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849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849A
KR20070010849A KR1020050065804A KR20050065804A KR20070010849A KR 20070010849 A KR20070010849 A KR 20070010849A KR 1020050065804 A KR1020050065804 A KR 1020050065804A KR 20050065804 A KR20050065804 A KR 20050065804A KR 20070010849 A KR20070010849 A KR 20070010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user
screen
mobile communication
mee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2964B1 (ko
Inventor
최민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96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원형의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일정관리 메뉴에서 미팅일정 등의 이동과 등록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스케줄 일정이 여러 날에 걸쳐 있는 기간일정의 경우에도 간단히 지정하여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이다. 본 발명은 일정 관리를 세분화하여 자신이 원하는 일정의 종류에 맞추어 사용자가 더 효율적으로 일정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원형의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일정관리 메뉴의 이동과 입력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스케줄 일정이 여러 날에 거쳐 있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지정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정관리, 기간일정, 이벤트 일정.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 {Method of management schedule for mobile station}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a)(b)는 본 발명의 일정관리 메뉴에서 초기화면과 기간일정등록 화면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a)(b)(c)는 본 발명의 일정관리에서 미팅의 일정등록 화면과 이벤트 일정등록 화면의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32 : 초기 일정관리 화면 34 : 기간일정 등록 화면
38 : 개인 미팅 일정 등록 화면 40 : 단체미팅 일정 등록 화면
42 : 이벤트 일정 등록 화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원형의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일정관리 메뉴에서 미팅일정 등의 이동과 등록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스케줄 일정이 여러 날에 걸쳐 있는 기간일정의 경우에도 간단히 지정하여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이동체에 설치하는 송수신 설비를 가진 자에 대하여 이동 전화 교환 설비를 이용하여 주로 음성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기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유선 전화와는 달리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양호한 품질의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이동성을 완벽하게 보장하는 전파를 통신 매체로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정 지역 내에서 동시 사용자의 수가 고정적이 아니라 가변적이고, 지형 지물에 의한 반사로 전파의 전달 경로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일반적인 우리나라의 이동통신서비스는 방송, 멀티미디어 영상,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새로운 시장의 형성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다. 음성 위주의 2세대 이동통신서비스 단계를 지나 동기식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인 CDMA2000-1X 단말기를 대다수의 가입자가 사용하고 있고, 비동기식(W-CDMA) 3세대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제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2세대(1.8GHz이하)보다 더 높은 대역폭(1.9GHz이상)을 사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 준다.
제3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고속데이터와 영상 서비스까지도 가능한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기술, 음성인식 기술, 휴대전화 위치확인 기술, 블루투스 기술 등과의 접목에 힘입어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를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편리함을 제공해 주기 위한 유비쿼터스 시대의 대표적인 단말기로 발전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직장인이나 사업가, 또는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기능중에 하나는 전자 수첩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 수첩 기능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정관리가 그 대표적인 기능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더 향상된 서비스를 기대하기 마련이며, 좀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일정관리 프로그램을 요구한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일정 관리 메뉴의 경우 일정관리를 체계적으로 하지 못하고 단순히 원하는 날짜에 시간, 알람, 내용을 작성하는 것이 전부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의 스케줄이 여러 날에 걸쳐 있을 때 일일이 날짜를 선택해서 따로따로 등록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 또한, 누구를 만나는 약속을 일정에 넣고 싶을 때에는 만나는 사람에 대한 정보와 장소 시간 등을 보기 쉽게 정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관리를 세분화하여 자신이 원하는 일정의 종류에 맞추어 사용자가 더 효율적으로 일정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원형의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일정관리 메뉴의 이동과 입력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스케줄 일정이 여러 날에 거쳐 있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지정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은, 일정관리를 위해 달력이 표시되는 1 단계, 사용자가 기간일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 기간을 지정하고, 알람의 설정과 메모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2단계와, 사용자가 미팅일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 날짜, 시간, 장소, 상대방 이름과 전화번호 항목, 알람 항목과 메모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3단계와, 사용자가 이벤트 일정을 날짜, 시간, 이벤트의 내용, 알람의 설정, 메모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4단계와,사용자가 일정관리 리스트를 선택한 경우, 등록된 일정관리 리스트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삭제 또는 편집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일정관리 메뉴에서 날짜를 지정한 경우 달력화면에 동그라미 표시하여 일정이 있음을 알려주고 상기 달력화면을 초기화면으로 설정하여 활용 가능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a)(b)는 본 발명의 일정관리 메뉴에서 초기화면과 기간 일정 등록 화면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a)(b)(c)는 본 발명의 일정 관리에서 미팅의 일정등록 화면과 이벤트 일정 등록 화면의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CPU, 보코더 등이 내장되는 MSM(Mobile Station Modem)(16)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과 숫자 등을 입력하고, 기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입력수단이고 도 2(a)에 나타낸 원형의 소프트키(30)가 구비된 키패드(22)와, 화면부(20)과, 메모리(24)와, 마이크, 스피커(18)와 연결되어 송수신 되는 음성을 코드/디코드하는 코덱과, 안테나(12)를 경유하여 무선으로 고주파의 통화신호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처리하는 무선부(14)를 나타내고 있다.
무선부(14)에는 송수신 주파수를 분리하여 안테나로 송신하고 수신하는 듀플렉서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PA(Power Amp)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신호를 증폭시키는 LNA(Low Noise Amp)와 상기한 앰프들로부터 송수신 되는 1.7~1.8GHz 대역의 주파수를 두 단계 정도로 낮추거나 높여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IF(Intermediate Frequency)가 구비된다.
MSM(16)은 송수신 되는 신호의 전달을 위한 변조와 복조를 처리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전압 제어분배, 프로토콜 처리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24)에는 메인 프로그램과 호 프로세싱 데이터, 타이머 데이터, 메일, 전화 번호부 등을 저장하여 제공한다. 카메라 모듈(26)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적외선 모듈(28)은 무선으로 근거리 내에 위치한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a)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22)에 구비된 원형의 소프트키(30)와 일정관리 메뉴의 초기화면(32)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일정 관리 메뉴를 선택하고, 표시되는 달력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날짜를 소프트키(30)의 1, 2, 3, 4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한 후 OK 버튼을 누른다.
다음에 초기의 일정 관리 메뉴 화면(32)이 나타나고 소프트키(30) 모양이 화면부(20)에서도 보여지며. 화면으로 소프트키(30)에 할당된 메뉴의 내용이 간략하게 표시되고 달력화면도 함께 표시된다.
일정 관리 메뉴 화면(32)에서 소프트키(30)의 1번 버튼을 누르면 기간 일정 등록 메뉴로 진입하고, 2번 버튼을 누르면 미팅일정 세부 분류로 3번 버튼을 누르면 이벤트 일정 등록으로 들어갈 수 있다. 4번 버튼을 누르면 설정된 일정 리스트를 보고 선택해서 삭제와 편집을 할 수 있다.
만약에 소프트키(30)의 2번 버튼을 눌러서 미팅 일정으로 진입하면 세부적으로 단체 미팅과 개인 미팅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초기 일정 관리 메뉴 화면(32)에서 소프트키(30)를 선택을 하여 기 간 일정 등록, 미팅 일정 등록, 이벤트 일정 등록 화면으로 들어간다.
사용자가 일정 관리 메뉴 화면(32)에서 소프트키(30)의 1번 버튼을 눌러서 도 2(b)와 같이 기간 일정 등록 화면(34)으로 들어가면, 기간 항목의 스케줄이 걸쳐 있는 처음 날짜와 마지막 날짜를 선택하여 지정한다.
다음으로, 알람 항목을 선택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알람 시기를 설정하며 알람 동작은 1시간 마다 또는 해당일에 한 번 알람이 동작하는 것으로 선택하여 설정을 하고, 입력한 메시지가 있는 경우 내용 항목에서 메모를 하여 기간 일정을 등록한다.
기간 일정의 등록을 마치면 달력화면(36)에 지정된 기간이 박스형태로 표시되어 사용자는 확인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간일정을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기간, 알람, 메모를 등록하여 편리하게 사용한다.
기간 일정의 등록을 마치면 초기 일정 관리 메뉴 화면(32)으로 되돌아오고, 사용자는 소프트키(30) 2번 버튼을 눌러서 미팅 일정을 선택하고, 개인 미팅을 선택하면, 도 3(a)와 같은 개인 미팅 일정 등록 화면(38)이 보여진다.
개인 미팅 일정 등록 화면(38)에는 날짜, 시간, 장소 등의 항목과 상대방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대방이 전화번호부에 입력되어 있는 경우 검색을 하여 상대방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선택된 전화번호로 사용자는 호통화를 할 수도 있다. 상대방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도록 한다.
다음에 알람 항목으로 하루 전, 2시간 전, 1시간 전, 30분 전 등 제공되는 알람 메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후에 특이사항 항목에는 사용자가 메모를 입력한다.
개인 미팅 일정 등록 화면(38)에서 사용자가 등록을 마친 후 저장 버튼을 선택하면 미팅일정으로 되돌아오게 되고 사용자가 단체 미팅 일정 등록을 선택하면 도 3(a)의 단체 미팅 일정 등록 화면(40)이 화면부(20)로 표시된다.
단체 미팅 일정 등록 화면(40)의 항목에는 날짜와 시간, 장소, 단체 미팅의 종류, 알람 항목 등이 있으며, 준비사항 항목에는 사용자가 단체 미팅에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여 기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체 미팅 일정 등록 화면(40)에서 등록을 마치고 다시 초기 일정관리 메뉴 화면(32)으로 되돌아 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프트 키(30)에서 3번 버튼을 누르면 이벤트 일정 등록 화면(42)이 도 3(b)와 같이 화면부(20)에서 표시된다.
이벤트 일정은 생일, 시험날짜 등의 사용자 개인의 특정한 날을 등록할 수 있는 것으로, 날짜와 시간항목, 이벤트 입력 항목, 알람 항목과 메모를 입력하는 준비 사항 항목 등으로 구성되고 사용자는 상술한 방식으로 등록을 한다.
이벤트 일정에서의 알람 항목은 일주일 전, 한 달 전, 하루 전 등 제공되는 알람 메뉴에서 선택하여 설정한다.
한편, 사용자가 달력 화면을 바탕화면 등으로 설정을 하면, 도 3(b)외 같은 달력 화면(44)에 미팅 일정은 초록색, 이벤트 일정은 보라색으로 표시되어 사용자 는 이를 보고 등록한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c)는 사용자가 다시 초기 일정 관리 메뉴 화면(32)에서 소프트 키(30)에서 4번 버튼을 누르면 등록된 일정 관리의 리스트 화면(46)이 화면부(20)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키패드(22)를 이용하여 등록된 일정 리스트를 선택하고 삭제, 편집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의 동작 순서도로, 사용자가 일정 관리 메뉴를 선택하면, 화면부로 초기 달력 화면과 소프트키가 표시된다(S60, S61).
사용자가 소프트키(30)에서 1번 버튼을 입력하면, 기간 일정 등록 화면으로 진입한다(S62~S63).
사용자는 여러 날에 걸쳐 있는 기간을 처음 날짜와 끝 날짜를 지정하고, 원하는 알람을 설정한다. 알람은 한 번, 1시간마다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기타 제공되는 알람 메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 설정한다. 또한, 메모할 내용이 있는 경우 내용 항목에 입력을 하여 저장을 한다(S64~S67).
사용자가 기간 일정을 등록하고 저장한 후에는 다시 초기의 일정 관리 메뉴 화면(32)으로 되돌아 오고, 사용자가 소프트키(30)의 2번을 선택을 하면, 미팅 일정으로 진입하고, 개인미팅 일정을 선택하면 개인 미팅 일정 등록 화면(38)이 화면에 표시된다(S68~S69).
개인 미팅 일정 등록 화면(38)에서 시간, 장소, 상대방을 등록하고, 상대방이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경우에는 검색을 하여 선택 등록을 할 수 있고, 메모할 사 항이 있는 경우 이를 입력하여 등록 저장한다(S70~S72).
개인 미팅 일정의 등록을 마친 후에 단체 미팅 등록을 선택하면 단체 미팅 등록 화면(40)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시간, 장소, 단체 미팅의 종류를 입력하여 등록하고, 기타 메모 사항을 입력하여 등록을 한다(S73~S75).
단체 미팅 등록을 마치고 저장한 후에는 다시 초기의 일정 관리 메뉴 화면(32)으로 되돌아 갈 수 있으며, 소프트키(30)의 3번을 선택을 하면, 이벤트 일정 등록화면(42)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S77).
사용자는 이벤트 일정의 날짜와 시간을 등록하고, 알람을 선택하고 메모를 입력한 후에 저장을 한다(S78~S81).
사용자가 이벤트 일정의 등록을 마친 후에는 초기의 일정 관리 메뉴 화면(32)으로 되돌아 갈 수 있으며, 소프트키(30)의 4번을 선택을 하면, 사용자가 등록한 일정관리 리스트(46)가 화면부(20)로 표시된다.
화면부(20)로는 사용자가 등록한 기간 일정 등록 내용, 개인 미팅 등록 내용, 단체 미팅 등록 내용과 이벤트 일정의 내용을 리스트로 표시하고 사용자는 소프트키로 선택을 하고 지정된 리스트를 삭제할 수 있고, 편집이 필요한 경우에도 상술한 방식으로 다시 편집과 등록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 관리를 더욱더 체계적으로 한 것으로, 일정 관리를 세분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의 종류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일정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일정관리 메뉴의 선택, 등록을 소프트키(30)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등록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 관리 메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장기적인 출장에 대한 기간 일정의 등록, 미팅 일정과 이벤트 일정을 소프트키를 이용하여 간편히 등록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뿐만 아니라 스케줄의 등록 등도 간편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일정관리를 위해 달력이 표시되는 1 단계;
    사용자가 기간일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 기간을 지정하고, 알람의 설정과 메모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2단계와;
    사용자가 미팅일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 날짜, 시간, 장소, 상대방 이름과 전화번호 항목, 알람 항목과 메모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3단계와;
    사용자가 이벤트 일정을 날짜, 시간, 이벤트의 내용, 알람의 설정, 메모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4단계와;
    사용자가 일정관리 리스트를 선택한 경우, 등록된 일정관리 리스트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삭제 또는 편집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일정관리 메뉴에서 날짜를 지정한 경우 달력화면에 동그라미 표시하여 일정이 있음을 알려주고 상기 달력화면을 초기화면으로 설정하여 활용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
KR1020050065804A 2005-07-20 2005-07-20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 KR100732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804A KR100732964B1 (ko) 2005-07-20 2005-07-20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804A KR100732964B1 (ko) 2005-07-20 2005-07-20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849A true KR20070010849A (ko) 2007-01-24
KR100732964B1 KR100732964B1 (ko) 2007-06-29

Family

ID=3801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804A KR100732964B1 (ko) 2005-07-20 2005-07-20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9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743A1 (en) * 2007-12-06 200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larm therein
KR100989243B1 (ko) * 2008-07-02 2010-10-20 주식회사 케이티 일정기능과 통화기능을 연동한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
KR20130143188A (ko) * 2012-06-21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서 일정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64697A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웰스텍 여행 스케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743A1 (en) * 2007-12-06 200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larm therein
US8358564B2 (en) 2007-12-06 2013-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larm therein
US8630150B2 (en) 2007-12-06 2014-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larm therein
US9001624B2 (en) 2007-12-06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tting alarm therein
KR100989243B1 (ko) * 2008-07-02 2010-10-20 주식회사 케이티 일정기능과 통화기능을 연동한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
KR20130143188A (ko) * 2012-06-21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에서 일정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60064697A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웰스텍 여행 스케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964B1 (ko)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9734A2 (en) Method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US716227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ands-free speech state and computer program for switching over to hands-free speech state
JP2009532935A (ja) 移動端末イベント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CN101785273A (zh) 具有自动的本地化日程表的便携式通信设备
CN102083024A (zh) 控制便携式装置的方法及用于通信网络中的便携式装置
KR100520664B1 (ko) 이동통신단말에서 사용자 세팅 메뉴의 세팅 변경방법
KR1007329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
US727170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progressive alarm function
CN101141804A (zh) 用于移动终端的话音通知服务系统和服务提供方法
KR100695258B1 (ko) 사용자의 위치 또는 지정 시간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대기화면을 자동 변경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JPH0818178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携帯情報端末
JP2003152830A (ja) 携帯端末
KR20010003397A (ko) 휴대폰에서의 기념일 관리방법
JP3500757B2 (ja) 無線通信携帯情報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H0821437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携帯情報端末
KR10059445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미리보기 방법
KR100766167B1 (ko) 컨텐츠 제공방법
KR100451142B1 (ko)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생일 알림 서비스 방법
KR1005637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처리방법
US845227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ring back tone
KR1006506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대별 메뉴 실행 방법
KR100560903B1 (ko) 단축버튼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실행방법
JP2004088479A (ja) 通信端末装置
JPH08242308A (ja) 通信装置
KR100566991B1 (ko) 메시지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