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071A - 차량용 배터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06071A KR20070006071A KR1020050061076A KR20050061076A KR20070006071A KR 20070006071 A KR20070006071 A KR 20070006071A KR 1020050061076 A KR1020050061076 A KR 1020050061076A KR 20050061076 A KR20050061076 A KR 20050061076A KR 20070006071 A KR20070006071 A KR 200700060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groove
- battery
- vehicle battery
- c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2—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e.g. quick release termin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단자홈이 구비되고 배터리의 전극판과 연결되는 접촉구가 상기 단자홈 내측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케이블 터미널이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홈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접촉구와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를 상부로 편의시키는 제 1 탄성수단과; 상기 단자홈의 상부를 개폐하는 닫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터미널의 탈착이 용이하고, 배터리 교체 작업 또는 케이블 교체 작업 시 감전 및 쇼트의 위험이 없는 차량용 배터리를 제공한다.
배터리, 하우징, 전극판, 단자홈, 케이블, 터미널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와 이에 결합되는 케이블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와 이에 결합되는 케이블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와 이에 결합되는 케이블의 탈착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량용 배터리 110 : 하우징
114 : 전극판 120 : 단자홈
122 : 접촉구 124 : 가이드 샤프트
130 : 접속단자 132 : 결합돌기
134 : 접촉홈 136 : 가이드 홈
140 : 제 1 탄성수단 150 : 닫힘판
160 : 제 2 탄성수단 200 : 케이블
210 : 터미널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터미널의 탈착이 용이하고,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터미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감전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는 전장 부품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원인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는 엔진룸 내부에서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전장 부품들과 각종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와 케이블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의 상면에는 한 쌍의 배터리 단자(12)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배터리 단자(12)에는 케이블(20)이 각각 연결된다. 이 중, 상기 케이블(20)의 일단부에는 배터리 단자(12)와 결합 가능하도록 원형의 삽입부(22)를 갖는 커넥터(24)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24)의 둘레에는 쇼트 및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캡(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24)는 상기 삽입부(22)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배터리 단자(12)에 고정 가능하도록 삽입부(22)를 수축시키는 볼트(40)를 구비한다.
즉, 배터리 단자(12)의 직경보다 크게 삽입부(22)를 확장한 상태의 상기 커넥터(22)를 상기 배터리 단자(12)에 결합시키고 볼트(40)로 조이면, 상기 삽입부 (22)가 수축하면서 커넥터(24)와 배터리 단자(12)가 밀착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10)와 케이블(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상기 캡(30)은 쇼트 및 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단자(12)에 결합된 상기 커넥터(24)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배터리(10)는 배터리 단자(12)에 커넥터(24)를 끼운 상태에서 볼트(40)로 이를 조여 고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커넥터(24)의 탈착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커넥터(24) 전체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10) 교체 작업 또는 케이블(20) 교체 작업 시 감전 및 쇼트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배터리 단자(12)의 쇼트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절연성 캡(30)을 사용함으로써 부품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터미널의 탈착이 용이하고, 배터리 교체 작업 또는 케이블 교체 작업 시 감전 및 쇼트의 위험이 없는 차량용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단자의 쇼트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절연성 캡을 제거함으로써 작업공수 및 부품수가 감소시키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배터리는, 상부가 개방된 단자홈이 구비되고 배터리의 전극판과 연결되는 접촉구가 상기 단자홈 내측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케이블 터미널이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홈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접촉구와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를 상부로 편의시키는 제 1 탄성수단과; 상기 단자홈의 상부를 개폐하는 닫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와 이에 결합되는 케이블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차량용 배터리(1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112)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112)에 복수의 전극판(114)이 구비되며 배터리액이 충진되어 밀폐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상부가 개방된 한 쌍의 단자홈(120)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자홈(1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전극판(114)과 연결되는 접촉구(122)와 후술할 제 1 탄성수단(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원주형상의 가이드 샤프트(12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샤프트(124)는 상기 단자홈(12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접촉구(122)는 가이드 샤프트(124)의 둘레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구(122)의 개수가 하나일 경우 소정높이를 갖는 와셔 또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샤프트(124)의 둘레에 위치되고,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가이드 샤프트(124)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분포된다.
상기 단자홈(120)의 내부에는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200)과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1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접속단자(130)의 상면에는 결합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200)의 터미널(210)에는 상기 결합돌기(132)와 대응되는 관통공형상의 결합구(212)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단자(130)의 하면에는 상기 접촉구(122) 및 가이드 샤프트(124)에 대응되는 접촉홈(134) 및 가이드 홈(13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홈(120)의 바닥면과 접속단자(130) 사이에는 상기 접속단자(130)를 상부로 편의시키는 제 1 탄성수단(1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 탄성수단(140)은 코일스프링으로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 샤프트(124)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2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구(21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32)는 그 상면이 결합구(212)의 상면, 즉 터미널(210)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결합돌기(132)와 결합구(212) 사이에서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결합돌기(132)가 결합구(212)의 상부로 돌출될 경우 후술할 닫힘판(150)의 하면과 상기 접속단자(130)의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210)은 상기 공간에서 유동하게 되어 결합돌기(132)와 결합구(212) 사이에서 쇼트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212)의 형상은 관통공이 아닌 상부가 폐쇄된 홈형상도 가능하며, 홈형상일 경우 상기 결합돌기(132)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결합돌기(132)와 결합구(212) 사이에서 발생되는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구(212)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구(122)와 가이드 샤프트(124)가 상기 단자홈(120)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촉홈(134)과 가이드 홈(136)은 상기 접속단자(130)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32)와 결합구(212)는 상기 접속단자(130)의 상면과 터미널(210)에 각각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접촉구(122)와 가이드 샤프트(124), 접촉홈(134)과 가이드 홈(136) 및 결합돌기(132)와 결합구(212)의 위치는 사용자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단자홈(120)의 상부에는 단자홈(120)을 개폐하기 위한 닫힘판(150)이 구비된다. 상기 닫힘판(150)은 상기 단자홈(12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단자홈(120)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는 손잡이(15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케이블(200)의 터미널(210)을 수용하는 요홈부(15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홈(120)의 일측에는 상기 닫힘판(150)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5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56)의 내부에는 단자홈(12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닫힘판(150)을 편의시키는 스프링과 같은 제 2 탄성수단(160)이 구비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와 이에 결합되는 케이블의 탈착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로, 도 4는 배터리 단자에 케이블 터미널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5는 배터리 단자로부터 케이블이 탈거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00)의 결합되기 전 본 발명 차량용 배터리(100)는 터미널(21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단자홈(120)의 상부가 개방되고, 접속단자(130)는 제 1 탄성수단(140)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상부로 편의되며, 닫힘판(150)은 상기 접속단자(130)에 의해 가이드 레일(156)에 인입되어 상기 제 2 탄성수단(160)를 압축시킨 상태이다. 이때, 상기 단자홈(120)의 접촉구(122) 및 가이드 샤프트(124)는 상기 접속단자(130)의 접촉홈(134) 및 가이드 홈(136)과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최초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케이블(200)의 터미널(210)에 형성된 결합구(212)를 상기 접속단자(130)의 결합돌기(132)에 끼우고 하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제 1 탄성수단(140)이 압축되며 접속단자(130)는 가이드 샤프트(124)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접속단자(130)의 하면이 상기 단자홈(120)의 바닥면까지 하강하게 되면, 접촉구(122)는 접촉홈(134)에 삽입되고 접촉구(122)의 일단과 연결된 전극판(도 1의 114), 접속단자(130), 케이블(200)은 전기적으로 연통되는데, 상기 케이블(200)의 터미널(210)이 닫힘판(150) 이하로 하강하는 순간 상기 닫힘판(150)은 제 2 탄성수단(160)에 의해 수평방향 슬라이딩되며 상기 단자홈(120)을 폐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00)의 결합된 상태의 본 발명 차량용 배터리(100)는 상기 닫힘판(150)에 의해 상기 단자홈(120)의 상부가 폐쇄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130)는 상기 제 1 탄성수단(140)에 의해 상향으로 편의되지만 상기 닫힘판(150)에 막혀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210)은 상기 접속단자(130)와 닫힘판(150) 사이에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블(200)을 탈거하기 위해 닫힘판(150)의 손잡이(152)를 이용하여 단자홈(120)을 개방하면, 상기 접속단자(130)는 상기 제 1 탄성 수단(140)에 의해 상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케이블(200)의 터미널(210)을 상기 접속단자(130)로부터 손쉽게 탈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의 구성 및 케이블의 탈착과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차량용 배터리는, 배터리 단자 및 배터리 단자에 결합되는 케이블 터미널을 수용하는 단자홈과 상기 단자홈을 밀폐하는 닫힘판이 구비되고,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터미널 결합 시 원터치 방식으로 탈착되므로 탈착 작업이 용이하고 그 공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터미널이 상기 단자홈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배터리 교체 작업 또는 케이블 교체 작업 시 발생되는 감전 및 쇼트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8)
- 차량용 배터리에 있어서,상부가 개방된 단자홈이 구비되고 배터리의 전극판과 연결되는 접촉구가 상기 단자홈 내측에 형성되는 하우징과;케이블 터미널이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홈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접촉구와 접속되는 접속단자와;상기 접속단자를 상부로 편의시키는 제 1 탄성수단과;상기 단자홈의 상부를 개폐하는 닫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단자홈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닫힘판을 편의시키는 제 2 탄성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케이블 터미널의 서로 접하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홈형태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결합구는 상기 터미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돌기의 상면은 결합구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단자홈의 바닥면과 상기 접속단자의 하면 중 일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끼워지도록 돌출되는 가이드 샤프트가 구비되며, 나머지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 샤트프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단자홈의 바닥면과 상기 접속단자의 하면 중 일면에는 상기 접촉구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일면에는 상기 접촉구가 삽입되는 접촉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닫힘판에는 닫힘판을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닫힘판에는 상기 케이블의 터미널을 수용하는 요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1076A KR20070006071A (ko) | 2005-07-07 | 2005-07-07 | 차량용 배터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1076A KR20070006071A (ko) | 2005-07-07 | 2005-07-07 | 차량용 배터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6071A true KR20070006071A (ko) | 2007-01-11 |
Family
ID=3787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1076A KR20070006071A (ko) | 2005-07-07 | 2005-07-07 | 차량용 배터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00607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5179B1 (ko) * | 2012-06-21 | 2013-11-07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차량 배터리용 커넥터 구동장치 |
KR101325178B1 (ko) * | 2012-06-21 | 2013-11-07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차량 배터리용 커넥터 구동장치 |
-
2005
- 2005-07-07 KR KR1020050061076A patent/KR2007000607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5179B1 (ko) * | 2012-06-21 | 2013-11-07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차량 배터리용 커넥터 구동장치 |
KR101325178B1 (ko) * | 2012-06-21 | 2013-11-07 |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 차량 배터리용 커넥터 구동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59580A (en) | Service plug having male and female terminals permanently coupled to the service plug for closing a protected circuit | |
US20120134076A1 (en) | Partially compound-filled power supply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 |
US11990694B2 (en) | Multifunctional high-voltage connector and battery product | |
WO2017131182A1 (ja) | 蓄電装置 | |
KR101314471B1 (ko) | 전력개폐장치 | |
KR102032517B1 (ko) | 영구자석 하우징을 갖는 직류 릴레이 | |
JP5966089B2 (ja) | コネクタ接続構造 | |
KR101685680B1 (ko) | 차량용 방수 조인트 커넥터 | |
EP3514818A1 (en) | Dc relay having auxilary contact | |
US7714693B2 (en) | Slow blow fuse and electric junction box | |
US20220052466A1 (en) | Terminal block | |
JP2006012842A (ja) | リレー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CN107666071B (zh) | 用于耦联高压接头的插接装置和具有该插接装置的系统 | |
US9692172B2 (en) | Connector | |
KR20070006071A (ko) | 차량용 배터리 | |
KR101394908B1 (ko) | 배터리 연결장치 | |
KR20010092656A (ko) |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 |
JP2002133979A (ja) | 安全プラグボックス | |
KR100595378B1 (ko) | 휴대폰 및 모바일기기용 2차 전지 배터리 팩 | |
KR101449753B1 (ko) | 배터리 셀 모듈의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모듈 | |
US20050136705A1 (en) | Housing for fastening of electrical and/or electronic power components to a circuit board | |
KR20150118336A (ko) | 전기자동차용 전력 차단 시스템 | |
KR20150027556A (ko) | 인터락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1800308B1 (ko) | 전기 스위치 소자, 특히 접촉기 또는 계전기용 배열체, 및 요크 부재와 코일 사이에 제어 모듈을 갖는 전기 스위치 소자 | |
CN216648679U (zh) | 带有安全保护门的插座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