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5410A -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5410A
KR20070005410A KR1020050060935A KR20050060935A KR20070005410A KR 20070005410 A KR20070005410 A KR 20070005410A KR 1020050060935 A KR1020050060935 A KR 1020050060935A KR 20050060935 A KR20050060935 A KR 20050060935A KR 20070005410 A KR20070005410 A KR 20070005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mobile communication
main body
push butt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섭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0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5410A/ko
Publication of KR20070005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록을 갖는 본체부, 배터리록에 결합되는 로킹홈을 가지고 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팩, 본체부와 배터리팩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푸시버튼 및 푸시버튼의 가압 동작에 기초하여 로킹홈에 대해 배터리록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체부에 대해 배터리팩을 용이하게 착탈시키되, 특히 배터리팩을 분리할 경우에 손톱 손상을 저지하면서도 안전하게 배터리팩을 분리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배터리, 배터리팩, 로킹, 버튼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Portab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개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푸시버튼의 가압에 따른 로킹부의 동작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통신단말기 12 : 본체부
14 : 폴더부 20 : 배터리팩
24 : 배터리록 25 : 가이드
26 : 로킹홈 27 : 푸시버튼
30 : 로킹부 31 : 랙기어
32 : 피니언 33 : 링크부재
34 : 제1링크부분 35 : 제2링크부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에 대해 배터리팩을 용이하게 착탈시키되, 특히 배터리팩을 분리할 경우에 손톱 손상을 저지하면서도 안전하게 배터리팩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자주 이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써 배터리팩이 장착된다. 배터리팩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상체로 형성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부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배터리팩의 착탈을 위해 통상적으로 배터리팩의 상부 중앙영역에는 수 센티미터 가량의 로킹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의 배면에는 로킹홈에 걸리는 배터리록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서 본체부에 배터리팩을 결합시킬 경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으나, 배터리팩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끝 또는 손톱으로 배터리록을 밀어 올린 후, 배터리팩을 분리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불편하다. 특히, 배터리록이 상대적으로 작은 구조물이고, 통상적으로 로킹홈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록을 밀어 올리는 과정에서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사례도 종종 발견된다. 따라서 배터리팩의 착탈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에 대해 배터리팩을 용이하게 착탈시키되, 특히 배터리팩을 분리할 경우에 손톱 손상을 저지하면서도 안전하게 배터리팩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배터리록을 갖는 본체부; 상기 배터리록에 결합되는 로킹홈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팩;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배터리팩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푸시버튼; 및 상기 푸시버튼의 가압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로킹홈에 대해 상기 배터리록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배터리록과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일단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면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시버튼은 막대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로킹부는, 상기 푸시버튼에 형성된 랙기어;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 상기 랙기어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피니언; 및 일단은 상기 피니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배터리록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의 일방향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록을 상기 로킹홈으로부터 로킹해제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부재는, 양단이 상기 피니언의 회전중심부와 상기 피니언의 외주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중심부에 대해 상기 외주부를 따라 회전하는 제1링크부분; 및 양단이 상기 피니언의 외주부와 상기 배터리록에 각각 결합되는 제2링크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랙기어는 상기 푸시버튼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피니언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형은 상기 피니언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영역에만 국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버튼 영역에 마련되어 가압된 상기 푸시버튼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면 개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전면을 개폐하는 폴더부(14)와, 본체부(12)와 폴더부(14) 사이에 마련되어 폴더부(14)를 본체부(12)에 대해 회동시키는 힌지(16)와, 본체부(12)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팩(20)을 갖는다.
본체부(12)의 내면에는 복수의 입력버튼(12a)이 구비되어 있으며, 입력버튼(12a)들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혹은,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송신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2)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조정버튼(12c)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조정버튼(12c)들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12a)들과는 달리 수신 음량을 조정하거나 혹은 키톤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조정버튼(12c)들의 인접 영역에는 안테나(18)가 마련되어 있다.
폴더부(14)의 내면에는 전화번호, 배터리팩(20)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 등을 확인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창(14a)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 이창(14a)의 상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디스플레이창(14a)이 폴더부(14)의 내면에 마련되고 입력버튼(12a)들이 본체부(12)에 마련된 이동통신단말기(10)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창(14a)이 입력버튼(12a)들과 함께 본체부(12)에 마련된 이동통신단말기(미도시)도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이렇듯, 디스플레이창(14a)과 입력버튼(12a)들은 어디에 배치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과는 무관한 것이다.
배터리팩(20)은 본체부(12)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통신단말기(1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팩(20)은 통상적으로 충전식으로 채용되는데, 그 종류에 따라서 납산(Lead-Acid) 배터리, 니켈 카드뮴(Ni-Cd) 배터리, 니켈 수소(Ni-Mh) 배터리, 리튬이온 충전지(Lithium-ion), 리튬폴리머 충전지(Polymer) 등의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
배터리팩(20)의 내면 하부영역에는 본체부(12)의 배면에 마련된 제1전원단자(13)에 맞물려 배터리팩(20) 내의 전원을 이동통신단말기(10)의 본체부(12)로 제공하는 전원단자(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팩(20)의 배면 하부영역에는 외부로 노출된 충전단자(23)가 마련되어 있다. 충전단자(23)는 제2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도시 않은 충전기에 의해 전원이 충전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푸시버튼의 가압에 따른 로킹부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배터리팩(20)의 상부 중앙영역에는 본체부(12)에 마련 된 배터리록(24)이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로킹홈(26, 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즉, 배터리록(24)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로킹홈(26)으로부터 로킹해제됨으로써 배터리팩(20)을 본체부(12)에 대해서 분리할 수 있고, 배터리록(24)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로킹홈(26)에 걸리게 됨으로써 배터리팩(20)이 본체부(12)에 결합된다. 본체부(12)에 마련된 배터리록(24)은 가이드(25, 도 3 및 도 4 참조)에 의해 본체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동작은 극히 일반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본체부(12)에 대해 배터리팩(20)을 용이하게 착탈시키기는 하되, 특히 배터리팩(20)을 분리할 경우에는 굳이 배터리록(24)이 상부로 밀어 올리지 않더라도 쉽고 안전하게 배터리팩(20)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더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때, 본체부(12)의 배면에는 배터리록(24)과 이격된 위치로 푸시버튼(27)이 더 마련되어 있다. 푸시버튼(27)은 배터리록(24)을 동작시키는 수단으로, 손가락과 접촉하는 일단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손가락의 넓은 면으로 푸시버튼(27)을 가압하는 동작만으로도 본체부(12)에 대해 배터리팩(20)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사고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푸시버튼(27)은 막대형상을 가지고, 본체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푸시버튼(27)을 가압할 경우, 배터리록(24)이 가이드(25)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로킹홈(26)으로부터 로킹해제되고(도 4 참조), 반대의 경우에 배터리록(24)이 가이드(25)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로킹홈(26)에 로킹된다(도 3 참조). 따라서 푸시버튼(27)이 위치하는 본체부(12)에는 가압된 푸시버튼(27)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최소한의 수단으로 복귀스프링(28)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푸시버튼(27)과 배터리록(24) 사이에는 푸시버튼(27)의 가압 동작에 기초하여 로킹홈(26)에 대해 배터리록(24)을 로킹해제하는 로킹부(30)가 더 마련되어 있다.
로킹부(30)는, 푸시버튼(27)에 형성된 랙기어(31)와, 랙기어(31)에 맞물리는 기어치형(32a)을 가지고 랙기어(31)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피니언(32)과, 일단은 피니언(32)에 결합되고 타단은 배터리록(24)에 결합되어 피니언(32)의 일방향 회전에 기초하여 배터리록(24)을 로킹홈(26)으로부터 로킹해제하는 링크부재(33)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27)은 막대형상을 가지므로 랙기어(31)는 푸시버튼(27)의 일측에 푸시버튼(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피니언(32)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형(32a)은 랙기어(31) 영역만을 이동하면 되기 때문에 피니언(32)의 외주면 모두에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도시된 것처럼 외주면 일부영역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성형에 번거롭다면 피니언(32)의 외주면 전 영역 모두에 기어치형(32a)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링크부재(33)는, 양단이 피니언(32)의 회전중심부와 피니언(32)의 외주부에 각각 배치되어 회전중심부에 대해 외주부를 따라 회전하는 제1링크부분(34)과, 양 단이 피니언(32)의 외주부와 배터리록(24)에 각각 결합되는 제2링크부분(35)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및 제2링크부분(34,35)은 상대적으로 접철되면서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본체부(12)에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팩(20)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배터리록(24)이 하사점(H1)에 위치한 상태이면, 배터리록(24)이 로킹홈(26)에 로킹된 상태이다. 따라서 배터리팩(20)은 본체부(12)의 배면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의 배면에 노출되어 있는 푸시버튼(27)을 "A"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때, 손톱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손가락의 넓은 면으로 손쉽게 가압하면 되기 때문에 손톱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방향으로 푸시버튼(27)이 가압되면, 가압한 만큼 푸시버튼(27)이 아래로 이동한다. 이동하는 가운데. 푸시버튼(27)의 랙기어(31)에 기어로 맞물려 있는 피니언(32)이 일방향(시계방향, B 참조)으로 회전한다.
피니언(32)이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제1링크부분(34)은 피니언(32)의 회전중심부에 결합되어 있는 일단(34a)에 대해 타단(34b)이 피니언(3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각도 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1링크부분(34)의 타단(34b)에는 제2링크부분(35)의 일단(35a)이 함께 링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링크부분(34)의 타단(34b)이 이동함에 따라 제2링크부분(35)의 일단(35a)이 따라서 이동하면서 타단(35b)을 끌어당긴다. 따라서 제2 링크부분(35)의 타단(35b)에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록(24)은 가이드(25)를 따라 상측인 상사점(H2)으로 이동하면서 로킹홈(26)으로부터 로킹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상용자는 본체부(12)에 대해 배터리팩(20)을 분리하면 된다.
다음, 푸시버튼(27)을 가압했던 힘을 제거하면, 푸시버튼(27) 영역에 마련된 복귀스프링(28)으로 인해 푸시버튼(27)은 원상태인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피니언(32)을 전술한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니언(32)이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제1링크부분(34)은 피니언(32)의 회전중심부에 결합되어 있는 일단(34a)에 대해 타단(34b)이 피니언(3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각도 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1링크부분(34)의 타단(34b)에는 제2링크부분(35)의 일단(35a)이 함께 링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링크부분(34)의 타단(34b)이 이동함에 따라 제2링크부분(35)의 일단(35a)이 따라서 이동하면서 타단(35b)을 민다. 따라서 제2링크부분(35)의 타단(35b)에 결합되어 있는 배터리록(24)은 가이드(25)를 따라 하측인 하사점(H1)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이러한 상태에서 배터리팩(20)이 본체부(12)의 배면에 위치하고 있다면, 배터리록(24)은 로킹홈(26)에 로킹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12)에 대해 배터리팩(20)을 용이하게 착탈시키되, 특히 배터리팩(20)을 분리할 경우에 종래와 같이, 손톱 손상을 저지하면서도 안전하게 배터리팩(20)을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만, 플립형이나 혹은 슬라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에 대해 배터리팩을 용이하게 착탈시키되, 특히 배터리팩을 분리할 경우에 손톱 손상을 저지하면서도 안전하게 배터리팩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배터리록을 갖는 본체부;
    상기 배터리록에 결합되는 로킹홈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팩;
    상기 본체부와 상기 배터리팩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푸시버튼; 및
    상기 푸시버튼의 가압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로킹홈에 대해 상기 배터리록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해제하는 로킹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배터리록과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되, 적어도 일단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면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은 막대형상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푸시버튼에 형성된 랙기어;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 상기 랙기어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피니언; 및
    일단은 상기 피니언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배터리록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의 일방향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록을 상기 로킹홈으로부터 로킹해제하는 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양단이 상기 피니언의 회전중심부와 상기 피니언의 외주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중심부에 대해 상기 외주부를 따라 회전하는 제1링크부분; 및
    양단이 상기 피니언의 외주부와 상기 배터리록에 각각 결합되는 제2링크부분;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상기 푸시버튼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형은 상기 피니언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 영역에 마련되어 가압된 상기 푸시버튼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060935A 2005-07-06 2005-07-06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05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935A KR20070005410A (ko) 2005-07-06 2005-07-06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935A KR20070005410A (ko) 2005-07-06 2005-07-06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410A true KR20070005410A (ko) 2007-01-10

Family

ID=3787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935A KR20070005410A (ko) 2005-07-06 2005-07-06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54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527B1 (ko) 양변위 기구 및 일체의 래칫을 가진 배터리하우징
JP3206830U (ja) カードが収納可能な携帯電話の半自動スライドケース
US7824792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934568B2 (en) Extending hinged flip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device
KR200476233Y1 (ko) 휴대폰 케이스
JPH05504441A (ja) 一体化限定移動ガイドレールを備えたバッテリ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
KR100631046B1 (ko) 단락방지스위치를 구비한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팩
KR20070005410A (ko) 이동통신단말기
US20060097693A1 (en) Battery pack having short circuit prevention function
KR100680809B1 (ko) 이동단말기
KR101137836B1 (ko) 다목적 사이드키를 갖는 이동단말기
WO2014067026A1 (zh) 滑轨式后背电源
KR100665814B1 (ko) 인테나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JPH0720168B2 (ja) 電気機器
KR200372669Y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케이스의 계면 걸림 방지 구조
KR100659051B1 (ko) 배터리플립 휴대폰
JPH07115676A (ja) 携帯形端末装置
KR20070054064A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
KR20070029025A (ko) 자가발전 충전방식을 갖는 이동단말기
KR940008201Y1 (ko) 밧데리팩의 오삽입 방지구조
WO2010009622A1 (zh) 电子产品保护套
CN110959240A (zh) 一种多功能移动电源
KR20070024067A (ko)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시계를 갖는 이동단말기
JP2006223086A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
CN113271809A (zh) 电力屏幕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