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396A -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396A
KR20070001396A KR1020050056859A KR20050056859A KR20070001396A KR 20070001396 A KR20070001396 A KR 20070001396A KR 1020050056859 A KR1020050056859 A KR 1020050056859A KR 20050056859 A KR20050056859 A KR 20050056859A KR 20070001396 A KR20070001396 A KR 20070001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former
driving
backligh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1030B1 (ko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030B1/ko
Priority to US11/320,566 priority patent/US7701147B2/en
Publication of KR20070001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396A/ko
Priority to US12/714,707 priority patent/US800420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0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electrodes in the vessel, e.g. surface discharge lamps, electrodeless discharge lamps
    • H05B41/2813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1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against abnormal lamp operating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LCC 보호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구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동장치는, 트랜스의 2차측 전압을 검출하는 LCC 보호회로와, 로우 레벨을 갖는 제1 구간의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LCC 보호회로로부터 인에이블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기 구동시에 인체가 접촉될 때의 전압 이하에서 인에이블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여 LCC 보호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백라이트, LCC, 인에이블, 오동작, 트랜스

Description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Device for driving backlight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관외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구동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1의 구동장치에 의한 전압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백라이트 구동장치에서 시간에 따른 전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동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2의 백라이트 구동장치에서 오동작 방지부와 LCC 보호회로의 상세한 회로 구성도.
도 6은 도 4의 백라이트 구동장치에서 제어신호와 전압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제어부 23: FET
25: 트랜스 27: 램프
30: LCC 보호회로 40: 오동작 방지부
본 발명은 백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LCC(Limited Current Circuit) 보호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발광소자(Field Emission Display),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한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크게 발광형과, 수광형으로 분류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발광소자, 발광다이오드는 발광형이고, 액정표시장치는 수광형이다.
특히, 액정표시장치는 그 자체가 발광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빛이 입사되어 화상을 형성하는 수광형 소자이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화상을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는 배면에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빛을 조사하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반적인 요구사양은 고휘도, 고효율, 휘도의 균일성, 장수명, 박형, 경량화, 저가격 등이다. 통상적으로, 노트북의 모니터의 경우 소비전력을 낮게 하기 위하여 고효율의 장수명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요구되고, 범용 PC의 모니터나 TV의 경우에는 고휘도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요구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에는 광을 제공하는 광원으로서 램프가 구비된다. 표시면에 대한 램프의 배치에 따라 에지형(edge type)과 직하형(direct type)으로 구분된다.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가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광을 수평방향으로 조사하고, 조사된 광을 도광판에 의해 전방의 액정패널로 진행시킨다. 이에 반해,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다수개의 램프들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각 램프들로부터 제공된 광이 직접 전방의 액정패널로 진행되게 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휘도가 요구되어야 하는데, 현재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켜 주는 램프로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가 있다.
이러한 냉음극 형광램프는 LC 공진형 인버터에서 얻어지는 수십 kHz의 낮은 교류전압을 승압 트랜스를 이용하여 냉음극 형광램프의 방전 개시 광 유지에 필요한 고전압을 얻는 것이다. 이때 인버터 출력파형은 사인파의 형태이다. 이러한 LC 공진형 인버터는 비교적 장치가 간단하고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복수의 냉음극 형광램프를 병렬 연결하여 하나의 인버터로 구동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냉음극 형광램프를 채용한 에지형 방식이나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에서는 냉음극 형광램프의 개수에 해당하는 인버터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냉음극 형광램프의 단점을 극복하고, 대형화 추세의 액정표시장치의 고휘도와 고효율을 보장하면서, 장수명과 경량화를 보장할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개발 요구에 부응하여 무전극 유리관에 관외전극을 형성한 관외전극 형광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가 개발되었다.
최근에 다수의 관외전극 형광램프를 반사판 위에 직하형으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백라이트를 구성하고, 이를 수 MHz의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관외전극 형광램프가 수만 cd/m2의 고휘도를 달성하였다.
이러한 관외전극 형광램프는 다수개를 병렬 연결하여 하나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관외전극 형광램프를 구동하게 되는 경우, 인버터의 출력단, 즉 트랜스의 출력단에서 상당한 량의 고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고전류는 인체에 접촉되는 경우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인체가 접촉되는 경우 관외전극 형광램프의 구동을 차단시키는 LCC(Limit Current Circuit) 보호회로가 구비된 백라이트 구동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외전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구동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1의 구동장치에 의한 전압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1)는 램프(17)를 구동하기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변조하여 PWM 신호를 FET(13)로 출력한다. 상기 FET(13)에는 외부에서 직류전압(Vin)이 공급되고 있다. FET(13)에는 4개의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캐패시터를 사이에 두고 병렬 연결되어 있다. 상기 PWM 신호의 첫 번째 펄스에 의해 정극성의 직류 구형 전압이 출력되고, 두 번째 펄스에 의해 부극성의 직류 구형 전압이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FET(13)에서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PWM 신호의 각 펄스에 응답하여 정극성 및 부극성의 직류 구형 전압이 번갈아 출력 되게 된다.
트랜스(15)는 각 직류 구형 전압을 일정 정도 승압시켜 램프(17)로 출력시킨다. 여기서, 램프(17)는 관외전극 형광램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트랜스(15)에 대해 다수의 관외전극 형광램프가 병렬로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병렬 연결된 관외전극 형광램프를 하나의 트랜스(15)로 구동할 수 있는 것이 관외전극 형광램프를 채용한 백라이트의 장점이다.
이와 같이 트랜스(15)로부터 일정 구간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되는 직류 구형 전압에 의해 관외전극 형광램프가 구동되기 때문에 균일한 휘도를 갖는 광이 발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랜스(15)의 2차측, 즉 트랜스(15)와 램프 사이에서 트랜스(15)나 램프(17)의 전기적 특성(Vo, Io)이 검출되어 LCC 보호회로(19)로 제공된다.
상기 LCC 보호회로(19)는 인체가 접촉되는 경우에는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제어부(11)로 제공하여 백라이트의 구동을 차단시키고 그 이외에는 어떠한 신호도 상기 제어부(11)로 제공되지 않게 되어 백라이트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게 한다.
통상, 램프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1500V의 전압이 요구된다. 이에 반해, 대략 2kΩ을 갖는 인체가 접촉되는 경우에는 200V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LCC 보호회로(19)는 트랜스(15)의 2차측의 전압이 200V인 경우에만 제어부(11)로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여 백라이트의 동작을 차단하고, 그 이외의 전압의 경우에는 어떠한 신호도 인가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하지만, 널리 공지되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구동시에 트랜스 (15)의 2차측의 전압은 0V에서 1500V로 증가하기 위한 라이징 타임(rising time)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트랜스(15)의 2차 전압은 반드시 인체가 접촉될 때의 전압과 동일한 전압(200V)을 지나치게 된다.
따라서 인체가 접촉되지 않아도 초기 구동시 트랜스(15)의 2차측의 전압이 라이징 타임에 의해 0V에서 200V가 될 때까지, LCC 보호회로(19)는 인체가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고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제어부(11)로 제공하여 백라이트의 구동을 차단시킨다. 이에 따라, 더 이상 백라이트 구동이 진행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초기 구동의 과정을 경과한 후 정상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초기 구동시 0V에서 200V의 범위에서 LCC 보호회로(19)가 오동작을 발생시켜 백라이트의 구동을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백라이트 구동장치는 인체가 접촉될 때와 동일한 전압을 갖는 초기 구동시에 오동작을 발생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백라이트 구동장치는 초기 구동시에 백라이트의 구동이 차단되어 수동으로 다시 설정한다 하더라도 초기 구동시 또 구동이 차단되므로, 근본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기 구동시의 소정 전압 범위 동안 인위적으로 시간 지연시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구동 신호를 바탕으로 구동 펄스를 생성하는 FET; 상기 구동 펄스를 승압시키는 트랜스; 및 상기 승압에 의해 방전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는, 상기 트랜스의 출력 전압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LCC 보호회로;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로우 레벨을 갖는 제1 구간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LCC 보호회로의 인에이블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구동 신호를 바탕으로 구동 펄스를 생성하는 FET; 상기 구동 펄스를 승압시키는 트랜스; 및 상기 승압에 의해 방전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구동 방법은, 로우 레벨을 갖는 제1 구간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간 동안 수신된 트랜스의 출력 전압에 대해 인에이블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동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동장치에서 제어부(21)는 램프(27)를 구동하기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변조하여 PWM 신호를 FET(23)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는 초기 구동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신호(S)를 오동작 방지부(4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신호(S)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레벨을 갖는 구형파로 이루어지는데, 처음부터 소정 시간까지의 범위는 반드시 로우 레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S)는 구간별로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을 교대로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처음부터 소정 시간(S)까지의 범위만 반드시 로우 레벨을 갖고, 나머지 구간에는 하이 레벨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 제어신호 중 어떠한 것이 사용되어도 상관없고, 중요한 것은 반드시 첫 번째 구간은 로우 레벨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l
상기 FET(23)에는 외부에서 직류전압(Vin)이 공급되고 있다. FET(23)에는 4개의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캐패시터를 사이에 두고 병렬 연결되어 있다. 상기 PWM 신호의 첫 번째 펄스에 의해 정극성의 직류 구형 전압이 출력되고, 두 번째 펄스에 의해 부극성의 직류 구형 전압이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FET(23)에서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PWM 신호의 각 펄스에 응답하여 정극성 및 부극성의 직류 구형 전압이 번갈아 출력되게 된다.
트랜스(25)는 각 직류 구형 전압을 일정 정도 승압(예컨대, 1500V)시켜 램프(27)로 출력시킨다. 여기서, 램프(27)는 냉음극 형광램프나 관외전극 형광램프일 수 있고, 상기 트랜스(25)에 대해 다수의 냉음극 형광램프나 관외전극 형광램프가 병렬로 연결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구동시 트랜스(25)의 내재된 저항 등으로 인해 전압은 0V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초기 구동 구간을 경과한 후 원하는 전압(예컨대, 1500V)에 도달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초기 구동시 트랜스(25)의 2차 전압은 0V부터 1500V로 증가하는 동안 반드시 200V를 지나간다는 사실이다.
인체 접촉시 트랜스(25)의 2차측 전압은 200V가 되므로, 200V 이하의 전압에서는 백라이트의 구동이 차단되도록 LCC 보호회로(30)가 설계된다.
따라서 초기 구동시 0V부터 200V에 의해 백라이트 구동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21)로부터 제어신호(S)를 입력받는 오동작 방지부(40)에 의해 LCC 보호회로(30)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LCC 보호회로(30)는 트랜스(25)의 2차측에 연결되어 트랜스(25)의 2차측 전압을 검출한다.
이러한 경우, 초기 구동에 의해 트랜스(25)의 2차측의 전압이 적어도 0V에서 200V가 되는 동안에는 오동작 방지부(40)에 의해 인에이블 신호(ENA)가 제어부(21)로 제공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적어도 200V 이상부터는 오동작 방지부(40)에 관계없이 LCC 보호회로(30)에 의해 인에이블 신호(ENA)가 제어부(21)로 제공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초기 구동시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구간 동안 인에이블 신호(ENA)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초기 구동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안정되고 신뢰성 있는 백라이트 구동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2의 백라이트 구동장치에서 오동작 방지부(40)와 LCC 보호회로의 상세한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CC 보호회로(30)는 검출부(31), 정류부(33), 비교부(35), 스위칭부(37)
상기 검출부(31)는 상기 트랜스(25)의 2차측에 연결되어 트랜스의 2차측의 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정류부(33)는 상기 검출부(31)에서 검출된 전압을 적분하여 직류 레벨로 변환한다.
상기 비교부(35)는 상기 정류부(33)로부터 변환된 직류 레벨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소정의 레벨을 출력한다. 상기 비교부(35)의 반전 단자에 정류부가 연결되고 비반전 단자에 기준 전압이 연결되므로, 상기 비교부(35)의 입력 레벨, 즉 직류 레벨이 반전된다. 예컨대, 직류 레벨이 기준 전압보다 크면 로우 레벨이 출력되고, 직류 레벨이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하이 레벨이 출력된다. 이때 기준 전압은 200V보다 적어도 큰 전압에 해당하는 전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인체가 접촉될 때 200V의 전압이 검출되어 정류되었을 때에 비교부(35)에 의해 비교되어 하이 레벨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기준전압(적어도 200V 이상의 전압)보다 작은 전압에 대해서는 하이 레벨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37)는 상기 비교부(35)의 출력 결과에 따라 인에이블 신호(ENA)를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부(37)는 베이스 단자에 비교부(35)가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에 인에이블 신호(ENA)가 연결되며 에미터 단자에 그라운드 접지된다. 예 컨대, 상기 비교부(35)의 출력이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인에이블 신호(ENA)가 출력되고, 상기 비교부(35)의 출력이 로우 레벨이 경우에는 인에이블 신호(ENA)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
오동작 방지부(40)는 증폭부(41), 비교부(43), 스위칭부(45)로 구성된다.
증폭부(41)는 상기 제어부(21)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S)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킨다.
상기 비교부(43)는 상기 증폭부(41)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소정의 레벨을 출력한다. 상기 비교부(43)의 반전 단자에 증폭부(41)가 연결되고 비반전 단자에 기준 전압이 연결되므로, 상기 비교부(43)의 입력 레벨이 반전된다. 예컨대, 입력 레벨이 기준 전압보다 크면 로우 레벨이 출력되고, 입력 레벨이 기준 전압보다 작으면 하이 레벨이 출력된다.
상기 스위칭부(45)는 소정 구간 동안 상기 비교부(43)의 출력 결과에 관계없이 상기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의 출력 신호를 로우 레벨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소정 구간이라 함은 초기 구동시 0V에서 200V까지의 라이징 타임 구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소정 구간 동안에는 오동작 방지부(40)의 스위칭부(45)에 의해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의 출력을 로우 레벨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비교부(35)에 연결된 스위칭부(37)가 턴-오프되어 인에이블 신호(ENA)가 상기 제어부(21)로 제공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백라이트 구동장치는 오동작 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오동작 방지부(40)의 스위칭부(45)는 베이스 단자가 비교부 (43)에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가 상기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와 스위칭부(37) 사이에 연결되며 에미터 단자가 그라운드 접지된다.
따라서 스위칭부(45)는 베이스 단자에 입력된 하이 레벨에 의해 턴-온되고, 이러한 경우 콜렉터 단자가 연결된 상기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의 출력 신호는 로우 레벨로 유지되게 된다. 즉,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의 출력 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로우 레벨로 감소하고,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그대로 로우 레벨로 유지되게 되다.
반대, 스위칭부(45)는 베이스 단자에 입력된 로우 레벨에 의해 턴-오프되고, 이러한 경우 콜렉터 단자가 연결된 상기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의 출력신호는 그대로 유지된다. 즉,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의 출력 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그대로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로우 레벨이 경우에는 그대로 로우 베레로 유지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백라이트 구동장치에서 오동작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백라이트 구동을 위해서 제어부(21)로부터 PWM 신호가 FET(23)로 제공됨과 아울러 오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오동작 방지부(40)로 제공된다.
상기 FET(23)는 상기 PWM 신호를 바탕으로 정극성과 부극성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직류 구형파를 생성하여 트랜스(25)로 제공한다.
상기 트랜스(25)는 상기 직류 구형파를 승압시켜 램프(27)로 제공되는 한편, LCC 보호회로(30)로 제공된다.
램프(27)는 트랜스(25)에서 제공된 전압에 의해 방전되어 소정의 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25)의 2차측에서 초기 구동시에는 램프(27)를 방전시키기 위한 전압(대략 1500V)으로 승압하기 위해서는 초기 구동 구간을 경유하게 된다. 즉, 초기 구동 구간, 즉 라이징 타임 동안, 전압은 0V로부터 1500V까지 증가되게 되다. 그리고 초기 구동 구간이 지난 후 정상 구동 구간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1500V로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LCC 보호회로(30)는 인체가 접촉될 때의 전압인 200V를 기준으로 그 이하에서는 백라이트의 구동이 차단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초기 구동시 0V부터 200V까지의 전압은 트랜스(25)의 2차측에서 검출되는 경우, LCC 보호회로(30)는 인에이블 신호(ENA)를 상기 제어부(21)로 제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오동작 방지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오동작 방지부(40)는 상기 제어부(21)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S)를 이용하여 적어도 0V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구간에서 LCC 보호회로(30)로부터 인에이블 신호(ENA)가 출력되지 않도록 조절한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0V로부터 200V까지 LCC 보호회로(30)의 검출부(31)에서 검출된다. 이러한 경우, 검출된 전압은 비교부(35)에서 기준 전압과 비교된다. 여기서, 기준 전압은 200V 이상의 전압에 해당하는 전압이므로 검출된 전압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비교부(35)로부터 하이 레벨이 출력된다.
이러한 경우, 만일 오동작 방지부(40)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비교부(35)의 하이 레벨에 의해 스위칭부(37)가 턴-온 되므로 인에이블 신호(ENA)가 제어부(21)로 제공되어 백라이트의 구동이 차단된다.
하지만, 오동작 방지부(40)에는 상기 제어부(21)에서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제어신호가 제공된다. 이때, 제어 신호의 첫 번째 구간은 반드시 로우 레벨이어야 하며, 첫 번째 구간은 적어도 0V로부터 200V까지의 범위보다 적어도 커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구간의 제어 신호가 오동작 방지부(40)의 증폭부(41)에서 증폭된 후 비교부(43)에 의해 반전된다. 따라서 비교부(43)에서는 하이 레벨이 출력되고, 이러한 하이 레벨에 의해 스위칭부(45)가 턴-온 되므로 스위칭부(45)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된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의 출력이 로우 레벨로 유지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0V로부터 200V까지의 범위 동안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는 하이 레벨을 출력시킨다. 이러한 경우, 오동작 방지부(40)는 0V로부터 200V까지의 범위보다 적어도 큰 첫 번째 구간의 제어 신호에 의해 비교부(43)로부터 하이 레벨이 출력되므로 스위칭부(45)가 턴-온 되므로, 상기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로부터 출력된 하이 레벨로 감소하고, 이에 따라 LCC 보호회로(30)의 스위칭부(37)가 턴-오프되어 인에이블 신호(ENA)가 상기 제어부(21)로 출력되지 않게 됨으로써, LCC 보호회로(30)의 오동작이 방지되게 되다.
한편, 초기 구동 구간에서 200V 이상부터 1500V까지에서는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로부터 로우 레벨이 출력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오동작 방지부(40)에서 첫 번째 구간을 제외한 구간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부(45)가 턴-온 또는 턴- 오프되지만, 이와 같이 스위칭부(45)의 턴-온/오프에 관계없이 LCC 보호회로(30)의 비교부(35)의 출력이 항상 로우 레벨이므로 LCC 보호회로(30)의 스위칭부(37)가 항상 턴-오프됨으로써, 어떠한 인에이블 신호(ENA)도 제어부(21)로 제공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백라이트 구동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가 접촉될 때의 전압 이하에서는 인위적으로 인에이블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초기 구동시의 LCC 보호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4)

  1.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구동 신호를 바탕으로 구동 펄스를 생성하는 FET; 상기 구동 펄스를 승압시키는 트랜스; 및 상기 승압에 의해 방전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의 출력 전압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LCC 보호회로;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로우 레벨을 갖는 제1 구간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LCC 보호회로의 인에이블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인체가 접촉될 때의 상기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그라운드 전압으로부터 인체가 접촉될 때의 상기 트랜스의 출력 전압보다 적어도 큰 전압까지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CC 보호회로는,
    상기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전압을 비교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비교된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수단은,
    상기 제어신호를 비교하기 위한 제2 비교부; 및
    상기 비교된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칭부는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제2 비교부에 연결되고 콜렉터 단자가 상기 제1 비교부와 상기 제1 스위칭부 사이에 연결되며 에미터 단자가 그라운드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CC 보호회로는,
    상기 제1 비교부 전단에 연결되어 상기 검출된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수단은,
    상기 제2 비교부 전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2 스위칭부가 턴-온될 때, 상 기 제2 스위칭부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은 로우 레벨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제1 구간에만 로우 레벨을 갖고 나머지 구간은 하이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
  10.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구동 신호를 바탕으로 구동 펄스를 생성하는 FET; 상기 구동 펄스를 승압시키는 트랜스; 및 상기 승압에 의해 방전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구동장치에 있어서,
    로우 레벨을 갖는 제1 구간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간 동안 수신된 트랜스의 출력 전압에 대해 인에이블 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방법.
  11. 제10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인체가 접촉될 때의 상기 트랜스의 출력 전 압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방법.
  12. 제1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은 그라운드 전압으로부터 인체가 접촉될 때의 상기 트랜스의 출력 전압보다 적어도 큰 전압까지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방법.
  13. 제10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방법.
  14. 제10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제1 구간에만 로우 레벨을 갖고 나머지 구간은 하이 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동방법.
KR1020050056859A 2005-06-29 2005-06-29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01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859A KR101201030B1 (ko) 2005-06-29 2005-06-29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320,566 US7701147B2 (en) 2005-06-29 2005-12-30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backlight
US12/714,707 US8004202B2 (en) 2005-06-29 2010-03-01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back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859A KR101201030B1 (ko) 2005-06-29 2005-06-29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396A true KR20070001396A (ko) 2007-01-04
KR101201030B1 KR101201030B1 (ko) 2012-11-14

Family

ID=3758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859A KR101201030B1 (ko) 2005-06-29 2005-06-29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701147B2 (ko)
KR (1) KR1012010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7864A1 (en) * 2007-11-01 2009-05-0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1473805B1 (ko) * 2007-10-30 2014-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07870479A (zh) * 2016-09-23 2018-04-03 三星显示有限公司 背光单元及包括背光单元的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1067B2 (en) * 2013-02-04 2015-01-27 Raytheon Company Leadless chip carrier thermal adapter for dewar packaging
KR101588695B1 (ko) 2013-10-31 2016-01-28 주식회사 솔루엠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9943A (en) * 1984-06-01 1986-12-16 Ponce Jr Emiliano Long life traffic control lamp and socket insert
KR100228801B1 (ko) 1997-06-03 1999-11-01 윤종용 백라이트램프 전원 인가 초기의 시동펄스 인가 시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40171B1 (ko) 1997-08-27 2000-01-15 유무성 영상 처리 장치
JP4460202B2 (ja) * 2001-12-28 2010-05-1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US7834856B2 (en) * 2004-04-30 2010-11-16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apacitive sense toggle touch dimmer
KR101067041B1 (ko) * 2004-08-31 2011-09-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구동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805B1 (ko) * 2007-10-30 2014-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WO2009057864A1 (en) * 2007-11-01 2009-05-0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07870479A (zh) * 2016-09-23 2018-04-03 三星显示有限公司 背光单元及包括背光单元的显示装置
CN107870479B (zh) * 2016-09-23 2022-07-15 三星显示有限公司 背光单元及包括背光单元的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030B1 (ko) 2012-11-14
US8004202B2 (en) 2011-08-23
US20100149088A1 (en) 2010-06-17
US7701147B2 (en) 2010-04-20
US20070001995A1 (en)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584B1 (ko) 전원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 장치
US6947024B2 (en) Apparatus and driving lamp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3125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lamp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201030B1 (ko)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20136110A (ko) Led 구동회로
JP4618689B2 (ja) Lcdバックライトインバータ
EP14267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display
KR10087610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201133B1 (ko) 백라이트 구동장치
KR101067041B1 (ko) 백라이트 구동방법
US20070126367A1 (en) Startup circuit and backlight control circuit using same
KR100478412B1 (ko) 외부전극 형광램프용 인버터
KR100862357B1 (ko) 백라이트 구동장치
KR100941145B1 (ko) 멀티 광원 구동 장치
KR101338993B1 (ko) 액정표시장치의 인버터회로
KR20060029890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구동장치
KR102051733B1 (ko) Led 구동회로
KR10109477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백라이트 유니트
KR20060016224A (ko) 외부전극 형광램프용 인버터
KR101126345B1 (ko) 램프 구동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102724B1 (ko) 인버터용 집적 회로를 이용한 제로 디밍장치
KR200291578Y1 (ko) 고전압 구동장치
KR101107689B1 (ko) 액정 표시장치의 램프 구동장치 및 방법
KR101009669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JP2007115568A (ja) 液晶表示装置の冷陰極管点灯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