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632A - 해충퇴치장치 - Google Patents

해충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632A
KR20060133632A KR1020050053344A KR20050053344A KR20060133632A KR 20060133632 A KR20060133632 A KR 20060133632A KR 1020050053344 A KR1020050053344 A KR 1020050053344A KR 20050053344 A KR20050053344 A KR 20050053344A KR 20060133632 A KR20060133632 A KR 20060133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control
control unit
unit
controlling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989B1 (ko
Inventor
구건모
Original Assignee
구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건모 filed Critical 구건모
Priority to KR102005005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98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8Holders or dispensers for pressurized insecticide, e.g. pressurized vessels, c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공간에 분사되는 혼합액의 정량조절 및 분사시간, 분사회수 등의 시간 조절을 통해, 지속적이고 무인관리가 가능하고 설치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해충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설치공간의 해충 등을 제거하기 위한 살충액 등을 분사하는 해충퇴치부와, 상기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해충퇴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설치공간의 냉난방을 조절하는 에어콘 가동부와, 상기 설치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 가동부와, 상기 설치공간의 해충 등을 제거하는 해충퇴치부와, 사용자의 기능키 입력에 따라 상기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및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해충퇴치장치를 제공한다.
가습기, 에어콘, 해충퇴치부

Description

해충퇴치장치{apparatus for examinating noxious insect}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기능 블럭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에서 혼합액이 분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해충퇴치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해충퇴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200: 해충퇴치장치 110, 210: 제어모듈
111, 211: 키입력부 112, 212: 메모리
113, 231: 제어부 114, 214; 디스플레이부
150, 250: 해충퇴치부 260: 가습기 가동부
270: 에어콘 가동부
본 발명은 해충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설치공간에 분사되는 혼합액의 정량조절 및 분사시간, 분사회수 등의 시간 조절을 통해, 지속적이고 무인관리가 가능하고 설치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해충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병원, 요양소, 호텔, 사우나, 목욕탕 등의 공공시설과, 축산시설, 식품 가공 시설, 오물 또는 폐기물 수거시설, 정화조 등 환경오염시설 등의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환경 관리를 해 주어 청결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 때, 사용되는 방향제 분무장치는 개인이 수동적으로 분사레버를 조작하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펌프를 이용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방향제를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무장치를 이용하여 살균 또는 살충을 할 경우에는, 살균 또는 살충이 필요한 여러 지역을 개인이 일일이 분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최근 실내공간에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에어컨과 가습기의 사용이 늘고 있는데, 여름 등의 계절이나 설치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서는 에어컨, 가습기외에도 해충퇴치기의 필요성이 있다. 이경우, 에어컨, 가습기, 해충퇴치기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야 하고 작동되어야 하므로, 설치공간의 확보 문제, 작동을 위해 사용자가 장치 각각에 대해 관리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 치공간에 분사되는 혼합액의 정량조절 및 분사시간, 분사회수 등의 시간 조절을 통해, 지속적이고 무인관리가 가능하고 설치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해충퇴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에어콘, 가습기 외에 해충퇴치장치를 일체화시키고, 상기 일체화에 따라 에어콘, 가습기, 해충퇴치장치를 설치공간의 환경에 맞게 순차적 또는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가동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설치공간의 쾌적함과 청결함을 유지시키면서 필요공간의 낭비를 막는 해충퇴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공간의 해충 등을 제거하기 위한 살충액 등을 분사하는 해충퇴치부와, 상기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해충퇴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해충퇴치를 위한 기능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해충퇴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키입력에 따라 상기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충퇴치부는, 살충액 등을 저장하는 살충액 저장탱크와, 자동급수라인과 연결되어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자동급수탱크와, 상기 살충액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살충액 등과 상기 자동급수탱크에서 공급된 물이 혼합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에 공급되는 살충액 등의 양을 조절하는 정량주입펌프와, 상기 혼합탱크에서의 혼합액을 가압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가압펌프를 통해 가압된 혼합액을 상기 설치공간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량주입펌프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살충액 등의 양을 조절하는 정량조절부와, 상기 가압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혼합액의 분사시간 및 분사회수를 조절하는 시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설치공간의 냉난방을 조절하는 에어콘 가동부와, 상기 설치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 가동부와, 상기 설치공간의 해충 등을 제거하는 해충퇴치부와, 사용자의 기능키 입력에 따라 상기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및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해충퇴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에어콘 가동, 가습기 가동 및 해충퇴치를 위한 기능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에어콘 가동, 가습기 가동 및 해충퇴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키입력에 따라 상기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및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충퇴치부는, 살충액 등을 저장하는 살충액 저장탱크와, 자동급수라인과 연결되어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자동급수탱크와, 상기 살충액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살충액 등과 상기 자동급수탱크에서 공급된 물이 혼합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에 공급되는 살충액 등의 양을 조절하는 정량주입펌프와, 상기 혼합 탱크에서의 혼합액을 가압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가압펌프를 통해 가압된 혼합액을 상기 설치공간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량주입펌프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살충액 등의 양을 조절하는 정량조절부와, 상기 가압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혼합액의 분사시간 및 분사회수를 조절하는 시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해충퇴치부를 환경에 맞게 소정 시간 동안, 순차적, 또는 소정 순서에 따라 또는 동시에 작동시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설치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설치공간의 환경오염상태를 감지하는 해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온도감지센서, 습도감지센서, 및 해충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온도, 습도, 환경오염상태를 수신받고, 상기 온도, 습도 및 환경오염상태를 상기 제어모듈의 메모리에 저장된 표준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는데,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 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기능 블럭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는, 상기 해충퇴치장치가 설치된 공간의 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살충액, 살균액, 방향제 등(이하, 살충액 등)을 분사하는 해충퇴치부(150)와, 상기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1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모듈(110)은, 해충퇴치를 위한 기능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11)와, 해충퇴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112)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출력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4)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키입력에 따라 해충퇴치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13)를 포함한다.
또한, 살충액 등은 방향제, 탈취제 등의 약제와, 달맞이꽃 추출액 등의 자연산 약제도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111)는 해충퇴치를 위한 기능키를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컨 등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상기 기능키는 통상적으로 작동키(작동, 정지 등), 수동적으로 해충퇴치를 위한 살충액 등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키, 및 환경(가령, 화장실, 음식물 수거 공간 등)에 맞게 자동적으로 설정된 기능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동으로 키입력부를 조절하여 살충액의 분사시간 및 분사 량을 조절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자동키 설정으로 환경에 맞는 최적 프로그램을 가동시킬수 있다.
가령, 해충퇴치장치의 설치위치가 학교, 병원, 호텔 등의 실내공간인 경우에는 주 1회 정도로 살충액 등이 분사되도록 설정하고, 화장실, 음식물 수거공간인 경우에는 매일 1회 또는 2회 정도로 살충액 등이 분사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여름과 겨울 등 계절별, 설치 공간의 기온, 습도 등에 따라 살충액 등의 분사시간, 분사회수, 분사량을 최적화하여 프로그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 환경에 따라 살충액 등의 분사시간, 분사량을 최적화한 프로그램은 메모리(112)에 저장되거나, 제어부(113)에 프로그램화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최적화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웹사이트를 통해 주기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사용자는 메모리(112)에 인터넷 다운로드 받거나 저장하여 실시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4)는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창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키입력부(111)에 의해 입력된 기능키의 정보, 현재 가동상태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해충퇴치의 진행과정을 알 수 있게 한다.
제어부(113)는 마이크로프로세서 형태로,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능키의 명령에 따라 해충퇴치부(150)를 제어한다.
가령, 사용자가 키입력부(111)상에서 자동키를 선택하고, 자동키의 세부항목으로 화장실, 음식물 수거공간, 실내 공간 중에서 화장실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13)는 메모리(1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독출해내고, 상기 프로그램에 맞게 해충 퇴치부(150)의 살충액 분사시간 및 분사량을 조절하여 최적화된 자동해충퇴치가 이루어지게 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해충퇴치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기능블럭도이다.
여기서, 제어모듈(11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제어부를 포함하는데, 도 1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며, 제어부의 세부 구성요소로서, 정량조절부(113a) 및 시간조절부(113b)에 대해 도시한다.
해충퇴치부(150)는, 살충액 등을 저장하는 살충액 저장탱크(151)와, 자동급수라인(미도시)과 연결되어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자동급수탱크(144)와, 상기 살충액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살충액 등과 상기 자동급수탱크에서 공급된 물이 혼합되는 혼합탱크(153)를 구비한다.
또한, 자동급수탱크(154)는 수도 등의 자동급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자동급수탱크와 연결된 급수밸브를 수동식으로 온/오프 조정하거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급수밸브를 온/오프하여 자동급수탱크(154)에 일정량의 물이 공급된다.
또한, 살충액 저장탱크(151)에 저장된 살충액 등이 이송관(미도시)을 통해 혼합탱크(153)에 공급될 때 시간당 일정량의 살충액이 상기 혼합탱크에 공급되도록 조절하는 정량주입펌프(152)를 구비한다.
또한, 혼합탱크(153)에서 물과 살충액이 혼합된 수용액 형태의 살충수용액(이하, 혼합액)을 가압하는 가압펌프(155)와, 상기 가압펌프를 통해 가압된 혼합액 을 설치공간에 분사하는 분사노즐(156)을 구비한다.
또한, 가압펌프(155)는 혼합탱크(153)가 하부에 있는 경우 상부에 있는 분사노즐(156)까지 공급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형태이며, 상기 분사노즐의 위치나 그 수에 따라 복수개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156)은 설치위치에 따라서 벽걸이형 분무기와 같이 하우징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개구부를 통해 분무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노즐이 장착되고 노즐의 후면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혼합액을 미립자화시켜 분무할 수 있다.
정량조절부(113a)는 해충퇴치부(150)의 분사노즐(156)을 통해 분사되는 살충액의 양을 조절하는데, 정량조절부(113a)는 상기 살충액이 혼합탱크(153)에 저장되기전에 정량주입펌프(152)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살충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정량조절부(113a)는 설치공간의 환경에 따라 고농도의 살충액을 분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정량주입펌프(152)를 제어하여 표준량보다 많은 양의 살충액 등이 혼합탱크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혼합액의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에 저농도의 경우에는 표준량보다 적은양의 살충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혼합액의 농도를 조절한다.
시간조절부(113b)는 해충퇴치부(150)의 분사노즐(156)을 통해 분사되는 혼합액의 분사회수, 분사시간을 조절하는데, 시간조절부(113b)는 가압펌프(155)의 가동시간을 조절하여 분사되는 혼합액의 분사시간 및 분사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압펌프(155)의 가압 정도에 따라 혼합액의 분사되는 세기 또는 시간 당 분사되는 혼합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해충퇴치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가령, 화장실, 식당, 병원 등의 실내공간에는 가압펌프의 가동시간을 늘려 혼합액의 분사시간및 및 회수를 늘리고, 일반 사무실 공간 등의 경우에는 가압펌프의 가동시간을 줄여 혼합액의 분사시간 및 회수를 줄이는 방식 등으로, 환경에 맞는 최적 해충퇴치가 이루어지게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에서 혼합액이 분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급수라인을 통해 자동급수탱크(154)에 공급된 물과 살충제 저장탱크(151)에 저장된 살충액이 혼합탱크(153)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수용액이 가압펌프(155)에 의해 가압된다. 이후, 가압펌프(155)를 통해 혼합액이 상부에 형성된 분사노즐(156)로 공급되고,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설치공간 곳곳에 상기 혼합액이 분사되어 모기 및 해충 등을 제거한다.
이때, 제어모듈(110)을 통해 혼합액이 분사되는 시간을 자동 조절하거나 살충액 등의 투입량을 조절하여 혼합액의 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57는 자동급수탱크의 수위를 자동조절하는 수위자동조절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분사노즐(156)은 내식 또는 내산성이 며, 설치공간의 환경에 따라 공간 곳곳에 적절한 수가 배치됨을 보여준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해충퇴치장치(200)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해충퇴치장치(200)는 해충퇴치장치가 에어콘, 가습기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해충퇴치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충퇴치장치에 에어콘 및 가습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형태이므로,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해충퇴치장치(200)는 설치된 실내공간의 냉난방을 조절하는 에어콘 가동부(270)와, 상기 실내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 가동부(260)와, 상기 실내공간 내의 모기, 해충 등(이하, 해충 등)을 제거하는 해충퇴치부(250)와, 사용자의 기능키 입력에 따라 상기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및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210)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모듈(210)의 경우에 키입력부(211)는 해충퇴치외에 에어콘 및 가습기 구동에 따른 특수 기능키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14)는 해충퇴치에 따른 출력상태 뿐만아니라 에어콘, 가습기의 상태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2)에는 해충퇴치에 적합한 프로그램 뿐만아니라, 설치환경에 적합한 에어콘 및 가습기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 그램들은 인터넷 다운로드 또는 메모리에 저장을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3)는 에어콘 가동부(270), 가습기 가동부(260) 및 해충퇴치부(2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13)는 소정의 주기를 정하여 순차적으로 에어콘 가동, 가습기 가동, 해충퇴치부 가동의 형태로 가동할 수 있으며(그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 상기 에어콘, 가습기, 및 해충퇴치부 가동의 1순환 주기는 환경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1순환 주기에 해당되는 에어콘, 가습기, 해충퇴치부 각각의 가동주기는 상호간에 균등하게 분배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1순환 주기 또는 각 구성요소의 가동 주기는 사용자의 키입력부를 통해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가령, 화장실, 식당, 일반 사무공간, 병원 드등의 각 설치공간, 계절별, 기온별 등에 다양한 조건에 대해 실험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기초로 최적화한 프로그램에 맞게 자동키로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일반 사무실 공간에서, 사용자가 에어콘 가동부(270), 가습기 가동부(260)는 활동시간인 오전 8시부터 오후 8까지 작동되도록 하고, 해충퇴치부는 모기등이 많은 오후 8시 이후부터 오전 8시까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해충퇴치장치의 1순환 주기를 1시간으로 하고, 에어콘 가동은 40분, 가습기 가동 15분, 해충퇴치부가 5분간 작동하는 형태로 순차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동시에 행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213)는 먼저 가습기 가동부(260) 및 해충퇴치부(250)를 제어 하여 그 작동을 멈추게 하고, 에어콘 가동부(270)를 작동시켜 40분간 에어콘을 가동킨다. 이후, 에어콘 가동부(27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가습기 가동부(260)를 작동시키며 15분간 가습기가 가동되도록 한다. 이후, 에어콘 가동부(270)의 정지를 그대로 유지하고, 가습기 가동부(260)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해충퇴치부(250)를 구동시켜 5분간 분사노즐을 통해 혼합액이 설치공간에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13)는 해충퇴치부(250)의 혼합액의 분사량 및 분사시간 및 분사회수를 조절하는 정량조절부 및 시간조절부를 포함한다.
이와같이, 에어콘 가동부(270), 가습기 가동부(260), 해충퇴치부(250)를 소정 시간 동안, 순차적 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또는 동시에 작동시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에어콘, 가습기, 해충퇴치장치가 각각 독자적으로 구동되었고, 이에 따라 쾌적한 환경을 구현하는데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에어콘, 가습기, 및 해충퇴치장치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이의 작동에 있어서 환경에 맞게 순차적 또는 동시에 작동되게 하여 사용자의 실내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에어콘 가동부(270)는 해충퇴치장치(200)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냉난방을 조절하고, 가습기 가동부(260)는 해충퇴치장치(200)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데, 상기 에어콘 가동부(270)과 가습기 가동부(260)의 내부 구성은 통상적인 에어콘, 가습기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해충퇴치부(25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 른 해충퇴치부(150)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해충퇴치장치(200)에서 센서가 부가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지센서(221)는 일체형 해충퇴치장치(200)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온도를 감지하고, 습도감지센서(222)는 상기 실내공간의 습도를 감지하고, 해충감지센서(223)은 실내공간의 해충 등을 감지하거나 해충 등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환경상태를 감지한다.
가령, 해충감지센서(223)는 상기 실내공간의 암모니아가스, 요소가스, 담배연기 및 수분 등 각종 공기 오염요소들의 양을 검출하는데, 상기 오염의 정도에 따라 살충액 등의 분무 필요성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감지센서(221)를 통해 감지된 온도, 습도감지센서(222)를 통해 감지된 습도, 해충감지센서(223)를 통해 감지된 해충환경상태 등을 제어부(213)에 전송하면, 제어부(213)의 비교부(213a)는 상기 센서(221)(222)(223)로부터 수신받은온도, 습도, 오염정도 등을 메모리(212)에 저장된 표준값과 비교한다.
이때, 비교결과, 실내온도가 표준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에어콘 가동부(270)를 가동하고 실내온도를 표준값 이하로 낮추며, 실내습도가 표준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습기 가동부(260)를 가동시켜 실내습도를 높여준다.
또한, 실내공간의 오염정도가 표준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해충퇴치부(250)를 가동시켜 살충액 등을 분사하여 실내공간의 환경을 쾌적하게 해준다.
또한, 메모리(212)에 저장되는 표준값은 다양한 조건에 맞게 실험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된 최적화된 값을 표준값으로 하며, 상기 표준값은 인터넷 다운로드 등을 통해 실시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해충퇴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배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해충퇴치장치는,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해충퇴치부는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해충퇴치부의 혼합액이 분사되는 분사부 및, 가습기 가동부의 수증기가 분사되는 분사부가 에어컨 가동부의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부에 상부측에 통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해충퇴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부(Power Connection: 281)가 통합되어 구비된다.
또한, 가습기 가동부 및 해충퇴치부에 대한 물 공급은 모두 동일한 급수라인(285)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에어콘 가동부에서의 배출되는 물이 빠져나가는 배기구(286)가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282는 압력계이고, 283은 물보충 여부를 파악하는 레벨 가우지(Level gauge)이며, 배면에 부하측과 연결되는 연결부 또는 스페어(Spare)부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소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 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충퇴치장치는 분사노즐을 살충액 등의 분무가 필요한 장소에 설치하고, 제어부의 정량 조절과 시간 조절에 따라 자동적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이고 무인관리가 가능하여 항상 설치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무기를 통해 여러지역을 개별적으로 분무해야 하는 불편과 정기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에어콘, 가습기외에 해충퇴치장치를 일체화함으로써, 기존의 개별적인 사용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고 각각의 개별적인 설치에 따른 공간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일체화에 따라 에어콘, 가습기, 해충퇴치장치를 설치공간의 환경에 맞게 순차적 또는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가동주기를 조절함으로써 설치공간의 쾌적함과 청결함을 유지시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1)

  1. 설치공간의 해충 등을 제거하기 위한 살충액 등을 분사하는 해충퇴치부와, 상기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해충퇴치를 위한 기능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해충퇴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키입력에 따라 상기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부는, 살충액 등을 저장하는 살충액 저장탱크와, 자동급수라인과 연결되어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자동급수탱크와, 상기 살충액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살충액 등과 상기 자동급수탱크에서 공급된 물이 혼합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에 공급되는 살충액 등의 양을 조절하는 정량주입펌프와, 상기 혼합탱크에서의 혼합액을 가압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가압펌프를 통해 가압된 혼합액을 상기 설치공간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량주입펌프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살충액 등의 양을 조절하는 정량조절부와, 상기 가압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혼합액의 분사시간 및 분사회수를 조절하는 시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5. 설치공간의 냉난방을 조절하는 에어콘 가동부와, 상기 설치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 가동부와, 상기 설치공간의 해충 등을 제거하는 해충퇴치부와, 사용자의 기능키 입력에 따라 상기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및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에어콘 가동, 가습기 가동 및 해충퇴치를 위한 기능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에어콘 가동, 가습기 가동 및 해충퇴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출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키입력에 따라 상기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및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퇴치부는, 살충액 등을 저장하는 살충액 저장탱크와, 자동급수라인과 연결되어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자동급수탱크와, 상기 살충액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살충액 등과 상기 자동급수탱크에서 공급된 물이 혼합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에 공급되는 살충액 등의 양을 조절하는 정량주입펌프와, 상기 혼합탱크에서의 혼합액을 가압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가압펌프를 통해 가압된 혼합액을 상기 설치공간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정량주입펌프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살충액 등의 양을 조절하는 정량조절부와, 상기 가압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혼합액의 분사시간 및 분사회수를 조절하는 시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해충퇴치부를 환경에 맞게 소정 시간 동안, 순차적, 또는 소정 순서에 따라 또는 동시에 작동시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설치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설치공간의 환경오염상태를 감지하는 해충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온도감지센서, 습도감지센서, 및 해충감지센서로부터 각각 온도, 습도, 환경오염상태를 수신받고, 상기 온도, 습도 및 환경오염상태를 상기 제어모듈의 메모리에 저장된 표준값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에어콘 가동부, 가습기 가동부, 해충퇴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KR1020050053344A 2005-06-21 2005-06-21 해충퇴치장치 KR100696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344A KR100696989B1 (ko) 2005-06-21 2005-06-21 해충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344A KR100696989B1 (ko) 2005-06-21 2005-06-21 해충퇴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843U Division KR200394953Y1 (ko) 2005-06-21 2005-06-21 해충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632A true KR20060133632A (ko) 2006-12-27
KR100696989B1 KR100696989B1 (ko) 2007-03-22

Family

ID=3781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344A KR100696989B1 (ko) 2005-06-21 2005-06-21 해충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9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769Y1 (ko) * 2011-12-29 2014-01-17 대한민국 배나무 해충 발생경보기
CN106197533A (zh) * 2016-06-21 2016-12-07 新昌县三新空调风机有限公司 一种具有监测装置的茶果园多功能智能管理机及监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199B1 (ko) 2013-02-22 2014-09-2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피제 살포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및 병해충 퇴치시스템
KR102006492B1 (ko) * 2018-02-23 2019-08-02 보평그린(주) 다기능 포그 마스터 시스템
KR102287433B1 (ko) 2019-08-08 2021-08-09 이세목 해충 퇴치장치
IT202000012157A1 (it) * 2020-05-25 2021-11-25 In Giardino S R L Dispositivo per la protezione degli spazi dagli insetti nocivi con variazione automatica del dosaggio della soluzione impiegat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8841A (en) 1976-05-24 1977-06-14 Lawrence Peska Associates, Inc. Distribution system for vermin control composition
JPH06137605A (ja) * 1992-02-09 1994-05-20 Ishii Fumio 室内空気消毒方法
KR100427482B1 (ko) * 2001-11-06 2004-04-28 조영한 건물의 방역설비
KR100504331B1 (ko) * 2003-09-25 2005-07-27 이철호 건축물의 자동 방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339621Y1 (ko) 2003-10-16 2004-01-24 신광호 다기능 훈증 훈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769Y1 (ko) * 2011-12-29 2014-01-17 대한민국 배나무 해충 발생경보기
CN106197533A (zh) * 2016-06-21 2016-12-07 新昌县三新空调风机有限公司 一种具有监测装置的茶果园多功能智能管理机及监测方法
CN106197533B (zh) * 2016-06-21 2019-06-28 浙江三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监测装置的茶果园多功能智能管理机及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989B1 (ko)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2065B2 (en) Scent disperser arrangement in an HVAC system
KR100696989B1 (ko) 해충퇴치장치
US4601886A (en) Air treatment apparatus
US9101676B2 (en) Method of operating a volatile material dispenser
US20110284653A1 (en) Adaptive Emanator of a Fluid
US200601218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substances into an environment
US20080067263A1 (en) Automated pest misting system with pump
US20040238976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vapour into an air flow
EP2111875A1 (en) Emanator for air treatment agent with odour detection
US10799838B1 (en) Multifunctional misting system
GB2233230A (en) An ultrasonically energised aroma supply apparatus
JP2013526980A (ja) 多重揮発性物質ディスペンシングデバイス及びその動作方法
US20090169420A1 (en) Time controlled scenting system
KR200394953Y1 (ko) 해충퇴치장치
JP2001033070A (ja) 加湿器
JPH09103476A (ja) 消臭装置
KR100688927B1 (ko) 자동 급수 방식의 복합기능 가정용 가습기
US20200029546A1 (en) Bug terminator systems
KR102355430B1 (ko) 마이크로버블 고압분무기
WO2005075895A1 (en) Air conditioner and dispenser
KR102345583B1 (ko) 비가열식 방제기 시스템
KR200445336Y1 (ko) 순환식 가습기
CN213855365U (zh) 多功能智能雾化器
JPH11253089A (ja) 環境衛生機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2006200809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