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617A -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617A
KR20070002617A KR1020050058226A KR20050058226A KR20070002617A KR 20070002617 A KR20070002617 A KR 20070002617A KR 1020050058226 A KR1020050058226 A KR 1020050058226A KR 20050058226 A KR20050058226 A KR 20050058226A KR 20070002617 A KR20070002617 A KR 20070002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parent electrode
liquid crystal
transmitted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훈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2617A/ko
Publication of KR2007000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의 공간적 분포를 제어하여 투과시키는 시야각 조정부; 시야각 조정부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입사받고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은,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의 공간적 분포를 제어하여 투과시키는 시야각 조정부; 시야각 조정부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입사받고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시야각 조정부의 제어에 의하여 액정패널을 투과하는 빛이 평행광이 되거나 또는 발산광이 되도록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이 표시되는 시야각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광시야각 구동모드 또는 협시야각 구동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개인적인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LC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된 렌티큘라 쉬트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투과되는 빛의 편광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된 시야각 조정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된 시야각 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된 시야각 조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액정패널 111... 제 1 하부기판
113... 제 1 액정층 115... 제 1 상부기판
117... 제 1 편광판 120... 시야각 조정부
121... 제 2 편광판 123... 제 2 하부기판
125... 제 2 액정층 127... 제 2 상부기판
129... 제 3 편광판 131... 렌티큘라 쉬트
140... 백라이트 유닛 401... 제 1 기판
403... 제 1 투명전극 405... 제 1 배향막
411... 제 2 기판 413... 제 2 투명전극
415... 제 2 배향막 701... 제 2 매질
703... 제 1 매질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이 표시되는 시야각(광시야각, 협시야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액정표시장치는 소비전력이 낮고, 휴대성이 양호한 기술집약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차세대 첨단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 사이에 액정을 형성하고, 이 액정의 이방성에 따른 빛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해 영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장치를 뜻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이 작은 경우에는 액정표시장치의 정면에서만 표시되는 영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시야각을 확대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 었다.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이 넓어지게 되었고, 액정표시장치의 사용자 뿐만 아니라 옆에 있는 사람도 표시되는 영상을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을 확대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현재에는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고 있다. 즉, 액정표시장치의 정면에 있는 사용자는 표시되는 영상을 제대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옆에 있는 타인은 표시되는 영상을 인지할 수 없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시야각(광시야각, 협시야각)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의 공간적 분포를 제어하여 투과시키는 시야각 조정부; 상기 시야각 조정부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입사받고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은,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의 공간적 분포를 제어하여 투과시키는 시야각 조정부; 상기 시야각 조정부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입사받고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을 포함 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조정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액정패널을 투과하는 빛이 평행광이 되거나 또는 발산광이 되도록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이 표시되는 시야각(광시야각, 협시야각)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110), 시야각 조정부(120), 백라이트 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140)은 영상표시를 위한 빛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시야각 조정부(120)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40)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의 공간적 분포를 제어하여 상기 액정패널(110)로 투과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정패널(110)은 상기 시야각 조정부(120)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입사받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액정패널(110)은 제 1 하부기판(111)과 제 1 상부기판(11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하부기판(111)과 제 1 상부기판(115) 사이에는 제 1 액정층(1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기판(115) 위에는 제 1 편광판(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야각 조정부(120)는 입사되는 빛의 공간적 분포를 제어하여 투과시키는 투과광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여기서는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으로서 액정패널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시야각 조정부(120)는 제 2 하부기판(123)과 제 2 상부기판(12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 하부기판(123)과 제 2 상부기판(127) 사이에는 제 2 액정층(1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하부기판(123)의 아래에는 제 2 편광판(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상부기판(127) 위에는 제 3 편광판(1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편광판(129) 위에는 렌티큘라 쉬트(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된 렌티큘라 쉬트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시야각 조정부(120)의 역할 및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투과되는 빛의 편광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투과되는 빛의 편광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라이트 유닛(14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비편광된 빛이다. 즉 상기 백라이트 유닛(140)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에는 제 1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과 제 2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편광된 빛은 상기 제 2 편광판(121)을 투과하면서 제 1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만이 투과되게 된다. 이는 상기 제 2 편광판(121)이 제 1 방향의 편광축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은 상기 제 2 액정층(125)을 투 과하면서 반파장의 위상지연이 발생되게 되고 제 2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이 된다. 이에 따라 제 2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은 상기 제 3 편광판(129)을 투과하게 된다. 상기 제 3 편광판(129)은 제 2 방향의 편광축을 구비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제 2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은 상기 액정패널(110)로 입사하게 되고, 상기 제 1 액정층(113)을 투과하면서 반파장의 위상지연이 발생되게 되고 다시 제 1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이 된다. 이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은 상기 제 1 편광판(117)을 투과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편광판(117)은 제 1 방향의 편광축을 구비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140)으로부터 제공되는 비편광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패널(110)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여기서는 노멀리 화이트 모드(Normally White Mode)로 구동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와 같은 빛의 편광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조정부(120)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된 시야각 조정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된 시야각 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조정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편광판(121), 투과광 제어수단(123)(125)(127), 제 3 편광판(129), 렌티큘라 쉬트(131)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편광판(121)은 입사되는 빛을 제 1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123)(125)(127)은 상기 제 2 편광판(121)에서 편광된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의 공간적 분포를 제어하여 투과시킨다. 상기 제 3 편광판(129)은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123)(125)(127)으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입사받고 제 2 방향으로 편광된 빛만을 투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3 편광판(129)을 투과한 빛은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를 거쳐 외부로 발광된다.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123)(125)(127)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 2 하부기판(123)을 구성하는 제 2 기판(411) 상의 전면에는 제 2 투명전극(413)이 간격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2 기판(411)에는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된 영역도 있고, 소정 간격으로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에 형성된 렌티큘라 렌즈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제 2 상부기판(127)을 구성하는 제 1 기판(401) 상의 전면에는 제 1 투명전극(40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투명전극(403)과 상기 제 2 투명전극(413) 사이에는 제 2 액정층(125)이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투명전극(403)과 제 2 투명전극(413)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의 유무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투과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액정층(125)을 배향하기 위한 제 1 배향막(405) 및 제 2 배향막(415)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3 편광판(129)과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를 구성하는 렌티큘라 렌즈의 중심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렌티큘라 렌즈면의 곡률반경(radius curvature, R)의 2배가 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 1 투명전극(403)과 제 2 투명전극(413)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의 유무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투과특성이 달라지게 되는데, 도 5를 참조하여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먼저 살펴 보기로 한다.
상기 제 1 투명전극(403)과 제 2 투명전극(413)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편광판(121)을 경유하여 상기 제 2 하부기판(123)의 전체영역에 입사되는 빛은 모두 반파장의 위상지연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반파장의 위상지연이 발생된 빛은 상기 제 2 상부기판(127) 및 상기 제 3 편광판(129)을 투과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편광판(129)을 투과한 빛은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를 투과하여 외부로 발산된다. 즉, 이와 같은 동작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와 별다른 차이점이 발생되지 않는 구동모드로서, 이러한 구동모드에서는 액정표시장치의 일반적인 시야각(광시야각)으로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투명전극(403)과 제 2 투명전극(413)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 사생활 보호모드(협시야각)로 영상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사용자 사생활 보호모드(협시야각)의 구동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투명전극(403)과 제 2 투명전극(413)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액정층(125)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정렬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제 2 하부기판(123)에는 상기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된 영역도 있고 형성되지 않은 영역도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상기 제 2 액정층(125)의 정렬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된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제 2 액정층(125)은 입사되는 빛에 대하여 위상지연 없이 투과시키게 되며, 상기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제 2 액정층(125)은 입사되는 빛에 대하여 반파장의 위상지연을 발생시켜 투과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된 영역으로 입사되어 투과되는 빛의 편광방향과, 상기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입사되어 투과되는 빛의 편광방향은 서로 수직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제 2 편광판(121)과 제 3 편광판(129)의 편광축이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설계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된 영역으로 입사하여 투과되는 빛은 상기 제 3 편광판(129)을 투과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투명전극(403)과 제 2 투명전극(413)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입사되어 투과되는 빛만이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로 입사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에 형성된 렌티큘라 렌즈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제 3 편광판 (129)과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를 구성하는 렌티큘라 렌즈의 중심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렌티큘라 렌즈면의 곡률반경(radius curvature, R)의 2배가 되도록 설계된다.
상기와 같은 설계 조건을 만족시키고 상기 제 3 편광판(129)을 투과하는 빛이 선광원이 된다면, 다음 [수학식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선광원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를 투과하여 평행광으로 진행하게 된다.
Figure 112005035542110-PAT00001
여기서, n은 렌즈의 굴절율이고 R1과 R2는 렌즈면의 곡률반경을 각각 나타내고, f는 촛점거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 2 투명전극(413)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간격 조정에 따라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로 입사되는 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를 투과하는 빛이 평행광선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평행광선을 이용하여 액정패널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를 구성하는 렌티큘라 렌즈의 길이 방향이 액정패널의 세로 방향으로 설계되는 경우에는, 액정패널의 좌/우 시야각이 협시야각으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의 좌/우에 있는 타인이 표시되는 영상을 인지할 수 없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백라이트 유닛과 같은 광원으로부터 제공 되는 빛을 모두 활용하지 못하고, 입사되는 빛의 일부만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게 됨으로써, 휘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된 시야각 조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야각 조정부의 다른 실시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보상부로서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제 1 매질(703)과 제 2 매질(701)을 배열함으로써, 입사되는 빛을 모두 집광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1 매질(703)이 삼각형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매질(703)과 다른 굴절율을 갖는 제 2 매질(701)이 역삼각형 형상으로 상기 제 1 매질(703) 사이에 배열되도록 구현한다. 이렇게 상기 제 1 매질(703) 및 제 2 매질(701)을 배열함으로써, 입사되는 빛이 모두 집광되어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매질(701)의 굴절율 n2가 상기 제 1 매질(703)의 굴절율 n1 보다 더 큰 값을 갖도록 설계된다. 이때, 상기 광원보상부(701)(703)를 투과하는 집광된 빛은 상기 렌티큘라 쉬트(131)를 구성하는 렌티큘라 렌즈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한편, 도 7에서는 상기 광원보상부(701)(703)가 상기 제 2 편광판(121)과 상기 제 2 하부기판(123) 사이에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상기 광원보상부(701)(703)는 상기 제 2 편광판(121)의 외측에 형성되어 백라이트 유닛과 같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집광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의하면, 영상이 표시되는 시야각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광시야각 구동모드 또는 협시야각 구동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개인적인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5)

  1.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의 공간적 분포를 제어하여 투과시키는 시야각 조정부;
    상기 시야각 조정부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입사받고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조정부는,
    입사되는 빛을 제 1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제 1 편광판;
    상기 제 1 편광판에서 편광된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의 공간적 분포를 제어하여 투과시키는 투과광 제어수단;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으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입사받는 제 2 편광판;
    상기 제 2 편광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렌티큘라 쉬트;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판의 편광축과 제 2 편광판의 편광축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은,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제 1 투명전극;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어 마련된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의 전면에 간격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형성된 제 2 투명전극;
    상기 제 1 투명전극 및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렌티큘러 쉬트에 형성된 렌티큘러 렌즈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렌티큘라 쉬트를 투과하는 빛은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렌티큘라 쉬트를 투과하는 빛은 평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광이 발생되는 영역은 상기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의 전체 영역에 입사되는 모든 빛은 반파장의 위상 지연이 발생되어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된 영역에 입사되는 빛은 위상 지연 없이 투과되며, 상기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입사되는 빛은 반파장의 위상 지연이 발생되어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 3 편광판의 편광축은 상기 제 1 편광축의 편광축과 동일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을 투과하여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 상기 시야각 조정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액정패널에서 평행광이 투과되거나 또는 발산광이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광판과 상기 렌티큘라 쉬트를 구성하는 렌티큘라 렌즈의 중심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렌티큘라 렌즈면의 곡률반경의 2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조정부는, 입사되는 빛이 집광되어 투과될 수 있도록 제 1 매질이 삼각형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매질과 다른 굴절율을 갖는 제 2 매질이 역삼각형 형상으로 상기 제 1 매질 사이에 배열된 광원보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보상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매질의 굴절율이 상기 제 1 매질의 굴절율 보다 더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보상부는 상기 제 1 편광판과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보상부는 상기 제 1 편광판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집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보상부를 투과하는 집광된 빛은 상기 렌티큘라 쉬트를 구성하는 렌티큘라 렌즈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9.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의 공간적 분포를 제어하여 투과시키는 시야각 조정부; 상기 시야각 조정부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입사받고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조정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액정패널을 투과하는 빛이 평행광이 되거나 또는 발산광이 되도록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조정부는,
    입사되는 빛을 제 1 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제 1 편광판;
    상기 제 1 편광판에서 편광된 빛을 입사받고, 그 입사된 빛의 공간적 분포를 제어하여 투과시키는 투과광 제어수단;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으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입사받는 제 2 편광판;
    상기 제 2 편광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렌티큘라 쉬트;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판의 편광축과 제 2 편광판의 편광축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은,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제 1 투명전극;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되어 마련된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의 전면에 간격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형성된 제 2 투명전극;
    상기 제 1 투명전극 및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상기 렌티큘러 쉬트에 형성된 렌티큘러 렌즈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렌티큘라 쉬트를 투과하는 빛은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렌티큘라 쉬트를 투과하는 빛은 평행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광이 발생되는 영역은 상기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의 전체 영역에 입사되는 모든 빛은 반파장의 위상 지연이 발생되어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28.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제 2 투명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된 영역에 입사되는 빛은 위상 지연 없이 투과되며, 상기 제 2 투명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입사되는 빛은 반파장의 위상 지연이 발생되어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29.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 3 편광판의 편광축은 상기 제 1 편광축의 편광축과 동일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30.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광판과 상기 렌티큘라 쉬트를 구성하는 렌티큘라 렌즈의 중심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렌티큘라 렌즈면의 곡률반경의 2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3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조정부는, 입사되는 빛이 집광되어 투과될 수 있도록 제 1 매질이 삼각형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매질과 다른 굴절율을 갖는 제 2 매질이 역삼각형 형상으로 상기 제 1 매질 사이에 배열된 광원보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보상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매질의 굴절율이 상기 제 1 매질의 굴절율 보다 더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보상부는 상기 제 1 편광판과 상기 투과광 제어수단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보상부는 상기 제 1 편광판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 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집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35.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보상부를 투과하는 집광된 빛은 상기 렌티큘라 쉬트를 구성하는 렌티큘라 렌즈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KR1020050058226A 2005-06-30 2005-06-30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02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226A KR20070002617A (ko) 2005-06-30 2005-06-30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226A KR20070002617A (ko) 2005-06-30 2005-06-30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617A true KR20070002617A (ko) 2007-01-05

Family

ID=3786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226A KR20070002617A (ko) 2005-06-30 2005-06-30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26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2421B2 (en) 2012-10-15 2015-06-09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for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2421B2 (en) 2012-10-15 2015-06-09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for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52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정보 기기
TWI515495B (zh) 高速液晶偏極化調變器
US8314918B2 (en) Display
US8797468B2 (en)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US8743298B2 (en) Display device
JP4890461B2 (ja) ディスプレイ素子
WO2017152521A1 (zh) 显示装置
JP2007127724A (ja) 液晶表示装置
JP4152912B2 (ja) デュアルフロントライトユニットを利用したデュアル液晶表示装置
EP3454108A2 (en) Optical element and display device
JP5230910B2 (ja) 透過型表示装置
JP2008083115A (ja) 液晶装置、電子機器
JP2005352068A (ja) 液晶表示装置
KR101291923B1 (ko) 액정표시장치
US8456596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JPH1010522A (ja) 液晶表示装置
KR10053983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159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009841A (ko) 보안 모드 선택형 투명 액정표시장치
KR2007000261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30076741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JP4754846B2 (ja) 液晶表示装置
US8928824B2 (en) Liquid crystal lens unit and stereoscopic display
KR101274027B1 (ko) 표시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204234B1 (ko)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액정혼합물을 사용한 단일갭형 반투과형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