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6109A -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6109A
KR20060136109A KR1020050055648A KR20050055648A KR20060136109A KR 20060136109 A KR20060136109 A KR 20060136109A KR 1020050055648 A KR1020050055648 A KR 1020050055648A KR 20050055648 A KR20050055648 A KR 20050055648A KR 20060136109 A KR20060136109 A KR 20060136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loading
personal mobile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139A (ko
KR100742538B1 (ko
Inventor
유원조
Original Assignee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53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5005564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74253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139A/ko
Publication of KR20060136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538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의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은 메인 베이스와; 메인 베이스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며, 개인 휴대통신기를 제공/배출하며, 양품 또는 불량 판정된 개인 휴대통신기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제1 내지 제4 컨베이어와; 개인 휴대통신기를 쉴드 박스로 로딩시키는 복수개의 로딩로봇과, 상기 쉴드 박스로부터 개인 휴대통신기를 언로딩시키는 복수개의 언로딩 로봇으로 이루어진 로봇 시스템과; 로딩 및 언로딩 픽 앤드 플레이스 수단에 의해 개인 휴대통신기가 안착되며, 이를 소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을 안내하는 볼 스크류와, 볼 스크류를 구동하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진 로딩 및 언로딩 셔틀과; 개인 휴대통신기의 전,후를 바꾸기 위한 로테이터와; 그 일측에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 수단의 일측에 프로브핀 I/O센서와, 그 타측에 에어 인입구를 구비한 쉴드 박스와; 상기 복수개의 로딩 및 언로딩을 제어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방사, 테스트, 쉴드박스

Description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Radiation Test Robot System}
도 1은 종래의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1의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쉴드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로봇 시스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로딩 및 언로딩 셔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요부인 쉴드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0,1220 : 로딩 로봇 1230,1240 : 언로딩 로봇
1310,1320 : 로딩 및 언로딩 셔틀 1410~1440 : 제1 내지 제4 컨베이어
1500 : 로테이터 1600 : 쉴드박스
1620 : 체결수단 1700 : 프로브 핀 I/O 센서
본 발명은 방사 테스트 로봇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인 휴대통신기의 테스 트 작업이 자동화된 기계장치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사 테스트 로봇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사 테스트 로봇시스템(10)은 베이스 프레임(100)과, 케이스(110)와, 로딩 로봇(201)과, 언로딩 로봇(210)으로 구성된 픽업부와, 제1 내지 제4 컨베이어(310,320,330,340)로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로테이터(400)와, 상기 로테이터(4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쉴드박스(500) 및 상기 방사 테스트 로봇시스템(10)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700)로 구성된다.
상기 로딩 로봇(201)은 개인 휴대통신기(1)를 흡착파지할 수 있는 버큠패드(202)와, 상기 버큠패드(20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헤드부(203)와, 상기 헤드부(203)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 블록(204)으로 구성된다.
상기 언로딩 로봇(210)은 상기 로딩로봇(201)과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로딩로봇(201)과 언로딩 로봇(210)은 LM 가이드(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Y측 방향으로 개인휴대통신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컨베이어(310)는 상기 로딩로봇(201)에 의해 안착된 개인휴대통신기(1)를 소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벨트(311)와, 상기 벨트(311)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312) 및 상기 벨트(311)에 의해 이송되는 개인휴대통신기(1)를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샤프트(313)로 구성되며, 가이드 샤프트(313)는 개인휴대통신기(1)의 크기에 따라 폭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컨베이어(320)는 상기 제1 컨베이어(310)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3 컨베이어(330)는 불량 판정된 개인휴대통신기(1)를 제4 컨베이어(340)의 상부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3 컨베이어(330)의 일측에 설치된 로테이터(400)는 양품 판정된 개인휴대통신기(1)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410)와, 상기 안착부(410)와 연결되는 회전축(420) 및 상기 회전축(420)과 연결되어 구동되는 로테이터 실린더(430)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컨베이어(340)는 상기 제3 컨베이어(330)로부터 이송되어온 개인휴대통신기(1)를 귀환시킨다.
한편, 종래의 쉴드박스(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501)와, 하부케이스(51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501)의 일측에는 노브부(50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510)의 일측에는 체결부(52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501)는 상측에 개인휴대통신기(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503)와, 상기 개구부(503)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그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504) 및 상기 개구부(503)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도어(504)를 회전시키는 공압실린더(505)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504)의 일측에는 캠팔로우(533)이 설치되고, 캠팔로우(533)는 공압실린더(505)의 캠블록(555)에 삽설되어 공압실린더(505)의 구동에 의해 캠블록(555)이 이동하면 캠블록(555)를 따라 캠팔로우(533)가 이동되어 도어(504)는 개구부(503)를 개폐시킨다. 미설명부호 556은 로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방사 테스트 로봇시스템은 특허 제 2002-20078호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것이지만, 이는 한개의 로딩 로봇 및 언로딩 로봇을 이용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테스트 속도가 늦게 되고 아울러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떨어 지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로딩 및 언로딩 로봇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쉴드 박스의 체결을 원터치로 할 수 있는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은 메인 베이스와; 메인 베이스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며, 개인 휴대통신기를 제공/배출하며, 양품 또는 불량 판정된 개인 휴대통신기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제1 내지 제4 컨베이어와; 개인 휴대통신기를 쉴드 박스로 로딩시키는 복수개의 로딩로봇과, 상기 쉴드 박스로부터 개인 휴대통신기를 언로딩시키는 복수개의 언로딩 로봇으로 이루어진 로봇 시스템과; 로딩 및 언로딩 픽 앤드 플레이스 수단에 의해 개인 휴대통신기가 안착되며, 이를 소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을 안내하는 볼 스크류와, 볼 스크류를 구동하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진 로딩 및 언로딩 셔틀과; 개인 휴대통신기의 전,후를 바꾸기 위한 로테이터와; 그 일측에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 수단의 일측에 프로브핀 I/O센서와, 그 타측에 에어 인입구를 구비한 쉴드 박스와; 및 상기 복수개의 로딩 및 언로딩을 제어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사 테스트 로봇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로봇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방사 테스트 로봇시스템(1000)은 메인 베이스(1100)와, 복수개의 로딩 로봇(1210,1220) 및 언로딩 로봇(1230,1240)으로 이루어진 로봇 시스템(1200)과, 로딩 및 언로딩 셔틀 수단(1310,1320)과, 복수개의 제1 내지 제4 컨베이어(1410,1420,1430,1440)로 이루어진 이송부(1400)와,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로테이터(1500)와, 상기 로테이터(1500)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2열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쉴드박스(1600)와, 상기 로봇 시스템(12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 컴퓨터)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봇 시스템(1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갠트리(1202,1204)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로딩 로봇(1210,1220) 및 언로딩 로봇(1230,1240)이 설치되고, 상기 X축 갠트리는 Y축 갠트리(1252,1254)에 상호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로봇(1210,1220;1230,1240)은 개인 휴대통신기(1)를 흡착하여 파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버큠 패드(1212)와, 상기 버큠 패드(1212,121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헤드부(1214)를 각기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로봇(1210,1230)은 전열(앞줄)에 설치된 쉴드박스(1600)에 개인 휴대통신기(1)를 로딩 및 언로딩하게 구성되고, 상기 로딩 및 언로딩 로봇(1220,1240)은 후열(뒷줄)에 설치된 쉴드박스(1600)에 개인 휴대통신기(1)를 로딩 및 언로딩하게 구성된다.
한편, 로딩 및 언로딩 셔틀 수단(1310,1320)은 제1 및 제3 컨베이어(1410,1430)에 개인 휴대통신기(1)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하기 위한 것이다. 즉, 로딩 셔틀 수단(1310)은 제1 컨베이어(1410)로부터 제공된 개인 휴대통신기(1)를 복수개의 진공패드(1312)를 이용하여 가이드 판(1314)에 안착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보 모터(1315)가 동작하여 상기 가이드 판(1314)이 볼 스크류(1316)를 따라 소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1318은 스톱 센서이다. 또한, 언로딩 셔틀 수단(1320)도 로딩 셔틀 수단(1310)과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제1 내지 제4 컨베이어(1410,1420,1430,1440)로 이루어진 이송부(1400)는 종래의 컨베이어의 구성과 동일하고, 로테이터(1500)의 구성도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쉴드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박스(1600)의 상부 케이스(1610)와 하부 케이스(도시되지 않음; 종래 구성과 유사함)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610)의 일측에는 체결수단(1620)이 설치되고, 상기 체결 수단(1620)은 봉(1622)와, 상기 봉(162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레버(1630)와, 상기 봉(1622)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돌출부(1632)와, 안내홈(1642)을 구비한 체결부(1640)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1630)를 90도 회전함에 의해 돌출부(1632)가 체결부(1640)의 안내홈(1642)에 끼워짐에 의해 체결되게 되고, 반대로 90도 회전하게 되면 해제되게 된다. 미설명부호 1602는 도어이다.
상기 체결수단(1620)의 일측에는 프로브 핀 I/O센서(1700)가 설치되고, 체결 수단(1620)의 타측에는 에어 인입구(171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사 테스트 로봇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 베이스(1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컨베이어(1410)로부터 개인 휴대통신기(1)가 이송되어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면, 전방의 로딩 로봇(1210)의 버큠패드(1212)가 동작하여 개인 휴대통신기(1)를 파지하여 2열로 설치된 쉴드박스(1600)중 전방열에 설치된 쉴드박스(1600: 지그 1열)에 안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 로봇(1210)의 버큠패드(1212)는 예정된 개수(여기서는 3개정도)만큼 전방의 쉴드박스(1600)에 개인 휴대통신기(1)를 제공한 후, 이들이 테스트 되는 동안 로딩 픽 앤드 플레이스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로딩 셔틀수단(1310)의 가이드 판(1314)에 개인 휴대통신기(1)를 이동시키면 후방의 로딩 로봇(1220)이 후방열의 쉴드박스(1600; 지그 2열)에 안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 로봇(1220)도 예정된 개수(여기서는 3개 정도)만큼 후방의 쉴드박스(1600)에 개인 휴대통신기(1)를 제공하게 된다.
개인 휴대통신기(1)가 쉴드박스(1600)의 내부에 안착되면 체결수단(1620)의 레버(1630)를 소정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되면 돌출부(1632)가 체결부(1640)에 체결되게 된다. 이후, 개인 휴대통신기(1)의 테스트를 진행하게 된다.
개인 휴대통신기(1)의 테스트가 완료되면, 전방의 쉴드박스(1600)로부터 도어(1602)가 개방되고, 언로딩 로봇(1230)이 개인 휴대통신기(1)를 흡착 파지하며, 양품일 경우에는 그 하부에 설치된 로테이터(150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상기 로테이터(150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개인 휴대통신기(1)를 반전(전,후를 바꾸는 역할)시켜 제2 컨베이어(1420)에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제2 컨베이어(1420)는 양품 판정된 개인 휴대통신기(1)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언로딩 로봇(1230)은 파지된 개인 휴대통신기(1)가 불량품일 경우에는 제3 컨베이어(1430)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3 컨베이어(1430)는 불량 판정된 개인 휴대통신기(1)를 제4 컨베이어(1440)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4 컨베이어(1440)는 불량 판정된 개인 휴대통신기(1)를 귀환시킨다.
한편, 언로딩 로봇(1240)은 테스트가 완료된 개인 휴대통신기(1)를 언로딩 셔틀수단(1320)의 가이드판(도시되지 않음)에 안착하게 되면 소정위치로 가이드판이 이송되고, 다시 언로딩 픽 앤드 플레이스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양품일 경우에는 로테이터(150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나머지 동작은 전방 언로딩 로봇(1230)과 동일하게 작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사 테스트 로봇시스템은 복수개의 로봇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개인 휴대통신기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사 테스트 로봇시스템은 쉴드박스의 체결을 종래에 비해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그 일측에 프로브 핀 I/O센서를 설치함으로써 테스트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메인 베이스와;
    상기 메인 베이스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며, 개인 휴대통신기를 제공/배출하며, 양품 또는 불량 판정된 개인 휴대통신기를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제1 내지 제4 컨베이어와;
    개인 휴대통신기를 쉴드 박스로 로딩시키는 복수개의 로딩로봇과, 상기 쉴드 박스로부터 개인 휴대통신기를 언로딩시키는 복수개의 언로딩 로봇으로 이루어진 로봇 시스템과;
    로딩 및 언로딩 픽 앤드 플레이스 수단에 의해 개인 휴대통신기가 안착되며, 이를 소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을 안내하는 볼 스크류와, 볼 스크류를 구동하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진 로딩 및 언로딩 셔틀과;
    개인 휴대통신기의 전,후를 바꾸기 위한 로테이터와;
    그 일측에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 수단의 일측에 프로브핀 I/O센서와, 그 타측에 에어 인입구를 구비한 쉴드 박스와; 및
    상기 복수개의 로딩 및 언로딩을 제어하는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시스템은 각기 개인 휴대통신기를 파지하기 위한 버큠 패드와, 상기 버큠 패드가 장착한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 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박스의 체결 수단은 봉과, 상기 봉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레버와, 상기 봉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돌출부와, 안내홈을 구비한 체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를 90도 회전함에 의해 돌출부가 체결부의 안내홈에 끼워짐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KR1020050055648A 2005-06-27 2005-06-27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KR10074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648A KR100742538B1 (ko) 2005-06-27 2005-06-27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648A KR100742538B1 (ko) 2005-06-27 2005-06-27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139A KR20070000139A (ko) 2007-01-02
KR20060136109A true KR20060136109A (ko) 2007-01-02
KR100742538B1 KR100742538B1 (ko) 2007-07-25

Family

ID=3786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648A KR100742538B1 (ko) 2005-06-27 2005-06-27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9114B2 (en) 2017-04-06 2023-07-25 Kyutaek Cho Automated functiona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1510712A (zh) * 2020-06-01 2020-08-07 厦门宏泰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机顶盒wifi自动校验设备及其校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88B1 (ko) * 2001-05-22 2004-06-04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KR100474810B1 (ko) * 2002-04-12 2005-03-08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방사 쉴드 테스트 로봇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28928B (zh) 一种组合式测试流水线
US20030188997A1 (en) Semiconductor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20210839A1 (en) Cutting apparatus
CN108311421A (zh) 自动擦胶设备
US519752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lost foam pattern for use in full-mold casting
CN106936277B (zh) 马达框架的全自动贴合机
KR100742538B1 (ko)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KR20060136109A (ko) 방사 테스트 로봇 시스템
CN207787201U (zh) 载具清洁装置
CN113182843A (zh) 一种杯盖按钮装配机
EP1295840B1 (en) Linear capper and capping method
KR100706659B1 (ko) 피씨비 어셈블리의 절단장치
CN214956769U (zh) 一种预定位上料机构及自动封胶设备
JPH04169419A (ja) 板状ワークの搬送装置
JPS6317579B2 (ko)
KR100433788B1 (ko) 테스트 로봇 시스템
JPH07277499A (ja) リードフレームの移送装置
JP6181799B1 (ja) 半導体ストリップグラインダー
CN218344561U (zh) 一种翻转取料装置
KR100604097B1 (ko) 반도체 제조공정용 플립퍼링장치
CN213504744U (zh) 一种工件分装装置
KR100642800B1 (ko) 통화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6785017U (zh) 一种用于无板边双面pcba的在线检测供料装置
CN220324413U (zh) 一种用于石墨舟的拍打机构
CN216862912U (zh) 移载装置及检测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