기타장비제어장치(333)로 구성되어 있고, 기본적인 기능은 도표2와 동일하지만 거치대(307)에서 작동키를 생성하지 않고 직접 제어장치(325)를 작동시킨다는 부분이 차이가 있고, 마이컴의 개수가 1개로 축소되어 비용과 설계가 간단할 수 있으나 범인이 제어장치(325)에 별도의 전원을 직접 연결하여 주변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차량을 사용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도표2에서와 같이 각각 마이컴을 설치하 여 지속적으로 작동키를 체크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표4A와 도표4B는 차량사용자 인증장치의 작동에 대한 흐름도로 거치대와 제어장치에 각각 마이컴을 설치한 경우로, 운전자(401)가 장치를 설치한 후 운전이 처음인 경우 지정한 휴대폰으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가능 인증코드를 다운받아 휴대폰에 저장(402)하고, 아니면 이미 다운로드 받은 휴대폰을 소지하고 차량에 탑승(404)하여 휴대폰을 거치대에 연결(405)하고, 자동차 키를 사용하는 경우는 자동차 키를 차에 꽂아 전원을 켜게 되면(406) 거치대의 제어부는 휴대폰번호(만약 보안을 위하여 보안칩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보안코드가 될 것임)를 수신(409)하여 해당 차량에 설치된 거치대의 코드와 조합하여 인증코드를 자체에서 생성(412)한 뒤, 휴대폰에 저장된 인증코드와 비교(414)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상등이 계속 점멸(445), 시동이 걸리지 않음(446), 차량의 위치를 GPS에 의해 추적할 수 있는 장치가 연결된 경우 자동으로 장치가 작동하여 위치가 추적(447)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전원을 끄고 다시 인증코드(448)를 받아야 하고, 일치하는 경우 등록된 운전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유효기간(416)이 없으므로 거치대의 제어부에서 장비제어장치의 작동을 지시하는 작동키를 생성(417)하고, 제어장치의 각 제어부는 작동키를 체크(418)하여 정상적인 조건인 경우 비상등 작동 중지(419), 시동장치 작동(420), GPS추적장치 작동 중지(421)하여 정상적인 운행의 준비를 하게 되고, 거치대의 마이컴은 지속적으로 휴대폰이 연결되어 있는지와 코드가 일치하는지를 체크(422)하여 작동키의 생성과 삭제를 수행하고, 제어장치의 각 마이컴도 반복적으로 작동키의 생성여부를 체크(427)하여 생성되어 있는 경우 정상 적인 작동을 유지(430)하고, 생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 비상등의 자동 점멸(431) 및 일정시간 경과까지 작동키가 생성되지 않으면 GPS의 작동을 시작(432)하게 되는 것이고, 시동장치의 제어는 차량의 상황을 모르는 상황에서 시동을 끄는 경우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이 있어 시동이 걸린 후에는 통제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기술적인 문제가 해결되면 시동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제3자가 운전하는 경우(433) 등록된 차주가 휴대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제3자의 휴대폰에 사용기간을 설정하여 사용허가(434)를 할 수 있고, 제3자는 휴대폰에 메시지를 받으면 인터넷으로 접속(435)하여 휴대폰에 사용기간이 제한된 인증코드를 다운받아 저장(436)한 후에 차량에 탑승(404)하여 거치대에 휴대폰을 연결(405)하면 이후는 등록된 운전자와 동일한 흐름을 가지고, 만약 허용된 기간이 경과한 경우(416) 다시 사용허가를 받아야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차량을 도난당한 경우 거치대에 연결된 휴대폰에 도난코드를 송신(438)하고, 수신한 거치대의 마이컴은 즉시 특정 동작키를 생성(441)하게 되고, 제어장치의 마이컴(442)은 즉시 비상등을 지속적으로 점멸(443)하면서 GPS위치추적장치의 작동(444)을 수행하게 된다.
운전 중에 차량강도, 사고 등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차량의 은밀한 곳에 설치된 긴급버튼을 누르는 경우(439) 거치대의 마이컴은 즉시 특정 동작키의 생성(441)과 휴대폰을 통한 위험메시지를 전송(440)하고, 제어장치의 마이컴(442)은 자동으로 비상등이 계속 점멸(443)되도록 하고, GPS위치추적기가 설치된 경우 즉시 추적기가 자동 작동(444)되게 된다.
도표5A와 도표5B는 도표4A와 도표4B와 같이 차량사용자 인증장치의 작동에 대한 흐름도이나 거치대에 제어부를 1개만 설치한 경우로 대부분 기능은 도표4와 비슷하지만 별도로 작동을 위한 작동키를 생성하지 않고, 제어장치의 각 부분을 직접 작동시킨다는 부분 이외에는 동작방법에 차이는 별로 없으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도표 6은 자동차 키 대신 거치대에서 시동을 거는 절차에 대한 흐름도로, 운전자(601)가 장치를 설치한 후 운전이 처음인 경우 지정한 휴대폰으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가능 인증코드를 다운받아 휴대폰에 저장(602)하고, 아니면 이미 다운로드 받은 휴대폰을 소지하고 차량에 탑승(604)하여 휴대폰을 거치대에 연결(605)하면, 거치대의 제어부는 휴대폰번호(만약 보안을 위하여 보안칩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보안코드가 될 것임)를 수신(606)하여 해당 차량에 설치된 거치대의 코드와 조합(608)하여 인증코드를 자체에서 생성(607)한 뒤, 휴대폰에 저장된 인증코드와 비교(609)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거치대의 키보드가 작동하지 않아 운행이 불가능하고, 일치하는 경우 등록된 운전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유효기간(611)이 없으므로 거치대의 키보드가 정상적으로 작동(612)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전원버튼을 누르면(613) 거치대의 마이컴이 메모리제어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614)하여 일치하면 차량에 전원이 공급(615)되고, 일치하지 않으면 지정된 횟수(616)까지 반복 가능하지만 초과되면 지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재사용은 중지(617)되고, 전원이 ON되 상태에서 시동버튼을 누르면 시동이 걸리게 되는 것(618) 이고, 등록된 운전자가 아닌 제3자가 운전하는 경우(619) 등록된 차주가 휴대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제3자의 휴대폰에 사용기간을 설정하여 사용허가(620)를 할 수 있고, 제3자는 휴대폰에 메시지를 받으면 인터넷으로 접속(621)하여 휴대폰에 사용기간이 제한된 인증코드를 다운받아 저장(622)한 후에 차량에 탑승(604)하여 거치대에 휴대폰을 연결(605)하면 이후는 등록된 운전자와 동일한 흐름을 가지고, 만약 허용된 기간이 경과한 경우(611) 다시 사용허가를 받아야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표7은 타이머를 이용한 장기 방치 차량에 대한 관리 및 회수에 대한 흐름도 타이머가 지속적으로 시동장치의 작동을 체크(701)하여 일정시간(임의로 설정가능) 동안 시동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702) 비정상적인 상황이라고 거치대의 마이컴이 인식하면 특수키를 생성(703)하고, 제어장치의 각 제어부에서 특수키를 인식한 경우(704) 비상등을 짧은 시간 작동(705)시키고, GPS추적장치가 설치된 경우(706) GPS추적장치도 자동으로 작동(707)하여 최초에 수신되는 코드가 정상이면 즉시 GPS의 작동을 중지(710)하고, 도난코드와 같은 비상코드가 인식(708)되면 지속적으로 GPS가 작동(709)하면서 비상등이 주기적으로 점멸(711)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된 사용자만이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하여 승인 없는 제3자의 운행을 불가능하게 하여 운전면허가 없는 가족이 운전하는 경우나 차량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3자에게도 원격에서 사용을 허가할 수 있으며, 도난 등을 당한 경우 회수가 용이하면서도 GPS위치추적장치와 연결한 경우 불필요한 위 치추적을 방지하여 개인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고,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각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장치이면서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과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 면에서 매우 경제적이며 전파가 잡히지 않는 음영지역에서도 거치대와 제어장치가 연동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통신이 안 된다는 이유로 도난차량으로 오해받을 수 있는 오류를 보안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자동차 키를 소지하지 않고도 등록된 휴대폰과 비밀번호를 가지고 시동을 걸 수 있어, 원격에 있는 제3자에게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Claims (14)

  1. 차량의 휴대폰(104)을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102) 및 시동제어(107), 비상등제어(108), GPS위치추적장치제어(109), 기타장비제어(110)를 포함하는 장비제어장치(106)로 구성되고, 거치대(102)에 장착된 휴대폰(104)의 인증코드와 거치대(102)에서 생성한 인증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만 장비제어장치(106)의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2. 청구항1의 거치대는,
    핸드폰(201)결하여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커넥트(217)
    휴대폰연결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휴대폰연결체크부(216)
    시동시간 등을 체크하는 타이머(215)
    설정된 키와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메무리제어부(214)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1)
    장비제어장치(225) 연결하여 작동키를 유/무선으로 송신하는 커넥트(223),
    모든 제어장치를 통제하고, 수신한 핸드폰번호와 자체 코드를 조합하여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연산(222),생성된 코드와 비교하는 코드비교(222), 일치하는 경우 작동키를 생성(222)하고 관리하는 기능의 마이컴(224)을 포함하는 거치대로 구성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3. 청구항1의 장비 제어장치(225)는,
    거치대(207)와 연결하여 작동키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커넥트(226)와 수신된 키를 확인하여 시동장치의 작동 유무를 제어하는 마이컴(227)과 시동제어장치(228),
    거치대(207)와 연결하여 작동키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커넥트(229)와 수신된 키의 종류를 확인하여 비상등의 작동 유무를 제어하는 마이컴(230)과 비상등제어장치(231),
    거치대(207)와 연결하여 작동키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커넥트(232)와 수신된 키를 확인하여 GPS위치추적장치의 작동 유무를 제어하는 마이컴(233)과 GPS위치추적장치제어장치(234),
    거치대(207)와 연결하여 작동키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커넥트(235)와 수신된 키를 확인하여 기타장비의 작동 유무를 제어하는 마이컴(236)과 기타장비제어장치(237)를 포함하는 장비제어장치로 구성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4. 청구항1과 청구항2에서,
    긴급버튼(219)과 연결하여 버튼의 누름을 감지하는 긴급버튼 제어부(218)를 추가한 거치대(207)로 구성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5. 청구항1과 청구항2에서,
    핸드폰(201)을 들지 않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무선 핸즈프리(220)를 추가한 거치대(207)로 구성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6. 청구항1과 청구항2에서,
    운전자에게 길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을 추가한 거치대(207)로 구성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7. 청구항1과 청구항2에서,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숫자패드와 전원장치를 ON시키는 전원버튼 및 시동장치를 ON시키는 시동버튼을 포함하는 키보드(238)를 제어하는 키보드제어부(213),
    키보드의 전원버튼을 누르면 자동차의 전원을 ON시키는 전원제어부(212),
    시동장치(210)와 연결하여 키보드(238)의 시동버튼을 누르면 운전 초기에 시동장치(210)를 작동시키는 시동제어부(209)를 추가한 거치대(207)로 구성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8. 청구항1내지 청구항7에서,
    장비제어장치(325)의 개별 마이컴 기능을 거치대의 마이컴(324)에 통합한 거치대(307)와 장비제어장치(325)로 구성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9. 청구항1내지 청구항3의 작동에서,
    등록된 차주(401)는 휴대폰에 사용가능 인증코드를 다운(402)받고, 제3자 (433)는 임시사용이 가능한 인증코드를 다운(436)받아 차량에 탑승(404)하여 휴대폰을 거치대에 연결(405)하는 단계,
    자동차 키를 삽입하여 전원을 켜면(406) 거치대의 제어부에서 휴대폰의 연결을 체크(407)하는 단계,
    연결되지 않았으면 비상등 점멸(410)하고, 연결되었으면 휴대폰번호(또는 보안코드)를 수신(409)하여 장치코드와 조합(413)하여 인증코드를 생성(412)하는 단계,
    휴대폰에서 수신한 코드와 생성한 코드를 비교(414)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상등이 자동점멸(445), 시동장치 작동안함(446), GPS의 작동(447)으로 위치추적 시작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수행되고, 일치하면서 인증코드가 유효기간이내(416)인 경우 거치대에서 장비제어장치 작동키가 생성(417)되는 단계,
    제어장치의 각각 제어부가 작동키를 체크(418)한 한 후 비상등 작동 중지(419), 시동장치 작동(420), GPS추적장치 작동안함(421)이 수행되는 단계,
    지속적으로 휴대폰과 거치대의 연결을 체크(422)한 후 연결이 안되었거나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작동키를 삭제(428)하는 단계,
    연결되었으면 작동키가 삭제된 경우 작동키를 생성(426)하는 단계,
    제어장치의 개별 마이컴이 거치대의 작동키를 확인(427)하여 생성되어 있으면 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켜 운전이 가능(430)하도록 하고, 생성되지 않았으면 비상등 자동점멸(431) 일정시간 경과까지 작동키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GPS추적장치가 작동(432)되어 즉시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 용자 인증장치.
  10. 청구항8의 작동에서,
    등록된 차주(501)는 휴대폰에 사용가능 인증코드를 다운(502)받고, 제3자(526)는 임시사용이 가능한 인증코드를 다운(529)받아 차량에 탑승(503)하여 휴대폰을 거치대에 연결(504)하는 단계,
    자동차 키를 삽입하여 전원을 켜면(505) 거치대의 제어부에서 휴대폰의 연결을 체크(506)하는 단계,
    연결되지 않았으면 비상등 점멸(509)하고, 연결되었으면 휴대폰번호(또는 보안코드)를 수신하여 장치코드와 조합(512)하여 인증코드를 생성(511)하는 단계,
    휴대폰에서 수신한 코드와 생성한 코드를 비교(513)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상등이 자동점멸(536), 시동장치 작동안함(537), GPS의 작동(538)으로 위치추적 시작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수행되고, 일치하고 인증코드가 유효기간이내(515)인 경우 비상등 작동 중지(516), 시동장치 작동(517), GPD추적장치 작동안함(518)이 수행되는 단계,
    지속적으로 휴대폰과 거치대의 연결을 체크(519)한 후 연결이 안되었거나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상등 자동점멸(524), 일정시간 경과까지 작동키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GPS추적장치가 작동(525)되어 즉시 위치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연결되었으면 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켜 운전이 가능(523)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11. 청구항1내지 청구항3의 도난코드 수신에서,
    차량을 도난 당한 경우 거치대에 연결된 핸드폰에 도난코드를 송신(438)하는 단계,
    거치대의 마이컴이 도난코드를 인식(424)하여 특수키를 생성(441)하는 단계,
    장비제어장치의 개별 마이컴이 특수키를 인식(442)하는 즉시 비상등을 점멸(443)하고, GPS추적장치의 작동을 시작(444)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12. 청구항1내지 청구항3의 긴급상황에서,
    차량 운전자가 강도 또는 사고와 같은 위험상황에 처한 경우 긴급버튼(439)을 누르는 단계,
    거치대의 마이컴이 위험메시지를 연결된 핸드폰에 지속적으로 전송(440)하고, 핸드폰은 시스템을 총괄하는 센터로 반복적으로 송신(440)하고, 비상등을 점멸(443)하고, GPS추적장치의 작동을 시작(444)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13. 청구항1내지 청구항3과 청구항7의 자동차 키를 사용하지 않고 시동을 거는데 있어서,
    등록된 차주(601)는 휴대폰에 사용가능 인증코드를 다운(602)받고, 제3자(619)는 임시사용이 가능한 인증코드를 다운(622)받아 차량에 탑승(604)하여 휴대폰을 거치대에 연결(605)하는 단계,
    연결되는 즉시 거치대의 제어부에서 휴대폰번호(또는 보안코드)를 수신(606)하여 장치코드와 조합(608)하여 인증코드를 생성(607)하는 단계,
    휴대폰에서 수신한 코드와 생성한 코드를 비교(609)하여 일치하는 경우 키보드가 작동(612)되는 단계,
    지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전원버튼을 누르면(613), 비밀번호를 확인한 후 일치하지 않으면 지정된 회수만큼 반복(616)하고,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일정시간 동안 사용이 중단(617)되는 단계,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자동차의 전원이 ON(615)되고, 시동버튼을 눌러 시동을 걸 수 있는 것(618)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14. 청구항1내지 청구항3의 방치차량 회수에서,
    타이머를 통해 지속적으로 시동장치의 작동을 체크(701)하는 단계,
    일정기간(시간) 동안 시동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702) 거치대의 마이컴에서 특수키를 생성(703)하고 제어장치의 각각의 마이컴은 특수키를 확인(704)하여 비상등의 짧은 점멸(705)을 하는 단계,
    GPS추적장치의 설치여부에 따라 GPS추적장치를 작동(707)하고 최초의 수신 메시지를 분석하여 도난코드인 경우(708) GPS추적장치를 지속적으로 작동(709)시키 고 제어장치에 비상등의 지속적인 점멸(711)을 명령하는 단계,
    최초의 수신 메시지가 정상적인 경우 즉시 GPS추적장치를 중지(710)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KR1020050094166A 2005-07-20 2005-10-05 휴대폰과 연동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KR101469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66540 2005-07-20
KR1020050066540 2005-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35A true KR20070011035A (ko) 2007-01-24
KR101469862B1 KR101469862B1 (ko) 2014-12-08

Family

ID=3801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166A KR101469862B1 (ko) 2005-07-20 2005-10-05 휴대폰과 연동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8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0597B2 (en) * 2000-05-17 2010-05-18 Omega Patents, L.L.C. Vehicle tracker including input/output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KR20140123830A (ko) * 2013-04-15 2014-10-2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6318A (ko) * 2014-06-27 2020-03-10 (주)메디톡스 지방 감소를 위한 담즙산 및 염의 방법 및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4675B4 (de) * 2019-02-25 2022-02-17 STC Corporation Co., Ltd. System und Verfahren zum Starten eines Fahrzeugs unter Verwendung von Gesichtserkennungsdaten
US10836352B2 (en) 2019-02-27 2020-11-17 Stc Corporation Co. Ltd Vehicle starting control system by using face perception data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203A (ko) * 1999-05-19 2000-12-15 이용훈 차량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0052184A (ko) * 2002-12-14 2004-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와 자동차간의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040082822A (ko) * 2003-03-20 200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원격제어장치
KR20050028687A (ko) * 2003-09-19 200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0597B2 (en) * 2000-05-17 2010-05-18 Omega Patents, L.L.C. Vehicle tracker including input/output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KR20140123830A (ko) * 2013-04-15 2014-10-2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6318A (ko) * 2014-06-27 2020-03-10 (주)메디톡스 지방 감소를 위한 담즙산 및 염의 방법 및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862B1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6440B2 (ja) 車両搭載機器の制御システム、携帯電話機、及び車両搭載機器の制御方法
CN107251105B (zh) 机动车安防和机动车安全系统
US7545255B2 (en) Electronic key system
US8884739B2 (en) Vehicle security apparatus and system which prevents unauthorized use of a vehicle by immobilization
US20060143463A1 (en) Keyless entry system and keyless entry method
CN109649331B (zh) 车辆共享系统
JP2006523572A (ja) セキュリティー認証システム
JP2018531826A (ja) 車両の起動方法
JP4035719B2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方法
US7813773B2 (en) Electronic key apparatus for vehicle
US20060145836A1 (en) Antitheft system
CN112365632A (zh) 车辆进入隐私模式的nfc激活
KR101745443B1 (ko) 운전자 인증 시스템
KR20070011035A (ko) 휴대폰과 연동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KR102601172B1 (ko)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한 스마트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541886B1 (ko) 차량 관리 시스템
KR20080027982A (ko) 휴대폰 연동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CN108068758B (zh) 智能行车控制方法
KR20080027557A (ko) 휴대폰 연동 운전자 인증장치를 활용한 차량안전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KR20070013963A (ko) 운전자 인증장치를 활용한 차량 안전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KR101901792B1 (ko) 샤크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인증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07390B1 (ko) 휴대폰과 연동한 안심택시 표시장치
JP2007522736A (ja) 識別コードを入力する方法
KR102291916B1 (ko) 과전압/과전류 제어를 통한 차량용 리모컨 불능화 장치
JP2004359048A (ja) 車載端末装置、車載端末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車載端末装置を用いる盗難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22

Effective date: 201410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