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7700A -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 Google Patents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7700A
KR20070007700A KR1020060003233A KR20060003233A KR20070007700A KR 20070007700 A KR20070007700 A KR 20070007700A KR 1020060003233 A KR1020060003233 A KR 1020060003233A KR 20060003233 A KR20060003233 A KR 20060003233A KR 20070007700 A KR20070007700 A KR 20070007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power
reference value
reactive pow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2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38761B1 (en
Inventor
신지 시노하라
히사토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7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5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A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is provided to adjust an optimum power factor by selectively controlling opening/closing a condenser of a large capacitance and a condenser of a small capacitance. A power computing unit(6) computes an active power value and a reactive power value based on a voltage value and a current value in an electric system. A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selectively outputs a first control signal and a second control signal. A first control unit(8) outputs a first opening/closing signal to close one of at least two first condensers(10) connected to the electric system via a first opening/closing member and open the other first condenser. A second control unit(9) outputs a second opening/closing signal to close one of second condensers(12) connected to the electric system via a second opening/closing member and open the other second condenser.

Description

역률 조정 장치{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역률 조정 장치(1)를 이용한 수변전(受變電)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water substation system using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pparatus 1 i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전력 연산부(6)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wer calculating section 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제어부 선택 회로(7)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7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제어부 선택 회로(7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7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3의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제어부 선택 회로(7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700 in accordance with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포함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역률 조정 장치(1)를 이용한 수변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substation system using the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제어부 선택 회로(17)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17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역률 조정 장치1 power factor adjuster

2 변압기2 transformer

3 부하측 모선3 load side busbar

4 계기용 변압기4 Instrument transformer

5 변류기5 current transformer

6 전력 연산 수단인 전력 연산부6 Power calculation unit which is a power calculation means

7 제어 신호 작성 수단인 제어부 선택 회로7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serving as a control signal generator

8 제1 제어 수단인 주제어부8 Main control part which is a 1st control means

9 제2 제어 수단인 부제어부9 Sub-control unit as second control means

10 제1 콘덴서인 주콘덴서10 Main capacitor as the first capacitor

11 제1 개폐 수단인 주개폐부11 opening and closing part which is the first opening and shutting means

12 제2 콘덴서인 부콘덴서12 Second Capacitor

13 제2 개폐 수단인 부개폐부13 opening and closing part which is 2nd opening and shutting means

14 변압기14 transformer

15 부하15 load

16 자가 발전 시스템16 self power systems

본 발명은 수변전 시스템 등의 수변전용 변압기의 부하측 모선(母線)에 접속된, 역률 개선용의 복수의 콘덴서의 개폐(開閉)를 제어하고, 역률을 개선하는 역률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factor adjust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 plurality of capacitors for improving power factor, connected to a load side busbar of a transformer for water substation, such as a water substation system, to improve the power factor.

종래의 역률 조정 장치에 있어서는 유효 전력의 부하를 판단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기준치와 유효 전력치의 대소 관계에 근거하여 역률 개선용의 콘덴서의 개폐를 제어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즉, 유효 전력치가 비교적 작은 경우(유효 전력치가 제1 기준치와 제2 기준치와의 사이인 경우)에는 대용량의 콘덴서의 투입을 금지하고, 소용량의 콘덴서를 폐성(閉成)하여 역률의 조정을 행하고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wer factor correction capacitor is controlled based on the magnitud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alues for determining the load of the active power and the effective power value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 That is,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relatively small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betwee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insertion of a large capacity capacitor is prohibited and the small capacity capacitor is closed to adjust the power factor. there was.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8-336234호 공보(2 페이지, 도 2)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336234 (2 pages, Fig. 2)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역률 조정 장치에서는 수변전용 변압기의 부하측 모선에 대용량의 콘덴서와 소용량의 콘덴서를 장착하고, 유효 전력치가 작은 경우(유효 전력치가 제1 기준치와 제2 기준치와의 사이인 경우)에 대용량의 콘덴서의 투입을 금지하고 소용량의 콘덴서를 폐성함으로써, 역률의 조정을 행하고 있다. 이것은 유효 전력치가 작을 때는 무효 전력치도 작다고 하는 전제 조건에서의 제어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수변전용 변압기의 부하측 모선에 자가(自家)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고, 자가 발전 시스템에 의한 전력과 전력 회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병용한 경우에 전력 회사로부터의 공급 전력은 유효 전력치가 작아지는 동시에, 무효 전력치는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종래의 역률 조정 장치를 적용하면, 역률이 크게 지연되어서 송전 손실이 증가하여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power factor adjusting device, when a large capacity capacitor and a small capacity capacitor are mounted on the load side busbar of the transformer for water displacement, and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small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betwee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 The power factor is adjusted by prohibiting the introduction of a large capacity capacitor and closing the small capacity capacitor. This is a control under the precondition that the reactive power value is small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small. However, for example, when a self-generating system is installed in the load side busbar of a transformer for water-supply transformers, and the power supplied by the self-generating system is used together wit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company, the power supply from the electric power company is determined to have an effective power value. At the same time, the reactive power value may increase. If such a conventional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is applied under such condi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factor is greatly delayed so that transmission loss increases and an improvement effect cannot be obtained.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효 전력치 및 무효 전력치의 대소에 관계 없이, 최적인 역률로 조정할 수 있는 역률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pparatus which can adjust to an optimal power factor irrespective of the magnitude | size of an effective power value and a reactive power value.

본 발명에 관한 역률 조정 장치는 전력 계통에 있어서의 전압치 및 전류치에 근거하여 유효 전력치 및 무효 전력치를 연산하는 전력 연산 수단과, 상기 유효 전력치가 소정의 제1 기준치 이상일 때, 또는 상기 유효 전력치가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이면서 소정의 제2 기준치 이상이고, 또한 상기 무효 전력치가 소정의 제3 기준치 이상일 때에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효 전력치가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기준치 이상이고, 또한 상기 무효 전력치가 상기 제3 기준치 미만일 때 백성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작성 수단과,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무효 전력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계통에 제1 개폐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는 2 이상의 제1 콘덴서를, 상기 제1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폐성하고, 폐성되지 않는 상기 제1 콘덴서를, 상기 제1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개성하는 제1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 수단과, 상기 제2 제어 신호와 상기 무효 전력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계통에 제2 개폐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제1 콘덴서보다 용량이 작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콘덴서를, 상기 제2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폐성하고, 폐성되지 않는 상기 제2 콘덴서를, 상기 제2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개성하는 제2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The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ower calculation means for calculating an effective power value and a reactive power value based on a voltage value and a current value in a power system, and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first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the active power value. Outputs a first control signal when the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third reference value, and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control signal generation means for outpu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for the people when the rea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an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the power system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The at least two first capacitors connected are closed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first opening / closing means and are not closed. A first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first open / close signal that selectively controls the first condenser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first open / close means, and second open / close means in the power system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At least one second condenser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ndenser having a smaller capacity than the first condenser, and selectively closing the second opening / closing means, and closing the second condenser that is not closed. It is provided with the 2nd control means which outputs the 2nd open / close signal which controls and individualizes.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역률 조정 장치를 수변전 시스템에 적용하고, 수변전용 변압기의 부하측 모선에 접속된 역률 개선용의 복수 콘덴서의 개폐를 제어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concretely demonstrated based on drawing which shows embodiment. In addition, embodiment demonstrates the case where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pplied to a water substation system, and the opening / closing of the multiple power condenser for power factor improvement connected to the load side busbar of the water-transformation transformer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역률 조정 장치(1)를 적용한 수변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변압기(2)의 부하측 모선(3)에는 변류기(4)가 설치되며, 부하측 모선(3)의 각 상(相)의 선(線) 전류치를 계측한다. 또, 부하측 모선(3)에는 계기용 변압기(5)가 접속되며, 부하측 모선(3)의 각 상의 전압치를 계측한다. 계측된 각 상의 선 전류치 및 전압치는 역률 조정 장치(1)의 전력 연산 수단인 전력 연산부(6)에 전달되고, 유효 전력치 P 및 무효 전력치 Q가 연산된다. 유효 전력치 P는 제어 신호 작성 수단인 제어부 선택 회로(7)에 전달되고, 무효 전력치 Q는 제어부 선택 회로(7), 제1 제어 수단인 주제어부(8) 및 제2 제어 수단인 부제어부(9)에 각각 전달된다. 제어부 선택 회로(7)에서는 유효 전력치 P 및 무효 전력치 Q와, 소정의 제1 내지 제3 기준치에 근거하여 제1 제어 신호인 제1 판정치(7a) 및 제2 제어 신호인 제2 판정치(7b)를 각각 주제어부(8) 및 부제어부(9)에 전달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ater substation system to which the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1 is applied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e current transformer 4 is provided in the load side busbar 3 of the transformer 2, and the line current value of each phase of the load side busbar 3 is measured. Moreover, the instrument transformer 5 is connected to the load side bus line 3, and the voltage value of each phase of the load side bus line 3 is measured. The measured line current value and the voltage value of each phase are transmitted to the power calculating section 6 which is a power calculating means of the power factor adjusting apparatus 1, and the effective power value P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 are calculated. The effective power value P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7 which is a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 is the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7, the main control unit 8 which is the first control means, and the sub-control unit which is the second control means. Each is delivered to (9). The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7 includes the first power 7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effective power P and the reactive power Q, and the first to third reference values. The stationary portion 7b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8 and the sub controller 9, respectively.

주제어부(8)는 전력 연산부(6)로부터 전달된 무효 전력치 Q와, 제어부 선택 회로(7)로부터 전달된 제1 판정치(7a)에 근거하여 제1 콘덴서인 N 개의 주콘덴서(Cm)(10)를 폐성하기 위한 제1 개폐 신호인 B 신호 및 폐성하기 위한 제1 개폐 신 호인 b 신호를, 제1 개폐 수단인 주개폐부(11)에 전달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주콘덴서(10)의 용량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한다. 부제어부(9)는 전력 연산부(6)로부터 전달된 무효 전력치 Q와, 제어부 선택 회로(7)로부터 전달된 제2 판정치(7b)에 근거하여 제2 콘덴서인 M 개의 부콘덴서(Cs)(12)를 폐성하기 위한 제2 개폐 신호인 A 신호 및 개성하기 위한 제2 개폐 신호인 a 신호를, 제2 개폐 수단인 부개폐부(13)에 전달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부콘덴서(12)의 용량은 모두 동일하고, 또 부콘덴서(12)의 용량의 합계는 하나의 주콘덴서(10)의 용량보다 작은 것으로 한다. 주개폐부(11)는 입력된 B 신호에 대응하는 주콘덴서(10)를 폐성하고, b 신호에 대응하는 주콘덴서(10)를 개성한다. 부개폐부(13)는 입력된 A 신호에 대응하는 부콘덴서(12)를 폐성하고, a 신호에 대응하는 부콘덴서(12)를 개성한다. 또 부하측 모선(3)은 변압기(14)를 통하여 부하(15)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자가 발전 시스템(16)이 부하측 모선(3)에 병렬로 접속되며, 변압기(14)를 통하여 부하(15)에 전력을 공급한다. The main controller 8 has N main capacitors Cm as first capacitors based on the reactive power value Q transmitted from the power calculating section 6 and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7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ction selection circuit 7. The B signal, which is the first open / close signal for closing (10), and the b signal, the first open / close signal for closing, are transmitted to the main open / close unit 11, which is the first open / close means. In Embodiment 1, it is assumed that the capacities of the main capacitors 10 are all the same. The sub-control unit 9 is based on the reactive power value Q transmitted from the power calculating unit 6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7b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7. The A signal, which is the second open / close signal for closing (12), and the a signal, which is the second open / close signal for individualizing, are transmitted to the sub-opening / closing portion 13 that is the second opening / closing means. In Embodiment 1, it is assumed that the capacities of the subcapacitors 12 are all the same, and the sum of the capacities of the subcapacitors 12 is smaller than the capacities of one main capacitor 10. The main opening and closing part 11 closes the main capacitor 10 corresponding to the input B signal, and opens the main capacitor 10 corresponding to the b signal. The sub-opening unit 13 closes the sub-capacitor 12 corresponding to the input A signal, and opens the sub-capacitor 12 corresponding to the a signal. In addition, the load side bus bar 3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load 15 through the transformer 14. In addition, the self-generating system 16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load side bus bar 3, and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load 15 via the transformer 14.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수변전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압기(2)의 부하측 모선(3)에 설치된 변류기(4) 및 계기용 변압기(5) 각각은 각 상의 선 전류 및 각 상의 전압을 합계하고, 선 전류치(4a) 및 전압치(5a)를 전력 연산부(6)에 전달한다. 전력 연산부(6)의 구성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전압 이상기(61)는 전압의 위상을 시간적으로 π/2 만큼 지연한다. 무효 전력 유닛(62)은 무효 전력을 산출하고, 유효 전력 유닛(63)은 유효 전력을 산출한다. 승산 블록(64 및 65)는 입력을 승산한다. 또 가산 블록(66 및 67)은 각각 승산 블록(64 및 65)의 출 력을 가산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bstation system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Each of the current transformer 4 and the instrument transformer 5 provided in the load side bus line 3 of the transformer 2 sums the line current and voltage of each phase, and supplies the line current value 4a and the voltage value 5a to each other. It transfers to the calculating part 6.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power calculating part 6 is shown in FIG. In Fig. 2, the voltage phase shifter 61 delays the phase of the voltage by? / 2 in time. The reactive power unit 62 calculates reactive power, and the active power unit 63 calculates active power. Multiplication blocks 64 and 65 multiply inputs. The addition blocks 66 and 67 add the outputs of the multiplication blocks 64 and 65, respectively.

전력 연산부(6)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력 연산부(6)에 전달된 각 상의 전압치(5a)는 전압 이상기(61)에 전달되고, π/2 만큼 위상이 지연된다. 위상이 지연된 각 상의 전압치는 무효 전력 유닛(62)의 승산 블록(64)에 전달된다. 승산 블록(64)은 위상이 지연된 각 상의 전압치와 각 상의 선 전류치(4a)를 승산한다. 승산 블록(64)에서 승산한 결과는 가산 블록(66)에 전달되고, 가산되어서 3상 일괄하여 무효 전력의 실효치, 즉 무효 전력치 Q가 출력된다. 한편, 전력 연산부(6)에 전달된 각 상의 전압치(5a)는 전압 이상기(61)를 경유하지 않고 유효 전력 유닛(63)의 승산 블록(65)에 직접 전달된다. 승산 블록(65)은 각 상의 전압치(5a)와 각 상의 선 전류치(4a)를 승산한다. 승산 블록(65)에서 승산한 결과는 가산 블록(67)에 전달되고, 가산되어서 3상 일괄하여 유효 전력의 실효치, 즉 유효 전력치 P가 출력된다. The operation of the power calculating section 6 will be described. The voltage value 5a of each phase transmitted to the power calculating section 6 is transmitted to the voltage phaser 61, and the phase is delayed by [pi] / 2. The voltage value of each phase whose phase is delayed is transmitted to the multiplication block 64 of the reactive power unit 62. The multiplication block 64 multiplies the voltage value of each phase whose phase is delayed by the line current value 4a of each phase. The result of the multiplication in the multiplication block 64 is transmitted to the addition block 66, and is added to output the effective value of the reactive power, that is, the reactive power value Q, collectively in three phases. On the other hand, the voltage value 5a of each phase delivered to the power calculating section 6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ultiplication block 65 of the effective power unit 63 without passing through the voltage abnormalizer 61. The multiplication block 65 multiplies the voltage value 5a of each phase by the line current value 4a of each phase. The result of multiplication in the multiplication block 65 is transmitted to the addition block 67, and is added to output the effective value of active power, that is, the effective power value P, collectively in three phases.

전력 연산부(6)로부터 출력되는 유효 전력치 P 및 무효 전력치 Q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제어부 선택 회로(7)에 전달된다. 제어부 선택 회로(7)의 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제1 기준치 설정부(71)는 유효 전력의 경(輕)부하 검출의 제1 기준치 T1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고, 비교기(74)에 전달한다. 제2 기준치 설정부(72)는 유효 전력의 경부하 검출의 제2 기준치 T2를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고 비교기(75)에 전달한다. 제3 기준치 설정부(73)는 무효 전력의 경부하 검출의 제3 기준치 T3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고, 비교기(76)에 전달한다. 비교기(74 내지 76)는 입력을 비교하여 논리 신호 1 또는 0을 출력한다. 논리 회로(77 및 78)는 입력에 근거하여 소정의 논리식에 따라서 논리 신호 1 또는 0을 각각 제1 판정치(7a) 및 제2 판정치(7b)로서 출력한다. The effective power value P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 output from the power calculating section 6 are both delivered to the control section selection circuit 7 as shown in FIG. 1.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part selection circuit 7 is shown in FIG. In FIG. 3, the 1st reference value setting part 71 sets the 1st reference value T1 of the light load detection of active power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comparator 74. FIG. The second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72 sets the second reference value T2 of light load detection of the active power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comparator 75. The third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73 sets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of the light load detection of the reactive power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comparator 76. Comparators 74-76 compare the inputs and output logic signals 1 or 0. The logic circuits 77 and 78 output logic signals 1 or 0 as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7a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7b,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logic expression based on the input.

제어부 선택 회로(7)의 동작을 설명한다. 비교기(74)는 제1 기준치 T1과 유효 전력치 P와의 대소를 비교 판정하고, 유효 전력치 P가 제1 기준치 T1 이상일 때에 논리 신호 1을, 유효 전력치 P가 제1 기준치 T1 미만일 때에 논리 신호 0을 각각 출력한다. 비교기(75)는 제2 기준치 T2와 유효 전력치 P와의 대소를 비교 판정하고, 유효 전력치 P가 제2 기준치 T2 이상일 때에 논리 신호 1을, 유효 전력치 P가 제2 기준치 T2 미만일 때에 논리 신호 0을 각각 출력한다. 비교기(76)는 제3 기준치 T3과 무효 전력치 Q와의 대소를 비교 판정하고, 무효 전력치 Q가 제3 기준치 T3 이상일 때에 논리 신호 1를, 무효 전력치 Q가 제3 기준치 T3 미만일 때에 논리 신호 0을 각각 출력한다. 논리 회로(77)는 비교기(74)의 출력 신호가 0이고, 또한 비교기(75)의 출력 신호가 1이고, 또한 비교기(76)의 출력 신호가 1일 때, 또는 비교기(74)의 출력 신호가 1일 때에 논리 신호 1을 제1 판정치(7a)로서 출력하고, 그 이외의 조건일 때에 논리 신호 0을 제1 판정치(7a)로서 출력한다. 논리 회로(78)는 비교기(74)의 출력 신호가 0이고, 또한 비교기(75)의 출력 신호가 1이고, 또한 비교기(76)의 출력 신호가 0일 때에 논리 신호 1을 제2 판정치(7b)로서 출력하고, 그 이외의 조건일 때에 논리 신호 0을 제2 판정치(7b)로서 출력한다.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ection selection circuit 7 will be described. The comparator 74 compares and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first reference value T1 and the effective power value P, and compares the logic signal 1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T1, and the logic signal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P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1. Print zeros each. The comparator 75 compares and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second reference value T2 and the effective power value P, and compares the logic signal 1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T2, and the logic signal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P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2. Print zeros each. The comparator 76 compares and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 The comparator 76 makes a logic signal 1 when the reactive power value Q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and a logic signal when the reactive power value Q is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Print zeros each. The logic circuit 77 has an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74 of 0, an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75 of 1, an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76 of 1, or an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74. When 1 is 1, the logic signal 1 is output as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7a, and when other conditions, the logic signal 0 is output as the first determination value 7a. In the logic circuit 78,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74 is 0,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75 is 1,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76 is 0, the logic signal 1 is determined as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 7b), the logic signal 0 is output as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7b under other conditions.

도 1에 있어서, 주제어부(8)는 제어부 선택 회로(7)로부터 전달되는 제1 판정치(7a)가 1일 때에, 전력 연산부(6)로부터 전달되는 무효 전력치 Q의 값과, 미리 기존인 N 개의 주콘덴서(10)의 전력 용량에 근거하여 목표로 하는 역률 이상, 즉 역률이 1 또는 진보(leading) 역률로 되도록, 부하측 모선(3)에 접속된 N 개의 주 콘덴서(10) 중 n 개를 폐성하는 B 신호를 주개폐부(11)에 출력한다. 한편, 나머지의 (N-n) 개의 주콘덴서(10)에 대해서는 이것들을 개성하는 b 신호를 주개폐부(11)에 출력한다. 또, 제1 판정치(7a)가 0일 때는 N 개의 주콘덴서(10)의 모두에 대하여 b 신호를 주개폐부(11)에 출력하고, 모든 주콘덴서(10)를 개성한다. 부제어부(9)는 제어부 선택 회로(7)로부터 전달되는 제2 판정치(7b)가 1일 때에, 전력 연산부(6)로부터 전달되는 무효 전력치 Q의 값과, 미리 기존인 M 개의 부콘덴서(12)의 전력 용량에 근거하여 목표로 하는 역률 이상, 즉 역률이 1 이상으로 되도록, 부하측 모선(3)에 접속된 M 개의 부콘덴서(12) 중 m 개를 폐성하는 A 신호를 부개폐부(13)에 출력한다. 한편, 나머지의 (M-m) 개의 부콘덴서(12)에 대해서는 이것들을 개성하는 a 신호를 부개폐부(13)에 출력한다. 또, 제2 판정치(7b)가 0일 때는 M 개의 부콘덴서(12)의 모두에 대하여 a 신호를 개폐부(13)에 출력하고, 모든 부콘덴서(12)를 개성한다. In FIG. 1, the main control part 8 has previously existed beforehand the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Q transmitted from the power calculating part 6, when the 1st determination value 7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part selection circuit 7 is 1; N of the N main capacitors 10 connected to the load side busbar 3 such that the power factor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arget power factor, that is, the power factor becomes 1 or the leading power factor based on the power capacities of the N main capacitors 10 The B signal for closing the dog is output to the main opening and closing part 11. On the other hand, for the remaining (N-n) main capacitors 10, b signals for individualizing them are outputted to the main opening / closing unit 11. Moreover, when the 1st determination value 7a is 0, the b signal is output to the main opening-closing part 11 with respect to all N main capacitors 10, and all the main capacitors 10 are individualized. The sub-control unit 9, when the second determination value 7b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7 is 1, the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Q transmitted from the power calculating unit 6, and the M sub-capacitors existing in advance. Based on the electric power capacity of (12), the A-switching part which closes the A signal which closes m of M subcapacitors 12 connected to the load side busbar 3 so that it may become more than the target power factor, ie, the power factor becomes 1 or more ( 13).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M-m) subcapacitors 12, a signal that modifies these is output to the sub-switching unit 13. Moreover, when the 2nd determination value 7b is 0, the a signal is output to the opening-and-closing part 13 with respect to all M subcapacitors 12, and all the subcapacitors 12 are individualized.

주개폐부(11)는 입력된 B 신호에 대응하는 주콘덴서(10)에 설치된 스위치를 온 함으로써 원하는 n 개의 주콘덴서(10)를 폐성하고, 입력된 b 신호에 대응하는 주콘덴서(10)에 설치된 스위치를 오프 함으로써 원하는 (N-n) 개의 주콘덴서(10)를 개성한다. 또, 부개폐부(13)는 입력된 A 신호에 대응하는 부콘덴서(12)에 설치된 스위치를 온 함으로써 원하는 m 개의 부콘덴서(12)를 폐성하고, 입력된 a 신호에 대응하는 부콘덴서(12)에 설치된 스위치를 오프 함으로써 원하는 (M-m) 개의 부콘덴서(12)를 개성한다. The main opening / closing unit 11 closes the desired n main capacitors 10 by turning on a switch installed in the main capacitor 10 corresponding to the input B signal, and is installed in the main capacitor 10 corresponding to the input b signal. By turning off the switch, the desired (Nn) main capacitors 10 are individualized. In addition, the sub-switching unit 13 closes the desired m sub-capacitors 12 by turning on a switch provided in the sub-capacitor 12 corresponding to the input A signal, and the sub-capacitor 12 corresponding to the input a signal. The desired (Mm) sub-capacitors 12 are individualized by turning off the switches installed in the switches.

실시 형태 1에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 기준치 설정부에 있어서 설정되는 T1 내지 T3를 전력계 등을 이용한 사전의 계측에 의하여 정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T1은 주간에 자가 발전 시스템(16)이 가동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유효 전력치 Pd 및 야간에 자가 발전 시스템(16)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유효 전력치 Pn을 각각 계측하여 설정하고, 구체적으로는 Pn < T1 < Pd 로 한다. 또 T2는 휴일의 유효 전력치 Ph를 계측하여 설정하고, 구체적으로는 Ph < T2 < Pn 로 한다. 추가로, T3는 주간에 자가 발전 시스템(16)이 가동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무효 전력치 Qd 및 야간에 자가 발전 시스템(16)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무효 전력치 Qn을 각각 계측하여 설정하고, 구체적으로는 Qn < T3 < Qd 로 한다. In Embodiment 1, it is assumed that T1 to T3 set in the first to third reference value setting units described above are determined by prior measurement using a power meter or the like. For example, T1 measures and sets the effective power value Pd in the state where the self-power generation system 16 is operating during the day and the active power value Pn in the state where the self-generation system 16 is stopped at night, respectively. Specifically, it is assumed that Pn <T1 <Pd. In addition, T2 measures and sets the active power value Ph of a holiday, and specifically, sets it to Ph <T2 <Pn. In addition, T3 measures and sets the reactive power value Qd when the self-power generation system 16 is operating during the day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n when the self-generation system 16 is stopped at night, respectively. Specifically, Qn <T3 <Q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역률 조정 장치(1)에 있어서 평일의 주간에 자가 발전 시스템(16)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유효 전력치 P, 무효 전력치 Q가 함께 커진다. 즉 유효 전력치 P는 T1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3
P로 되기 때문에 비교기(74)의 출력이 1로 되고, 따라서 논리 회로(77)의 출력이 1로 이고, 또한 논리 회로(78)의 출력이 0으로 된다. 이 경우, 주제어부(8)에 있어서는 무효 전력치 Q에 따라서 주개폐부(11)에 의하여 전력 용량이 큰 주콘덴서(10)를 개폐 제어하므로, 지연 역률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In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pparatus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self-power generation system 16 is stopped in the weekday, the effective power value P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 become larger together. Active power P is T1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3
Since it becomes P,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74 becomes 1, therefore, the output of the logic circuit 77 becomes 1, and the output of the logic circuit 78 becomes zero. In this case, in the main control part 8, since the main capacitor 10 having a large power capacity is opened and closed by the main switch 11 according to the reactive power value Q, the delay power factor can be avoided.

또, 평일의 주간에 자가 발전 시스템(16)을 동작시킨 상태에서는 자가 발전 시스템(16)에 의해 공급되는 유효 전력을 고려하면, 유효 전력치 P는 작아지는 동시에, 발전기의 특성에 의해 무효 전력치 Q는 커진다. 즉 유효 전력치 P 및 무효 전력치 Q에 대하여 T2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4
P < T1 또한 T3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5
Q가 성립하고, 비교기(74)의 출력이 0이면서 비교기(75)의 출력이 1이면서 비교기(76)의 출력이 1로 되고, 따라서 논리 회로(77)의 출력이 1이면서 논리 회로(78)의 출력이 0으로 된다. 이 경우, 주제어부(8)에 있어서 무효 전력치 Q에 따라서, 주개폐부(11)에 의하여 전력 용량이 큰 주콘덴서(10)를 개폐 제어한다. 즉 이 경우는 부콘덴서(12)를 사용하지 않고, 주콘덴서(10)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큰 무효 전력치 Q에 대하여 용량이 큰 주콘덴서(10)를 사용하므로, 지연 역률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self-power generation system 16 is operated during the weekday, the effective power value P decreases in consideration of the active power supplied by the self-power generation system 16. Q increases. That is, T2 for the active power value P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4
P <T1 also T3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5
Q is established,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74 is 0,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75 is 1, and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76 is 1, thus the output of the logic circuit 77 is 1 while the logic circuit 78 Outputs zero.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 unit 8 controls the main capacitor 10 having a large power capacity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reactive power value Q. That is, in this case, the main capacitor 10 is used instead of the sub capacitor 12. For this reason, since the main capacitor 10 with a large capacity is used for the large reactive power value Q, it becomes possible to avoid becoming a delay power factor.

또, 평일의 야간은 유효 전력치 P, 무효 전력치 Q가 모두 작아진다. 즉 유효 전력치 P 및 무효 전력치 Q에 대하여 T2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6
P < T1 또한 Q < T3 이 성립하고, 비교기(74)의 출력이 0이면서 비교기(75)의 출력이 1이고, 또한 비교기(76)의 출력이 0으로 되고, 따라서 논리 회로(77)의 출력이 0이면서 논리 회로(78)의 출력이 1로 된다. 이 경우, 부제어부(9)에 있어서 무효 전력치 Q에 따라서 부개폐부(13)에 의하여 전력 용량이 작은 부콘덴서(12)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지연 역률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는 용량이 작은 부콘덴서(12)를 사용하므로, 역률이 크게 진행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On the night of the weekday, both the effective power value P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 become small. That is, T2 for the active power value P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6
P <T1 and Q <T3 are established,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74 is 0 while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75 is 1, and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76 is 0, thus outputting the logic circuit 77. The output of the logic circuit 78 becomes 1 while being 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delay power factor by controlling the sub-control unit 9 to open / close the sub-capacitor 12 having a small power capacity in accordance with the reactive power value Q. In this case, since the subcapacitor 12 having a small capacity is used, a large power factor can be avoided.

또, 가장 소비 전력의 낮은 휴일에는 유효 전력치 P, 무효 전력치 Q가 모두 추가로 작아져서 콘덴서의 투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유효 전력 P에 대하여 P < T2 가 성립하고, 비교기(74)의 출력이 0이면서 비교기(75)의 출력이 0이고, 또한 비교기(76)의 출력이 0으로 되고, 따라서 논리 회로(77)의 출력이 0이면서 논리 회로(78)의 출력이 0으로 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주제어부(8) 및 부제어부(9)는 모두 주개폐부(11)와 부개폐부(13)에 대하여 b 신호 및 a 신호를 출력하고, 모든 주콘덴서(10) 및 부콘덴서(12)를 개성한다. 즉, 불필요한 콘덴서의 폐 성을 하지 않기 때문에, 역률이 크게 진행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ffective power value P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 are both further reduced during the holiday with the lowest power consumption, so that no capacitor is required. In this case, P <T2 is established with respect to the active power P,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74 is zero,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75 is zero, and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76 is zero, thus the logic circuit ( While the output of 77 is zero, the output of logic circuit 78 becomes zero.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both the main controller 8 and the sub-control unit 9 output the b signal and the a signal to the main switch 11 and the sub-opening unit 13, and all the main capacitors 10 and the sub-unit The condenser 12 is individualized. That is, since unnecessary waste of the condenser is not avoided, it is possible to avoid a large power facto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유효 전력치 P의 대소, 무효 전력치 Q의 대소에 관계 없이 지연 역률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역률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elay power factor can be avoided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effective power value P and the magnitud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Q, and the power factor can be adjusted optimally.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주콘덴서(10) 및 부콘덴서(12)의 전력 용량을 모두 동일한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반드시 모두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다. 즉, 주콘덴서(10) 및 부콘덴서(12)의 전력 용량은 각각 차이가 있어도 된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부콘덴서(12)의 용량의 합계치보다 하나의 주콘덴서(10)의 용량이 큰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반드시 크지 않아도 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ower capacities of the main capacitor 10 and the subcapacitor 12 are all described as being the same,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same. In other words, the power capacities of the main capacitor 10 and the subcapacitor 12 may be different.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pacity of one main capacitor 10 is larger than the total value of the capacities of the subcapacitors 12. However, this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large.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목표 역률이 1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목표 역률은 반드시 1로 할 필요는 없고, 1에 가까운 값이면 역률이 지연 역률에서도, 또는 진보 역률에서도 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arget power factor is described as 1, but the target power factor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1, and if the value is close to 1, the power factor may be either the delayed power factor or the progressive power factor.

실시 형태 2. Embodiment 2.

실시 형태 1에서는 제3 기준치 T3은 전력계 등을 이용하여 미리 계측한 무효 전력치 Q에 근거하여 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 형태 2에서는 미리 무효 전력치를 계측하는 일 없이, 소정의 기준치 설정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시점의 무효 전력치 Q에 근거하여 제3 기준치 T3을 설정한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역률 조정 장치(1)를 적용한 수변전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도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도 1의 제어부 선택 회로(7) 대신에 제어부 선택 회로(70)를 적용한다. In Embodiment 1, 3rd reference value T3 was demonstrated as what was determined based on the reactive power value Q previously measured using the electric power meter etc .. FIG. In contras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is set based on the reactive power value Q at the time whe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is input without measuring the reactive power value in advance. Since the structure of the water substation system to which the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1 in Embodiment 2 is applied is the same as that in FIG. 1 in Embodiment 1, it is omitted. In Embodiment 2, the control part selection circuit 70 is applied instead of the control part selection circuit 7 of FIG.

도 4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제어부 선택 회로(7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실시 형태 1의 도 3에 상당한다. 또한 도 3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 기준치 설정 신호 출력 수단인 제3 기준치 설정 신호부(701)는 논리 신호 1 또는 0을 출력한다. 최대 최소 무효 전력 기억 제어 수단인 최대 최소 무효 전력 기억 제어부(702)는 전력 연산부(6)로부터 전달되는 유효 전력치 P 및 무효 전력치 Q, 및 제1 기준치 T1 및 제2 기준치 T2에 근거하여 기억해야 할 최대 무효 전력 Qmax 및 최소 무효 전력 Qmin을 결정한다. 최대 무효 전력 기억 수단인 최대 무효 전력 기억부(703)는 최대 무효 전력 Qmax를 기억하고, 최소 무효 전력 기억 수단인 최소 무효 전력 기억부(704)는 최소 무효 전력 Qmin을 기억한다. 기준치 연산 수단인 제3 기준치 연산부(705)는 최대 무효 전력 Qmax 및 최소 무효 전력 Qmin에 근거하여 연산하고 제3 기준치 T3을 산출한다.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70 in the second embodiment, which corresponds to FIG. 3 in the first embodiment. 3,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par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Fig. 4, the third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section 701, which is a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output means, outputs a logic signal 1 or 0. The maximum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control unit 702, which is the maximum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control means, stores based on the active power value P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 transmitted from the power calculating unit 6, and the first reference value T1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T2. Determine the maximum reactive power Qmax and the minimum reactive power Qmin to be done. The maximum reactive power storage unit 703, which is the maximum reactive power storage unit, stores the maximum reactive power Qmax, and the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unit 704, which is the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unit, stores the minimum reactive power Qmin. The third reference value calculating section 705, which is a reference value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based on the maximum reactive power Qmax and the minimum reactive power Qmin, and calculates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수변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통상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제3 기준치 T3을 설정하는 동작이 실시 형태 1과 다르다. 제3 기준치 설정 신호부(701)는 통상시는 논리 신호 0을 출력하지만, 제3 기준치 T3을 설정할 때에는 기준치 설정 신호로서 논리 신호 1을 출력한다. 논리 신호 1이 출력된 경우, 논리 회로(771)내의 논리적(積) 회로(772) 및 논리 회로(781)는 논리 신호 0을 출력한다. 또, 이 때, 유효 전력치 P가 제1 기준치 T1 미만이면서 제2 기준치 T2 이상일 때, 즉 T2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7
P < T1 이 성립되는 경우에 제3 기준치 T3이 설정된다. 이 경우, 비교기(74)의 출력은 논리 신호 0 으로 된다. 그러면 주제어부(8) 및 부제어부(9)에 의해, 주콘덴서(10) 및 부콘덴서(12)는 모두 개성 제어된다. 따라서, 제3 기준치 T3을 설정할 때에는 모든 콘덴서의 영향을 제외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bstation system in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Since normal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The third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section 701 normally outputs a logic signal 0, but when setting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it outputs a logic signal 1 as a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When the logic signal 1 is outputted, the logic circuit 772 and the logic circuit 781 in the logic circuit 771 output the logic signal 0. At this time,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P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1 and equal to or more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2, that is, T2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7
When P <T1 is established,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is set. In this case,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74 becomes a logic signal zero. Then, by the main control part 8 and the sub control part 9, both the main capacitor 10 and the sub capacitor 12 are individual-controlled. Therefore, the influence of all the capacitors can be excluded when setting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최대 최소 무효 전력 기억 제어부(702)는 제3 기준치 T3을 설정할 때, 즉 제3 기준치 설정 신호부(701)로부터 논리 신호 1이 출력된 경우에 있어서, 또한 유효 전력치 P가 T2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8
P < T1 인 경우에 동작한다. 그리고, 이미 최대 무효 전력 기억부(703)에 기억되어 있는 최대 무효 전력 Qmax 보다 무효 전력치 Q가 크면, 해당 무효 전력치 Q의 값을 새로운 최대 무효 전력 Qmax로서 최대 무효 전력 기억부(703)에 기억한다. 한편, 이미 최소 무효 전력 기억부(704)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무효 전력 Qmin 보다 무효 전력치 Q가 작으면, 해당 무효 전력치 Q의 값을 최소 무효 전력 Qmin 로서 최소 무효 전력 기억부(704)에 기억한다. 제3 기준치 연산부(705)는 최대 무효 전력 기억부(703)에 기억된 최대 무효 전력 Qmax와, 최소 무효 전력 기억부(704)에 기억된 최소 무효 전력 Qmin 과의 값의 중간치 Qave = (Qmax + Qmin) / 2를 산출하고, Qave를 제3 기준치 T3 로서 제3 기준치 설정부(73)에 전달한다. 제3 기준치 T3의 설정이 완료하면 기준치 설정 신호의 출력이 정지하고, 설정 동작이 완료한다. 즉 제3 기준치 설정 신호부(701)로부터 출력되는 논리 신호가 1 에서부터 0 으로 천이한다. When the maximum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control unit 702 sets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that is, when the logic signal 1 is output from the third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unit 701, the effective power value P is T2.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8
It operates when P <T1. If the reactive power value Q is greater than the maximum reactive power Qmax already stored in the maximum reactive power storage 703, the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Q is transferred to the maximum reactive power storage 703 as a new maximum reactive power Qmax. Remember On the other hand, if the reactive power value Q is smaller than the minimum reactive power Qmin already stored in the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704, the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Q is stored in the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704 as the minimum reactive power Qmin. Remember The third reference value calculating section 705 determines the intermediate value Qave = (Qmax +) between the maximum reactive power Qmax stored in the maximum reactive power storage unit 703 and the minimum reactive power Qmin stored in the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unit 704. Qmin) / 2 is calculated, and Qave is transmitted to the third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73 as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When the setting of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is completed, the output of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is stopped, and the setting operation is completed. That is, the logic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unit 701 transitions from 1 to 0.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 미리 무효 전력치 Q를 계측하는 일 없이 제3 기준치 T3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동작에 있어서, 제3 기준치 설정 신호부(701)로부터 논리 신호 1이 출력된 경우에도, 유효 전력 P가 P < T2 또는 T1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9
P 인 경우에는 최대 최소 무효 전력 기억 제어부(702)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최대 최소 무효 전력 기억제부(702)는 평일의 주간에 자가 발전 시스템(16)이 정지한 상태나 휴일과 같이, 제3 기준치 T3의 값에 관계 없이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고, 제3 기준치 T3의 값이 제어에 관계하도록 된 조건하에서만 동작한다. By the above operation,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can be set without measuring the reactive power value Q in advance.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even when the logic signal 1 is output from the third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section 701, the effective power P is P <T2 or T1.
Figure 112006002024547-PAT00009
In the case of P, the maximum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control unit 702 does not operate. That is, the maximum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unit 702 does not operate when control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value of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such as a state in which the self-generating system 16 is stopped or a holiday on weekdays, and the third It operates onl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alue of the reference value T3 is related to the control.

실시 형태 3. Embodiment 3.

실시 형태 2에서는 기준치 설정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미리 무효 전력치 Q를 계측하는 일 없이 제3 기준치 T3을 설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사용하는 주콘덴서(10) 및 부콘덴서(12)의 전력 용량치에 근거하여 제3 기준치 T3을 설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역률 조정 장치(1)를 적용한 수변전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도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실시 형태 3에서는 도 1의 제어부 선택 회로(7) 대신에 제어부 선택 회로(700)를 적용한다. In Embodiment 2, the case where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is set without measuring the reactive power value Q in advance by using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has been described. In Embodiment 3, the case where the 3rd reference value T3 is set based on the power capacity value of the main capacitor 10 and the sub capacitor 12 to be used is demonstrated. Since the structure of the water substation system to which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pparatus 1 in Embodiment 3 is applied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in Embodiment 1, it abbreviate | omits. In Embodiment 3, the control part selection circuit 700 is applied instead of the control part selection circuit 7 of FIG.

도 5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제어부 선택 회로(7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실시 형태 1의 도 3 및 실시 형태 2의 도 4에 상당한다. 또한 도 3 또는 도 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제1 기억 수단인 주콘덴서 var값 설정부(7001)는 주콘덴서(10)의 전력 용량치인 무효 전력 var값을 미리 기억하고, 제2 기억 수단인 부콘덴서 var값 설정부(7002)는 부콘덴서(12)의 전력 용량치인 무효 전력 var값을 미리 기억한다. 기준치 연산 수단인 제3 기준치 연산부(705)는 주콘덴서 var값 설정부(7001) 및 부콘덴서 var값 설정부(7002)로부터 전달되는, 주콘덴서 var값 및 부콘덴서 var값에 근거하 여 연산하고, 제3 기준치 T3을 산출한다.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corresponds to FIG. 3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4 of the 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part as FIG. 3 or FIG. 4,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Fig. 5, the main capacitor var value setting unit 7001, which is the first storage means, stores in advance the reactive power var value, which is the power capacity value of the main capacitor 10, and the sub capacitor var value setting unit (the second storage means) ( 7002 stores in advance the reactive power var value, which is the power capacity value of the subcapacitor 12. The third reference value calculating section 705, which is a reference value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based on the main capacitor var value and the subcapacitor var value transmitted from the main capacitor var value setting unit 7001 and the subcapacitor var value setting unit 7002.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is calculated.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수변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통상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주콘덴서 var값 설정부(7001)가 하나의 주콘덴서(10)의 전력 용량 Q1을 제3 기준치 연산부(705)에 전달한다. 한편, 부콘덴서 var값 설정부(7002)는 모든 부콘덴서(12)의 전력 용량의 합 Q2를 제3 기준치 연산부(705)에 전달한다. 제3 기준치 연산부(705)는 Q1 및 Q2에 근거하여 (Q1 + Q2) / 2 를 제3 기준치 T3 로서 제3 기준치 설정부(73)에 전달한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bst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Since normal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main capacitor var value setting unit 7001 transfers the power capacity Q1 of one main capacitor 10 to the third reference value calculating unit 705. On the other hand, the subcapacitor var value setting unit 7002 transfers the sum Q2 of the power capacities of all the subcapacitors 12 to the third reference value calculating unit 705. The third reference value calculator 705 transmits (Q1 + Q2) / 2 to the third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73 as the third reference value T3 based on Q1 and Q2.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미리 무효 전력치 Q를 계측하는 일 없이 제3 기준치 T3을 설정할 수 있다. By the above operation, according to Embodiment 3, 3rd reference value T3 can be set, similarly to Embodiment 2, without measuring reactive power value Q previously.

실시 형태 4. Embodiment 4.

실시 형태 1에서는 무효 전력치 Q에 따라서 주콘덴서(10) 또는 부콘덴서(12)를 선택적으로 개폐 제어함으로써 콘덴서의 용량을 제어하고, 이로 인해 지연 역률로 되지 않게 제어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 형태 4에서는 지연 역률로 되는 것을 허용하고, 역률을 1에 가장 가까운 값으로 하는 제어를 행하여, 극단적인 진보 역률로 되지 않게 제어한다. 실시 형태 4에서는 도 1의 주제어부(8) 대신에 제1 주제어부(81) 및 제2 주제어부(82)를 적용한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pacity of the capacitor is controlled 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capacitor 10 or the subcapacitor 12 in accordance with the reactive power value Q, and as a result, it has been described as controlling so as not to become a delay power factor. In contrast, in Embodiment 4, the delay power factor is allowed, th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power factor is closest to 1, and the control is performed so as not to become an extreme progressive power factor. In Embodiment 4, the 1st main control part 81 and the 2nd main control part 82 are applied instead of the main control part 8 of FIG.

도 6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수변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실시 형태 1의 도 1에 상당한다. 또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역률 조정 장치(1)의 제어부 선택 회로(17)는 제1 판정치(7a) 대신에 제3 판정치(7c) 및 제4 판정치(7d)를 출력한다. 이 중 제3 판정치(7c)는 제1 주제어부(81)에 전달된다. 또 제4 판정치(7d)는 제2 주제어부(82)에 전달된다.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bs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hich corresponds to FIG. 1 of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about the same part as FIG.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FIG. 6, the control part selection circuit 17 of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pparatus 1 outputs the 3rd determination value 7c and the 4th determination value 7d instead of the 1st determination value 7a. Among them, the third determination value 7c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ain control unit 81. In addition, the fourth determination value 7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ain control unit 82.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수변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력 연산부(6)가 유효 전력치 P 및 무효 전력치 Q를 출력할 때까지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4에서는 제어부 선택 회로(17)가 제1 판정치(7a) 대신에 제3 판정치(7c) 및 제4 판정치(7d)를 출력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제어부 선택 회로(17)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실시 형태 1의 도 3, 실시 형태 2의 도 4, 또는 실시 형태 3의 도 5에 상당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있어서, 비교기(74)는 제1 기준치 T1와 유효 전력치 P와의 대소를 비교 판정하고, 유효 전력치 P가 제1 기준치 T1 이상일 때에 논리 신호 1을 제3 판정치(7c)로서 출력하고, 또 유효 전력치 P가 제1 기준치 T1 미만일 때에 논리 신호 0을 제3 판정치(7c)로서 출력한다. 논리 회로(79)는 비교기(74)의 출력 신호가 0이고 또 비교기(75)의 출력 신호가 1이고 또 비교기(76)의 출력 신호가 1일 때에, 논리 신호 1을 제4 판정치(7d)로서 출력하고, 그 이외의 조건 때에 논리 신호 0을 제4 판정치(7d)로서 출력한다.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bst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Since the operation until the power calculating section 6 outputs the effective power value P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Q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In Embodiment 4, the control part selection circuit 17 outputs the 3rd determination value 7c and the 4th determination value 7d instead of the 1st determination value 7a.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selection circuit 17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corresponds to FIG. 3 of the first embodiment, FIG. 4 of the second embodiment, or FIG. 5 of the third embodiment.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part as FIGS. 3-5,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Fig. 7, the comparator 74 compares and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first reference value T1 and the effective power value P, and outputs the logic signal 1 as the third determination value 7c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P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1.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P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1, the logic signal 0 is output as the third determination value 7c.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74 is 0,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75 is 1,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76 is 1, the logic circuit 79 sets the logic signal 1 as the fourth determination value 7d. ), And the logic signal 0 is output as the fourth determination value 7d at other conditions.

제1 주제어부(81)는 제어부 선택 회로(17)로부터 전달되는 제3 판정치(7c)에 따라서, 전력 연산부(6)로부터 전달되는 무효 전력치 Q의 값과 주콘덴서(10)의 전력 용량에 근거하여 주콘덴서(10)를 폐성하는 B 신호 및 개성하는 b 신호를 주개폐 부(11)에 출력한다. 즉, 평일의 주간에 자가 발전 시스템(16)이 정지한 상태와 같이 T1

Figure 112006002024547-PAT00010
P가 성립하는 경우, 제1 주제어부(81)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주제어부(8)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여 지연 역률로 되는 것을 회피한다. The first main controller 81 has a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Q transmitted from the power calculating section 6 and the power capacity of the main capacitor 10 according to the third determination value 7c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ction selection circuit 17. Based on this, the B signal for closing the main capacitor 10 and the b signal for modifying are output to the main opening / closing unit 11. That is, T1 as in the state where the self-generation system 16 is stopped in the weekday week.
Figure 112006002024547-PAT00010
When P holds, the first main control section 81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that of the main control section 8 in the first embodiment to avoid a delay power factor.

한편, 제2 주제어부(82)는 제어부 선택 회로(17)로부터 전달되는 제4 판정치(7d)에 따라서, 전력 연산부(6)로부터 전달되는 무효 전력치 Q의 값과 주콘덴서(10)의 전력 용량과에 근거하여 역률이 가장 1에 가까운 값으로 되도록, 주콘덴서(10)를 폐성하는 B 신호 및 개성하는 b 신호를 주개폐부(11)에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ain controller 82 controls the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Q transmitted from the power calculating section 6 and the main capacitor 10 according to the fourth determination value 7d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ction selection circuit 17. Based on the power capacity, the B signal for closing the main capacitor 10 and the b signal for modifying are output to the main switch 11 so that the power factor becomes a value closest to one.

구체적으로는 평일의 주간에 자가 발전 시스템(16)을 동작시킨 상태와 같이 T2

Figure 112006002024547-PAT00011
P < T1 과 동시에 T3
Figure 112006002024547-PAT00012
Q 가 성립되고, 또한 지연 역률로 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제2 주제어부(82)가 제1 주제어부(81)에 대신하여 동작한다. 즉 제2 주제어부(82)는 주개폐부(11)에 의해 주콘덴서(10)를 선택적으로 개폐 제어하고, 지연 역률을 허용하면서 역률이 1에 가장 가깝게 되는 제어를 행하여, 극단적인 진보 역률로 되지 않게 제어한다. 또한 상기의 경우, 부제어부(9)도 제2 주제어부(82)와 동일하게, 역률 1에 가장 가깝게 되는 제어를 행한다. 또 이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Specifically, T2 as in the state in which the self-generation system 16 is operated during the weekday.
Figure 112006002024547-PAT00011
T3 simultaneously with P <T1
Figure 112006002024547-PAT00012
When Q is established and the delay power factor is allowed, the second main controller 82 operates in place of the first main controller 81. That is, the second main controller 82 selectively controls the main capacitor 10 by the main opening / closing unit 11, and controls the power factor to be closest to 1 while allowing the delay power factor to become an extreme progressive power factor. Control it.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case, the sub-control unit 9 also performs control closest to the power factor 1 similarly to the second main control unit 82. Since the subsequent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유효 전력치 P의 대소 또는 무효 전력치 Q의 대소에 관계 없이 역률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극단적인 진보 역률로 되지 않게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power factor can be adjusted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effective power value P or the magnitud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Q, and it can be controlled so as not to become an extreme progressive power factor.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 전력치가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또는 유효 전력치 가 제1 기준치 미만이면서 제2 기준치 이상이고, 또한 무효 전력치가 제3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 대용량의 콘덴서가 무효 전력치에 따라 개폐 제어되는 한편, 유효 전력치가 제1 기준치 미만이면서 제2 기준 이상이고, 또한 무효 전력치가 제3 문턱값 미만인 경우에 소용량의 콘덴서가 무효 전력치에 따라 개폐 제어되므로, 유효 전력이 작아지는 동시에 무효 전력은 커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효 전력치 및 무효 전력치의 대소에 관계 없이 최적인 역률로 조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or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rd threshold, the large-capacity capacitor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the reactive power value. On the other hand,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the third threshold value, the small-capacity capacitor is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reactive power value. Even if it becomes large,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djust to the optimal power factor irrespective of the magnitude | size of an effective electric power value and an reactive power value.

Claims (7)

전력 계통에 있어서 전압치 및 전류치에 근거하여 유효 전력치 및 무효 전력치를 연산하는 전력 연산 수단과, Power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effective power value and a reactive power value based on a voltage value and a current value in a power system; 상기 유효 전력치가 소정의 제1 기준치 이상일 때, 또는 상기 유효 전력치가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이면서 소정의 제2 기준치 이상이고, 또한 상기 무효 전력치가 소정의 제3 기준치 이상일 때에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효 전력치가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기준치 이상이고, 또한 상기 무효 전력치가 상기 제3 기준치 미만일 때에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작성 수단과,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or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ird reference valu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for outpu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무효 전력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계통에 제1 개폐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는 2 이상의 제1 콘덴서를, 상기 제1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폐성(閉成)하고, 폐성되지 않은 상기 제1 콘덴서를, 상기 제1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개성(開成)하는 제1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 수단과,Selectively closing two or more first capacitors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via a first opening / closing means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to close and close the first opening / closing means. First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first open / close signal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first condenser, which is not present, by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first open / close means; 상기 제2 제어 신호와 상기 무효 전력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계통에 제2 개폐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제1 콘덴서보다 용량이 작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콘덴서를, 상기 제2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폐성하고, 폐성되지 않은 상기 제2 콘덴서를, 상기 제2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개성하는 제2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조정 장치.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t least one second capacitor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via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ans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and having a smaller capacity than the first capacitor; And second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second open / close signal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econd open / close means by closing the second condenser that is closed and not clo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3 기준치는 상기 유효 전력치가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무효 전력치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중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조정 장치. And the third reference value is an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개폐 수단 및 상기 제2 개폐 수단을 개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3 기준치를 설정하는 기준치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치 설정 신호 출력 수단과,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for setting said third reference value while personalizing said first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sai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ans; 상기 기준치 설정 신호에 근거하여 무효 전력치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판정하는 최대 최소 무효 전력 기억 제어 수단과,A maximum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control means for determining a maximum value and a minimum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based o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signal; 상기 무효 전력치의 최대치를 기억하는 최대 무효 전력 기억 수단과, Maximum reactive power storage means for storing a maximum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상기 무효 전력치의 최소치를 기억하는 최소 무효 전력 기억 수단과,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minimum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상기 최대 무효 전력 기억 수단에 기억된 무효 전력치의 최대치와 상기 최소 무효 전력 기억 수단에 기억된 무효 전력치의 최소치의 중간치를 연산하여 상기 제3 기준치로 설정하는 기준치 연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조정 장치. And a reference value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maximum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stored in said maximum reactive power storage means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reactive power value stored in said minimum reactive power storage means, and setting it as said third reference value. Adjust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콘덴서의 용량을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과, First storage means for storing a capacity of said first capacitor; 상기 제2 콘덴서의 용량을 기억하는 제2 기억 수단과,Second storage means for storing a capacity of the second capacitor;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1 콘덴서 중 최소의 용량과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2 콘덴서의 용량의 합계의 중간치를 연산하고, 상기 제3 기준치로 설정하는 기준치 연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조정 장치. A reference value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sum of the minimum capacity of the first capacitor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means and the capacity of the second capacitor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means, and setting the reference value to the third reference value; The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역률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되는 제1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조정 장치. And the first control means outputs a first open / close signal in which the power factor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역률이 소정의 값에 가장 가깝게 되는 제1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조정 장치. And the first control means outputs a first open / close signal in which the power factor is closest to a predetermined value. 전력 계통에 있어서 전압치 및 전류치에 근거하여 유효 전력치 및 무효 전력치를 연산하는 전력 연산 수단과, Power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n effective power value and a reactive power value based on a voltage value and a current value in a power system; 상기 유효 전력치가 소정의 제1 기준치 이상일 때에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효 전력치가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이면서 소정의 제2 기준치 이상이고, 또한 상기 무효 전력치가 소정의 제3 기준치 이상일 때에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유효 전력치가 상기 제1 기준치 미만이면서 상기 제2 기준치 이상이고, 또한 상기 무효 전력치가 상기 제3 기준치 미만일 때 제3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 어 신호 작성 수단과,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ird reference valu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for outpu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a third control signal when the effe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is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무효 전력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계통에 제1 개폐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는 2 이상의 제1 콘덴서를, 역률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되도록 상기 제1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폐성하고, 폐성되지 않는 상기 제1 콘덴서를, 상기 제1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개성하는 제1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 수단과,Selectively controlling two or more first capacitors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via first opening and closing means based on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such that the power fact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First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first open / close signal for selectively closing the closed and non-closed first capacitors; 상기 제2 제어 신호와 상기 무효 전력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콘덴서를, 역률이 소정의 값에 가장 가깝게 되도록 상기 제1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폐성하고, 폐성되지 않는 상기 제1 콘덴서를, 상기 제1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개성하는 제2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제어 수단과,Selectively closing the first condenser based on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and controlling the first opening / closing means such that the power factor is closest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closing the first condenser which is not closed; Second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output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signal for individualizing; 상기 제3 제어 신호와 상기 무효 전력치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 계통에 제2 개폐 수단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제1 콘덴서보다 용량이 작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콘덴서를, 상기 제2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폐성하고, 폐성되지 않는 상기 제2 콘덴서를, 상기 제2 개폐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개성하는 제3 개폐 신호를 출력하는 제3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 조정 장치.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t least one second capacitor connected to the power system via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ans based on the third control signal and the reactive power value and having a smaller capacity than the first capacitor; And a third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third open / close signal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second open / close means for closing the second condenser that is closed and not closed.
KR1020060003233A 2005-07-11 2006-01-11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KR1007387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01658 2005-07-11
JP2005201658A JP2007020365A (en) 2005-07-11 2005-07-11 Power factor adju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700A true KR20070007700A (en) 2007-01-16
KR100738761B1 KR100738761B1 (en) 2007-07-12

Family

ID=3760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233A KR100738761B1 (en) 2005-07-11 2006-01-11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020365A (en)
KR (1) KR100738761B1 (en)
CN (1) CN100468274C (en)
TW (1) TWI275921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883A (en) * 2019-09-05 2021-03-1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f renewable energy power system based on power fa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1000029A2 (en) * 2010-02-18 2018-02-14 Mitsubishi Heavy Industries , Ltd. A maintenance operation method of a wind power generator, and a wind power generator
CN102280893A (en) * 2011-08-09 2011-12-14 东营区供电公司 Electric power line optimizing and compensating device
JP6536348B2 (en) * 2015-10-22 2019-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and power factor adjustment method
TWI693768B (en) * 2019-02-18 2020-05-11 英捷力電機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monitoring capacitance value of capacitor in power system
KR102173655B1 (en) * 2020-03-04 2020-11-03 주식회사 쓰리아이씨 A method for determinating the disturbance direction in power pla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06916A (en) * 1978-06-20 1981-08-11 H.O.P. Consulab Inc. Apparatus and method to regulate the power factor of an electrical distribution line
JPH04372527A (en) * 1991-06-20 1992-12-25 Nkk Corp Automatic controller of phase-advance capacitor
JPH05341863A (en) * 1992-06-08 1993-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Automatic power factor controller
JPH08336234A (en) * 1995-06-05 1996-12-17 Nissin Electric Co Ltd Power receiving facility
JP2000032664A (en) 1998-07-14 2000-01-28 Chubu Electric Power Co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eactive power- adjusting device with capacitor bank
KR100554263B1 (en) * 2002-12-12 2006-02-22 홍윤기 Electric energy saving system using power-factor corr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883A (en) * 2019-09-05 2021-03-1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f renewable energy power system based on power f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68274C (en) 2009-03-11
TW200702971A (en) 2007-01-16
CN1896899A (en) 2007-01-17
KR100738761B1 (en) 2007-07-12
JP2007020365A (en) 2007-01-25
TWI275921B (en) 200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761B1 (en)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CA2664474C (en) Switching controlgear of circuit breaker
CA272129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line control
US20220253080A1 (en) Smart voltage reduction and reverse power operating mode determination for load tap charging transformers and voltage regulators
JP4908171B2 (en) Circuit breaker clos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6877295B2 (en) Judgment method of voltage regulator and voltage regulator
JP5274413B2 (en) Phase advance capacitor controller
JP3992212B2 (en) Power reverse power flow caus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voltage regulator for power distribution, and automatic voltage regulator control method for power reverse power flow distribution
JP5419830B2 (en) Automatic power factor adjuster
KR102053850B1 (en) Distribution board smart compens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power-factor of leading phase and lagging phase current
KR102053848B1 (en) Smart compensation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power-factor of leading phase and lagging phase current
KR100791625B1 (en) Method f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and Apparatus thereof
EP30598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energy in electrical installations
US10439431B2 (en) Method to reduce inrush currents in a transformer-less rectifie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JP2009171652A (en) Power conversion device
JPH08251824A (en) Power-factor prediction method and power-factor control apparatus of power consumption installation
JPH114544A (en) Power supply
JP5583094B2 (en) Phase advance capacitor controller and power factor adjuster
US20200366081A1 (en) Controlled switching of a circuit breaker
JP2006042546A (en) Automatic voltage regulator
JP2002095166A (en) Power flow controller
JP2016208763A (en) In-plant bus voltage controller and power transmission voltage controller
KR100941401B1 (en) Real-time switching method on a reserve power supply condition for an auto-switching apparatus based on a real-time power flow
JP2018207565A (en) Power factor control system
JP2009130952A (en) Bus-bar voltage adjus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