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296A - Pushing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music play using it - Google Patents
Pushing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music play us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6296A KR20070006296A KR1020050061514A KR20050061514A KR20070006296A KR 20070006296 A KR20070006296 A KR 20070006296A KR 1020050061514 A KR1020050061514 A KR 1020050061514A KR 20050061514 A KR20050061514 A KR 20050061514A KR 20070006296 A KR20070006296 A KR 200700062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sound source
- output
- unit
- pres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1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joystick-like proportional control of musical input; Videogame input devices used for musical input or control, e.g. gamepad, joystick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감지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센서부(12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눌림 감지 장치(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4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눌림 감지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5a to 5b schematically show a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300 : 눌림 감지 장치100, 300: pressing detection device
110 : 눌림버튼 120 : 센서부110: push button 120: sensor
130, 430 : 음원저장부 140, 440 : 음향출력부130, 430: sound
145, 450 : 스피커 150 : 제어부145, 450: speaker 150: control unit
190 : 음향입력장치190: sound input device
350 : 송신부350: transmitter
400 : 음향 출력 장치400: sound output device
410 : 출력장치 제어부 420 : 수신부410: output device controller 420: receiver
본 발명은 눌림 감지 장치 및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를 통해 감지된 버튼의 눌림 여부 또는 눌림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의 다른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눌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 detection device and an electronic song accompani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 press detection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 variety of different sound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button sensed by a sensor is pressed,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It is about a song accompaniment system.
금속ㅇ나무ㅇ대 등의 관을 입으로 불어서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를 관악기라고 한다. 관악기는 관에 뚫린 각 구멍의 막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를 내고 이를 이용하여 연주가 가능하다. 피아노는 각 건반이 눌려짐에 따라 현이 울리는 것을 이용하여 소리를 낸다. A musical instrument that makes a sound by vibrating the air in the tube by blowing a tube such as a metal or wooden rod is called a wind instrument. Wind instruments make different sounds depending on whether each hole in the coffin is blocked and can be played using them. The piano uses the sound of the strings as each key is pressed.
상기 관악기 또는 피아노는 모두 눌림을 인지하고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하지만, 각 악기마다 고유의 소리가 정해져 있어 다양한 소리를 내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The wind instrument or piano is an instrument that recognizes all sounds and makes a soun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a variety of sounds because each instrument has its own sound.
피아노를 전자적으로 구현한 전자 키보드는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으나, 피아노의 건반을 그대로 구현한 것이기 때문에 사이즈가 크고 휴대가 불편하며 바닥이나The electronic keyboard, which embodies the piano electronically, can produce a variety of sounds, but since it is a keyboard of the piano as it is, it is large in size and inconvenient to carry,
무릎에 내려놓고 연주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건반의 눌림 여부 또는 눌림세기의 강약만을 감지하기 때문에 미세하게 눌림의 정도 또는 눌림깊이에 따른 다양한 소리를 내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ere is an uncomfortable problem of playing on your knees. In addition, since only the strength or weakness of the key is pressed or sen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ke various sounds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essing or the depth of the pressing.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 일측에 설치되고 임의의 손가락이 맞닿는 곳에 손가락에 의한 눌림의 깊이를 측정하는 눌림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s detection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a handle and measuring the depth of the press by a finger where a certain finger touches.
또한, 본 발명은 눌림 감지 장치에서 출력된 눌림 깊이의 출력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를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song accompaniment system for outputting different sounds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pressing depth output from the pressing detec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사이즈가 작아 휴대가 간편하고 센서의 제작 비용이 싸고 간편한 눌림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s detection device that is small in size, easy to carry, and low in manufacturing cost of the sensor.
또한, 본 발명은 피리, 피아노, 색소폰 등의 손가락에 의한 눌림을 이용하는 악기를 대신할 수 있는 눌림 감지 장치 및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ess detection device and an electronic song accompaniment system that can replace an instrument using a press of a finger such as a flute, a piano, a saxophone,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각 버튼마다 다양한 소리가 나도록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눌림 감지 장치 및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s detection device and an electronic song accompaniment system that can be changed to have a variety of sounds for each button to induce interest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손에 쥘 수 있고 손가락의 눌림에 따라 작동하는 핸드헬드(hand held) 눌림 감지 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에 의한 눌림(pushing) 여부를 감지하는 눌림(pushing) 센서부; 복수개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저장부; 상기 음원저장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 상기 음향출력부에 결합되어 상기 음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센서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이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눌림 감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 held pressing detection device that can be held in the hand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a finger, comprising: a pushing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finger is pushed; A sound sourc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applied from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A speaker coupled to the sound output unit to output the sound source to the outsi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apply a sound source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to the sound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And a push detection device including a power supply.
바람직하게는, 상기 눌림 센서부는 눌림 깊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눌림 깊이에 따라 상기 음향출력부가 음원의 음량을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음원 중 선택된 음원을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되도록 한다. Preferably, the pressing sensor unit detects a pressing depth, and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sound output unit by adjusting the volume of a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pressing depth or applies a selected sound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to the sound output unit. .
또한, 상기 눌림 센서부는, 하우징; 눌림이 입력되면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눌림버튼; 상기 하우징과 상기 눌림버튼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축방향으로 일단이 상기 눌림버튼에 고정되는 고정바(bar); 상기 고정바의 타단에 장착된 발광 다이오드; 상기 스프링의 축방향으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가되는 빛의 세기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여기서, 상기 광센서로 인가되는 빛의 세기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광센서의 이격거리에 따라 달라지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광센서의 이격거리는 상기 눌림의 강도에 따라 달라짐-; 및 상기 광센서와 연결된 출력단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ressing sensor unit, the housing; A push button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n a push is input;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push button; A fixed bar (ba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ush button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spring; A light emitting diode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bar; An optical sensor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ring and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light applied thereto, wherein the intensity of light applied to the optical sensor i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optical senso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optical sensor depends on the intensity of the pressing;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ptical sensor.
또한, 상기 눌림 센서부는 복수개이고, 동일한 개수이며, 각각 서로 다른 음원이 지정되고, 소리를 입력받는 음향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받은 소리는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음향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받은 소리가 소정 크기 이상인 때부터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되기 시작하며, 상기 음향입력장치는 상기 음향출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입력장치가 입력받은 소리가 직접 상기 스피커로 출력된다. In addition, the pressing sensor unit is a plurality of, the same number, each different sound source is specified, and further comprises a sound input device for receiving a sound, the received sound is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And when the sound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device is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begins to be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the sound in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unit, the sound input by the sound input device is directly Output to the speaker.
또한,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불빛을 달리하며, 상기 음원저장부에서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될 음원의 선택이 가능한 음원 선택 스위치; 및 홀드 상태 여부를 입력받는 홀드(hold)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드 스위치가 홀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음원 선택 스위치 선택시 이미 선택된 음원의 소리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원저장부를 제어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change a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and select a sound source to be applied to the sound output unit from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And a hold switch configured to receive a hold stat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to output a sound of a sound source already selected when the sound source selection switch is selected when the hold switch is in the hold stat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눌림 감지 장치 및 음향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손가락에 의한 눌림 여부를 감지하는 눌림 센서부와, 복수개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저장부와, 상기 음원저장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와, 상기 센서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이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음향출력부의 출력 음원을 상기 음향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그리고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눌림 감지 장치;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출력 음원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그리고 상기 수신부에 결합되어 상기 출력 음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인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onic song accompaniment system comprising a pressing detection device and a sound output device, a pressing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pressing by the finger, a sound sourc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applied from a sound source storage unit, a controller for allowing a sound source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to be applied to the sound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and an output sound source of the sound output unit A push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o the device, and a power supply; And a sound output device including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output sound source from the transmitter, and a speaker coupled to the receiver to output the output sound source to the outside, wherein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is wired or wireless. An electronic song accompaniment system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 음원은 아날로그 음원이고, 상기 송신부는 RF 모듈레이터(modulator)이며, 상기 수신부는 RF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이고,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는 서로 동일한 반송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Preferably, the output sound source is an analog sound source, the transmitter is an RF modulator, the receiver is an RF demodulator, and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have the same carrier frequency.
또한, 소리를 입력받는 음향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받은 소리는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되며, 상기 음향입력장치는 상기 음향출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입력장치가 입력받은 소리가 직접 상기 스피커로 출력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ound input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a sound, wherein the received sound is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the sound input device is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sound input by the sound input device is directly input. It is output to the speak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눌림 감지 장치 및 음향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손가락에 의한 눌림 여부를 감지하는 눌림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출력에 따라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소리를 입력받는 음향 입력 장치와,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입력받은 소리를 상기 음향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그리고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눌림 감지 장치;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 및 상기 입력받은 소리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입력받은 소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음원을 저장하기 위한 음원저장부와,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음원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와, 상기 음향출력부에 결합되어 상기 음원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그리고 상기 수신부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이 상기 음향출력부로 인가되도록 하는 출력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onic song accompaniment system comprising a pressing detection device and a sound output device, the pressing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pressing by the finger, and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A push sens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a sound input device for receiving sou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sound to the sound output device, and a power supply device;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soun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 sound source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including the received sound,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sources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And a speaker coupled to the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to the outside, and reading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output of the receiving unit, and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read control information. An electronic song accompaniment system including a sound output device including an output device controller to be negatively applied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눌림 감지 장치와 상기 음향 출력 장치는 무선 통신을 하고, 상기 송신부는 반송파 내에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제어 신호를 소정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스피커를 뮤트(mute)시키고 상기 음향 출력 장치는 대기 모드 또는 절전 모드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음향 출력 장치는,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신호에 따라 미리 정해진 또는 임의의 순서에 의해 빛을 내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한다. Preferably, the depression detection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is in wireless communication, the transmitter transmits a control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in the carrier, and if the receiver receives the control signal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Mute the speaker and the sound output device switches to standby mode or sleep mode. The sound output device further includes a lighting device that emits light in a predetermined or random order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또한, 상기 눌림 센서부는 눌림 깊이를 검출하며, 하우징; 눌림이 입력되면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눌림버튼; 상기 하우징과 상기 눌림버튼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축방향으로 일단이 상기 눌림버튼에 고정되는 고정바(bar); 상기 고정바의 타단에 장착된 발광 다이오드; 상기 스프링의 축방향으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인가되는 빛의 세기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여기서, 상기 광센서로 인가되는 빛의 세기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광센서의 이격거리에 따라 달라지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광센서의 이격거리는 상기 눌림의 강도에 따라 달라짐-; 및 상기 광센서와 연결된 출력단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sing sensor unit detects the pressing depth, the housing; A push button mov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n a push is input;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push button; A fixed bar (ba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ush button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spring; A light emitting diode mounted 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bar; An optical sensor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ring and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light applied thereto, wherein the intensity of light applied to the optical sensor i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optical senso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optical sensor depends on the intensity of the pressing;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ptical sensor.
또한, 상기 눌림 센서부는 복수개이고, 동일한 개수이며, 각각 서로 다른 음원이 지정된다. In addition, the push sensor unit is a plurality of, the same number, each different sound source is designated.
추가적으로 눌림 감지 장치를 손잡이처럼 손에 잡고 연주함에 있어 상기 눌림 감지 장치를 손가락이 용이하게 잘 닿도록 제작하고 연주시 손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장치 홀더(holder) 또는 밴드를 눌림 감지 장치의 외측에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holding the press detection device like a hand in hand, the press detection device is designed to be easily touched by the finger, and the device holder or the band is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press detection device to prevent it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hand when playing. Can be installed.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눌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ress detection device and an electronic song accompani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als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감지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눌림 감지 장치(100)는 추후 도 5a 내지 도 5b에서 보이는 형태처럼 손에 쥘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손으로 들고 쉽게 휴대가 가능한 형태의 핸드헬드(handheld) 장치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눌림 감지 장치(100)는 눌림 센서부(120), 음원저장부(130), 음향출력부(140), 스피커(145), 제어부(150) 및 전원공급장치(160)를 포함한다. The
눌림 센서부(120)는 눌림버튼(110)이 눌렸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눌림버튼(110)은 눌림 감지 장치(100)의 외부에 장착되는 버튼(button)이다. 사용자가 상기 눌림버튼(110)을 누르면 소정의 방향으로 눌림버튼(110)은 이동한다. 이때 소정의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눌림 감지 장치(100)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이다. 눌림 센서부(120)에서의 눌림 감지는 크게 두 종류이다. The
하나는 온오프(on/off) 식의 스위치 형태로 눌림이 있는지 여부만을 감지한 다. 즉, 일정 길이 이상으로 눌림버튼(110)이 이동하면 눌림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고, 그 외에는 눌림이 없는 것으로 감지한다. 이에 해당하는 눌림버튼(110)은 접점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One detects only whether there is a depression in the form of an on / off switch. That is, when the
다른 하나는 눌림의 정도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눌림의 정도를 선형적으로 또는 다수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를 이용하여 눌림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눌림의 정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눌림 센서부(120)는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이때, 눌림의 정도에 따라 크기 또는 종류가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눌림 센서부(120)는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발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The other judges the degree of pressing and outputs a signal accordingly. The degree of pressing is linearly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to output different signals. B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egree of pressing and use it accordingly. The
상기 눌림 센서부(120)는 눌림버튼(110) 하나마다 눌림 센서부(120)가 하나씩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눌림 센서부(120)는 하나 이상이다. 복수 개의 눌림 센서부(120)가 있는 경우 각각의 눌림 센서부(120)마다 서로 다른 음원에 의한 소리가 나도록 하거나 서로 다른 음량, 음색 등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음원저장부(130)는 복수 개의 음원을 저장한다. 상기 음원은 미디(midi) 형식, 웨이브(wave) 형식, mp3 형식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저장되는 음원은 음악 중 클립(clip)된 부분, 효과음, 사람의 목소리 등 다양한 내용을 가진다. 눌림 감지 장치(100)의 제어부(150)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음원의 종류, 음량 또는 음색을 달리하는 등 다양한 음향 효과를 연출한다.The sound
음향출력부(140)는 음원저장부(130)로부터 수신한 음원을 D/A(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스피커(145)로 전달하여 출력한다. 음향출력부(140)는 별도의 스위치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볼륨을 조정하여 음량을 변화시키거나, 음색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더 가지도록 하고, 제어부(150)의 제어 정보에 따라 컨트롤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스피커(145)는 음향출력부(140)에 결합되어 음향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된 음원의 신호를 증폭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스피커(145)는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스테레오 또는 다수의 채널을 구성하고 각 스피커(145)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효과를 다르게 하여 입체감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가 좌측 및 우측의 2개가 있는 경우, 눌림버튼(110)에 따라서 특정 눌림버튼(110)에 의한 소리는 좌측 스피커에 나오도록 하고 다른 눌림버튼(110)에 의한 소리는 우측 스피커로 나오도록 하고, 소정의 스위치가 선택된 경우 특정 눌림 버튼 및 다른 눌림 버튼에 의한 소리가 동시에 좌측 및 우측에 나오도록 하여 효과를 더 해줄 수 있다.The
제어부(150)는 눌림 센서부(120)에서 출력한 신호를 수신한다. 눌림 센서부(120)의 출력에 따라 음원저장부(130)에 저장된 음원이 음향출력부(140)로 인가되어 스피커(145)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한다. The
눌림버튼(110)이 온오프 방식의 스위치 형태인 경우 눌림 센서부(120)는 눌림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신호만을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눌림이 없는 경우에는 음원을 출력하지 않고 눌림이 있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또는 사용자의 선택을 받은 음원을 출력하도록 한다. 또는 눌림이 없는 경우와 눌림이 있는 경우에 출력되는 음원의 종류가 변경되도록 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When the
눌림 센서부(120)가 눌림버튼(110)의 눌림 정도를 선형적으로 또는 다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눌림 센서부(12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음원의 음량을 조절하거나 음색을 조절한다. 즉, 눌림버튼(110)이 눌려지기 시작하면 미리 지정된 음원이 출력되도록 하고 눌림 정도 즉, 눌림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음원의 음량이 점점 커지도록 한다. 또는 출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몇 개의 구간으로 나눈 후 각 구간마다 서로 다른 음원이 출력되도록 한다. When the
제어부(150)가 눌림의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은 눌림 센서부(1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눌림 정도(깊이)를 파악하며, 특히 수신된 신호가 아날로그인 경우 수신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 conversion)하여 신호의 크기 등의 특성을 파악하여 눌림의 정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한 눌림의 정도에 따라 음원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 중 미리 정해진 특정 음원 또는 임의의 음원이 음향출력부(140)로 인가되도록 한다. 제어부(150)가 판단한 눌림의 정도에 따라 음원저장부(130) 또는 음향출력부(14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해 음원저장부(130)는 소정의 음원을 음향출력부(140)로 인가하고, 음향출력부(140)는 다양한 음량, 음색을 통한 음향 효과를 가지도록 하여 음원을 출력한다.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depression by the
전원공급장치(160)는 눌림 감지 장치(100)가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휴대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AA형 또는 AAA형 배터리, 수은 전지, 충전지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만일, 눌림 감지 장치(100)에 입력되는 신호가 소정 크기 이하인 경우에는 절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자동 오프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The
또한, 눌림 감지 장치(100)는 스위치부(160), 발광부(170), 통신부(180), 음향입력장치(19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스위치부(160)는 눌림 감지 장치(100)의 외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음원, 선택된 음원의 음량, 음색 등을 선택한다. 또한, 다수의 눌림버튼(110)에 대해 각 눌림버튼(110)마다의 음원, 음량, 음색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도 포함한다. The
선택될 수 있는 조합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눌림 감지 장치(100)에 의한 음향 효과를 극대화한다. 스위치를 다중으로 두어 임의의 스위치가 선택됨에 따라 서로 다른 음원이 선택되어 눌림 감지 장치(100)의 눌림버튼(110)이 눌린 경우 또는 눌림의 정도에 따라 음향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도록 한다. 볼륨 스위치를 둠으로써 사용자가 눌림 감지 장치(100)의 눌림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음원의 음량을 장소와 시간이 따라 적절하게 변화시킨다. Due to the variety of combinations that can be selected to maximize the sound effect by the
또한, 스위치부에 음계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두어 장음계 또는 단음계의 소리를 내고, 서로 다른 옥타브의 음들이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switch for selecting a scal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switch unit, so that the sound of a long scale or a short scale is generated, and sounds of different octaves are output.
또한, 각각의 눌림버튼(110)마다 각각 다른 음원 선택 스위치(미도시)를 두고, 음원 선택 스위치가 선택될 때마다 각기 다른 음원이 선택되도록 한다. 그리고 홀드(hold) 스위치를 포함하여 홀드 상태에서는 상기 음원 선택 스위치가 선택된 경우 다른 음원이 선택되지 아니하고 이미 선택된 음원의 소리가 스피커(145)를 통해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택된 음원 소리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음원 선택 스위치는 손잡이 상단에 엄지 손가락이 쉽게 닿을 수 있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different sound source selection switch (not shown) is provided for each
상기 스위치부(160)는 눌림 감지 장치(100)의 외측에 장착되거나 또는 눌림 감지 장치(100)와는 코드로 연결되어 눌림 감지 장치(100)와 구별되는 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한손을 이용하여 눌림 감지 장치(100)의 눌림버튼(110)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소리의 출력이 가능하다. 음악을 연주하는 경우에 장조, 단조 등을 변경하거나 다른 옥타브의 소리를 출력하기를 원할 때 한손으로 눌림버튼(110)을 누르면서 스위치부(160)를 조작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부(160)를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눌림 감지 장치(100)와는 코드로 연결되도록 하면 사용자는 한손으로 음악을 연주하면서 다른손으로는 스위치부(160)를 조작하여 다양한 음향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The
눌림 감지 장치(100)에 추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스위치부(160)는 다른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이는 각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때마다 살펴본다.By the components that may be added to the
발광부(170)는 눌림 감지 장치(100) 자체에 LED 등의 발광물체가 외부에 장착된 부분이다. 발광부(170)는 눌림 감지 장치(100)의 눌림버튼(110)의 눌림 정도 에 따라 사용자 또는 주위 사람들이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빛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발광부(17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된다. 하나의 발광부(170)는 눌림 정도에 따라 발광부(170)의 밝기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의 발광부(170)가 있을 경우 각각의 발광부(170)는 눌림 정도에 따라 또는 다수의 눌림버튼(110)에 대해 일대일로 매칭되어 서로 다르게 점등되거나 각각의 발광부(170)는 눌림 정도에 따라 발광부(170)의 밝기를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or more light emitting
따라서, 사용자는 눌림 감지 장치(100)의 눌림버튼(110)을 누르는 정도의 크기로써 발광부(170)의 밝기를 조절한다. 다수의 발광부(170)는 점등될 발광부(170)의 순서를 사전에 설정하여 두고 눌림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발광부(170)가 정해진 순서대로 발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눌림 센서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크기의 범위를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에 대해 발광될 색상의 발광부(170)를 각각 선택하면 눌림 정도에 따라서 각기 다른 색상의 빛이 방출된다.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세가지 색의 발광부를 가지는 경우, 누르는 깊이가 얕으면 녹색, 중간 정도이면 청색, 깊으면 적색의 발광부가 발광되도록 한다. Therefore, the user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발광부(170)와 더불어 스위치부(160)는 발광부(17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발광 스위치(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발광 스위치가 선택되면 스피커(145)를 통해 음원을 출력함과 동시에 발광부(170)를 통해서 빛이 방출된다. In addition to the
통신부(180)는 음원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음원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새로운 음원을 다운로드하여 음원저장부(130)에 저장된 음원의 종류를 추가한다. 통 신부(180)는 외부의 네트워크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거나 컴퓨터 등과 연결된다. The
음향입력장치(190)는 외부로부터 소리를 입력받는 장치이다. 음향입력장치(190)로는 마이크(mic)가 대표적이다. 입력받은 소리를 음원저장부(130)에 저장한다. 따라서, 미리 저장된 음원 이외에도 사용자가 새로이 녹음한 소리를 음원저장부(130)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녹음된 소리가 눌림버튼(110)의 눌림 여부 또는 눌림 정도에 따라 출력되도록 한다. The
음향입력장치(190)가 온(on) 상태이고 녹음 스위치(미도시)가 따로이 있어 녹음 시작으로 설정된 경우 입력되는 모든 소리를 음원저장부(130)에 저장하거나, 또는 소정 크기 이상의 소리가 입력되는 때부터 음원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이는 소리의 녹음을 위해서 음향입력장치(190)를 온(on) 시키고, 소정 시간 이후에 녹음하고자 하는 소리가 입력됨이 일반적이므로, 필요치 않은 묵음 부분이 저장되지 않도록 하고 음원저장부(130)가 최적의 여유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또한, 음향입력장치(190)는 음향출력부(140)에 연결되어, 입력받은 소리를 직접 스피커(145)를 통해 출력한다. 즉, 눌림버튼(110)에 눌림이 감지되지 않거나 또는 스위치부(160)의 선택에 의해, 눌림 여부 또는 눌림 정도를 감지하는 장치 대신에 유무선 마이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 기능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마이크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오프시켜 음향입력장치(190)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차단하고, 눌림을 감지하는 장치로써의 기능만 수행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눌림 감지 장치(100)의 음원 출력과 음향입력장치(190)을 통해 입력된 소리 출력을 음향출력부(140)에서 하나의 신호에 믹싱하여 하나의 스피커(145)에 출력되도록 하거나, 둘 이상의 스피커(145) 중 하나에서는 눌림 감지 장치(100)의 음원이 출력되고 다른 하나에서는 음향입력장치(190)를 통해 입력된 소리가 출력되도록 한다. 눌림 감지 장치(100)의 음원 출력이 스테레오인 경우(예를 들어, 좌측은 눌림 여부에 따른 음원 출력, 우측은 눌림 정도(눌린 깊이)에 따른 음원 출력이 있는 경우) 음향입력장치(190)를 통해 입력된 소리는 좌측, 우측 또는 양측에 모두 믹싱되어 스피커(14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The sound source output of the
다른 실시예에서 눌림 감지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한 음원의 종류, 음원의 음량, 음원의 음색 등의 정보를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LCD, OLE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눌림 감지 장치(100)에서 눌림버튼(110)의 눌림 여부 또는 눌림 정도를 감지하는 부분이 가장 중요한 부분인 바 이하 눌림 센서부(120)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The func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눌림 센서부(12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눌림 센서부(120)는 눌림버튼(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눌림 센서부(120)에서 눌림버튼(110)이 눌렸다가 이후 제자리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스프링(220)이 있다. 스프링(220)은 눌림버튼(110)과 하우징(210) 사이에 개재되어, 눌림버튼(110)에 의해 스프링(220)이 압축되었다가 누르는 힘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눌림버튼(110)은 항상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눌림 센서부(120)가 하나의 부품으로 각각 따로이 제작되는 경우에는 하우징(210)이 각 부품마다 따로이 존재한다. 눌림 센서부(120)가 눌림 감지 장치(100)에 일체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눌림 센서부(120)가 복수개 존재하여도 하우징(210)은 눌림 감지 장치(100)에 고정되어 일체화된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이하 하우징(210)은 각 부품마다 따로이 존재하는 경우와 눌림 감지 장치(100)에 일체화되어 각 부품마다 동일하게 존재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아니하고 설명한다. When the
하우징(210)은 어떤 충격에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하우징(210)에 스프링(22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도 2에서 하우징(210)은 스프링(220)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하우징(210)은 눌림 감지 장치(10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눌림 감지 장치(100)의 케이스 형태는 임의의 형태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바아(bar) 형태, 방망이 형태, 마이크 형태, 조이스틱 형태 등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The
스프링(220)의 고정단의 반대쪽 단부는 눌림버튼(110)에 연결되어 있다. 즉, 스프링(220)은 눌림버튼(110)과 하우징(210)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210)은 고정되어 있고, 눌림버튼(110)은 눌림에 따라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눌림버튼(110)에 고정된 스프링(220)의 축방향으로 일단이 눌림버튼(110)에 고정된 고정바(bar)(225)가 있으며, 고정바(225)의 타단에는 발광 다이오드(230)가 장착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230)는 고정바(225)에 포함되는 도선(미도시)를 통하여 전원공급장치(15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즉, 눌림버튼(110)의 눌림 정도는 고정단(210)에 고정된 스프링(220)을 압축시키고, 고정바(225)는 그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고정바(225)의 타단에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230)의 위치가 변경된다. The opposite end of the fixed end of the
발광 다이오드(230)의 맞은 편에는 광센서(235)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230)와 광센서(235) 간의 거리는 눌림버튼(110)이 최대로 깊게 눌린 경우의 발광 다이오드(230)의 위치 및 사용되는 스프링(220)의 길이와 스프링 상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Opposite to the
발광 다이오드(230)는 빛을 방사형으로 출력하며, 광센서(235)는 발광 다이오드(230)로부터 출력된 빛의 세기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광센서(235)는 눌림버튼(110)이 눌리지 않은 경우 또는 최대로 깊게 눌린 경우에 감지한 발광 다이오드(230)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세기를 기준 세기로 한다. 그리고는 눌림버튼(110)의 눌림 정도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230)의 위치가 변화하여 광센서(235)로부터의 이격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출력되는 빛의 세기로 변화하게 되고, 이를 빛의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The
예를 들어, 눌림버튼(110)의 눌림이 없는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230)와 광센서(235) 간의 거리가 l 1이다. 눌림버튼(110)의 눌림이 있는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230)는 눌림 정도에 따라 광센서(235) 쪽으로 이동하고, 그 중 한 순간의 발광 다이오드(230)와 광센서(235) 간의 거리는 l 2 가 된다. 거리에서 차이가 나게 되므로 광센서(235)가 감지하는 발광 다이오드(230)로부터 빛의 세기로 차이가 나게 되고, 이를 기준 세기와 차이가 나는 신호로 출력된다.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pressing of the
상기 광센서(235)의 출력단(240)에는 광센서(23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An amplifier (not shown) for amplifying a signal output from th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눌림 감지 장치(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4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음향 출력 장치(400)는 눌림 감지 장치(300)로부터 음원을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거나, 제어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음원을 선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은 눌림 감지 장치의 외부에 위치한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눌림 감지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음원을 출력하는 시스템으로, 눌림 감지 장치(300) 및 음향 출력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electronic song accompaniment system is a system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detection device to the outside by using a speaker located outside the pressing detection device, and includes a
눌림 감지 장치(300)는 눌림 센서부(120), 음원저장부(130), 음향출력부(140), 제어부(150), 전원공급장치(155) 및 송신부(350)를 포함한다. 또한, 눌림 감지 장치(100)는 스피커(145), 스위치부(160), 발광부(170), 통신부(180), 음향입력장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음향 출력 장치(400)는 출력장치 제어부(410), 수신부(420), 음원저장부(430), 음향출력부(440) 및 스피커(450)를 포함한다. 또한, 음향 출력 장치(400)는 통신부(500) 및 조명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3을 참조하면, 눌림 감지 장치(300)는 음향 출력 장치(400)와의 통신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눌림 감지 장치(100)에 추가적으로 송신부(350)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눌림 감지 장치(100)와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도 3에 도시된 눌림 감지 장치(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송신부(350)는 눌림 감지 장치(3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음향 출력 장치(400)로 전송하는 부분이다. 눌림 감지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신호는 제어부(150)에서 생성한 제어 정보, 음향출력부(140)에서 아날로그 변환되어 출력된 아날로그 음원 출력, 아날로그 변환되기 전의 디지털 음원 출력 등이 될 수 있다. The
첫째, 눌림 감지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신호가 제어부(150)에서 생성한 제어 정보인 경우를 살펴본다. 이때 눌림 감지 장치(300)는 음원저장부(130), 음향출력부(140) 및 스피커(145)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First, the case in which the signal generated by the
눌림 센서부(120)는 눌림 감지 장치(300)에 설치되어 눌림버튼(110)의 눌림 여부를 감지하고, 눌림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The
제어부(150)는 눌림 센서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눌림 여부 또는 눌림 정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한 눌림 정도에 따라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 정보는 음원 출력 장치(400)에 포함되는 음원저장부(43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음원 중 미리 정해진 특정 음원 또는 임의의 음원 이 음원 출력 장치(400)의 음향출력부(440)로 인가되도록 한다. 제어부(150)가 판단한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음원 출력 장치(400)의 음원저장부(4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The
송신부(300)는 유선으로 전선을 통해서 또는 무선으로 안테나(미도시)를 통해서 제어부(150)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를 음향 출력 장치(40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인 경우의 송신부(300)는 RF 인코더(encoder)(352)이다. 즉, 데이터 통신을 통해서 디지털 형태의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는 음향 출력 장치(400)의 수신부(420)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RF 디코더(decoder)이어야 한다. 또한, RF 인코더 및 RF 디코더는 블루투스(bluetooth) 데이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The
여기서, RF 인코더와 RF 디코더는 서로 반송 주파수 또는 시리얼 번호가 동일한 것끼리만 송수신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눌림 감지 장치(300)와 음향 출력 장치(400)에 시리얼번호 선택 부분(미도시)을 두고 상호 동일한 시리얼번호를 선택한 송수신부끼리만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시리얼번호에 암호 코드를 포함시켜 정해진 수신부에서 암호 코드를 해독할 수 있는 경우에만 송수신이 되도록 한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F encoder and the RF decoder transmit and receive only those having the same carrier frequency or serial number. A serial number selection portion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전원공급장치(155)는 눌림 감지 장치(3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The
음향 출력 장치(400)는 수신부(420)를 통해 디지털 형태의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출력장치 제어부(410)는 수신부(420)에서 수신한 신호로부터 상기 제 어 정보를 독출한 뒤, 독출된 제어 정보에 상응하는 음원이 음원저장부(430)에서 음향출력부(440)로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 정보는 음원의 종류, 음원의 음량, 음원의 음색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
물론 눌림 감지 장치(300)는 음원저장부(130), 음향출력부(140) 및 스피커(145)를 포함하여,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음향 출력 장치(400)를 이용하지 아니하고 눌림 정도에 따른 음향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때 눌림 감지 장치(300)는 선택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선택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음향 효과를 내고자 하는 부분이 눌림 감지 장치(300)인지 음향 출력 장치(400)를 결정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부분에서 음향 효과가 나타나도록 한다. Of course, the
둘째, 눌림 감지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신호가 음향출력부(140)에서 아날로그 변환되어 출력된 음원 출력인 경우를 살펴본다.Second, the case in which the signal generated by the
제어부(150)는 눌림 센서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눌림 여부 또는 눌림 정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한 눌림 여부 또는 눌림 정도에 따라 선택된 음원이 음원저장부(130)로부터 음향출력부(140)로 인가되도록 한다. The
음향출력부(140)는 음원저장부(130)로부터 인가된 음원을 아날로그 변환한 뒤 스피커(145) 또는 송신부(350)로 출력한다. The
송신부(300)는 유선으로 전선을 통해서 또는 무선으로 안테나(미도시)를 통해서 음향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음향 출력 장치(400)로 전송 한다. 바람직하게는, 무선인 경우 송신부(300)는 RF 모듈레이터(modulator)(354)이다. 즉, 아날로그 통신을 통해서 아날로그 신호 형태인 출력된 음원을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는 음향 출력 장치(400)의 수신부(420)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RF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이어야 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FM 신호 또는 AM 신호 이외 다양한 형태의 신호가 가능하다. The
여기서, RF 모듈레이터와 RF 디모듈레이터는 서로 반송주파수가 동일한 송수신부끼리만 송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눌림 감지 장치(300)와 음향 출력 장치(400)에 반송주파수 선택 부분(미도시)을 두어 상호 동일한 반송주파수를 선택한 송수신부끼리만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F modulator and the RF demodulator transmit and receive only transmission / reception units having the same carrier frequency. A carrier frequency selection portion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음향 출력 장치(400)는 수신부(420)를 통해 아날로그 형태의 음원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음원 신호는 스피커를 통하면 바로 출력가능한 형태이므로, 음향 출력 장치(400)의 스피커(45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때 음향 출력 장치(400)는 출력장치 제어부(410), 음원저장부(420), 음향출력부(430)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The
수신부(420) 즉, RF 디모듈레이터에서는 수신되는 입력 신호 즉, 아날로그 음원 출력이 미약할 경우에 미약 정도를 파악하여 스피커(450)를 자동으로 뮤트(mute)한다. 다만, 입력 신호가 눌림 감지 장치(300)에서 전송된 신호가 아닌 외부 잡음 노이즈(noise)에 의한 신호인 경우 미약 정도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불필요한 잡음을 차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송신부(350)는 눌림 감지 장치(300)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경우 즉, 움직임이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특정 주파수(예를 들어, 사람의 가청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를 일정 시간 동안 송신 신호에 믹싱하여 전송한다. 수신부(420) 즉, RF 디모듈레이터는 상기 특정 주파수만을 수신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에서 출력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회로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송신부(350)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특정 주파수가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가 눌림 감지 장치(300)를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음향 출력 장치(400)의 스피커(450)를 뮤트시키고, 음향 출력 장치(400)를 대기 모드 또는 전원 절전 모드로 변환한다.The receiving
셋째, 눌림 감지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신호가 음향출력부(140)에서 아날로그 변환되기 전의 디지털 음원 출력인 경우를 살펴본다.Third, the case in which the signal generated by the
제어부(150)는 눌림 센서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움직임의 강도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한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선택된 음원이 음원저장부(130)로부터 음향출력부(140)로 인가되도록 한다. The
음원저장부(130)과 음향출력부(140) 사이에 송신부(350)가 위치한다. 송신부(350)는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bluetooth) 송신부(356)이다. 아날로그 변환되기 전의 디지털 음원을 그대로 음향 출력 장치(400)로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는 음향 출력 장치(400)의 수신부(420)는 디지털 음원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변환할 수 있는 블루투스 수신부이어야 한다. The
음향 출력 장치(400)는 수신부(420)를 통해 디지털 음원을 수신하고, 블루투스 수신부에서 디지털 음원을 아날로그 변환한다. 변환된 음원은 스피커를 통하면 바로 출력가능한 형태이므로, 음향 출력 장치(400)의 스피커(45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때 음향 출력 장치(400)는 출력장치 제어부(410), 음원저장부(420), 음향출력부(430)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The
상기 음향 출력 장치(400)는 통신부(500) 또는 조명장치(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통신부(500)는 음향 출력 장치(400)의 음원저장부(430)에 미리 저장된 음원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새로운 음원을 다운로드하여 음원저장부(430)에 저장된 음원의 종류를 추가한다. 통신부(500)는 외부의 네트워크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거나 컴퓨터 등과 연결된다. The
조명장치(550)는 음향 출력 장치(400)가 수신한 신호에 따라 하나의 발광부가 밝기를 달리하며 발광되거나 다수의 발광부가 소정의 순서 또는 순서없이 랜덤하게 발광된다. 상술한 제어부(150)에서 생성한 제어 정보, 음향출력부(140)에서 아날로그 변환되어 출력된 음원 출력, 아날로그 변환되기 전의 디지털 음원 출력 등에 조명장치(550)를 동작시키는 신호가 더 포함되어 조명장치(550)가 동작한다. The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눌림 감지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눌림 감지 장치(100)는 한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5A to 5B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도 5a를 참조하면, 마이크(mic)의 손잡이에 다수의 눌림버튼(510)을 부착한 다. 그리고 사용자는 한손으로 다수의 눌림버튼(510)을 원하는 순서대로 누름으로써 원하는 음향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mic)는 눌림 감지 장치(100)로써 사용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일반 마이크의 기능을 한다.Referring to FIG. 5A, a plurality of
도 5b를 참조하면, 한손에 쥐기 쉬운 모양의 형태를 한 손잡이에 다수의 눌림버튼(510)을 부착한다. 그리고 손잡이 일측에 스피커(520), 스위치부(530)이 부착된다. 한손으로는 눌림 감지 장치(100)를 가지고 음향 효과를 연출하고 다른손으로는 코드로 연결된 스위치부(540)를 조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B, a plurality of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향 출력 장치(400)는 다수의 눌림 감지 장치(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각 눌림 감지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각 신호를 기초로 하여 음향 출력한다. 음향 출력 장치(400)는 내부에 믹서기(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믹서기에서 각 눌림 감지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출력된 각 음원을 혼합하여 하나의 출력으로 스피커(45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다양한 음향 효과를 낸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눌림 정도에 따라서 음원의 출력 주파수를 다르게 변화시킨다. 출력 주파수가 변화함에 따라 같은 음원에 대해서도 다른 음향 효과를 낸다. 따라서, 눌림 센서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크기의 범위를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에 대해 출력된 음원의 음향 출력 주파수를 지정하여 두면 눌림 정도에 따라서 각기 다른 음향이 출력된다. 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output frequency of the sound source is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pression. As the output frequency changes, different sound effects are produced for the same sound source. Therefore, if the range of the signal magnitude input from the
또한, 눌림 정도에 따라서 음원이 출력되는 시간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배음(채배음) 또는 떨림음을 추가하여 음색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음향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sound effects may be genera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ime that the sound source is output or changing the tone by adding overtones or tremo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pression.
본 발명에 의한 눌림 감지 장치는 별개의 제품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구, 예를 들어 휴대폰, MP3 플레이어 또는 노래방 마이크 등에 탑재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 눌림 감지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별개의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눌림 감지 장치가 동작하도록 조절가능하다. The pressing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as a separate product, but may be mounted on other apparatuses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or a karaoke microphone. In this case, 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e switch for shutting off the power of the pressing detection device. This allows the push detection device to operate only when the user desires.
본 발명에 의한 눌림 감지 장치는 피아노, 피리, 섹스폰 등과 같은 악기 대용으로 사용된다. 눌림버튼이 다수개 있는 경우 각 눌림버튼 별로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및 도에 해당하는 음이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피아노, 피리, 섹스폰을 연주하는 것처럼 해당음에 상응하는 눌림버튼을 누름으로써 연주가 가능하다. 눌림 감지 장치를 한 손에서 연주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4개의 눌림버튼이 있으며, 첫번째 눌림버튼에는 도와 레, 두번째 눌림버튼에는 미와 파, 세번째 눌림버튼에는 솔과 라, 네번째 눌림버튼에는 시와 도가 출력되도록 한다. 하나의 눌림버튼에 대해서 눌리는 깊이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가 나도록 기준되는 깊이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ubstitute for musical instruments such as piano, flute, sex phone and the like. If there are multiple push buttons, each push button is set to output notes corresponding to degrees, les, me, waves, soles, las, poetry, and provinces, and presse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notes, such as playing piano, flute, and sex phones. You can play by pressing the button. In order to make the press detection device playable with one hand, there are preferably four push buttons, the first push button is a tile and a lever, the second push button is a mi and wave, the third push button is a solo and a la, and the fourth push button is a poetry and a key. Let the degree be output.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a reference depth so that different sound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pth pressed for one push button.
본 발명에 의한 눌림 감지 장치는 추가적으로 손잡이처럼 손에 잡고 연주함에 있어 상기 눌림 감지 장치를 손가락이 용이하게 잘 닿도록 제작하고 연주시 손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장치 홀더(holder) 또는 밴드를 눌림 감지 장치의 외측에 설치할 수 있다.The press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makes the press detection device to easily touch the hand while playing like a handle and detects the press of the device holder or ban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hand when playing. It can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눌림 감지 장치는 버튼의 눌림의 정도를 판별하여 눌림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를 출력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degree of pressing of the button to output different sound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ing.
또한, 사이즈가 작아 휴대가 간편하고 센서의 제작 비용이 싸고 간편하다. In addition, the small size is easy to carry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ensor is cheap and simple.
전자 피아노가 고정된 바닥에 놓고 두 손가락을 눌러 연주하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눌림 감지 장치는 한손으로 잡고 손가락으로 버튼을 눌러 연주함으로써 피리, 피아노, 색소폰 등의 손가락에 의한 눌림을 이용하는 악기를 용이하게 대신할 수 있다.While the electronic piano is placed on a fixed floor and pressed by two fingers, the press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an instrument using a finger press such as a flute, a piano, a saxophone, and the like by holding it with one hand and pressing a button with a finger. It can be replaced.
또한, 각 버튼마다 다양한 소리가 나도록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each button can be changed to have a variety of sounds can cause user interes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1514A KR20070006296A (en) | 2005-07-08 | 2005-07-08 | Pushing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music play us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1514A KR20070006296A (en) | 2005-07-08 | 2005-07-08 | Pushing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music play using 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6296A true KR20070006296A (en) | 2007-01-11 |
Family
ID=3787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1514A KR20070006296A (en) | 2005-07-08 | 2005-07-08 | Pushing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music play us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06296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266B1 (en) * | 2007-09-12 | 2009-07-27 | 주식회사 미드무로 | Keyboard motion detection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s with sensitivity control |
KR100909270B1 (en) * | 2007-09-12 | 2009-07-27 | 주식회사 미드무로 | Keyboard motion detection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s with sensitivity control |
KR100918899B1 (en) * | 2006-07-20 | 2009-09-23 |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 Musical instrument and supporting system incorporated therein for music players |
KR101410579B1 (en) * | 2013-10-14 | 2014-06-20 | 박재숙 | Wind synthesizer controller |
KR101971803B1 (en) * | 2017-12-13 | 2019-08-13 | 김준환 | Audio source output device |
-
2005
- 2005-07-08 KR KR1020050061514A patent/KR2007000629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8899B1 (en) * | 2006-07-20 | 2009-09-23 |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 Musical instrument and supporting system incorporated therein for music players |
KR100909266B1 (en) * | 2007-09-12 | 2009-07-27 | 주식회사 미드무로 | Keyboard motion detection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s with sensitivity control |
KR100909270B1 (en) * | 2007-09-12 | 2009-07-27 | 주식회사 미드무로 | Keyboard motion detection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s with sensitivity control |
KR101410579B1 (en) * | 2013-10-14 | 2014-06-20 | 박재숙 | Wind synthesizer controller |
US9142200B2 (en) | 2013-10-14 | 2015-09-22 | Jaesook Park | Wind synthesizer controller |
KR101971803B1 (en) * | 2017-12-13 | 2019-08-13 | 김준환 | Audio source outpu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48986A1 (en) | Stick Controller | |
KR101058617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 |
US20110239847A1 (en) | Electronic drumsticks system | |
KR20070006296A (en) | Pushing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music play using it | |
WO2022218259A1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WO2002005124A1 (en) | Portable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 |
KR10104802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2597777B1 (en) | Portable piano | |
KR20060130808A (en) | Movement detec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music play using it | |
WO2022194308A1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CN212750349U (en) | MIDI electric hair dryer with single-blowing-nozzle sliding playing mode and blowing nozzle | |
CN214752914U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KR100687693B1 (en) | Mobile having dual function of playing music | |
TWI314721B (en) | ||
KR100694547B1 (en) | System for supporting music play | |
WO2023120118A1 (en) | Musical sound control device, musical sound control system, and musical sound control program | |
KR200170633Y1 (en) | Speaker build-in type drum | |
JPH05150771A (en)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JP2023093334A (en) | Musical sound control device, musical sound control system and musical sound control program | |
CN112735364A (en) | Portabl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JP2001274869A (en) | Portable telephone | |
KR20150098148A (en) | Guitar | |
KR200407380Y1 (en) | Personal handheld terminal with musical instrument | |
CN118840985A (en) | Keyboard-free electronic organ | |
JP2024126355A (en) |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its parent unit, child unit, and equipment control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