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5634A - 니코틴 저감제 및 니코틴의 저감 방법 - Google Patents

니코틴 저감제 및 니코틴의 저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5634A
KR20070005634A KR1020067019302A KR20067019302A KR20070005634A KR 20070005634 A KR20070005634 A KR 20070005634A KR 1020067019302 A KR1020067019302 A KR 1020067019302A KR 20067019302 A KR20067019302 A KR 20067019302A KR 20070005634 A KR20070005634 A KR 20070005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otine
gum
reducing agent
smok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토 오지마
도시오 오모토
아츠시 고자카이
히사카츠 이와부치
Original Assignee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5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extraction; Tobacco extracts
    • A24B15/241Extraction of specific substances
    • A24B15/243Nicotin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14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additiv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7/04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with smok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의 주류연 속에 포함되는 니코틴량을 저감하기 위해 이용되는 니코틴 저감제 및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니코틴 저감제 또는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를 이용함으로써 담배의 주류연으로부터 니코틴량을 저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니코틴 저감제는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를 함유하고, 점도가 500∼3000 mPaㆍs인 수성 액상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니코틴 저감제,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 다당류, 수성 액상 조성물

Description

니코틴 저감제 및 니코틴의 저감 방법{NICOTINE-REDUCING AGENT AND NICOTINE REDUCTION METHOD}
본 발명은 담배의 주류연(Mainstream smoke) 속에 포함되는 니코틴량을 저감하기 위해 이용되는 니코틴 저감제 및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니코틴 저감제 또는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를 이용함으로써 담배의 주류연으로부터 니코틴량을 저감하는 방법 및 타르량을 저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담배의 연기에는 약 4000종류의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는 유해 물질이나 발암성 물질이 있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담배의 연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 물질의 대표예로서, 니코틴, 타르 및 일산화탄소를 들 수 있다. 그래서 종래부터 담배의 연기 속에서 이들 유해 물질을 배제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물을 흡연 파이프의 필터부에 함침시켜서 담배의 연기를 물과 접촉시킴으로써 흡입하는 담배의 연기(주류연)에 포함되는 니코 틴량을 저감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3). 이 방법은 담배의 연기에 포함되는 니코틴이 물에 녹기 쉬운 성질을 갖고 있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흡연 파이프의 필터부에 물을 포함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은 니코틴의 제거라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흡연시에 유해한 니코틴이나 타르분을 포함하는 물이 연기와 함께 입 속에 들어가서 체내에 유입될 염려가 있다.
이것을 예방 또는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담배의 흡입 필터에 시클로덱스트린이나 흡수성 폴리머를 배합하는 방법(특허 문헌 4), 담배의 흡입부에 장착하여 이용되는 흡연 파이프의 필터부의 성분으로서 다공성 중합체를 이용하는 방법(특허 문헌 5 또는 6)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담배의 흡입 필터에 흡수성 폴리머를 배합하는 방법은 흡입 필터가 고습도 조건하에서 다량으로 흡수하는 점 때문에 흡연시의 흡기 저항이 증대해 버려서 흡연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점액을 함침시킨 필터를 내장한 목제 및 플라스틱제의 금연 파이프도 알려져 있는데(특허 문헌 7), 이 방법으로는 흡연시에 부속품을 부착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담배의 필터나 흡입면에 겔화물을 얇게 도포하고, 이것을 그대로 또는 파이프에 끼워 넣어서 흡연하는 탈니코틴ㆍ타르제도 알려져 있는데(특허 문헌 8), 겔화물로는 담배의 필터에 침윤하지 않고, 필터상에 남은 겔화물이 입 속에 비산하여 불쾌감을 일으키는 것과 함께, 흡인이 곤란해진다.
그런데 담배의 연기로부터 유해 물질, 특히 니코틴을 배제하는 방법으로서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흡연자의 니코틴 의존성이다. 흡연하는 사람은 통상 니코틴에 대하여 심리적 또는 신체적으로 의존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급격히 니코틴의 섭취량을 저감하는 것은 흡연자에게 있어서 반드시 바람직한 것은 아니고, 그 때 그 때의 몸 상태나 심리 상태에 따라서 니코틴 섭취량을 저감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계적으로 니코틴에 대한 심리적ㆍ신체적 의존도를 저감 내지는 완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금연을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단순히 획일적으로 니코틴량을 저감하는 것은 아니고, 흡연자 스스로가 자기의 상황에 따라서 니코틴 섭취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48-53871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0-130579호
특허 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2-198378호
특허 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1-32799호
특허 문헌 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2-179376호
특허 문헌 6: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47-30900호
특허 문헌 7: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6-18583호
특허 문헌 8: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1-177972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담배의 주류연 속에 포함되는 니코틴량을 저감하기 위해 이용되는 니코틴 저감제 및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니코틴 저감제 또는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를 이용함으로써 담배의 주류연으로부터 니코틴량을 저감하는 방법 및 타르량을 저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담배의 주류연에 포함되는 니코틴의 양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실시하던 중, 타마린드 시드 검(tamarind seed gum), 잔탄 검(xanthan gum), 로커스트빈 검(locust bean gum) 등의 특정한 다당류를 함유하고, 점도를 500∼3000 mPaㆍs로 조정한 수성 액상 조성물이 담배의 주류연으로부터 니코틴을 흡착 제거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그것을 담배나 흡연구의 필터부에 포함시켜도 흡연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들 다당류를 이용함으로써,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이들 다당류를 당류와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기온의 변화나 장기 보존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고, 계절에 상관없이 안정된 점도 및 성상을 갖는 수성 액상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 그리고 이러한 수성 액상 조성물이 상기 니코틴 저감 방법을 실시하는 데 가장 적합한 니코틴 저감제로 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수성 액상 조성물의 사용량(필터로의 적용량)을 늘림으로써 담배의 주류연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니코틴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것은 흡연에 의해 체내에 흡입되는 니코틴량을 상기 수성 액상 조성물의 사용량을 조절함으로써 흡연자 스스로가 간단히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수성 액상 조성물에 따르면, 그 사용량(필터로의 적용량)을 흡연자의 니코틴 의존도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늘림으로써 체내에 흡입되는 니코틴량을 단계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는 것으로 금연을 실시하는 데 가장 문제가 되는 니코틴 의존성의 발생을 완화하여 최종적으로는 금연을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항 1.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를 함유하고, 점도가 500∼3000 mPaㆍs인 수성 액상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니코틴 저감제.
항 2. 다당류가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및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항 1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
항 3. 다당류가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및 잔탄 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항 1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
항 4. 당류를 더 함유하는 것인 항 1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
항 5. 당류가 트레할로오스, 물엿(starch syrup),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말토오스, 소르비톨, 말티톨, 락티톨,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및 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항 4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
항 6. 당류가 트레할로오스 및 물엿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항 4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
항 7. 흡연구의 필터에 보유시켜서 이용되는 항 1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
항 8. 항 1에 기재된 수성 액상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니코틴 저감제가 용기에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포장된 니코틴 저감제.
또한 여기에서 용기로서는, 적하식 용기를 가장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항 9. 항 1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를 보유한 필터부를 갖는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
항 10. 상기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가 한쪽 끝에 흡인구를, 다른 쪽 끝에 담배 삽입구를 구비하는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 내에 설치된 필터를 갖고, 상기 필터에 항 1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를 보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9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
항 11. 한쪽 끝에 흡인구를, 다른 쪽 끝에 담배 삽입구를 구비하는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 내에 설치된 필터를 갖는 담배 홀더로서, 상기 홀더 본체의 흡인구측에 착탈 가능한 클립 부착 캡과, 상기 홀더 본체의 담배 삽입구 측에 착탈 가능한 덮개를 더 갖는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
항 12. 필터에 항 1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를 보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1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
항 13. 항 1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를 포함시킨 흡연구 필터에 담배의 주류연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갖는 담배의 주류연 속의 니코틴량을 저감하는 방법.
또한 본 발명의 수성 액상 조성물(니코틴 저감제)은 후술하는 실험예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함으로써 담배의 주류연에 포함되는 니코틴의 양만이 아니고, 타르의 양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의 “니코틴 저감제” 및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는 각각 “타르 저감제” 및 “타르 저감용 흡연구”, 또는 “니코틴 및 타르 저감제” 및 “니코틴 및 타르 저감용 흡연구”로 환언할 수도 있다. 또한 타르 저감이라는 관점에서 본 발명은 하기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항 14.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를 함유하고, 점도가 500∼3000 mPaㆍs인 수성 액상 조성물(타르 저감제)을 포함시킨 흡연구의 필터에 담배의 주류연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갖는 담배의 주류연 속의 타르량을 저감하는 방법.
또한 상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를 사용함으로써 흡연자의 니코틴 의존도를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하기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항 15. 흡연 습관이 있는 피험자에 대하여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를 함유하고, 점도가 500∼3000 mPaㆍs인 수성 액상 조성물(니코틴 저감제)을 포함시킨 필터를 구비한 흡연구를 제공하여 흡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피험자의 니코틴 의존도를 완화하는 방법.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수성 액상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항 16.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를 함유하고, 점도가 500∼3000 mPaㆍs인 수성 액상 조성물의 니코틴 저감제 또는 타르 저감제의 조제를 위한 사용.
항 17. 수성 액상 조성물이 당류를 더 함유하는 것인 항 16에 기재된 사용.
항 18. 상기 당류가 트레할로오스, 물엿,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말토오스, 소르비톨, 말티톨, 락티톨,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및 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항 17에 기재된 사용.
항 19.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를 함유하고, 점도가 500∼3000 mPaㆍs인 수성 액상 조성물의 니코틴 또는 타르를 저감하기 위한 사용.
항 20. 수성 액상 조성물이 당류를 더 함유하는 것인 항 19에 기재된 사용.
항 21. 상기 당류가 트레할로오스, 물엿,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말토오스, 소르비톨, 말티톨, 락티톨,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및 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항 20에 기재된 사용.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1) 니코틴 저감제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는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를 함유하는 수성의 액상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마린드 시드 검(Tamarind seed gum)은 콩과의 다년생 쌍자엽 식물인 타마린드(Tamarindus grandiflora PERS.)의 종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수용성의 다당류이다. 로커스트빈 검은 콩과 캐럽(Ceratonia siliqua)의 종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다당류이다. 잔탄 검(Xantham gum)은 미생물 크산토모나스ㆍ캠패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가 생산하는 발효 다당이다. 타라 검(Tara gum)은 개다래과 타라(Actinidia callosa LINDL.)의 종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수용성 다당류이다. 구아 검(Guar gum)은 콩과 구아(Cyamopsis tetragonolobas TAUB.)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다당류 또는 구아 검을 효소(헤미셀룰라아제 등)로 분해한 것이다. 펙틴(Pectin)은 감귤류나 사과 등으로부터 수(水)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메틸화 폴리갈락트론산(polygalacturonic acid)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당류이다. 그 에스테르화도(DE)(메톡실기의 함량)에 의하여 HM 펙틴(전체 갈락트론산 중 메틸화 갈락트론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50% 이상인 것)과 LM 펙틴(전체 갈락트론산 중 메틸화 갈락트론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50% 이하인 것)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HM 펙틴 및 LM 펙틴의 구별 없이 어느 쪽도 사용할 수 있다.
풀루란(Pullulan)은 흑효모(Aureobasidiumpullulans[DE Bary]ARN.)가 생산하는 다당류이다. 사일리움 시드 검(Psyllium seed gum)은 질경이과 브론드사일리움(Plantagoovata FORSK.) 또는 동종 식물의 종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다당류이다. 카라기난(Carrageenan)은 돌가사리과 콘드러스 크리스퍼스(Chondruscrispus LYNGB.), 돌가사리(Gigartina tenella HARV.), 유쿠마 머리카툼(Eucheumamuricatum W.v.BOSS forma depaupaerata W.v.BOSSE), 가시우무과 갈고리가시우무(Hypneajaponica TANAKA) 등의 잎으로부터 물로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다당류이다. 이것은 카파(κ), 이오타(ι) 및 람다(λ)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κ-카라기난, ι-카라기난 및 λ-카라기난의 구별 없이 어느 쪽도 사용할 수 있지만, λ-카라기난을 보다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다당류 및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어느 쪽이나 식품용의 증점제나 증점 안정제 등의 식품 첨가물로서 널리 시판되어 이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부터 식품 첨가물로서 시판되고 있는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을 널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다당류는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및 펙틴이며, 특히 바람직한 다당류는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및 잔탄 검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는 500∼3000 mPaㆍs의 점도를 갖는 수성의 액상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점도는 20℃, B형 회전 점도계(점도가 2000 mPaㆍs 이하인 경우는 로터 No.3을 사용, 그것을 넘는 경우는 로터 No.4를 사용)를 이용하여 60 rpm으로 1분간 측정해서 얻어지는 점도를 말한다. 바람직한 점도는 500∼2500 mPaㆍs,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500 mPaㆍs이다.
수성 액상 조성물을 이러한 점도로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각 다당류를 용해하는 용매를 선택하거나, 사용하는 다당류의 비율을 조절하거나, 또 다른 성분을 배합하는 것 등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타마린드 시드 검, 잔탄 검, 또는 로커스트빈 검 등의 상기 다당류의 용해에 사용하는 용매는 이들 성분을 용해할 수 있는 용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성과 편리성의 점에서 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물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다당류(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는 1종 단독으로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소망하는 바에 따라서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가장 적합한 조합으로서는 제한은 되지 않지만, 타마린드 시드 검과 로커스트빈 검의 조합, 타마린드 시드 검과 잔탄 검의 조합, 로커스트빈 검과 메틸셀룰로오스의 조합, 타마린드 시드 검과 타라 검의 조합 및 타마린드 시드 검과 구아 검의 조합을 예시할 수 있다.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에 배합하는 상기 다당류(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카라기난)의 비율은 얻어지는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500∼3000 mPaㆍs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00∼2500 mPaㆍs,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500 mPaㆍs로 되는 비율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 100 중량% 속에 사용되는 각 다당류의 비율로서는, 표 1에 기재된 비율을 예시할 수 있다.
(중량%)
통상의 비율 바람직한 비율 보다 바람직한 비율
타마린드 시드 검 1.5 - 3.0 1.5 - 2.5 2.0 - 2.5
로커스트빈 검 0.5 - 1.5 0.5 - 1.25 0.75 - 1.25
잔탄 검 0.5 - 3.0 0.5 - 2.5 1.0 - 2.5
타라 검 0.5 - 1.2 0.5 - 1.0 0.6 - 1.0
구아 검 0.5 - 1.5 0.5 - 1.25 0.75 - 1.25
펙틴 4.0 - 10.0 4.0 - 8.0 5.0 - 8.0
풀루란 15.0 - 25.0 15.0 - 22.5 17.5 - 22.5
사일리움 시드 검 0.6 - 2.0 0.6 - 1.75 0.75 - 1.75
메틸셀룰로오스 2.0 - 4.0 2.0 - 3.5 2.5 - 3.5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5 - 3.0 1.5 - 2.5 2.0 - 2.5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2.0 - 5.0 2.0 - 4.0 3.0 - 4.0
카라기난 1.0 - 2.5 1.0 - 2.25 1.5 - 2.25
이들 성분을 임의로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그 조합의 비율이나 배합량은 상기 각 배합 비율을 기준으로 얻어지는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의 점도가 500∼3000 mPaㆍs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00∼2500 mPaㆍs,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500 mPaㆍs로 되는 것을 지표로 하여 조정해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하는 바와 같이, 타마린드 시드 검과 로커스트빈 검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의 배합 비율로서는, 타마린드 시드 검 1 중량부에 대하여 로커스트빈 검 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부를 예시할 수 있다. 타마린드 시드 검과 잔탄 검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의 배합 비율로서는, 타마린드 시드 검 1 중량부에 대하여 잔탄 검 0.02∼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5 중량부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메틸셀룰로오스와 로커스트빈 검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의 배합 비율로서는, 메틸셀룰로오스 1 중량부에 대하여 로커스트빈 검 0.2∼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부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타마린드 시드 검과 타라 검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의 배합 비율로서는, 타마린드 시드 검 1 중량부에 대하여 타라 검 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부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타마린드 시드 검과 구아 검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의 배합 비율로서는, 타마린드 시드 검 1 중량부에 대하여 구아 검 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부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는 상기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당류를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다당류에 당류를 조합함으로써 점도나 점도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니코틴 또는 타르의 저감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되는 당류는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자일로오스(xylose), 에리트로오스(erythrose) 등의 단당 또는 이들의 환원당(예를 들면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말토오스, 이소말토오스, 니게로오스(nigerose), 셀로비오스,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등의 이당류 또는 이들의 환원당(예를 들면 말티톨, 락티톨); 비트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럭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유과올리고당 등의 올리고당 또는 이들의 환원당; 덱스트린이나 물엿 등의 전분에서 유래하는 당 또는 이들의 환원당(예를 들면 환원 물엿)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의 단당 또는 이들의 환원당(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트레할로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또는 이들의 환원당(말티톨, 락티톨); 덱스트린 및 물엿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 및 그 환원당(소르비톨), 말토오스 및 그 환원당(말티톨), 트레할로오스, 덱스트린 및 물엿 등의 전분당(전분을 효소 또는 산을 이용하여 분해, 효소 전이, 효소 결합해서 얻어진 단당류, 소당류 및 그들의 환원물)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소르비톨, 트레할로오스 및 물엿이다.
이들은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고, 상기 다당류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트레할로오스와 물엿, 소르비톨과 물엿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100 중량%)에 배합하는 이들 당류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최종의 니코틴 저감제의 점도가 500∼3000 mPaㆍs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00∼2500 mPaㆍs,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500 mPaㆍs로 되는 것을 지표로 하여 조정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류로서 물엿이나 환원 물엿을 사용하는 경우의 상기 당류의 비율로서는, 통상 5∼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당류로서 상기 이외의 당을 사용하는 경우의 상기 당류의 비율로서, 통상 5∼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에는 상기 성분(다당류, 당류)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증점성을 갖는 성분을 임의로 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카시아 검, 글루코만난, 탈아실형 젤란 검(deacylation-type gellan gum), 네이티브형 젤란 검, 메주균 검(Bacillus natto gum),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알긴산염, 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alginic acid propylene glycol ester), 아라비아 검, 트래거캔스 검(tragacanth gum), 가티 검, 대두다당류, 마크로포몹시스 검(macrophomopsis gum), 람잔 검, 웰란 검, 카라야 검, 전분, 가공 전분, 화공 전분, 발효 셀룰로오스, 한천(寒天) 등의 증점 성분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성분은 수용성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아라비아 검, 대두다당류, 카라야 검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에는 상기 성분(다당류, 당류)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임의로 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서, 감미료(예를 들면 수크라로오스(sucralose), 아스파탐(aspartame), 아세설팜 칼륨(acesulfame potassium), 사카린 등의 고감미도 감미료), 천연 또는 합성 착색료, 향료, 산미료(예를 들면 구연산(citr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스코르브산 등의 유기산), 보존료(예를 들면 벤조산 나트륨(sodium benzoate), 소르빈산 칼륨 등), 항산화물질(예를 들면 차 카테킨, 안토시아닌, 이소플라본 등의 폴리페놀류), 각종 허브 및 그 추출액(카모마일, 키다치알로에, 에키네시아, 홉, 멜리사 등), 아민산, 미네랄, 또는 비타민류 등을 예시할 수도 있다. 이들 성분도 역시 수용성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는 유효 성분인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 또는 이들의 적어도 1종의 다당류와 상기 적어도 1종의 당류에, 필요에 따라 상기하는 임의의 성분을 조합하여 수성 용매에 용해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용해시에는 필요에 따라서 가온이나 가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는, 그 액성(pH)을 특별히 제한받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일례로서 pH 3∼5, 특히 pH 3.5∼4.5의 약산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조제되는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는 흡연구의 필터부에 보유시켜서 사용된다. 보유하는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를 필터부에 제공하여 젖은 상태로 보유시키는 형태(함침), 필터부에 제공하여 건조 상태로 보유시키는 형태의 어느 쪽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습윤 상태에서의 보유(함침)시에 니코틴 제거 효과가 높다.
흡연구의 필터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담배의 흡입 필터부, 흡연 파이프나 시거렛 홀더(담배의 흡입부에 씌워서 사용되는 것) 내의 필터부를 들 수 있다.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를 흡연구의 필터부에 보유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흡연구의 필터부를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의 액 속에 직접 담그는 방법이나 필터부에 니코틴 저감제를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는데, 위생상의 관점에서는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의 액을 흡연구의 필터부에 1방울(약 50 ㎎)∼수방울, 바람직하게는 1∼5방울의 비율로 적하하는 방법을 가장 적합하게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를 필터부에 적하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한은 되지 않지만, 상기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는 작은 용액 방울을 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는 필터부에 적용한 경우에 신속히 필터부에 침투하여 함침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에 고루 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는 흡연구의 필터부에 함유시켜서 흡인한 경우에 빨아들이는 압력이 높아져서 빨기 어려워진다는 불편함이나 액이 필터부로부터 입 속으로 비산하는 불편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는 기본 성분으로서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를 이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하는 당류를 조합하여, 점도가 500∼3000 mPaㆍs, 바람직하게는 500∼2500 mPaㆍs,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2500 mPaㆍs의 범위의 수성 액상 조성물로서 조제됨으로써 상기의 특징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장 적합한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는 온도나 보존에 의한 점도 변화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일년 내내 안정된 점도나 성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겨울철의 저온시에도 현저히 점도가 증가하지 않고 필터부로의 적하나 침투 및 흡연(흡인)이 불편하지 않는 적당한 점도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는 통상 용기에 충전된 상태로 시장에 공급된다. 이러한 니코틴 저감제를 수용하는 용기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는 가장 적합하게 적하하는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적하식(스포이트식을 포함함)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하식 용기는 액상의 내용물(수성 액상 조성물)을 1방울씩 적하할 수 있는 부분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용기 자체가 스포이트로 되어 있으며,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직접 내용물(수성 액상 조성물)을 적하할 수 있는 형태의 것, 용기의 덮개부(캡)에 스포이트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캡을 스포이트로서 이용하여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빨아내어서 적하하는 형태의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니코틴 저감제를 수용하는 용기의 크기(용량)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용도, 1회 사용량 및 운반의 편리함의 관점에서 통상 1∼100 ㎖용량, 바람직하게는 2∼20 ㎖의 내용물(수성 액상 조성물)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용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2)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
본 발명은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연구에는 필터 부착 담배라는 흡연구(이하, 이것을 하기의 흡연에 사용되는 도구와 구별하기 위해 간단히 “담배”라 함) 외에 흡연 파이프(담뱃대를 포함함), 시거렛 홀더(종이말이 담배 등의 흡입구에 씌워서 사용되는 것. 한 번 쓰고 버리는 것을 포함함) 및 시거렛 홀더 내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카트리지 등의 담배(종이말이 담배, 살담배를 포함함)나 여송연을 빠는 도구(이하, 이것을 상기의 담배와 구별하기 위해 단순히 “파이프”라 함)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파이프는 적어도 담배 수납부 또는 담배 삽입구, 흡입부, 상기 담배 수납부 또는 담배 삽입구로부터 흡입부로 연기를 인도하는 통로(도관부) 및 상기하는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를 보유하기 위한 부분(보유부)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연구는 상기의 필터 부착 담배의 필터부, 또는 상기 파이프의 보유부에 상기하는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체 조성물)를 보유시킴으로써 흡연시에 체내에 흡인되는 니코틴량을 저감할 수 있는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이다.
파이프의 보유부(retention portion)는 담배의 주류연이 통과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체 조성물)를 보유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특별히 그 구조나 소재는 불문한다. 예를 들면 종이, 부직포, 섬유 및 스펀지 등의 다공질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담배의 주류연이 통과하는 부분에 장착 또는 충전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소재로서 초산 셀룰로오스, 지방산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등을 제한 없이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흡연구)는 담배의 주류연을 상기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체 조성물)를 보유시킨 상기 보유부에 통과시킴으로써 니코틴을 제거하는 작용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파이프의 보유부는 필터부로서 정의할 수도 있다. 이 의미에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파이프의 보유부를 상기 담배의 필터부와 합쳐서 “흡연구의 필터부”라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흡연구의 필터(담배의 필터부, 파이프의 보유부)의 용량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를 가능한 한 많이 안정되게 보유할 수 있는 용량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를 적어도 50∼250 ㎎ 정도, 바람직하게는 50∼150㎎ 정도로 보유할 수 있는 용량이면 통상의 사용에 지장은 없다.
제한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의 일형태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거렛 홀더(1), 또한 도 2∼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거렛 홀더(11)를 예시할 수 있다.
시거렛 홀더(1)는 홀더 본체(3) 내에 보유부에 해당하는 필터(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를 보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홀더 본체(3)는 한쪽 끝에 흡입부(4)를 구비하고, 다른 쪽 끝에 담배 삽입구(5)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 본체(3)는 흡입부(4)의 주변 및 그 근처가 편평상으로 되어 입으로 물기 쉽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이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의 일형태로서 제공하는 상기 시거렛 홀더(1)는, 그 필터부에 상기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를 미리 보유한 것이다.
시거렛 홀더(11)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홀더 본체(3) 내에 보유부에 해당하는 필터(2)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를 보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이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로서 제공하는 시거렛 홀더(11)는, 그 필터(2)에 상기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를 미리 보유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를 그 필터부에 제공하여 보유시켜서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하 상기 시거렛 홀더(11)의 구성을 도 2∼7에 입각하여 설명한다.
홀더 본체(3)는 한쪽 끝에 흡입부(4)를 구비하고, 다른 쪽 끝에 담배 삽입구 (5)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 본체(3)는 흡입부(4)의 주변 및 그 근처가 편평상으로 되어 입으로 물기 쉽게 되어 있다. 시거렛 홀더(11)는 홀더 본체(3)의 한 측에 착탈 가능한 클립 부착 캡(6)과, 홀더 본체(3)의 다른 측에 착탈 가능한 덮개(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클립 부착 캡(6)이 홀더 본체(3)의 흡입부(4)측에 장착되고, 덮개(7)가 홀더 본체(3)의 담배 삽입구(5)측에 장착되어 있다. 클립 부착 캡(6)은 흡입부(4)에 끼우기 위한 돌기부(8)를 구비하고 있다.
클립 부착 캡(6)과 덮개(7)를 홀더 본체(3)에 장착하는 것으로 필터(2)에 니코틴 저감제를 함침시킨 경우에 발생하는 휘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착 캡(6)의 클립은 흡연하지 않을 때에는 가슴 포켓 등에 넣어 둘 수 있다. 클립 부착 캡(6)은 통상의 펜에 부속되는 캡과 유사한 형상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립 부착 캡(6)과 덮개(7)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클립 부착 캡(6)의 개구부(9)에 덮개(7)를 끼워 넣어서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덮개(7)는 고리부(10)를 갖고, 고리부(10)는 덮개(7)를 클립 부착 캡(6)에 끼워 붙였을 때의 스토퍼(stopper)로 된다. 흡연시는 클립 부착 캡(6)에 덮개(7)를 장착하고, 클립으로 가슴 포켓 등에 넣어 두는 것으로 덮개(7)의 분실을 막을 수 있다.
(3) 담배의 주류연 속의 니코틴량을 저감하는 방법
본 발명은 담배의 주류연 속의 니코틴량을 저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하는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를 흡연구의 필터부[예를 들면 담배의 흡입 필터 또는 흡연 파이프나 시거렛 홀더의 필터]에 포함시켜서 흡연시에 담배의 주류연을 상기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니코틴의 저감 방법에 따르면, 흡연구의 필터에 상기하는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를 포함시키는 것만으로 흡연에 의하여 체내에 흡입되는 주류연 속의 니코틴량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험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코틴량에 덧붙여서 주류연 속의 타르량도 적절하게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시에 담배의 주류연 속의 타르량을 저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실험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에 포함시키는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의 양을 더 증가시킴으로써, 그 증가량에 따라서 주류연 속의 니코틴량 및 타르량을 보다 많이 저감시킬 수 있다. 필터에 보유시키는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의 용량은 필터에 보유할 수 있는 용량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1방울∼수방울 상당량(약 50∼수백 ㎎), 바람직하게는 1방울∼5방울 상당량(약 50∼250 ㎎)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금연을 곤란하게 하고 있는 주요한 원인은 담배의 주류연에 포함되는 니코틴에 대한 신체적 및 심리적 의존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니코틴의 저감 방법에 따르면, 흡연이 상습화되어 있는 피험자이어도 흡연하면서 체내에 흡입되는 니코틴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서서히 니코틴 의존증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니코틴 저감제에 따르면, 흡연자 스스로가 그 사용량(필터로의 적용량)을 조절함으로써 흡입하는 주류연 속의 니코틴량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연자는 자기의 니코틴에 대한 의존 상황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니코틴의 섭취를 저감시키고, 최종적으로는 니코틴 의존을 해소하여 금연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의 일형태인 시거렛 홀더(1)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의 다른 일형태인 시거렛 홀더(11)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거렛 홀더(1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시거렛 홀더(11)의 클립 부착 캡(66)에 덮개(77)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의 니코틴 저감률 및 타르 저감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실험예 4).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의 일형태인 시거렛 홀더
2: 필터(보유부) 3: 홀더 본체
4: 흡입부 5: 담배 삽입구
6: 클립 부착 캡 7: 덮개
8: 클립 부착 캡을 흡입부에 끼우기 위한 돌기부
9: 클립 부착 캡의 개구부 10: 고리부
11.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의 다른 일형태인 시거렛 홀더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하의 실험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부”란, “중량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하기의 실험예에서 사용한 화합물의 입수처는 하기와 같다. 표시는 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 주식회사의 등록 상표인 것을 의미한다.
타마린드 시드 검: 비스톱 D-2033, 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주)
로커스트빈 검: 비스톱 D-30, 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주)
잔탄 검: 산에이스 C, 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주)
타라 검: 비스톱 D-2101, 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주)
구아 검: 비스톱 D-2029, 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주)
풀루란: 풀루란 PF-20(미분), (주) 하야시바라
사일리움 시드 검: 소알륨 PG-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주)
HM 펙틴: 비스톱 D-2220, 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주)
LM 펙틴: 비스톱 D-402, 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주)
λ-카라기난: 카라기닌 CSL-1, 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주)
트레할로오스: 트레하 미분(상품명), (주)하야시바라
물엿(산당화물엿): 시럽저(상품명), 고고스타치(주)
대두다당류: SM―920(상품명), 산에이겐 에프·에프·아이(주)
구연산 삼나트륨: 구연산 삼나트륨 F(상품명), 산에이겐 에프·에프·아이(주)
글리신: 글리신 P(상품명), 유기합성약품공업
L―아스코르브산: 비스콜린 80M(상품명), 제일파인케미컬(주)
차 카테킨: SD 녹차엑기스파우더 NO.16714, 산에이겐 에프·에프·아이(주)
감초 분말: 리코틴 P―1(상품명), 이케다도카공업(주)
실험예 1
(1) 수성 액상 조성물의 조제
표 2에 기재된 처방에 따라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1∼15)을 조제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표 1에 기재된 다당류(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HM 펙틴, LM 펙틴, λ―카라기난,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트레할로오스를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여 80℃에서 10분간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또한 다당류 중, 메틸셀룰로오스(실시예 14)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실시예 15)에 대해서는 트레할로오스와 함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여 60℃에서 10분간, 또다시 10℃에서 10분간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이들에 미리 이온 교환수에 용해시킨 벤조산 나트륨 수용액, 구연산 수용액, 구연산 삼나트륨 수용액, 착색료(적색 2호, 적색 40호)의 수용액을 각각 첨가하여 혼합했다. 전량을 이온 교환수로 100 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여 각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1∼15)을 조제했다.
(2) 수성 액상 조성물의 성상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각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1∼15)의 점도를 B형 회전 점도계(점도가 2000 mPa·s 이하인 경우에는 로터 No.3을 사용, 점도가 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로터 No.4를 사용)를 이용하여 20℃, 60 rpm, 1분의 조건에서 측정했다(초기 점도). 또한 이를 50℃의 조건에서 3주 동안 보존하고, 그 후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점도를 측정하고(보존 후의 점도), 하기 식에 따라 점도 잔존률(%)을 구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점도 안정성을 평가했다.
점도 잔존률(%)=(보존 후의 점도/초기 점도)×100
〈점도 안정성〉
점도 잔존률(%) 평가 평점
81% 이상 9
61∼80% 6
41∼60% 3
40% 이하 × 0
(3) 사용감의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각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1∼15)을 20℃로 조정한 후, 담배 필터부의 선단부에 2방울(약 100 mg) 적하하여 액이 필터 내로 침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했다(침투성 평가). 또한 필터 표면의 액적이 완전히 소실된 시점에서 침투 완료라고 판단했다. 또한 액이 필터로 침투한 것을 확인한 후, 흡연하여 연기를 마셨을 때에 액이 입안으로 재흡입되는지의 여부를 평가했다(재흡입성 평가). 또한 각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1∼15)의 침투성 평가 및 재흡입성 평가는 하기 기준에 따라 모두 동일 인물이 실시했다. 또한 재흡입성 평가는 3회 주류연을 들이마심으로써 실시했다.
〈필터로의 액 침투성〉
침투에 필요한 시간 평가 평점
10초 이하 6
11∼30초 4
31∼60초 2
61초 이상 × 0
〈입안으로의 재흡입성〉
재흡입 정도 평가 평점
거의 없음 3
아주 조금 있음 2
조금 있음 1
있음 × 0
(4) 결과
상기 (2) 및 (3)에서 측정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아울러, 상기 (2) 및 (3)에서 얻어진 결과에 기초하여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종합 평가로서 표 2에 나타낸다.
〈종합 평가〉
평점의 합계 평가
15∼18점
11∼14점
7∼10점
0∼6점 ×
성분 및 평가 항목 첨가량(% ) 및 평가 결과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타마린드 시드 검 1.8 1.4 1.4
로커스트빈 검 1.0 0.2
잔탄 검 1.2 0.2
타라 검 0.7
구아 검 1.0
풀루란 18
사일리움 시드 검 0.8
HM 펙틴 4.0
LM 펙틴 4.5
λ― 카라기난 1.6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8
메틸셀룰로오스 2.5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3.0
트레 할로오스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벤조산 나트륨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구연산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구연산 삼나트륨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적색 2호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적색 40호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점도 (60rpm) 1890 1480 1850 1920 1510 1440 1780 2300 1320 1280 1080 1020 2640 1220 1530
용액의 pH 3.60 3.59 3.89 3.56 3.69 3.60 3.59 3.91 3.73 3.59 4.46 4.50 3.92 3.60 3.58
필터로의 침투성 *1
입안으로의 재흡입성 *2
점도 안정성 *3
종합 평가 *4
실험예 2
(1) 수성 액상 조성물의 조제
표 3에 기재된 처방에 따라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16∼25)을 조제했다. 구체적으로는, 타마린드 시드 검 및 잔탄 검과, 표 3에 기재된 각 당류(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말토오스, 소르비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덱스트린)를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여 80℃에서 10분간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미리 이온 교환수에 용해시킨 벤조산 나트륨 수용액, 구연산 수용액, 구연산 삼나트륨 수용액, 착색료(적색 2호, 적색 40호)의 수용액을 각각 첨가하여 혼합했다. 전량을 이온 교환수로 100 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여 각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16∼25)을 조제했다.
(2) 수성 액상 조성물의 성상 평가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에서 얻어진 각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16∼25)의 초기 점도를 측정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50℃에서 3주 동안 보존한 후의 점도(보존 후의 점도)를 측정하여 점도 잔존률(%)을 구하고, 각 수성 액상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을 평가했다.
(3) 사용감의 평가
실험예 1(3)과 마찬가지로 상기에서 얻어진 각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16∼25)(20℃로 조정)을 담배 필터부의 선단부에 적하하여 필터 내로의 액의 침투성을 평가했다(침투성 평가).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흡연시의 입안으로의 재흡입성을 평가했다(재흡입성 평가).
(4) 결과
상기 (2) 및 (3)에서 측정 평가한 결과를 표 3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아울러, 상기 (2) 및 (3)에서 얻어진 결과에 기초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기준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종합 평가로서 표 3에 나타낸다.
성분 및 평가 항목 첨가량(%) 및 평가 결과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타마린드 시드 검 1.6 1.6 1.6 1.6 1.6 1.6 1.6 1.6 1.6 1.6
잔탄 검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트레할로오스 25
수크로오스 25
글루코오스 25
프럭토오스 25
말토오스 25
소르비톨 25
말티톨 25
에리스리톨 25
자일리톨 25
덱스트린 25
벤조산 나트륨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구연산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구연산 삼나트륨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적색 2호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적색 40호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점도(60 rpm) 1590 1710 1440 1510 1640 1560 1800 1490 1490 1140
용액의 pH 3.62 3.58 3.56 3.67 3.60 3.70 3.66 3.66 3.69 3.74
필터로의 침투성
입안으로의 재흡입성
점도 안정성
종합 평가 *4
실험예 3
(1) 수성 액상 조성물의 조제
표 4에 기재된 처방에 따라 하기 순서에 의해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26∼29)을 조제했다. 얻어진 각 수성 액상 조성물에 대해 B형 회전 점도계(로터 No.3)를 이용하여 20℃, 60 rpm, 1분의 조건에서 점도를 측정했다.
(ⅰ) 실시예 26
실온의 물을 교반하면서 로커스트빈 검을 소량씩 투입하여 가온하여 90℃에 도달한 후, 다시 90℃에서 10분간 교반 용해시켰다. 이어서 트레할로오스를 투입하여 다시 교반하고, 메틸셀룰로오스를 소량씩 투입하여 20℃까지 냉각시켰다. 거기에 구연산, 글리신, L―아스코르브산, 차 카테킨, 구연산 삼나트륨, 감초 분말을 투입하고, 다시 착색료를 첨가했다. 또한 구연산, 글리신, L―아스코르브산 및 차 카테킨은 모두 미리 소량의 물에 용해시켜 사용했다. 또한 구연산 삼나트륨과 감초 분말은 소량의 물에 구연산 삼나트륨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감초 분말을 더하여 용해시켜 사용했다. 조제 후, 물로 전량(100 중량%)을 보정하여 용기에 충전하고, 65℃에서 10분간 가열 살균을 실시하여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26)을 취득했다.
(ⅱ) 실시예 27
80℃의 물을 교반하면서 타마린드 시드 검과 잔탄 검을 소량씩 투입하여 80℃에서 10분간 교반 용해시켰다(용액 A). 별도로 80℃의 물을 교반하면서 대두다당류와 트레할로오스의 분체 혼합물을 소량씩 투입하여 80℃로 용해시켰다. 이 안에 글리신, 아디프산, L―아스코르브산, 차 카테킨을 투입하여 다시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구연산 삼나트륨에 감초 분말을 더하여 용해시킨 것을 투입하고 착색료를 첨가했다(용액 B). 용액 A와 용액 B와 물엿을 합쳐서 교반 혼합한 후에, 물로 전량(100 중량%)을 보정하여 용기에 충전 후, 65℃에서 10분간 가열 살균하여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27)을 취득했다.
(ⅲ) 실시예 28
잔탄 검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7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28)을 취득했다.
(ⅳ) 실시예 29
타마린드 시드 검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7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29)을 취득했다.
(중량%)
원료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9
타마린드 시드 검 - 1.2 1.5 -
로커스트빈 검 0.7 - - -
잔탄 검 - 0.2 - 1.0
메틸셀룰로오스 0.4 - - -
트레할로오스 28.0 21.0 21.0 21.0
물엿 - 10.0 10.0 10.0
대두다당류 - 1.0 1.0 1.0
구연산 0.25 - - -
구연산 삼나트륨 0.05 0.05 0.05 0.05
글리신 0.05 2.0 2.0 2.0
아디핀산 - 0.55 0.55 0.55
L―아스코르브산 0.05 0.1 0.1 0.1
차 카테킨 0.05 0.05 0.05 0.05
감초 분말 0.025 0.025 0.025 0.025
착색료 0.25 0.25 0.25 0.25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전량 100.00 100.00 100.00 100.00
pH 3.3 3.9 3.9 3.9
점도(mPa·s) 1640 1550 1510 1320
(2) 수성 액상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각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26∼29) 중, 실시예 26의 수성 액상 조성물에 대해서는 온도를 10℃에서 40℃로 변화시켜 액의 상태를 관찰했다. 그 결과 실시예 26의 수성 액상 조성물은 온도 변화(10℃→40℃)에 상관 없이 매끄러운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실시예 27∼29의 수성 액상 조성물에 대해서는 37℃에서 보존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점도를 측정하여(보존 후 3일, 7일, 10일, 14일, 21일 및 28일) 점도 안정성을 평가했다. 점도 측정 조건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점도 안정성은 실험예 1(2)에 기재된 식에 따라 산출한 점도 잔존률(%)로 나타낸다.
보존 기간(일) 37℃ 보존 후의 점도 잔존률(%)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9
0 100% 100% 100%
3 97% 93% 96%
7 97% 92% 95%
10 96% 91% 95%
14 96% 85% 99%
21 95% 미측정 93%
28 100% 82% 90%
상기 표의 결과를 통해, 로커스트빈 검, 타마린드 시드 검 또는 잔탄 검을 사용하여 조제한 실시예 26∼29의 수성 액상 조성물은 장기간의 보존이나 온도 변화에 의해 점도가 현저히 변동하는 일이 없어 거의 일정한 성상을 갖고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3) 사용감의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각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26∼29)을 20℃로 조정한 후, 담배 필터부의 선단부에 2방울(약 100 mg) 적하하여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액이 필터 내로 침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액의 침투성을 평가했다(침투성 평가). 이어서 액이 필터로 침투한 것을 확인한 후, 흡연하여 담배의 흡입 용이성이나 입안으로의 액상 조성물의 재흡입의 유무(이것을 일반적으로 “흡연의 용이성”이라 함)를 평가했다. 또한 각 수성 액상 조성물의 침투성 및 흡연의 용이성 평가는 모두 동일 인물이 실시했다. 또한 흡연의 용이성 평가는 3회 주류연을 들이마심으로써 실시했다. 또한 흡연 후, 필터부의 변색 정도를 관찰했다.
(4) 결과
실시예 26∼29의 수성 액상 조성물은 모두 담배 필터의 선단부에 적하하면 15초 정도에서 균일하게 침투하고, 또한 흡연시에 있어서 입속으로 액이 비산하거나 흡입이 곤란하거나 하는 문제는 없었다. 또한 흡연 후의 필터부는 모두 검게 변색되어 있으며, 수성 액상 조성물을 함침시키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다 많은 니코틴 및 타르가 담배 필터부에 트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실험예 3에서 조제한 수성 액상 조성물(실시예 27)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수성 액상 조성물의 니코틴 및 타르 제거 효과를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27의 수성 액상 조성물을 담배(마일드세븐·라이트, 일본담배산업: 니코틴 함유량 0.7 mg, 타르 함유량 8 mg)의 필터 선단부에 1방울(약 50 mg), 2방울(약 100 mg) 또는 3방울(약 150 mg)의 비율로 적하하여 즉시 담배 연기 속에 함유된 니코틴량과 타르량을 측정했다. 또한 비교 실험으로서, 상기 수성 액상 조성물 대신에 물(1방울, 2방울, 3방울)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담배 연기 속에 함유된 니코틴량과 타르량을 측정했다. 수성 액상 조성물 및 물을 모두 사용하지 않은 미처리의 담배 연기 속에 함유된 니코틴량과 타르량을 각각 100%로 하여 상기 수성 액상 조성물 또는 물로 처리한 담배 연기 속에 함유된 니코틴량 및 타르량으로부터 각각 니코틴 저감률(%) 및 타르 저감률(%)을 산출했다.
또한 담배 연기 속에 함유된 니코틴량 및 타르량의 측정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성 원년(1989년) 대장성 고시 174호(일본)에 정해진 방법에 따라 실시했다. 또한 각 실험은 담배 10개비씩을 사용하여 실시했다.
〈니코틴량 및 타르량의 측정〉
1. 담배의 조정
측정에 사용하는 담배는 미리 22±1℃ 및 60±2%의 습도 하에서 2일 이상 7일 동안 보존하여 조건을 갖추어 둔다.
2. 기구 및 장치
(1) 흡연기: 피스톤 펌프형
(2) 연기 포집기: 유리 섬유 필터를 구비한 시거렛 홀더를 사용한다. 필터는 직경 44 mm, 두께 1∼2 mm이고, 140 mm/초의 속도에서 직경 0.3 ㎛ 이상의 디옥틸프탈레이트의 전체 입자를 99.9% 이상 포집하는 능력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이 속도에서의 필터 압력 강하는 93 mmH20(900 Pa) 이하이다. 또한 필터는 아크릴수지 접착제의 함유량이 5%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3)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ⅰ) 수분 측정용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
컬럼: 내경 2∼3 mm, 길이 1.2∼1.8 m의 유리제
충전제: 폴라팩 Q(Waters제) (80∼100 메시)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
온도: 항온조(170―180℃), 주입부(230―250℃), 검출기(250℃)
캐리어 가스: 헬륨
유속: 40 ㎖/분
검출기: 열전도도형 검출기
(ⅱ) 니코틴 측정용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측정 조건
컬럼: 내경 2∼3 mm, 길이 1.8∼2.7 m의 유리제
충전제: 산 및 증류수로 세정한 60∼80메시의 크로모솔브 W에 폴리에틸렌글리콜 20W(10 중량%) 및 수산화 칼륨(2 중량%)을 피복한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
온도: 항온조(170―180℃), 주입부(230―250℃), 검출기(250℃)
캐리어 가스: 헬륨 또는 질소
유속: 20∼40 ㎖/분
검출기: 수소염 이온화 검출기
3. 시험 조작 및 산출
(1) 조타르(crude tar)의 포집
측정용 담배의 흡입구 끝을 시거렛 홀더에 9±1 mm 삽입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흡연함으로써 담배꽁초의 길이가 30 mm에 달할 때까지 흡연을 하여, 조타르(필터에 의해 포집된 담배 연기 속의 입자 부분)를 포집한다. 또한 조타르를 포집하기 위해 흡연하게 하는 측정용 담배의 개비수는 1흡연구 당 5개비로 한다.
〈흡연 조건〉
흡연 용량(1회의 흡연으로 흡입하는 담배연기의 용적): 35±0.3 ㎖
흡연 시간(1회의 흡연에 필요한 시간): 2±0.1초
흡연 주기(흡연으로부터 다음 흡연까지의 시간): 60±1초
흡연 파형(퍼프 프로파일): 흡연 개시시부터 0.8∼1.2초 사이에 최대값이 있는 벨형으로, 그 최대유속은 25∼30 ㎖/초로 한다.
(2) 조타르량의 산출
연기 포집기의 흡연 전후의 중량을 0.1 mg 단위로 칭량하고, 그 중량 차이에 의해 조타르량(mg/개비)을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3자리 이하 버림)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한다.
조타르량=[흡연 후의 연기 포집기 중량(mg)―흡연 전의 연기 포집기 중량(mg)]/흡연 개비수
(3) 시료 용액의 조제
조타르를 포집한 필터를 접어 그 뒤측에서 시거렛 홀더의 내벽면을 닦고, 다시 사용하지 않은 4분의 1의 필터로 시거렛 홀더의 내벽면을 닦아낸다. 이들 필터 및 추출 용매[이소프로판올:에탄올:아네톨=4974:25:1(용량비)의 혼합용매, 이하 동일] 10 mg을 용기에 넣고 진탕하여 시료 용액을 조제한다.
(4) 조타르 속의 수분량의 측정
시료 용액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1 ㎕ 주입하여 에탄올의 피크 면적에 대한 수분의 피크 면적비를 구하고, (6)(ⅰ)의 방법으로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시료 용액 중의 수분량(mg/개)을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3자리 이하 버림) 측정한다. 이로부터 필터에 함유된 1일의 평균 수분량을 빼서 조타르 속의 수분량으로 한다. 또한 각 시료 용액마다 2회 측정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5) 조타르 속의 니코틴량의 측정
시료 용액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1 ㎕ 주입하여 아네톨의 피크 면적에 대한 니코틴의 피크 면적비를 구하고, (6)(ⅱ)의 방법으로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시료 용액 중의 니코틴량(mg/개비)을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3자리 이하 버림) 측정한다. 또한 각 시료 용액마다 2회 측정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6) 검량선의 작성
(ⅰ) 물 검량선의 작성
조타르 속에 존재가 상정되는 수분량의 범위를 망라하는 4종류 이상의 양이 다른 증류수에, 추출 용매를 각각 10 ㎖씩 더하여 표준액을 조제한다. 이 표준액 1 ㎕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여 에탄올의 피크 면적에 대한 물의 피크 면적비를 구하고, 이러한 조작을 2회 반복한 후, 피크 면적비와 첨가한 수분량의 관계로부터 검량선을 작성한다.
(ⅱ) 니코틴 검량선의 작성
조타르 속에 존재가 상정되는 니코틴량의 범위를 망라하는 4종류 이상의 양이 다른 니코틴에, 추출 용매를 각각 10 ㎖씩 더하여 표준액을 조제한다. 이 표준액 1 ㎕를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여 아네톨의 피크 면적에 대한 니코틴의 피크 면적비를 구하고, 이러한 조작을 2회 반복한 후, 피크 면적비와 니코틴량의 관계로부터 검량선을 작성한다.
(7) 타르량의 산출
타르량(mg/개비)은 조타르량에서 조타르 속의 수분량 및 니코틴량을 뺌으로써 소수점 이하 2자리까지 산출한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를 담배 필터에 제공함으로써 담배의 주류연에 함유된 니코틴량 및 타르량을 모두 50% 이상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의 니코틴 및 타르 저감 효과는 물만을 사용한 경우의 효과에 비해 약 2∼5배의 효과가 있다. 또한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담배의 필터에 제공하는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의 양을 늘림에 따라 니코틴 및 타르 저감 효과도 증대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수성 액상 조성물)의 사용량(필터로의 적용량)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히 담배의 주류연에 함유된 니코틴량 및 타르량을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니코틴 저감제를 흡연구의 필터부에 함유시켜 흡연함으로써 담배의 주류연에 함유된 니코틴이 필터 내의 니코틴 저감제에 효율적으로 포착되어 제거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보다 적합한 니코틴 저감제는 특정한 다당류를 갖고, 또한 적당한 점성을 갖고 있는 점에 기초하여 필터부로 잘 빠지도록 적하할 수 있고, 또한 적하 후에는 필터부의 섬유 사이에 신속하게 고루 미치며, 또한 필터부에 머문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흡연해도 니코틴 저감제가 입속으로 비산하지 않으며, 또한 흡입 저항도 적어 통상과 다름없이 흡연이 가능하며, 그러면서도 효율적으로 니코틴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니코틴 저감제는 온도에 의한 점도의 변화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겨울철의 저온시에도 불합리하게 점도가 증가하지 않고 통상의 사용 상황하에서 적당한 점도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겨울철의 실외에서도 실내와 같은 점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필터부로의 적하가 곤란해지는 문제는 발생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니코틴 저감제를 사용함으로써 담배의 주류연에 함유되어 있는 니코틴이나 타르 성분이 효율적으로 제거되고, 흡연구의 필터부에는 통상의 흡연시보다도 다량의 니코틴이나 타르 성분이 부착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니코틴 저감제는 흡연 파이프나 시거렛 홀더 내의 필터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담배 자체의 필터에 직접 사용함으로써 주류연 중의 니코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흡연 후에는 그대로 버리면 되고, 흡연 파이프나 시거렛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경제 효율도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니코틴 저감제는 흡연구에 함유시키는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담배의 필터부에 트랩되는 니코틴량도 증가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니코틴 저감제의 사용량을 늘림으로써 단계적으로 니코틴의 섭취량을 줄여 갈 수 있기 때문에, 절연(節煙)·금연 하에서의 니코틴 의존증 발증을 서서히 완화시켜 금연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4)

  1.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를 함유하고, 점도가 500∼3000 mPaㆍs인 수성 액상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니코틴 저감제.
  2. 제1항에 있어서,
    다당류가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및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니코틴 저감제.
  3. 제1항에 있어서,
    다당류가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및 잔탄 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니코틴 저감제.
  4. 제1항에 있어서,
    당류를 더 함유하는 것인
    니코틴 저감제.
  5. 제4항에 있어서,
    당류가 트레할로오스, 물엿,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말토오스, 소르비톨, 말티톨, 락티톨,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및 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니코틴 저감제.
  6. 제4항에 있어서,
    당류가 트레할로오스 및 물엿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니코틴 저감제.
  7. 제1항에 있어서,
    흡연구의 필터부에 보유되어 이용되는
    니코틴 저감제.
  8. 제1항에 기재된 수성 액상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니코틴 저감제가 용기에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포장된 니코틴 저감제.
  9. 제1항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를 보유한 필터부를 갖는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가 한쪽 끝에 흡인구를, 다른 쪽 끝에 담배 삽입구를 구비하는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 내에 설치된 필터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필터에 제1항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를 보유하여 이루어지는
    니코틴 저감용 흡연구.
  11. 제1항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를 포함시킨 흡연구 필터에 담배의 주류연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갖는, 담배 주류연 속의 니코틴량을 저감하는 방법.
  12. 제1항에 기재된 니코틴 저감제를 포함시킨 흡연구 필터에 담배의 주류연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갖는, 담배의 주류연 속의 타르량을 저감하는 방법.
  13.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를 함유하고, 점도가 500∼3000 mPaㆍs인 수성 액상 조성물의 니코틴 저감제 또는 타르 저감제의 조제를 위한 사용.
  14. 타마린드 시드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라 검, 구아 검, 펙틴, 풀루란, 사일리움 시드 검, 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다당류를 함유하고, 점도가 500∼3000 mPaㆍs인 수성 액상 조성물의 니코틴 또는 타르를 저감하기 위한 사용.
KR1020067019302A 2004-02-19 2005-02-18 니코틴 저감제 및 니코틴의 저감 방법 KR200700056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43610 2004-02-19
JP2004043610 2004-02-19
JPJP-P-2004-00136448 2004-04-30
JP2004136448 2004-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634A true KR20070005634A (ko) 2007-01-10

Family

ID=3488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302A KR20070005634A (ko) 2004-02-19 2005-02-18 니코틴 저감제 및 니코틴의 저감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723860A4 (ko)
JP (1) JP3882125B2 (ko)
KR (1) KR20070005634A (ko)
MX (1) MXPA06009506A (ko)
RU (1) RU2363361C2 (ko)
WO (1) WO2005079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38451T3 (es) * 2008-11-12 2017-10-20 Japan Tobacco, Inc. Papel de envoltura para cigarrillo con tendencia reducida a la ignición
GB201110863D0 (en) 2011-06-27 2011-08-10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filter and insertable filter unit thereof
CN102488495B (zh) * 2011-12-19 2014-09-10 陈心广 数字化智能尼古丁依赖性测评方法
JP2017077181A (ja) * 2014-02-14 2017-04-2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フィルター付シガレット
EP4218404A3 (en) 2015-06-26 2023-09-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tobacco plants and products having altered alkaloid levels
US20180228203A1 (en) * 2017-02-16 2018-08-16 Altria Client Services Llc Pre-vapor formulation for formation of organic acids during operation of an e-vaping device
JP7212452B2 (ja) * 2018-02-23 2023-01-25 Future Technology株式会社 非タバコ植物組成物の製造方法、電子タバコ用充填物の製造方法、電子タバコ用充填物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タバコカートリッジ
RU2767511C2 (ru) * 2020-07-13 2022-03-17 Бритиш Америкэн Тобэкко (Инвестментс) Лимитед Вставной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нагреваемого без горения продукт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10396A1 (fr) * 1975-05-05 1976-12-03 Seita Perfectionnements aux colles pour l'industrie du tabac
JPH03219861A (ja) * 1990-01-25 1991-09-27 Daicel Chem Ind Ltd たばこ煙用フィルター
JPH0416177A (ja) * 1990-05-09 1992-01-21 Daicel Chem Ind Ltd たばこ煙用フィルター
JP3675523B2 (ja) * 1995-08-07 2005-07-27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タバコフィルター
JPH09322748A (ja) * 1996-06-04 1997-12-16 Seiichi Kitabayashi フィルター筒部付き紙巻き煙草のフィルター筒部または普通の煙草を差し込むフィルターパイプのフィルター筒部
US6544573B1 (en) * 1999-08-16 2003-04-08 Lipton, Division Of Conopco, Inc. Gum combination for liquid condiment systems
AU2001287918A1 (en) * 2000-09-20 2002-04-02 Nycomed Pharma As Preparation of vitamin emulsions and concentrat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6133378A (ru) 2008-03-27
RU2363361C2 (ru) 2009-08-10
EP1723860A1 (en) 2006-11-22
JPWO2005079609A1 (ja) 2007-10-25
MXPA06009506A (es) 2007-03-26
EP1723860A4 (en) 2008-02-27
JP3882125B2 (ja) 2007-02-14
WO2005079609A1 (ja)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5634A (ko) 니코틴 저감제 및 니코틴의 저감 방법
EP1458252B1 (en) Tobacco and/or tobacco in combination with tobacco substitute composition for use as a snuff in the oral cavity
US20080011311A1 (en) Nicotine-Reducing Agent And Nicotine Reducing Method
US20170318858A1 (en) A tobacco or non-tobacco product comprising magnesium carbonate
US20060254606A1 (en) Novel smoking composition
EP2692252B1 (en) Cigarette
US20180199617A1 (en) Tobacco Free Hookah Smoking Gel
RU2011115135A (ru) Фильтр для избавления от табакозависимости и детоксикации, мундштук для сигарет и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EP4030935A1 (en) A smokeless article
CN101528199B (zh) 改良的鼻烟组合物
US20050263165A1 (en) Tobacco leaf substitute
EP3868222A1 (en) Smokeless article
US20210195937A1 (en) Composition for a tobacco-free chew with liquid synthetic nicotine
WO2021165418A1 (en) Smokeless article
CN1943457B (zh) 一种香烟过滤剂
US20040094170A1 (en) Nicotine free cigarette substitute
EP3868221A1 (en) Smokeless article
EP3868223A1 (en) Smokeless article
EP3861873A1 (en) Container for smokeless article
CN104287092A (zh) 一种保健过滤烟嘴
EP4070671B1 (en) A flavoured oral pouched nicotine product comprising an acid
KR20130095598A (ko) 방향성 충진필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담뱃대
US20220386685A1 (en) Smokeless article
CA3124606C (en) Aerosol generation
EP4201229A1 (en) A method for preparing a hookah consumabl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