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91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910A
KR20070008910A KR1020050062804A KR20050062804A KR20070008910A KR 20070008910 A KR20070008910 A KR 20070008910A KR 1020050062804 A KR1020050062804 A KR 1020050062804A KR 20050062804 A KR20050062804 A KR 20050062804A KR 20070008910 A KR20070008910 A KR 20070008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door
home bar
locking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화
서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8910A/ko
Publication of KR2007000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05B17/0037Spring-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마련된 홈바수용부; 상기 홈바수용부를 회동 개폐하는 홈바도어; 상기 홈바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개방유닛; 상기 홈바도어 및 상기 홈바수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에 걸림유지되는 걸림위치 및 상기 걸림유지가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 및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위치 및 상기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선택부를 통한 간단한 작동으로 홈바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홈바 부분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단면 사시도로서, 개방유닛을 나타낸 그림,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의 단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및 걸림부재를 나타낸 그림,
도 5 내지 7은 도 4의 걸림부재의 걸림 및 해제를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도 1의 Ⅳ-Ⅳ선의 단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및 걸림부재를 나타낸 그림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냉장고 11 : 냉장실
12 : 냉장실도어 15 : 냉동실
16 : 냉동실도어 17 : 디스펜서부
20 : 홈바 25 : 홈바수용부
26 : 개구부 27 : 구동부수용부
28 : 가이드부 30 : 홈바도어
31 : 걸림부재수용부 32 : 걸림후크
33 : 토션스프링 36 : 힌지부
40 : 개방유닛 41 : 푸셔
43 : 탄성부재 45 : 탄성부재수용부
50 : 걸림부재 60 : 선택부
61 : 누름스위치 63 : 기판
70 : 구동부 71 : 구동모터
72 : 회전축 75 : 전자석
76 : 걸림부재스프링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홈바도어의 개폐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장고의 고급화, 다기능화 추세에 따라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기능들이 냉장고에 흡수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디스펜서, 홈바 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홈바(home bar)는 냉장실 도어를 열지 않고도 음료수, 술 등의 내용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용자 편의성 제고는 물론, 도어 전체를 개방할 필요가 없어 냉기보존에 있어서도 유리할 뿐만 아니라, 냉장고 전면의 외관 향상에도 기여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는, 한국실용공개 제1999-008691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도어의 일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홈바수용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홈바도어, 홈바도어 개방시 홈바도어의 처짐을 방지하는 좌우 측면지지부와, 홈바도어를 열고 닫기 위한 손잡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종래 냉장고에 있어서의 홈바도어 개폐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는 홈바도어에 있는 손잡이부를 잡은 후, 홈바도어를 홈바수용부에 고정하고 있는 걸림장치를 해제하면서 사용자 측으로 젖혀 홈바를 개방한다. 홈바가 개방되면 홈바도어는 지면에 대해 거의 수평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홈바도어 위에 컵 등을 올려놓고 저장실 안에 있는 음료수 등을 따라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사용자가 홈바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걸림장치를 해제한 후 사용자 측으로 당겨서 열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양손에 컵 및 음료 등을 들었을 경우에는, 우선 물건을 다른 곳에 내려 놓고 홈바도어를 열어젖힌 후에 다시 물건을 저장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한 작동을 통하여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홈바도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된 홈바수용부; 상기 홈바수용부를 회동 개 폐하는 홈바도어; 상기 홈바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개방유닛; 상기 홈바도어 및 상기 홈바수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에 걸림유지되는 걸림위치 및 상기 걸림유지가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 및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위치 및 상기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바도어 및 상기 홈바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 수용되는 걸림부재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걸림부재의 일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을 상기 걸림부재의 승강 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직선(Linear)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직선모터와 나선결합되어 상기 직선모터 구동시 승강 이동 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자석에 반응하는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걸림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전자석과, 상기 선택부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석에 소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석과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위치로 가압하는 걸림부재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바도어 및 상기 홈바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양문형(Side by Side)형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적용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 외관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중간격벽에 의해 분할 구획되는 냉동실(15) 및 냉장실(11)과, 냉장실(11)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2)와, 냉동실(15)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6) 및 냉동실도어(16)에 마련된 디스펜서부(17)를 포함한다.
냉동실(15)에는 내부에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냉동실(15)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6)에는 제빙장치로부터의 얼음 및 본체 내의 정수장치(미도시)로부터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부(17)가 마련된다.
냉장실(11)에는 내부를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다수의 선반(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며, 냉장실(11)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2)의 일영역에는 홈바(20)가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홈바(20)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실도어(12)에 마련된 홈바수용부(25), 홈바수용부(25)를 회동개폐하는 홈바도어(30), 홈바도어(30)를 개방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개방유닛(40), 홈바도어(30) 및 홈바수용부(25)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에 걸림유지되는 걸림위치 및 상기 걸림유지가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부재(50), 걸림부재(50)가 걸림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60) 및 걸림부재(50)를 상기 걸림위치(α) 및 상기 해제위치(β)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70)를 포함한다.
홈바수용부(25)는 냉장실도어(12)의 일영역에 형성된 개구부(26)를 포함한다. 홈바수용부(25)의 일측에는 개구부(26)를 개폐할 수 있도록 홈바도어(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홈바수용부(25)에는 홈바도어(30)를 개방방향(도 2의 A참조)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개방유닛(40)과, 개방유닛(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홈바도어(30)를 홈바수용부(25)에 지지하게 하는 걸림부재(50)가 마련된다.
홈바도어(30)는 홈바수용부(25)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26)를 개폐한다. 홈바도어(3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하부 양단에 힌지부(36)를 마련하여 힌지결합함으로써 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홈바도어(30)는 개구부(26)의 크기 및 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홈바도어(30)들 통한 냉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홈바도어(30)의 전면(34a)은 홈바도어(30)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면으로, 전면(34a)에는 누름스위치(61)가 마련될 수 있다. 홈바도어(30)의 후면(34b)은 홈바도어(30)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 식품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탄하게 마련된다. 홈바도어(30)의 후면(34b)에는 식품이 후면(34b)을 따라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도록 연부를 따라 단차(3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단면 사시도로서, 개방유닛(4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개방유닛(40)은 홈바수용부(25)에 마련되며, 홈바도어(30)를 홈바도어(30)의 개방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3)와, 탄성부재(43)를 홈바수용부(25)에 수용지지하는 탄성부재수용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판스프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43)의 탄성력은 개방유닛(40)의 위치 또는 필요한 개방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개방유닛(40)은 탄성부재(43)와 홈바도어(30) 사이에 마련되어 탄성부재(43)의 탄성력을 홈바도어(30)에 전달하는 푸셔(pusher, 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방유닛(40)은 전술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개방유닛(40)은 홈바수용부(25)의 어디에도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바수용부(25)의 측부 또는 상부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개방유닛(40)은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걸림부재(50)는 홈바도어(30) 및 홈바수용부(25)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에 걸림유지되는 걸림위치(도 4의 α참조) 및 상기 걸림유지가 해제되는 해제위치(도 4의 β참조)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걸림부재(50)가 홈바수용부(25)로부터 돌출되어 홈바도어(30)에 걸림유지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반대로 걸림부재(50)가 홈바도어(30)로부터 돌출되어 홈바수용부(25)에 걸림유지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도 적용됨을 밝혀둔다.
걸림부재(5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구동부(70)에 연결된 몸체(51)와, 몸 체(51)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홈바도어(30)의 걸림부재수용부(31)에 수용되는 걸림돌기(53)를 포함한다. 걸림부재(50)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걸림위치(α)와 해제위치(β) 사이를 이동하면서 홈바도어(30)가 홈바수용부(25)로부터 해제되어 개방되도록 한다. 걸림부재(50)는 전술한 형상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홈바수용부(25)에는 걸림부재(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8)가 마련될 수도 있다.
걸림부재수용부(31)는 홈바도어(30) 및 홈바수용부(25)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걸림부재(50)와 결합함으로써, 홈바도어(30)가 홈바수용부(25)를 폐쇄한 상태를 지지한다. 걸림부재수용부(31)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재수용부(31)는 걸림부재(50)와 결합하는 걸림후크(32)와 걸림후크(32)를 걸림부재(50) 방향으로 가압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33)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70)는 걸림부재(50)의 일측에 마련되어 걸림부재(50)가 걸림위치(α)와 해제위치(β) 사이를 이동하게 한다. 구동부(70)는 걸림부재(5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71)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71)는 직선모터(Linear motor)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동모터(71)에는 회전축(72)이 나선결합되어 구동모터(71)의 구동시 회전축(72)이 회전함과 동시에 승강 이동하게 된다. 한편, 회전축(72)의 타측은 걸림부재(50)와 결합하고 있으므로, 구동모터(71)가 구동되면 걸림부재(50)가 따라 승강 이동하게 된다.
구동부(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75)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누름스위치(61)를 누르면, 전자석(75)에 소정 시간동안 전원이 공급되어 자화됨으로써 걸림부재(50)를 걸림위치(α)로부터 해제위치(β)로 끌어올려 홈바도어(30)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자석(75)과 걸림부재(50) 사이에는 걸림부재스프링(76)을 더 포함하여, 해제위치(β)에서 전자석(75)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걸림부재(50)를 다시 걸림위치(α)로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걸림부재(50)는 전자석(75)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자석에 의해 끌려갈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여 마련된다.
선택부(60)는 냉장실도어(12) 또는 홈바도어(30)에 마련되어 걸림부재(50)가 걸림위치(α)에서 해제위치(β)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선택부(6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스위치(61)와, 누름스위치(61)가 선택되는 경우 구동부(70)를 구동하는 기판(63)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부(60)의 스위치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간단하게 홈바도어(30)를 개방할 수 있도록 누름스위치(61)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부(60)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바도어(30)의 전면(34a)에 마련될 수도 있고, 냉장실도어(12)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냉동실도어(16)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복수의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누름스위치(61)를 누름으로써 발생되는 신호는 기판(63)을 통해 구동부(70)로 전달됨으로써 홈바도어(30)가 개방되도록 한다. 여기서, 기판(63)과 구동부(70)사이에 마련되어 기판(63)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부(70)를 구동하는 제어부(미 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홈바도어(30)가 개방되는 동작을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홈바도어(30)가 홈바수용부(25)에 수용되어 개구부(26)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위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걸림부재(50)는 걸림위치(α)에 위치하고 있으며, 걸림부재(50)의 걸림돌기(53)와 걸림후크(32)는 상호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홈바도어(30)는 걸림돌기(53)와 걸림후크(32)의 결합에 의해, 개방유닛(40)이 홈바도어(30)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극복하고 홈바수용부(25)에 수용되어 개구부(26)를 폐쇄하고 있다.
사용자가 홈바도어(30)에 마련된 누름스위치(61)를 누르면, 기판(63)은 이를 인식하여 구동부(70)를 구동한다(도 5참조). 예를 들어, 구동부(70)가 구동모터(71)로 마련되는 경우, 구동모터(71)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축(72)이 상승하여 걸림부재(50)가 걸림위치(α)로부터 해제위치(β)로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걸림돌기(53)와 걸림후크(32)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이후, 홈바도어(30)는 개방유닛(4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도 6의 A참조), 개구부(26)를 개방한다. 구동부(70)가 전자석(75)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누름스위치(61)가 선택되면, 기판(63)은 전자석(75)에 소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며, 이에 의해 전자석(75)이 자화되어 걸림부재(50)를 걸림위치(α)로부터 해제위치(β)로 끌어올리게 된다.
이후, 걸림부재(50)는 구동모터(71)가 역회전하여 다시 걸림위치(α)로 복귀할 수도 있고, 걸림부재(50)의 자중에 의해 또는 걸림부재(50)와 구동모터(71) 사 이에 마련된 걸림부재스프링(도 8 참조)에 의해 걸림위치(α)로 복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홈바도어(30)의 폐쇄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홈바도어(30)를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걸림위치(α)로 복귀한 걸림부재(50)와 걸림후크(32)가 서로 간섭하게 된다. 이때, 걸림돌기(53)의 배면(55, 도 6참조)과, 걸림후크(32)의 배면(34, 도 6참조)는 서로 슬라이딩에 될 수 있도록 상호 반대방향의 곡률을 가지고 마련된다. 걸림후크(32)는 걸림돌기(53)의 배면(55)을 따라 축을 중심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홈바도어(30)가 계속 회동하면 걸림후크(32)가 걸림돌기(53)의 배면(55)을 지나면 토션스프링(33)의 회전탄성력에 의해 윗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돌기(53)와 결합하게 되고, 홈바도어(30)는 폐쇄상태에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홈바도어를 개방하는 개방유닛과, 개방유닛의 개방력을 극복하고 홈바도어를 홈바수용부에 수용지지하는 걸림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누름스위치를 통한 간단한 작동으로 홈바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된다. 또한, 손잡이부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냉장고 외관이 향상된다.

Claims (7)

  1.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마련된 홈바수용부;
    상기 홈바수용부를 회동 개폐하는 홈바도어;
    상기 홈바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개방유닛;
    상기 홈바도어 및 상기 홈바수용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에 걸림유지되는 걸림위치 및 상기 걸림유지가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 및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위치 및 상기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도어 및 상기 홈바수용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 수용되는 걸림부재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걸림부재의 일측에 마련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 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을 상기 걸림부재의 승강 이동으로 전환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직선(Linear)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직선모터와 나선결합되어 상기 직선모터 구동시 승강 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자석에 반응하는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걸림부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전자석과, 상기 선택부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석에 소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과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위치로 가압하는 걸림부재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도어 및 상기 홈바수용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재 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50062804A 2005-07-12 2005-07-12 냉장고 KR20070008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804A KR20070008910A (ko) 2005-07-12 2005-07-1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804A KR20070008910A (ko) 2005-07-12 2005-07-1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910A true KR20070008910A (ko) 2007-01-18

Family

ID=3801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804A KR20070008910A (ko) 2005-07-12 2005-07-1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891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827B1 (ko) * 2008-10-29 2009-04-24 주식회사 박전자 가전제품용 도어 잠금장치
WO2010056062A2 (ko) * 2008-11-17 2010-05-20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홈바 잠금장치
KR101226269B1 (ko) * 2012-08-08 2013-01-25 (주)구츠 이슬 비산 방지 구조를 갖는 팬 코일 유닛
KR101357339B1 (ko) * 2007-06-20 2014-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
US8752918B2 (en) 2011-08-05 2014-06-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339B1 (ko) * 2007-06-20 2014-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
KR100894827B1 (ko) * 2008-10-29 2009-04-24 주식회사 박전자 가전제품용 도어 잠금장치
WO2010056062A2 (ko) * 2008-11-17 2010-05-20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홈바 잠금장치
WO2010056062A3 (ko) * 2008-11-17 2010-07-29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홈바 잠금장치
US8752918B2 (en) 2011-08-05 2014-06-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KR101226269B1 (ko) * 2012-08-08 2013-01-25 (주)구츠 이슬 비산 방지 구조를 갖는 팬 코일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6606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57605B1 (ko) 냉장고
US9581382B2 (en)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309154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US7137272B2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101508373B1 (ko) 냉장고
US20110006655A1 (en) Refrigerator
JP2002522738A (ja) 冷蔵庫の扉開閉装置
US20050145704A1 (en) Refrigerator
KR20150031011A (ko) 냉장고
KR20070008910A (ko) 냉장고
KR20080016026A (ko) 냉장고의 제빙수단
US20130075424A1 (en) Refrigerator
KR20060050539A (ko) 냉장고
US20230304729A1 (en) Refrigerator
JP2001280824A (ja) 冷蔵庫の扉開放装置
EP1630503B1 (en)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KR20100054813A (ko) 아이스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JP3922940B2 (ja) 冷蔵庫等の扉開閉装置
JP2004301356A (ja) 棚装置、および棚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20040085760A (ko) 냉장고의 홈바 도어
JP2004325051A (ja) 冷蔵庫の扉装置
KR200389123Y1 (ko) 숙박시설용 냉장고
KR100690201B1 (ko) 숙박시설용 냉장고
KR200469428Y1 (ko) 냉장고용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