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349A -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349A
KR20060133349A KR1020050053158A KR20050053158A KR20060133349A KR 20060133349 A KR20060133349 A KR 20060133349A KR 1020050053158 A KR1020050053158 A KR 1020050053158A KR 20050053158 A KR20050053158 A KR 20050053158A KR 20060133349 A KR20060133349 A KR 20060133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isinfection
air
uni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조일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102005005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3349A/ko
Publication of KR20060133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4Collapsible drying cabinets; Wall mounted collapsible ho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수축 팽창이 가능한 재질을 이용하거나 기존 건축물의 공간 구조를 최대한 이용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건조 및 소독 장치는, 교환 가능한 소독용제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소독용제 공급부와, 공기 공급부와, 내부에 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히터와 대상물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 방출기가 구비된 건조 및 소독 수행부와, 상기 공기 공급부를 통해 흡수되는 공기 및 상기 소독용제 공급부로부터 사출된 소독용제를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로 보내기 위한 공기 유입관과,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건조 및 소독 공간을 설치하거나 해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의 베란다 등의 공간을 상기 건조 및 소독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으므로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건조, 소독, 집진, 거치대, 의류, 이불, 베란다, 공간 절약

Description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Space saving type dry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 및 소독 장치의 구성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 및 소독 장치의 건조 및 소독 수행부 내부에 설치되는 거치 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 및 소독 장치의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 및 소독 장치의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
도 4a 내지 제 4d는 본 발명에 의해 건조 및 소독이 수행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소독용제 공급부 111 : 소독용제 용기 장착수단
112 : 소독용제 제 1 차단밸브 120 : 공기 공급부
121 : 외부 공기 흡입 팬 122 : 모터
130 : 건조 및 소독 수행부 131 : 공기배출구
132 : 차단 밸브 133 : 건조용 히터
134 : 살균용 자외선 방출기 135 : 공기순환 팬
136 : 온도 센서 137 : 습도 센서
138 : 집진 필터 139 : 공기압 센서
140 : 공기 유입관 150 : 조작부
160 : 제어부 170 : 거치 수단
190 : 건조 대상물 수용 수단 201 : 베란다 창
202 : 베란다 벽 301 : 프레임
본 발명은 수축 팽창이 가능한 재질을 이용하거나 기존 건축물의 공간 구조를 이용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환 가능한 소독용제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소독용제 공급부와, 공기 공급부와, 내부에 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히터와 대상물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 방출기가 구비된 건조 및 소독 수행부와, 상기 공기 공급부를 통해 흡수되는 공기 및 상기 소독용제 공급부로부터 사출된 소독용제를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로 보내기 위한 공기 유입관과,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장마철을 지나 눅눅해진 이불이나 카페트, 신발 등 피복 제품에 대하여 종래에는 날씨가 좋은 날을 기다려 실내에 펼쳐 널거나, 세탁소의 대형 건조 기계를 통해 건조 및 소독을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때, 전자의 방법에 의하면 하염없이 날씨 좋은 날이 돌아오기를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후자의 방법에 의하면 세탁소 등의 특수 기계를 이용해야 하는 고로 적지 않은 세탁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123882호가 있다. 이는 다목적 의류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상부에는 열풍실 및 조종판이 설치되고, 하단에서 건조실이, 건조실 내에는 빨래대, 선반 등이 설치되어 있어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 건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 의하는 경우 작지 않은 본체의 부피 및 차지 면적으로 인해 가정에서 운용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내지 수단에 대하여는 해당 등록공보에 전혀 언급된 바가 없고, 단순히 열풍을 통해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을 뿐 별도의 소독용제를 통한 소독 기능이나 별도의 향기용제를 통한 향기 처리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는 열풍을 가하기 위한 열풍팬이 구비되어 있어 건조를 촉진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열풍팬은 상단에 특히 마련되어 내부로 열풍을 주입시키는 역할만을 담당할 뿐, 주입된 열풍이 의류의 곳곳에 닿을 수 있도록 이를 순환시키는 역할은 전혀 하고 있지 않으므로 건조 효율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 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근자에는 마트나 약국을 통해 각종 가정용 소량의 소독용제 또는 향기용제가 소매형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손수 세탁물 또는 의류, 이불 등에 뿌려주어야 하는 등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또한, 요즘 주방의 필수 전자기기로 각광받고 있는 식기 건조기의 건조에는 특히 세균을 박멸하기 위해 자외선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의류 등 피복류에 응용하려는 사례는 거의 없다시피 하였으며, 상기 식기 건조기의 살균 방식은 단순히 한 방향으로 자외선을 방사하는 방식으로서 사각의 공간이 존재할 경우 이에 자외선이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한 번 방사된 자외선이 다시 이용될 수 없다는 점에서 살균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지 못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건조 및 소독을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외형 변형이 가능한 비닐, 직물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구현하되 이를 공기 유입관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소에는 수축된 채로 분리 보관하다가 필요에 따라 공기 유입관에 장착하고 이를 팽창시켜 건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 및 소독 공간을 조립용 프레임과 이를 덮는 외피로 구성하여 구현하고 역시 이를 공기 유입관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해체 또는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 및 소독 공간을 기존의 건축물에 있어서 공간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간 확보를 위한 노력을 줄이고 건축물 구조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 및 소독 공간의 내표피를 자외선 반사제로 코팅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소독 효과를 배가시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 및 소독 공간의 내부에 공기 순환용 팬을 장착하여 건조용/소독용/청정용 공기가 일정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건조/소독/청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조 및 소독 장치는, 교환 가능한 소독용제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과 소독용제를 사출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 1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소독용제 공급부와, 외부 공기 흡입을 위한 팬이 장착된 모터와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제 2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공기 공급부와, 내부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배출구 및 그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 3 차단밸브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히터와 대상물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 방출기가 구비되는 건조 및 소독 수행부와, 상기 소독용제 공급부, 공기 공급부, 건조 및 소독 수행부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공기 공급부를 통해 흡수되는 공기 및 상기 소독용제 공급부로부터 사출된 소독용제를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로 보내기 위한 통로인 공기 유입관과, 대상물의 건조 및 소독과 관련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를 통해 특정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수용 수단은 1) 용이하게 외형 변경이 이루어지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평소에는 최소한의 부피로 축소되어 있다가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하여 비로소 그 내부에 소정의 건조 및 소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고, 2) 형상 유지를 위한 소정 개수의 프레임 수단과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수단 및 외피는 필요에 따라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한 것일 수도 있으며, 3) 해당 건조 및 소독 장치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미리 형성된 공간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내표면에는 상기 자외선 발생기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제가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조 및 소독 장치에는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상물의 공기 접촉면이 최대가 되도록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상기 거치 수단을 내부로 반입하거나 다시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입출입 통로가 되는 소정의 개폐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해당 건조 및 소독 수행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는 그 온도 센서에 미리 설정된 상한 온도가 감지되면 히터의 구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해당 건조 및 소독 수행부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그 습도 센서에 미리 설정된 상한 습도가 감지되면 상기 차단 밸브를 해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대상물로부터 분리되어 내부 공기 중에 섞인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집진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일정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순환 팬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공기압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압 센서에 미리 설정된 상한 수치가 감지되면 상기 공기 공급부의 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건조 및 소독 장치에는 교환 가능한 향수용제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과, 향수용제를 사출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 4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향수용제 공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 및 소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소독용제 공급부(110)는 부탄가스 용기와 유사하게 언제라도 교환 가능한 소독용제 용기를 안전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수단(111)과, 장착된 소독용제 용기로부터 사출되는 소독용제를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출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 1 차단밸브(11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장착수단(111)은 상기 소독용제 용기가 여행용 부탄가스 용기와 유사한 경우라면 해당 용기의 소독용제 사출구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기 위한 압력인가수단(도면에 미도시)과, 사출되는 소독용제를 유실 없이 받아내기 위한 사출구 접속수단(도면에 미도시) 및 용기 고정수단(도면에 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여행용 가스레인지에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소독용제 용기는 반드시 여행용 부탄가스 용기와만 유사하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의 각종 약용 제제 공급용 용기가 전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해당 용기의 장착 방식에 따른 특정 장착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차단밸브(112)로는 상기 장착수단(111)의 압력인가수단 또는 사출구 접속수단의 형태에 따라 소독용제의 사출량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종 기계적 메카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그와 같은 사출량 조절 메카니즘 역시 종래에 이미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제 1 차단밸브(112)는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되는데, 특히 조작부(150)를 통해 소독 기능이 선택된 경우 건조 과정을 위한 공기 공급부(120)의 기동이 종료하면, 그에 이어지는 소독 과정에서 다시 공기 공급부(120)의 기동과 함께 제 1 차단밸브(112)에 사출(open) 명령 제어신호가 하달되고, 사출된 소독용제는 공기 공급부(12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에 섞여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로 유입된다.
공기 공급부(12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121)이 장착된 모터(122)와, 모터(122)에 의해 흡입되어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로 유입된 공기가 역류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차단밸브(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떠한 이유에서든 모터(122)가 정지되는 경우에는 그와 동시에 제 2 차단밸브(123)가 작동하여 이미 유입된 공기의 역류를 막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이 단순한 건조 기능 외에 대상물의 소독 및 집진 기능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을 감안할 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에는 소정의 공기 필터(12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는 습기를 흡수한 공기, 소독용제로 소독이 완료된 공기 또는 집진이 완료된 공기 등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을 위한 공기배출구(131)와, 그 내부 공기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 3 차단밸브(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3 차단밸브(132)는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공기배출구(131)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게 되며, 특히 공기 공급부(120)로부터 건조용 공기를 유입받는 경우, 소독용제가 포함된 공기를 유입받는 경우, 향기용제가 포함된 공기를 유입받는 경우 그리고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의 내부 건조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공기를 유입받는 경우에는 각각 제어부(160)로부터 차단 명령 제어신호를 받게 된다.
또한,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의 내부에는 대상물에 적외선을 가하여 습기의 증발을 유도하기 위한 히터(133)와, 자외선을 통해 대상물에 흡착되어 있는 각종 세균을 박멸하기 위한 자외선 방출기(134)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히터(133) 및 자외선 방출기(134)는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 내부의 어떠한 위치에 장착되어도 좋으나 효율적인 건조 및 살균을 위해 중간 위치의 벽 또는 소정의 샤프트(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중앙의 공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선택적으로는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의 내표면에 한 번 방출된 자외선을 반사시켜 여러 번 대상물에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자외선 방출기(134)의 살균 효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소정의 자외선 반사제를 코팅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사제로는 종래의 UV 차단 렌즈, UV 차단 크림 등에 사용되는 각종 화학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의 내부에는 히터(133)에 의해 가열된 공기, 소독용제가 섞인 공기 및 향기용제가 섞인 공기가 일정 방향으로 내벽을 따라 순환하도록 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최대한 저습도의 공기, 고농도의 소독용제 및 향기용제가 섞인 공기가 골고루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 팬(135)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에는 내부의 온도를 수시로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136)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히터(133)에 의해 내부 공기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자동으로 온도 센서(136)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60)에 보고하고, 이를 보고받은 제어부(160)는 히터(133)에 작동 중지 명령의 제어신호를 하달하여 더이상의 온도 상승을 막고 화재 발생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후 소정치의 온도로 다시 내려가면 온도 센서(136)는 그 사실을 다시 제어부(160)에 알리고 제어부(160)는 그에 따라 히터(133)를 재구동시키는 명령의 제어신호를 하달한다.
아울러,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에는 내부의 습도를 수시로 측정하기 위한 습도 센서(137)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부에 공급된 공기가 축축한 대상물로부터 소정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도가 일정 수치 이상으로 올라가면 습도 센서(137)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60)에 보고하고, 이를 보고받은 제어부(160)는 제 3 차단밸브(132)에 차단 해제 명령의 제어신호를 하달하여 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제 3 차단밸브(132)에 차단 명령의 제어신호를 보내 공기배출구(131)를 차단하고 공기 공급부(120)에 공기 공급 명령의 제어신호를 하달하여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의 내부에 습도가 낮은 새로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에는 대상물로부터 분리되어 공기 중에 섞인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을 공기 중으로부터 걸러내기 위한 집진 필터(13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에는 수시로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공기압 센서(139)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공기 공급부(120)가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에 공기를 공급함에 있어 어느 시점에서 공급을 중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공기 공급부(120)는 공기를 공급하기 시작한 때부터 소정의 타이머(도면에 미도시)를 작동시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에 적절한 공기량이 유입될 것으로 판단하고 자동으로 공기 공급을 중단할 수도 있지만, 공기압 센서(139)로부터 소정의 공기압 치수에 도달하였음을 통보받음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공기 공급을 중단할 수도 있으며, 후 자의 방식이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공기량 유입을 보장한다.
공기 유입관(140)은 소독용제 공급부(110), 공기 공급부(120),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공기 공급부(120)를 통해 흡수되는 공기 및 상기 소독용제 공급부(110)로부터 사출된 소독용제를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로 보내기 위한 통로 역할을 담당한다.
조작부(150)는 사용자가 대상물의 건조 및/또는 소독과 관련한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메뉴나 다수의 입력키를 제공하며, 제어부(160)는 조작부(150)를 통해 특정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해당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각 부분에 각종 제어명령을 하달한다.
향수용제 공급부(170)는 교환 가능한 향수용제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171)과, 향수용제를 사출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 4 차단밸브(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의 장착수단(171)은 먼저 설명한 소독용제 공급부의 장착수단(111)과 동일하게 적용되고, 제 4 차단밸브(172)는 제 1 차단밸브와 대동소이하게 작동하므로 그에 대하여는 도 4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건조 및/또는 소독할 수 있는 대상물로서는 이불, 카페트, 의류, 신발 등 다양한 물품이 될 수 있으나, 이를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에 곧바로 수납하는 경우 겹쳐지는 부분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골고루 건조 및/또는 소독이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조 및 소독 장치는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의 접촉면이 겹쳐지지 않도록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 수단(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 수단(180)의 일 실시예가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거치 수단(180)으로서 빨래 받침대를 상정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대상물의 표면적이 최대한이 될 수 있도록 거치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대표적인 3가지 케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해 보기로 한다. 이때, 이를 이루는 공기배출구, 제 3 차단밸브, 히터 및 자외선 방출기 등을 위시한 각 구성요소들은 대동소이하게 구현되므로 특징적인 변화가 있는 수용 수단(190)에 주안점을 두어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 형태의 수용 수단(190)은 비닐, 직물 등과 같이 용이하게 외형 변경이 이루어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으며, 평소에는 내부에 공기가 빠져나간 상태로 최소한의 부피로 축소되어 있다가 공기 공급부(120)로부터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하여 비로소 그 내부에 소정의 건조 및 소독 공간이 형성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팽창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연한 재질의 프레임과 외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오로지 외피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본 수용 수단(190)을 최대한 압축한 후 이를 포함하는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를 공기 유입관(140)으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시에 다시 공기 유입관(140)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만큼의 부피 내지 면적을 다른 용도로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 형태의 수용 수단(190)은 해당 건조 및 소독 장치가 설치되는 건축 물의 미리 형성된 공간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특히 아파트의 베란다 공간을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로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베란다의 진입 현관(202)과 베란다 외부 창문(201), 베란다 천장, 그리고 진입 현관(202)과 외부 창문(201)에 밀착되도록 위치된 별도의 칸막이 부재(203)가 합해져서 하나의 수용 수단(190)을 형성하고 있다.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의 공기배출구(131)는 외부 창문(201)의 일부에 틈을 형성하여 그 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도 칸막이 부재(203)는 필요에 따라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 만큼의 면적을 다른 용도로도 전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 건조 또는 소독 단계에서는 외부 창문(201)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의 적외선 및 자외선이 가미될 수 있으므로 작동 효율이 한층 향상될 여지도 있다.
세 번째 형태의 수용 수단(190)은 특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프레임 수단(301)과 외피(도면에 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은 특히 철제 결합식 프레임 수단을 이용하여 수용 수단(190)을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수용 수단(190) 외에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상기 멈칫못을 포함하는 철제 결합식 프레임 수단을 결합하여 직사각형의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를 조립한 후 건조 및/소독을 진행하며, 미사용시에는 다시 이를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가 차지하는 면적을 다른 용도로도 전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형태의 수용 수단(190)에는 공히 거치 수단(180)을 건조 및 소독 수행부(130) 내부로 반입하거나 이를 다시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입출입 통로로서 소정의 개폐 수단(도면에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폐 수단으로는 지퍼, 개폐 도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한 건조 및 소독 장치에는 사용자가 조작부를 통해 특정 기능을 실행시킴에 따라 본 장치의 현재 작동 상태, 작동 오류에 따른 에러 메시지, 작동 완료 알람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의한 건조 및 소독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대상물의 건조, 소독 및 향기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대상물로 카페트를 상정하고, 수용 수단으로 상기 첫 번째 형태에서 특히 비닐 재질이 이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며, 참고로 도 4a 내지 도 4d는 이와 같은 수행 과정의 일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사용자는 소정의 장소에 압축되어 저장되어 있는 건조 및 소독 수행부를 가져와서 이를 공기 유입관에 결합한 후(S401), 수용 수단의 전면에 상하로 가로질러 구비된 지퍼(개폐 수단)를 열어 그 내부에 거치 수단을 펴서 집어넣고 거치 수단의 상단에 걸쳐 카페트를 얹혀 놓은 후 다시 지퍼를 잠근다(S403).
사용자는 특정 위치에 마련된 조작부에 마련된 "건조만/건조와 소독까지/소독만/건조와 소독과 향기 처리까지/향기 처리만" 등과 같은 메뉴 중 "건조와 소독 과 향기 처리까지"를 선택하여 풀코스로 처리하도록 명령한다(S405).
먼저, 건조 단계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 1, 제 3, 제 4 차단 밸브를 록킹시키고 제 2 차단 밸브만을 오픈시킨 후(S407), 공기 공급부의 모터를 기동시켜 건조 및 소독 수행부로 공기를 주입한다(S409).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공기압 센서는 수용 수단이 적당히 부풀어 오를 때까지 기다리다가 내부 공기압이 특정 수치에 이르면(S411) 제어부에 이를 통지하고 이에 대해 제어부는 모터의 기동을 중단시킴과 동시에 주입된 공기의 역류를 막기 위해 제 2 차단밸브마저 록킹시킨다(S413). 이어서 제어부는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히터와 공기순환 팬을 작동시켜 내부 온도를 데움과 동시에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켜 축축한 카페트가 신속히 마를 수 있도록 한다(S415). 이때, 내부 공기의 온도가 55도 씨 이상까지 데워지면 카페트에 대량 서식하는 진드기 등의 해충이 소멸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평균 60도 씨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내부 온도가 위험 수준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온도에 다다르면(S417), 온도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통지하고 이를 통지 받은 제어부는 히터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소정의 온도치 이하로 내려가면 다시 히터를 작동시킨다(S419). 아울러 카페트의 수분이 증발되면서 내부 공기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포화 습도 근방에 도달하면(S421), 습도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통지하고 이를 통지받은 제어부는 공기순환 팬을 중단시킴과 동시에 제 3 차단밸브를 오픈시켜 습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S423). 어느 정도 내부 공기가 빠져나갔을 시간이 되면 제어부는 다시 제 2 차단밸브를 오픈시 키고 제 3 차단밸브를 록킹시킨 후 모터를 기동하여 공기를 주입한다. 이와 같은 건조 프로세스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된다(S425).
이어서 소독 단계로 진입하는데, 우선 제어부는 제 3 차단밸브를 록킹시키고 제 1, 제 2 차단밸브를 오픈시킨 후(S427), 모터를 기동하여 외부 공기와 소독용제가 혼합된 공기를 건조 및 소독 수행부로 주입시킨다(S429). 마찬가지로 소정의 공기압에 이르르면(S431), 제 1, 제 2 차단밸브가 록킹되고 모터는 작동을 멈추며(S433), 건조 및 소독 수행부 내부의 자외선 방출기가 작동된다(S435). 이때, 방출되는 자외선은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내표피에 코팅된 자외선 반사제에 반사되어 카페트의 이곳저곳을 여러 번 조사함으로써 살균 효과를 배가시키게 된다. 이때에도 공기순환 팬을 작동시켜 소독용제가 카페트의 여기저기 면에 골고루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독을 위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S437), 제어부는 공기순환 팬과 자외선 방출기를 작동 중지시키고(S439), 제 3 차단밸브를 오픈시켜 소독용제가 혼합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킨다(S441). 이후에 공기 공급부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한두 번 더 주입하였다가 방출하여 소독용제가 모두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소독 프로세스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된다(S443).
이어서 향기 처리 단계로 진입하는데, 제어부는 제 1, 제 3 차단밸브를 록킹시키고 제 2, 제 4 차단밸브를 오픈시킨 후(S445), 모터를 구동하여 외부 공기와 향기용제가 혼합된 공기가 건조 및 소독 수행부 안으로 주입되도록 한다(S447). 이때 공기압 센서와 공기순환 팬의 작동 과정은 위 소독 단계와 동일하게 적용되며, 다만 적외선 방출기는 작동되지 않는다.(S449 ~ S461)
이와 같은 향기 처리 단계까지 모두 완료되면 소정의 표시수단 또는 알림수단을 통해 모든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지퍼를 열고 거치 수단과 카페트를 꺼낸 후 건조 및 소동 수행부를 공기 유입관으로부터 분리하고 이를 압축하여 보관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비닐이나 직물 등 용이하게 외형이 변형되는 재료를 건조 및 소독 공간의 구현에 이용하되 이를 공기 유입관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소에는 수축시킨 채로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한 때에만 이를 장착하고 공기를 유입시켜 팽창시키는 방법으로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건조 및 소독 공간을 조립용 프레임과 외피로 구성하여 구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해체 또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건조 및 소독 공간을 기존의 건축물에 있어서 공간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공간 확보를 위한 별 도의 노력 없이도 건조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건조 및 소독 공간의 내표피를 자외선 반사제로 코팅하여 방출된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소독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건조 및 소독 공간의 내부에 공기 순환용 팬을 장착하여 유입된 공기가 일정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건조/소독/청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13)

  1. 교환 가능한 소독용제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과, 소독용제를 사출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 1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소독용제 공급부;
    외부 공기 흡입을 위한 팬이 장착된 모터와, 공기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제 2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공기 공급부;
    내부 공기 배출을 위한 공기배출구 및 그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 3 차단밸브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히터와 대상물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 방출기가 구비되는 건조 및 소독 수행부;
    상기 소독용제 공급부, 공기 공급부, 건조 및 소독 수행부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공기 공급부를 통해 흡수되는 공기 및 상기 소독용제 공급부로부터 사출된 소독용제를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로 보내기 위한 통로인 공기 유입관;
    대상물의 건조 및 소독과 관련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를 통해 특정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수용 수단은 용이하게 외형 변경이 이루어지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평소에는 최소한의 부피로 축소되어 있다가 상기 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하여 비로소 그 내부에 소정의 건조 및 소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수용 수단은 형상 유지를 위한 소정 개수의 프레임 수단과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수단 및 외피는 필요에 따라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수용 수단은 해당 건조 및 소독 장치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미리 형성된 공간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내표면에는 상기 자외선 발생기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제가 코팅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상물의 공기 접촉면이 최대가 되도록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 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상기 거치 수단을 내부로 반입하거나 다시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입출입 통로가 되는 소정의 개폐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해당 건조 및 소독 수행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그 온도 센서에 미리 설정된 상한 온도가 감지되면 히터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해당 건조 및 소독 수행부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그 습도 센서에 미리 설정된 상한 습도가 감지되면 상기 차단 밸브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대상물로부터 분리되어 내부 공기 중에 섞인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집진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일정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순환 팬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및 소독 수행부는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공기압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압 센서에 미리 설정된 상한 수치가 감지되면 상기 공기 공급부의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교환 가능한 향수용제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과, 향수용제를 사출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 4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향수용제 공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KR1020050053158A 2005-06-20 2005-06-20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KR20060133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158A KR20060133349A (ko) 2005-06-20 2005-06-20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158A KR20060133349A (ko) 2005-06-20 2005-06-20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349A true KR20060133349A (ko) 2006-12-26

Family

ID=3781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158A KR20060133349A (ko) 2005-06-20 2005-06-20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33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91B1 (ko) * 2008-05-23 2010-09-02 이장균 가정용 자외선 살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91B1 (ko) * 2008-05-23 2010-09-02 이장균 가정용 자외선 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8450B (zh) 洗衣烘衣機
EP3191639B1 (en) A garment care device for drying and sanitizing garments
WO2014008874A1 (zh) 冷凝式干衣机及其控制方法
US20090110594A1 (en) Dish washer with uv sterilization device therein
KR200392190Y1 (ko) 에어샤워장치
KR101243727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US20070151041A1 (en) Control process for a revitalizing appliance
CA2726030C (en) Fabric refreshing cabinet device
US10208424B2 (en) Fabric refreshing cabinet device
US2017014562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725333B2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for preventing water from condensing on inner side of door and method for drying inner side of door using same
US2022024971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leaning articles with ultraviolet light
US11382310B2 (en) Pet car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259106B1 (ko) 식기세척기의 uv 램프 어셈블리
KR102045456B1 (ko) 복합 의류 관리기
KR200460472Y1 (ko) 신발 살균 건조 장치
KR20140035465A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신발 및 장갑 세척건조살균탈취기
KR20060133349A (ko) 공간 절약형 건조 및 소독 장치
KR20190139092A (ko) 수납 가구의 핸디형 옷장 클리너
KR102057418B1 (ko) 건조 및 살균장치
JP2004011315A (ja)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KR200194954Y1 (ko) 세제와 약제를 이용한 청소장치
KR20210000288A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0377330Y1 (ko) 의류 건조기
KR102194302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