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251A -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251A
KR20070002251A KR1020050057673A KR20050057673A KR20070002251A KR 20070002251 A KR20070002251 A KR 20070002251A KR 1020050057673 A KR1020050057673 A KR 1020050057673A KR 20050057673 A KR20050057673 A KR 20050057673A KR 20070002251 A KR20070002251 A KR 20070002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electrode
floating gate
pattern
form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성운
고용선
황재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2251A/en
Publication of KR2007000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2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A nonvolatile memory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coupling rate by rising volume of an insulation layer connected to a floating gate electrode. A substrate(100) has an active region and a field region that are alternatively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 tunnel oxide layer pattern is formed on the active region of the substrate. A floating gate electrode(114b) is formed on the tunnel oxide layer pattern and has a U-shaped isolation pattern shape. An insulation layer(118)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inside and outside, a front side, and a back side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eld region. A control gate electrode(123a) is formed on the insulation layer to be extended to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with the first direction.

Description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2 to 10 are perspective views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11 to 15 are top plan views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1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cut in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기판 102 : 패드 산화막 패턴100 substrate 102 pad oxide film pattern

104 : 제1 하드 마스크 패턴 105 : 소자 분리용 트렌치104: first hard mask pattern 105: trench for device isolation

106 : 제1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 107 : 제2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 106: first preliminary isolation pattern 107: second preliminary isolation pattern

107a : 소자 분리막 패턴 108 : 액티브 영역 107a: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08: active region

110 : 개구부 112 : 터널 산화막 패턴110 opening 112 tunnel oxide film pattern

114 : 제1 도전막 114a : 플로팅 게이트 전극막114: first conductive film 114a: floating gate electrode film

114b : 플로팅 게이트 전극 115 : 희생막 114b: Floating gate electrode 115: Sacrificial film

115a : 희생막 패턴 116 : 포토레지스트 패턴115a: sacrificial film pattern 116 photoresist pattern

118 : 유전막 123 : 제2 도전막 118 dielectric film 123 second conductive film

123a : 콘트롤 게이트 전극 123a: control gate electrode

본 발명은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링 비를 높일 수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increase the coupling rati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이 이 있다. 이 중 상기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F-N 터널링(Fowler-Nordheim tunneling) 또는 채널 열전자 주입(Channel hot electron injection)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구조를 갖는다.Nonvolatile memory devices include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or flash memory capable of electrically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Among them, the flash memory device has a structure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input and output of data by using F-N tunneling or channel hot electron injection.

상기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 유전막 및 콘트롤 게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스택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택 구조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대한 예들은 미합중국 특허 6,153,469호(issued to Yun et al), 미합중국 특허 6,455,374호(issued to Lee et al) 등에 개시되어 있다.The flash memory device generally has a stack structure in which a tunnel oxide layer, a floating gate, a dielectric layer, and a control gate are sequentially stacked. Examples of flash memory devices having such a stack structure are disclosed in US Pat. No. 6,153,469 (issued to Yun et al), US Pat. No. 6,455,374 (issued to Lee et al), and the like.

상기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콘트롤 게이트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에 전하를 주입하거나 빼냄으로서 프로그래밍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콘트 롤 게이트로부터 플로팅 게이트로 전달되는 전압은 커플링 비(coupling ratio)를 향상시킴으로서 전압 손실을 충분하게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 계수(R)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The flash memory device performs programming by applying a voltage to a control gate to inject or extract charges to the floating gate. At this time, the voltage transferred from the control gate to the floating gate can sufficiently reduce the voltage loss by improving the coupling ratio. Here, the coupling coefficient R is expressed as in Equation 1 below.

R = CONO / (CONO + CTO)R = C ONO / (C ONO + C TO )

(여기서, 상기 CONO는 유전막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내고, CTO는 터널 산화막 패턴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낸다)(Wherein C ONO represents the capacitance of the dielectric film and C TO represents the capacitance of the tunnel oxide film pattern)

그리고, 상기 유전막(19)의 커패시턴스(C)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In addition, the capacitance C of the dielectric film 19 is expressed by Equation 2 below.

C = (ε×A) / TC = (ε × A) / T

(여기서, 상기 ε은 유전막이 갖는 유전 상수를 나타내고, 상기 A는 유전막의 면적을 나타내고, 상기 T는 유전막의 두께를 나타낸다)(Wherein ε represents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dielectric film, A represents the area of the dielectric film, and T represents the thickness of the dielectric film)

따라서, 상기 커플링 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유전막(19)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방법, 상기 유전막(19)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구조를 변형시켜 유전막의 면적을 확장시킴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수준의 커플링 비를 얻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원하는 상기 커플링 비를 얻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현재에도 계속 연구 중에 있다.Accordingly, the coupling ratio may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dielectric layer 19 or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dielectric layer 19. However, 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floating gate is modified to expand the area of the dielectric lay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obtaining a desired level of coupling ratio. Therefore, various methods for obtaining the desired coupling ratio are still under study.

한편, 상기 스택 구조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형성하는 공정은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패턴, 플로팅 게이트 전극막, 유전막 및 콘트롤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고,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막, 유전막 및 플로팅 게이트 전극막을 패터닝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즉, 상기 콘트롤 게이트막을 먼저 패터닝한 후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계속적으로 유전막 및 플로팅 게이트 패턴을 패터닝함으로서 게이트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flash memory device of the stack structure is a step of forming a tunnel oxide film pattern, a floating gate electrode film, a dielectric film and a control gate electrode film on the substrate, and patterning the control gate electrode film, dielectric film and floating gate electrode It includes. That is, the gate structure may be completed by first patterning the control gate layer and subsequently patterning the dielectric layer and the floating gate pattern using the same mask.

그러나, 최근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상기 유전막의 단차가 증가됨에 따라 콘트롤 게이트 전극막을 패터닝하기 위한 박막의 식각 두께가 영역별로 크게 달라지고 있으며 박막의 식각 두께도 매우 두꺼워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막을 패터닝하면 특정 부위, 즉 콘트롤 게이트 전극막의 두께가 얇은 부위에서는 과도하게 식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식각할 시에 상기 과도 식각된 부위는 기판의 표면까지 식각됨으로서 액티브 피팅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액티브 피팅이 발생된 영역에 형성되는 단위 소자는 동작 불량이 발생하거나 동작 특성이 나쁘다. 따라서, 상기 액티브 피팅의 발생은 반도체 장치의 수율 및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준다. However, in recent flash memory devices, as the level of the dielectric film increases, the etching thickness of the thin film for patterning the control gate electrode film is greatly changed for each region, and the etching thickness of the thin film is also very thick. However, when the control gate electrode film is patterned, etching is excessively performed at a specific part, that is, a part where the thickness of the control gate electrode film is thin. Subsequently, when the floating gate electrode is etched, the excessively etched portion is etch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reby causing an active fitting phenomenon. The unit device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active fitting is generated may have an operation failure or poor operation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occurrence of the active fitting adversely affects the yield of the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reliability of the semiconductor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커플링 비율을 높힐 수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volatile memory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a coupling ratio.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상기한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액티브 영역과 필드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액티브 영역 상에 형성되는 터널 산화막 패턴과, 상기 터널 산화막 패턴 상에 형성되고 U자 형태의 고립 패턴 형상을 갖는 플로팅 게이트 전극과,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상부면, 내부 및 외부 측면, 전면, 후면 및 필드 영역 상부면에 형성되는 유전막 및 상기 유전막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트롤 게이트 전극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first object,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bstrate having an active region and a field reg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repeatedly arranged with each other, and on the active region of the substrate. A tunnel oxide layer pattern formed on the tunnel oxide layer, a floating gate electrode formed on the tunnel oxide layer pattern, and having a U-shaped isolation pattern shape, and an upper surface, an inner and outer side surface,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And a control gate electrode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dielectric layer formed on a surface thereof.

상기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우선 기판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렌치 소자 분리막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기판에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액티브 영역과 필드 영역을 마련한다. 상기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터널 산화막 패턴 상에 U자 형태의 고립 패턴 형상을 갖는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상부면, 내부 및 외부 측면, 전면, 후면 및 필드 영역 상부면에 유전막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유전막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트롤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second object, first by repeatedly forming a trench element isolation film protruding from the substrate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repeatedly The active area and the field area are arranged. A tunnel oxide film pattern is formed on the substrate. A floating gate electrode having a U-shaped isolation pattern shape is formed on the tunnel oxide layer pattern. A dielectric lay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inner and outer side surfaces,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eld region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Next, a control gate electrode is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and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방법에 의하면, U자 형태의 고립 패턴 형상을 갖는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먼저 형성함으로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상부면, 내부 및 외부 측면, 전면, 후면 및 필드 영역 상부면에 유전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 비해 유효 유전막의 면적이 확장됨으로서 높은 커플링 비를 수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by forming a floating gate electrode having a U-shaped isolated pattern shape first, a dielectric film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the inner and outer side surfaces,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eld region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 Therefore, a higher coupling ratio can be obtained by expanding the area of the effective dielectric film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 고자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액티브 영역과 필드 영역을 갖는 기판(100)이 구비된다. 상기 필드 영역에는 트렌치 소자 분리용 트렌치와 상기 소자 분리용 트렌치 내부를 매립하는 소자 분리막 패턴이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 a substrate 100 having an active region and a field reg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repeatedly arranged to each other is provided. The field region is provided with a trench isolation trench and a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filling the inside of the trench for trench isolation.

상기 기판(100)의 액티브 영역 상에 형성되는 터널 산화막 패턴(112)이 구비된다. The tunnel oxide layer pattern 112 is formed on the active region of the substrate 100.

상기 터널 산화막 패턴(112) 상에 형성되고, U자 형태의 고립 패턴 형상을 갖는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이 구비된다. A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is formed on the tunnel oxide layer pattern 112 and has an U-shaped isolation pattern.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의 상부면, 내부 및 외부 측면, 전면, 후면 및 필드 영역 상부면에 형성되는 유전막(118)이 구비된다. 즉, 상기 유전막(118)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의 저면을 제외한 전체 표면에 형성된다. A dielectric layer 11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inner and outer side surfaces,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eld region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That is, the dielectric layer 118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except for the bottom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상기 유전막(118)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상의 콘트롤 게이트 전극(123a)이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123a)은 도핑된 폴리실리콘 패턴(120a) 및 금속 또는 금속 실리사이드 패턴(122a)이 적층된 형상을 갖는다. The line-shaped control gate electrode 123a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dielectric layer 118. The control gate electrode 123a has a shape in which a doped polysilicon pattern 120a and a metal or metal silicide pattern 122a are stacked.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123a)의 선폭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의 제2 방향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123a)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을 완전히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The line width of the control gate electrode 123a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in the second direction. In addition, the control gate electrode 123a has a shape completely surrounding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123a) 상에는 제2 하드 마스크 패턴(124a)이 구비된다. The second hard mask pattern 124a is provided on the control gate electrode 123a.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플로팅 게이트 전극과 접촉하는 유전막의 증착 면적이 매우 증가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비해 높은 커플링 비를 갖는다.As described, in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osition area of the dielectric film in contact with the floating gate electrode is greatly increased. Therefore, it has a high coupling ratio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onvolatile memory device.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1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2 to 10 are perspective views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hrough 16 are top plan views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cut in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판(100) 상에 패드 산화막(도시안됨)을 형성한다. 상기 패드 산화막은 상기 기판의 표면을 산화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통해 실리콘 산화물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드 산화막은 10 내지 1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패드 산화막은 이 후에 형성되는 하드 마스크막과 기판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 2, a pad oxide film (not shown) is formed on a substrate 100 made of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silicon. The pad oxide layer may be formed by oxidizing a surface of the substrate or by depositing silicon oxide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The pad oxide film is formed to a thickness of 10 to 100 GPa. The pad oxide film is provided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hard mask film formed thereafter and the substrate.

상기 패드 산화막 상에 실리콘 질화물을 증착시켜 하드 마스크막(도시안됨)을 형성한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후속 공정을 통해 소자 분리용 트렌치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패턴으로 제공될 뿐 아니라, 플로팅 게이트 전극 형성을 위한 개구 부위를 생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목표한 플로팅 게이트 전극 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여야 한다. 후속의 세정 및 연마 공정 등을 진행하면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이 일부 소모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상기 목표한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두께에 상기 공정 중에 소모되는 막의 두께만큼 더 두껍게 형성하여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한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두께보다 100 내지 3000Å 더 두껍게 상기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한다.Silicon nitride is deposited on the pad oxide layer to form a hard mask layer (not shown). The hard mask layer not only serves as a mask pattern for forming a device isolation trench through a subsequent process, but also creates an opening for forming a floating gate electrode. Therefore, the hard mask layer should be formed thicker than the target floating gate electrode thickness. Since the hard mask film may be partially consumed during the subsequent cleaning and polishing process, the hard mask film should be formed thicker as the thickness of the film consumed during the process to the thickness of the target floating gate electrode. More specifically, the hard mask layer is formed to be 100 to 3000 microns thicker than the target floating gate electrode.

다음에, 사진 공정을 통해 소자 분리 영역을 선택적으로 노출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하드 마스크막 및 패드 산화막을 식각함으로서 패드 산화막 패턴(102) 및 제1 하드 마스크 패턴(104)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패턴(104)은 기판을 가로지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패턴(104)의 선폭 및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패턴(104)들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Next, a photoresist pattern is formed through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to selectively expose the device isolation region, and the hard oxide layer and the pad oxide layer are etched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 mask, thereby forming the pad oxide layer pattern 102 and the first hard mask pattern 104. ). The first hard mask pattern 104 has a line shap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cross the substrate. In addition, a line width of the first hard mask pattern 104 and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hard mask patterns 104 are substantially the same.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패턴(104)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기판(100)을 식각함으로서 소자 분리용 트렌치(105)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자 분리 트렌치(105)는 90nm이하의 미세한 선폭을 갖는다. Using the first hard mask pattern 104 as an etching mask, the substrate 100 is etched to form a trench 105 for device isolation. In this embodiment, the device isolation trench 105 has a fine line width of 90 nm or less.

이후, 상기 소자 분리용 트렌치(105)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 시에 발생한 기판의 손상을 치유하고 누설 전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트렌치 내벽 산화막(도시안함)을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 내벽 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생략할 수도 있다. Thereafter, a trench inner wall oxide layer (not shown) is formed to cure damage to the substrate generated during the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device isolation trench 105 and to prevent leakage current. The process of forming the trench inner wall oxide film may be omitted to simplify the process.

상기 소자 분리용 트렌치(105)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소자 분리용 절연막(도시안됨)을 형성한다. 상기 소자 분리용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물을 증착시켜 형성 할 수 있다. 상기 소자 분리용 절연막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고밀도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스핀온 글래스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An isolation layer (not shown) is formed to completely fill the inside of the isolation trench 105. The isolation layer for device isolation may be formed by depositing silicon oxide. The insulating layer for device isolation may be formed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high density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spin-on glass process, or the like.

다음에,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패턴(104)이 노출되도록 상기 소자 분리용 절연막을 연마함으로서 제1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106)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106)에 의해 기판의 액티브 영역(108) 및 필드 영역이 마련된다.Next, the first preliminary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06 is formed by polishing the device isolation insulating layer so that the first hard mask pattern 104 is exposed. The active region 108 and the field region of the substrate are formed by the first preliminary isolation layer pattern 106.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노출된 제1 하드 마스크 패턴(104)을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우선 불산(HF) 희석액을 사용하여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패턴(104)상에 형성되어 있는 산화물이나 파티클들을 세정한다. 다음에, 인산(H3PO4)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사용하여 상기 제1 하드 마스크 패턴(104)을 식각한다.3 and 11, the exposed first hard mask pattern 104 is removed through a wet etching process. Specifically, first, an oxide or particles formed on the first hard mask pattern 104 are cleaned using a hydrofluoric acid (HF) diluent. Next, the first hard mask pattern 104 is etched using an etching solution containing phosphoric acid (H 3 PO 4).

이 후, 상기 패드 산화막 패턴(102)을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해 제거함으로서 플로팅 게이트를 성형(mold)하기 위한 개구부(110)를 형성한다. 상기 패드 산화막 패턴(102)은 NH4OH, H2O2 및 H2O의 혼합액(통상적으로, SC1 또는 SC2)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pad oxide layer pattern 102 is removed by a wet etching process to form an opening 110 for forming the floating gate. The pad oxide layer pattern 102 may be removed using a mixture of NH 4 OH, H 2 O 2, and H 2 O (typically, SC 1 or SC 2).

상기 패드 산화막 패턴(102)을 식각할 시에 제1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106)의 측벽이 일부 식각되면서 상부 선폭이 감소된 제2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107)이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제2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107) 사이에 생성되는 상기 개구부(110)는 액티브 영역(108)의 선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다. When the pad oxide layer pattern 102 is etched, a second preliminary element isolation layer pattern 107 is formed in which a sidewall of the first preliminary element isolation layer pattern 106 is partially etched to reduce the upper line width. Therefore, the opening 110 formed between the second preliminary isolation layer pattern 107 has a width wider than the line width of the active region 108.

상기 공정에 의해 액티브 영역(108)의 기판 표면이 외부에 노출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액티브 영역(108)과 필드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 고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The process exposes the substrate surface of the active region 108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10, the active region 108 and the field region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re repeatedly arranged with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10)의 저면에 노출된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패턴(112)을 형성한다. 상기 터널 산화막 패턴(112)은 기판에 열 산화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된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tunnel oxide layer pattern 112 is formed on a substrate expos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110. The tunnel oxide layer pattern 112 may be formed of silicon oxide formed by performing a thermal oxidation process on a substrate.

다음에, 상기 개구부(110)의 측벽, 터널 산화막 패턴(112)의 표면 및 상기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의 표면 상에 연속적으로 제1 도전막(114)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도전막(114)은 상기 개구부(110) 내부를 완전히 채우지 않을 정도의 두께 즉, 상기 개구부(110) 내부 폭의 1/2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제1 도전막(114)은 후속 공정을 통해 플로팅 게이트 전극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1 도전막(114)은 저압 화학 기상 증착(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공정을 통해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 물질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도핑은 POCl3 확산, 이온주입, 또는 인-시튜 도핑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Next, a first conductive layer 114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opening 110, the surface of the tunnel oxide layer pattern 112, and the surface of the preliminary isolation layer patter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4 is formed to a thickness such that it does not completely fill the opening 110, that is, a thickness thinner than 1/2 of the inner width of the opening 110.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4 is provided to the floating gate electrode through a subsequent process.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4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 polysilicon material doped with impurities through a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process. The impurity doping may be performed by POCl 3 diffusion, ion implantation, or in-situ doping.

다음에, 상기 개구부(110) 내부를 완전히 채우는 희생막(115)을 형성한다. 상기 희생막(115)은 갭 매립 특성이 우수한 실리콘 산화물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Next, a sacrificial layer 115 is formed to completely fill the inside of the opening 110. The sacrificial layer 115 may be formed by depositing silicon oxide having excellent gap filling properties.

도 5 및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107)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도전막(도 9, 114)과 희생막(도 9, 115)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서 노드 분리된 플로팅 게이트 전극막(114a) 및 희생막 패턴(115a)을 형성한다. 상기 제거는 화학 기계적 연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막(114a)은 단면이 U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5 and 12, a node is remov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ayer (FIGS. 9 and 114) and the sacrificial layer (FIGS. 9 and 115) such that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eliminary isolation pattern 107 is exposed. The separated floating gate electrode layer 114a and the sacrificial layer pattern 115a are formed. The removal can be accomplished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The floating gate electrode film 114a has a U shape in cross section and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도 6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희생막 패턴(115a) 및 플로팅 게이트 전극막(114a) 상에 포토레지스트막(도시안됨)을 코팅한다. 다음에, 노광 및 현상 공정을 수행함으로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상의 포토레지스트 패턴(116)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플로팅 게이트 전극이 형성될 영역을 덮도록 형성한다. 6 and 13, a photoresist layer (not shown) is coated on the sacrificial layer pattern 115a and the floating gate electrode layer 114a. Next, by performing the exposure and development processes, a line-shaped photoresist pattern 116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The photoresist pattern is formed to cover a region where a floating gate electrode is to be formed.

도 7 및 14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16)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막(114a)을 식각함으로서 고립된 U자 형상의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을 형성한다. 상기 공정에서는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16)에 의해 노출된 희생막 패턴(115a) 및 제2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107)이 거의 식각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노출된 희생막 패턴(115a)및 제2 예비 소자 분리막(107)의 일부분이 다소 식각되더라도 공정 불량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7 and 14, an isolated U-shaped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is formed by etching the floating gate electrode layer 114a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116 as an etching mask. In the proc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sacrificial layer pattern 115a and the second preliminary isolation layer pattern 107 exposed by the photoresist pattern 116 are hardly etched. However, even if portions of the exposed sacrificial layer pattern 115a and the second preliminary isolation layer 107 are slightly etched, process failure does not occur.

상기와 같이, 고립된 U자 형상의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플로팅 게이트 전극막(114a)과는 달리 전면 및 후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solated U-shaped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has a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unlike the floating gate electrode film 114a having a line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다음에,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16)을 에싱 및 스트립 공정을 수행함으로서 제거한다. Next, the photoresist pattern 116 is removed by performing an ashing and stripping process.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 내부에 남아있는 희생막 패턴(115a) 및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의 측벽과 접하는 제2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107)의 일부분을 제거한다. 상기 공정에 의해, 제2 예비 소자 분리막 패 턴(107)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는 소자 분리막 패턴(107a)이 완성된다. Referring to FIG. 9, portions of the sacrificial layer pattern 115a remaining in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and the second preliminary isolation layer pattern 107 contacting sidewalls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are removed. By the above process, the device isolation film pattern 107a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preliminary device isolation film pattern 107 is completed.

이 때, 상기 희생막 패턴(115a)은 완전히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자 분리막 패턴이 상기 터널 산화막 또는 액티브 영역의 기판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예비 소자 분리막 패턴(107)의 상부 일부분만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거 공정에 의해,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의 상부면, 내부 및 외부 측면, 전면 및 후면이 외부에 노출된다. In this case, the sacrificial layer pattern 115a may be completely removed. In addition,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reliminary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107 may be removed so that the device isolation layer pattern does not contact the tunnel oxide layer or the substrate of the active region. By the removal process, the upper surface, the inner and outer side surfaces,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are exposed to the outside.

다음에,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의 상부면, 내부 및 외부 측면, 전면, 및 필드 영역 상부면에 연속적으로 유전막(118)을 형성한다. 상기 유전막(118)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막이 적층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전막(118)은 상기 실리콘 산화물에 비해 높은 유전율을 갖는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Next, the dielectric film 118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top surface, the inner and outer side surfaces, the front surface, and the field region upper surface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The dielectric layer 118 may be formed to have a stacked shape of a silicon oxide layer, a silicon nitride layer, and a silicon oxide layer. Alternatively, the dielectric layer 118 may be formed using a metal oxide having a higher dielectric constant than that of the silicon oxide.

그런데,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이 고립된 패턴 형상을 갖게 되어, 종래와는 달리 상기 유전막(118)을 형성하기 이 전 공정에서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의 전면 및 후면과 내부 및 외부 측면까지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전막(118)의 증착 면적이 증가된다. 이로 인해,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단위 셀에서 커플링비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has an isolated pattern shape, unlike in the prior art, the front, rear, and inside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in the previous process before forming the dielectric layer 118. And the deposition area of the dielectric layer 118 is increased because the exposure to the outer side. As a result, the coupling ratio in the unit cell of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유전막(118) 상에 제2 도전막(123)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도전막(123)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막(120)을 증착한 이 후 금속 또는 금속 실리사이드막(122)을 증착함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막(123) 상에 제2 하드 마스크막(124)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10, a second conductive layer 123 is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118.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23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 polysilicon layer 120 doped with impurities and then depositing a metal or metal silicide layer 122. A second hard mask layer 124 is form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23.

도 11, 15 및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하드 마스크막(124) 상에 포토레지스트막을 코팅하고 이를 노광 및 현상함으로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상의 포토레지스트 패턴(도시안됨)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2 하드 마스크막(124)을 식각함으로서 제2 하드 마스크 패턴(124a)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에싱 및 스트립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이 때, 도 16 및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하드 마스크 패턴(124)의 선폭이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의 제2 방향의 폭보다 넓게 되도록 한다. 11, 15 and 16, by coating a photoresist film on the second hard mask film 124, and exposing and developing the photoresist film, a line-shaped photoresist patter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 Not shown). The second hard mask pattern 124a is formed by etching the second hard mask layer 124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as an etching mask. Next, the photoresist pattern is removed through an ashing and stripping process.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line width of the second hard mask pattern 124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in the second direction.

이어서, 상기 제2 하드 마스크 패턴(124)에 의해 노출된 제2 도전막(123)을 식각함으로서 콘트롤 게이트 전극(123a)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123a)은 폴리실리콘막 패턴(120a)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막 패턴 또는 금속 패턴(122a)이 적층된 형상을 갖는다. Subsequently, the control gate electrode 123a is formed by etching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23 exposed by the second hard mask pattern 12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gate electrode 123a has a shape in which a metal silicide layer pattern or a metal pattern 122a is stacked on the polysilicon layer pattern 120a.

이 때,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이 이미 고립 패턴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제2 도전막(123)만을 패터닝하는 것으로 터널 산화막 패턴(112),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 유전막(118) 및 콘트롤 게이트 전극(123a)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콘트롤 게이트 전극(123a)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의 제2 방향의 폭보다 넓은 선폭을 가지면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114b)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already has an isolated pattern shape, only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23 is patterned to form the tunnel oxide layer pattern 112,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the dielectric layer 118, and the like. A gate structure including the control gate electrode 123a may be completed. The control gate electrode 123a formed through the process is formed to surround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while having a line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114b in the second direction.

설명한 것과 같이, 종래와는 달리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 이 후에 유전막 및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최종적으로 패터닝하는 공정이 수행되지 않는 다. 그러므로, 상기 유전막 및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최종적으로 패터닝하는 공정에서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액티브 피팅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related art, after the control gate electrode is formed, a process of finally patterning the dielectric layer and the floating gate electrode is not per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ctive fitting phenomenon frequentl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inally patterning the dielectric film and the floating gate electro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로팅 게이트 전극과 접촉하는 유전막의 면적이 증가됨으로서 높은 커플링 비율을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조할 시에 액티브 피팅과 같은 공정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dielectric layer in contact with the floating gate electrode is increased, thereby provid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a high coupling ratio. 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process defects such as active fittings can be reduc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of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8)

제1 방향으로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액티브 영역과 필드 영역을 갖는 기판;A substrate having an active region and a field region repeatedly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with each other; 상기 기판의 액티브 영역 상에 형성되는 터널 산화막 패턴;A tunnel oxide pattern formed on an active region of the substrate; 상기 터널 산화막 패턴 상에 형성되고, U자 형태의 고립 패턴 형상을 갖는 플로팅 게이트 전극;A floating gate electrode formed on the tunnel oxide film pattern, the floating gate electrode having a U-shaped isolation pattern shape;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상부면, 내부 및 외부 측면, 전면 및 후면 및 필드 영역 상부면에 형성되는 유전막; 및A dielectric layer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 inner and outer sid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eld region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And 상기 유전막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트롤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And a control gate electrode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n the dielectric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의 선폭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제2 방향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of claim 1, wherein a line width of the control gate electrode is wider than a width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in a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gate electrode has a shape surrounding the floating gate electrode. 기판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트렌치 소자 분리막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기판에 제1 방향으로 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액티브 영역과 필드 영역을 마련하는 단계;Forming a trench isolation layer which protrudes from the substrate and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n active region and a field region on the substrate that are repeatedly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상기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tunnel oxide pattern on the substrate; 상기 터널 산화막 패턴 상에 U자 형태의 고립 패턴 형상을 갖는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floating gate electrode having a U-shaped isolated pattern shape on the tunnel oxide layer pattern;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상부면, 내부 및 외부 측면, 전면 및 후면 및 필드 영역 상부면에 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 dielectric layer on upper surfaces, inner and outer sides, front and rear surfaces, and upper surface of the field region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And 상기 유전막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트롤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And forming a control gate electrode on the dielectric layer, the control gate electrode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orming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comprises: 상기 트렌치 소자 분리막 및 기판 표면 상에 연속적으로 플로팅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Continuously forming a floating gate electrode film on the trench device isolation layer and a substrate surface; 상기 트렌치 소자 분리막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막을 연마함으로서 라인 형태의 예비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 preliminary floating gate electrode in the form of a line by polishing the floating gate electrode layer to expose an upper surface of the trench device isolation layer; And 상기 예비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절단하여 U자 형태의 고립 패턴 형상을 갖는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And cutting the preliminary floating gate electrode in the second direction to form a floating gate electrode having a U-shaped isolation pattern shap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막 상에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sacrificial film on the floating gate electrode fil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 이 후에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상부 측면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exposing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after forming the floating gate electro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orming of the control gate electrode comprises: 상기 유전막 상에 콘트롤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Forming a control gate electrode film on the dielectric film; And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의 제2 방향의 폭보다 넓은 선폭을 가지면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전극을 감싸도록 상기 콘트롤 게이트 전극막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And patterning the control gate electrode layer to surround the floating gate electrode while having a line width wider than a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floating gate electrode.
KR1020050057673A 2005-06-30 2005-06-30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022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673A KR20070002251A (en) 2005-06-30 2005-06-30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673A KR20070002251A (en) 2005-06-30 2005-06-30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251A true KR20070002251A (en) 2007-01-05

Family

ID=3786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673A KR20070002251A (en) 2005-06-30 2005-06-30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225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7737B2 (en) Memory array
KR10066986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US703778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US20030199149A1 (en) Shallow trench isolation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KR10055451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814408B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20073960A (en) Sonos flash memory device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5533370A5 (en)
US20050064666A1 (en) Flash memory and methods of fabricating flash memory
JP2006513576A (en) Improved floating gate insulation and floating gate manufacturing method
KR10056762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438242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5010681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801062B1 (en) Method for trench isolation, method of forming a gate structure using the method for trench isolation and method of form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the method for trench isolation
KR20010003086A (en) Method for forming floating gates
KR2007000229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nand flash memory device
KR20020096610A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floating g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11834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053604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0628882B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02251A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11441B1 (en)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299479A (en) Method for forming self-aligned floating gate poly in active region of flash e2prom
KR10049391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KR2006012597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ating gate in non-volatile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