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685A - 개선된 획득의 반송파 복구 아키텍처 - Google Patents

개선된 획득의 반송파 복구 아키텍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685A
KR20070009685A KR1020067023485A KR20067023485A KR20070009685A KR 20070009685 A KR20070009685 A KR 20070009685A KR 1020067023485 A KR1020067023485 A KR 1020067023485A KR 20067023485 A KR20067023485 A KR 20067023485A KR 20070009685 A KR20070009685 A KR 20070009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alizer
tracking loop
carrier tracking
receive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막심 비. 벨로체르코프스키
동-창 슈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7000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1Equal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04N5/211Ghost signal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433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equaliser structure
    • H04L2025/03535Variable structures
    • H04L2025/03547Switching between time domai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592Adaptation methods
    • H04L2025/03726Switching between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592Adaptation methods
    • H04L2025/03726Switching between algorithms
    • H04L2025/03732Switching between algorithms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04L2027/0026Correction of carrier offset
    • H04L2027/003Correction of carrier offset at baseband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04L2027/0026Correction of carrier offset
    • H04L2027/0038Correction of carrier offset using an equal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44Control loops for 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71Control of loops
    • H04L2027/0073Detection of synchronisation st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44Control loops for 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71Control of loops
    • H04L2027/0079Switching between loo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디지털 통신 시스템 수신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반송파 추적 및 등화 아키텍처는 등화기(110)를 갖는 반송파 추적 루프(100)를 포함할 수 있다. 등화기는 반송파 추적 루프 외부에 있는 위치(도 3)와,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에 있는 위치(도 2)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등화기는 반송파 추적 루프에 대한 수렴 추정치에 따라 위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획득의 반송파 복구 아키텍처{CARRIER RECOVERY ARCHITECTURE WITH IMPROVED ACQUISI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하게는 통신 시스템 수신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반송파 복구 및 등화용 아키텍처에 관한 것이다.
심벌 형태로 디지털 정보를 전달하는 변조된 신호로부터의 데이터 복구는 보통 수신기에서 세 가지 기능을 필요로 한다: 심벌 동기화용 타이밍 복구, 반송파 복구(기저대역으로의 주파수 복조) 및 채널 등화. 타이밍 복구는 수신된 클록(시간기준)이 송신기 클록에 동기화되게 하는 방법이다. 이로 인해, 수신된 신호는 시간상의 최적 지점에서 샘플링되게 되어, 수신된 심벌 값의 결정 지향 처리와 관련된 슬라이싱 에러를 감소시킨다. 반송파 복구는 수신된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더 낮은 중간 주파수(IF) 통과대역(예컨대 기저대역 근처)으로 주파수 다운변환시킨 이후, 변조 기저대역 정보의 복구를 허용하도록 기저대역으로 주파수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적응형 채널 등화는 신호 송신 채널에서의 조건 및 장애 변경 효과를 보상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전형적으로는 송신 채널의 주파수 의존 시간 변형 특성으로 인해 초래된 진폭 및 위상 왜곡을 제거하는 필터를 사용한다.
많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적응형 등화를 사용하여 신호 송신 채널 상의 채널 조건 및 장애 변경 효과를 보상한다. 등화는 송신 채널의 저역 통과 필터링 효과를 포함하는 송신 채널 장애로 인한 기저대역 심벌간 간섭(ISI)을 제거한다. ISI는 주어진 심벌의 값이 이전 또는 이후의 심벌 값에 의해 왜곡되게 하여, 본질적으로 심벌 "고스트(ghost)"를 나타낸다.
적응형 등화기는 본질적으로 적응형 필터이다. 적응형 등화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채널 왜곡을 충분히 보상하도록 필터 응답을 적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러 알고리즘이 필터 계수 적응 및 이를 통한 필터 응답 변경에 이용 가능하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최소평균제곱근(LMS)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이 알고리즘은 에러 신호의 함수로서 필터 계수 값을 바꾼다. 에러 신호는 기준 데이터 시퀀스로부터 등화기 출력 신호를 감산하여 형성된다. 에러 신호가 0에 접근함에 따라, 등화기는 수렴에 접근한다.
등화기 동작이 개시될 때, 필터 계수 값(필터 탭 가중치)은 채널 왜곡의 충분한 보상을 생성하는 값으로 보통 설정되지 않는다. 필터 계수의 초기 수렴을 강제하기 위해, 알려진 "트레이닝(training)" 신호가 기준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닝 신호는 수신기에 송신되다. 에러 신호는 적응형 등화기의 출력에서 트레이닝 신호의 국부적으로 생성된 복제 신호를 감산하여 수신기에서 형성되며, 이러한 적응형 등화기의 출력은 수신된 트레이닝 신호를 나타낸다. 알려진 신호를 사용하면, 종래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초기에 막혔던 "중심(eye)"을 개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트레이닝 신호와 적응한 후, "중심"은 상당히 개방되어, 등화기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심벌을 수신하기 위해 결정 지향 동작 모드로 전환된다. 이 모드에서, 필터 탭 가중치의 최종 수렴은 트레이닝 신호를 사용하는 대신 필터 계수를 적응시키기 위한 등화기 출력으로부터의 데이터 심벌의 실제값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결정 지향 등화 모드는 트레이닝 신호를 사용하는 방법보다 좀더 신속하게 시변(time varying) 채널 왜곡을 추적하고 제거할 수 있다. 결정 지향 등화기 신뢰할 만한 수렴 및 안정적인 계수 값을 제공하기 위해, 결정 중 대략 90%는 정확해야 한다. 필터 계수를 초기에 적응시키기 위해 트레이닝 신호를 사용하면, 등화기가 이러한 90%의 정확한 결정 레벨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제로, 그러나, 트레이닝 신호는 항상 유용하지는 않다. 그러한 경우, "블라인드(blind)" 등화는 등화기 계수 값의 초기 수렴을 제공하고 중심을 강제로 개방시키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블라인드 등화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왔고, 예컨대 직교 진폭 변조(QAM) 시스템을 위해 사용되어왔다. 가장 유명한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 중에는 일정 계수 알고리즘(CMA: Constant Modulus Algorithm)과 감소한 콘스텔레이션 알고리즘(RCA: Reduced Constellation Algorithm)이 있다. 이들 알고리즘은 예컨대 Proakis가 저술한 Digital Communication(McGraw-Hill 출판사: 뉴욕, 1989년)과 Godard가 저술한 "Self-Recovering Equalization and Carrier Tracking in Two Dimensional Data Communication Systems"(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1980년 11월)에서 설명되어 있다.
간단히 말해, CMA는, 결정 순간에, 검출된 데이터 심벌의 계수가 다른 직경 의 여러 (콘스텔레이션) 원 중 하나를 한정하는 점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는 점에 의존한다. RCA는 주된 송신 콘스텔레이션 내에 "수퍼 콘스텔레이션"을 형성하는 구성에 의존한다. 데이터 신호는 먼저 수퍼 콘스텔레이션에 맞게 강제된다. 그러면, 수퍼 콘스텔레이션은 전체 콘스텔레이션을 포함하도록 세분된다.
전형적으로, 디지털 통신 시스템 수신기 내에서, 등화 및 반송파 복구는 하나의 루프 내부에서 얽혀 있다. 이들 둘 모두는 동일한 루프 내부에 포함되며, 이는, 최적 수신을 위해서, 등화기는 잔류 반송파 주파수 오프셋이 제거된 이후에 회전하지 않는 콘스텔레이션을 그 입력단에서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특히 결정 지향 등화에 관해서 사실이다. 또한 흔히 결정 지향성인 반송파 에러 검출기는 등화된 신호와 좀더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기능한다.
그러나, 이러한 아키텍처는 과도한 멀티-심벌 지연으로 인해 초래되는 본질적인 결점을 가지며, 이러한 지연은 등화기의 전방 공급{비실현(Non-Causal)}부에 의해 반송파 추적 루프(CTL) 내에 도입된다. 이러한 과도한 지연은 반송파 획득 범위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최대 허용 가능한 루프 이득을 제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의 일반적인 해법으로 루프 이득을 충분히 낮게 유지하여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각 단계에서 획득하기 위해 CTL에 대해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면서도 원하는 획득 범위를 "단계적으로 거치도록" 제한된 획득 범위를 또한 회피하게 한다.
CTL 내부에 등화기를 포함시키는 것과 관련한 장점을 또한 보존하면서도 등화기에 의해 CTL 내에 도입된 멀티-심벌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수신기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반송파를 복구하고 등화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수신기는 반송파 추적 루프(CTL)와, 이러한 CTL외부 또는 이러한 CTL 내부에 있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는 등화기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등화기는 CTL의 수렴 측정치에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수렴 측정치는, CTL이 진정한 잔류 오프셋 값 주위로 수렴할 때 충족될 수 있다. 특히, 등화기는 CTL 외부에 위치할 때 블라인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CTL 내부에 위치할 때 결정 지향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CTL은 수신 심벌을 디로테이트하도록 구성된 디로테이터(derotator)와, 수신된 심벌에서 에러를 정정하도록 구성된 슬라이서를 포함한다. CTL은 또한 에러 신호를 결정하기 위해 슬라이서의 심벌 출력을 수신된 심벌과 비교하도록 구성된 에러 검출기와, 에러 신호를 처리하는 루프 필터와, 수치 제어된 발진기를 포함한다.
수치 제어된 발진기는 루프 필터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어 수신된 심벌을 디로테이트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신호를 디로테이터에 제공한다.
CTL의 외부에 위치할 때, 등화기는 신호 경로에 대해 예시적으로는 디로테이터 이후에 위치한다. CTL 내부에 위치할 때, 등화기는 예시적으로는 디로테이터와 슬라이서 사이에 위치한다. 등화기는 인입되는 심벌에 적응하며, 그에 응답하여 적응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수신기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가변 아키텍처를 갖는 반송파 추적 루프(CTL: Carrier Tracking Loop)를 예시한 예시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가변 아키텍처를 갖는 CTL을 예시한 예시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CTL의 또 다른 예시적인 블록도.
도 5는 선택적으로 위치지정 가능한 등화기를 갖는 CTL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반송파 복구 및 등화를 실행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적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
본 발명의 개념 이외의, 도면에 도시된 요소들은 잘알려져 있고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 이외의, 셋톱박스나 디지털 텔레비전(DTV) 및 그 구성요소, 즉 전단(front-end), 힐버트 필터(Hilbert filter), 반송파 추적 루프, 비디오 프로세서, 원격제어기 등은 잘알려져 있고, 여기서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개념은 종래의 프로그래밍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기술은 여기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면 상에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가변 아키텍처를 갖는 반송파 추적 루프(CTL) 구성을 제공한다. 이것이 수신기(10)에 대하여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수신기(10)는 전단부(50)와 구성 가능한 등화기/CTL(100)을 포함한다. 전단부(50)는 수신된 신호(49)를 처리하여 기저대역 근처 신호(101)를 구성 가능한 등화기/CTL(100)에 제공하며, 구성 가능한 등화기/CTL(100)은 나아가 기저대역 근처 신호(101)를 처리하여 수신기(10)의 다른 요소(미도시)에 의해 처리하기 위해 복조된 신호(102)를 제공한다. 여기서 개시한 본 발명의 배열에 따라, 등화기/CTL(100)의 아키텍처는 동적이며, 더 고속의 획득 및/또는 더 넓은 반송파 획득 범위를 허용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등화기/CTL(100) 아키텍처는 등화기 CTL 동기 검출기로부터 유래된 신호를 기초로 해서 서로 다른 동작 모드를 위해 스위칭될 수 있다. 다른 루프 아키텍처가 이러한 등화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된다. 여기서 개시한 본 발명의 배열은 하드웨어의 복잡도를 상당히 증가시키지 않고도 수신기의 개선된 동작을 제공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간소화하기 위해, 등화기/CTL(100)은 CTL(100)으로 지칭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가변 아키텍처를 갖는 CTL(100)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CTL(100)은 사전에 복조되거나, 주파수 다운-변환된 디지털 신호(101)를 예시적으로 수신한다. HDTV 신호와 같은 변조된 아날로그 신호는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고 입력 네트워크(미도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는 직교 진폭 변조(예컨대, 알려진 바와 같은 16- 또는 32-QAM)나 QPSK 및 VSB와 같은 다른 형태의 PAM 변조를 보일 수 있다. QAM은 펄스 진폭 변조된(PAM) 신호 형태이며, 여기서 디지털 정보는 직교 실수 및 허수축에 의해 한정된 2차원 격자형 심벌 콘스텔레이션(constellation)에 의해 표시된다. 예컨대, 미국에서 그랜드 얼라이언 스(Grand Alliance) HDTV 시스템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제안된 바와 같은 VSB 신호는 1차원 데이터 심벌 콘스텔레이션에 의해 표시되며, 여기서, 단 하나의 축만 수신기에 의해 복구될 양자화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시한 기능 블록의 클록을 맞추기 위한 신호나 수신된 신호로부터 타이밍 및 클록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타이밍 복구 네트워크(알려진 바와 같은)은 생략되었다.
이러한 복조는 신호를 기저대역에 더 가깝게 가져가, 후속한 회로는 중간 주파수(IF) 신호에서 동작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 국부적으로 생성된 반송파 주파수는 송신기 반송파 주파수에 정밀하게 매칭하지 않을 것이어서, 위상 에러가 결국 이러한 복조로부터 생성된다. 이들 위상 에러는 CTL(100)을 수반하는 추가적인 복조 방법에 의해 정정된다.
CTL(100)은 디로테이터(105), 등화기(110), 슬라이서(115), 에러 검출기(120), 루프 필터(125) 및 수치 제어된 발진기(NCO)(130)를 포함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디로테이터(105)는 인입되는 신호로부터 잔류 반송파 주파수를 제거하여, 이 신호를 다시 기저대역으로 효율적으로 디로테이팅시킨다. 디로테이터(105)는 인입되는 신호를 NCO(130)에 의해 생성된 차이 또는 에러 사인 신호와 곱하는 복잡한 곱셈기일 수 있다.
등화기(110)는 블라인드(blind)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과 결정-지향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적응형 등화기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등화기(110)는 일반적으로 송신 채널 장애에 의해 초래된 기저대역 심벌간 간섭(ISI)을 제거한다. 일실시예에서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등화기(110)는 CTL(100) 내에 위치한다. 즉, 등화기(110)는 디로테이터(105)와 슬라이서(115)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서(115)는 예시적으로 현재 수신된 심벌을 처리하고, 송신된 심벌일 것으로 믿어지는 것으로 결정하는 결정 지향 구성요소로서 구현된다. 슬라이서(115)는 수신된 샘플을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점으로 양자화하여 결정한다. 양자화된 심벌은 실제 송신된 심벌의 추정치로서 사용된다. 각 현재 수신된 심벌에 대해, 슬라이서(115)는, 룩업 표로부터 그 결정에 따라 입력 심벌 샘플(양자화 심벌)에 유클리드 거리로 가장 가까운 콘스텔레이션 점이다.
에러 검출기(120)는 등화기(110)와 슬라이서(115)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에러 검출기(120)는 등화기(110)의 심벌 출력과 슬라이서(115)의 심벌 출력 사이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루프 필터(125)는 에러 검출기(120)로부터의 에러 신호를 처리하여 더 높은 품질의 신호를 NCO(130)에 제공한다. 에러 검출기(120)에 의해 생성된 에러 신호는 에러 항과 노이즈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노이즈 항은 높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루프 필터(125)는 에러 신호를 처리하여 노이즈 효과를 억압하는 동시에 유용한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NCO(130)는 고정된 시간기준(timebase)으로부터 주파수 범위를 합성하는 전자 시스템이다. NCO(130)는 위상 카운터를 사전-샘플 증분만큼 증분시키는 디지털 파형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은 사인파형을 생성하도록 파형 표에서 룩업될 수 있다. 그러나, NCO(130)는 위상 및 주파수면에서 유리하다. 그에 따라, NCO(130)는 위상-변조나 주파수-변조된 출력 또는 직교 출력을 생성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CTL(100)을 예시한 예시적인 블록도이며, 여기서, 이 아키텍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화기(110)는 실제로 CTL 동작 외부에 위치한다. 등화기(110)는 더이상 디로테이터(105)와 슬라이서(115) 사이에서 동작하지 않으며, 오히려 CTL(100)에 대한 입력부에서 기능한다. 등화기(110)는 여전히 CTL(100)의 일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이것은 CTL(100)의 외부에 효과적으로 위치한다.
이전처럼, 사전 복조되고, 디지털화된 신호는 디로테이터(105)에 제공되기 이전에 등화기(110)에 제공된다. 도 2 및 도 3 사이의 아키텍처 사이에서 CTL(100)의 아키텍처를 전환함으로써, CTL(100)에 걸친 지연은 CTL(100)에 더 넓은 최대 범위(wider pull in range)를 제공하도록 더 감소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CTL(100)은 하나 이상의 개별 구성요소, 집적회로를 사용한 하드웨어로서 구현되거나 주문형 집적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등화기(110)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멀티플렉서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등화기(110)의 위치는, 신호 경로에 대하여 멀티플렉서를 사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이 도 4에서 멀티플렉서(150, 155, 160 및 165)로 예시되어 있다. 신호(151)는, 신호가 등화기(110)로 선택적으로 경로지정될 수 있도록 멀티플렉서를 제어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CTL(100)은 소프트웨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그램 코드 모듈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 각각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 신호 경로는, 등화기(1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CTL(100) 외부 및 CTL(100) 내부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제어를 통해 바뀔 수 있다.
도 5는 선택적으로 위치지정 가능한 등화기를 갖는 CTL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반송파 복구 및 등화를 실행하는 방법(300)을 예시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방법(300)은 CTL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잔류 반송파 오프셋이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신호는 등화되어 있지 않다. 단계(305)에서, 등화기는 메인 경로 지연에 대응하는 하나의 영이 아닌 탭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나아가, CTL 적분기, 즉 NCO는 0이나, 일부 우선순위의 미리알려진 다른 최적값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단계(310)에서, CTL의 아키텍처는 도 3에 예시된 것으로 초기화되거나 전환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등화기의 위치는 CTL의 입력단으로 설정되거나 위치할 수 있어서, 등화기의 입력이 디로테이터의 입력에 공급된다. 그러한 위치에서, 등화기는 CTL의 외부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단계(315)에서, 등화기는 블라인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등화기는 회전 복소 콘스텔레이션(spinning complex constellation)을 처리하게 된다. 특히, 심벌 타이밍 복구 루프는 동기화하여, 필요에 따라 유효한 데이터 다운스트림을 CTL 및 다른 시스템 구성요소에 전송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지점에서, 적분기는 "0"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스트림 구성요소에 대한 신호 경로는 "x"로 도시되며, 이것은 신호가 아직 필요한 품질을 갖지 않는다는 점을 지시한다. 이처럼, 어떠한 신호도 이 단계에서 출력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등화기는, 등화기 계수가 수렴하기 시작하도록 블라인드 모드에서 기능하고 적응하기 시작한다. 등화기가 계속 적응하는 동안에, CTL은 비활성상태일 수 있다. 즉, CTL은 적응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320)에서, 등화기가 충분히 적응되었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방법(300)은 등화기가 충분히 적응될 때까지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를 계속 돌 수 있다. 다수의 알려진 기술 중 임의의 하나가, 등화기가 충분히 적응되었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시간 기간 동안, 카운트는 신호 공간의 미리 한정한 부분 내에 있는 등화되어 수신된 심벌의 수로 결정될 수 있다. 등화기는 이 카운트가 미리 결정된 수를 초과할 때 충분히 적응되었다고 결정될 수 있다. 단계(325)에서, 적응이 발생하고, 슬라이서로부터 평균적으로 상당히 정확한 슬라이스 결정을 허용도록 중심(eye)이 충분히 개방되면, 등화기의 추가적인 적응은 정지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CTL 동작은 적응을 개시 및 시작할 수 있다. 적분기는 더이상 고정 값에 유지되지 않는다. CTL이 기능하거나 적응하는 동안, 등화기는 중지 상태로 유지되어, CTL이 등화기의 추가 적응으로 인해 변경된 신호로 적응해야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채널은 준-정지 상태이며, CTL이 수렴하고 있는 동안에 상당히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은 본 발명의 개념을 케이블 수신기에 부속되도록 적응하는 경우에도 가능하다. 특히, 등화기가 CTL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CTL을 걸친 지연은 감소하고, 결국, 더 넓은 최대 범위를 허용한다.
단계(335)에서, CTL이 진정한 잔류 오프셋 값 주위로 수렴하는지에 대한 결 정이 이뤄질 수 있다. 이것은, 디로테이터의 콘스텔레이션 출력이 사실상 정적일 때 발생한다. 이 방법은 CTL이 수렴할 때까지 계속 루프를 돌 수 있다. 그 지점에서, 이 방법은 단계(340)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CTL 적응은 중지된다. 즉, 적분기 값은 고정될 수 있다. 단계(345)에서, CTL 아키텍처는 도 2에 도시된 아키텍처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CTL의 아키텍처는, 등화기가 디로테이터와 슬라이서 사이에 효과적으로 위치하게 되도록 동적으로 바뀔 수 있다. 단계(350)에서, 등화기는 해제되어 결정 지향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는 디로테이터로부터 출력된 콘스텔레이션이 주목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정적인 경우일 수 있다.
단계(355)에서, CTL 적분기는, CTL이 계속 다시 적응하게 되도록 해제된다. 이 지점에서, CTL과 등화기 모두는 기능하여 계속해서 적응되며, 단계(370)에서, 출력 신호가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흐름도 외에, 다른 변경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가능하다. 이러한 변경 중 하나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흐름도(400)는 도 5의 흐름도와, 단계(360 및 365)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단계(360)는 도 5의 단계(350)를 대체한다. 단계(360)에서, 등화기는 블라인드 모드로 실행되도록 전환된다. 이로 인해, 등화기는 도 3의 아키텍처에서 도 2의 아케텍쳐로 아키텍처를 전환함으로 인해 초래되는 불연속을 매끄럽게 하게 된다. 등화기가 충분히 적응될 때{비록 도 6에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이것은 (전술된 바와 같이) 단계(320)와 유사하다}, 등화기는 단계(365)에서 결정 지향 모드로 동작하도록 다시 전환된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상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품은 여기서 설명된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모든 특성을 포함하며, 컴퓨터 시스템에 로딩될 때, 이들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 명세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처리 성능을 갖는 시스템으로 하여금 특정한 기능을 바로 실행하거나, 다음과 같은 경우 즉: (a) 또 다른 언어, 코드 또는 표기법으로의 변환; (b) 다른 자료 형태로의 재생 중 어느 한 경우 또는 이들 두 경우 모두 이후 특정한 기능을 실행하게 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명령어 세트에 대한, 임의의 언어, 코드 또는 표기법을 사용한 임의의 표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필수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범주를 지시하는 것으로는 앞선 명세서를 참고하기 보다는 다음의 청구범위를 참고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통신 시스템과, 통신 시스템 수신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반송파 복구 및 등화용 아키텍처에 이용된다.

Claims (19)

  1. 수신기로서,
    반송파 추적 루프와;
    등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등화기는,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에 대한 수렴 측정치에 따라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외부의 위치와, 상기 반송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의 위치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렴 측정치는,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가 진정한 잔류 오프셋 값 주위로 수렴할 때 충족되는, 수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는,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외부에 위치할 때 블라인드(blind)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에 있을 때 결정 지향(decision-directed) 모드로 전환되는, 수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는:
    수신된 심벌을 디로테이트(derotate)```하도록 구성된 디로테이터(derotator)와;
    수신되어 디로테이트된 상기 심벌에서 에러를 정정하도록 구성된 슬라이서와;
    상기 슬라이서의 심벌 출력을 수신되어 디로테이트된 상기 심벌과 비교하여 에러 신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에러 검출기와;
    에러 신호를 처리하는 루프 필터와;
    상기 루프 필터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수신된 심벌을 디로테이트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상기 디로테이터에 신호를 제공하는 수치 제어된 발진기를 더 포함하는, 수신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는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외부에 위치할 때 상기 디로테이터 이전에 위치하고,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디로테이터와 상기 슬라이서 사이에 위치하는, 수신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는 초기에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외부에 위치하고, 블라인드 모드로 기능하는, 수신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는 인입되는 심벌에 적응하여, 그에 응답하여 적응을 중지하는, 수신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가 적응을 중지한 후,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는 진정한 잔류 오프셋 값 주위로 수렴하고 적응을 중지하는, 수신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는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에 위치하고, 추가적인 적응을 시작하여 결정 지향 모드로 기능하는, 수신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는, 상기 등화기가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에 위치한 이후 적응을 재개하는, 수신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는 잠시 블라인드 모드로 기능하도록 다시 전환되며,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이전에 결정 지향 모드로 기능하도록 전환되는, 수신기.
  12. 수신기로서,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등화기와;
    수신된 신호의 반송파를 추적하는 반송파 추적 루프와;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에 대한 상기 등화기의 위치를 조정 가능한,
    수신기.
  13.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등화기를 반송파 추적 루프에 대한 입력단 내의 한 위치로 위치시키는 단계 와;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를 적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는 진정한 잔류 오프셋 값 주위로 수렴할 때, 상기 등화기를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등화기의 동작 모드를 결정 지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를 블라인드 모드로 기능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등화기가 충분히 적응될 때 블라인드 모드로의 상기 등화기 적응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송파 루프 추적을 적응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등화기 적응을 중지한 후 실행되는,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의 적응은, 상기 등화기를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상기 단계 동안에 중지되는,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와 반송파 추적 루프 적응의 동작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결정 지향 모드로 기능하도록 상기 등화기를 전환하기 이전에,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로 상기 등화기를 위치시킨 이후의 시간 기간 동안에 상기 등화기를 블라인드 모드로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는,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에 위치할 때 디로테이터와 슬라이서 사이에 위치하는,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방법.
  19.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적응형 등화기를 반송파 추적 루프 외부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외부에 있을 때 블라인드 모드인 적응형 등화기로 심벌을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가 진정한 잔류 오프셋 값 주위로 수렴할 때, 상기 적응형 등화기를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송파 추적 루프 내부에 있을 때 결정 지향 모드를 사용하는 상기 적응형 등화기로 심벌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방법.
KR1020067023485A 2004-05-12 2005-02-02 개선된 획득의 반송파 복구 아키텍처 KR200700096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029404P 2004-05-12 2004-05-12
US60/570,294 2004-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685A true KR20070009685A (ko) 2007-01-18

Family

ID=3496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485A KR20070009685A (ko) 2004-05-12 2005-02-02 개선된 획득의 반송파 복구 아키텍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31316A1 (ko)
EP (1) EP1745619A1 (ko)
JP (1) JP2007537659A (ko)
KR (1) KR20070009685A (ko)
CN (1) CN1954569A (ko)
WO (1) WO2005114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5622A1 (en) * 2004-05-12 2007-01-24 THOMSON Licensing Noise power estimate based equalizer lock detector
JP2007537666A (ja) * 2004-05-12 2007-12-20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イコライザエラー信号のためのコンステレーション位置依存ステップサイズ
US8761310B2 (en) 2008-01-14 2014-06-24 Thomson Licensing Decoupled data-aided carrier tracking loop and symbol timing recovery loop
US8761311B2 (en) 2008-01-14 2014-06-24 Thomson Licensing Data-aided symbol timing recovery loop decoupled from carrier phase offset
US8045649B2 (en) * 2008-02-25 2011-10-25 Himax Technologies Limited Carrier recovery system and carrier recovery method
CN102420790A (zh) * 2011-11-28 2012-04-18 清华大学 一种单载波超宽带通信系统中的均衡处理方法和系统
US8548038B2 (en) * 2011-12-06 2013-10-01 Lsi Corporation Pattern detector for serializer-deserializer adaptation
CN108134752A (zh) * 2016-12-01 2018-06-08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消除码间干扰的方法及系统
CN107958082B (zh) * 2017-12-15 2021-03-26 杭州有赞科技有限公司 数据库到数据仓库的离线增量同步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687B1 (ko) * 1993-06-02 1997-06-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탈통신을 위한 적응 등화시스템
US5471508A (en) * 1993-08-20 1995-11-28 Hitachi America, Ltd. Carrier recovery system using acquisition and tracking modes and automatic carrier-to-noise estimation
KR0144294B1 (ko) * 1994-12-14 1998-07-15 배순훈 수렴특성을 개선시킨 등화기
US5712873A (en) * 1996-06-04 1998-01-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ulti-mode equalizer in a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14935A1 (en) 2005-12-01
CN1954569A (zh) 2007-04-25
EP1745619A1 (en) 2007-01-24
JP2007537659A (ja) 2007-12-20
US20080031316A1 (en)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292B1 (ko) 디지털비디오신호처리시스템내의다중-모드등화기
US6985549B1 (en) Blind cost criterion timing recovery
JP4845246B2 (ja) トレーニングモードを有する適応チャネル等化器
KR20070009685A (ko) 개선된 획득의 반송파 복구 아키텍처
US7031405B1 (en) Carrier phase estimation based on single-axis constant modulus cost criterion and Bussgang criteria
US7580482B2 (en) Joint, adaptive control of equalization, synchronization, and gain in a digital communications receiver
EP0524559B1 (en) Carrier phase recovery for an adaptive equalizer
US20030219085A1 (en) Self-initializing decision feedback equalizer with automatic gain control
WO1997027695A9 (en) Digital receiver with fractionally-spaced self-recovery adaptive equalizer
EP0878081A2 (en) Digital receiver with fractionally-spaced self-recovery adaptive equalizer
US6351293B1 (en) Decision directed phase detector
US7006565B1 (en) Hybrid soft and hard decision feedback equalizer
KR100930988B1 (ko) 위상 추적 시스템 및 방법
EP1759476B1 (en) Dual-mode equalizer in an atsc-dtv receiver
US8638889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acquisition of a quadrature amplitude modulated (QAM) signal having a frequency offset
JP4373676B2 (ja) 復調器
KR100338755B1 (ko) 디지털 신호 수신장치 및 그 방법
Endres et al. Carrier independent blind initialization of a DFE
WO1999060745A1 (en) Symbol sign directed phase detector
CN115664901B (zh) 一种基于定时恢复环路的信号均衡电路
KR20040059227A (ko) 디지털 tv의 위상 오차 추적 장치 및 방법
KR19990016703A (ko) 자기 적응 등화와 반송파 위상 복원을 겸한등화 방법
MXPA97004115A (en) Multimodal equalizer in a digi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