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693B1 - Mobile having dual function of playing music - Google Patents

Mobile having dual function of playing mus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693B1
KR100687693B1 KR1020050133791A KR20050133791A KR100687693B1 KR 100687693 B1 KR100687693 B1 KR 100687693B1 KR 1020050133791 A KR1020050133791 A KR 1020050133791A KR 20050133791 A KR20050133791 A KR 20050133791A KR 100687693 B1 KR100687693 B1 KR 100687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nit
main body
mobile termi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용주
고경건
안희임
오승철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6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A mobile terminal with a dual musical performance function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being separated into two musical instruments, thereby inducing a user's interest and realizing vividness of musical performance. A mobile terminal consists of the first body(110) and the second body(120) detachable from the first body(110). Each of the first body(110) and the second body(120) comprises as follows. Motion sensors(202,222) are equipped. Sound source recognizers(204,224) recogniz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motion signals generated when the motion sensors(202,222) sense movement. Sound source output units(205,225) output the sound source data recognized by the sound source recognizers(204,224).

Description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Mobile having dual function of playing music}Mobile terminal with dual playing function {Mobile having dual function of playing music}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기능 블록도.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기능 블록도.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연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playing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 단말기100: mobile terminal

110 : 제1 본체110: first body

120 : 제2 본체120: second body

112, 122 : 모드 버튼112, 122: mode buttons

201, 221 : 모드 선택부201, 221: mode selector

202, 222 : 모션 센서부202, 222: motion sensor unit

203, 223 : 저장부203, 223: storage unit

204, 224 ; 음원 인식부204, 224;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205, 225 : 음원 출력부205, 225: sound source output unit

206, 226 : 연결부206, 226 connection

207, 227 : 제어부207, 227: control unit

208, 228 ; 근거리 무선 통신부208, 228;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최근 들어 카세트 플레이어를 대체할 수 있고 많은 양의 음악을 저장할 수 있으며, 고음질로 재생이 가능한 MP3 플레이어 모듈 등이 PCS와 같은 휴대폰 및 PDA등의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Recently, MP3 player modules, which can replace cassette players, store a large amount of music, and play back in high quality, are being installed in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such as PCS.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단순히 음악을 듣는 것뿐만 아니라, 연주기능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아노, 드럼, 비트박스 등의 음원으로 음악을 연주할 수 있게 되었다.In particular, the recent mobile terminal not only listens to music, but also has a playing function, so that a user can play music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piano, a drum, a beat box, and the like.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연주하는 방법으로는,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하는 방법과,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As a method of playing music using the mobile terminal, a method of using a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us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motion sensor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are typical.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를 이용하는 방법은 각 키 패드의 버튼들(통상적으로 12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다양한 음을 연주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이는 피아노 연주와 같이 연주에 따른 기술이 많이 필요하므로 일반인들은 쉽게 연주의 묘미를 즐기기가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작은 키 버튼들을 눌러 연주를 수행하므로, 연주를 수행하는데 불편이 따르기도 한다.The method of using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has the advantage of playing various notes using the buttons (usually 12 buttons) of each keypad, but this requires a lot of skill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such as playing the piano.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enjoy the ease of playing. In addition, since the performance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small key buttons, it is inconvenient to perform the performance.

이에 비해, 비트박스와 같이 이동 단말기를 흔들어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내부의 모션 센서를 이용한 연주 방법은 키 패드 방식보다 연주하기가 쉽고, 사용하기에도 편리하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의 모션을 이용한 방식은 이동 단말기 하나의 움직임에 따른 연주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연주가 힘들어 생동감 떨어지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한계가 있다.In contrast, a method of playing using an internal motion sensor that can play music by shak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beat box is easier to play than a keypad method and is also convenient to use. However, since the method using the mo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 perform only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one mobile terminal, various forms of performance are difficult to be vivid and there is a limit to causing interest of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두 개의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capable of playing two musical instruments using on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두개의 악기로 분리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악기 연주의 생동감 및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which can cause a liveness of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user's interest by providing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separated into two musical instruments.

또한, 본 발명은 두개로 분리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각을 악기, 마이크,악보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음악 플레이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 기능이 가능한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capable of a multi-function that can be used as a musical instrument, a microphone, a monitor for outputting the score, a music player, etc., using two separate mobile terminals. There is another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착탈 가능한 제2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는 각각, 모션 센서부; 상기 모션 센서부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생성한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는 음원 인식부; 및 상기 음원 인식부가 인식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detachable to the first body, wherei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A motion sensor unit; A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a motion signal generated by detecting the motion of the motion sensor unit; And a sound sour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data recognized by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is provided with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여기서, 음원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인식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음원 모드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mode may further include a mode selector for selecting a sound source mode, wherein the sound source recognizer may recogniz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mode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or.

또한, 하나 이상의 모션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음원 모드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nfigured to store one or more motion signals and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sound source mod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착탈 가능한 제2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본체는, 모션 센서부;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는, 하나 이상의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중 상기 제2 본체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모션 센서부가 생성한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는 음원 인식부; 및 상기 음원 인식부가 인식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main body and a second main body detachable from the first main body, wherein the second main body comprises: a motion sensor unit;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first main body includes: a storage unit storing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motion signals; A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a motion signal generated by the motion sensor unit receive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main body amo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sound sour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data recognized by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is provided with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여기서,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는 서로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or coupling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 본체도 모션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sensor unit.

또한, 상기 제1 본체는 음원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인식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음원 모드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The first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mode selector for selecting a sound source mode, and the sound source recognizer may recogniz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mode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or.

또한, 상기 제1 본체는 상기 음원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ound source mode.

또한, 상기 제2 본체는 음원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본체로 전송되어 상기 음원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The second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sound source input unit, and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sound source input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main body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output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착탈 가능한 제2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본체는, 모션 센서부; 상기 모션 센서부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생성한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는 음원 인식부; 및 상기 음원 인식부가 인식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first main body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 second main body detachable from the first main body, wherein the second main body includes: a motion sensor unit; A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a motion signal generated by detecting the motion of the motion sensor unit; And a sound sour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sound source data recognized by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여기서, 상기 제1 본체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악보를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first main body may output the sheet music through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제2 본체는 음원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인식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음원 모드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The second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mode selector for selecting a sound source mode, and the sound source recognizer may recogniz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mode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Denot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100)는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in body 110 and a second main body 120 that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는 각각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구비하여,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 각각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체가 두개로 분리되어, 각각의 분리된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를 이용하여 각각의 음악 모드에 따른 음원 데이터를 각각의 스피커 또는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에 따른 두개의 악기(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음원으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includes a motion sensor, so that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a mo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each of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may be obtained. Can be output through an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That is,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two, and each of the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each music mode is obtained using the separated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You can output through one speaker or one speaker. Accordingly, the user may play music using different sound sources by using two instruments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according to one mobile terminal 100.

모션 센서는 이동 단말기(100)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의 외부에 일부 또는 전체가 드러나도록 장착될 수도 있으나, 모션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등의 설치를 간편화하기 위해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션 센서로는 2축 또는 3축 가속도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는 현재에도 비트박스(beat-box) 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 등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motion sensor may be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of the mobile terminal 100 so as to be partially or entirely exposed, but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of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motion sensor. It is preferable to be mounted on. As a motion sensor, a two-axis or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may be used.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a motion is still use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beat-box functio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의 본 발명의 듀얼 연주 기능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하되, 이동 단말기(100)의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 문자 메시지 전송 등의 일반 적인 기능에 따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dual performanc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but a general call, text message transmission, etc.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연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laying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는 모드 선택부(201, 221), 모션 센서부(202, 222), 저장부(203, 223), 음원 인식부(204, 224), 음원 출력부(205, 225), 연결부(206, 226) 및 제어부(207, 227)를 포함한다. 상술한 이동 단말기(100)의 일부 구성(예를 들어, 음원 인식부(204, 224) 등)은 반드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That is,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are the mode selection unit 201 and 221, the motion sensor unit 202 and 222, the storage unit 203 and 223, and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204 and 224. , Sound source output units 205 and 225, connection units 206 and 226, and control units 207 and 227. Some components (for exampl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s 204 and 224, etc.) of 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100 are not necessarily implemented in hardware, but may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program.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본체(110)의 구성요소만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components of the first body 110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모드 선택부(201)는 악기 종류, 음악 장르 등의 음원 모드(mode)를 선택 받기 위한 입력 수단이다. 모드 선택부(201)는 버튼 형식의 모드 버튼(112)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ode selector 201 is an input means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a sound source mode such as a musical instrument type or a music genre. The mode selector 201 may be embodied as a mode button 112 or the like in the form of a button.

모션 센서부(202)는 이동 단말기(100) 제1 본체(110)의 움직임(예를 들어, 흔들림)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모션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션 센서부(202)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예를 들어, 흔들림)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모션 신호를 생성한다. 모션 신호는 제1 본체(110)가 연속하여 움직였다가 멈춘 시간 또는 길이에 상응한다. 즉, 모션 센서부(202)는 제1 본체(110)의 움직임 정도(움직인 시간 또는 길이)에 상응하는 모션 신호를 생성한다. 모션 센서부(202)는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tion sensor unit 202 detects a movement (eg, shaking) of the first body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generates a motion signal accordingly. The motion sensor unit 202 detects a movement (eg, shaking)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generates a motion signal accordingly. The motion signal corresponds to the time or length at which the first body 110 continuously moves and stops. That is, the motion sensor unit 202 generates a mo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movement (moving time or length) of the first body 110. The motion sensor unit 202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motion sensors.

저장부(203)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원 데이터는 각 음원 모드에 상응하는 악기 소리, 음악, 효과음 등이 있을 수 있다.The storage unit 203 stores a sound source data. The sound source data may include instrument sounds, music, effect sounds,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each sound source mode.

음원 인식부(204)는 저장부(203)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중 모션 센서부(202)가 생성한 모션 신호 및 현재의 음원 모드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음원 모드가 드럼 모드인 경우, 음원 인식부(204)는 모션 신호에 상응하여 북, 탐탐, 심벌즈 등의 드럼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부(203)에서 추출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204 recognizes the motion signal generated by the motion sensor unit 202 and th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ound source mode among the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3. For example, when the current sound source mode is a drum mode,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204 may extract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a drum such as a drum, a tamtam, or a cymbal in the storage unit 203 in response to a motion signal.

음원 출력부(205)는 음원 인식부(204)가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여 저장부(203)에서 추출한 음원 데이터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원 출력부(205)는 오디오 코덱(audio codec)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코덱은 음원 데이터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장치로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ound source output unit 205 recognizes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ignal and outputs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data extracted from the storage unit 203.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205 may include an audio codec and a speaker. Since the audio codec is an apparatu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sound source data through a speaker,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본체(110)의 연결부(206)는 제2 본체(120)의 연결부(226)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는 각각의 연결부(206, 226)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206 of the first body 11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26 of the second body 120. Therefore,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may be coupled through the respective connecting portions 206 and 226,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each other.

제어부(207)는 제1 본체(11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생성된 모션 신호 및 음원 모드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여, 음원 데이터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모드 선택부(201), 모션 센서부(202), 저장부(203), 음원 인식부(204) 및 음원 출력부(20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7)는 연결부(206)를 통해 결합된 제2 본체(1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7 detects the movement of the first main body 110, recognizes the motion signal and th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mode generated accordingly, and outputs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data. The unit 201, the motion sensor unit 202, the storage unit 203,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204, and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205 are controll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7 may contro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second body 120 coupl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06.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가 각각 모션 센서를 통한 모션 인식 및 그에 따른 음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하여, 각각 독립적인 악기가 되어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ll of the components that allow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output motion recognition data and corresponding sound source data through the motion sensor, respectively. Indeed, each can be an independent instrument and play music.

여기서,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메인 제어부가 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통화를 수행하는 등의 이동 단말기(100)의 다른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제1 본체(110)의 제어부(207)를 메인 제어부로 가정하기로 한다.Here, the controller of any on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may be a main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ain controller may control other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making a call. Hereinafter, it will be assumed that the control unit 207 of the first main body 110 is the main control unit.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액정과 같은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제1 본체(110)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not shown) such as a liquid crystal, and the display unit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body 110.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본체(110)는 악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201), 모션 센서부(202), 저장부(203), 음원 인식부(204), 음원 출력부 등을 구비하지 않고, 표시부 및 연결부(206)만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2 본체(120)는 악기로써 활용되어 음악을 연주할 수 있으며, 제1 본체(110)는 표시부를 통해 악기 연주에 따른 다양한 정보의 제공 등의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본체(110)는 악보 등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본체(110)를 통해 연주하고자 하는 음악의 악보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제2 본체(120)를 통한 연주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main body 110 may include a mode selector 201, a motion sensor 202, a storage 203, a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204, and a sound source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 musical instrument. The display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206 may be included without the output unit. Therefore, the second main body 12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tilized as an instrument to play music, and the first main body 110 ma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strument performance through a display unit. Monitor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first body 110 may display scores and the like through the display unit.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score of the music to be played through the first body 110, so that the performance through the second body 120 can be performed more conveniently.

더욱이, 제1 본체(110)에 MP3 기능 등이 구비되면, 사용자는 제1 본체(110)로 음악을 재생시키고 디스플레이되는 악보를 통해 음악에 맞춰 제2 본체(120)를 이용하여 비트박스(beat-box)와 같은 연주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더욱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first body 110 is equipped with an MP3 function, the user plays the music on the first body 110 and beats the beat box using the second body 120 in accordance with the music through the displayed score. -box) can be performed.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cause more interest to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20)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먼저, 제2 본체(1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2 본체(120)는 연결부(226), 근거리 무선 통신부(228), 모션 센서부(222) 및 제어부(227)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body 120 includes a connection unit 226,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8, a motion sensor unit 222, and a control unit 227.

연결부(22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본체(11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수단이며, 제2 본체(120)는 연결부(226)를 통해 제1 본체(110)와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부(226)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art 226 is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with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s coupled with the first body 11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226, and is in a coupled state. At the connection unit 226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근거리 무선 통신부(228)는 제1 본체(1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이란 전파를 이용하여 근거리의 기기들간에 데이터를 무선으로 교환하게 하는 통신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기술에는 무선 랜(LA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 UWB(Ultra Wide Band) 등이 있다. 현재에도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2 본체(120)는 제1 본체(110)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연결부(226)를 통해 제1 본체(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제1 본체(110)와 분리된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28)를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8 is a communication mean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first body 110.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that uses radio waves to exchange data wirelessly between devices in a short distance. Techniques use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 wireless LAN (LAN),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IrDA), Zigbee, and UWB (Ultra Wide Band). Sinc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is still used a lo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refore, when the second main body 120 is coupled to the first main body 110, the second main body 120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the first main body 11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26, and when the second main body 11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ain body 110. I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28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relessly.

모션 센서부(2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본체(12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모션 신호를 생성하며, 제어부(227)는 생성된 모션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228)를 통해 제1 본체(110)로 전송한다. 즉, 제2 본체(120)는 모션 신호에 따른 음원 데이터를 인식 및 출력하는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며, 단지 생성된 모션 신호를 제1 본체(110)로 무선으로 전송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otion sensor unit 222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120 to generate a motion signal, and the controller 227 uses the generated motion signal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8 to generate the motion signal. Transmit to 110. That is, the second main body 120 does not have a component that recognizes and outputs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motion signal, and only wirelessly transmits the generated motion signal to the first main body 110.

여기서, 제2 본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드 선택부(22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본체(120)는 모션 신호뿐만 아니라, 모드 선택부(221)를 통해 선택된 모드 선택 신호(음원 모드에 대한 정보가 아닌 모드 변경 신호일 수 있음)를 제1 본체(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제1 본체(110)가 수신된 모드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mode selector 221 as shown in FIG. 2. Therefore, the second main body 120 may transmit not only the motion signal but also the mode selection signal (which may be a mode change signal other than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mode) through the mode selector 221 to the first main body 110. The first main body 110 may receive the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mode selection signal.

이하, 제1 본체(1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 본체(110)는 도 2에 따른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8)를 더 포함한다. 즉, 제1 본체(110)는 제2 본체(120)와 분리된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8)를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본체(11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08)는 제2 본체(12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28)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ody 110, the first body 110 includes all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FIG. 2 and further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8. That is, when the first body 11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120, the first body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relessly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8. Her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8 of the first main body 110 may be different from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8 of the second main body 120.

따라서, 제1 본체(110)의 음원 인식부(204)는 제1 본체(110)의 모션 센서부(202)가 인식한 모션 신호뿐만 아니라, 제2 본체(120)로부터 수신된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도 인식할 수 있다. 즉, 제1 본체(110)가 제2 본체(120)의 연주(즉, 제2 본체(120)의 움직임에 따른 모션 신호)에 따른 음원 데이터를 처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본체(120)는 움직임에 따라 생성된 모션 신호를 무선으로 제1 본체(110)로 전송하고, 제1 본체(110)는 수신된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Accordingly,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204 of the first main body 110 corresponds to the mo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main body 120 as well as the motion signal recognized by the motion sensor unit 202 of the first main body 110. Sound source data can also be recognized. That is, the first main body 110 processes the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main body 120 (that is, the mo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in body 120). 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body 120 wirelessly transmits a motion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to the first body 110, and the first body 110 transmits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motion signal. Output

제2 본체(120)의 음원 모드에 대한 정보도 제1 본체(110)가 설정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2 본체(120)의 음원 모드를 제1 본체(110)의 모드 선택부(201)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제1 본체(110)는 사용자가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의 음원 모드를 모두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모드 버튼(112)을 한번 조작하면 표시부를 통해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그 중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의 음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mode of the second main body 120 may also be set and / or managed by the first main body 110. That is, the user may select the sound source mode of the second main body 120 using the mode selector 201 of the first main body 110. Of course, the first main body 11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through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select both sound source modes of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For example, once the mode button 112 is operated, a screen for selecting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user selects one of the first main body. The sound source modes of the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may be selected.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본체(120)도 모드 선택부(221)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본체(110)는 제2 본체(120)로부터 선택된 음원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본체(120)로부터 음원 모드에 대한 정보가 아닌, 단순한 모드 변경 신호만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본체(120)는 수신된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다른 음원 모드로 제2 본체(120)의 음원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main body 120 also includes the mode selector 221, the first main body 1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sound source mode from the second main body 120. Alternatively, only the mode change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second main body 120, not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mode. Therefore, the second main body 120 may change the sound source mode of the second main body 120 to another sound source mode in a preset order according to the received mode change signal.

또한, 제1 본체(110)의 음원 출력부(205)는 음원 인식부(204)에 의해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에 상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본체(110)의 음원 출력부(205)는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가 모두 연주될 시, 각 모션 신호에 따른 두개의 음원 데이터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음원 출력부(205)는 두개의 음원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두개의 채널(channel)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205 of the first main body 110 may output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ound source data recognized by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204. That is, when both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are played,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205 of the first main body 110 may output two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each motion signal. .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205 may include two channels for processing two sound source data.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두개의 스피커를 구비할 필요없이 종래의 휴대폰과 같이 제1 본체(110)에만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하더라도 분리된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를 이용하여 두 가지 음색으로 각각 연주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need to include two speakers, even though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10 are separated, as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The main body 120 can be used to perform each of the two tones.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2 본체(120)에는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본체(120)는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분리된 상태에서도 근거리 무선 통신부(228)를 통해 제1 본체(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본체(11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본체(110) 및 제2 본체(1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 본체(110)로는 음악을 연주하고 제2 본체(120)로는 마이크를 통해 노래를 부를 수 있으며, 연주된 음악과 직접 부른 노래가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이는 자신의 연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 있어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ere, the second main body 12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voice input unit (not shown) such as a microphone. Accordingly, the second main body 120 may transmit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to the first main body 11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8 even in a separated state, and the first main body 110 may receive the received audio signal. Audio sig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erefore, the user may play music through the first main body 110 and sing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second main body 120 while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ong and the song you sang directly may be output through a single speaker. This is an effect that can be interesting to the user can sing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제1 본체(110)의 표시부를 통해 연주하려는 음악의 악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본체(110)로는 악보를 보면서, 제2 본체(120)로 연주를 수행할 수 있다. Also,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core of music to be 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main body 110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user may perform the performance with the second main body 120 while watching the musical score with the first main body 110.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두 개의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capable of playing two musical instruments using one mobile terminal.

또한, 두개의 악기로 분리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악기 연주의 생동감 및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separated into two instrumen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ause the liveliness of the instrument playing and the user's interest.

또한, 두개로 분리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각을 악기, 마이크, 악보를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음악 플레이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 기능이 가능한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erformance function capable of multi-function, which can be used as an instrument, a microphone, a monitor for outputting musical scores, a music player, etc. by using two separate mobile terminals. hav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12)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terminal,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착탈 가능한 제2 본체를 포함하되,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detachable to the first body,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는 각각,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모션 센서부;A motion sensor unit; 상기 모션 센서부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생성한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는 음원 인식부; 및A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a motion signal generated by detecting the motion of the motion sensor unit; And 상기 음원 인식부가 인식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And a sound sour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recognized by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음원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인식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음원 모드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And a mode selector configured to receive a sound source mode, wherein the sound source recognizer recognizes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mode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o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하나 이상의 모션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음원 모드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one or more motion signals and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sound source modes.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terminal,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착탈 가능한 제2 본체를 포함하되,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detachable to the first body, 상기 제2 본체는,The second body, 모션 센서부; 및A motion sensor unit; And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Includ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1 본체는,The first body, 하나 이상의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which stores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motion signals;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중 상기 제2 본체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모션 센서부가 생성한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는 음원 인식부; 및A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a motion signal generated by the motion sensor unit receive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main body among sound sour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상기 음원 인식부가 인식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And a sound sour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recognized by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는 서로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for coupling to each oth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본체도 모션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The first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motion sens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dual playing functio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본체는 음원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인식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음원 모드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The first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mode, wherein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mode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ion unit. .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본체는 상기 음원 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The first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ound source mode.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2 본체는 음원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입력부를 통해 입력 된 오디오 신호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본체로 전송되어 상기 음원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The second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ound source input unit, wherein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sound source input un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ain body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outputs through the sound source output unit Mobile terminal provided.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terminal,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착탈 가능한 제2 본체를 포함하되,A first body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 second body detachable from the first body, 상기 제2 본체는,The second body, 모션 센서부;A motion sensor unit; 상기 모션 센서부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생성한 모션 신호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는 음원 인식부; 및A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a motion signal generated by detecting the motion of the motion sensor unit; And 상기 음원 인식부가 인식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And a sound sour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source data recognized by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 본체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악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first body outputs a musical score through the display unit.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2 본체는 음원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원 인식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음원 모드에 상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second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mode selector for selecting a sound source mode, wherein the sound source recognition unit recognizes sound source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mode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or.
KR1020050133791A 2005-12-29 2005-12-29 Mobile having dual function of playing music KR100687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791A KR100687693B1 (en) 2005-12-29 2005-12-29 Mobile having dual function of playing mus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791A KR100687693B1 (en) 2005-12-29 2005-12-29 Mobile having dual function of playing mus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693B1 true KR100687693B1 (en) 2007-02-27

Family

ID=3810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791A KR100687693B1 (en) 2005-12-29 2005-12-29 Mobile having dual function of playing mus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6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617B1 (en) * 2008-08-21 2011-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0514A (en) 2001-03-27 2002-10-04 Sanyo Electric Co Ltd Mobile phone having the music performance function
KR20040038016A (en)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which can generate melody according to keypad operation
KR20040076066A (en) * 2003-02-24 2004-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Performance method of mobile phone
KR20060038141A (en) * 2004-10-29 2006-05-03 주식회사 팬택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music playing using acceleration sensing
KR20060094825A (en) * 2005-02-26 200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sic 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0514A (en) 2001-03-27 2002-10-04 Sanyo Electric Co Ltd Mobile phone having the music performance function
KR20040038016A (en)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phone which can generate melody according to keypad operation
KR20040076066A (en) * 2003-02-24 2004-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Performance method of mobile phone
KR20060038141A (en) * 2004-10-29 2006-05-03 주식회사 팬택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music playing using acceleration sensing
KR20060094825A (en) * 2005-02-26 200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sic 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617B1 (en) * 2008-08-21 2011-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US8378202B2 (en) 2008-08-21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virtually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10752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functional cover for controlling sound applications by motion
US847167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nger movement based musical tone generation and related methods
CN101138225A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tap sound detecting circuit
JP2003259147A (en) Remote controlle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clearly specifying operable button
KR101058617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KR1006781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play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unit
KR1006177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ovement dependent soun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10480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87693B1 (en) Mobile having dual function of playing music
KR20070006296A (en) Pushing detec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music play using it
JP4147840B2 (en) Mobile phone equipment
KR20060130808A (en) Movement detec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music play using it
KR20180001323A (en) Electric drum connectable to smaart phone
JP4373321B2 (en) Music player
JP2001045116A (en) Mobile telephone terminal set having cordless microphone function and music selection remote controller function capable of bar code input and manual input and receiver set having karaoke reproduction function
JP3755380B2 (en) Communication device
JP2001215977A (en) Karaoke system
JP3152424U (en) Remote control device
KR200248317Y1 (en) KARAOKE by cellular phone
KR100685511B1 (en) Voice processing apparatus for sounder
JP4456566B2 (en) Karaoke equipment
JP2002290514A (en) Mobile phone having the music performance function
KR20060103791A (en) Mobile terminal having karaoke function
CN111883092A (en) Electronic harmonica based on MIDI technology
CN113450748A (en) Electronic whistle based on MIDI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