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687U - 안전 주사기 - Google Patents

안전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687U
KR20070000687U KR2020060030378U KR20060030378U KR20070000687U KR 20070000687 U KR20070000687 U KR 20070000687U KR 2020060030378 U KR2020060030378 U KR 2020060030378U KR 20060030378 U KR20060030378 U KR 20060030378U KR 20070000687 U KR20070000687 U KR 200700006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barrel
flange
safety syringe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쯔 천
Original Assignee
창쯔 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쯔 천 filed Critical 창쯔 천
Priority to KR2020060030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687U/ko
Publication of KR20070000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6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23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 A61M2005/3224Means to disalign the needle tip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61M2005/5073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by breaking or rupturing the connection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는 배럴과 지지링을 포함하며, 상기 배럴은 주사바늘어셈블리가 부착되는 돌출관 주위의 프론트막 상에 형성된 나선형홈과, 레이스를 가지고 있어 주사기의 사용 후에 플런저에 의해 상기 프론트막이 깨지고 상기 주사바늘어셈블리와 함께 관형돌출부가 배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돌출관 주위로 감겨진 지지링은 상기 돌출관 및 레이스 사이의 프론트막 상에 구비되어 주사기의 운송 중에 우연히 발생할 수 있는 나선형홈의 찢김을 방지한다.
안전주사기, 주사바늘어셈블리, 지지링, 배럴, 플런저, 돌출관, 프론트막, 나선형홈

Description

안전 주사기{SAFETY SYRINGE DEVICE}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전 주사기의 확대 사시도,
도 1b는 도 1a를 다른 각도에서 본 안전 주사기의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의 결합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를 확대한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주사기의 배럴의 앞부분을 확대한 부분 정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안전 주사기의 주사전 대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플런저의 스트립의 단면이 감소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주사액이 채워진 본 발명의 배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주사가 행해진 후의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플런저의 원추형 프론트 팁이 주사액분출로에 삽입되어 배럴의 환형리브의 전방에서 멈춘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배럴의 프론트막이 깨진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플런저의 후퇴행정 후에 주사바늘어셈블리가 배럴 속으로 수용된 상 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플런저의 제2목부가 깨져 플런저의 앞부분과 함께 주사바늘어셈블리가 배럴 속에 남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배럴 2:주사바늘어셈블리 3:플런저(plunger)
4:스토퍼 5:보강링 11:주사액챔버
12:핑거플랜지(finger flange) 13:주사액분출로
14:돌출관 15:레이스(race) 16:프론트막
17:나선형홈 18:환형리브(annular rib) 19:스톱플랜지
21:주사바늘 22:허브(hub) 23:결착공
31:엄지대 32:곁자루 33:플런저헤드
331:전면플랜지 332:후면플랜지 34:연장대
35:스토퍼홀더 351:전면스커트 352:후면스커트
36:팁(tip) 361:제1목부 37:제2목부
38:경사면 39:스트립(strip) 41:장공실
42:내측환형플랜지 43:스토퍼통공
본 발명은 안전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기 운반 중에 깨지기 쉬운 배럴의 프론트막(front wall)의 뜻하지 않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는 액상약물을 주입하거나 빼내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의료기구이다. 최근에 치료가 곤란한 AIDS 및 그 외 질병들의 확산은 많은 감염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주사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주사기는 주사바늘어셈블리(a needle assembly), 메디신배럴(a medicine barrel), 플런저(plunger) 및 외부배럴(an outer barrel)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사바늘어셈블리는 메디신배럴의 앞부분에 고정된다. 플런저는 메디신배럴과 축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고 외부배럴 내의 메디신배럴에 꽉 끼워진다. 주사기를 사용한 후, 플런저가 당겨질 때에는 주사바늘관(the needle cannula) 또는 바늘어셈블리도 함께 메디신배럴 내측으로 당겨진다. 이러한 안전 주사기는 매우 기능적이지만, 복잡한 구조와 부피가 큰 구성을 포함하므로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타이완 특허 공보 제540385호는 2003년 7월 1일 발행된 것으로서, "Two Piece Type Retractable Safety Syringe"라는 명칭의 안전주사기를 개시하였다. 이 디자인에 의하면 안전주사기는 배럴과, 배럴 내에 삽입되는 플런저와, 주사바늘을 고정시키기 위해 배럴의 앞면에 결합되는 바늘홀더와, 바늘홀더 내에 설치된 통공을 가진 블럭(block)을 포함한다. 이 때, 배럴은 바늘홀더 주위의 프론트막(front wall) 상에 홈(a tear groove)을 가지고 있다.
바늘홀더와 플런저의 헤드가 결착된 후 플런저는 홈(a tear groove)을 깨고 후퇴하도록 되어 있어 바늘홀더와 주사바늘을 플런저와 함께 배럴 속으로 후퇴시키게 된다. 위 디자인에 의하면 배럴의 프론트막 상에 형성된 얇은 홈이 주사기의 운반이나 주사 도중에 뜻하지 않게 파손되어 약액의 누출을 초래하였다.
나아가, 종래의 디자인에 의하면, 스토퍼(stopper)가 최전면까지 전진하여 배럴의 프론트막에서 정지한 후에도, 사용되고 남은 나머지 약제가 배럴의 관형 목부 및 주사바늘어셈블리의 허브 내에 잔류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본 발명은,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자기파괴적(self-destructive)인 안전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주사를 하는 동안 약액을 주사기 밖으로 완전히 배출하여 배럴 내에 약액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주사기를 사용한 후 주사바늘어셈블리이 배럴 내에 확실히 삽입되도록 하여 감염의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주사기는, 주사액과, 프론트막과, 위의 프론트막으로부터 수직하게 전방으로 연장되고 주사액챔버와 연통된 주사액분출로가 형성된 돌출관(a tubular neck)과, 위의 돌출관의 주위에서 프론트막으로부터 수직하게 전방으로 연장된 레이스(a race)와, 위의 레이스와 인접한 프론트막 상에 형성된 나선형홈(a tear groove)과, 위의 프론트막과 인접한 돌출관의 내벽 주위로 연장된 환형리브(annular retaining rib)로 이루어진 배럴과;
위의 배럴의 돌출관에 끼워지는 허브(hub)와, 위의 허브로부터 전방으로 뻗은 주사바늘(a needle cannula)을 가진 주사바늘어셈블리(a needle assembly)와; 곁자루(a shank)와, 곁자루의 최전방에 위치한 플런저헤드와, 위의 플런저헤드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대(a front extension rod)와, 원추형 팁(a conical front tip)과, 위의 연장대와 팁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목부(a front neck)로 이루어진 플런저(a plunger)와; 위의 배럴의 주사액챔버의 내경에 끼워지고, 축상으로 후부까지 연장된 장공실과, 위 플런저의 연장대가 통과되도록 장공실로부터 전방까지 연장된 통공이 형성된 유연재질의 스토퍼(a flexible stopper)와;
위의 돌출관과 레이스 사이에서, 배럴의 프론트막에 맞닿도록 돌출관을 둘러싸는 유연재질의 보강링(a flexible support ring); 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는, 주사기를 사용한 후 플런저를 밀면 위의 나선형홈이 깨져 배럴의 프론트막과 분리되므로 깨진 프론트막과 주사바늘어셈블리는 플런저의 후퇴행정시에 배럴 내로 함께 당겨진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배럴은 그 최후면 근방에서 내벽 주위로 연장된 내측 환형 스톱플랜지(a inside annular stop flange)를 가진다. 플런저헤드는 전면플랜지(a front flange)와 후면플랜지(a rear flange)를 가지고 있어 주사가 행해진 후에 플런저의 후퇴시 배럴의 스톱플랜지에 걸리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플런저는 곁자루와 플런저헤드 사이를 연결하는 제2목부(a rear neck)를 가지고 있어, 전면플랜지 및 후면플랜지가 스톱플랜지와 결합한 후 제2목부가 부러지는 것에 의해 곁가지와 플런저헤드를 분리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플런저의 곁가지는 방사형의 분리되어 있고, 최후방에는 엄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는 낙하산 모양(parachute-like)의 전면스커트(front skirt)와 후면스커트(rear skirt)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스토퍼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연장대(the front extension rod)의 주연부에 형성된다. 스토퍼는 장공실 후미에 형성된 내측환형플랜지(an inside annular flange)를 가지고 있으며, 플런저의 스토퍼홀더의 상기 전면스커트와 후면스커트 사이에 결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플런저는 곁가지의 끝부분에 엄지대와, 돌출된 스트립(strip)을 포함하는데, 이 스트립은, 주사가 행해지기 전에 엄지대가 배럴의 최후방에 있는 핑거플랜지(finger flange)에 이르러 멈추도록 한다. 또한, 이 스트립은 엄지대와 연결된 최후방부가 잘 부러지도록 하기 위해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플런저의 연장대는 경사면(a sloping face)을 가지고 있는데, 주사가 행해진 후 플런저의 후퇴행정시에, 배럴 속으로 프론트막이 후퇴하는 움직임을 가이드하며, 주사바늘어셈블리를 배럴의 주사액챔버 속으로 기울어지게 후퇴시키도록 하는데 적절하다.
또한, 상기 보강링(the support ring)은 탄성부재로 제작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를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4b는 배럴(1)과, 주사바늘어셈블리(2)와, 플런저(3)과, 스토퍼(4) 및 보강링(5)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주사기를 보여준다.
배럴(1)은 액상약제를 담는데 적절한 주사액챔버(11)와, 배럴의 주연부 말단에서 연장된 핑거플랜지(12)와, 프론트막(16)과, 프론트막(16)으로부터 수직하게 전방으로 연장되고 주사액챔버(11) 및 외부를 연결하는 주사액분출로(13)가 형성된 돌출관(14)과, 돌출관(14) 주위로 프론트막(16)으로부터 수직하게 전방으로 연장된 레이스(race,15)와, 프론트막(16) 상에 형성되고 레이스(15)에 인접한 나선형홈(a spiral tear groove,17)과, 프론트막(16)에 인접하여 돌출부(14)의 내벽 주위에서 연장된 환형리브(an annular retaining rib,18) 및 핑거플랜지(12)와 대응하여 배럴의 내벽 주위로 연장된 내측 환형 스톱플랜지(an inside annular stop flange,1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나선형홈(17)에 의해서, 사용자가 플런저(3)를 힘으로 누르게 되면 프론트막(16)이 쉽게 깨질 수 있게 되어, 주사가 행해진 후 돌출관(14) 및 주사바늘어셈블리(2)가 플런저(3)와 함께 배럴(1)의 안쪽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
보강링(5)은 돌출관(14)을 둘러싸고, 돌출관(14) 및 레이스(15) 사이의 프론트막(16) 상에 맞닿아 있다. 보강링(5)은 딱딱하거나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무재질로 제작된다. 보강링(5)은 두가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는, 돌출관(14)이 갑작스런 외부압력을 받을 때 토오크에 의해 나선형홈(17)의 파열을 막는 것으로서 프론트막(16)에 대한 보강이다. 둘째는, 우연한 나선형홈(17)의 파열시에 주사액챔버(11)에 담겨져 있는 약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주사바늘어셈블리(2)는 허브(hub,22)와, 이에 고정된 주사바늘(a needle cannula,21)을 포함한다. 허브(22)는 돌출관(14)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결착공(23)을 가지고 있어, 주사바늘(21)의 중심축에 있는 통공과 연통된다. 바람직하게는 돌출관(14) 및 결착공(23)은 다소 경사지도록(tapered) 한다.
플런저(plunger,3)는 방사형상의 곁자루(a radially ribbed shank,32)와, 곁자루(32)의 뒷부분에 있는 엄지대(a thumb rest,31)와, 곁자루(32)의 앞부분에 있는 플런저헤드(33)와, 헤드(33)의 중앙으로부터 축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대(a front extension rod,34)와, 원추형 팁(a conical front tip,36)과, 연장대(34)의 최전면 및 팁(36)의 최후면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목부(a first neck,361)와, 연장대(34)의 주연부에서 스토퍼(4)를 고정시키기 위한 낙하산모양의 전면스커트(a parachute-like front skirt,351) 및 후면스커트(a parachute-like rear skirt,352)가 형성된 스토퍼홀더(35)와, 곁자루(32)의 최전방 및 플런저헤드(33)의 최후방 사이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목부(a second neck,37)와, 연장대(34)의 앞부분에 형성된 경사면(a sloping face,38)과, 엄지대(3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연장된 스트립(a protruding strip,39)을 포함한다. 스트립(39)은 도 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미부는 엄지대(31)와 연결되고 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엄지대(31)로부터 쉽게 기울어져 손으로 분리될 수 있다. 위의 스트립(39)이 배럴의 핑거플랜지(12)에 맞닿게 됨으로써,주사기의 운반 도중에 의도하지 않게 팁(36)이 환형리브(18)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스토퍼(4)는 고무 등의 유연물질로 제작된다. 스토퍼(4)의 외경은 주사액챔버(11)의 직경에 맞추어진다. 스토퍼(4)는 축후방으로 연장된 장공실(a longitudinal open chamber,41)과, 장공실(41)의 후방 내부에 형성되고 플런저(3)의 스토퍼홀더(35)의 전면스커트(351) 및 후면스커트(352) 사이에 결착되는 내측환형 플랜지(an inside annular flange,42)와, 플런저(3)의 연장대(34)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장공실(4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전면의 중앙통공(a front center through hole,43)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조립과정에서, 스토퍼(4)는 프런저의 팁(36)이 중앙통공(43)을 통해 관통하도록 플런저(3)의 연장대(34)에 삽입되는데, 스토퍼홀더(35)의 전면스커트(351)와 후면스커트(352)가 스토퍼(4)의 내측환형플랜지(42)의 앞면과 뒷면에서 멈추도록 끼워진다. 또한, 스토퍼(4)는 플런저(3)와 함께 배럴의 뒷부분으로부터 주사액챔버(11)내로 삽입된다. 또한, 주사바늘어셈블리(2)의 허브(hub,22)는 배럴의 돌출관(14)에 결착된다. 도 2는 안전주사기의 조립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4a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안전주사기에 주사액이 충전된 다음, 플런저(3)를 눌러 스토퍼(4)를 주사액챔버(11)를 따라 전진이동시킴으로써 돌출관(14) 및 주사바늘어셈블리(2)를 통해 주사액이 환자의 몸 안으로 투입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4)가 배럴(1)의 프론트막(16)에 다달았을 때, 원추형 팁(36)이 배럴의 주사액분출로(13)에 강제 삽입됨으로써 배럴(1) 속에 주사액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가 이루어진 후, 플런저(3)를 다시 한번 누르는 것에 의해 제1목부(361)가 돌출관(14) 내의 환형리브(18)과 결착되고, 이와 동시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홀더(35)의 전면스커트(351) 및 후면스커트(352)를 장공실(41) 안으로 이동시킨다. 플런저(3)를 계속 눌러 전면스커트(351)가 스토퍼(4)의 장공실(41) 내부에 들어올 때, 나선형홈(17)이 찢어지게 됨으로써, 프론트막(16)이 배럴(1)과 분리된다. 이로써 깨진 배럴(1)은 재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 다음, 플런저(3)는 뒤로 당겨진다. 이 때, 스토퍼(4), 찢어진 프론트막(16), 보강링(5), 돌출관(14) 및 이에 부착된 주사바늘어셈블리(2)가 플런저(3)와 함께 주사액챔버(11) 속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플런저헤드(33)의 전면플랜지(331) 및 후면플랜지(332)가 배럴(1)의 내측 환형 스톱플랜지(the inside annular stop flange,19)에 멈출때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찢어진 프론트막(16)은 연장대(34)의 경사면(38)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어 주사바늘어셈블리(2)가 배럴(1)의 주사액챔버(11) 안에서 기울어져 후퇴하도록 한다.
주사바늘어셈블리(2)가 주사액챔버(11) 내로 수용된 뒤,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배럴(1)의 내벽에 대해 곁자루(32)를 꺾어 제2목부(37)를 부러뜨림으로써, 주사바늘어셈블리(2)와 플런저(3)의 일부분 및 스토퍼(4)가 주사액챔버(11) 속에 남겨지도록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는 주사 후에도 주사바늘어셈블리가 배럴 내부에 남겨지도록 하여 주사기의 재사용을 막는다. 보강링은 돌출관에 감겨지고 돌출관 및 프론트막을 서포트하는 레이스 사이의 프론트막 상에 고정됨으로써 갑작스런 나선형홈의 파열을 방지함과 아울러, 나선형홈의 의도하지 아니한 파열로 인한 주사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주사 후에 사용자는 플런저를 앞으로 밀어 플런저의 제1목부가 돌출관의 환형리브에 결착하게 하는 동시에, 스토퍼홀더의 전,후면스커트가 장공실 안으로 이동하게 하여 결국 나선형홈이 배럴의 프론트막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주사기는 배럴 내에 주사액이 과도하게 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장대 전면의 경사면은 주사바늘이 기울어져 후퇴할 수 있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주사 이후에도 배럴 내부에 확실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엄지대에 있는 간단한 형상의 스트립이 주사기의 운반 중에 일어날 수 있는 나선형홈의 우연한 파열을 방지한다.
안전주사기의 기본적인 형태를 도 1a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안전주사기는 앞서 논의된 모든 작용형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원활하게 기능을 수행한다.
비록 도해를 목적으로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과 개량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는 주사 후에도 주사바늘어셈블리가 배럴 내부에 남겨지도록 하여 주사기의 재사용을 막고, 배럴 내에 주사액이 과도하게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주사기의 운반 중에 일어날 수 있는 프론트막 우연한 파열을 방지한다.

Claims (8)

  1. 주사액과, 프론트막(16)과, 상기 프론트막(16)으로부터 수직하게 전방으로 연장되고 주사액챔버(11)와 연통된 주사액분출로(13)가 형성된 돌출관(a tubular neck,14)과, 상기 돌출관(14)의 주위에서 프론트막(16)으로부터 수직하게 전방으로 연장된 레이스(a race,15)와, 상기 레이스(15)와 인접한 프론트막(16) 상에 형성된 나선형홈(a tear groove,17)과, 상기 프론트막(16)과 인접한 돌출관(14)의 내벽 주위로 연장된 환형리브(annular retaining rib,18)로 이루어진 배럴(1)과;
    상기 배럴(1)의 돌출관(14)에 끼워지는 허브(hub,22))와, 위의 허브(22)로부터 전방으로 뻗은 주사바늘(a needle cannula,21)을 가진 주사바늘어셈블리(a needle assembly,2)와;
    곁자루(a shank,32)의 최전방에 위치한 플런저헤드(33)와, 상기 플런저헤드(33)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대(a front extension rod,34)와, 원추형 팁(a conical front tip,36)과, 상기 연장대(34) 및 팁(36)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목부(a front neck)로 이루어진 플런저(a plunger,3)와;
    상기 배럴(1)의 주사액챔버(11)의 내경에 끼워지고, 축상으로 후부까지 연장된 장공실(41)과, 상기 플런저(3)의 연장대(34)가 통과되도록 장공실(41)로부터 전면까지 연장된 통공(43)이 형성된 유연재질의 스토퍼(a flexible stopper,4)와;
    상기 돌출관(14)과 레이스(15) 사이에서, 배럴(1)의 프론트막(16)에 맞닿도록 돌출관(14)을 둘러싸는 유연재질의 보강링(a flexible support ring,5); 으로 구성되어, 주사가 끝난 후 플런저(3)를 누를 때 상기 나선형홈(17)이 상기 프론트막(16)과 분리되고, 찢어진 프론트막(16)과 주사바늘어셈블리(2)가 후퇴행정시에 플런저(3)와 함께 배럴(1) 내부로 당겨지는 안전주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1)은 후방 내측 주위로 연장된 내측의 환형 스톱플랜지(an inside annular stop flange,19)를 가지고; 상기 플런저의 헤드(33)는 전면플랜지(a front flange,331)과 후면플랜지(a rear flange,332)를 가지고 있어 주사가 행해진 후 상기 플런저헤드(33)가 플런저(3)의 후퇴시 상기 배럴(1)의 스톱플랜지(19)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주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3)는 상기 곁자루(32)와 플런저헤드(33) 사이에 제2목부(37)를 더 가지고 있어, 상기 플런저헤드(33)의 전면플랜지(331)와 후면플랜지(332)가 배럴의 스톱플랜지(19)에 결착한 다음, 플런저헤드(33)로부터 상기 곁자루(32)를 분리시키도록 제2목부(37)가 부러뜨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주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5)은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주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곁자루(32)가 방사형상으로 분리되고, 최후 면에는 엄지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주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3)는 상기 스토퍼(4)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장대(34)의 전면의 주연부 주위로 낙하산 형상의 전면스커트(351)와 후면스커트(352)가 형성된 스토퍼홀더(35)를 가지고; 상기 스토퍼(4)는 상기 장공실(41) 후방에 형성된 내측환형플랜지(42)를 가지고 있어 상기 스토퍼홀더(35)의 전면스커트(351) 및 후면스커트(352)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주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연장대(34)는 주사기의 사용 후 플런저(3)의 후퇴시에, 주사바늘어셈블리(2)가 기울어져 배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찢어진 상기 프론트막(16)의 후퇴운동을 가이드하는 경사면(38)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주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3)는 상기 곁자루의 최후면의 엄지대(31)와, 주사기를 사용하기 이전에 플런저(3)가 배럴의 최후방에 있는 핑거플랜지(12)에서 정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엄지대(31)로부터로부터 전방으로 뻗은 돌출된 스트립(a protruding strip,39)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39)은 엄지대(31)와 연결된 부분인 후미부가 부러지기 용이하도록 단면이 줄어들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주사기.
KR2020060030378U 2005-12-09 2006-11-24 안전 주사기 KR200700006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378U KR20070000687U (ko) 2005-12-09 2006-11-24 안전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4221468 2005-12-09
KR2020060030378U KR20070000687U (ko) 2005-12-09 2006-11-24 안전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687U true KR20070000687U (ko) 2007-06-13

Family

ID=4365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378U KR20070000687U (ko) 2005-12-09 2006-11-24 안전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6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308B1 (ko) * 2018-06-15 2018-07-11 씨엔엠테크 주식회사 안전 주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308B1 (ko) * 2018-06-15 2018-07-11 씨엔엠테크 주식회사 안전 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888B2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US6039713A (en) Pre-filled retractable needle injection device
EP1011766B1 (en)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assembly
US6530903B2 (en) Safety syringe
JP4944188B2 (ja) 注射器
AU685145B2 (en) Cartridge-needle unit having retractable needle
US6309371B1 (en) Injection-assisting probe for medical injector assembly
US20070005014A1 (en) Disposable safety syringe
JP2012526607A (ja) Ivカテーテル導入器
CZ156695A3 (en) Safety syringe
US7044931B2 (en)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assembly
EP1797921B1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CZ282475B6 (cs) Bezpečnostní injekční stříkačka
WO1997031664A1 (en) Frangible plunger for nozzle assembly
JP3107349U (ja) 注射針先端部の安全キャップ
US6613016B1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EP1260242A1 (en) A self-destructing safety syringe
US20070073245A1 (en) Needle-retractable safety hypodermic syringe
US20070173758A1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EP1547634B1 (en) Safety syringe
KR20070000687U (ko) 안전 주사기
US20150065955A1 (en) Syringe for the injection of a medicament with automatic needle extension and retraction
CA2504130A1 (en) Vacuum auto-retractable safety syringe
US20060264826A1 (en) Self-destructive safety syringe
CN109481783B (zh) 安全型静脉留置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