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473A -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473A
KR20070003473A KR1020050059474A KR20050059474A KR20070003473A KR 20070003473 A KR20070003473 A KR 20070003473A KR 1020050059474 A KR1020050059474 A KR 1020050059474A KR 20050059474 A KR20050059474 A KR 20050059474A KR 20070003473 A KR20070003473 A KR 2007000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uil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1272B1 (ko
Inventor
전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2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0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배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본체에 결합되는 배터리커버와; 일측은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의 저부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할 경우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수용부로부터 인출되게 가압되도록 하는 배터리인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이 가능한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BATTERY}
도 1은 종래의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터리인출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배터리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배터리의 인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배터리의 인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단말기본체 111 : 본체부
112 : 폴더부 115 : 배터리수용부
123 : 이탈방지돌기 124 : 인출공
127,143 : 가이드홈 131 : 배터리커버
141 : 배터리 144 : 경사면
151 : 배터리인출부재 153 : 경사부
본 발명은,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이 가능도록 한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13)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10)와, 배터리수용부(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31)와, 배터리수용부(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단말기본체(10)에 결합되는 배터리커버(41)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본체(10)는 서로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11) 및 폴더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1)의 배면에는 배터리(31)가 두께방향을 따라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수용부(13)의 상측 내부에는 내장형안테나(14)가 수용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13)의 양측 연부에는 복수의 리브(15)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수용부(13)의 상부 영역에는 배터리(31)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함몰되게 한 쌍의 인출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홈(16)의 상측에는 후크수용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수용부(13)의 하부영역에는 리브수용홈(18)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13)의 양측 상부영역에 형성된 리브(15)에는 폭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후크결합부(1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터리커버(41)는 판상부재로 형성되며, 상부 연부 중앙영역에는 후크수용홈(19)에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상부후크(43)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커버(41)의 양측 내부 상부영역에는 배터리커버(41)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후크결합부(17)와 맞물림되게 측부후크(4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리브수용홈(18)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리브(47)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배터리수용부(13)의 일 측에 배터리(31)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홈(16)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나 인출홈(16)을 통해 손과 배터리(31)의 접촉면적이 충분치 못하여 배터리(31)의 인출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배터리수용부(13)의 상측에 내장형안테나(14)가 수용 설치되는 경우 인출홈(16)의 깊이가 충분치 못하게 될 수도 있으며, 인출홈(16)의 형성 자체가 곤란하게 될 수도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간 활 용이 가능한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본체에 결합되는 배터리커버와; 일측은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의 저부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할 경우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수용부로부터 인출되게 가압되도록 하는 배터리인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저 부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저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내측 단부에는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게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인출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접촉면 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외측 단부는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측벽을 따라 절곡되게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측벽에는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외측 단부 중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인출 부재의 외측 단부는 상기 배터리커버에 의해 차단되게 상기 배터리수용부측으로 절곡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내측 단부의 일 측에는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가 불시에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돌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배터리커버는 상기 단말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외측 단부는 상기 배터리커버에 일체로 연결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터리인출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배터리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터리의 인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110)와, 배터리수용부(1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141)와, 배터리수용부(11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단말기본체(110)에 결합되는 배터리커버(131)와, 일측은 배터리수용부(115)의 내부에 배터리(141)와 접촉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배터리수용부(115)의 외부에 배치되어 배터리수용부(115)의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할 경우 배터리(141)가 배터리수용부(115)로부터 인출되게 가압되도록 하는 배터리인출부재(15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말기본체(110)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111) 및 폴더부(112)를 구비한 소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본체부(111)의 배면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수용부(115)의 외각에는 배터리커버(131)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버결합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커버(131)는 비교적 얇은 판상부재로 형성되고, 상부연부의 중앙영역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후크(133)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커버(131)의 하부 연부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결합리브(1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되게 배터리수용부(115)의 상측에는 후크(13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로커(11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수용부(115)의 하측에는 결합리브(135)가 각각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리브수용홈(1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터리수용부(115)의 상부 측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배터리(141)가 불시에 배터리수용부(115)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탈방지돌기(123)의 일측 저부면에는 본체부(111)의 폭방향을 따 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터리인출부재(151)를 수용 및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127)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115)의 측벽에는 배터리인출부재(151)의 일측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공(124)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인출공(124)의 일측에는 배터리인출부재(151)가 돌출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도록 배터리인출부재(151)가 수용되는 수용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인출부재(151)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수용부(115)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 단부(152a)에는 일정 구간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되도록 상향 경사지게 경사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115)의 외부로 인출된 외측 단부(152b)는 배터리수용부(115)의 측벽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배터리(141)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결합 시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이탈방지돌기(123)가 이탈될 수 있게 이탈방지돌기(123)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146)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141)의 저부면에는 배터리인출부재(151)를 수용함과 아울러 슬라이딩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4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43)에는 경사부(153)의 기울기에 대응되게 경사진 경사면(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터리(141)를 인출하고자 할 때는, 배터리커버(131)가 분리된 상태에서 배터리인출부재(151)의 외측 단부(152b)를 잡고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하면, 배터리인출부재(151)는 가이드홈(127,143)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경사부(153)에 접촉된 배터리(141)의 경사면(144)이 상향 가압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이탈방지돌기(123)가 돌기수용홈(146)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배터리(141)가 배터리수용부(115)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배터리(141)를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터리(141)를 수납하고자 할 때는, 배터리인출부재(151)의 외측 단부(152b)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배터리인출부재(151)의 내측 단부(152a)가 가이드홈(127)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한 후 배터리(141)를 수납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배터리의 인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110)와, 배터리수용부(115)에 수용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141)와, 일측은 배터리수용부(115)의 내부에 배터리(141)의 저부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배터리수용부(115)의 외부에 배치되어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할 경우 배터리(141)가 배터리수용부(115)로부터 인출되도록 가압하는 배터리인출부재(15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말기본체(110)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111) 및 폴더부(112)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부(111)의 배면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115)의 저부면에는 폭방향 을 따라 배터리인출부재(151)가 수용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홈(128)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홈(128)의 저부면 중 단부영역에는 배터리인출부재(151)의 인출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경사면(129)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115)의 측벽에는 배터리인출부재(151)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공(124)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두께방향을 따라 인출공(124)의 일측에는 배터리인출부재(151)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125)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터리인출부재(151)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수용부(115)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 단부(152a) 영역에는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경사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115)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간은 본체부(111)의 측벽을 따라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단부(152b)는 배터리커버(131)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배터리수용부(115)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터리(141)를 인출하고자 할 때는, 먼저 배터리커버(131)를 분리하여 배터리인출부재(151)의 외측 단부(152b)가 노출되도록 한 후, 배터리인출부재(151)의 외측 단부(152b)를 본체부(111)의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한다. 배터리인출부재(151)는 가이드홈(128)을 따라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경사부(154)는 경사면(129)을 따라 상향 슬라이딩되어 배터리(141)가 배터리수용부(115)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배터리(141)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141)는 배터리수용부(115)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의 개구측으로 소정 폭 으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배터리(141)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110)와, 배터리수용부(1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141)와, 배터리수용부(115)를 개폐할 수 있도록 단말기본체(110)에 결합되는 배터리커버(131)와, 일측은 배터리수용부(115)의 내부에 배터리(141)의 저부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배터리수용부(115)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배터리커버(131)와 일체로 연결되며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할 경우 배터리(141)가 배터리수용부(115)로부터 돌출되게 가압되도록 하는 배터리인출부재(15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말기본체(110)는 본체부(111) 및 폴더부(112)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11)의 배면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115)의 상측에는 배터리커버(131)의 후크(13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로커(118)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배터리인출부재(151)가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공(12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115)의 저부에는 배터리인출부재(151)가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28)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홈(128)의 저부면에는 본체부(111)의 하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경사면(12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터리인출부재(151)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수용부(115)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 단부(152a) 영역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될 수 있도록 저부면이 경사진 형태로 경사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115)의 외부로 인출된 배터리인출부재(151)의 외측 단부(152b)는 배터리커버(131)의 하단에 관통형성된 결합공(155)을 통과하여 배터리커버(13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터리(141)를 인출하고자 할 때는 배터리커버(131)를 본체부(111)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배터리커버(131)를 잡고 배터리인출부재(151)가 하측으로 당겨지도록 인장력을 가하면 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인출부재(151)의 경사부(154)는 가이드홈(128)의 저부 경사면(129)을 따라 슬라이딩 됨과 아울러 배터리(141)의 저부면을 상향 가압하여 배터리(141)가 배터리수용부(115)의 상측으로 소정 폭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141)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본체에 결합되는 배터리커버와; 일측은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의 저부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할 경우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수용부로부터 인출되게 가압되도록 하는 배터리인출부재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이 가능한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Claims (10)

  1. 배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배터리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본체에 결합되는 배터리커버와;
    일측은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배터리의 저부면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외측으로 인장력을 가할 경우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수용부로부터 인출되게 가압되도록 하는 배터리인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저 부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저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내측 단부에는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게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인출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접촉면 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외측 단부는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측벽을 따라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측벽에는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외측 단부 중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인출 부재의 외측 단부는 상기 배터리커버에 의해 차단되게 상기 배터리수용부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내측 단부의 일 측에는 상기 배터리수용부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가 불시에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돌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커버는 상기 단말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인출부재의 외측 단부는 상기 배터리커버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59474A 2005-07-02 2005-07-02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6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474A KR100761272B1 (ko) 2005-07-02 2005-07-02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474A KR100761272B1 (ko) 2005-07-02 2005-07-02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473A true KR20070003473A (ko) 2007-01-05
KR100761272B1 KR100761272B1 (ko) 2007-09-28

Family

ID=3787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474A KR100761272B1 (ko) 2005-07-02 2005-07-02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2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257B1 (ko) * 2007-07-09 2010-10-26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내장팩형 배터리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143351B1 (ko) * 2010-07-13 2012-05-09 (주)한성전자 리모컨 배터리커버 분실방지를 위한 홀더체결구조
US9285843B2 (en) 2013-02-07 2016-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08Y1 (ko) 2015-01-15 2015-11-30 임성효 다기능 핸드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47B1 (ko) * 2002-04-11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 팩 및 그 장착구조
KR100536400B1 (ko) * 2003-08-19 2005-12-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내장형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257B1 (ko) * 2007-07-09 2010-10-26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내장팩형 배터리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143351B1 (ko) * 2010-07-13 2012-05-09 (주)한성전자 리모컨 배터리커버 분실방지를 위한 홀더체결구조
US9285843B2 (en) 2013-02-07 2016-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272B1 (ko) 200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0122B2 (en)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761272B1 (ko)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990698B2 (en) Portable extension memory storage device
KR200462307Y1 (ko)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KR100548432B1 (ko)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US10511342B1 (en) Cell phone case with card storage capability
KR101586088B1 (ko) 소켓 커넥터
KR101515386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460079B1 (ko) 카드용 소켓
KR101534467B1 (ko) 화장품 케이스
JP5078285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479806Y1 (ko) 나노심 및 마이크로에스디용 복층형 소켓커넥터
JP5241390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00004869U (ko) 휴대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KR100619816B1 (ko)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CN218787046U (zh) 钥匙
JP4549653B2 (ja) 化粧料容器
CN211789630U (zh) 一种固定结构及输入设备
KR1006424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75782B1 (ko)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체결장치
KR20100040544A (ko) 휴대 단말기의 커버 록킹장치
KR100511313B1 (ko)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KR100539798B1 (ko) 이동단말기의 케이스
KR100565288B1 (ko) 배터리 내장형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장치
KR1005247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